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308B1 - 전기료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료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308B1
KR100845308B1 KR1020060114812A KR20060114812A KR100845308B1 KR 100845308 B1 KR100845308 B1 KR 100845308B1 KR 1020060114812 A KR1020060114812 A KR 1020060114812A KR 20060114812 A KR20060114812 A KR 20060114812A KR 100845308 B1 KR100845308 B1 KR 100845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
information
equipment
electricity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4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5572A (ko
Inventor
유성환
김세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60114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308B1/ko
Publication of KR20080045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전기료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지역에 위치한 각 계량기 별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장비들에 대한 시설 정보를 저장하는 시설 관리 DB; 각 지역 별 요금제, 납부 금액 및 사용 전력을 포함하는 전기료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이력 관리 DB; 및 전기료 빌링 장치로부터 발행된 고지서에 대한 고지서 정보가 입력 또는 수신되면, 고지서 정보에 따른 지역(이하, 사용 지역) 및 장비(이하, 사용 장비)를 인식하고, 고지서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 전력량, 시설 관리 DB로부터 추출된 사용 장비의 장비 정보 및 이력 관리 DB로부터 추출된 사용 장비의 전기료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 지역에 미리 설정된 요금제가 미리 지정된 기준에 따라 적정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에 따라 전기료 이상, 계약 전력 해지, 전력 사용 이상 및 계약 전력 이상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보고서를 출력하는 메인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료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장비들이 사용하는 전기에 따른 전기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전기료, 정액제, 장비, 요금제

Description

전기료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electric charg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관리를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료 이력 정보를 예시한 테이블.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지역별 장비 정보를 예시한 테이블.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료 관리 시스템의 메인 관리 장치에서의 전기료 관리 절차의 기본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관리 장치에서의 전기료 관리 절차의 세부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메인 관리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관리 장치의 제어부의 기능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전기료 빌링 장치
100 : 전기료 관리 시스템
110 : 이력 관리 DB
120 : 시설 관리 DB
130 : 메인 관리 장치
140 :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장치
본 발명은 전기료 관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전기료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특히 전기를 이용하는 장비들을 다수의 지역에서 사용하는 특정 시스템(예를 들어, 다수의 지역에 위치한 기지국 등을 관리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등)에서, 장비들이 위치한 각 지역에서의 전기료에 대한 전체적인 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다수의 지역에서 다수의 장비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통상적으로 사용량에 따른 요금 지불 방식이 아닌 정액 요금제를 이용한다.
이 경우, 고장난 장비가 있거나 필요 이상으로 높은 정액제로 사용되고 있는 지역 등으로 인해 실제 사용하는 전력량에 비해 많은 요금을 지불하는 경우가 발생 하여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장비들이 사용하는 전기에 따른 전기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기료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장비들에 따른 전기료 이력을 이용하여, 각 장비들에 적합한 요금제를 설정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각 장비들의 전기료를 관리할 수 있는 전기료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지역에 위치한 각 계량기 별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장비들에 대한 시설 정보를 저장하는 시설 관리 DB; 상기 각 지역 별 요금제, 납부 금액 및 사용 전력을 포함하는 전기료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이력 관리 DB; 및 전기료 빌링 장치로부터 발행된 고지서에 대한 고지서 정보가 입력 또는 수신되면, 상기 고지서 정보에 따른 지역(이하, 사용 지역) 및 장비(이하, 사용 장비)를 인식하고, 상기 고지서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 전력량, 상기 시설 관리 DB로부터 추출된 상기 사용 장비의 장비 정보 및 상기 이력 관리 DB로부터 추출된 상기 사용 장비의 전기료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지역에 미리 설정된 요금제가 미리 지정된 기준에 따라 적정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에 