KR20060083173A - 강성이 증가된 보강보드 및 이를 이용한 칸막이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강성이 증가된 보강보드 및 이를 이용한 칸막이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3173A
KR20060083173A KR1020060049521A KR20060049521A KR20060083173A KR 20060083173 A KR20060083173 A KR 20060083173A KR 1020060049521 A KR1020060049521 A KR 1020060049521A KR 20060049521 A KR20060049521 A KR 20060049521A KR 20060083173 A KR20060083173 A KR 20060083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reinforcement
reinforcement board
partition
shap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태
Original Assignee
김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태 filed Critical 김기태
Priority to KR1020060049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3173A/ko
Publication of KR20060083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1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성이 증가된 보강보드 및 이를 이용한 칸막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불연성 보드의 일면에 보강재가 일정 간격으로 수직·고정된 보강보드가 구비되어, 이의 상·하를 엘형지지편으로 측면을 따라 고정하고, 이 설치된 보강보드의 일면에 내장재를 설치한 뒤, 다시 보강보드를 엘형지지편으로 고정하여 마감한 칸막이 시공 방법을 통해, 상기 보강부재를 통해 굽힘에도 강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좁은 폭의 시공으로 공간 활용이 용이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보드와 이를 이용한 칸막이 시공 방법을 대략 설명하면, 먼저, 상기 보강보드(10)(10′)는, 평면형의 밀착부(12a)의 일면에 돌출된 보강부(12b)가 일체로 형성한 보강부재(12)를 불연성보드(11)의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한 것이며,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살펴보면, 이는 상기 보강보드(10)(10′); ‘L’자 단면을 가지는 엘형지지편(20); 섬유에 난연 처리가 된 난연섬유, 글라스 울과 같은 중간삽입재(30)를 구비하고, 시공할 곳을 정리하고, 칸막이를 설치할 곳을 따라 기준선을 긋는 시공 준비 공정(S1); 상기 보강보드(10)를 그 상·하면에 엘형지지편(20)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선을 따라 연속으로 설치하되, 엘형지지편(20)의 한면은 보강보드(10)에 고정되고, 그 타면은 시공할 상·하부에 고정·설치하는 전면 보강보드 설치 공정(S2); 상기 설치된 보강보드(10)에서 보강부재(12)가 형성된 쪽에 중간삽입재(30)를 일정 두께로 설치하는 중간삽입재 설치 공 정(S3); 상기 설치된 중간삽입재(30) 전면으로 보강보드(10′)를 엘형지지편(20)으로 설치·고정하는 후면 보강보드 설치 공정(S4), 상기 설치된 보강보드(10)(10′)의 가장자리 틈새를 따라 코킹재(40)를 메움, 경화하는 마감 공정(S5)으로 칸막이의 시공 방법을 완료한다.
이와 같은 시공된 칸막이는, 그 보강보드(10)(10′)의 구조, 즉, 강성이 높은 불연성보드(11) 및 이에 수직으로 설치된 보강부재(12)로 굽힘과 같은 외력에도 강하므로, 내구성과 지지력이 좋은 특징이 있고, 상기 보강보드(10)(10′)가 엘형지지편(20)에 의해 견고히 고정하며, 보강보드(10)(10′) 사이에 삽입되는 중간삽입재(30), 코킹재(40), 쪽보드(11′) 등에 의해 이렇게 설치된 칸막이는 차음, 흡음 및 단열을 특징이 있고, 모두 난연성 및 불연성의 재질로 화재에 안전한 특징이 있다.
