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1316A - 온라인청구서를 이용한 청구서 관리 시스템 및 그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청구서를 이용한 청구서 관리 시스템 및 그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1316A
KR20060081316A KR1020050002717A KR20050002717A KR20060081316A KR 20060081316 A KR20060081316 A KR 20060081316A KR 1020050002717 A KR1020050002717 A KR 1020050002717A KR 20050002717 A KR20050002717 A KR 20050002717A KR 20060081316 A KR20060081316 A KR 20060081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online
barcode
bil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은영
Original Assignee
오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은영 filed Critical 오은영
Priority to KR1020050002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1316A/ko
Publication of KR20060081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3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06V30/2247Characters composed of bars, e.g. CMC-7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의 일 종으로서,
특정 서비스를 소비하는 이용자를 대상으로하여, 그 이용 대가를 적정금액으로 지불할 것을 요구하는 청구서를 발부하는 청구기관과 납부자(이용자)간에 발생하는 오프라인상의 용지를 통한 대금의 청구와 납부행위를 온라인 상에서 용지 없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청구기관의 용지형 청구서의 발부와 발송을 포함한 관리업무와 납부자의 납부 및 영수증의 사후 관리에 소요되는 모든 노력, 비용, 시간 및 이를 원인으로 파생되는 기타 제반문제들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고자 하는 의도로 착안된 내용의 발명이다.
청구서, 공과금, 수납업무, 바코드, 지로, 전기, 가스, 의료보험, 무인수납기, 온라인청구서,

Description

온라인청구서를 이용한 청구서 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omitted}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요소.
도2,3,4,5,6,7,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본 발명은
특정 서비스를 소비하는 이용자를 대상으로하여, 그 이용 대가를 적정금액으로 지불할 것을 요구하는 청구서를 발부하는 청구기관과 납부자(이용자)간에 발생하는 오프라인상의 용지를 통한 대금의 청구와 납부행위를 온라인 상에서 용지 없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청구기관의 용지형 청구서의 발부와 발송을 포함한 관리업무와 납부자의 납부 및 영수증의 사후 관리에 소요되는 모든 노력, 비용, 시간 및 이를 원인으로 파생되는 기타 제반문제들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고자 하는 의도로 착안된 내용의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용지형 청구서를 통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일반적인 청구서의 관리에 대해 기술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청구서발부,
->청구서배송,
->납부자 청구서 수령,
->수납기관에 청구금액 납부
->단말기 조작 입력.
->업무 마감후 전표와 대조하여 결산, 검증하며,
->수납기관 해당업무에 관한 전산업무처리,
->수납기관은 청구기관에 데이터 발송, 계좌이체
->전송받은 데이터와 납부청구서와의 대조, 및 확인수작업
->상기 데이터에 따른 청구기관 관련전산업무 처리,
->상기 데이터와 당월 청구내역 계산 후 익월 청구금액 정산 전산처리,
또 최근에 실시되고 있는 '공과금무인납부기'를 통한 납부가 일부 수납기관에서 행해지고 있는데,
이는 무인납부기의 삽입구에 용지형 청구서를 삽입하고, 청구서 상에 기재된 납부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현금카드나 해당은행 통장을 삽입하여 납부하는 시스템이다.
상기는 현행 용지형 청구서와 관련한 업무를 간단히 상술하였다.
상술된 바와 같이 청구서에 관련된 업무는 일일이 해당업무를 처리하는 담당자의 수작업을 통한 확인 후, 전산처리되게 되므로, 해당업무를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투자되는 비용의 지출은 관련기관의 예산의 과다 지출 및 타업무 처리의 지연 등을 초래하여 예산, 시간 및 인력의 소비를 가중시키게 되는 악순환을 야기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용지형 청구서의 발부에 사용되었던 기하학적인 규모의 예산, 인력,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의 단점이 해소된 바람직한 청구서에 관련한 업무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 상(인터넷망)의 서비스사업자서버, 이용자단말기, 청구서발부기관서버, 수납기관서버, 이동통신서버를 시스템의 구성요소로 하며,
상기 온라인 환경하에서,
청구서발부기관은 온라인바코드청구서를 발부하고, 서비스사업자는 상기 온라인을 통해 발부된 온라인바코드청구서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을 제공하며, 이용자가 상기 온라인바코드청구서를 이용해 청구된 청구금액을 원하는 납부방법을 통해 납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바코드청구서를 이용한 청구서 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온라인바코드청구서를 이용한 청구서 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바코드청구서를 이용한 청구서 관리 시스템의 구성요소와 시스템의 흐름을 도시화한 것이다.