따라 전기료 이상, 계약 전력 해지, 전력 사용 이상 및 계약 전력 이상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보고서를 출력하는 메인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료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지역에 위치한 각 계량기 별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장비들에 따른 전기료를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기료 빌링 장치로부터 발행된 고지서에 대한 고지서 정보를 입력 받거나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고지서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 지역의 사용 장비에 대한 장비 정보 및 전기료 이력 정보와, 상기 고지서 정보에 따른 사용 전력량을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기준에 따른 상기 사용 지역에 미리 설정된 요금제의 적정성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전기료 이상, 계약 전력 해지, 전력 사용 이상 및 계약 전력 이상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보고서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전기료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기료 관리 장치가 하나 이상의 지역에 위치한 각 계량기 별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장비들에 따른 전기료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기료 빌링 장치로부터 발행된 고지서에 대한 고지서 정보를 입력 또는 수신받는 단계; 상기 고지서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 지역 및 하나 이상의 사용 장비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용 지역의 사용 장비에 대한 장비 정보 및 전기료 이력 정보와, 상기 고지서 정보에 따른 사용 전력량을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기준에 따른 상기 사용 지역에 미리 설정된 요금제의 적정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전기료 이상, 계약 전력 해지, 전력 사용 이상 및 계약 전력 이상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보고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료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 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관리를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료 이력 정보를 예시한 테이블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지역별 장비 정보를 예시한 테이블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전기료 빌링 장치(10)와 전기료 관리 시스템(100)을 포함하며, 전기료 관리 시스템(100)은 이력 관리 DB(Data-Base)(110), 시설 관리 DB(120), 메인 관리 장치(130) 및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장치(140)를 포함한다.
전기료 빌링 장치(10)는 한국 전력 공사와 같은 전력을 제공하는 기업에서 고객이 사용한 전기료에 따른 고지서(물론, 전자 고지서도 포함함)를 발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전기료 빌링 장치(10)에서 발행되는 고지서는 해당 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고객 정보(예를 들어, 주민등록 번호, 아이디 등)와 사용된 전력에 따른 금액 및 사용 전력량에 대한 정보인 전기료 정보가 포함된다. 이하, 고지서는 한 달에 한번 청구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기료 관리 시스템(100)은 전기를 사용하는 다수의 장비를 구비한 특정 시스템(미도시)에서 사용된 전기료를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기지국, 교 환기 등의 장비들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된 전기료를 관리하는 전기료 관리 시스템(100)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되, 이동통신 시스템 이외에도 전기를 사용하는 장비를 구비한 모든 시스템의 전기료 관리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자명하게 될 것이다.
전기료 관리 시스템(100)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전기 요금제로 정액제(즉, 일정 금액에 따라 일정 기간 동안에 일정 전력량이 할당되는 요금제)를 이용할 수 있다. 특정 장비 또는 장비군(통상 하나의 계량기에 연결된 전력선을 복수의 장비가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으로 각각 적합한 요금제(예를 들어, 10만원에 한달 간 1000W(와트) 사용)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물론, 이동통신 시스템은 각 장비 또는 장비군마다 사용량에 따른 전기료를 납부하는 일반 요금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계량기에 복수의 장비들이 연결되는 경우와 각 장비군들이 정액제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장비군은 하나의 계량기에 연결된 장비들로서 동일한 종류의 장비들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장소 및 전력선 설치 등 환경에 따라 이종의 장비들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전기료 관리 시스템(100)의 이력 관리 DB(110)는 전기료 빌링 장치(10)로부터 수신한 고지서에 따른 이력정보를 저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지서에는 고객 정보와 전기료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고객 정보는 해당 계량기 식별정보 또는 계량기가 위치한 지역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전기료 관리 시스템(100)은 특정 고지서의 고객 정보를 통해 어느 지역에서 발생된 전기료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
이력 관리 DB(110)는 고지서의 고객 정보를 통해 해당 지역을 인식하고 각 지역 정보(예를 들어, 지역을 식별하기 위한 지역 아이디(Identification number)에 상응하도록 전기료 정보를 저장한다.