보강보드, 칸막이, 시공, 보드, 내장재, 안전성, 보강, 차음

Description

강성이 증가된 보강보드 및 이를 이용한 칸막이 시공 방법{ The strengthened rigidity reinforcement board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partition thereof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보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에 따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보드의 시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 부분에 따른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 보강보드 11: 보드 11′: 쪽보드
12: 보강부재 20: 엘형지지편 30: 중간삽입재
본 발명은 강성이 증가된 보강보드 및 이를 이용한 칸막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불연성 보드의 일면에 보강재가 일정 간격으로 수직·고정된 보강보드가 구비되어, 이의 상·하를 엘형지지편으로 측면을 따라 고정하고, 이 설치된 보강보드의 일면에 내장재를 설치한 뒤, 다시 보강보드를 엘형지지편으로 고정하여 마감한 칸막이 시공 방법을 통해, 상기 보강부재를 통해 굽힘에도 강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좁은 폭의 시공으로 공간 활용이 용이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의 내부에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칸막이로서 여러 개의 공간을 구획하는 것이 보편화 되어 있고, 이와 같이 실내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는 그 재질이나 형태 등에 따라 종래에도 여러 가지가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종래의 칸막이 구조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 이는 내측에 발포폴리스티렌, 발포폴리우레탄,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등을 충진한 단열재를 구비하고, 이 단열재의 양면에 얇은 강판, 석고보드 등과 같은 불연성의 소재를 부착한, 소위 샌드위치패널(Sandwich Panel)로 제작된 것으로, 경량이면서 건물 내부의 단열을 호전하여 난방비 등의 절감이 이루어지모, 소음차단과 불연성이 우수하고, 조립과 해체가 간편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샌드위치패널은 칸막이, 내·외장재, 문, 조립식 건물 등으로 많이 이용되었으나, 상기 단열재로 사용되는 발포폴리스티렌, 발포폴리우레탄,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등은 강도 및 내구성이 약해서 강판, 석고보드 등과 같은 외정재만으로는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지 못하므로, 장기간 사용에 따른 내구성 및 내충격성이 저하되면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약간의 외력, 충격 등에 의해 쉽게 변경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되는 칸막이의 내장재는 단열, 내화성 및 방음성에 초점을 두고, 이를 보강하고자 내측에 공기층을 형성하거나 충전되는 단열재의 두께가 두꼽게 형성되면서 그 폭이 넓게 구성되어 외관이 매끈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시공되는 공간을 차지하는 범위가 넓어짐으로써 공간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섰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일정 폭을 가지는 밀착부의 일면에 일자, 삼각, 사각의 단면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보강부를 일체로 형성한 보강부재를 구성하고, 이를 불연성보드의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고정한 보강보드를 구성하고, 이에 ‘L’자 단면을 가지는 엘형지지편과, 난연섬유, 글라스 울과 같은 중간삽입재가 구비되어, 칸막이를 시공하고자 하는 곳에, 상기 보강보드의 상·하부를 엘형지지편으로 고정하고, 이 일면에 중간삽입재를 설치하며, 이에 엘형지지편을 이용하여 보강보드를 설치한 칸막이 시공을 완료하여, 상기 보 강보드의 보강부재가 바닥 방향에서 수직이 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굽힘에 대한 높은 강성으로, 칸막이에 대한 외력, 충격 및 지지력이 향상하고, 상기 중간삽입재 양면에 보강보드가 설치된 구조를 통해 기존보다 좁은 폭으로 공간 활용을 높이며, 불연성보드, 중간삽입재의 불연성 및 난연성의 특징으로 화재의 번짐을 최소화하여 안전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일면의 보강보드가 설치된 후, 상기 불연성보드와 같은 재질의 쪽보드를 그 보강보드가 이어지는 틈새를 따라 고정하고, 상기 중간상입재를 두고 설치되는 보강보드는 서로 어긋나게 설치하며, 칸막이가 설치된 후, 보강보드의 가장자리의 틈새를 따라 코킹재로 메움, 경화함에 따라, 화재 발생시, 보강보드의 