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2960A - 상용전기의 전압, 전력 원격 모니터링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용전기의 전압, 전력 원격 모니터링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2960A
KR20060082960A KR1020050003550A KR20050003550A KR20060082960A KR 20060082960 A KR20060082960 A KR 20060082960A KR 1020050003550 A KR1020050003550 A KR 1020050003550A KR 20050003550 A KR20050003550 A KR 20050003550A KR 20060082960 A KR20060082960 A KR 20060082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oltage
time
electric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수
명금산
Original Assignee
(주) 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임산업 filed Critical (주) 임산업
Priority to KR1020050003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2960A/ko
Publication of KR20060082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9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6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monitoring or safe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사용관리시스템내의 프로그램을 식별하여 인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단말기를 통하여 로딩, 구동하고 초기화하는 프로그램초기화단계(S1)와;, 상기 초기화된 상태에서 설정범위내 존재하는 전기기기등이 포트별로 연결되어 있는 전기제어장치부를 검색, 식별하는 전기제어장치부 검색 및 식별 단계(S2)와;, 상기 식별된 전기제어장치부의 과거 사용전력 및 전압 등의 데이터 값을 검출하여 정보화일을 생성 또는 로딩하는 정보화일 생성/로딩 단계(S3)와;, 상기 전기제어장치부의 포트별 연결되는 전기 기기 등의 온오프 시간 및 사용설정 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제어장치부의 채널간 설정단계(S4)와;, 상기 로딩된 정보화일의 기존 데이터 값을 인출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디스플레이 시키는 과거정보값디스플레이단계(S5)와;, 상기 검색된 전기 기기의 사용전력량 및 전압값 등을 실시간 전송, 분석하여 상기 단말기로 그 데이터 값을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실시간디스플레이단계(S6)와;, 상기 실시간디스플레이단계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는 데이터 값이 설정범위내 데이터값 이상 또는 이하로 나타날 경우 상기 전기사용관리시스템의 프로그램에 의해 해당 전기기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단계(S6)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전기의 전압, 전력 원격 모니터링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간디스플레이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각 전기 기기의 사용전력량 및 사용전압을 리얼타임(Real Time)으로 상기 해당 정보화일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60)를 포함하는 것과, 상기 차단단계에서 이상 전류의 공급 및 이상 전압이 공급되는 해당 기기(40)를 검출하고, 그 해당 기기의 전력선을 차단하는 것과, 상기 전기 기기의 사용시간을 설정하여 온/오프 시간을 각각 셋팅, 저장하여 정보화일의 로딩시 그 셋팅값을 설정하도록 하는 사용시간 설정 및 셋팅단계(S40)를 포함하는 것과, 각 기기에 이상전력사용 또는 이상전압 발생시, 그 데이터 값이 보정 가능한 보정범위내에 있을 경우, 공급전력 및 전압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을 제시하는 보정값 제시단계(S70)를 포함하는 것과, 사용자 단말기는 인터넷 망의 유동IP 또는 고정IP와 연결되어, 원격지의 중앙제어단말기에서, 동일 프로그램의 구동에 따른 연동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는 상용전기의 전압, 전력 원격 모니터링 제어 방법 및 이와 같은 일련의 프로세서를 저장하여 사용자 단말기 또는 중앙제어단말기에서 구동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여,
하나의 사업장내에서 또는 원격지에서 각 전자제품의 사용전기량, 전력, 전압 등의 실시간 체크가 가능하도록 하고 아울러 각 전자제품의 사용상태가 휴면상태에 들어갔을 때 일정시간 경과 후 오프되도록 하여 필요이상의 전기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소모량을 현저하게 절감되도록 함은 물론, 각 전자제품의 전력공급을 온/오프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도록 하여 각 기기에 일시 다량의 전기가 공급되어질 때 발생될 수 있는 쇼크 등을 방지토록 하는 상용전기의 전압, 전력 원격 모니터링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용전기의 전압, 전력 원격 모니터링 제어방법, 단위제어PC, 중앙제어PC, 전기제어장치부

Description

상용전기의 전압, 전력 원격 모니터링 제어 방법 및 시스템{The voltage and electric power a great distance control method and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단위사업장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전기제어장치부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도시한 개략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프로그램의 구동상태를 도시화한 흐름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전기제어장치부의 배면부측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채택되는 프로그램의 초기화 상태를 캡쳐한 화면이고,
도 7은 정보화일에 저장, 로딩된 데이터값 중 전기제어장치부의 채널별 연결되는 각 기기의 과거전력 및 전압 사용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캡쳐한 화면이며,
도 8은 정보화일에 저장, 로딩된 데이터값 중 전기제어장치부 자체의 과거전력 및 전압 사용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캡쳐한 화면이며,
