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1720A -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1720A
KR20060081720A KR1020067008536A KR20067008536A KR20060081720A KR 20060081720 A KR20060081720 A KR 20060081720A KR 1020067008536 A KR1020067008536 A KR 1020067008536A KR 20067008536 A KR20067008536 A KR 20067008536A KR 20060081720 A KR20060081720 A KR 20060081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speed
power supply
supply voltage
c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5182B1 (ko
Inventor
아키히로 치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08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18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1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전원 전압 감시 회로에 의해, 처리부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이 감시된다. 전압 감시 건전성 체크 기능 회로는 전원 전압 감시 회로에 입력되는 전원 전압을 강제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감시용 입력 전압 강제 변경 신호를 처리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출력한다. 또, 전압 감시 건전성 체크 기능 회로에는 전원 전압 감시 회로로부터의 전압 이상 검출 신호가 입력된다. 처리부는 전압 감시 건전성 체크 기능 회로에 보관된 데이터를 리드함으로써 전원 전압 감시 회로의 건전성 체크를 행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ELEVATOR CONTROLLER}
본 발명은 전원 전압을 감시하는 전원 전압 감시 회로를 갖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3-256992호 공보에 나타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에서는 도어 구동 전동기의 전원 전압이 전압 감시 회로에 의해 감시되고 있고, 전원 전압의 이상이 검출되면 강제 제동 수단에 의해 도어 구동 전동기가 제동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어 제어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감시 결과의 출력 신호가 정상을 나타내는 측에 고착되는 등, 전압 감시 회로 자체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 이 이상이 해소될 때까지 전압을 정상적으로 감시할 수 없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운전 제어 장치나 안전 장치 등,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중요한 부분에 종래의 감시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은 신뢰성의 측면에서 불충분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전원 전압의 감시에 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와, 처리부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감시하는 전원 전압 감시 회로와, 전원 전압 감시 회로에 입력되는 전원 전압을 강제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감시용 입력 전압 강제 변경 신호를 처리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동시에, 전원 전압 감시 회로로부터의 전압 이상 검출 신호가 입력되는 전압 감시 건전성(soundness) 체크 기능 회로를 구비하고, 전압 감시 건전성 체크 기능 회로는 처리부 및 전원 전압 감시 회로와의 신호의 송수신 내용 중 적어도 일부를 보관하고, 처리부는 전압 감시 건전성 체크 기능 회로에 보관된 데이터를 리드(read)함으로써 전원 전압 감시 회로의 건전성 체크를 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비상 정지 장치의 작동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도 4의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작동시의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도 6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12는 도 1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15는 도 7의 구동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의한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의한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파 단(破斷)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19는 도 18의 기억부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20은 도 18의 기억부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3은 도 22의 밧줄 정지 장치 및 각 로프 센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4는 도 23의 도시된 주로프가 파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7은 도 26의 엘리베이터 칸 및 도어 센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8은 도 27의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0은 도 29의 승강로 상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7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2는 도 31의 전압 감시 건전성 체크 기능 회로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3은 도 31의 전압 감시 건전성 체크 기능 회로를 제1 및 제2 CPU가 리드했을 때의 데이터베이스의 각 비트에 관한 데이터의 의미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4는 도 31의 제1 CPU측의 전원 전압 감시 건전성 체크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5는 도 31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CPU가 리셋되었을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안내되어서 승강로(1)내를 승강시킨다. 승강로(1)의 상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釣合)추(도시하지 않음)를 승강시키는 권상기(卷上機)(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권상기의 구동 쉬브(driving sheave)에는 주(主)로프(4)가 감겨 있다.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는 주로프(4)에 의하여 승강로(1)내에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3)에는 제동 수단인 한 쌍의 비상 정지 장치(5)가 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레일(2)에 대향하여 탑재되어 있다. 각 비상 정지 장치(5)는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은 각 비상 정지 장치(5)의 작동에 의하여 제동된다.
또, 승강로(1)의 상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인 조속기(調速機)(6)가 배치되어 있다. 조속기(6)는 조속기 본체(7)와, 조속기 본체(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조속기 쉬브(8)를 갖고 있다. 승강로(1)의 하단부에는 회전 가능한 텐션 풀리(張車, tension pulley)(9)가 배치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8)와 텐션 풀리(9)와의 사이에는 엘리베이터 칸(3)에 연결된 가바너 로프(10)가 감겨 있다.
가바너 로프(10)의 엘리베이터 칸(3)과의 연결부는 엘리베이터 칸(3)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된다. 이로 인해, 조속기 쉬브(8) 및 텐션 풀리(9)는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 속도에 대응한 속도로 회전된다.
조속기(6)는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과속도로 되었을 때에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게 되어 있다. 또, 조속기(6)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강하 속도가 제1 과속도보다 고속인 제2 과속도(설정 과속도)로 되었을 때에 비상 정지 장치(5)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인 스위치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부(11)는 회전하는 조속기 쉬브(8)의 원심력에 따라 변위되는 과속 레버(lever)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개폐되는 접점부(16)를 갖고 있다. 접점부(16)는 정전시에도 급전 가능한 무정전 전원 장치인 배터리(12), 및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반(制御盤)(13)에, 각각 전원 케이블(14) 및 접속 케이블(15)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과 제어반(13)과의 사이에는 제어 케이블(이동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다. 제어 케이블에는 복수의 전력선이나 신호선과 함께, 제어반(13)과 각 비상 정지 장치(5)와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비상 정지용 배선(17)이 포함되어 있다. 배터리(12)로부터의 전력은 접점부(16)의 폐극(閉極)에 의하여, 전원 케이블(14), 스위치부(11), 접속 케이블(15), 제어반(13)내의 전력 공급 회로 및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해서 각 비상 정지 장치(5)에 공급된다. 또한, 전송 수단은 접속 케이블(15), 제어반(13)내의 전력 공급 회로 및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갖고 있다.
도 2는 도 1의 비상 정지 장치(5)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작동시의 비상 정지 장치(5)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는 지지 부재(18)가 고정되어 있다. 비상 정지 장치(5)는 지지 부재(18)에 지지되어 있다. 또, 각 비상 정지 장치(5)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接離) 가능한 한 쌍의 제동 부재인 쐐기(楔, wedge)(19)와 쐐기(19)에 연결되고,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하여 쐐기(19)를 변위시키는 한 쌍의 액추에이터(actuator)부(20)와, 지지 부재(18)에 고정되며, 액추에이 터부(20)에 의하여 변위되는 쐐기(19)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부(21)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쐐기(19), 한 쌍의 액추에이터부(20) 및 한 쌍의 안내부(21)는 각각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의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안내부(21)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의 간격이 윗쪽에서 작아지도록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레일(2)에 대하여 경사된 경사면(22)을 갖고 있다. 쐐기(19)는 경사면(22)에 따라서 변위된다. 액추에이터부(20)는 쐐기(19)를 윗쪽의 안내부(21)측에 가압(付勢)하는 가압부인 스프링(23)과, 통전에 의한 전자력(電磁力)에 의하여 스프링(23)의 가압에 저항하여 안내부(21)로부터 멀어지도록 쐐기(19)를 아래쪽으로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24)을 갖고 있다.
스프링(23)은 지지 부재(18)와 쐐기(19)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전자 마그넷(24)은 지지 부재(18)에 고정되어 있다. 비상 정지용 배선(17)은 전자 마그넷(24)에 접속되어 있다. 쐐기(19)에는 전자 마그넷(24)에 대향하는 영구 자석(25)이 고정되어 있다. 전자 마그넷(24)에의 통전은 접점부(16)(도 1 참조)의 폐극에 의하여 배터리(12)(도 1 참조)로 이루어진다. 접점부(16)(도 1 참조)의 개극(開極)에 의하여 전자 마그넷(24)에의 통전이 차단됨으로써 비상 정지 장치(5)가 작동된다. 즉, 한 쌍의 쐐기(19)는 스프링(2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하여 윗쪽으로 변위되어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가압(押付)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접점부(16)는 폐극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전자 마그넷(24)에는 배터리(12)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있다. 쐐기(19)는 통전에 의한 전자력에 의하여 전자 마그넷(24)에 흡인되어서 유지되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開離)되어 있다(도 2).
예를 들면, 주로프(4)의 절단 등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상승하여 제1 과속도로 되면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한다.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후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과속도로 되면 접점부(16)가 개극된다. 이로 인해, 각 비상 정지 장치(5)의 전자 마그넷(24)에의 통전은 차단되고, 쐐기(19)는 스프링(23)의 가압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하여 윗쪽으로 변위된다. 이 때, 쐐기(19)는 안내부(21)의 경사면(22)에 접촉하면서 품질 경사면(22)을 따라서 변위된다. 이 변위에 의하여, 쐐기(19)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여 가압된다. 쐐기(19)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의 접촉에 의하여, 더욱 윗쪽으로 변위되어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안내부(21)와의 사이에 들어간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쐐기(19)와의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하여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도 3).
엘리베이터 칸(3)의 제동을 해제할 때에는 접점부(16)의 폐극에 의하여 전자 마그넷(24)에 통전한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을 상승시킨다. 이로 인해, 쐐기(19)는 아래쪽으로 변위되어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배터리(12)에 접속된 스위치부(11)와 각 비상 정지 장치(5)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조속기(6)에서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을 전기적인 작동 신호로서 스위치부(11)로부터 각 비상 정지 장치(5)에 전송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이 검출되고 나서 단시간에 엘리베이터 칸(3)을 제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 칸(3)의 제동 거리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비상 정지 장치(5)를 용이하게 동기 작동시킬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을 안정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또, 비상 정지 장치(5)는 전기적인 작동 신호에 의해 작동되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흔들림 등에 의한 오작동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비상 정지 장치(5)는 쐐기(19)를 윗쪽의 안내부(21)측으로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부(20)와, 윗쪽으로 변위되는 쐐기(19)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면(22)을 포함하는 안내부(21)를 갖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이 하강하고 있을 때, 쐐기(19)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가압력을 확실하게 증대시킬 수 있다.
또, 액추에이터부(20)는 쐐기(19)를 윗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23)과, 스프링(23)의 가압에 저항하여 쐐기(19)를 아래쪽으로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24)을 갖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쐐기(19)를 변위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3)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 본체(27)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28)를 갖고 있다. 승강로(1)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반(13)내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출력부(32)가 탑재되어 있다. 출력부(32)에는 배터리(12)가 전원 케이블(14)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32)로부터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전력이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에 공급된다. 출력부(32)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가 입력된다.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3)을 제동하는 제동 수단인 한 쌍의 비상 정지 장치(33)가 탑재되어 있다. 출력부(32)와 각 비상 정지 장치(33)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32)로부터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과속도일 때 작동용 전력인 작동 신호가 비상 정지 장치(33)에 출력된다. 비상 정지 장치(33)는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하여 작동된다.