서비스사업자서버( 10 )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사업자의 서버로서, 상기 서버상에 특정 웹싸이트(=사업자웹싸이트)(11)를 운영한다.
청구서발부기관서버( 20 )는 특정 기관에서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를 사용한 대가를 이용자가 지불하도록 요청하는 기관의 서버이다.(청구서발부기관과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은 경우에 따라 동일 주체일 수도 있다.)
이용자(납부자)단말기(30)는 상기 특정 서비스를 소비하고, 그 소비의 대가로 이용대금을 납부하여야할 당사자의 온라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단말기이다.
수납기관서버( 40 )은 상기 이용자가 납부하는 납부대금을 수납하는 기관의 서버이다.
인터넷망( 50 )상기 각 구성요소간을 온라인으로 연결한다.
이동통신망( 60 )이동통신용 기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이용자를 서비스사업자서버로 접속할 수 있도록 인터넷망으로 연결하여 준다.
이용자는 단말기(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모든 단말기/DMB단말기 등)(30)를 이용하여, 서비스사업자웹싸이트(11)에 회원가입을 한다.
온라인바코드청구서 이용신청을 한다.
이후, 온라인바코드청구서가 본인의 개인용저장공간에 링크되면 이를 확인하고, 납부한다.
서비스사업자서버(10)는 청구서발부기관서버와 연동하며, 경우에 따라 수납 기관의 서버와도 연동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이용자의 회원가입을 승인하고, 개인저장용공간을 제공한다.
청구서발부기관에 전송되는 이용자의 온라인바코드청구서이용요청 신호를 청구서발부기관서버로 전송하고, 승인신호를 이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청구서발부기관서버로부터 전송된 온라인바코드청구서를 개인용저장공간에 링크하고, 청구서발부기관서버 또는 수납기관서버로부터 전송된 납부정보를 갱신, 관리한다.
청구서발부기관서버(20)는 서비스사업자서버 및 수납기관서버와 연동한다. 온라인바코드청구서이용을 승인하고, 온라인바코드청구서를 발부, 갱신, 관리하며 이를 서비스사업자서버로 전송한다.
수납기관서버(40)는 청구서발부기관서버와 연동하며, 경우에 따라 서비스사업자서버와 연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청구서발부기관서버 (경우에 따라 서비스사업자서버)로부터 전송되어오는 이용자(납부자)의 납부정보를 확인하고, 대금수납에 따라 생성된 납부정보를 청구서발부기관서버와 서비스사업자서버 중 청구서발부기관서버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서버로 전송한다. 수납기관에 설치된 '수납부'(수납담당자의 단말기와 바코드생성장치)와 연동한다.
수납부(41)는 이용자가 납부하는 대금을 수납하는 사람 또는 기기로서, 수납기관의 '수납담당자' 또는 '바코드생성장치'에 해당한다. 수납기관서버와 연동하며, 해당 바코드의 납부정보를 송수신하며, 상기 납부정보를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수납부' 중
수납담당자는 수납기관에서 수납업무를 담당하는 자로서, 수납기관서버와 연동하는 단말기 또는 상기 단말기와 연동하는 바코드스캐닝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용자가 제시하는 바코드카드에 대한 납부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납부정보에 따라 대금을 수납한다.
바코드생성장치는 무인수납장치로서, 바코드의 조회, 발급, 대금수납을 수행하며, 수납기관의 서버와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인터넷 전자결제, 카드수납, 현금수납, 통장이체수납 등의 방법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부와 카드인식장치, 통장인식장치, 현금수납장치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있다.