도 9 내지 도 10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기제어장치부의 각 채널을 온/오프 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전기제어장치부의 온/오프 시간 및 기간 등을 설정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 내지 도 14는 상기 전기제어장치부의 각 채널의 온/오프의 조건 등을 설정, 셋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상기 전기제어장치부의 각 채널별 공급될 수 있는 전력 및 전압을 셋팅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16은 전기제어장치부 각 채널별 연결되는 각종 기기의 정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전기제어장치부 각 채널의 절전모드를 통하여 각 채널별 온/오프 또는 동시 온/오프 상태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18 내지 도 19는 파워온오프 설정모드를 standard user 모드로 전환하여 각각의 채널 및 전기제어장치부의 조건을 셋팅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20은 전기제어장치부 또는 각 채널별 전력 및 전압 사용 상태 등을 실시간 체크 전을 보여준 것이며,
도 21a,b는 전기제어장치부의 각 채널중 선택된 채널의 사용전력 및 전압 등을 실시간 체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는 상기 전기제어장치부 전체의 사용전력 및 전압을 실시간 체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S1; 프로그램 초기화 단계
S2; 전기제어장치부 검색 및 식별단계
S3; 정보화일 생성 및 로딩 단계
S4; 전기제어장치부의 채널간 설정단계
S40; 사용시간 설정 및 셋팅단계
S5; 과거정보값 디스플레이 단계
S6; 실시간 디스플레이 단계
S60; 저장단계
S7; 차단단계
S70; 보정값 제시단계
10; 중앙제어PC 20; 단위제어PC
30; 전기제어장치부 40; 기기
본 발명은 산업체 또는 가정, 일반 사무실 등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사용하게 되는 각 전기 및 전자제품 등의 동작 상태는 물론 전기의 사용상태, 전압 및 전력의 사용상태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사업장내에서 또는 원격지에서 각 전자제품의 사용전기량, 전력, 전압 등의 실시간 체크가 가능하도록 하고 아울러 각 전자제품의 사용상태가 휴면상태에 들어갔을 때 일정시간 경과 후 오프되도록 하여 필요이상의 전기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소모량을 현저하게 절감되도록 함은 물론, 각 전자제품의 전력공급을 순차적으로 온/오프 제어하도록 하여 각 기기에 일시 다량의 전기가 공급되어질 때 발생될 수 있는 쇼크 등을 방지토록 하는 상용전기의 전압, 전력 원격 모니터링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들어, 전기의 사용량이 증대되고 있어 전기 사용에 대한 효율적 제어 방법 및 장치 등과 관련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대한민국 특허청에 다수 출원되어 공개 또는 공고된 것으로, 전자제품 등에 순차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하기 위한 기술이 다수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다수 출원되어 공지된 기술의 경우, 전류의 공급 및 차단경로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각 전자제품의 사용시 상용전류의 양이나 전압의 상태를 실시간 파악할 수 없어 과부하에 의한 이상전류 또는 이상전압이 공급되었을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문제에 대하여 효과적인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본원인이 출원하여 선 등록된 실용신안 등록 제 287265 호인 [전압표시기능을 갖는 순차전원 공급장치]의 경우, 상기한 선 기술의 문제점을 개량한 것으로 각각의 전자제품이나 산업용기계 및 기기 등에 공급되는 출력전압값을 순차전원장치의 전면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이상전압 발생시 그 보정작업이 용이하도록 실시간 그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전압의 출력을 보장할 수 있어 멀티미디어와 같은 기구의 동작이 원할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본원인에 의해 출원된 선행기술의 경우에도 각 전자, 전기 기기 제품에 순차적인 전류 및 전압의 제공이 이루어는 것은 상기한 선행기술과 유사하되 실시간 모니터링에 의해 이상전압 발생을 실시간 체크하여 그 보정값을 제공할 수 있어 각종 기기 등의 안정적 운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에 반하여, 한정된 장소 내에서만 상기 순차전원 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기기 등의 제어가 가능하고 설정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에는 그 제어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산업의 발달에 따라 전력의 소비가 많은 각종 기계 기기 및 전자 기기 등의 출현에 의해 전기의 사용량이 많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되지 않는 전자 및 전기기계 제품의 제어가 어려움은 물론, 원격지에서 그 각각의 기계, 기기 등의 전류 공급상태 및 사용상태 등을 실시간 파악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고 아울러 사용되지 않는 각종 기기 등의 원격지에서의 제어, 즉 전원공급 및 전원공급의 시간 조정 등을 일괄적으로 조정, 제어하는 것이 어려워 일시에 모든 각종 기기 등의 제어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와 달리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되어 선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 341853 호인 [네트워크를 통한 피관리 장치의 전원 및 콘솔 제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의 경우 인터넷 망이나 ISTN망을 통하여 원격지의 전원 및 콘솔을 감시하는 중앙관리센터와, 그 중앙관리센터를 통해 원격에 위치한 장비의 전원 공급을 원격 관리하고 장비의 상태 점검 및 이벤트 발생 등을 모니터링하는 원격제어장치와, 그 원격제어장치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시리얼부를 통해 콘솔제어를 하는 피관리장치로 구성되어, 원격에 위치한 운용센터 및 유지보수 요원의 제어를 받아 피관리 장치의 전원을 온, 오프하고 장비 콘솔의 직접 접속을 통한 상태의 모니터링 및 원격지에서의 콘솔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피관리 장치의 장애 발생시 현장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 원격에서 콘솔포트를 통하여 대처할 수 있고 장비의 완전 시스템 다운 시에도 전원을 오프/온 함으로써 복구가 가능하고, 즉각적인 조치에 의한 신뢰도를 높이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의 경우 원거리 상에서 인터넷 망을 통하여 원격지에 있는 판매된 자사제품 등이 과전류 등에 의한 이상이 발견되었을 경우 시스템의 재부팅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기술과 