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2066A - 진공 건조기 - Google Patents

진공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2066A
KR20060082066A KR1020060055255A KR20060055255A KR20060082066A KR 20060082066 A KR20060082066 A KR 20060082066A KR 1020060055255 A KR1020060055255 A KR 1020060055255A KR 20060055255 A KR20060055255 A KR 20060055255A KR 20060082066 A KR20060082066 A KR 20060082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inlet
drying chamber
unit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5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수복
Original Assignee
유수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수복 filed Critical 유수복
Priority to KR1020060055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2066A/ko
Publication of KR20060082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14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 A23B4/16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5Preserving by heating
    • A23B7/01Preserving by heat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05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by contact of the material with fluids, e.g. drying gas or extracting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4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23B7/148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in a controlled atmosphere, e.g. partial vacuum, comprising only CO2, N2, O2 or H2O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멸치 및 고추등의 각종 농,수산물을 진공상태에서 열을 가하여 건조함으로써 오랫동안 유통,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반(12)이 다단으로 형성된 건조실(1)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고, 열을 가하여 건조실(1) 내부의 농,수산물을 건조하는 진공 건조기에 있어서,
선반(12)의 하부에는 원적외선방사판(14)이 형성되고, 진공기(15)의 내부에는 횡방향으로 유입부(20)와 배출부(22)가 형성되되, 흡입부(21)와 연통되고 유입부(20)와 배출부(22)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의 모세통로(23)가 유입부(20)와 배출부(22)을 연결하도록 진공기(15)가 구성되며,
워터펌프(16)와 연결된 워터분사파이프(17)는 진공기(15)의 유입부(20)와 연결되고, 건조실(1)의 내부와 연통된 흡입파이프(18)는 진공기(15)의 흡입부(21)와 연결되며, 배출파이프(19)는 진공기(15)의 배출부(22)와 연결됨으로써,
워터펌프(16)에 의해 진공기(15)의 유입부(20)로 고압분사되는 물이 진공기(15)의 모세통로(23)로 분사되면서 건조실(1) 내부의 수분과 공기를 물과 함께 진공기(15)의 배출부(22)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진공, 건조기, 진공기