도2는 이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사전에 수행하여야 할 과제를 도시화한 것이다.
이용자는 웹싸이트접속->회원등록->온라인바코드이용신청으로 이루어진 S201~2S03까지의 단계를 연차적으로 수행한다.
도3은 이용자가 상기 도2의 회원등록(S202)이후에 제공받은 서비스사업자웹싸이트 상의 개인용저장공간(S302)에서 온라인바코드청구서를 확인하고(S303), 구체적인 청구내역을 확인한 후(S304),이를 납부(S305)하는 과정을 도시화한 것이다.
특히, 구체적인 청구내역을 확인(S304)하기 위하여, 온라인바코드청구서를 이용자단말기의 선택부를 이용하여 지정하게 되며, 이에 따라 구체적인 청구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온라인바코드청구서에는 실제 청구내역만이 저장된 이미지파일만이 링크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실제 청구서발급기관서버의 DB에 저장된 납부자 개인정보에 따른 납부정보가 저장된 위치인 특정 URL로 자동접속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상세한 납부정보가 확인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도3의 서비스사업자웹싸이트에서 제공하는 각종 전자결제 또는 청구내역을 직접 출력하여 수납기관에 제시하여 납부하는 기존의 용지형 청구서를 이용한 납부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는 통장자동이체 및 전자결제를 통해 납부할 수도 있다(S305).
그러나 상술된 기존의 납부방법을 이용하지 않고, 본 발명이 추구하는 근본 취지인 '용지 없는 청구서의 관리'에 부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4 또는 도5의 납부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납부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도4는 수납기관의 수납부 중 수납담당자를 경유한 납부방법으로서,
이용자가 온라인바코드청구서 상에 기록된 최소정보인 청구기관, 바코드번호, 청구월, 납부자명을 확인, 기억하여, 수납기관에 설치된 바코드생성장치(S401)에 바코드검색이 가능한 정보를 입력하므로써 바코드카드(도8참조)를 발급받는다(S402),
상기 바코드카드를 수납담당자에게 제시한다(S403).
'수납담당자'는 상기 바코드카드 상의 검색가능한 바코드정보를 단말기에 입력하고(404), 상기 바코드에 따른 납부정보를 청구서발부기관서버(경우에 따라 서 비스사업자서버)로부터 전송받아, 확인한 후(S405), 납부대금을 수납(S406)하므로써 종료된다.
도5는 수납기관의 수납부 중 바코드생성장치를 경유한 납부방법으로서,
이용자가 온라인바코드청구서 상에 기록된 최소정보인 청구기관, 바코드번호, 청구월, 납부자명을 확인, 기억하여, 수납기관에 설치된 바코드생성장치 상의 입력부를 조작하여 검색이 가능한 바코드정보를 입력한다(S502).
상기 이후에 바코드생성장치 상의 단말기에 나타나는 납부정보를 확인하고(S503),
상기 바코드생성장치 상에 이용가능한 전자결제, 통장이체, 각종 현금카드결제, 현금결제 등의 다양한 납부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S504) 납부하므로써(S505) 종료된다.
이 때 발생한 납부정보가 수납기관서버 및 청구서발부기관서버(경우에 따라 서비스사업자서버)로 자동전송된다.
상기의 모든 단계에서 서버스사업자서버를 수납기관서버와 연동시켜 납부정보의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경우에 있어서는,
서비스사업자의 전산시스템을 백업시스템으로 이용할 수 있다. 청구서발부기관서버의 다운 및 파업 등의 비상시에 비상용백업시스템으로 활용하므로써, 백업을 위하여 임차시스템을 이용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없앨 수 있다. 백업시스템이 불확실성에 대한 대비의 관점에서 운영되는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백업시스템의 관리와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일이 되는 것이므 로, 확률적으로 일 년에 한 번도 제대로 사용하지 않는 백업시스템의 관리를 위하여 대규모의 추가비용을 지출한다는 것은 재고의 여지가 있는 것이다.