같이 전류의 순차제공 또는 이상이 발견된 제품의 전류를 일시 차단하여 복구하는 효과만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이 실현하고자 하는 목적인 실시간 각 전자 및 전기제품의 사용전력, 전기, 전압 등의 모니터링 및 이의 데이터화와 이에 근거한 사용전력의 제어 등의 다각적 제어를 요구하는 것과는 부합되지 않는 기술이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 또한 제시되어 있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근거리 예컨대 단위 사업장 또는 사무실 등지에 산재하고 있는 각종 전자 및 전기기계, 기구 등의 산업 기기나 기타 전기를 사용하는 사무용 기기 등의 전류의 흐름 및 그 전류 공급에 따른 정격전압 등을 효율적으로 제어 및 감시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원거리에서도 원하는 단위 사업장 또는 전체 규모의 사업장내에서 사용되는 각종 기기 등의 상용전기량 및 전력, 전압 등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감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기기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 및 전압 등의 변화에 따른 이상 유무와, 제품이 사용되지 않는 휴면상태 확인 등의 실시간 감시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기기 등의 전기 공급차단은 물론, 과부하에 따른 이상유무 확인의 실시간 감시가 가능하여, 효과적으로 해당 이상 기기에 공급되는 전기의 차단 및 정격전압으로의 보정이 가능한 보정값을 제시하도록 하고, 작동되지 않는 휴면 상태에 있는 각종 기기 등에 필요이상의 전기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각 전자전기 제품의 사용시간대 설정에 따른 온/오프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이에 따른 소비전력의 양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효율적 전기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사용관리시스템내의 프로그램을 식별하여 인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단말기를 통하여 로딩, 구동하고 초기화하는 프로그램초기화단계(S1)와,
상기 초기화된 상태에서 설정범위내 존재하는 전기기기등이 포트별로 연결되어 있는 전기제어장치부(30)를 검색, 식별하는 전기제어장치부 검색 및 식별 단계(S2)와,
상기 식별된 전기제어장치부(30)의 과거 사용전력 및 전압 등의 데이터 값을 검출하여 정보화일을 생성 또는 로딩하는 정보화일 생성/로딩 단계(S3)와,
상기 전기제어장치부(30)의 포트별 연결되는 전기 기기(40) 등의 온오프 시간 및 사용설정 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제어장치부(30)의 채널간 설정단계(S4)와,
상기 로딩된 정보화일의 기존 데이터 값을 인출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디스플레이 시키는 과거정보값디스플레이단계(S5)와,
상기 검색된 전기 기기(40)의 사용전력량 및 전압값 등을 실시간 전송, 분석하여 상기 단말기로 그 데이터 값을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실시간디스플레이단계(S6)와,
상기 실시간디스플레이단계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는 데이터 값이 설정범위내 데이터값 이상 또는 이하로 나타날 경우 상기 전기사용관리시스템의 프로그램에 의해 해당 전기 기기(40)의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단계(S6)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전기의 전압, 전력 원격 모니터링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간디스플레이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각 전기 기기(40)의 사용전력량 및 사용전압을 리얼타임(Real Time)으로 상기 해당 정보화일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60)를 포함하는 것과,
상기 차단단계에서 이상 전류의 공급 및 이상 전압이 공급되는 해당 기기(40)를 검출하고, 그 해당 기기(40)의 전력선을 차단하는 것과,
상기 전기 기기(40)의 사용시간을 설정하여 온/오프 시간을 각각 셋팅, 저장하여 정보화일의 로딩시 그 셋팅값을 설정하도록 하는 사용시간 설정 및 셋팅단계(S40)를 포함하는 것과,
각 기기(40)에 이상전력사용 또는 이상전압 발생시, 그 데이터 값이 보정 가능한 보정범위내에 있을 경우, 공급전력 및 전압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을 제시하는 보정값 제시단계(S70)를 포함하는 것과,
사용자 단말기는 인터넷 망의 유동IP 또는 고정IP와 연결되어, 원격지의 중앙제어단말기에서, 동일 프로그램의 구동에 따른 연동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는 상용전기의 전압, 전력 원격 모니터링 제어 방법 및 이와 같은 일련의 프로세서를 저장하여 사용자 단말기 또는 중앙제어단말기에서 구동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각 도면 등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사업장 또는 사무실 등에 산재하여 있는 각종 전자 및 전기 기기(40) 등을 하나의 장치인 전기제어장치부(30)와 연결하고, 그 전기제어장치부(30)는 다시 제어용 컴퓨터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컴퓨터의 하드웨어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 기록매체에 의해 상기 전기제어장치부(30)를 컨트롤하도록 하는 제어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단계별로 상기 기록매체에 의해 기록된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되는 하드웨어인 전기제어장치부(30)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전기제어장치부(30) 전체의 사용전력량 및 전압과 상기 전기제어장치부(30) 각 포트별로 연결되는 각각의 전자 및 전기 기기(40) 등의 개별적 사용전력량 및 전압 등의 실시간 확인에 의한 이상전류 및 이상전압 유무의 용이한 확인 및 차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전기제어장치부(30)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전기제어장치부(30)는 본원인이 출원하여 선 등록된 실용신안 등록 제 287265 호인 [전압표시기능을 갖는 순차전원 공급장치]에서의 순차전원 공급장치를 모태로 하여 개량된 것으로 도4에서 보는바와 같이 각 전기 및 전자 기기(A ~ Z)(40)등이 CH 1 ~ CH Z 등으로 표시되는 포트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기제어장치 부(30)에서 인식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전기제어장치부(30)는 본 발명의 전기사용관리시스템내의 프로그램과 연동될 수 있도록 단위제어PC(20) 등과 연결된다.