틈새로 소음의 전달을 방지하고, 화재가 번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전성을 높이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강성이 증가된 보강보드 및 이를 이용한 칸막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불연성 보드의 일면에 보강재가 일정 간격으로 수직·고정된 보강보드가 구비되어, 이의 상·하를 엘형지지편으로 측면을 따라 고정하고, 이 설치된 보강보드의 일면에 내장재를 설치한 뒤, 다시 보강보드를 엘형지지편으로 고정하여 마감한 칸막이 시공 방법을 통해, 상기 보강부재를 통해 굽힘에도 강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좁은 폭의 시공으로 공간 활용이 용이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보드와 이를 이용한 칸막이 시공 방법을 대략 설명하면, 먼저, 상기 보강보드(10)(10′)는, 평면형의 밀착부(12a)의 일면에 돌출된 보강부(12b)가 일체로 형성한 보강부재(12)를 불연성보드(11)의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한 것이며,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살펴보면, 이는 상기 보강보드(10)(10′); ‘L’자 단면을 가지는 엘형지지편(20); 섬유에 난연 처리가 된 난연섬유, 글라스 울과 같은 중간삽입재(30)를 구비하고, 시공할 곳을 정리하고, 칸막이를 설치할 곳을 따라 기준선을 긋는 시공 준비 공정(S1); 상기 보강보드(10)를 그 상·하면에 엘형지지편(20)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선을 따라 연속으로 설치하되, 엘형지지편(20)의 한면은 보강보드(10)에 고정되고, 그 타면은 시공할 상·하부에 고정·설치하는 전면 보강보드 설치 공정(S2); 상기 설치된 보강보드(10)에서 보강부재(12)가 형성된 쪽에 중간삽입재(30)를 일정 두께로 설치하는 중간삽입재 설치 공정(S3); 상기 설치된 중간삽입재(30) 전면으로 보강보드(10′)를 엘형지지편(20)으로 설치·고정하는 후면 보강보드 설치 공정(S4), 상기 설치된 보강보드(10)(10′)의 가장자리 틈새를 따라 코킹재(40)를 메움, 경화하는 마감 공정(S5)으로 칸막이의 시공 방법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세부 구조 및 특징을 첨부한 도1의 공정도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먼저, 시공 준비 공정(S1)은, 칸막이 시공에 필요한 보강보드(10)(10′), 쪽보드(11′), 엘형지지편(20), 중간삽입재(30)를 구비하고, 시공할 곳을 정리하는 공정으로, 시공하는 곳을 깨끗하게 정리하며, 칸막이를 시공할 곳을 따라 기준선을 그어 표시하고, 칸막이를 구조물의 바닥에서 천정까지 시공을 하지 않는 것이라면, 적정 높이에 프레임을 설치하도록 하며, 이에 상기 구비되는 보강보드(10)(10′), 쪽보드(11′), 엘형지지편(20), 중간삽입재(3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보강보드(10)(10′)는,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불연성보드(11)의 일면에 보강부재(12)를 일정 간격으로 고정한 것으로, 불연성보드(11)는 마그네슘 보드, 시멘트 보드 등의 무기질 보드, 또는 알루미나 실리케이트와 같은 고강도의 불연성 소재로 구성되며, 보강부재(12)는 일정 폭 및 상기 불연성보드(11)의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판재 형상의 밀착부(12a) 일면 중앙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된 돌출보강부(12b)를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상기 돌출보강부(12b)는 일자 단면을 가지는 것이 다수개 형성되거나, 사각 단면의 형상 또는 삼각 단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 보강부재(12)의 형상이 ‘ㅗ ’, ‘ㅛ’, ‘
Figure 112006038974371-PAT00001
’, ‘
Figure 112006038974371-PAT00002
’의 단면을 형성하며, 이러한 보강부재(12)는 상기 불연성보드(11)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되, 강력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하거나, 도2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착부(12a)에 관통된 구멍을 다수개 형성하고, 이에 못 등의 결합부재로 박아 고정하며, 이 보강부재(12)가 결합된 타면에는 필요에 따라 세라믹 코팅이 형성된다.
그리고 쪽보드(11′)는 상기 불연성보드(11)와 같은 재질과 높이를 가지되, 틈을 막을 수 있을 정도의 폭과 두께를 가지며, 엘형지지편(20)은, ‘L’자의 단면을 가지고 일정 길이를 형성하는 것으로, 그 수직하는 두 면에는 각각 관통된 구멍을 다수개 형성하는데, 이는 대개 강도가 있는 금속을 절곡하여 구성하며, 중간삽입재(30)는, 난연섬유(섬유에 난연처리를 한 것), 글라스 울(glass wool)과 같이, 난연 또는 불연성 소재를 가지면서, 가볍고, 차음과 흡음 및 단열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된다.