이하, 도6은 상기 S406, S505 단계에서 발생하는 납부정보를 이용하여 기존 납부정보를 갱신하는 단계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만일, 상술한 단계에 서비스사업자서버가 수납기관서버의 연동서버로 포함되지 않아, 납부정보를 즉시 전송받지 못 할 경우에 있어서는, 서비스사업자서버는 청구서발부기관서버로 전송되어 갱신된(~S601) 납부정보를 재전송받아(S602-a), 개인용저장공간의 해당 온라인바코드청구서의 데이터를 갱신하거나(S603),
이용자가 해당 온라인바코드청구서를 선택하여 청구기관의 해당 데이터가 저장된 특정 URL로 자동접속되도록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S603-b).
도7에서 이용자는 사업자웹싸이트접속하는 단계(~S701)와 개인용저장공간접속 (~S702)하는 단계 이후의 단계에서 갱신된 납부정보 확인(~S703)할 수 있다.
도8은 바코드카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바코드카드 상에 기재될 납부정보의 범위는 임의의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술된 바코드는
해당 이용자의 납부정보를 온라인상에 표식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표식수단과 균등한 범주의 여타 표식수단인
각종 문양, 도형, 숫자, 문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한 각종 이미지파일로 대체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서비스사업자를 주체로 하여 전체적인 흐름을 간단히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사업자서버가
1)서비스사업자서버 상에서 구현되는 특정 웹싸이트에 접속하여 요청한 이용자의 회원가입요청을 승인하고, 상기 이용자에게 개인용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단계;
2)상기 이용자가 특정 청구서발부기관서버로 요청하는 온라인바코드청구서 이용등록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청구서발부기관서버로부터 전송된 승인신호를 이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3)상기 청구서발부기관이 발부한, 온라인바코드청구서를 전송받아, 회원개인정보에 따른 개인용저장공간에 링크하여주는 단계;
4)상기 온라인바코드청구서를 통해 청구내역을 확인한 이용자가, 청구내역을 근거로 다양한 납부방법 중 원하는 납부방법을 선택하여 청구금액을 납부하므로써, 생성된 납부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저장공간의 온라인바코드청구서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
5)서비스사업자웹싸이트에 접속하여 자신의 개인용저장공간에서 갱신된 납부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이용자에게 갱신된 납부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술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청구항이 의미하는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간주되어야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하 청구범위와 균등한 범주의 것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 하여야 할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청구서에 관련된 업무는 일일이 해당업무를 처리하는 담당자의 수작업을 통한 확인 후, 전산처리되게 되므로, 해당업무를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투자되는 비용의 지출은 관련기관의 예산의 과다 지출 및 타 업무 처리의 지연 등을 초래하여 예산, 시간 및 인력의 소비를 가중시키게 되는 악순환을 없애고, 이에 따라 용지형 청구서의 발부에 사용되었던 기하학적인 규모의 예산, 인력, 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코드는 현행의 청구서 상에 이미 부여되어 있고, 발부기관 내에 바코드를 이용한 업무 시스템이 구성 및 사용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바코드청구서를 이용한 청구서 관리 시스템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추가 투자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업무파악이 용이하여, 실질적인 적용에 있어서, 여타 새로운 개념의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보다 탁월하게 용이하다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상에서 납부정보가 즉시로 각 기관의 서버로 전송되어, 기존 정보가 자동으로 갱신, 확인, 전산화되게되므로, 용지를 이용한 기존의 청구서 발부에 따른 복잡한 분류작업, 확인작업, 전산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수작업 인력과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사업자의 시스템을 백업시스템으로 이용할 수 있다. 청구서발부기관서버의 다운 및 파업 등의 비상시 비상용백업시스템으로 활용하므로써, 백업을 위하여 임차시스템을 이용하는데 소요되는 막대한 비용을 없앨 수 있다. 백업시스 템이 불확실성에 대한 대비의 관점에서 운영되는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백업시스템의 관리와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일이 되는 것이므로, 확률적으로 일 년에 한 번도 제대로 사용하지 않는 백업시스템의 관리를 위하여 대규모의 추가비용을 지출한다는 것은 재고의 여지가 있는 것이다.