Description

진공 건조기 {A vacuum drying machine}
도 1은 종래의 진공 건조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 건조기의 진공기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조실
2 : 히터
3 : 건조대
4 : 파이프
5,9 : 개폐밸브
6 : 제1냉각실
7 : 제2냉각실
8 : 냉각파이프
10 : 진공펌프
11 : 도어
12 : 선반
13 : 건조판
14 : 원적외선방사판
15 : 진공기
16 : 워터펌프
17 : 워터분사파이프
18 : 흡입파이프
19 : 배출파이프
20 : 유입부
21 : 흡입부
22 : 배출부
23 : 모세통로
본 발명은 멸치 및 고추등의 각종 농,수산물을 진공상태에서 열을 가하여 건조함으로써 오랫동안 유통,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멸치 및 고추등의 각종 농,수산물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가공식품 및 농,수산물을 진공상태에서 열을 가함으로써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한다.
종래의 진공 건조기는 건조실의 각종 가공식품 및 농,수산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위하여 도 1에서와 같이 건조실(1)에서 히터(2)로 열을 가하여 농,수산물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건조실(1)과 연결된 파이프(4)를 통하여 건조실(1) 내부의 공기를 진공펌프(10)로 흡입하였다.
이때, 진공펌프(10)로 흡입하는 건조실(1) 내부의 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 1에서와 같이 제1냉각실(6)과 제2냉각실(7)를 구성하였다.
제2냉각실(7)의 개폐밸브(5)(9)를 닫고 진공펌프(10)를 작동하면 농,수산물에서 증발된 수분과 함께 건조실(1)의 공기가 파이프(4)를 통하여 제1냉각실(6)의 내부로 유입되고, 제1냉각실(6)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수분은 차가운 냉매가 흐르는 냉각파이프(8)에 의해 수분이 냉각파이프(8)에 응축되어서 수분이 제거되며,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진공펌프(10)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제1냉각실(6)에 어느 정도 물이 고이면 제1냉각실(6)의 개폐밸브(5)(9)를 닫고, 제2냉각실(7)의 개폐밸브(5)(9)를 열어서 건조실(1)의 공기가 제2냉각실(7)로 유입되면서 수분이 제거되도록 하며, 제1냉각실(6)의 고인 물을 외부로 배출하고 냉각파이프(8)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하는 작업을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진공 건조기는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설치비가 많이 들고, 수시로 제1냉각실(6)과 제2냉각실(7)을 교대로 작동시켜 저장된 물과 성에를 제거하는 작업을 하여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진공 건조기의 구성이 간단하여서 제작비와 설치비가 적게 소요면서도 건조실의 공기로부터 제거된 수분과 성에를 제거하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없는 진공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반(12)이 다단으로 형성된 건조실(1)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고, 열을 가하여 건조실(1) 내부의 농,수산물을 건조하는 진공 건조기에 있어서,
선반(12)의 하부에는 원적외선방사판(14)이 설치되고, 진공기(15)의 내부에는 횡방향으로 유입부(20)와 배출부(22)가 형성되되, 흡입부(21)와 연통되고 유입부(20)와 배출부(22)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의 모세통로(23)가 유입부(20)와 배출부(22)을 연결하도록 진공기(15)가 구성되며,
워터펌프(16)와 연결된 워터분사파이프(17)는 진공기(15)의 유입부(20)와 연결되고, 건조실(1)의 내부와 연통된 흡입파이프(18)는 진공기(15)의 흡입부(21)와 연결되며, 배출파이프(19)는 진공기(15)의 배출부(22)와 연결됨으로써,
워터펌프(16)에 의해 진공기(15)의 유입부(20)로 고압분사되는 물이 진공기(15)의 모세통로(23)로 분사되면서 건조실(1) 내부의 수분과 공기를 물과 함께 진공기(15)의 배출부(22)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건조실(1), 진공기(15) 및 워터펌프(16)로 구성된다.
건조실(1)은 도 2에서와 같이 여닫을 수 있는 도어(11)가 건조실(1)의 전면에 형성되고, 건조실(1)의 내부에는 다단의 선반(12)이 형성되며, 건조실(1)의 내부 상면과 각 선반(12)의 하부에는 원적외선방사판(14)이 설치된다.
상기 건조실(1)은 진공기(15)와 흡입파이프(18)로 연결되고, 진공기(15)는 워터분사파이프(17)를 통하여 워터펌프(16)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진공 건조기의 작동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종 농,수산물을 건조판(13)에 담아서 건조실(1)의 각 선반(12)에 놓고 도어(11)를 닫아서 건조실(1)을 밀폐한다.
진공 건조기에 전원을 인가하면 도 4에서와 같이 농,수산물이 담겨진 건조판(13)의 상부에 형성된 원적외선방사판(14)에서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농,수산물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된다.
종래에는 전열선으로 구성된 단순한 히터(2)로 열을 가하여 수분을 증발시켰으나, 이러한 전열선에 의한 히터(2)는 농,수산물의 표면에만 뜨거운 열을 가하기 때문에 농,수산물의 색상이 변질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수분을 효과적으로 증발시키지 못하며, 전기를 많이 소비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농,수산물에 원적외선을 방사하면 원적외선이 농,수산물의 깊숙한 곳 까지 가열하여 수분을 효과적으로 증발시키고, 건조물의 색상이 변질되지 않으며, 전기를 적게 소비하는 장점이 있다.
건조실(1)의 내부에서 원적외선에 의하여 농,수산물의 수분이 증발되는 동안에 워터펌프(16)가 작동하여 워터분사파이프(17)를 통해 고압의 물을 진공기(15)로 분사한다.
워터펌프(16)에 의해 진공기(15)의 내부로 분사되는 고압의 물에 의하여 건조실(1) 내부의 수분과 공기가 흡입파이프(18)를 통해 배출파이프(19)로 배출되면서 건조실(1)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는 것이다.
워터펌프(16)에 의하여 진공기(15)로 고압,분사되는 물에 의해 건조실(1) 내부의 수분과 공기가 배출파이프(19)로 배출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도 3은 진공기(15)의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워터펌프(16)와 연결된 워터분사파이프(17)는 진공기(15)의 유입부(20)와 연결되고, 건조실(1)과 연결된 흡입파이프(18)는 진공기(15)의 흡입부(21)와 연결되며, 배출파이프(19)는 진공기(15)의 배출부(22)와 연결된다.
도 3의 진공기(15)는 유체가 유속이 빠른 부분에서 압력이 낮아진다는 베르누이의 정리(Bernoulli's Theorem)를 이용한 벤추리관(Venturi tube)의 형태로서,
진공기(15)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유입부(20)와 배출부(22)가 형성되되, 유입부(20)와 배출부(22)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의 모세통로(23)가 유입부(20)와 배출부(22)를 연결하고, 상기 유입부(20)와 배출부(22)를 연결한 모세통로(23)에 흡입 부(21)가 연통되어 구성된 것이다.
워터펌프(16)에서 진공기(15)의 유입부(20)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면 고압의 물이 유입부(20)를 지나 내경이 작은 모세통로(23)를 지나면서 유속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고 모세통로(23)에서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흡입부(21)와 연결된 건조실(1)의 공기와 수분이 흡입부(21)로 흡입되어 건조실(1)이 진공상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진공기(15)에 의해 건조실(1) 내부의 수분과 공기가 흡입되고, 동시에 원적외선방사판(14)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하여 건조실 내부의 농,수산물이 건조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 요지는 선반(12)이 다단으로 형성된 건조실(1)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고, 열을 가하여 건조실(1) 내부의 농,수산물을 건조하는 진공 건조기에 있어서,
선반(12)의 하부에는 원적외선방사판(14)이 설치되고, 진공기(15)의 내부에는 횡방향으로 유입부(20)와 배출부(22)가 형성되되, 흡입부(21)와 연통되고 유입부(20)와 배출부(22)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의 모세통로(23)가 유입부(20)와 배출부(22)을 연결하도록 진공기(15)가 구성되며,
워터펌프(16)와 연결된 워터분사파이프(17)는 진공기(15)의 유입부(20)와 연결되고, 건조실(1)의 내부와 연통된 흡입파이프(18)는 진공기(15)의 흡입부(21)와 연결되며, 배출파이프(19)는 진공기(15)의 배출부(22)와 연결됨으로써,
워터펌프(16)에 의해 진공기(15)의 유입부(20)로 고압분사되는 물이 진공 기(15)의 모세통로(23)로 분사되면서 건조실(1) 내부의 수분과 공기를 물과 함께 진공기(15)의 배출부(22)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공 건조기는 원전외선방사판(14)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으로 농,수산물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농,수산물 깊숙히 원적외선이 침투하여서 골고루 건조되고, 색상이 변질되지 않으며, 전기료가 매우 절감된다.
특히, 농,수산물에서 증발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별도의 냉각실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 및 설치비용과 설치공간이 적게 소요되면서도 농,수산물을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발명이다.