도 5는 도 4의 비상 정지 장치(33)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작동시의 비상 정지 장치(33)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비상 정지 장치(33)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제동 부재인 쐐기(34)와, 쐐기(34)의 하부에 연결된 액추에이터부(35)와, 쐐기(34)의 윗쪽에 배치되며, 엘리베이터 칸(3)에 고정된 안내부(36)를 갖고 있다.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35)는 안내부(36)에 대하여 상하로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쐐기(34)는 안내부(36)에 대한 윗쪽으로의 변위, 즉 안내부(36)측으로의 변위에 수반하여 안내부(36)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안내된다.
액추에이터부(35)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원기둥 형상의 접촉부(37)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접촉부(37)를 변위시키는 작동 기구(38)와, 접촉부(37) 및 작동 기구(38)를 지지하는 지지부(39)를 갖고 있다. 접촉부(37)는 작동 기구(38)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위할 수 있도록 쐐기(34)보다 가볍게 되어 있다. 작동 기구(38)는 접촉부(37)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시키고 있는 접촉 위치와 접촉부(37)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되어 있는 개리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 변위 가능한 가동부(40)와, 가동부(40)를 변위시키는 구동부(41)를 갖고 있다.
지지부(39) 및 가동부(40)에는 지지 안내구멍(42) 및 가동 안내구멍(4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지지 안내구멍(42) 및 가동 안내구멍(43)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경사 각도는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접촉부(37)는 지지 안내구멍(42) 및 가동 안내구멍(43)에 접동(摺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접촉부(37)는 가동부(40)의 왕복 변위에 수반하여 가동 안내구멍(43)이 접동되고, 지지 안내구멍(42)의 긴쪽 방향을 따라서 변위된다. 이로 인해, 접촉부(3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적정한 각도로 접촉 및 분리된다. 엘리베이터 칸(3)의 하강시에 접촉부(3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면,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35)는 제동되어서 안내부(36)측으로 변위된다.
지지부(39)의 상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뻗은 수평 안내구멍(47)이 설치되어 있다. 쐐기(34)는 수평 안내구멍(47)에 접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쐐 기(34)는 지지부(39)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왕복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안내부(36)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 경사면(44) 및 접촉면(45)을 갖고 있다. 경사면(44)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의 간격이 윗쪽에서 작아지도록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경사되어 있다. 접촉면(45)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35)의 안내부(36)에 대한 윗쪽으로의 변위에 수반하여 쐐기(34)는 경사면(44)을 따라서 변위된다. 이로 인해, 쐐기(34) 및 접촉면(45)은 서로 가까워지도록 변위되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쐐기(34) 및 접촉면(45)에 의하여 끼워져 붙여진다.
도 7은 도 6의 구동부(41)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구동부(41)는 가동부(40)에 장착된 가압부인 디스크(皿) 스프링(46)과, 통전에 의한 전자력에 의하여 가동부(40)를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48)을 갖고 있다.
가동부(40)는 디스크 스프링(46)의 중앙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디스크 스프링(46)는 가동부(40)의 왕복 변위에 의하여 변형된다. 디스크 스프링(46)의 가압의 방향은 가동부(40)의 변위에 의한 변형에 의하여, 가동부(40)의 접촉 위치(실선)와 개리 위치(2점 파선)와의 사이에서 반전되게 되어 있다. 가동부(40)는 디스크 스프링(46)의 가압에 의하여, 접촉 위치 및 개리 위치에 각각 유지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접촉부(37)의 접촉 상태 및 개리 상태는 디스크 스프링(46)의 가압에 의하여 유지된다.
전자 마그넷(48)은 가동부(40)에 고정된 제1 전자부(49)와, 제1 전자부(49) 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전자부(50)를 갖고 있다. 가동부(40)는 제2 전자부(50)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자 마그넷(48)에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이 접속되어 있다. 제1 전자부(49) 및 제2 전자부(50)는 전자 마그넷(48)으로의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하여 전자력을 발생하여 서로 반발된다. 즉, 제1 전자부(49)는 전자 마그넷(48)에의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하여, 가동부(40)와 함께 제2 전자부(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또한, 출력부(32)는 비상 정지 기구(5)의 작동 후의 복귀를 위한 복귀 신호를 복귀시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제1 전자부(49) 및 제2 전자부(50)는 전자 마그넷(48)으로의 복귀 신호의 입력에 의하여 서로 흡인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가동부(40)는 개리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접촉부(37)는 디스크 스프링(46)의 가압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되어 있다. 접촉부(3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된 상태에서 쐐기(34)는 안내부(36)와의 간격이 유지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와 검출된 속도가 제1 과속도로 되면,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한다. 이 후에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상승하여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에서 검출된 속도가 제2 과속도로 되면, 작동 신호가 출력부(32)에서부터 각 비상 정지 장치(33)로 출력된다. 작동 신호의 전자 마그넷(48)으로의 입력에 의하여, 제1 전자부(49) 및 제2 전자부(50)는 서로 반발된다. 이 전 자 반발력에 의하여, 가동부(40)는 접촉 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접촉부(3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가동부(40)가 접촉 위치에 이르기까지 디스크 스프링(46)의 가압의 방향은 접촉 위치에서 가동부(40)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반전한다. 이로 인해, 접촉부(3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여 가압되어서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35)가 제동된다.
엘리베이터 칸(3) 및 안내부(36)는 제동되지 않고 하강하므로, 안내부(36)는 아래쪽의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35)측으로 변위된다. 이 변위에 의하여, 쐐기(34)는 경사면(44)을 따라서 안내되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쐐기(34) 및 접촉면(45)에 의하여 끼워져 붙여진다. 쐐기(34)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의 접촉에 의하여, 더욱 윗쪽으로 변위되어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경사면(44)과의 사이에 들어간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쐐기(34)와의 사이 및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과 접촉면(45)와의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하여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
복귀시에는 출력부(32)로부터 복귀 신호가 전자 마그넷(48)에 전송된다. 이로 인해, 제1 전자부(49) 및 제2 전자부(50)는 서로 흡인되고, 가동부(40)는 개리 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접촉부(37)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개리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가동부(40)가 개리 위치에 이르기까지 디스크 스프링(46)의 가압의 방향은 반전하여 가동부(40)는 개리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3)이 상승되고, 쐐기(34) 및 접촉면(45)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가압은 해제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형상의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가 승강로(1)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속기 및 가바너 로프를 이용할 필요가 없게 되고,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액추에이터부(35)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한 접촉부(37)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접촉부(37)를 변위시키는 작동 기구(38)를 갖고 있으므로, 접촉부(37)의 중량을 쐐기(34)보다 가볍게 함으로써, 작동 기구(38)의 접촉부(37)에 대한 구동력을 작게 할 수 있고, 작동 기구(38)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37)를 경량으로 함으로써, 접촉부(37)의 변위 속도도 크게 할 수 있고, 제동력을 발생하기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 구동부(41)는 가동부(40)를 접촉 위치 및 개리 위치에서 유지하는 디스크 스프링(46)과, 통전에 의하여 가동부(40)를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48)을 갖고 있으므로, 가동부(40)의 변위시에만 전자 마그넷(48)에의 통전으로 가동부(40)를 접촉 위치 또는 개리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검출 수단인 도어 개폐 센서(58)가 설치 되어 있다. 도어 개폐 센서(58)에는 제어반(13)에 탑재된 출력부(59)가 제어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 출력부(59)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도어 개폐 센서(58)로부터의 개폐 검출 신호는 출력부(59)에 입력된다. 출력부(59)에서는 속도 검출 신호 및 개폐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개폐 상태가 파악된다.
출력부(59)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비상 정지 장치(33)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59)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도어 개폐 센서(58)로부터의 개폐 검출 신호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열린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했을 때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작동 신호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과하여 비상 정지 장치(33)에 전송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와,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개폐 센서(58)가 출력부(5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열린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3)이 하강했을 때에, 작동 신호가 출력부(59)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33)에 출력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열린 상태에서의 엘리베이터 칸(3)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상 정지 장치(33)를 상하 반대로 한 것을 다시 엘리베이터 칸(3)에 장착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열린 상태에서의 엘 리베이터 칸(3)의 상승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주로프(4)에는 주로프(4)의 절단을 검출하는 로프 조각 검출 수단인 절단 검출 도선(61)이 삽통(揷通)되어 있다. 절단 검출 도선(61)에는 미약한 전류가 흐르고 있다. 주로프(4)의 절단의 유무는 미약 전류의 통전의 유무에 의하여 검출된다. 절단 검출 도선(61)에는 제어반(13)에 탑재된 출력부(62)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절단 검출 도선(61)이 절단되면, 절단 검출 도선(61)의 통전의 차단 신호인 로프 절단 신호가 출력부(62)에 입력된다. 출력부(62)에는 또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62)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비상 정지 장치(33)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62)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절단 검출 도선(61)으로부터의 로프 절단 신호에 의하여, 주로프(4)의 절단시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작동 신호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과하여 비상 정지 장치(33)에 전송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와, 주로프(4)의 절단을 검출하는 절단 검출 도선(61)이 출력부(6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주로프(4)의 절단시에 작동 신호가 출력부(62)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33)에 출력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검출 및 주로프(4)의 절단의 검출에 의하여 이상 속도로 하강하는 엘리베이터 칸(3)을 더욱 확실하게 제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로프 조각 검출 수단으로서 주로프(4)에 삽통된 절단 검출 도선(61)의 통전의 유무를 검출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주로프(4)의 텐션(tension)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 주로프(4)의 로프 정지에 텐션 측정기가 설치된다.
실시 형태 5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내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인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65)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65) 및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는 제어반(13)에 탑재된 출력부(6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66)는 통상 운전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속도, 가감 속도 및 정지계(停止階)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패턴이 기억된 메모리부(67)를 갖고 있다. 출력부(66)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65)로부터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신호가 입력된다.
출력부(66)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비상 정지 장치(33)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부(66)에서는 속도 검출 신호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신호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위치(실측값)와, 메모리부(67)에 기억된 제어 패턴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위치(설정값)가 비교되도록 되어 있다. 출력부(66)는 실측값과 설정값과의 편차가 소정의 문턱값을 초과하였을 때에 작동 신호를 비 상 정지 장치(33)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소정의 문턱값이란 엘리베이터 칸(3)이 통상의 제동에 의하여 승강로(1)의 단부에 충돌하는 일 없이 정지하기 위한 최저한의 실측값과 설정값과의 편차이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레베이터 장치에서 출력부(66)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31)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65)로부터의 실측값과 제어 패턴의 설정값과의 편차가 소정의 문턱값을 초과할 때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로(1)의 단부에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6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내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인 위 엘리베이터 칸(71)과, 위 엘리베이터 칸(7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 엘리베이터 칸인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이 배치되어 있다. 위 엘리베이터 칸(71)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안내되어서 승강로(1)내를 승강시킨다. 승강로(1)내의 상단부에는 위 엘리베이터 칸(71) 및 위 엘리베이터 칸용 균형추(도시하지 않음)를 승강시키는 제1 권상기(도시하지 않음)와, 아래 엘리베이터 칸(72)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균형추(도시하지 않음)를 승강시키는 제2 권상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권상기의 구동 쉬브에는 제1 주로프(도시하지 않음)가 제2 권상기의 구동 쉬브에는 제2 주로프(도시하지 않음)가 각각 감겨 있다. 위 엘리베이터 칸(71) 및 위 엘리베이터 칸용 균형추는 제1 주로프에 의하여 매달려 있고, 아래 엘리베이터 칸(72)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균형추는 제2 주로 프에 의하여 매달려 있다.
