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0663A -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0663A
KR20060080663A KR1020050001051A KR20050001051A KR20060080663A KR 20060080663 A KR20060080663 A KR 20060080663A KR 1020050001051 A KR1020050001051 A KR 1020050001051A KR 20050001051 A KR20050001051 A KR 20050001051A KR 20060080663 A KR20060080663 A KR 20060080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torage medium
server
client terminal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050001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0663A/ko
Publication of KR20060080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6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는 저장매체에 저장하고자 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와 상기 데이터를 저장할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불가한 경우, 상기 서버에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구조로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기 곤란한 디지털 컨텐츠라도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전송과정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전송될 수 있는 소정의 컨텐츠 구조로 편집 및 최적화하여 전송 및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데이터 저장, 편집, 최적화

Description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Data, Recording Medium}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데이터 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시스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서버를 통해 데이터 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서버를 통해 데이터 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4는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서버를 통해 데이터 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서버를 통해 이미지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를 통해 이미지 컨텐츠를 편집하는 바람직한 일 예시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클라이언트 단말 105 : 컨텐츠 생성 프로그램
110 : 메모리부 115 : 웹서버
120 : 저장매체(1) 125 : 데이터 저장조건
130 : 저장매체 135 : 서버
140 : 저장매체(2) 145 : 데이터 포맷정보
150 : 데이터 편집모듈 155 : 독출부
160 : 판단부 165 : 수신부
170 : 편집부 175 : 저장부
본 발명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서버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에 포함된 소정의 데이터(또는 컨텐츠) 속성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데이터를 최적의 구조로 편집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인터넷에 게시되는 웹사이트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블로그(Blog) 또는 일인미디어라는 용어가 등장하면서 웹사이트 제작에 대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지지 못한 일반인도 패키지 형태의 웹 게시 마법사 프로그램을 통해 소정의 개인 웹사이트를 제작 및 게시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인터넷에 게시되는 웹사이트의 수는 더욱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블로그 형태의 개인 웹사이트는 단방향의 일방적인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위주의 웹사이트(예컨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을 통해 웹 문서 또는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사이트)가 아니라, 기본적으로 양방향으로 상호 작용하는 게시판 위주의 웹사이트로서, 상기 웹사이트에 방문한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서버에 구비된 게시판으로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예컨대, 문자 컨텐츠, 사운드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를 전송하여, 상기 게시판과 연계된 소정의 저장매체에 등록 및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블로그 형태의 개인 웹사이트에 등록 및 게시되는 대부분의 데이터 또는 디지털 컨텐츠는 결국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게시판과 연계된 소정의 저장매체에 일단 저장된 후, 상기 게시판이 제공하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시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예컨대, 클라이 언트 단말에서 서버로 업로드(Uploa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게시판 위주의 개인 웹사이트는 기존에 기업이 운영하는 컨텐츠 제공 위주의 웹사이트와 달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데이터 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매체의 용량을 제한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를 위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데이터 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소정의 제약 내지 제한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대부분의 블로그 형태의 개인 웹사이트에는 500KB이상의 이미지 컨텐츠를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을 제약 내지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상기와 같이 저장매체로 전송하는 데이터 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여 그 용량을 상기 저장매체의 제약 내지 제한 범위 이내로 스스로 알아서 수동으로 조절해야 하는데, 이 과정은 상기 데이터 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통상의 지식 이상의 가진자가 아니면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용량을 상기 저장매체의 제약 내지 제한 범위 이내로 조절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상기 편집된 데이터 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질이 편집되지 이전의 원본보다 떨어지는 문제점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해당 데이터 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생성되는 시점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소정의 편집 알고리즘에 따라 일방적으로 해당 데이터 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 및 변환 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서버와 연동하는 소정의 저장매체에 최적화된 데이터 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로 저장할 수 있게 소정의 편집과정을 통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는 서버로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전송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독출부와, 상기 독출부가 독출한 데이터 속성정보와 상기 데이터를 저장할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불가한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구조로 편집하는 편집부 및 상기 편집부에 의해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시키는 저장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서버로 전송할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는 상기 단말내 위치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또는 서버)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말은 개인용 컴퓨터(Person Computer; PC), 키오스크(KIOSK),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스마트폰(Smart Phone)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매체는 상기 서버에 위치하거나 또는 제2의 서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될 데이터의 용량 및/또는 포맷 및/또는 속성을 제한하는 제한조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는, 상기 서버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저장매체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저장매체가 위치하는 제2의 서버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는, 상기 서버에 소정의 조건문 실행코드 형태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서버 및/또는 상기 저장매체가 구비된 제2의 서버, 및/또는 네트워크 상에 구비된 별도의 저장매체에 소정의 파라미터 정보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는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정의 문자 정보가 포함된 