도 2에 도시된 전기료 이력 테이블(200)을 참조하면, 이력 관리 DB(110)는 각 위치 아이디(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은 A01)마다 요금제, 각 월(月)에 사용된 전기료에 대한 전기료 정보(소비전력 및 실제 납부된 전기료)를 테이블 형식 등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정액제일 경우, 할당된 전기량(유휴전기)를 초과하여 사용된 전기에 대해서는 별도의 금액이 청구된다. 통상 유휴전기를 초과하는 전기에 대해서는 누진세가 붙기 때문에 더욱 비싸게 청구된다.
전기료 관리 시스템(100)의 시설 관리 DB(120)는 도 3에 도시된 시설장비 테이블(300)과 같은 각 위치 아이디에 따른 지역에 위치한 장비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도면에는 시설장비 테이블(300)로서 장비 종류 및 각 개수에 대한 정보만이 도시되었으나, 각 장비의 기종 등에 대한 정보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기료 관리 시스템(100)의 메인 관리 장치(130)는 이력 관리 DB(110) 및 시설 관리 DB(120)를 통해, 전기료 빌링 장치(10)로부터 수신된 고지서에 따른 위치 아이디를 인식하고, 해당 위치 아이디에 상응하는 장비들을 인식할 수 있으며, 그동안의 전기료 사용에 따른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력 관리 DB(110) 및 시설 관리 DB(120)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DB 장치에서 전기료 사용에 대한 이력 및 해당 지역에 위치한 장비들에 대한 정보를 함께 관리할 수 있다.
메인 관리 장치(130)는 고지서를 수령할 때마다 또는 일정 시간 주기로 각 위치 아이디 별(즉 각 장비들이 위치한 지역별) 전기 사용량에 대한 적절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각 위치 아이디별 요금제를 변경할 수 있다.
메인 관리 장치(130)가 각 위치 아이디별 전기료에 대한 적절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따라 처리하는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ERP 장치(140)는 고지서에 대한 납부금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 ERP 장치(140)는 메인 관리 장치(130)의 제어 하에 고지서에 대한 ERP 전표를 발행한다. ERP 장치(140)의 기능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메인 관리 장치(130)가 각 위치 아이디별 전기료 적절성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상응하도록 요금제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료 관리 시스템의 메인 관리 장치에서의 전기료 관리 절차의 기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관리 장치에서의 전기료 관리 절차의 세부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기료 관리 시스템(100)의 메인 관리 장치(130)는 전기료 빌링 장치(10)로부터 고지서를 접수하면(단계 410), 해당 고지서의 고객 정보를 통해 상응하는 위치 아이디를 인식한다(단계 420). 물론 하나의 고지서에는 복수의 고객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고지서에 하나의 고객 정보만이 기재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메인 관리 장치(130)는 해당 위치 아이디에 상응하는 장비들에 대한 전기료 사용의 적정성을 판단한다(단계 430). 즉, 각 장비 별로 일정 시간 동안의 전기 사용량(각 장비들은 전기 사용량, 즉 소비 전력이 디폴트(default)함, 예를 들어, 기지국의 소비전력은 시간당 10와트)과 실제 사용한 전력량을 비교하여, 청구된 전기료에 대한 적정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위치 아이디에 따른 지역에 실제 장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전기료가 청구된 경우, 해당 지역에 따른 전기 사용을 해제할 수 있다. 메인 관리 장치(130)가 전기료 사용의 적정성을 판단하는 과정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적정성 판단 결과 적정하다고 판단된 경우, 메인 관리 장치(130)는 해당 고지서의 전기료 정보에 따른 요금(정액제이기 때문에 이미 계약된 금액)을 납부하기 ERP 전표를 발행하도록 전기료 정보를 ERP 장치(140)로 전송한다(단계 450).
이하, 메인 관리 장치(130)가 청구된 고지서에 따른 전기료 사용의 적정성을 판단하여 처리하는 상세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관리 장치(130)는 고지서를 접수하면(단계 500), 고객 정보에 따른 위치 아이디를 매핑(mapping)하여 해당 장비들이 위치한 지역을 인식한다(단계 505).