또한, 납부자는 개인용 저장공간에 접속하여 즉시 납부사실을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다.
용지형 청구서를 수년간 보관 및 관리하는데 투여하는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실제로 온라인바코드청구서에 따른 정보가 본 업무에 관련한 각 기관의 DB에 저장되고, 간단히 열람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구성되었으므로 기존의 영수증 분실에 따라 발생하던 문제를 우려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 등이 있다.

Claims (7)

  1. 온라인을 이용한 청구성 발부 및 납부에 관한 것으로서,
    서비스를 운영하고자하는 서비스사업자서버와 웹싸이트,
    청구서발부기관서버,
    이용자단말기(인터넷 또는 DMB단말기),
    수납기관서버,
    상기를 온라인으로 연결 및 연동시키는 인터넷망과 이동통신망, 그리고 이용자는 상기 청구서발부기관에서 발부된 온라인청구서를 서비스사업자의 웹싸이트 상에 수취, 해당 납부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납부정보에 따른 납부금액을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상의 특정 납부수단을 통해 납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청구서를 이용한 청구서 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2. 온라인을 이용한 청구서 발부 및 납부에 관한 것으로서,
    서비스사업자서버가
    1)서비스사업자서버 상에서 구현되는 특정 웹싸이트에 접속하여 요청한 이용자의 회원가입요청을 승인하고, 상기 이용자에게 개인용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단계;
    2)상기 이용자가 특정 청구서발부기관서버로 요청하는 온라인바코드청구서 이용등록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청구서발부기관서버로부터 전송된 승인신호를 이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3)상기 청구서발부기관이 발부한, 온라인바코드청구서를 전송받아, 회원개인정보에 따른 개인용저장공간에 링크하여주는 단계;
    4)상기 온라인바코드청구서를 통해 청구내역을 확인한 납부자가, 청구내역을 근거로 다양한 납부방법 중 원하는 납부방법을 선택하여 청구금액을 납부하므로써, 생성된 납부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저장공간의 온라인바코드청구서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
    및 서비스사업자웹싸이트에 접속하여 자신의 개인용저장공간에서 갱신된 납부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이용자에게 갱신된 납부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청구서를 이용한 청구서 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3. 청구항2에서,
    상기 단계4의 납부방법은 전자결제, 상기 온라인 상의 납부정보를 출력한 용지를 수납담당자에게 제시하는 납부방법, 바코드생성장치 상의 결제수단을 이용한 납부방법, 바코드카드를 이용한 납부방법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청구서를 이용한 청구서 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4. 상기 3항에서,
    바코드생성장치를 통해 발급받은 바코드카드를 이용한 납부방법에 따른 단계별 구성은,
    이용자가 온라인바코드 청구서발부기관서버와 연동하는 바코드생성장치 상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바코드카드를 발급받는 단계;
    이를 청구서발부기관서버와 서비스사업자서버 중 청구서발부기관서버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서버와 연동하는 수납기관서버와 연동하는 수납담당자의 단말기 상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수납담당자가 바코드카드 상의 정보를 수동으로 기입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와 연동하는 스케닝장치를 이용해 바코드카드 상의 바코드를 스캐닝하므로써 검색가능한 바코드정보를 청구서발부기관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 청구서발부기관서보로부터 전송받은 해당 바코드의 납부대금을 수납하는 단계;
    상기 발생한 새로운 납부정보를 연동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청구서를 이용한 청구서 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5. 상기 4항에서,
    '...새로운 납부정보를 상기 연동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에 있어서,
    수납기관서버의 연동서버에 서비스사업자서버가 포함되지 않았을 경우,
    서비스사업자서버는 갱신된 청구서발부기관서버의 해당 온라인바코드청구서 납부정보를 전송받아 기존 개인용저장공간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갱신된 납부정보가 저장된 청구서발부기관서버의 특정 URL을 개인용저장공간의 해당 온라인바코드청구서에 링크하여주므로써 이용자가 온라인바코드청구서 선택시 해당 URL로 자동 접속되도록 하여 주는 단계; 중 하나의 단계를 추 가단계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청구서를 이용한 청구서 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6. 상기 3항에서,
    '바코드생성장치 상의 결제수단을 이용한 납부방법'에 따른 단계별 구성은,
