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2523A -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2523A
KR20060082523A KR1020050002903A KR20050002903A KR20060082523A KR 20060082523 A KR20060082523 A KR 20060082523A KR 1020050002903 A KR1020050002903 A KR 1020050002903A KR 20050002903 A KR20050002903 A KR 20050002903A KR 20060082523 A KR20060082523 A KR 20060082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ocking
portable terminal
sliding
elastic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1471B1 (ko
Inventor
박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2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471B1/ko
Priority to US11/330,753 priority patent/US7450978B2/en
Publication of KR20060082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72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1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muffler volu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5Cylinder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대면한 상태로부터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을 회동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과 맞물려 상기 제2 하우징의 회동을 제한하고, 직선운동함에 따라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를 개방시키는 동작이 슬라이딩형 단말기와 폴더형 단말기가 복합된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이 편리하고, 휴대 상태에서 키패드,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폐쇄되어 손상될 위험을 방지하게 된다.
단말기, 슬라이딩-폴딩, 탄성 수단

Description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SLIDING-FOLDING TYPE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과 제3 하우징이 결합된 제1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과 제3 하우징이 결합된 제2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과 제3 하우징이 결합된 제3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를 개방시키기 편리한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 또는 사용자와 서비스 업자 사이에서 전기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기기로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음성 통화,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서비스, 엔터테인먼트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 하나의 하우징에 송화부, 수화부, 데이터 입출력 장치 등을 설치한 바형 단말기, 바형 단말기와 같이 하나의 하우징에 송화부, 수화부, 데이터 입출력 장치 등을 설치하고서 키패드와 같은 데이터 입력 장치를 개폐시키는 플립 커버가 부착된 플립형 단말기, 한 쌍의 하우징이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면서 송화부, 수화부, 데이터 입출력 장치들을 한 쌍의 하우징 각각에 적절하게 분산 배치한 폴더형 단말기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사용자들의 취향이 다양해지면서, 슬라이딩형, 팝업형, 스윙형 단말기들이 등장하여 상용화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들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들 중에 휴대성, 사용의 편리성 등의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폴더형 단말기가 사용자들에게 가장 많이 선택되고 있으며, 슬라이딩형 단말기도 점차 사용자들에게 많이 선택되는 단말기로 부상하고 있다.
폴더형 단말기와 슬라이딩형 단말기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한 쌍의 하우징이 중첩된 상태에서 통화 대기 모드로 설정되고, 한 쌍의 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이 다른 하우징에 대한 상대적인 운동을 함으로써 개폐되는 구성에 있다. 또한, 키패드, 디스플레이 장치, 송/수화부 등의 입출력 장치와, 통신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 장치들을 한 쌍의 하우징에 적절하게 분산 배치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이다.
따라서, 폴더형 또는 슬라이딩형 단말기는 소형화에 유리하여 휴대성 향상에 적합하고, 입출력 장치 등의 배치에 있어서도 다른 형태의 단말기 보다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폴더형 또는 슬라이딩형 단말기는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유리하며, 단말기 디자인의 다양화에도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폴더형 단말기의 경우, 단말기를 개방시키기 위해서 적게는 30도, 많게는 90도 이상 사용자가 직접 어느 한 하우징을 회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슬라이딩형 단말기 역시 사용자가 어느 한 하우징을 이동 범위 내의 일정 구간 또는 이동 범위 전체를 직접 슬라이딩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슬라이딩형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항시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투명 커버에 긁힘 등의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높고, 외부 충격에 파손될 위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를 개방 시키기 위한 동작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한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상태, 즉 통화 대기 모드에서 키패드, 디스플레이 장치 등 입출력 장치들의 노출이 최소화될 수 있는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대면한 상태로부터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을 회동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과 맞물려 상기 제2 하우징의 회동을 제한하고, 상기 제2 하우징 상에서 직선운동함에 따라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1 하우징(101),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102), 상기 제2 하우징(102) 상에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3 하우징(1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은 일단에 형성된 센터 힌지 암(115)과, 타단에 형성된 락킹 리브(111)를 구비한다. 상기 센터 힌지 암(115)과 락킹 리브(111)는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전면에 돌출된 형상으로 서로 마주보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센터 힌지 암(115)과 락킹 리브(111) 사이의 상기 제1 하우징(101) 전면에는 키패드, 송화부 등이 설치된다.