이후, 메인 관리 장치(130)는 해당 지역에 위치한 장비들의 실제 사용한 전력량이 아닌 장비들이 계약기간(예를 들어, 한달) 동안 작동하는데 사용하는 디폴 트한 소비전력을 장비별로 각각 산출한다(단계 510). 이는 메인 관리 장치(130)가 차후 실제 사용한 전력량과 장비별 사용하는 소비전력의 합을 비교하여,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함이다. 물론 단계 510은 하기 적정성 판단 단계(570) 이전이면 아무 때나 수행될 수 있다.
메인 관리 장치(130)는 고지서에 포함된 사용 전력량 정보를 통해, 사용된 전력(이하, 유휴전기 소비전력)이 0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515). 즉, 메인 관리 장치(130)는 정액제에 따라 할당된 전기(유휴전기)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0인 경우, 메인 관리 장치(130)는 해당 위치 아이디에 따른 이력 정보를 이력정보 DB로부터 추출하고(단계 520), 시설 관리 DB(120)로부터 해당 지역에 위치한 장비들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단계 525). 따라서, 메인 관리 장치(130)는 이력 정보를 통해 해당 지역에서 그 동안 발생된 전기료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지역에 장비들이 실제로 존재하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즉, 메인 관리 장치(130)는 해당 지역에 위치한 장비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530), 장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전력을 제공하는 기업과 계약을 해지하기 위한 리포트(report)를 출력한다(단계 535).
만일, 해당 지역에 장비들이 존재하는 경우, 장비들에 문제가 있어 전기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메인 관리 장치(130)는 전력 사용 이상에 따른 리포트를 출력한다(단계 540).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지역에 실제 장비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만을 이용할 경우 상기한 단계 520은 생략될 수도 있으 나, 장비가 존재할 경우 실제 그 동안 전기를 사용한 이력을 바탕으로 장비의 고장 유무 등을 보다 정확히 인식할 수도 있으므로 단계 520이 수행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계 515에서의 판단결과, 유휴전기 소비전력이 0이 아닌 경우 즉 실제 사용된 전력량이 존재하는 경우, 메인 관리 장치(130)는 시설 관리 DB(120)로부터 해당 위치 아이디에 따른 지역의 장비들에 대한 정보를 추출 및 분석하여(단계 545), 실제 장비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550). 만일 장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는 실제 전기를 사용하는 장비가 없는데도 전기가 사용된 것이므로, 메인 관리 장치(130)는 전기료 이상 리포트를 출력한다(단계 565).
단계 550에서의 판단결과 장비들이 존재하는 경우, 메인 관리 장치(130)는 일정 기간 동안(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월)의 평균 소비전력과 그에 따른 전기료를 산출한다(단계 560). 정액제일 경우, 할당된 전기량 즉 유휴전기를 초과하여 사용된 전기에 대해서는 별도의 금액이 청구된다. 따라서, 메인 관리 장치(130)는 이력 관리 DB(110)로부터 추출된 이력정보를 이용하여 평균 소비전력과 실제 청구된 전기료를 추출한다.
메인 관리 장치(130)는 산출된 소비전력이 계약된 요금제에 적합한지 여부를 미리 지정된 기준에 따라 판단하여 그 적정성을 분석한다(단계 570). 즉, 현재 요금제에 따르면 한달 간 유휴전기가 1000와트이고, 실제 장비들이 평균적으로 사용하는 소비전력이 1200와트인 경우, 이는 실제 계약된 유휴전기보다 소비전력이 높기 때문에 요금제가 적정하지 않다고 판단될 수 있다. 소비전력과 계약된 요금제가 적정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은, 관리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적정성 판단 결과 비 적정으로 판단되는 경우, 메인 관리 장치(130)는 최적화 계약 전력을 산출하고(단계 575), 비 적성으로 판단된 내용에 대한 정보와 산출된 최적화 계약 전력에 대한 보고서(report)를 출력한다(단계 580).