승강로(1)내에는 위 엘리베이터 칸(71)의 속도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인 위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73)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7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1)내에는 위 엘리베이터 칸(71)의 위치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의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수단인 위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75)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7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은 위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73), 아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74), 위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75)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76)를 갖고 있다.
위 엘리베이터 칸(71)의 하부에는 실시 형태 2에 이용되는 비상 정지 장치(33)와 동일한 구성의 제동 수단인 위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가 탑재되어 있다.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의 하부에는 위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와 동일한 구성의 제동 수단인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가 탑재되어 있다.
제어반(13)내에는 출력부(79)가 탑재되어 있다. 출력부(79)에는 위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73), 아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74), 위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75)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7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출력부(79)에는 배터리(12)가 전원 케이블(14)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위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73)로부터의 위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신호, 아래 엘리베이 터 칸 속도 센서(74)로부터의 아래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신호, 위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75)로부터의 위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신호,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76)로부터의 아래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신호는 출력부(79)에 입력된다. 즉, 출력부(79)에는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가 입력된다.
출력부(79)는 비상 정지용 배선(17)을 통하여 위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접속되어 있다. 또, 출력부(79)는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하여, 위 엘리베이터 칸(71) 또는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의 승강로(1)의 단부로의 충돌의 유무, 및 위 엘리베이터 칸(71)과 아래 엘리베이터 칸(72)과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고,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작동 신호를 위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위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는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하여 작동된다.
또한, 감시부는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과 출력부(79)를 갖고 있다. 위 엘리베이터 칸(71)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의 주행 상태는 감시부에 의하여 감시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출력부(79)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의 출력부(79)에의 입력에 의하여, 위 엘리베이터 칸(71) 또는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의 승강로(1)의 단부로의 충돌의 유무, 및 위 엘리베 이터 칸(71)과 아래 엘리베이터 칸(72)과의 충돌의 유무가 예측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71)을 매달고 있는 제1 주로프의 절단에 의하여 위 엘리베이터 칸(71)과 아래 엘리베이터 칸(72)과의 충돌이 출력부(79)에서 예측되었을 때, 출력부(79)로부터 위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로 인해, 위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가 작동되어서 위 엘리베이터 칸(71)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이 제동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시부가 동일 승강로(1)내를 승강하는 위 엘리베이터 칸(71)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의 각각의 실제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과,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하여 위 엘리베이터 칸(71)과 아래 엘리베이터 칸(72)과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고,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작동 신호를 위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출력하는 출력부(79)를 갖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71)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의 각각의 속도가 설정 과속도에 도달하고 있지 않아도, 위 엘리베이터 칸(71)과 아래 엘리베이터 칸(72)과의 충돌이 예측될 때는 위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를 작동시킬 수 있고, 위 엘리베이터 칸(71)과 아래 엘리베이터 칸(72)과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이 위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73), 아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74), 위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75) 및 위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76)를 갖고 있으므로, 위 엘리베이터 칸(71)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의 각각의 실제 움직임을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출력부(79)는 제어반(13)내에 탑재되어 있으나, 위 엘리베이터 칸(71)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의 각각에 출력부(79)를 탑재해도 된다. 이 경우,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73), 아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74), 위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75)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76)는 위 엘리베이터 칸(71)에 탑재된 출력부(79),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에 탑재된 출력부(79)의 양쪽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 출력부(79)는 위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의 양쪽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지만, 엘리베이터 칸 동작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정보로 따라서 위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 중 하나에만 작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출력부(79)에서는 엘리베이터 칸(71)과 아래 엘리베이터 칸(72)과의 충돌의 유무가 예측되는 동시에, 위 엘리베이터 칸(71)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72) 각각의 움직임의 이상의 유무도 판단된다. 작동 신호는 위 엘리베이터 칸(71)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72) 중 비정상인 움직임을 하는 쪽에 탑재되된 비상 정지 장치에만 출력부(79)로부터 출력된다.
실시 형태 7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71)에는 출력부인 위 엘리베이터 칸용 출력부(81)가 탑재되고,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에는 출력부인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출력부(82)가 탑재되어 있다. 위 엘리베이터 칸용 출력부(81)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73), 위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75)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7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출력부(82)에는 아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74), 아래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76) 및 위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75)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위 엘리베이터 칸용 출력부(81)는 위 엘리베이터 칸(71)에 설치된 전송 수단인 위 엘리베이터 칸 비상 정지용 배선(83)을 통하여 위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위 엘리베이터 칸용 출력부(81)는 위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73), 위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75)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76)로부터의 각각의 정보(이하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위 엘리베이터 칸용 검출 정보」라고 함)에 의하여, 위 엘리베이터 칸(71)의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고,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위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위 엘리베이터 칸용 출력부(81)는 위 엘리베이터 칸용 검출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에,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이 통상 운전시의 최대 속도로 위 엘리베이터 칸(71)측에 주행하고 있다고 가정하여 위 엘리베이터 칸(71)의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도록 되어 있다.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출력부(82)는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에 설치된 전송 수단인 아래 엘리베이터 칸 비상 정지용 배선(84)을 통하여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출력부(82)는 아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74), 아래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76) 및 위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75)로부터의 각각의 정보(이하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검출 정보」라고 함)에 의하여,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의 위 엘리베이터 칸(71)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고,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출력부(82)는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검출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에, 위 엘리베이터 칸(71)이 통상 운전시의 최대 속도로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측에 주행하고 있다고 가정하여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의 위 엘리베이터 칸(71)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도록 되어 있다.
위 엘리베이터 칸(71)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은 통상시에는 위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가 작동하지 않도록 서로 충분한 간격을 두어서 운전이 제어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6과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위 엘리베이터 칸(71)을 매달고 있는 제1 주로프의 절단에 의하여 위 엘리베이터 칸(71)이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측으로 낙하하고, 위 엘리베이터 칸(71)이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에 가까워지면, 위 엘리베이터 칸용 출력부(81)에서는 위 엘리베이터 칸(71)과 아래 엘리베이터 칸(72)과의 충돌이 예측되고,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출력부(82)에서는 위 엘리베이터 칸(71)과 아래 엘리베이터 칸(72)과의 충돌이 예측된다. 이로 인해, 위 엘리베 이터 칸용 출력부(81)에서부터는 위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로,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출력부(82)에서부터는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로 작동 신호가 각각 출력된다. 이로 인해, 위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가 작동되고, 위 엘리베이터 칸(71)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이 제동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실시 형태 6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위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73)가 위 엘리베이터 칸용 출력부(81)에만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아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74)가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출력부(82)에만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위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73)와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출력부(82)와의 사이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74)와 위 엘리베이터 칸용 출력부(81)와의 사이에 전기 배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고, 전기 배선의 설치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실시 형태 8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위 엘리베이터 칸(71) 및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에는 위 엘리베이터 칸(71)과 아래 엘리베이터 칸(72)과의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사이 거리 검출 수단인 엘리베이터 칸 사이 거리 센서(91)가 탑재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사이 거리 센서(91)는 위 엘리베이터 칸(71)에 탑재된 레이저 조사부와,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에 탑재된 반사부를 갖고 있다. 위 엘리베이터 칸(71)과 아래 엘리베이터 칸(72)과의 사이의 거리는 레이저 조사부와 반 사부와의 사이의 레이저광의 왕복 시간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칸 사이 거리 센서(91)로 구해진다.
위 엘리베이터 칸용 출력부(81)에는 위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73), 아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74), 위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75) 및 엘리베이터 칸 사이 거리 센서(9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출력부(82)에는 위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73), 아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74), 아래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76) 및 엘리베이터 칸 사이 거리 센서(9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위 엘리베이터 칸용 출력부(81)는 위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73), 아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74),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75) 및 엘리베이터 칸 사이 거리 센서(91)로부터의 각각의 정보(이하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위 엘리베이터 칸용 검출 정보」라고 함)에 의하여, 위 엘리베이터 칸(71)의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고,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위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7)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출력부(82)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73), 아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74), 아래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76) 및 엘리베이터 칸 사이 거리 센서(91)로부터의 각각의 정보(이하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검출 정보」라고 함)에 의하여, 아래 엘리베이터 칸(72)의 위 엘리베이터 칸(71)에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고, 충돌이 예측되었을 때에 아래 엘리베이터 칸용 비상 정지 장치(78)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7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출력부(79)가 엘리베이터 칸 사이 거리 센서(91)로부터의 정보에 의하여 위 엘리베이터 칸(71)과 아래 엘리베이터 칸(72)과의 충돌의 유무를 예측하게 되어 있으므로, 위 엘리베이터 칸(71)과 아래 엘리베이터 칸(72)과의 충돌의 유무의 예측을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6 내지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실시 형태 3의 도어 개폐 센서(58)를 적용하여 출력부에 개폐 검출 신호가 입력되도록 해도 되고, 실시 형태 4의 절단 검출 도선(61)을 적용하여 출력부에 로프 절단 신호가 입력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 2 내지 8에서 구동부는 제1 전자부(49) 및 제2 전자부(50)의 전자 반발력 또는 전자 흡인력을 이용하여 구동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도전성의 반발판에 발생하는 과전류를 이용하여 구동되도록 되어도 된다. 이 경우,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마그넷(48)에는 작동 신호로서 펄스 전류가 공급되어서 가동부(40)에 고정된 반발판(51)에 발생하는 과전류와 전자 마그넷(48)으로부터의 자계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가동부(40)가 변위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 2 내지 8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은 승강로(1)에 설치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어 있고,도 된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는 제어 케이블을 통하여 출력부에 전송된다.