상기 락킹 리브(111)의 일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터 힌지 암(115)과 마주보는 면에 락킹 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락킹 홈(112)은 상기 센터 힌지 암(115)이 연장된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형상이다. 또한, 상기 락킹 리브(111)의 상면 내측 단부에는 제1 경사면(1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경사면(113)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전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센터 힌지 암(11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면한 상태로부터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일단에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마주보게 형성된 한 쌍의 사이드 힌지 암(121)들을 구비한다.
상기 사이드 힌지 암(121)들은 각각 상기 센터 힌지 암(115)의 양 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센터 힌지 암(115)은 상기 사이드 힌지 암(121)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회전축(A)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2와 도 4를 더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100)에는 상기 사이드 힌지 암(121)들과 상기 센터 힌지 암(115)을 연결시키는 지지축(122)이 구비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지지축(122)은 상기 회전축(A)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사이드 힌지 암(121)들과 상기 센터 힌지 암(115)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게 된다.
도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102)의 단부에는 수용홈(12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과 대면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123)은 상기 락킹 리브(111)와 마주보게 위치된다. 상기 수용홈(123)의 개방된 단부에는 그 내측면으로 돌출된 후크(124)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적어도 일측 사이드 힌지 암(121) 내에는 제1 탄성 수단(104)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 제1 탄성 수단(104)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1 탄성 수단(104)은 상기 회전축(A) 상에,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지축(122)의 외주면 상에 권선되는 코일(141)과 상기 코일(14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제2 자유단(143, 145)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자유단(143)은 상기 사이드 힌지 암(121)의 외주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자유단(145)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내부로 연장되어 그 단부는 상기 수용홈(123) 상에 위치된다. 다만, 상기 제2 자유단(145)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사출물에 감싸진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123)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면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탄성 수단(104)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을 회동시키는 탄성력을 축적한 상태이며, 이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자유단(143)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외주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회동하는 동안 상기 제1 자유단(143)이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힌지 암(121) 상에는 그의 외주면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슬릿(129)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129)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회동 각도 범위만큼 형성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회동 각도 범위는 150도 내지 180도 범위에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탄성 수단(104)은 상기 센터 힌지 암(115)에 수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탄성 수단(104)의 코일(141)과 제1 자유단(143)이 상기 센터 힌지 암(115)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자유단(145)이 상기 센터 힌지 암(115)의 외주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 상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자유단(145)이 상기 제2 하우징(102)과 함께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센터 힌지 암(115)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 자유단(145)이 이동되는 슬릿이 형성됨이 바 람직하다.
상기 제3 하우징(103)은 그의 일단부(135)가 상기 수용홈(123)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 상에서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하우징(101)과 마주하는 면에 디스플레이 장치, 수화부 등 출력장치(미도시)들이 설치된다. 상기 제3 하우징(103)이 상기 제2 하우징(102) 상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3 하우징(103)은 상기 제2 하우징(102)과 함께 회동하여 상기 단말기(100)의 키패드, 디스플레이 장치, 송/수화부 등을 개폐시킨다.
상기 제3 하우징(103)의 일단부(135) 외주면에는 상기 제3 하우징(103)의 직선 왕복운동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134)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 수용홈(123)의 후크(124)는 상기 가이드 홈(134) 내에 위치되며, 상기 제3 하우징(103)이 직선 왕복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홈(134)은 상기 후크(124)의 안내를 받아 직선 왕복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3 하우징(103)이 직선 왕복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홈(134) 내에서 상기 후크(124)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홈(134)은 제한된 길이범위에 형성되어, 상기 제3 하우징(103)의 일단부(135)가 상기 수용홈(123) 내에 위치되면 그 직선 왕복운동 범위가 제한된다.