여기서, 최적화 계약 전력을 산출은, 메인 관리 장치(130)에 미리 저장된 특정 산출 기준에 따른 최적화된 요금을 산출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각 장비의 소비전력과 일정 기간(예를 들어 한달) 동안에 해당 장비가 사용되는 시간을 곱한 값을 각각의 장비마다 산출하고, 산출된 각 값을 합한 값이 유휴전기로 하는 정액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예를 들면, A,B,C 세 개의 장비가 있고, A의 소비전력은 시간당 10W이고 한달 간 사용되는 시간이 10시간, B는 시간당 20W이고 사용되는 시간은 5시간, C는 시간당 10W이고 사용되는 시간은 5시간인 경우를 가정한다. 그러면, 한달 동안의 유휴전기로 10W*10+20w*5+10W*5로 계산하여 한 달 동안 유휴전기로서 250W를 사용하는 요금제가 선택될 수 있다.
단계 570에서의 판단 결과 적정으로 판단되면, 메인 관리 장치(130)는 ERP 장치(140)로 ERP 전표를 발행하도록 명령(단계 585)하여 ERP 장치(140)가 ERP 전표를 발행하면, 발행된 ERP 전표에 따른 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제공(590)하여 ERP 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메인 관리 장치(130)의 구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메인 관리 장치(130)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관리 장치(130)의 제어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관리 장치(130)는 입력부(610), DB 연동부(630), 출력부(650) 및 제어부(670)를 포함한다.
입력부(610)는 고지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 전기료 빌링 장치(10)로부터 페이퍼(paper) 등 비 전자매체로 발행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발행된 고지서의 내용(즉, 고객 정보 및 전기료 정보 등)이 입력부(610)를 통해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는 전기료 빌링 장치(1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전자 고지서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입력부(610)가 포함할 수도 있다.
DB 연동부(630)는 이력 관리 DB(110) 및 시설 관리 DB(120)와 연동하기 위한 수단으로, DB 연동부(630)는 이력 관리 DB(110) 및 시설 관리 DB(120)로부터 제어부(670)에 제어에 따른 정보를 추출하도록 기능한다. 물론, 각 DB 장치에 저장할 내용이 있는 경우, DB 연동부(630)는 제어부(670)의 제어 하에 특정 정보를 해당 DB 장치로 제공한다.
출력부(650)는 보고서 등을 출력하도록 기능하며, 그래픽 등 화면에 표시되는 형태의 보고서를 출력하기 위한 액정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페이퍼(paper) 형태의 출력하기 위한 프린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전기료 빌링 장치(10)로부터 발행된 고지서에 대한 정보가 입 력되면, 해당 고지서 정보에 상응하는 지역을 인식하고, 인식된 지역에 따른 장비의 존재 유무, 디폴트한 소비전력, 평균 소비전력 등을 이용하여 현재의 요금제에 대한 적정성을 판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 처리할 수 있도록, 입력부(610), DB 연동부(630) 및 출력부(650)를 제어한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메인 관리 장치(130)는 각 장비별 디폴트한 소비전력에 대한 정보, 전력을 제공하는 기업에서 서비스되는 각 요금제에 대한 요금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저장부에 저장되는 상기한 내용은 이력 관리 DB(110) 또는 시설 관리 DB(12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제어부(670)의 각 구성요소가 도시된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670)는 그 기능에 따라 적정성 판단부(671), 최적화 처리부(673), 보고서 작성부(675), ERP 처리부(677) 및 메인 제어부(679)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670)의 각 구성부는 반드시 하드웨어(hardware)적으로 구현될 필요는 없으며 프로그램(program)과 같이 소프트웨어(software)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어부(670)의 적정성 판단부(67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령된 고지서에 따른 지역의 요금제가 현재 적합한지 여부의 판단을 수행한다. 적정성에 대한 판단방법은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최적화 처리부(673)는 적정성 판단부(671)에 의해 비 적정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지역의 장비들의 소비전력, 사용시간 등을 이용하여 적합한 요금제를 산출하 도록 기능한다.