문자 컨텐츠 및/또는 소정의 사운드(Sound) 정보가 포함된 사운드 컨텐츠 및/또는 소정의 이미지(Image)가 포함된 이미지 컨텐츠 및/또는 소정의 사운드와 연속되는 이미지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해더(Header)에 포함되는 소정의 데이터 해더정보, 및/또는 상기 데이터의 생성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해더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종류 정보 및/또는 상 기 데이터를 출력하는데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 해더정보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파일포맷의 파일 해더에 저장되는 정보로서, 동일한 파일포맷에는 동일한 항목의 컨텐츠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데이터 해더정보는 해당 파일에 포함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를 확정하거나, 상기 데이터(디지털 컨텐츠)를 재생 및/또는 출력하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예컨대, 문자 컨텐츠의 경우 워드프로세서, 사운드 컨텐츠의 경우 사운드 재생 프로그램, 이미지 컨텐츠의 경우 이미지 뷰어(Image Viewer),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경우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 등)에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출력하는데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생성정보는,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조건 또는 정보와, 상기 데이터에 대한 주석정보 또는 지적재산권의 소유권자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는, 상기 데이터가 이미지 컨텐츠인 경우, 상기 이미지 컨텐츠에 대한 압축코덱(Compressed Codec) 정보, 가로세로 픽셀값 정보, 용량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데이터가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경우,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데이터 내부에 포함시킨 촬영조건 및/또는 촬영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이미지 컨텐츠라면,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는 이미지 파일의 해더에 포함된 이미지 속성정보(예컨대, 압축코덱(Compressed Codec), 가로세로 픽셀값, 현재용량 등)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컨텐츠가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경우,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상기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파일 내부에 포함시킨 촬영조건(예컨대, 카메라 제조사 및 모델명, 펌웨어(Firmware) 버전, 촬영시간 등) 내지 촬영정보(예컨대, 셔터속도,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값, 조리개 값, 최대 조리개 값, 촬영모드, 측광모드, 광원, 플래시 사용여부, 초점길이 등)를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버의 수신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해 요구되는 소정의 편집 코드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의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와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로부터 동일한 항목에 해당하는 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값을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의 편집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공받거나 또는 상기 서버에 기 구비된 소정의 편집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편집부에 의해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편집부에 의해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해도 된다는 확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확인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편집부에 의해 편집된 데이터가 적어도 두개 이상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복수개의 편집된 데이터 중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할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저장부로 통지하는 확인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데이터 저장 시스템 상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는 저장매체에 저장하고자 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 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와 상기 데이터를 저장할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불가한 경우, 상기 서버에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구조로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는 저장매체에 저장하고자 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는 저장매체에 저장하고자 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판단결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불가한 경우, 상기 서버에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구조로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해 요구되는 소정의 편집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단결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불가한 경우, 상기 서버에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구조로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해 요구되는 소정의 편집 코드를 생성하거나 또는 기 구비된 편집 코드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에서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해도 된다는 확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확인 데이터에 대응하여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에서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된 데이터가 적어도 두개 이상인 경우, 상기 서버에서 상기 복수개의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복수개의 편집된 데이터 중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할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선택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선택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는 저장매체에 저장하고자 하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기능과, 상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기능 및 상기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와 상기 데이터를 저장할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판단결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불가한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구조로 편집하는 기능 및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기능을 더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편집된 데이터가 적어도 두개 이상인 경우, 상 기 복수개의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복수개의 편집된 데이터 중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할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선택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기능을 더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록매체를 구비하는 단말은,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속성정보는 각각의 디지털 컨텐츠 파일의 해더(Header)에 포함되는 소정의 컨텐츠 해더정보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 파일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상기 파일 내부(예컨대, 파일 해더(File Header), 소정의 옵션필드(Option Field), 또는 데이터 영역(Data Area) 등)에 포함되는 컨텐츠 생성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 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 구성 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또는 디지털 컨텐츠 중에서 이미지 컨텐츠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실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미지 컨텐츠 이외에 문자 컨텐츠, 사운드 컨텐츠, 및/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용하여 설명하여도 무방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도면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30)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시스템 도면이다.