한편, 상기 후크(124)는 상기 수용홈(123)의 개방된 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124) 뿐만 아니라, 상기 수용홈(123)의 외주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수용홈(123)의 개방된 단부 내측벽에 돌출된 형상의 리브를 형성하고, 그와 상응하는 홈을 상기 제3 하우징(103)의 일단부 (135) 외주면 상에 형성시켜 상기 제3 하우징(103)의 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3 하우징(103)의 일단부(135)에는 회피홀(13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탄성 수단(104)의 제2 자유단(145)이 상기 회피홀(137)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홈(123) 내에서 상기 제3 하우징(103)의 일단부(135)가 직선 왕복운동하더라도, 상기 제3 하우징(103)의 일단부(135)와 상기 제2 자유단(145)이 간섭되지 않고 원활한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123) 내에는 제2 탄성 수단(149)이 설치된다. 상기 제2 탄성 수단(149)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3 하우징(103)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 수단(149)의 일단은 상기 수용홈(123)의 내벽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3 하우징(103)의 일단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탄성 수단(149)의 탄성력은 상기 제3 하우징(103)이 상기 수용홈(123)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수용홈(123) 내에서 상기 제2 탄성 수단(149)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3 하우징(103)의 일단부에는 스프링 축(13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 가이드 홈 및 제2 탄성 수단(124, 134, 149)의 구성을 살펴볼 때, 상기 제3 하우징(103)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다면, 상기 제2 탄성 수단(14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후크(124)는 상기 가이드 홈(134) 내에서 도 3에 도시된 위치에 고정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제3 하우징(103)이 외력에 의해 상기 수용홈(123) 내로 이동하면, 상기 제2 탄성 수단(149)에 축적되는 탄성력이 증가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3 하우징(103)은 상기 제2 탄성 수단(14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수용홈(123)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3 하우징(103)의 타단에는 락킹 돌기(131)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락킹 돌기(131)는 상기 제1 하우징(101)의 락킹 홈(112)과 상응하는 형상이다. 상기 제2 하우징(102) 및 제3 하우징(103)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전면에 대면한 상태로 밀착되었을 때, 상기 락킹 돌기(131)는 상기 락킹 홈(112)에 맞물려, 상기 제2 하우징(102) 및 제3 하우징(103)이 회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락킹 돌기(131)가 상기 제3 하우징(103)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된 길이는 상기 제3 하우징(103)의 직선 왕복운동 범위보다 작게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락킹 돌기(131)가 상기 락킹 홈(112)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3 하우징(103)이 직선이동하면 상기 락킹 돌기(131)는 상기 락킹 홈(112)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락킹 돌기(131)가 상기 락킹 홈(112)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하우징(102) 및 제3 하우징(103)의 회동을 제한하는 수단이 없으므로, 상기 제1 탄성 수단(10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102) 및 제3 하우징(103)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게 위치된 제2 하우징(102) 및 제3 하우징(103)을 다시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면한 상태로 밀착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제2 또는 제3 하우징(102, 103)을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락킹 돌기(131)의 하단에는 상기 제1 경사면(113)에 상응하는 제2 경사면(133)이 형성되어 상기 락킹 돌기(131)가 상기 락킹 리브(111)의 상단에 접촉되면 상기 제3 하우징(103)이 상기 수용홈(123) 내로 위치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락킹 돌기(131)가 상기 락킹 리브(111)의 상단에 접촉되는 것은 상기 제1 경사면(113)과 제2 경사면(133)이 접촉되는 것이며, 사용자가 상기 제2 또는 제3 하우징(102, 103)을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계속 회동시키면, 상기 제2 경사면(133)이 상기 제1 경사면(133)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3 하우징(103)을 직선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3 하우징(103)의 일단부(135)가 상기 수용홈(123)에 충분히 수용되고, 상기 제2 및 제3 하우징(102, 103)이 회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완전히 밀착되면, 상기 락킹 돌기(131)는 상기 락킹 홈(112)과 대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탄성 수단(14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3 하우징(103)이 상기 수용홈(123)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락킹 돌기(131)가 상기 락킹 홈(112)에 다시 맞물리게 된다.