보고서 작성부(675)는 상기한 계약 해지, 전기료 이상, 전력 사용 이상, 계약 전력 이상 등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작성된 보고서는 출력부(650)를 통해 출력된다.
ERP 처리부(677) ERP 장치(140)가 ERP 전표를 발행하도록 상응하는 정보(예를 들어, 납부할 금액 정보 등)를 제공한다.
메인 제어부(679)는 상기한 제어부(670)의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며,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시설 관리 DB(120)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아이디에 상응하는 지역에 실제 장비들이 존재하는지 여부, 유휴전기에 대한 사용 전기 유무 등을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제어부(670)의 해당 구성부를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장비들이 사용하는 전 기에 따른 전기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기료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장비들에 따른 전기료 이력을 이용하여, 각 장비들에 적합한 요금제를 설정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각 장비들의 전기료를 관리할 수 있는 전기료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하나 이상의 지역에 위치한 각 계량기 별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장비들에 대한 시설 정보를 저장하는 시설 관리 DB;
    상기 각 지역 별 요금제, 납부 금액 및 사용 전력을 포함하는 전기료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이력 관리 DB; 및
    전기료 빌링 장치로부터 발행된 고지서에 대한 고지서 정보가 입력 또는 수신되면, 상기 고지서 정보에 따른 지역(이하, 사용 지역) 및 장비(이하, 사용 장비)를 인식하고, 상기 고지서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 전력량, 상기 시설 관리 DB로부터 추출된 상기 사용 장비의 장비 정보 및 상기 이력 관리 DB로부터 추출된 상기 사용 장비의 전기료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지역에 미리 설정된 요금제가 미리 지정된 기준에 따라 적정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에 따라 전기료 이상, 계약 전력 해지, 전력 사용 이상 및 계약 전력 이상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보고서를 출력하는 메인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료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관리 장치는 상기 요금제가 적정한지 판단한 결과 비적정인 경우 상기 전기료 이력 정보에 상응하는 새로운 요금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료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 장비의 디폴트(default)한 소비전력, 상기 요금제가 적용되는 기간 당 상기 사용 장비의 사용 시간 정보 및 상기 전기료 이력 정보에 따른 평균 사용 전기료를 이용하여 산출된 값에 따라 상기 새로운 요금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료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관리 장치는,
    상기 고지서 정보를 입력받거나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시설 관리 DB 및 상기 이력 관리 DB로부터 상기 장비 정보 및 상기 전기료 이력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DB 연동부;
    상기 보고서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및
    상기 요금제가 적정한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료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 관리 DB 및 상기 이력 관리 DB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료 관리 시스템.
  6. 하나 이상의 지역에 위치한 각 계량기 별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장비들에 따른 전기료를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기료 빌링 장치로부터 발행된 고지서에 대한 고지서 정보를 입력 받거나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고지서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 지역의 사용 장비에 대한 장비 정보 및 전기료 이력 정보와, 상기 고지서 정보에 따른 사용 전력량을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기준에 따른 상기 사용 지역에 미리 설정된 요금제의 적정성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전기료 이상, 계약 전력 해지, 전력 사용 이상 및 계약 전력 이상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보고서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전기료 관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 장비의 디폴트(default)한 소비전력, 상기 요금제가 적용되는 기 간 당 상기 사용 장비의 사용 시간 정보 및 상기 전기료 이력 정보에 따른 평균 사용 전기료를 이용하여 산출된 값에 따라 새로운 요금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료 관리 장치.