상기 단위제어 PC(20)는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편의상 명명되는 것으로, 하나의 사업장 내지 사무실 등 일정구역내의 전자 및 전기 기기(40)등을 연결하고 있는 상기한 전기제어장치부(30)와 연결되는 컴퓨터를 말하는 것이다.
아울러, 중앙제어PC(10)라 함은 본 발명의 특징 중의 하나인, 원격지에서 상기 전기제어장치부(3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컴퓨터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다.
(제 1,2 단계 - 프로그램 초기화 단계/전기제어부 검색 및 식별단계 ; S1/S2)
본 단계는 단위제어PC(20)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을 로딩, 초기화 함과 동시에(S1), 단위제어PC(20)와 통신되는 전기제어장치부(30)를 검색 및 식별하여 단위제어PC(20)의 모니터 상으로 식별된 전기제어장치부(30)의 상태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것으로,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다.
도 5에서 보는바와 같이 프로그램의 구동 후 전기제어장치부(30)를 식별하게 되면, 상기 전기제어장치부(30)의 포트와 연결되는 각각의 전기 및 전자 기기(40)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면상의 상태는 현재 전기제어장치부(30)를 오프(OFF) 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단위제어PC(20)를 이용하여, 파워(POWER)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전기제어장치부(30)를 온(ON) 시킨 상태에 있게 되며, 상기 전기제어장치부(30) 각각의 포트별로 연결되어 있는 각종 전자 및 전기기기장치 (40)등을 컨트롤 할 수 있는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단위제어PC(20)에 하나의 전기제어장치부(30)가 연결되는 것을 전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다수개의 전기제어장치부(30)를 하나의 단위제어PC(20)와 연결하여 제어가능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3 단계 - 정보화일 생성 / 로딩 단계 ; S3)
본 단계는 전기제어장치부(30)에 연결되어 있는 기존의 전자 및 전기기기장치 등의 과거전력 사용 및 제공전압 정보 등의 내용이 메모리된 정보화일을 로딩하거나 또는 제 2 단계의 전기제어장치부(30) 검색 및 식별단계에서 전기제어장치부(30)에 새롭게 연결된 전기기기장치 등이 식별되었을 경우 새로운 정보화일을 생성, 로딩할 수 있는 단계를 말한다.
(제 4 단계 - 전기제어장치부의 채널간 설정단계 ; S4)
본 과정은 상기한 단계에서 검색된 전기제어장치부(30)의 각 포트별 연결되어 있는 각종 기기(40) 등 연결된 채널의 온/오프 설정 및 사용시간을 설정 셋팅하기 위한 단계로서, 전기제어장치부(30) 자체의 온/오프 설정 및 사용시간 설정은 물론 상기 전기제어장치부(30) 채널별 연결되는 각종 기기(40) 등의 온/오프 설정 및 사용시간 설정이 가능하게 되는 사용시간 설정 및 셋팅단계(S40)를 포함한다.