Claims (1)

  1. 선반(12)이 다단으로 형성된 건조실(1)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고, 열을 가하여 건조실(1) 내부의 농,수산물을 건조하는 진공 건조기에 있어서,
    선반(12)의 하부에는 원적외선방사판(14)이 설치되고,
    진공기(15)의 내부에는 횡방향으로 유입부(20)와 배출부(22)가 형성되되, 흡입부(21)와 연통되고 유입부(20)와 배출부(22)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의 모세통로(23)가 유입부(20)와 배출부(22)을 연결하도록 진공기(15)가 구성되며,
    워터펌프(16)와 연결된 워터분사파이프(17)는 진공기(15)의 유입부(20)와 연결되고, 건조실(1)의 내부와 연통된 흡입파이프(18)는 진공기(15)의 흡입부(21)와 연결되며, 배출파이프(19)는 진공기(15)의 배출부(22)와 연결됨으로써,
    워터펌프(16)에 의해 진공기(15)의 유입부(20)로 고압분사되는 물이 진공기(15)의 모세통로(23)로 분사되면서 건조실(1) 내부의 수분과 공기를 물과 함께 진공기(15)의 배출부(22)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건조기.
KR1020060055255A 2006-06-20 2006-06-20 진공 건조기 KR20060082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255A KR20060082066A (ko) 2006-06-20 2006-06-20 진공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255A KR20060082066A (ko) 2006-06-20 2006-06-20 진공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066A true KR20060082066A (ko) 2006-07-14

Family

ID=37172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255A KR20060082066A (ko) 2006-06-20 2006-06-20 진공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206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888B1 (ko) * 2007-05-11 2007-12-17 강승연 건조기의 건조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조기
KR100886218B1 (ko) * 2007-03-09 2009-02-27 이민하 고추세척 건조장치
KR20160002278U (ko) 2016-05-19 2016-06-30 (주)영림에너지 농수축산물용 건조장치
KR102389852B1 (ko) * 2021-02-04 2022-04-21 한동석 진동타입 진공 건조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218B1 (ko) * 2007-03-09 2009-02-27 이민하 고추세척 건조장치
KR100785888B1 (ko) * 2007-05-11 2007-12-17 강승연 건조기의 건조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조기
KR20160002278U (ko) 2016-05-19 2016-06-30 (주)영림에너지 농수축산물용 건조장치
KR102389852B1 (ko) * 2021-02-04 2022-04-21 한동석 진동타입 진공 건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739B1 (ko) 덕트리스 건조기
CN206923996U (zh) 一种蒸汽烤箱的散热结构
US8857071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heat exchanger cleaning device
EP3129541B1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CN101657140B (zh) 用于洗碗机的干燥系统
US10928131B2 (en) Dryer and method of drying
KR101792513B1 (ko) Fan module과 PTC Heater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가열순환 건조모듈
US9872598B2 (en) Drying system for a dishwasher
EP2576888B1 (en) A thermoelectric heat pump laundry dryer
US20160022115A1 (en) Dishwasher with air system
KR20060082066A (ko) 진공 건조기
US20140360534A1 (en) Washing appliance with improved air handling system
WO2022194185A1 (zh) 衣物护理设备
CN102071563A (zh) 衣物烘干设备
KR20020047870A (ko) 식기세척기의 증기배출장치
KR102541159B1 (ko) 식기세척기
CN105091509A (zh) 一种热泵真空干燥装置
KR102493164B1 (ko) 식기세척기
CN105316918A (zh) 一种衣物干燥装置及烘干系统
US11666200B2 (en) Diverter valve assembly, dishwasher, and household appliance
CN105133269A (zh) 一种衣物干燥装置及烘干系统
CN208404457U (zh) 水槽式清洗机
CN107334435B (zh) 水冷干燥式清洗机
CN108209805A (zh) 水槽式清洗机
CN109864684B (zh) 具有底部水槽风干功能的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