    이용자가 온라인바코드청구서 상에 기록된 최소정보인 청구기관, 바코드번호, 청구월, 납부자명을 확인, 기억하여, 수납기관에 설치된 바코드생성장치 상의 입력부를 조작하여 검색이 가능한 바코드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이후에 바코드생성장치 상의 단말기에 나타나는 납부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바코드생성장치 상에 이용가능한 전자결제, 통장이체, 각종 현금카드결제, 현금결제 등의 다양한 납부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청구대금을 납부하는 단계;
    상기 발생한 새로운 납부정보를 연동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청구서를 이용한 청구서 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7. 상기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온라인청구서(1항) 또는 온라인바코드청구서(2항)는
    해당 이용자의 납부정보를 온라인상에 표식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표식수단과 균등한 범주의 여타 표식수단과 대체가 가능하며, 이는
    각종 문양, 도형, 숫자, 문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한 각종 이미지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청구서를 이용한 청구서 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0050002717A 2005-01-07 2005-01-07 온라인청구서를 이용한 청구서 관리 시스템 및 그제공방법. KR200600813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717A KR20060081316A (ko) 2005-01-07 2005-01-07 온라인청구서를 이용한 청구서 관리 시스템 및 그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717A KR20060081316A (ko) 2005-01-07 2005-01-07 온라인청구서를 이용한 청구서 관리 시스템 및 그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316A true KR20060081316A (ko) 2006-07-12

Family

ID=3717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717A KR20060081316A (ko) 2005-01-07 2005-01-07 온라인청구서를 이용한 청구서 관리 시스템 및 그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13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413B1 (ko) * 2006-11-13 2008-01-07 (주)메이크빌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45308B1 (ko) * 2006-11-20 2008-07-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전기료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413B1 (ko) * 2006-11-13 2008-01-07 (주)메이크빌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45308B1 (ko) * 2006-11-20 2008-07-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전기료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5954B2 (ja) リアルタイム販売時点(pos)アドレス変更処理
JP6163195B2 (ja) プリペイド決済システム、プリペイド決済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044091A (zh) 自助售票系统
JP5231120B2 (ja) 収納システム、決済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1206768A (zh) 自动售票系统、自动售票方法及其终端
KR20130084645A (ko) 은행원 서포트형 창구 접수 시스템 및 창구 처리 방법
CN109961359A (zh) 一种资金管理方法和资金管理平台
KR100297976B1 (ko) 컴퓨터 네트워크상에서 사업자고유정보가 마크된 사이버 결제수단의 발행 및 그에 의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JP5506971B2 (ja) 収納システム、決済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3506166A (zh) 目标业务的数据处理方法、装置和服务器
JP2007510190A (ja) 販売時点情報管理購買システム
CN101587615A (zh) 一种交通ic卡与银行卡的信息集成平台
JP3654801B2 (ja) 電子取引方法および電子取引システム
JP5953360B2 (ja) 資金移動方法、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EP1632888A1 (en) Electronic money management system, electronic money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020094437A (ko)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고지서처리시스템 및 방법
KR20060081316A (ko) 온라인청구서를 이용한 청구서 관리 시스템 및 그제공방법.
US20160267479A1 (en)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Transaction Certificates
CN201629010U (zh) 一种基于双介质医保卡的支付装置
JP2004318768A (ja) 債務引受を伴うファクタリングシステム
CN201820269U (zh) 自助售票系统
JP200414587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1227787A (ja) 会計取引情報読取装置
JP2009059294A (ja) 店舗現金管理システム
KR20050100589A (ko) 뱅크 포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전자화폐 자동충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