이어서, 전면 보강보드 설치공정(S2)은, 상기 정리된 표시된 기준선을 따라 엘형지지편(20)을 이용하여 보강보드(10)를 설치하는 공정으로, 이는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의 기준선을 따라 보강보드(10)의 상·하부가 각각 천장 또는 프레임과 바닥으로 각각 설치되되, 상기 엘평지지편(20)의 일면이 상기 보강보드(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부재로 고정·설치되고, 그 타면이 상기 천장 또는 프레임과 바닥에 결합부재로 고정·설치되어, 보강보드(10)의 상·하가 엘형지지편(20)에 의해 지지·고정하는 공정이다.
또한, 쪽보드 설치 공정(S2′)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어지는 보강보드(10) 사이의 틈을 따라 쪽보드(11′)를 고정하는 공정으로, 상기 쪽보드(11′)는 보강보드(10)의 보강부재(12)가 형성된 쪽의 틈을 따라, 접착제로 부착을 하거나, 또는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재로 박아 고정하여, 상기 틈새를 막고, 화재가 날 시 그 확산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중간삽입재 설치 공정(S3)은, 도5 내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된 보강보드(10)의 일면에 중간삽입재(30)를 일정 두께로 설치하는 공정으로, 상기 보강보드(10)의 보강부재(12)가 형성된 쪽으로 중간삽입재(30)를 설치하되, 접착재의 도포나 결합부재의 결합 또는 다음 공정을 연이어 시행하면서 설치된 보강보드(10) 일측 전면에 중간삽입재(30)를 대략 100㎜의 두께를 가지도록 설치한다.
이어지는 후면 보강보드 설치 공정(S4)은,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된 중간삽입재(30) 전면으로 엘형지지편(20)을 이용하여 보강보드(10′)를 설치하는 공정으로, 이 역시 상기 전면 보강보드 설치 공정(S3)의 공정과 같이, 고정하는 보강보드(10′)의 상·하에 엘형지지편(20)을 결합부재로 박아 천장 또는 프레임 및 바닥으로 고정한다.
참고로, 상기 고정하는 엘형지지편(20)은,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보강보드(10)(10′)에 고정하는 부분이 각각 내부에 들어가도록 설치되어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면 보강보드 설치 공정(S2)에 설치되는 보강보드(10)와 후면 보강보드 설치 공정(S4)에 설치되는 보강보드(10′)는, 그 보강보드(10)(10′)의 보강부재(12)가 세워지도록(바닥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하며, 이렇게 중간삽입재(30)를 두고 그 양면에 위치하는 보강보드(10)(10′)는, 위치가 서로 일치되기보다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반 폭씩 엇갈리도록(시프트되도록, shift) 형성되어 일측에 화재가 나더라도, 그 틈새로 화재가 번지는 것을 최소화한다.
마지막으로 마감 공정(S5)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된 보강보드(10)(10′)의 각 가장자리를 따라 코킹재(40)를 메움, 경화하는 공정으로, 후면 보강보드 설치 공정(S4) 다음으로는, 바깥쪽에서 그 틈새를 따라 쪽보드(11′)를 붙이면 심미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이때 보강보드(10′) 사이에도 코킹재(40)를 메움, 경화하는데, 시중에는 상기 보강보드(10)(10′)의 불연성보드(11) 중에서 마감이 아주 잘된 것이 생산되는바, 이러한 불연성보드(11)를 사용한 보강보드(10)(10′)를 이용하면, 상기 후면 보강보드 설치 공정(S4)에서 그 측면으로 연속적으로 보강보드(10′)의 시공으로도 그 틈새에 대한 마감이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마감 공정(S5)을 끝으로 칸막이의 시공 방법을 완료한다.
이와 같은 시공된 칸막이는, 그 보강보드(10)(10′)의 구조, 즉, 강성이 높은 불연성보드(11) 및 이에 수직으로 설치된 보강부재(12)로 굽힘과 같은 외력에도 강하므로, 내구성과 지지력이 좋은 특징이 있고, 상기 보강보드(10)(10′)가 엘형지지편(20)에 의해 견고히 고정하며, 보강보드(10)(10′) 사이에 삽입되는 중간삽입재(30), 코킹재(40), 쪽보드(11′) 등에 의해 이렇게 설치된 칸막이는 차음, 흡음 및 단열의 특징이 있다.