위 단계에서는 전기제어장치부(30)의 각 채널별로 연결되는 각 전자, 전기 기기(40) 등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단위제어PC(20)에서 온(ON) 또는 단락 시키기 위해 오프(OFF) MODE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되지 않을 전기 기기(40) 등은 전기제어장치부(30)를 거쳐 별도의 조작 없이 사용자의 단위제어PC(20)에서 채널을 클릭하는 조작을 통하여 손쉽게 사업장이나 사무실 등의 기기(40)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전기제어장치부(30)의 각 포트에 연결되는 채널을 모두 온(ON)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사용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 선택된 채널을 오프(OFF)시킨 상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한편, 각각의 상기 전기제어장치부(30) 각각의 채널별 연결되는 기기(4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각 전자 및 전기 기기(40) 등을 사용하게 되는 사용시간 및 상용전력량, 전압 등을 사용목적 및 기기(40)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 셋팅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 이상으로 전기 등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바, 편의상 POWER ON/OFF의 주 사용모드를 MANUAL USER 모드에서 설정, 셋팅하는 작업을 위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전기제어장치부(30) 자체의 온/오프 시간 설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 그림으로, 요일별 셋팅 및 TIME을 임의로 설정 셋팅하여 전기제장치어부(30)의 전기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3은 상기한 전기제어장치부(30)의 채널별 연결되는 각종 기기(40) 등의 온/오프 설정 셋팅을 보여준 그림으로, 도면에서 보듯이 채널 1에서 채널 8까지 1초간 간격에 의해 순차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오프되는 과정은 온 되는 과정과는 반대로 채널 8에서 채널 1까지 순차적으로 전원이 오프 되도록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전기제어장치부(30)로 공급되는 전기 및 각 기기(40)로 공급되는 전기가 일시에 다량 공급됨으로 인한 쇼크 현상을 억제하여, 각 전자전기 기기(40)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도 14는 도 13과는 달리 각 채널별 전원이 공급되는 순서 및 타 채널의 전원이 공급되는 시간차이 등을 사용자 임의로 설정 할 수 있는 것을 보인 그림으로, 각 채널마다 연결되는 각종 기기(40) 등의 전원을 필요한 시간대에 맞추어서 전원 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항상 콘센트에 플러그가 접속된 상태에서의 장시간 미세한 전기공급 등에 의한 전력낭비를 최소화하고 그 선택되는 기기(40) 등이 사용되어질 시간대에 맞추어 온/오프 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각 채널별 필요로 하는 전압 및 전류를 셋팅하는 과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16은 상기한 과정을 거치면서 셋팅되는 각 채널별의 각종 기기(40) 등의 이름을 설정, 셋팅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예컨대 각 채널별 연결되는 기기(40) 즉 조명기구, 믹서기 등 다양한 전자제품 및 전기제품 등을 연결하고 그 연결되는 각종 기기(40) 등의 사용시간 및 사용전력, 전압 등의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각 채널별 절전을 위한 셋팅을 위한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각 채널별로 개별적 절전모드에 의한 온/오프가 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일괄적으로 전체의 채널에 대하여 절전모드에 의한 온/오프 설정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POWER ON/OFF 모드를 MANUAL USER에서 STANDARD USER로 전환한 상태에서 전기제어장치부(30) 및 상기 전기제어장치부(30)의 채널별 온/오프 시간 및 조건별 셋팅 설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보연주는 그림이다.
특히 도 19의 경우 각 채널별 온(ON) 되는 시간차이를 임의로 설정 셋팅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채널1에서 전원이 공급되어 ON 된 후 3초간 시간이 경과 된 다음 채널2에 전원이 ON 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위제어PC(20)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단위제어PC(20)와 연결되되 각 전자, 전기 기기(40) 등을 각 채널별로 연결하고 있는 전기제어장치부(30)를 직접 제어하되 다양한 모드 설정에 의해 상기의 전기제어장치부(30) 자체의 온/오프 시간설정, 사용전력량 및 전압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각 채널별 연결되는 개개별 전자, 전기 기기(40) 등의 전원 공급 온/오프 또는 전압, 사용전력량 등을 임의로 셋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제 5 단계 - 과거정보값 디스플레이 단계 ; S5)
본 과정은 전기제어장치부(30)의 과거 전력사용값 및 사용전압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로딩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것으로, 첨부한 도면 도 8에서 보는바와 같이 전기제어장치부(30) 전체의 과거 사용전압, 전류 등 다양한 사용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거 사용 값의 이상 유무를 소망하는 날짜 및 시간별로의 체크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전기제어장치부(30) 전체의 사용 값의 확인(도 7)은 물론, 상기 전기제어장치부(30)의 포트별 연결되는 각각의 개별적 전자, 전기 기기 장치(40)의 과거 사용전력 및 전압 등을 용이하게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판단 할 수 있도록 한다(도 8 참조).
즉, 첨부한 도면 도 7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기제어장치부(30)의 각 포트별로 연결되는 각각의 전자, 전기기기장치의 사용전력 및 전압 등 전기사용정보를 원하는 날짜별로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어 사용기간 동안의 정상 및 이상유무를 쉽게 식별 할 수 있다.
첨부한 도면 도 8은 이와는 달리, 전기제어장치부(30) 전체의 사용전력 및 전압 등을 소망하는 날짜별로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제 6 단계 - 실시간 디스플레이 단계 ; S6)
본 단계는 단위제어PC(20)에서 구동된 프로그램에 의해 전기제어장치부(3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명령하게 되면, 상기 전기제어장치부(30)에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각 채널별 연결되어 있는 각종 기기(40) 등에 전기를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순차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와 같이 각 기기(40) 등으로 공급되는 전기의 전력량 및 전압, 전류 등이 실시간 단위제어PC(20)의 단말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계이다.