실시 형태 9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의한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비상 정지 장치(155)는 쐐기(34)와, 쐐기(34)의 하부에 연결된 액추에이터부(156)와, 쐐기(34)의 위쪽에 배치되며 엘리베이터 칸(3)에 고정된 안내부(36)를 갖고 있다. 액추에이터부(156)는 안내부(36)에 대하여 쐐기(34)와 함께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액추에이터부(156)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접촉부(157)와, 각 접촉부(157)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링크 부재(158a, 158b)와, 각 접촉부(15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한 쪽의 링크 부재(158a)를 다른 쪽의 링크 부재(158b)에 대하여 변위시키는 작동 기구(159)와, 각 접촉부(157), 각 링크 부재(158a, 158b) 및 작동 기구(159)를 지지하는 지지부(160)를 갖고 있다. 지지부(160)에는 쐐기(34)를 통과한 수평축(170)이 고정되어 있다. 쐐기(34)는 수평 방향으로 수평축(170)에 대하여 왕복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링크 부재(158a, 158b)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의 부분에서 서로 교차되어 있다. 또, 지지부(160)에는 각 링크 부재(158a, 158b)의 서로 교차된 부분에서 각 링크 부재(158a, 158b)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부재(16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 쪽의 링크 부재(158a)는 다른 쪽의 링크 부재(158b)에 대하여 연결부(16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접촉부(157)는 링크 부재(158a, 158b)의 각 타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하는 방향으로 각각 변위 된다. 또 각 접촉부(157)는 링크 부재(158a, 158b)의 각 타단부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변위된다.
작동 기구(159)는 링크 부재(158a, 158b)의 각 타단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작동 기구(159)는 각 링크 부재(158a, 158b)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작동 기구(159)는 한 쪽의 링크 부재(158a)에 연결된 봉 형상의 가동부(162)와, 다른 쪽의 링크 부재(158b)에 고정되며 가동부(162)를 왕복 변위시키는 구동부(163)를 갖고 있다. 작동 기구(159)는 각 링크 부재(158a, 158b)와 함께, 연결 부재(16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부(162)는 구동부(163)내에 수용된 가동 철심(164)과, 가동 철심(164)과 링크 부재(158a)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봉(165)을 갖고 있다. 또, 가동부(162)는 각 접촉부(15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와, 각 접촉부(157)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되는 개리 위치의 사이에서 왕복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동부(163)는 가동 철심(164)의 변위를 규제하는 한 쌍의 규제부(166a, 166b)와 각 규제부(166a, 166b)를 서로 연결하는 측벽부(166c)를 포함하며 가동 철심(164)을 둘러싸는 고정 철심(166)과, 고정 철심(166)내에 수용되며 통전에 의해 한 쪽의 규제부(166a)에 접하는 방향으로 가동 철심(164)을 변위시키는 제1 코일(167)과, 고정 철심(166)내에 수용되고 통전에 의해 다른 쪽의 규제부(166b)에 접하는 방향으로 가동 철심(164)을 변위시키는 제2 코일(168)과, 제1 코일(167) 및 제2 코일(168)의 사이에 배치된 고리 형상의 영구 자석(169)을 갖고 있다.
한 쪽의 규제부(166a)는 가동부(162)가 개리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 철심(164)이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다른 쪽의 규제부(166b)는 가동부(162)가 접촉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 철심(164)이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코일(167) 및 제2 코일(168)은 가동부(162)를 둘러싸는 고리 형상의 전자 코일이다. 또, 제1 코일(167)은 영구 자석(169)과 한 쪽의 규제부(166a)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코일(168)은 영구 자석(169)과 다른 쪽의 규제부(166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 철심(164)이 한 쪽의 규제부(166a)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자기 저항으로 되는 공간이 가동 철심(164)과 다른 쪽의 규제부(166b)와의 사이에 존재하므로, 영구 자석(169)의 자속량은 제2 코일(168)측보다 제1 코일(167)측에서 많아지며, 가동 철심(164)은 한 쪽의 규제부(166a)에 접촉된 채로 유지된다.
또, 가동 철심(164)이 다른 쪽의 규제부(166b)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자기저항으로 되는 공간이 가동 철심(164)과 한 쪽의 규제부(166a)의 사이에 존재하므로, 영구 자석(169)의 자속량은 제1 코일(167)측보다 제2 코일(168)측에서 많아지며, 가동 철심(164)은 다른 쪽의 규제부(166b)에 접촉된 채로 유지된다.
제2 코일(168)에는 출력부(32)로부터의 작동 신호인 전력이 입력되게 되어 있다. 또, 제2 코일(168)은 한 쪽의 규제부(166a)에의 가동 철심(164)의 접촉을 유지하는 힘에 대항하는 자속을 작동 신호의 입력에 의해 발생하게 되어 있다. 또, 제1 코일(167)에는 출력부(32)로부터의 복귀 신호인 전력이 입력되게 되어 있다. 또, 제1 코일(167)은 다른 쪽의 규제부(166b)에의 가동 철심(164)의 접촉을 유지하는 힘에 대항하는 자속을 복귀 신호의 입력에 의해 발생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가동부(162)는 개리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동 철심(164)은 영구 자석(169)에 의한 유지력으로 한 쪽의 규제부(166a)에 접촉되어 있다. 가동 철심(164)이 한 쪽의 규제부(166a)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쐐기(34)는 안내부(36)와의 간격이 유지되고 있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로부터 개리되어 있다.
이 후, 실시 형태 2와 동일하게 작동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각 비상 정지 장치(155)에 출력됨으로써, 제2 코일(168)에 통전된다. 이로 인해, 제2 코일(168)의 주위에 자속이 발생하며, 가동 철심(164)은 다른 쪽의 규제부(166b)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되고, 개리 위치로부터 접촉 위치로 변위된다. 이 때, 각 접촉부(157)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위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접촉한다. 이로 인해,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155)는 제동된다.
이 후, 안내부(36)는 하강을 계속하며, 쐐기(34) 및 액추에이터부(155)에 가까워진다. 이로 인해, 쐐기(34)는 경사면(44)을 따라 안내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은 쐐기(34) 및 접촉면(45)에 의해 사이에 끼워진다. 이 후, 실시 형태 2와 동일하게 동작하여,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
복귀시에는 복귀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제1 코일(167)에 전송된다. 이로 인해, 제1 코일(167)의 주위에 자속이 발생하여, 가동 철심(164)이 접촉 위치로부 터 개리 위치로 변위된다. 이 후, 실시 형태 2와 동일하게 하여, 쐐기(34) 및 접촉면(45)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에 대한 가압이 해제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작동 기구(159)가 각 링크 부재(158a, 158b)를 통하여 한 쌍의 접촉부(157)를 변위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한 쌍의 접촉부(157)를 변위시키기 위한 작동 기구(159)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실시 형태 10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의한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비상 정지 장치(175)는 쐐기(34)와, 쐐기(34)의 하부에 연결된 액추에이터부(176)와, 쐐기(34)의 위쪽에 배치되며 엘리베이터 칸(3)에 고정된 안내부(36)를 갖고 있다.
액추에이터부(176)는 실시 형태 9와 동일한 구성으로 된 작동 기구(159)와, 작동 기구(159)의 가동부(162)의 변위에 의해 변위되는 링크 부재(177)를 갖고 있다.
작동 기구(159)는 가동부(162)가 엘리베이터 칸(3)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왕복 변위되도록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링크 부재(177)는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축(18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고정축(180)은 작동 기구(159)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링크 부재(177)는 고정축(180)을 기점으로 각각 다른 방향으로 뻗은 제1 링크부(178) 및 제2 링크부(179)를 갖고 있으며, 링크 부재(177)의 전체 형상으로서 는 대략 へ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제2 링크부(179)는 제1 링크부(178)에 고정되어 있고, 제1 링크부(178) 및 제2 링크부(179)는 고정축(180)을 중심으로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링크부(178)의 길이는 제2 링크부(179)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또, 제1 링크부(178)의 선단부에는 긴 구멍(182)이 설치되어 있다. 쐐기(34)의 하부에는 긴 구멍(18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통과된 슬라이드 핀(183)이 고정되어 있다. 즉, 제1 링크부(178)의 선단부에는 쐐기(34)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2 링크부(179)의 선단부에는 가동부(162)의 선단부가 연결 핀(181)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링크 부재(177)는 쐐기(34)를 안내부(36)의 아래쪽에서 개리시키고 있는 개리 위치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안내부(36)의 사이에 쐐기(34)를 파고 들게 하고 있는 작동 위치 사이에서 왕복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부(162)는 링크 부재(177)가 개리 위치에 있을 때 구동부(163)로부터 돌출되며, 링크 부재(177)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구동부(163)로 후퇴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에는 링크 부재(177)는 가동부(162)의 구동부(163)로의 후퇴에 의해 개리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 쐐기(34)는 안내부(36)와의 간격이 유지되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로부터 개리되어 있다.
이 후, 실시 형태 2와 동일하게, 작동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각 비상 정지 장치(175)에 출력되고 가동부(162)가 전진된다. 이로 인해, 링크 부재(177)는 고정축(180)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작동 위치로 변위된다. 이로 인해, 쐐기(34)는 안내부(36) 및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며, 안내부(36)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사이에 파고 들어간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 칸(3)은 제동된다.
복귀시에는 복귀 신호가 출력부(32)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175)에 전송되며, 가동부(162)가 후퇴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을 상승시켜서, 안내부(36)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사이에 쐐기(34)가 파고든 것을 해제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도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실시 형태 11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내의 상부에는 구동 장치인 권상기(101)와, 권상기(10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반(102)이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101)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 본체(103)와, 복수 개의 주로프(4)가 감겨지고 구동 장치 본체(103)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104)를 갖고 있다. 권상기(101)에는 각 주로프(4)가 감겨진 디플렉터(deflector) 쉬브(105)와, 엘리베이터 칸(3)을 감속시키기 위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 수단인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감속용 제동 장치)(106)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107)는 각 주로프(4)에 의해 승강로(1)내에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107)는 권상기(101)의 구동에 의해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비상 정지 장치(33),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제어반(102)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상시 감시하는 감시 장치(10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감시 장치(108)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부인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와,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검출부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와,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검출부인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는 승강로(1)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12)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를 갖고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이동에 추종하여 회전하는 회전체의 회전량을 계측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검출하는 인코더, 직선적인 움직임의 변위량을 측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검출하는 리니어 인코더, 또는 예를 들면 승강로(1)내에 설치된 투광기 및 수광기와, 엘리베이터 칸(3)에 설치된 반사판을 갖고 있으며, 투광기의 투광으로부터 수광기의 수광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검출하는 광학식의 변위 측정기 등을 들 수 있다.
감시 장치(108)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되는 복수 종(본 예에서는 2종)의 이상 판단 기준(설정 데이터)이 미리 기억된 기억부 (메모리부)(113)와, 검출 수단(112) 및 기억부(113)의 각각의 정보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유무를 검출하는 출력부(연산부)(114)를 갖고 있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대한 이상 판단 기준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에 대한 이상 판단 기준인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이 기억부(113)에 기억되어 있다.