상기 락킹 돌기(131)가 상기 락킹 홈(112)과 맞물림에 따라, 상기 제1 탄성 수단(104)의 회전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2 하우징(102) 및 제3 하우징(103)은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면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200)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선행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참조번호는 선행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게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200)는 제1 하우징(101), 상기 제1 하우징(10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102), 상기 제2 하우징(102)에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3 하우징(103)을 구비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에는 소정 깊이로 함몰된 락킹 홈(211)이 형성된다. 상기 락킹 홈(211)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에서 일부분이 폐쇄된 형상이며, 또한 상기 제3 하우징(103)의 직선이동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형상이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에는 상기 락킹 홈(211)과 연결되는 제1 경사면(2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 하우징(103)은 상기 제1 하우징(101)과 대면하는 면에 형성된 락킹 후크(231)를 구비한다. 상기 락킹 후크(231)는 상기 제3 하우징(103)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그 단부는 상기 제3 하우징(103)의 직선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이다. 또한, 상기 락킹 후크(231)의 단부에는 상기 제1 경사면(213)과 상응하는 제2 경사면(23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면한 상태로 밀착되면, 상기 락킹 후크(231)가 상기 락킹 홈(211)에 맞물려 상기 제2 하우징(102) 및 제3 하우징(103)의 회동을 제한한다. 또한, 상기 제3 하우징(103)이 직선이동함에 따라 상기 락킹 후크(231)가 상기 락킹 홈(211)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제1 탄성 수단(10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102) 및 제3 하우징(103)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하우징(102) 및 제3 하우징(103)이 다시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제1 경사면(213)과 제2 경사면(233)이 접촉된다. 상기 제1 경사면(213)과 제2 경사면(233)이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2 하우징(102) 및 제3 하우징(103)을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제1 경사면(213)을 따라 상기 제2 경사면(233)이 이동하면서 상기 제3 하우징(103)은 상기 수용홈(123) 내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3 하우징(103)이 상기 수용홈(123) 내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락킹 후크(231)는 상기 락킹 홈(211)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락킹 후크(231)가 상기 락킹 홈(211) 내에 위치되면 상기 락킹 후크(231)의 단부가 상기 락킹 홈(211) 내에 맞물려 상기 제2 하우징(102) 및 제3 하우징(103)의 회동을 제한하게 된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300)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선행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참조번호는 선행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게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300)는 제1 하우징(101), 상기 제1 하우징(10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102), 상기 제2 하우징(102)에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3 하우징(103)을 구비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의 제2 하우징(102)과 제3 하우징(103)이 제1 하우징(101)에 대면한 상태에서 회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300)는 가이드 리브(311)와 가이드 돌기(331)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리브(311)는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그의 단부는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과 대면하게 절곡되고, 상기 제3 하우징(103)의 직선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이다.
상기 가이드 돌기(331)는 상기 제3 하우징(103)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그의 단부는 상기 제3 하우징(103)과 대면하게 절곡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311)와 가이드 돌기(331)는 상기 제2 하우징(102) 및 제3 하우징(103)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면한 상태에서 서로 맞물려 상기 제2 하우징(102) 및 제3 하우징(103)의 회동을 제한하고, 상기 제3 하우징(103)이 직선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기 가이드 돌기(331)는 상기 가이드 리브(311)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 및 제3 하우징(103)이 회동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리브(311)의 단부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측단을 향해 절곡된 형상이면, 상기 가이드 돌기(331)의 단부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의 내측을 향해 절곡된 형상이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가이드 리브(311)의 단부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내측을 향해 절곡된 형상이면, 상기 가이드 돌기(331)의 단부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측단을 향해 절곡된 형상이어야 한다.
상기 가이드 리브(311)와 가이드 돌기(331)에는 각각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과 제3 하우징(103)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밀착되는 방향으 로 회동하는 때 상기 제3 하우징(103)을 직선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선행 실시 예들을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휴대용 단말기(300)가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해 유동하는 경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았는데도 상기 제3 하우징(103)은 상기 제2 하우징(102) 상에서 직선이동하여 상기 단말기(300)가 개방될 수 있다.
제품의 신뢰성 등을 고려할 때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상기 제3 하우징(103)이 유동하는 것을 제한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상기 제3 하우징(10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 수단(149)의 탄성력에 따라 제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기 제3 하우징(103)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한 쌍의 스토퍼 돌기(319, 339)들을 구비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3 하우징(103)이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는 제1 스토퍼 돌기(319)가 형성되고, 상기 제3 하우징(103) 상에는 제2 스토퍼 돌기(33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 및 제3 하우징(103)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331)는 상기 가이드 리브(311)와 맞물리고, 상기 제1 스토퍼 돌기(319)와 제2 스토퍼 돌기(339)는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제3 하우징(103)이 직선이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3 스토퍼 돌기(339)가 상기 제1 스토퍼 돌기(319)를 지나쳐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3 하우징(103)에 충분한 외력이 가해지기 전까지 상기 제3 하우징(103)이 직선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제2 스토퍼 돌기(319, 339)의 구성은 선행 실시 예들에도 적용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제2 스토퍼 돌기(319, 339)는 상기 가이드 리브(311), 가이드 돌기(331)에 인접하게 설치된 구성이나, 상기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2) 및 제3 하우징(103)이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제3 하우징(103)의 직선 이동을 제한하는 조건만 만족한다면, 상기 제1 스토퍼 돌기(319)와 제2 스토퍼 돌기(339)의 설치 위치는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제2 스토퍼 돌기(319, 339)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300)의 제1, 제2 및 제3 하우징(101, 102, 103)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제2 스토퍼 돌기(319, 339)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상기 제1 하우징(101)과 제3 하우징(103) 상에 출몰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3 하우징(103)이 상기 제2 하우징(102) 상에서 직선 왕복운동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 또는 제3 하우징(101, 103)에 압축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 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스토퍼 돌기(319, 339)가 출몰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스토퍼 돌기(319)만이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를 예로 들면, 상기 가이드 리브(311)와 가이드 돌기(331)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3 하우징(103)이 직선이동할 때 상기 제2 스토퍼 돌기(339)는 상기 제1 스토퍼 돌기(319)를 밀면서 지나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스토퍼 돌기(319)는 상기 제1 하우징(101) 내로 후퇴하여 상기 제2 스토퍼 돌기(339)가 원활하게 지나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 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는 제3 하우징과 제1 하우징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제3 하우징을 직선이동시켜 락킹을 해제시키는 것 만으로 단말기를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더욱이, 제3 하우징이 직선이동하여 락킹이 해제되면 제2 하우징이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단말기가 개방되므로, 사용자가 단말기를 개방시키는 동작은 종래의 폴더형 또는 슬라이딩형 단말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또한, 휴대 상태, 즉 통화 대기 모드에서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입출력 장치들이 폐쇄되어 긁힘 등의 손상이 발생할 위험을 줄이게 되었다.