도 20의 경우 전기제어장치부(30)와 그로부터 각 채널별 연결되는 각종 기기(40) 등의 사용전력 및 전압 등의 실시간 체크가 이루어지전의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다.
본 발명의 구동에 있어서 전기제어장치부(30) 전체의 사용전력, 전압의 전체적 사용상태 및 과거 사용상태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각 채 널별 연결되어 있는 각종 기기(40) 등 개개별 사용전력 및 전압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1a,b의 경우, 상기 전기제어장치부(30)와 연결되는 각 채널별 전력, 전압 등의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 체크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22의 경우에는 상기 전기제어장치부(30) 전체의 사용전력 및 전압 등을 실시간 체크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위제어PC(20)를 통해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실시간 모드를 통해 각 전자,전기기기와 전기제어장치부(30)의 사용전력 및 전압 등이 실시간 체크되며 사용자의 단위제어PC(20) 모니터를 통해 모니터링 되는 정보는 실시간 저장되는 저장단계(S60)를 거쳐 상술한 바와 같이 과거정보값 디스플레이 단계(S5)에서 로딩될 수 있도록 한다.
(제 7 단계 - 차단단계 ; S7)
본 과정은 상술한 전기제어장치부(30)의 채널간 설정단계(S4) 및 사용시간 설정 및 셋팅단계(S40)에 의해 설정되는 조건 값에 부합되지 않을 경우 전기공급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과정으로, 첨부한 도 15에서 보는바와 같이 로딩된 정보화일의 셋팅 및 설정과정에서 Voltage/Current Min/Max 모드에서 각 채널별 설정범위내의 전압 값과 Watt 값을 Min/Max 범위 내로 설정하게 되면, 각 기기마다 제 공되는 전력 및 전압이 과도하게 디스플레이될 경우 전기제어장치부(30)에서 그 전원을 즉각 차단될 수 있도록 제어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전기제어장치부(30)에도 설정된 전압 및 전력의 범위 값을 벗어나게 되는 경우에도 전지제어장치부 자체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여, 과전류 및 과부하에 따른 각종 기기(40) 등의 오작동에 따른 고장이나 훼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의 차단단계(S7)에서 차단된 채널별 기기(40) 또는 전기제어장치부(30)의 허용오차 범위 내를 벗어난 상태를 보정하기 위해 보정값을 산출하여, 별도의 AVR 장치 측으로 그 보정값을 인가시켜 상기 전기제어장치부(30) 및 각 기기(40)별 공급되는 전압 및 전력량을 설정범위내로 보정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한 전기제어장치부(30)의 채널간 설정단계(S4)에서 예컨대 각 채널에 연결되어 있는 각종 기기(40) 등이 일정시간 동안 사용되지 않는 휴면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기제어장치부(30)에서 해당 채널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일정시간 이상 사용되지 않는 기기(40) 등에 공급되는 전력을 원천 차단함으로써, 소비전력이 필요이상으로 소비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력의 효율적 관리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과정은 하나의 단위별 사업장 또는 사무실 등에서 단위제어PC(20)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제어PC(20)와 연결되되 각각의 전자, 전기 기기(40) 제품 등과 각 채널별 통신되도록 연결되는 전기제어장치부(30)를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도 2에서 보는바와 같이 원격지의 중앙제어PC(10)에서 각 단위제어PC(20)와 연결되어 상기 단위제어PC(20)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사업장이나 사무실 등에 존재하는 전기제어장치부(30)를 일괄 통제 및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2에서 보듯이 각각의 단위제어PC(20)와 원격지의 중앙제어PC(10)를 공지의 인터넷망 수단을 통하여 상호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중앙제어PC(10)와 단위제어PC(20)를 본 발명에 적합하게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을 동시에 구동, 활성화시킨 다음 중앙제어PC(10)에서 상술한 각 단계를 따라 각 단위제어PC(20)와 연결되어 있는 전기제어장치부(30)를 일괄 또는 순차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중앙제어PC(10)와 단위제어PC(20)를 유동IP에 의한 인터넷망 접속 방법이 아닌, 고정IP 방식의 직접 접속 방법을 통하여 각 사업장 등의 단위제어PC(20) 제어에 의한 각각의 전기제어장치부(30)의 효율적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사업장에 상주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위제어PC(20) 또는 원격지에 상주하며 인터넷망 또는 케이블 등을 통하여 직접 연결되는 중앙제어PC(10)를 동시에 구동시켜, 전기사용관리시스템내의 인식된 프로그램을 구동하게 됨으로써 초기화하게 된다.(S1 단계)
이와 같이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단위제어PC(20) 또는 중앙제어PC(10)에서 상기 단위제어PC(20) 별 연결되어 있는 전기제어장치부(30)를 검색하여 식별하는 과정(S2)을 거쳐 기존의 검색되지 않은 새로운 전기제어장치부(30)가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정보화일을 생성하고 기존에 존재하는 전기제어장치부(30)가 검색되면 그 검색된 전기제어장치부(30)의 과거 정보화일을 로딩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S3)
이와 같이 로딩된 정보화일에는 기존의 전기제어장치부(30)의 온/오프 설정 및 전기제어장치부(30) 채널에 각각 연결되는 각종 전자 및 전기 기기(40) 제품 등의 제어값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새롭게 인식된 전기제어장치부(30)의 경우 전기제어장치부(30)의 채널간 설정단계(S4)를 거쳐 필요한 전력 및 전압과 각 기기(40) 및 전기제어장치부(30)의 온/오프 조건 등을 설정, 셋팅할 수 있다.