도 19는 도 18의 기억부(113)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내에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 구간(한 쪽의 종단층(終端階)과 다른 쪽의 종단층 사이의 구간)에는 한 쪽 및 다른 쪽의 종단층 근방에서 엘리베이터 칸(3)이 가감속되는 가감속 구간과, 각 가감속 구간의 사이에 엘리베이터 칸(3)이 일정 속도로 이동하는 정속 구간이 설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3단계의 검출 패턴이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통상 운전시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인 통상 속도 검출 패턴(통상 레벨)(115)과,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보다 큰 값으로 된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제1 이상 레벨)(116)과,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제2 이상 레벨)(117)이 각각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은 정속 구간에서는 일정값으로 되도록, 가감속 구간에서는 종단층 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작아지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 또,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과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과의 차,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과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과의 차는 승강 구간의 모든 위치에서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
도 20은 도 18의 기억부(113)에 기억된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3단계의 검출 패턴이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통상 운전시의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인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통상 레벨)(118)과,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보다 큰 값으로 된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제1 이상 레벨)(119)과,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제2 이상 레벨)(120)이 각각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 및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20)은 정속 구간에서는 제로 값으로 되도록, 한 쪽의 가감속 구간에서는 정(正)의 값으로 되도록, 다른 쪽의 가감속 구간에서는 부(負)의 값으로 되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 또,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과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과의 차, 및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20)과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과의 차는 승강 구간의 모든 위치에서 대략 일정하게 되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다.
즉, 기억부(113)에는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 턴(116)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이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으로서 기억되고,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 및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20)이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으로서 기억되어 있다.
출력부(114)에는 비상 정지 장치(33), 제어반(102),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검출 수단(112) 및 기억부(113)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출력부(114)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가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가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로부터의 가속도 검출 신호가 각각 경시적으로 계속하여 입력된다. 출력부(114)에서는 위치 검출 신호의 입력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가 산출되며, 또 속도 검출 신호 및 가속도 검출 신호의 각각의 입력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복수 종(본 예에서는 2종)의 이상 판단 요소로서 각각 산출된다.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을 초과하였을 때, 또는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을 초과하였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에 작동 신호(트리거(trigger)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출력부(114)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과 동시에, 권상기(101)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신호를 제어반(102)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을 초과하였을 때, 또는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20)을 초과하였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즉,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의 이상의 정도에 따라,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동 수단을 결정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로부터의 가속도 검출 신호가 출력부(114)에 입력되면, 출력부(114)에서는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가 산출된다. 이 후, 출력부(114)에서는 기억부(113)로부터 각각 취득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근거하여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가 비교되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의 각각의 이상 유무가 검출된다.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통상 속도 검출 패턴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고,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므로, 출력부(1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 각각에 이상이 없는 것이 검출되고,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이 계속된다.
예를 들면, 어떠한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상승하여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을 초과한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이상이 있는 것이 출력부(114)에서 검출되어 작동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 치(106)에, 정지 신호가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된다. 이로 인해, 권상기(101)가 정지되는 동시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가 작동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비정상으로 상승하여 제1 이상 가속도 설정값(119)을 초과한 경우에도, 작동 신호 및 정지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되어서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이상 속도 설정값(117)을 초과한 경우에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는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로 인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되며,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
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이상 가속도 설정값(120)을 초과한 경우에도,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12)으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를 취득하고, 취득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 중 어느 하나의 이상을 판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 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므로, 감시 장치(108)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지를 보다 조기에 또한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라고 하는 복수 종의 이상 판단 요소의 이상의 유무가 감시 장치(108)에 의해 각각 별개로 판단되므로, 감시 장치(108)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지를 보다 조기에 또한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 감시 장치(108)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의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이 기억되어 있는 기억부(113)를 갖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 각각의 이상 유무의 판단 기준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설계 변경 등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과,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보다 큰 값으로 된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과,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이 설정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을 초과하였을 때에 감시 장치(108)로부터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 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을 초과하였을 때에 감시 장치(108)로부터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의 크기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3)을 단계적으로 제동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3)에 큰 충격을 주는 빈도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3)을 보다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과, 통상 가속도 검출 패턴(118)보다 큰 값으로 된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과,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20)이 설정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제1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119)을 초과하였을 때에 감시 장치(108)로부터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며,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20)을 초과하였을 때에 감시 장치(108)로부터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의 이상의 크기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3)을 단계적으로 제동할 수 있다. 통상,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이상이 발생하기 전에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3)에 큰 충격을 주는 빈도를 더욱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3)을 더욱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또,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은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의 각각을 엘리베이터 칸(3)의 승강 구간의 모든 위치에서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에 대응시켜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가감속 구간에서는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의 값이 작으므로,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 및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의 각각을 비교적 작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제동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충격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취득하도록 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가 사용되고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를 사용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에 의해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로부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도출해도 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에 의해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미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를 구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를 취득하도록 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가 사용되고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센서(111)를 사용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에 의해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로부터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를 도출해도 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에 의해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를 2회 미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의 가속도를 구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출력부(114)는 각 이상 판단 요소인 엘리베이터 칸(3) 의 속도 및 가속도의 이상의 정도에 따라,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동 수단을 결정하게 되어 있으나,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동 수단을 이상 판단 요소마다 미리 결정해 두어도 된다.
실시 형태 12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각 층의 승강장에는 복수의 승강장 호출 버튼(125)이 설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3)내에는 복수의 행선층 버튼(12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감시 장치(127)는 출력부(114)를 갖고 있다. 출력부(114)에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생성하는 이상 판단 기준 생성 장치(128)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상 판단 기준 생성 장치(128)는 각 승강장 호출 버튼(125) 및 각 행선층 버튼(126)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상 판단 기준 생성 장치(128)에는 출력부(114)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 위치 검출 신호가 입력되게 되어 있다.
이상 판단 기준 생성 장치(128)는 엘리베이터 칸(3)이 각 층의 사이를 승강하는 모든 경우에 대한 이상 판단 기준인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기억하는 기억부(메모리부)(129)와,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1개씩 기억부(129)로부터 선택하고, 선택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출력부(114)에 출력하는 생성 부(130)를 갖고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실시 형태 11의 도 19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같은 3단계의 검출 패턴이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 또, 각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에는 실시 형태 11의 도 20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같은 3단계의 검출 패턴이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
생성부(130)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검출 위치를 산출하며, 각 승강장 호출 버튼(125) 및 행선층 버튼(126)의 적어도 어느 한 쪽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목적 층을 산출하게 되어 있다. 또, 생성부(130)는 산출된 검출 위치 및 목적 층을 한 쪽 및 다른 쪽의 종단층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하나씩 선택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생성부(130)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 출력부(114)를 통하여 위치 검출 신호가 상시 입력되고 있다. 각 승강장 호출 버튼(125) 및 행선층 버튼(126) 중 어느 한 쪽이 예를 들면 승객 등에 의해 선택되고, 선택된 버튼으로부터 호출 신호가 생성부(130)에 입력되면, 생성부(130)에서는 위치 검출 신호 및 호출 신호의 입력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검출 위치 및 목적 층이 산출되며,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 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이 하나씩 선택된다. 이 후, 생성부(130)에서는 선택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이 출력부(114)에 출력된다.
출력부(114)에서는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게 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가속도의 각각의 이상 유무가 검출된다. 이 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9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이상 판단 기준 생성 장치가 승강장 호출 버튼(125) 및 행선층 버튼(12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판단 기준을 생성하게 되어 있으므로, 목적 층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생성할 수 있고, 다른 목적 층이 선택된 경우라도, 엘리베이터의 이상 발생시부터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기억부(129)에 기억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으로부터 생성부(130)가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엘리베이터 칸 가속도 이상 판단 기준을 하나씩 선택하게 되어 있으나, 제어반(102)에 의해 생성된 엘리베이터 칸(3)의 통상 속도 패턴 및 통상 가속도 패턴에 근거하여 이상 속도 검출 패턴 및 이상 가속도 검출 패턴을 각각 직접 생성해도 된다.
실시 형태 13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 예에서는 각 주로프(4)는 로프 고정 장치(131)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감시 장치(108)는 엘리베이터 칸(3)의 상부에 탑재되어 있다. 출력부(114)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와,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와, 로프 고정 장치(131)에 설치되고 각 주로프(4)의 파단의 유무를 각각 검출하는 로프 절단 검출부인 복수의 로프 센서(132)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검출 수단(112)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로프 센서(132)를 갖고 있다.
각 로프 센서(132)는 주로프(4)가 파단했을 때에 파단 검출 신호를 출력부(114)에 각각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 기억부(113)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11과 동일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주로프(4)에 대한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인 로프 이상 판단 기준이 기억되어 있다.
로프 이상 판단 기준에는 적어도 1개의 주로프(4)가 파단한 상태인 제1 이상 레벨과 모든 주로프(4)가 파단한 상태인 제2 이상 레벨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출력부(114)에서는 위치 검출 신호의 입력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가 산출되며, 또 속도 검출 신호 및 파단 신호의 각각의 입력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주로프(4)의 상태가 복수 종(본 예에서는 2종)의 이상 판단 요소로서 각각 산출된다.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초과하였을 때, 또는 적어도 1개의 주로프(4)가 파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 레이크 장치(104)에 작동 신호(트리거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도 19)을 초과하였을 때, 또는 모든 주로프(4)가 파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즉,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주로프(4)의 상태 각각의 이상의 정도에 따라,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동 수단을 결정하게 되어 있다.
도 23은 도 22의 로프 고정 장치(131) 및 각 로프 센서(132)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 도 24는 도 23의 1개의 주로프(4)가 파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로프 고정 장치(131)는 각 주로프(4)를 엘리베이터 칸(3)에 접속하는 복수의 로프 접속부(134)를 갖고 있다. 각 로프 접속부(134)는 주로프(4)와 엘리베이터 칸(3) 사이에 개재하는 탄성 스프링(133)을 갖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3)의 각 주로프(4)에 대한 위치는 각 탄성 스프링(133)의 신축에 의해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프 센서(132)는 각 로프 접속부(134)에 설치되어 있다. 각 로프 센서(132)는 탄성 스프링(133)의 신장량을 측정하는 변위 측정기이다. 각 로프 센서(132)는 탄성 스프링(133)의 신장량에 대응한 측정 신호를 출력부(14)에 상시 출력하고 있다. 출력부(114)에는 탄성 스프링(133)의 복원에 의한 신장량이 소정량에 이르렀을 때의 측정 신호가 파단 검출 신호로서 입력된다. 또한, 각 주로프(4)의 텐션을 직접 측정하는 저울 장치를 로프 센서로서 각 로프 접속부(134)에 설치해도 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각 로프 센서(131)로부터의 파단 검출 신호가 출력부(114)에 입력되면, 출력부(114)에서는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주로프(4)의 파단 개수가 산출된다. 이 후, 출력부(114)에서는 기억부(113)로부터 각각 취득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로프 이상 판단 기준과,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근거하여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주로프(4)의 파단 개수가 비교되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주로프(4)의 상태 각각의 이상의 유무가 검출된다.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통상 속도 검출 패턴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고, 주로프(4)의 파단 개수가 제로이므로, 출력부(1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주로프(4)의 상태 각각에 이상이 없는 것이 검출되며,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이 계속된다.