  8. 전기료 관리 장치가 하나 이상의 지역에 위치한 각 계량기 별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장비들에 따른 전기료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기료 빌링 장치로부터 발행된 고지서에 대한 고지서 정보를 입력 또는 수신받는 단계;
    상기 고지서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 지역 및 하나 이상의 사용 장비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용 지역의 사용 장비에 대한 장비 정보 및 전기료 이력 정보와, 상기 고지서 정보에 따른 사용 전력량을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기준에 따른 상기 사용 지역에 미리 설정된 요금제의 적정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전기료 이상, 계약 전력 해지, 전력 사용 이상 및 계약 전력 이상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보고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료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장비의 디폴트(default)한 소비전력, 상기 요금제가 적용되는 기간 당 상기 사용 장비의 사용 시간 정보 및 상기 전기료 이력 정보에 따른 평균 사용 전기료를 이용하여 산출된 값에 따라 새로운 요금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료 관리 방법.
KR1020060114812A 2006-11-20 2006-11-20 전기료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0845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812A KR100845308B1 (ko) 2006-11-20 2006-11-20 전기료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812A KR100845308B1 (ko) 2006-11-20 2006-11-20 전기료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572A KR20080045572A (ko) 2008-05-23
KR100845308B1 true KR100845308B1 (ko) 2008-07-10

Family

ID=39662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4812A KR100845308B1 (ko) 2006-11-20 2006-11-20 전기료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53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992A (ko) * 2015-02-06 2016-08-17 주식회사 티앤엠테크 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040A (ko) * 2000-04-08 2001-06-05 이준성 네트워크 기반의 요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03233A (ko) * 2000-03-10 2003-01-09 가부시키가이샤마크테크 전기요금 관리장치 및 그 기록 매체
KR20040044061A (ko) * 2002-11-20 2004-05-27 손을택 공공요금 등 월납금 납입시스템 및 방법
KR20060081316A (ko) * 2005-01-07 2006-07-12 오은영 온라인청구서를 이용한 청구서 관리 시스템 및 그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233A (ko) * 2000-03-10 2003-01-09 가부시키가이샤마크테크 전기요금 관리장치 및 그 기록 매체
KR20010044040A (ko) * 2000-04-08 2001-06-05 이준성 네트워크 기반의 요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44061A (ko) * 2002-11-20 2004-05-27 손을택 공공요금 등 월납금 납입시스템 및 방법
KR20060081316A (ko) * 2005-01-07 2006-07-12 오은영 온라인청구서를 이용한 청구서 관리 시스템 및 그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992A (ko) * 2015-02-06 2016-08-17 주식회사 티앤엠테크 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672507B1 (ko) * 2015-02-06 2016-11-03 주식회사 티앤엠테크 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572A (ko) 2008-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06380B1 (en) Electrical charging/discharging control apparatus, electric-power management apparatus, electric-power management method and electric-power management system
US20070083479A1 (e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storage device for providing a prepaid metering system
US20130246257A1 (en) Energy distribution and marketing backoffice system and method
JP2020091529A (ja) 電力取引履歴生成システム
JP2002123578A (ja) 電力小売システム
CN104580390A (zh) 电费自助手机缴费终端中的电力信息调度引擎及其方法
CN101339681A (zh) 一卡通预付费系统
US20030055676A1 (en) Utility capacity transfer system
US20020128987A1 (en) Information disclosure and contracting method for the demander of distributed power supply business
CN102819914A (zh) 一种发票分发系统及其方法
WO2020231288A1 (ru) Информ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купли-продажи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KR100845308B1 (ko) 전기료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5166079B2 (ja) マネー管理システムおよびマネー収受装置
US20080154802A1 (en) Utility product usage internet access
KR20080017878A (ko) 각 지역별 교통카드를 전국에서 사용하기 위한통합운영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8596384A (zh) 预缴纳电费的方法和装置
CN101714277A (zh) 网络预付费充值系统及其充值方法
KR101020746B1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전력관리방법 및 그 장치
McClanahan Electric deregulation
JP2009157572A (ja) 給油所システム
WO2017035571A1 (en) Analysing smart meter data for solar or storage recommendation
AU2001260831B2 (en) Electronic user pays product and/or service controller
JP2004187405A (ja) インバランス電力取引支援システム
KR100188437B1 (ko) 전자적 자금이체 계량기 및 자금이체 방법
JP2020091871A (ja) 電力取引履歴生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