더욱이, 상기 보강보드(10)(10′)의 불연성보드(11) 및 이에 코팅된 세라믹 코팅은 일차적으로 화재 발생시에 그 반대편으로 화기 번짐을 방지하고, 중간삽입재(30)도 난연 또는 불연 재질이라 더욱 안전하며, 더욱이 일측의 틈새는 불연성보드(11)와 같은 재질의 쪽보드(11′)로 막아서 그 틈새로의 소음 전달을 최소화하고, 화기 이동을 방지하며, 또, 중간삽입재(30) 양면의 보강보드(10)(10′)가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어, 화재에 대해 더욱 안전한 특징이 있다.
또한, 이렇게 삽입내장재(30) 양면에 보강보드(10)(10′)가 설치되는 구조는, 이렇게 화재에 안전하면서, 기존에 비해 칸막이의 폭이 많이 줄인 구조로, 공간 활용이 용이하면서, 그 시공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일정 폭을 가지는 밀착부의 일면에 일자, 삼각, 사각의 단면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보강부를 일체로 형성한 보강부재를 구성하고, 이를 불연성보드의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고정한 보강보드를 구성하고, 이에 ‘L’자 단면을 가지는 엘형지지편과, 난연섬유, 글라스 울과 같은 중간삽입재가 구비되어, 칸막이를 시공하고자 하는 곳에, 상기 보강보드의 상·하부를 엘형지지편으로 고정하고, 이 일면에 중간삽입재를 설치하며, 이에 엘형지지편을 이용하여 보강보드를 설치한 칸막이 시공을 완료하여, 상기 보강보드의 보강부재가 바닥 방향에서 수직이 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굽힘에 대한 높은 강성으로, 칸막이에 대한 외력, 충격 및 지지력이 향상하고, 상기 중간삽입재 양면에 보강보드가 설치된 구조를 통해 기존보다 좁은 폭으로 공간 활용을 높이며, 불연성보드, 중간삽입재의 불 연성 및 난연성의 특징으로 화재의 번짐을 최소화하여 안전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일면의 보강보드가 설치된 후, 상기 불연성보드와 같은 재질의 쪽보드를 그 보강보드가 이어지는 틈새를 따라 고정하고, 상기 중간상입재를 두고 설치되는 보강보드는 서로 어긋나게 설치하며, 칸막이가 설치된 후, 보강보드의 가장자리의 틈새를 따라 코킹재로 메움, 경화함에 따라, 화재 발생시, 보강보드의 틈새로 소음의 전달을 방지하고, 화재가 번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전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마그네슘 보드, 시멘트 보드, 알루미나 실리케이트와 같이 고강도의 불연성보드(11)와;
    일정 폭을 가지는 판재형의 밀착부(12a)의 일면 중앙에 다수개의 일자 단면 형상, 삼각 단면 형상, 사각 단면 형상 중에서 선택된 단면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보강부(12b)가 일체로 형성된 보강부재(12)가 구비되어,
    상기 불연성보드(11) 일면에 보강부재(12)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고정된 보강보드(10)(10′)를 구성하여,
    이를 칸막이의 시공에 사용되어, 굽힘에 대한 강성을 증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이 증가된 보강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보드(10)(10′)의 불연성보드(11)의 외표면에는 세라믹 코팅이 형성되어, 화재시 반대편으로 화기의 전달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이 증가된 보강보드.