예를 들면, 어떠한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상승하여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초과한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이상이 있는 것이 출력부(114)에서 검출되어 작동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정지 신호가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된다. 이로 인해 권상기(101)가 정지되는 동시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가 작동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
또, 적어도 1개의 주로프(4)가 파단한 경우에도, 작동 신호 및 정지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되고,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이상 속도 설정값(117)(도 19)을 초과한 경우에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에서는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로 인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되며,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
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모든 주로프(4)가 파단한 경우에도,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12)으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주로프(4)의 상태를 취득하고, 취득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주로프(4)의 상태의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상의 검출 대상수가 많아지고,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뿐만이 아니라 주로프(4)의 상태의 이상도 검출할 수 있으며, 감시 장치(108)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지를 보다 조기에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보 다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에 설치된 로프 고정 장치(131)에 로프 센서(132)가 설치되어 있으나, 균형추(107)에 설치된 로프 고정 장치에 로프 센서(132)를 설치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주로프(4)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107)에 각각 접속하고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107)를 승강로(1)내에 매다는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본 발명이 적용되고 있으나, 일단부 및 타단부가 승강로(1)내의 구조물에 접속된 주로프(4)를 엘리베이터 칸 현수용 쉬브(suspension sheave) 및 균형추 현수용 쉬브에 각각 감아서 엘리베이터 칸(3) 및 균형추(107)를 승강로(1)내에 매다는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이 경우, 로프 센서는 승강로(1)내의 구조물에 설치된 로프 고정 장치에 설치된다.
실시 형태 14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 예에서는 로프 절단 검출부로서의 로프 센서(135)는 각 주로프(4)에 매입된 도선으로 되어 있다. 각 도선은 주로프(4)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다. 각 도선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출력부(114)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도선에는 미약 전류가 흐르고 있다. 출력부(114)에는 각 도선에의 통전의 각각의 차단이 파단 검출 신호로서 입력된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3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각 주로프(4)에 매입된 도선에의 통전의 차단에 의해 각 주로프(4)의 파단을 검출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3)의 가감속에 의한 각 주로프(4)의 텐션 변화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각 주로프(4)의 파단의 유무를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5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출력부(114)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출입구 개폐 검출부인 도어 센서(14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검출 수단(112)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도어 센서(140)를 갖고 있다.
도어 센서(140)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문 닫힘 상태일 때에 문 닫힘 검출 신호를 출력부(114)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 기억부(113)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실시 형태 11과 동일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개폐 상태에 대한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인 출입구 상태 이상 판단 기준이 기억되어 있다. 출입구 상태 이상 판단 기준은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되고 또한 문이 닫혀져 있지 않은 상태를 비정상으로 하는 이상 판단 기준이다.
출력부(114)에서는 위치 검출 신호의 입력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가 산출되고, 또 속도 검출 신호 및 문 닫힘 검출 신호의 각각의 입력에 근거 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가 복수 종(본 예에서는 2종)의 이상 판단 요소로서 각각 산출된다.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문이 닫혀져 있지 않은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되었을 때, 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초과하였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도 19)을 초과하였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도 27은 도 26의 엘리베이터 칸(3) 및 도어 센서(14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28은 도 27의 엘리베이터 칸의 출입구(26)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어 센서(140)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부에, 또한 엘리베이터 칸(3)의 폭 방향에 대하여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도어 센서(140)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28) 각각의 문 닫힘 위치로의 변위를 검출하며, 출력부(114)에 문 닫힘 검출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어 센서(140)로서는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에 고정된 고정부에 접촉됨으로써 문 닫힘 상태를 검출하는 접촉식 센서, 또는 비접촉으로 문 닫힘 상태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 등을 들 수 있다. 또, 승강장 출입구(141)에는 승강장 출입구(141)를 개폐하는 한 쌍의 승강장 도어(142)가 설치되어 있다. 각 승강장 도어(142)는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 층에 착지되어 있을 때, 계합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에 계합되고,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와 함께 변위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도어 센서(140)로부터의 문 닫힘 검출 신호가 출력부(114)에 입력되면, 출력부(114)에서는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가 산출된다. 이 후, 출력부(114)에서는 기억부(113)로부터 각각 취득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출입구 이상 판단 기준과,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근거하여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의 상태가 비교되고,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 각각의 이상의 유무가 검출된다.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통상 속도 검출 패턴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하고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는 닫힘 상태이므로, 출력부(1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 각각에 이상이 없는 것이 검출되며,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이 계속된다.
예를 들면, 어떠한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상승하여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초과한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이상이 있는 것이 출력부(114)에서 검출되고, 작동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 크 장치(106)에, 정지 신호가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된다. 이로 인해, 권상기(101)가 정지되는 동시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가 작동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3)이 승강되고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가 닫혀 있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도,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이상이 출력부(114)에서 검출되며, 작동 신호 및 정지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이상 속도 설정값(117)(도 19)을 초과한 경우에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는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로 인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되며,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12)으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를 취득하고, 취득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출 대상수가 많아지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의 이상뿐만이 아니라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의 이 상도 검출할 수 있고, 감시 장치(108)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지를 보다 조기에 또한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의 상태만이 도어 센서(140)에 의해 검출되게 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6) 및 승강장 출입구(141) 각각의 상태를 도어 센서(140)에 의해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각 승강장 도어(142)의 닫힘 위치로의 변위가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의 닫힘 위치로의 변위와 함께 도어 센서(140)에 의해 검출된다. 이와 같이 하면,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도어(28)와 승강장 도어(142)를 서로 계합시키는 계합 장치 등이 고장나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28)만이 변위되는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6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승강로(1) 상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권상기(101)에는 전력 공급 케이블(15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권상기(101)에는 제어반(102)의 제어에 의해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통하여 구동 전력이 공급된다.
전력 공급 케이블(150)에는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권상기(101)의 상태를 검출하는 구동 장치 검출부인 전류 센서(151)가 설치 되어 있다. 전류 센서(151)는 전력 공급 케이블(150)의 전류값에 대응하는 전류 검출 신호(구동 장치 상태 검출 신호)를 출력부(114)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전류 센서(151)는 승강로(1)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전류 센서(151)로서는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발생하는 유도 전류를 측정하는 변류기(CT) 등을 들 수 있다.
출력부(114)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와,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와, 전류 센서(151)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검출 수단(112)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 및 전류 센서(151)를 갖고 있다.
기억부(113)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11과 동일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과, 권상기(101)의 상태에 대한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인 구동 장치 이상 판단 기준이 기억되어 있다.
구동 장치 이상 판단 기준에는 3단계의 검출 패턴이 설정되어 있다. 즉, 구동 장치 이상 판단 기준에는 통상 운전시에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값인 통상 레벨과, 통상 레벨보다 큰 값으로 된 제1 이상 레벨과, 제1 이상 레벨보다 큰 값으로 된 제2 이상 레벨이 설정되어 있다.
출력부(114)에서는 위치 검출 신호의 입력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가 산출되고, 또 속도 검출 신호 및 전류 검출 신호의 각각의 입력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가 복수 종(본 예에서는 2종)의 이상 판단 요소로서 각각 산출된다.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초과하였을 때, 또는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구동 장치 이상 판단 기준에 있어서의 제1 이상 레벨의 값을 초과하였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에 작동 신호(트리거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제2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7)(도 19)을 초과하였을 때, 또는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구동 장치 이상 판단 기준에 있어서의 제2 이상 레벨의 값을 초과하였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4) 및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즉, 출력부(114)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의 각각의 이상의 정도에 대응하여,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동 수단을 결정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1과 동일하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109)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 엘리베이터 칸 속도 센서(110)로부터의 속도 검출 신호, 및 전류 센서(151)로부터의 전류 검출 신호가 출력부(114)에 입력되면, 출력부(114)에서는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전력 공급 케이블(150)내의 전류의 크기가 산출된다. 이 후, 출력부(114)에서는 기억부(113)로부터 각각 취득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 이상 판단 기준 및 구동 장치 상태 이상 판단 기준과, 각 검출 신호의 입력에 근거하여 산출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전력 공급 케이블(150)내의 전류의 크기가 비교되며,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 각각의 이상 유무가 검출된다.
통상 운전시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통상 속도 검출 패턴(115)(도 19)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어 있고,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통상 레벨이므로, 출력부(114)에서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 각각에 이상이 없는 것이 검출되며, 엘리베이터의 통상 운전이 계속된다.
예를 들면, 어떠한 원인으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비정상으로 상승하여 제1 이상 속도 검출 패턴(116)(도 19)을 초과한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에 이상이 있는 것이 출력부(114)에서 검출되고, 작동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정지 신호가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된다. 이로 인해 권상기(101)가 정지되는 동시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가 작동되어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
또,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구동 장치 상태 이상 판단 기준에 있어서의 제1 이상 레벨을 초과한 경우에도, 작동 신호 및 정지 신호가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제어반(102)에 출력부(114)로부터 각각 출력되고, 구동 쉬브(104)의 회전이 제동된다.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이상 속도 설정값(117)(도 19)을 초과한 경우에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는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된다. 이로 인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되며,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3)이 제동된다.
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의 작동 후,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구동 장치 상태 이상 판단 기준에 있어서의 제2 이상 레벨을 초과한 경우에도,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의 작동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 채, 출력부(114)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 비상 정지 장치(33)가 작동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감시 장치(108)가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12)으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를 취득하고, 취득한 엘리베이터 칸(3)의 속도 및 권상기(101)의 상태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 및 비상 정지 장치(33)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이상의 검출 대상수가 많아지며,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3)에의 제동력이 발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전력 공급 케이블(150)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는 전류 센서(151)를 사용하여 권상기(101)의 상태를 검출하게 되어 있으나, 권상기(101)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권상기(101)의 상태를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1 내지 16에서는 출력부(114)는 비상 정지 장치(33)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기 전에,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106)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3)에 비상 정지 장치(33)와는 별개로 탑재되고 엘리베 이터 칸 가이드 레일(2)을 사이에 끼움으로써 엘리베이터 칸(3)을 제동하는 엘리베이터 칸 브레이크, 균형추(107)에 탑재되고 균형추(107)를 안내하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을 사이에 끼움으로써 균형추(107)를 제동하는 균형추 브레이크, 또는 승강로(1)내에 설치되고 주로프(4)를 구속함으로써 주로프(4)를 제동하는 로프 브레이크에, 출력부(114)에 의해 작동 신호를 출력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 내지 16에서는 출력부로부터 비상 정지 장치에의 전력 공급을 위한 전송 수단으로서 전기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으나, 출력부에 설치된 발신기와 비상 정지 기구에 설치된 수신기를 갖는 무선 통신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또, 광 신호를 전송하는 광화이버 케이블을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 내지 16에서는 비상 정지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 방향으로의 과속도(이동)에 대하여 제동하게 되어 있으나, 이 비상 정지 장치가 상하 반대로 된 것을 엘리베이터 칸에 장착하고, 위쪽 방향으로의 과속도(이동)에 대하여 제동하도록 해도 된다.