Claims (19)

  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대면한 상태로부터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을 회동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과 맞물려 상기 제2 하우징의 회동을 제한하고, 상기 제2 하우징 상에서 직선운동함에 따라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수단은,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축 상에 권선되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로부터 연장되고 그의 단부는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고정되는 제1 자유단; 및
    상기 코일부로부터 연장되고 그의 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고정되는 제 2 자유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단에 제공되는 센터 힌지 암;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단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 힌지 암들을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힌지 암들 사이에 상기 센터 힌지 암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수단은,
    상기 사이드 힌지 암들 중 적어도 일측의 사이드 힌지 암 내에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수단은,
    상기 사이드 힌지 암들 중 적어도 일측의 사이드 힌지 암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축 상에 권선되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로부터 연장되고 그의 단부는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고정되는 제 1 자유단; 및
    상기 코일부로부터 연장되고 그의 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제2 자유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힌지 암의 외주면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릿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자유단은 상기 슬릿 내에서 상기 사이드 힌지 암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수단은,
    상기 센터 힌지 암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축 상에 권선되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로부터 연장되고 그의 단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제1 자유단; 및
    상기 코일부로부터 연장되고 그의 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고정되는 제2 자유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3 하우징의 일단이 수용되는 수용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하우징의 일단이 상기 수용홈 내에서 직선 왕복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 내에 수용되고, 일단이 상기 수용홈의 내벽에, 타단이 상기 제3 하우징의 일단부에 각각 지지되는 제2 탄성 수단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수단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나란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수단은 상기 제3 하우징이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개방된 단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 및
    상기 제3 하우징의 외주면 상에 상기 제3 하우징의 직선 왕복운동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후크와 맞물리는 가이드 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후크와 가이드 홈에 의해 상기 제3 하우징의 운동 범위가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형성되는 락킹 홈; 및
    상기 제3 하우징 상에 형성되는 락킹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락킹 돌기가 상기 락킹 홈에 맞물리고, 상기 제3 하우징이 직선이동함에 따라 상기 락킹 돌기가 상기 락킹 홈으로부터 이탈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단부 전면에 돌출 형성되고 그의 일면에 상기 락킹 홈이 형성되는 락킹 리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락킹 돌기는 상기 제3 하우징의 타단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리브의 상면 내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락킹 돌기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경사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때, 상기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이 서로 맞닿아 상기 제3 하우징을 직선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 홈; 및
    상기 제3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3 하우징의 직선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락킹 후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락킹 후크가 상기 락킹 홈에 맞물리고, 상기 제3 하우징이 직선이동함에 따라 상기 락킹 후크가 상기 락킹 홈으로부터 이탈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락킹 홈과 연결되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락킹 후크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경사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때, 상기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이 서로 맞닿아 상기 제3 하우징을 직선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그의 단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과 대면하고, 상기 제3 하우징의 직선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리브; 및
    상기 제3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그의 단부는 상기 제3 하우징과 대면하는 가이드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리브에 맞물려 상기 제2 하우징의 회동을 제한하고, 상기 제3 하우징이 직선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가이드 리브로부터 이탈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스토퍼 돌기와, 상기 제3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토퍼 돌기와 상응하는 제3 스토퍼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하고,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과 맞물려 상기 제2 하우징의 회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토퍼 돌기와 제3 스토퍼 돌기가 서로 맞닿아 상기 제3 하우징의 직선이동을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20050002903A 2005-01-12 2005-01-12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651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903A KR100651471B1 (ko) 2005-01-12 2005-01-12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US11/330,753 US7450978B2 (en) 2005-01-12 2006-01-12 Sliding/folding-type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903A KR100651471B1 (ko) 2005-01-12 2005-01-12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523A true KR20060082523A (ko) 2006-07-19