  3. 공간을 구분하는 칸막이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보강보드(10)(10′); ‘L’자 단면을 가지는 엘형지지편(20); 섬유에 난연 처리가 된 난연섬유, 글라스 울 중에서 선택된 중간삽입재(30)가 구비되어,
    시공할 곳을 정리하고, 칸막이를 설치할 곳을 따라 기준선을 긋는 시공 준비 공정(S1); 상기 보강보드(10)를 그 상·하면에 엘형지지편(20)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선을 따라 연속으로 설치하는 전면 보강보드 설치 공정(S2); 상기 설치된 보강보드(10)에서 보강부재(12)가 형성된 쪽에 중간삽입재(30)를 일정 두께로 설치하는 중간삽입재 설치 공정(S3); 상기 설치된 중간삽입재(30) 전면으로 보강보드(10′)를 그 상·하면에 엘형지지편(20)으로 설치·고정하는 후면 보강보드 설치 공정(S4), 상기 설치된 보강보드(10)(10′)의 가장자리 틈새를 따라 코킹재(40)를 메움, 경화하는 마감 공정(S5)으로 칸막이의 시공 방법을 완료하여, 굽힘에 대한 강성을 높여 내구성을 높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이 증가된 보강보드를 이용한 칸막이 시공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보강보드 설치 공정(S2) 다음으로는, 설치된 각 보강보드(10) 사이의 틈을 따라 쪽보드(11′)를 고정하는 쪽보드 설치 공정(S2′)을 추가하여, 틈새 사이로의 소음, 화기 전달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이 증가된 보강보드를 이용한 칸막이 시공 방법.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삽입재(30)를 중간에 두고 설치되는 보강보드(10)(10′)는, 서로 엇갈리도록 설치되어, 화재시 반대편으로 화기의 전달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이 증가된 보강보드를 이용한 칸막이 시공 방법.
KR1020060049521A 2006-06-01 2006-06-01 강성이 증가된 보강보드 및 이를 이용한 칸막이 시공 방법 KR20060083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521A KR20060083173A (ko) 2006-06-01 2006-06-01 강성이 증가된 보강보드 및 이를 이용한 칸막이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521A KR20060083173A (ko) 2006-06-01 2006-06-01 강성이 증가된 보강보드 및 이를 이용한 칸막이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173A true KR20060083173A (ko) 2006-07-20

Family

ID=37173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521A KR20060083173A (ko) 2006-06-01 2006-06-01 강성이 증가된 보강보드 및 이를 이용한 칸막이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31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276B1 (ko) * 2009-11-30 2014-06-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격벽 차음성능 향상방법
KR101421883B1 (ko) * 2013-02-04 2014-07-22 김기태 무기질단열판을 이용한 외단열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276B1 (ko) * 2009-11-30 2014-06-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격벽 차음성능 향상방법
KR101421883B1 (ko) * 2013-02-04 2014-07-22 김기태 무기질단열판을 이용한 외단열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597B1 (ko) 내화 칸막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75895B1 (ko) 시공이 용이한 단열패널 및 그 단열패널을 이용한 건물시공 방법
KR100735576B1 (ko) 보강재가 포함된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패널 시공 방법
KR101126900B1 (ko) 차열방화유리 프레임 구조체
CZ394298A3 (cs) Zvukově izolační sestava pro budovy
US20080053031A1 (en) Assembling and Arrangement Flat Element Consisting of One or Several Elements
RU73889U1 (ru) Стена здания (варианты)
RU2494198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наружной стены здания
KR100604411B1 (ko) 복합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이중벽 칸막이의 시공 방법
CN101946049A (zh) 半帘式幕墙
KR200397710Y1 (ko) 실내 벽면마감용 판넬구조
BG65765B1 (bg) Топлоизолационен композитен панел, метод за производството му и строителна конструкция от такива панели
KR20060083173A (ko) 강성이 증가된 보강보드 및 이를 이용한 칸막이 시공 방법
KR100693194B1 (ko) 경량칸막이 벽체 구조
KR101375028B1 (ko) 구조용 목재가 포함된 단열복합패널 및 그 단열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KR20050073708A (ko) 건물 벽체용 일체형 적층 복합패널과 이를 이용한 건물의벽체 시공 방법
KR101835071B1 (ko) 내화성을 갖는 조립식 경량 칸막이
JPS6378942A (ja) 間仕切壁及びその施工方法
JP6776016B2 (ja) 耐火構造
KR200332657Y1 (ko) 칸막이용 패널 및 이 패널을 이용한 칸막이 조립구조
KR100555129B1 (ko) 칸막이용 패널 및 이 패널을 이용한 칸막이 조립구조
JP7266385B2 (ja) 間仕切壁構造、及びこの間仕切壁構造の施工方法
KR20180096002A (ko) 건식 벽체
EP3561189B1 (en) A partition wall, especially for creation of a fire compartment in rooms of buildings
KR100584513B1 (ko) 건축용 칸막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