실시 형태 17
다음에,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7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실시 형태 17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중계(二重系)의 안전 장치 기기(201, 202)가 이용되고 있다. 또, 안전 장치 기기(201, 202)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대해서도 이중계의 회로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서는 제1 및 제2 CPU(처리부)(203, 204)가 이용되고 있다.
제1 CPU(203)는 제1 출력 인터페이스(출력부)(205)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2 CPU(204)는 제2 출력 인터페이스(출력부)(206)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1 및 제2 출력 인터페이스(205, 206)는 제1 및 제2 CPU(203, 204)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안전 장치 기기(201, 202)를 구동ㆍ제어한다. 안전 장치 기기(201, 202)는 제1 및 제2 출력 인터페이스(2O5, 206)로부터 작동 신호(지령 신호)를 받으면, 엘리베이터를 안전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동작한다.
안전 장치 기기(201, 202)로서는 예를 들면 실시 형태 1 내지 16에 나타낸 비상 정지 장치(직동 비상 정지)(5, 33, 77, 78)를 들 수 있다. 또, 안전 장치 기기(201, 202)는 조속기 또는 그 근방에 설치되고, 작동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조속기 로프를 파지(把持)하는 액츄에이터부를 갖는 전자 가바너(직동 로프 캐치(direct-acting rope catch))이어도 된다.
제1 및 제2 CPU(203, 204)에는 양쪽 사이의 데이터 수수(授受)를 행하기 위한 2 포트(port) RAM(207)이 접속되어 있다. 제1 CPU(203)에는 제1 센서(208)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제2 CPU(204)에는 제2 센서(209)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센서(208, 209)로부터의 신호는 CPU(203, 204)로 연산 처리되고,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 칸(3)(도 1)의 속도 및 위치가 구해진다. 즉, 센서(208, 209)는 속도 센서겸 위치 센서로서 기능한다.
센서(208, 209)는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 도시된 조속기 등에 설치되어 있다. 또, 센서(208, 209)로서는 예를 들면 인코더가 이용된다. 또, 센서(208, 209)로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의 안전 감시에 이용되는 각종 센서를 이용해도 된다.
CPU(203, 204)에서의 연산 처리의 결과 데이터는 2 포트 RAM(207)을 통하여 CPU(203, 204)에 의해 서로 수수된다. 그리고, CPU(203, 204)에서는 서로의 결과 데이터와의 비교가 행해지고, 연산 결과에 유의차(significant difference)가 보여지거나, 과속도(속도 초과)가 확인된 경우에는 출력 인터페이스(205, 206)를 통하여 안전 장치 기기(201, 202)가 구동되어서 엘리베이터가 안전 상태로 이행된다.
또, 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는 CPU(203, 204)의 전원 전압을 감시하는 +5V 전원 전압 감시 회로(211) 및 +3.3V 전원 전압 감시 회로(212)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 전압 감시 회로(211, 212)는 예를 들면 IC(집적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원 전압 감시 회로(211, 212)는 안정된 전원 전압이 CPU(203, 2O4)에 공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CPU(203, 204)의 정격 전압을 벗어나는 전원 전압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전원 전압 감시 회로(211, 212)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CPU(203, 204)에 강제 리셋이 걸려지고, 페일세이프 편의(failsafeness)에 따라 설계된 안전 장치 기기(201, 202)에 의해 엘리베이터가 안전 상태로 이행된다.
+5V 전원 전압 감시 회로(211)에는 제1 감시용 전압 입력 회로(213)로부터 감시용 전압이 입력된다. +3.3V 전원 전압 감시 회로(212)에는 제2 감시용 전압 입력 회로(214)로부터 감시용 전압이 입력된다.
전원 전압 감시 회로(211, 212) 및 CPU(203, 204)에는 전원 전압 감시 회로(211, 212)의 건전성을 감시하는 전압 감시 건전성 체크 기능 회로(215)(이하, 체크 기능 회로(215)로 거의 칭함)가 접속되어 있다. 체크 기능 회로(215)는 예를 들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프로그래머블(programmable) 게이트 IC로 구성되어 있다. 또, 체크 기능 회로(215)는 ASIC, CPLD, PLD 또는 게이트 어레이 등에도 실현 가능하다.
전원 전압의 이상이 검출되면, 전원 전압 감시 회로(211, 212)로부터 체크 기능 회로(215)에 전압 이상 검출 신호(301, 302)가 출력되고, 체크 기능 회로(215)로부터 CPU(203, 204)에 리셋 신호(303, 304)가 출력된다.
또, 체크 기능 회로(215)에는 CPU(203, 204)로부터의 제어 신호(3O5, 306)가 입력된다. 체크 기능 회로(215)에서는 전원 전압 감시 회로(211, 212)의 전압 입력 핀을 저전압에 강제적으로 변경시키기 위한 감시용 입력 전압 강제 변경 신호(307, 308)가 출력된다.
감시용 입력 전압 강제 변경 신호(307, 308)가 출력되면, 감시용 입력 전압 강제 변경 회로(216, 217)에 의해, 전원 전압 감시 회로(211, 212)의 전압 입력 핀이 저전압으로 강제적으로 떨어뜨려진다.
또, 체크 기능 회로(215)는 제1 CPU(203)용의 제1 데이터베이스(218)와, 제2 CPU(204)용의 제2 데이터베이스(219)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3)의 위치 및 속도를 구하기 위한 프로그램, 엘리베이터의 이상을 판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전원 전압 감시 회로(211, 212)의 건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은 CPU(203, 204)에 접속된 기억부인 ROM(도시하지 않음)에 격납되어 있다. 실시 형태 17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도 31에 나타낸 CPU(203, 204), 2 포트 RAM(207) 및 ROM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고 있다.
도 32는 도 31의 체크 기능 회로(215)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어 신호(305, 306)에는 선택 신호(309, 310), 출력 허가 신호(311, 312), 및 칩 셀렉트(select) 신호(313, 314)가 포함되어 있다.
선택 신호(309, 310)는 어느 전원 전압 감시 회로(211, 212)의 건전성을 체크할지를 선택하기 위한 2 비트의 신호이다. 출력 허가 신호(311, 312)는 체크 기능 회로(215)로부터의 감시용 입력 전압 강제 변경 신호(307, 308)의 출력을 허가하는 동시에, 선택 신호(309, 310)로 선택된 내용을 래치(latch)하기 위한 신호이다. 즉, 출력 허가 신호(311, 312)는 래치 트리거 신호를 겸하고 있다.
전원 전압의 이상이 검출되면, 체크 기능 회로(215)내의 전압 이상 신호 래치 회로(228)에 의해 전압 이상 검출 신호(301, 302)가 래치된다. 전압 이상 신호 래치 회로(228)에서의 래치 상태는 제어 신호(305, 306)의 일부인 래치 해제 신호(315, 316)가 입력되는 것으로 해제된다.
선택 신호(309, 310)는 제1 및 제2 실렉터(229, 230)에 입력된다. 제1 및 제2 실렉터(229, 230)는 선택 신호(309, 310)에 근거하여 어느 전원 전압 감시 회로(211, 212)의 건전성을 체크할지를 전환한다. 실렉터(229, 230)에서 선택된 내용은 제1 및 제2 선택 내용 래치 회로(231, 232)에 의해 래치된다.
감시용 입력 전압 강제 변경 신호(307, 308)의 출력의 이전 단계에는 변경 신호 출력 버퍼(buffer)(23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체크 기능 회로(215)에는 제1 CPU(203)의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출력 버퍼(234)와, 제2 CPU(204)의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출력 버퍼(235)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33은 도 31의 체크 기능 회로(215)를 제1 및 제2 CPU(2O3, 204)가 리드(read)했을 때의 데이터베이스(218, 219)의 각 비트에 관한 데이터의 의미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다음에, 도 34는 도 31의 제1 CPU(203)측의 전원 전압 감시 건전성 체크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의 과속도 등의 엘리베이터의 이상 감시를 위한 연산 처리를 포함하는 인터럽트(interrupt) 연산을 연산 주기(예를 들면 5msec)마다 실행한다. 그리고, 인터럽트 연산의 메인 루틴을 실행했을 때, 전원 전압 감시 회로(211, 212)의 건전성 체크를 실시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
건전성 체크는 미리 설정된 타이밍에 실시된다. 즉, 건전성 체크는 엘리베이터 칸의 정지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실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이용객이 적은 한산한 시간대나 야간 운전 휴지시 등에 실시된다.
건전성 체크를 행하지 않으면, 메인 루틴으로 돌아온다. 건전성 체크를 행하는 경우, 우선 체크 기능 회로(215)내의 에러 신호인 전압 이상 검출 신호(301, 302)의 래치 상태를 해제한다. 즉, 체크 기능 회로(215)에 래치 해제 신호(315)를 출력한다(단계 S2). 래치 해제 신호(315)는 전압 이상 신호 래치 회로(228)에 입력되고, 전압 이상 검출 신호(301, 302)의 래치 상태가 해제된다.
다음에, 제1 CPU(203)의 출력 허가 신호(311)가 하이(high)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단계 S3), 제2 CPU(204)에 대해서도 출력 허가 신호(312)를 하이로 하도록 2 포트 RAM(207)을 통하여 요구한다(단계 S4).
이 후, 어느 전원 전압 감시 회로(211, 212)의 건전성 체크를 실시할지를 선택하는 셀렉트 신호(309)를 체크 기능 회로(215)에 출력하고 래치한다(단계 S5).
계속하여, 제2 CPU(204)에 대해서 출력 허가 신호(312)를 로우(low)로 하도록 2 포트 RAM(207)을 통하여 요구한다(단계 S6). 출력 허가 신호(312)가 로우로 된 것이 확인되면, 출력 허가 신호(311)를 로우로 한다(단계 S7). 이로 인해, 체크 기능 회로(215)내에서는 출력 허가 신호(311)의 폴링(falling)에 동기하고, 셀렉트 신호(309)가 선택 내용 래치 회로(231)에 의해 래치된다. 그리고, 체크 기능 회로(215)로부터 전원 전압 감시 회로(211)에 감시용 입력 전압 강제 변경 신호(307)가 출력된다.