기존의 검색된 전기제어장치부(30)의 각종 조건 등도 변경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각 전기제어장치부(30)의 채널간 설정단계(S4)가 완료되면, 각 기기(40)별 구체적 조건 등을 선택 설정하여 셋팅하게 되고(S40), 각 전기제어장치부(30)의 과거 전력사용량 및 전압 등의 확인을 위해 과거정보값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하여(S6) 각 기기(40)의 사용상 전력 및 전압의 이상 유무 등을 근거리의 단위제어PC(20)에서 또는 원격지에 있는 중앙제어PC(10)에서 확인하게 되고, 아울 러 현재의 각 전기제어장치부(30)를 통해 사용되는 각 사용 전력량 및 전압 등이 디스플레이 되어진다.(S6)
이와 같이 실시간 작업자의 단위제어PC(20) 및 중앙제어PC(10)의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값은 그대로 상기 로딩되거나 또는 새롭게 생성된 정보화일에 저장되는 단계(S60)을 거치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되는 값이 설정범위 이상 또는 이하를 나타내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곧바로 상기 단위제어PC(20) 또는 중앙제어PC(10)에서 해당 전기제어장치부(30) 또는 해당 기기(40) 등이 연결되는 채널을 제어하거나 또는 해당 전기제어장치부(30)를 제어하여 차단하게 되고, 아울러 해당 기기(40) 또는 해당 전기제어장치부(30)에 공급되는 전력 및 전압의 정상 복귀를 위한 보정값을 제시하여, 별도의 공지된 수단인 AVR 장치 측으로 그 보정값을 인가시켜 상기 전기제어장치부(30) 및 각 기기(40)별 공급되는 전압 및 전력량을 설정범위내로 보정토록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위제어PC 또는 원거리상의 중앙제어PC에서 기록매체에 의해 전기사용관리시스템의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상기 단위제어PC와 연결되는 전기제어장치부를 통해 통신되는 각종 기기 등의 공급되는 전력 및 전압과 전기제어장치부 또는 각 기기의 온/오프 설정 등을 근거리 또는 원거리 상에서 PC 단말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셋트별 동작 및 전체 전력, 전압 상황 등을 일시에 관찰하여 효과적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제어장치부 자체의 전력, 전압 등의 관리 뿐만 아니라, 전기제어장치부와 연결되는 각 기기 등 채널별 제어가 가능하므로 예컨대 사용되지 않는 기기나 또는 일정시간에만 사용되는 기기에의 사용전력을 효과적으로 공급, 차단하도록 하여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하여 효율적 전력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기기별 제공되는 전력 및 전압이 허용오차 범위 즉 설정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설정범위내로 환원 될 수 있는 보정값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전원의 즉각적 차단이 가능하도록 하여, 각 기기의 과부하 등에 따른 고가의 기기 등의 고장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7)

  1. 전기 기기의 사용전력 및 사용전압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기사용관리시스템내의 프로그램을 식별하여 인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단말기를 통하여 로딩, 구동하고 초기화하는 프로그램초기화단계(S1)와,
    상기 초기화된 상태에서 설정범위내 존재하는 전기기기등이 포트별로 연결되어 있는 전기제어장치부를 검색, 식별하는 전기제어장치부 검색 및 식별 단계(S2)와,
    상기 식별된 전기제어장치부의 과거 사용전력 및 전압 등의 데이터 값을 검출하여 정보화일을 생성 또는 로딩하는 정보화일 생성/로딩 단계(S3)와,
    상기 전기제어장치부의 포트별 연결되는 전기 기기 등의 온오프 시간 및 사용설정 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제어장치부의 채널간 설정단계(S4)와,
    상기 로딩된 정보화일의 기존 데이터 값을 인출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디스플레이 시키는 과거정보값디스플레이단계(S5)와,
    상기 검색된 전기 기기의 사용전력량 및 전압값 등을 실시간 전송, 분석하여 상기 단말기로 그 데이터 값을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실시간디스플레이단계(S6)와,
    상기 실시간디스플레이단계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는 데이터 값이 설정범위내 데이터값 이상 또는 이하로 나타날 경우 상기 전기사용관리시스템의 프로그램에 의 해 해당 전기 기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단계(S6)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전기의 전압, 전력 원격 모니터링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디스플레이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각 전기 기기의 사용전력량 및 사용전압을 리얼타임(Real Time)으로 상기 해당 정보화일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전기의 전압, 전력 원격 모니터링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단계에서 이상 전류의 공급 및 이상 전압이 공급되는 해당 기기를 검출하고, 그 해당 기기의 전력선을 차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용전기의 전압, 전력 원격 모니터링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의 사용시간을 설정하여 온/오프 시간을 각각 셋팅, 저장하여 정보화일의 로딩시 그 셋팅값을 설정하도록 하는 사용시간 설정 및 셋팅단계(S40) 를 포함하는 상용전기의 전압, 전력 원격 모니터링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각 기기에 이상전력사용 또는 이상전압 발생시, 그 데이터 값이 보정 가능한 보정범위내에 있을 경우, 공급전력 및 전압의 보정값을 제시하는 보정값 제시단계(S70)를 포함하는 상용전기의 전압, 전력 원격 모니터링 제어 방법.