KR100651471B1 KR100651471B1 (ko) 2006-11-29

Family

ID=36816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903A KR100651471B1 (ko) 2005-01-12 2005-01-12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50978B2 (ko)
KR (1) KR1006514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843B1 (ko) * 2005-09-29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8927B2 (en) * 2001-07-10 2013-10-01 Xatra Fund Mx, Llc Biometric registration for facilitating an RF transaction
JP2006266453A (ja) * 2005-03-25 2006-10-05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機器
KR100678200B1 (ko) * 2005-06-30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 장치
KR100833241B1 (ko) * 2006-04-28 2008-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틸트장치 및 이를 채용한 모바일 기기
CN101548528A (zh) * 2006-12-11 2009-09-30 诺基亚公司 电子设备
KR20090042646A (ko) * 2007-10-26 2009-04-30 주식회사 피앤텔 폭 방향으로 휘어진 휴대형 전자기기와 이를 위한 슬라이드모듈 및 그 부품
KR101474754B1 (ko) * 2008-01-30 2014-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정보 단말기
TWI332816B (en) 2008-07-25 2010-11-01 Htc Corp Electronic device
US8090421B2 (en) * 2008-10-03 2012-01-0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Bi-stable sliding assembly
US8126520B2 (en) * 2008-12-22 2012-02-2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with sliding housing parts
US8437814B2 (en) * 2010-02-10 2013-05-07 Sony Corporation Slide opening/closing device, method of restricting sliding movement of slide member, electronic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device
KR20120013703A (ko) * 2010-08-06 2012-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US11320869B2 (en) * 2020-07-29 2022-05-03 Apple Inc. Hinged keyboard accessory having multiple installation modes for a tablet computing device
CN113501072A (zh) * 2021-07-26 2021-10-15 浙江波速尔运动器械有限公司 一种折叠机构以及应用其的折叠滑板车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7615A (en) * 1992-12-02 1999-05-25 Motorola, Inc. Miniatur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6681125B1 (en) * 1999-04-08 2004-01-20 Jong-Myung Woo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EP1307805A4 (en) * 2000-08-09 2009-03-11 Si Han Kim BO TIER FOR PORTABLE DISPLAY DEVICE
US6975889B2 (en) * 2002-05-30 2005-12-13 Quanta Computer Inc. Cover-ejecting mechanism for a communication unit
JP2004040710A (ja) * 2002-07-08 2004-0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開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電話機器
TW534574U (en) * 2002-09-18 2003-05-21 Benq Corp House assembly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4292795B2 (ja) * 2002-12-13 2009-07-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端末
DE60314597T2 (de) * 2003-04-29 2008-03-0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ustauschbarer Bezug für einen Funkkommunikationsterminal
CN100418337C (zh) * 2003-05-06 2008-09-10 三星电子株式会社 具有改进的输入数据能力的便携式通信装置
US7529571B2 (en) * 2003-09-03 2009-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hinge apparatus for sliding/rotating type mobile terminals
US20060003708A1 (en) * 2004-06-30 2006-01-05 Joni Jantti Slide able keypad
KR20060010333A (ko) 2004-07-28 2006-02-0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이동 통신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843B1 (ko) * 2005-09-29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83369A1 (en) 2006-08-17
US7450978B2 (en) 2008-11-11
KR100651471B1 (ko)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471B1 (ko)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490356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KR10068951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US7866000B2 (en) Swing hinge apparatus of portable terminal
KR1006514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US20080274776A1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20020056993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모듈
US7334296B2 (en) Hinge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8208244B2 (en) Til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547740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KR20110012203A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8094444B2 (en) Sliding 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899741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20060133276A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105871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1059221B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1277958B1 (ko) 홀더를 구비하는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200411625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64037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298355B1 (ko) 플립형 휴대폰의 힌지 장치
KR20050109643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107564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성 카메라 모듈
KR100678038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81561B1 (ko) 슬라이딩 및 회전이 가능한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
KR101042784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