그 결과, 전원 전압 감시 회로(211)에서는 전압 이상이 검출되고, 전압 이상 검출 신호(301)가 체크 기능 회로(215)에 입력되게 된다. 그리고, 체크 기능 회로(215)내에서는 전압 이상 신호 래치 회로(228)에 의해 전압 이상 검출 신호(301)가 래치된다. 이와 함께, CPU(203, 204)에는 체크 기능 회로(215)로부터의 리셋 신호(303, 304)가 입력되고(단계 S8), 이로 인해 CPU(203, 204)가 리셋한다.
이 때, 1 회의 건전성 체크 동작으로 체크하는 전원 전압 감시 회로는 반드시 하나뿐이다. 계속하여 다른 전원 전압 감시 회로의 건전성 체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전원 전압 감시 회로의 체크가 종료하고 나서, 다른 전원 전압 감시 회로의 건전성 체크를 실시한다. 하나의 CPU에 복수의 전압이 다른 복수의 전원이 공급되고, 여기에 수반항 복수의 전원 전압 감시 회로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각 전원 전압 감시 회로의 건전성 체크를 시퀀셜(sequential)로 하나씩 실시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전원 전압 감시 회로의 건전성 체크를 시퀀셜로 실시하는 것은 프로그램(소프트웨어) 상에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도 35는 도 31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CPU(203, 204)가 리셋되었을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CPU(203, 204)의 리셋의 원인은 물론 건전성 체크에 의한 것만이 아니라, 진정한 전원 전압의 이상이나 그 외의 이유에 의할 가능성도 있다.
리셋이 걸린다면, CPU(203, 204)는 우선 소프트웨어의 이니셜라이즈 처리(initialization processing)를 개시한다(단계 S9). 다음에, 이니셜라이즈 처리 중에서 체크 기능 회로(215)의 데이터를 리드한다(단계 S10). 그리고, 래치되어 있는 내용으로부터 리셋되기 전의 상황을 확인하고, 전원 전압의 이상이나 전원 전압 감시 회로(211, 212)의 고장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 즉, 그 리셋이 건전성 체크를 위해 일어난 것인가, 진정한 전원 전압 비정상으로 인해 일어난 것인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출력 허가 신호(311, 312)의 출력을 로우로 하고 있지 않은데, 전압 이상이 나타나고 있으면, 진정한 전원 전압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된다. 또, 출력 허가 신호(311, 312)의 출력을 로우로 했음에도 관계없이, 체크 기능 회로(215)의 데이터에서는 전압 이상이 나타나지 않은 경우, 전원 전압 감시 회 로(211, 212) 또는 체크 기능 회로(215) 자체의 고장이라고 판단된다. 이 상태에서, 감시용 입력 전압 강제 변경 신호(307, 308)가 출력되고 있으면, 전원 전압 감시 회로(211, 212)의 고장이라고 판단되고, 감시용 입력 전압 강제 변경 신호(307, 308)가 출력되어 있지 않으면, 체크 기능 회로(215) 자체의 고장이라고 판단된다.
체크 기능 회로(215)의 데이터 리드의 결과, 이상이나 고장이 검출되지 않으면, 메인 루틴으로의 이행을 허가한다(단계 S12). 단, 여기서는 전원 전압에 관한 리셋에 대한 것만 기술하였으나, 다른 고장 검출이나 다른 회로의 건전성 체크에 의해 리셋을 걸도록 해도 되고, 그 경우에는 모든 이상ㆍ고장이 없는 것을 확인한 다음 메인 루틴에의 이행이 허가되는 것으로 된다.
또, 체크 기능 회로(215)의 데이터 리드의 결과, 어떠한 이상이나 고장이 발견되면, 안전 장치 기기(201, 202)를 동작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출력하고(단계 S13), 엘리베이터를 안전 상태로 이행시킨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서는 전원 전압의 이상만 없으며, 전원 전압 감시 회로(211, 212)의 고장에 대해서도 건전성을 감시할 수 있으므로, 전원 전압의 감시에 대해 신뢰성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종래는 페일세이프성(failsafeness)이나 안전성의 확보를 위하여, 각 전원 전압 감시 회로에도 이중계를 이용하는 일이 있었으나, 상기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서는 그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하고, 비용의 증가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신뢰성은 각 전원 전압 감시 회로를 이중계로 했을 경우와 동일하다.
또, 2 개의 CPU(203, 204)를 이용한 이중계의 회로 구성으로 하고, 2 포트 RAM(207)을 통하여 각각의 CPU(203, 204)에 의한 건전성 체크 동작을 서로 확인하도록 했으므로, 체크 기능 회로(215)나 소프트웨어의 고장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7의 안전 장치는 운전 제어 장치(제어반)의 일부로서 설치하는 것도, 운전 제어 장치로부터 독립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실시 형태 17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서 안전 장치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인 운전 제어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더욱, 실시 형태 17에서는 2 개의 CPU(203, 204)를 이용한 이중계의 회로 구성으로 하였으나, 하나의 CPU만으로 연산 처리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고, 전압 감시 건전성 체크 기능 회로의 데이터로부터 전원 전압 이상과 전원 전압 감시 회로의 고장을 판별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8
다음에,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의 상부에는 구동 장치(권상기)(251) 및 디플렉터 풀리(deflector pulley)(252)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장치(251)는 구동 쉬브(251a)와, 구동 쉬브(251a)를 회전시키는 모터부(구동 장치 본체)(251b)를 갖고 있다. 모터부(251b)에는 구동 쉬브(251a)의 회전을 제동하는 전자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251a) 및 디플렉터 풀리(252)에는 주 로프(253)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254) 및 균형추(255)는 주 로프(253)에 의해 승강로내에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254)의 하부에는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에 계합(engagement)하여 엘리베이터 칸(254)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기계식의 비상 정지 장치(256)가 탑재되고 있다. 승강로의 상부에는 조속기 쉬브(257)가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의 하부에는 텐션 풀리(258)가 배치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257) 및 텐션 풀리(258)에는 조속기 로프(259)가 감겨져 있다. 조속기 로프(259)의 양 단부는 비상 정지 장치(256)의 작동 레버(256a)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조속기 쉬브(257)는 엘리베이터 칸(254)의 주행 속도에 따른 속도로 회전된다.
조속기 쉬브(257)에는 엘리베이터 칸(254)의 위치 및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인코더 등의 센서(208, 209)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208, 209)로부터의 신호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6O)에 입력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6O)의 구성은 도 31과 동일하다.
승강로의 상부(조속기 쉬브(257) 또는 그 근방)에는 조속기 로프(259)를 잡아서 그 순환을 정지시키는 안전 장치 기기(201, 202)로서의 조속기 로프 파지 장치(로프 캐치)(261)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 파지 장치(261)는 조속기 로프(259)를 파지키는 파지부(261a)와, 파지부(261a)를 구동하는 전자 액츄에이터(261b)를 갖고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6O)로부터의 작동 신호가 조속기 로프 파지 장치(261)에 입력되면, 전자 액츄에이터(261b)의 구동력에 의해 파지부(261a)가 변위되어서 조속기 로프(259)의 이동이 정지된다. 조속기 로프(259)가 정지되면, 엘리베이터 칸(254)의 이동에 의해 작동 레버(lever)(256a)가 조작되어서 비상 정지 장 치(256)가 동작하고, 엘리베이터 칸(254)이 급정지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254)의 과속도 등의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검출되면, 조속기 로프 파지 장치(261)에 작동 신호가 입력되어서 엘리베이터 칸(254)이 급정지된다.
또, 도 31에 나타낸 전원 전압 감시 회로(211, 212)나 체크 기능 회로(215)에 의해 이상이 검출되었을 경우에도 엘리베이터가 안전 상태로 이행된다.
안전 상태에의 이행 방법으로서는 구동 쉬브(251a)의 회전을 정지시켜서 엘리베이터 칸(254)을 즉석에서 정지시키는 방법, 또는 조속기 로프 파지 장치(261)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54)을 급정지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또, 구동 장치(251)를 제어하고, 엘리베이터 칸(254)을 근방의 층으로 이동시킨 후에 정지시키는 방법도 있다.
이와 같이 안전 장치 기기로서 조속기 로프 파지 장치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엘리베이터의 제어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감시하는 전원 전압 감시 회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압 감시 회로에 입력되는 전원 전압을 강제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감시용 입력 전압 강제 변경 신호를 상기 처리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전원 전압 감시 회로로부터의 전압 이상 검출 신호가 입력되는 전압 감시 건전성(soundness) 체크 기능 회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전압 감시 건전성 체크 기능 회로는 상기 처리부 및 상기 전원 전압 감시 회로와의 신호의 송수신 내용의 적어도 일부를 보관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전압 감시 건전성 체크 기능 회로에 보관된 데이터를 리드(read)함으로써 상기 전원 전압 감시 회로의 건전성 체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제1 및 제2 CPU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 및 제2 CPU는 2 포트(port) RAM을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CPU에 의한 건전성 체크 동작을 서로 확인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용 입력 전압 강제 변경 신호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전원 전압 감시 회로에 입력되는 전원 전압을 강제적으로 저하시키는 감시용 입력 전압 강제 변경 회로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전원 전압 감시 회로의 고장이 검출되면, 엘리베이터를 안전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안전 장치 기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압 감시 회로에는 전압이 다른 복수의 전원의 전압을 감시하기 위한 복수의 전원 전압 감시 회로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처리부로부터 상기 전압 감시 건전성 체크 기능 회로에의 상기 제어 신호에는 상기 복수의 전원 전압 감시 회로 중 어느 회로의 건전성 체크를 행할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각 전원 전압 감시 회로의 건전성 체크를 시퀀셜(sequential)로 하나씩 실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감시 건전성 체크 기능 회로는 프로그래머블(programmable) 게이트 IC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KR1020067008536A 2006-05-02 2004-05-24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KR100775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8536A KR100775182B1 (ko) 2006-05-02 2004-05-24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8536A KR100775182B1 (ko) 2006-05-02 2004-05-24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720A true KR20060081720A (ko) 2006-07-13
KR100775182B1 KR100775182B1 (ko) 2007-11-12

Family

ID=37172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536A KR100775182B1 (ko) 2006-05-02 2004-05-24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18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6992A (ja) 1990-03-01 1991-11-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ドア制御装置
JPH04237309A (ja) * 1991-01-22 1992-08-25 Toshiba Corp ディジタル制御システム
JP3700547B2 (ja) * 2000-06-29 2005-09-2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888070B2 (ja) * 2001-02-23 2007-02-28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消費電力制御インタフェースを有する論理回路モジュール及び該モジュールを記憶した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5182B1 (ko) 2007-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288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
JP4722845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4658045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滑り検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4664288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4745227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4712696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429220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0254480A (ja) エレベータ装置
JP5079326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0775182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KR10072719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792082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미끄러짐 검출 장치, 및 엘리베이터장치
KR100683987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100727197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100804917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100745928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KR100681591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745908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
KR10080793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60086423A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