  6. 제 1 항의 사용자 단말기는 인터넷 망의 유동IP 또는 고정IP와 연결되어, 원격지의 중앙제어단말기에서, 동일 프로그램의 구동에 따른 연동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전기의 전압, 전력 원격 모니터링 제어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의 일련의 프로세서를 저장하여 사용자 단말기 또는 중앙제어단말기에서 구동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50003550A 2005-01-14 2005-01-14 상용전기의 전압, 전력 원격 모니터링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829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550A KR20060082960A (ko) 2005-01-14 2005-01-14 상용전기의 전압, 전력 원격 모니터링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550A KR20060082960A (ko) 2005-01-14 2005-01-14 상용전기의 전압, 전력 원격 모니터링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960A true KR20060082960A (ko) 2006-07-20

Family

ID=37173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550A KR20060082960A (ko) 2005-01-14 2005-01-14 상용전기의 전압, 전력 원격 모니터링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296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663B1 (ko) * 2007-12-28 2008-03-14 한빛이디에스(주) 이상상태 알람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기반의 전기품질측정장치
KR100891253B1 (ko) * 2008-09-18 2009-04-01 (주) 에코센스 스위치 감지방식을 이용한 조명분야 에너지 사용량 모니터링 방법
WO2010110543A2 (ko) * 2009-03-25 2010-09-30 화우테크놀러지주식회사 이동식 발전기의 연료 소비량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663B1 (ko) * 2007-12-28 2008-03-14 한빛이디에스(주) 이상상태 알람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기반의 전기품질측정장치
KR100891253B1 (ko) * 2008-09-18 2009-04-01 (주) 에코센스 스위치 감지방식을 이용한 조명분야 에너지 사용량 모니터링 방법
WO2010110543A2 (ko) * 2009-03-25 2010-09-30 화우테크놀러지주식회사 이동식 발전기의 연료 소비량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0110543A3 (ko) * 2009-03-25 2010-12-23 화우테크놀러지주식회사 이동식 발전기의 연료 소비량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67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power states of a power device
US6771029B2 (en) Digital dimming fluorescent ballast
US8712558B2 (en) Data center management unit with improved disaster prevention and recovery
EP2012288A2 (en) Network-based air-conditioning equipment remote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US20030085624A1 (en) Uniterrupted power supply managing system and managing method, and electric device managing system and program
CN102362259B (zh) 用于改变电力设备的用户接口的系统和方法
US20190250206A1 (en) Failure diagnosis system
EP24119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power device
KR100905974B1 (ko) Ip 기반 통합 전원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82960A (ko) 상용전기의 전압, 전력 원격 모니터링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454645Y1 (ko) 전원의 자동 절체 시스템
US20110302437A1 (en) Switch-off of a micro controller unit in battery mode
KR200426642Y1 (ko) 인터넷 망을 이용한 실시간 이상 발생 자동 감지 및 원격제어용 부스터 펌프 제어장치
CN107659517B (zh) 一种基于本地管理的PoE交换机及管理系统
TWI623711B (zh) Intelligent air conditioning power distribution unit
CN219916256U (zh) 医疗系统及其安全管理装置
JP2003309494A (ja) 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並びに状態表示装置及び状態表示方法
CN217085568U (zh) 一种压缩机燃气电机远程控制系统
JP3443575B2 (ja) 無停電電源装置の管理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
JP3746477B2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の監視方法、無停電電源システムおよび監視装置
CN216956922U (zh) 一种用于卫浴终端的便于软件升级的多功能控制装置
CN111623554B (zh) 一种热泵机组的异常掉电检测方法及其装置、和热泵机组
JP3625669B2 (ja) プログラム式表示装置
US20040117533A1 (en) Simplified user interface for UPS monitoring
CN110658763A (zh) 一种联网设备运行状态监测系统及监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