본 도면1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인터넷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Person Computer; PC) 내지 키오스크(KIOSK),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무선 단말기(예컨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 등)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서버 (135) 또는 웹서버(115)와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생성 프로그램(105)이 탑재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에서 생성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100)에는 문자 컨텐츠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생성 프로그램(105)(예컨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워드를 포함하는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 사운드 컨텐츠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생성 프로그램(105)(예컨대, 골드웨이브사의 골드웨이브를 포함하는 사운드 제작 및 편집 프로그램), 이미지 컨텐츠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생성 프로그램(105)(예컨대, 어도비사의 포토샵을 포함하는 이미지 제작 및 편집 프로그램), 및/또는 외부 소스로부터 소정의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생성 프로그램(105)(예컨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미디어엔코더를 포함하는 동영상 생성 및 편집 프로그램) 등이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해 외부장치(예컨대, 디지털 카메라)에서 생성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 된 메모리부(110)에 저장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도면1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사진 촬영을 통해 이미지 컨텐츠를 생성하는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USB를 통해 이미지 컨텐츠를 제공받아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10)에 저장하는 실시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는 상기 서버(135) 또는 웹서버(115)와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소정의 웹브라우저가 탑재되는데, 상기 웹브라우저는 상기 서버(135)가 제공하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서버(135)로 전송하거나, 또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 시켜 편집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소정의 편집코드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된 소정의 입력수단(예컨대, 키보드, 또는 마우스)을 통해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받거나 또는 생성하여 상기 서버(135)로 전송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편집코드를 상기 서버(135)로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상기 서버(135)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전송되는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소정의 편집코드를 생성 또는 입력받고,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와 연계하여 서버(135)로 전송하는 방법,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상기 서버(135)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한 후, 상기 서버(135)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소정의 편집코드를 요청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서버(135)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소정의 편집코드를 생성 또는 입력받아 상기 서버(135)로 전송하는 방법 등을 포함하여 실시된다.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을 저장하는 저장매체(1)(120)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될 소정의 저장매체(130)가 구비되는 소정의 웹서버(115)에 상기 저장매체(130)와 연계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데이터 포맷정보(145) 및/또는 데이터 편집모듈(150)을 연계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2)(140)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기능이 구비된 상기 서버(135)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을 따르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될 소정의 저장매체(130)에 대한 데이터 저장조건(125)을 저장하는 상기 저장매체(1)(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매체(130)와 연계되어(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매체(130)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하여) 상기 서버(135)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은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될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30)에 실제로 저장될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별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서버(135) 상에서 상기 저장매체(130)와 연계된 소정의 파라미터 정보의 형태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은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될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용량 및/또는 파일포맷을 제한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이미지 컨텐츠라면,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은 상기 이미지 컨텐츠의 파일용량을 500KB로 제한하거나, 상기 이미지 컨텐츠의 파일포맷을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또는 SWF(ShockWave Flash)로 제한하거나, 상기 이미지 컨텐츠의 가로방향 픽셀 수를 500픽셀로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 속성정보와 비교되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할지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포맷정보(145)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포맷 또는 압축방식을 변경하는데 요구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일포맷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체(Structure) 또는 객체의 형태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파일포맷에 적용된 압축방식을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덱(Codec)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포맷정보(145)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추출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종류(예컨대, 문자, 사운드, 이미지, 및/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파일포맷 및/또는 압축방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포맷 및/또는 압축방식을 변경하는데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텐츠 편집모듈(150)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원본을 상기 컨텐츠 저장조건(125)에 부합하도록 편집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컨텐츠 편집 알고리즘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는 실행모듈로서, 상기 서버(135) 상에서 미리 정의된 소정의 수치계산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코드(예컨대, 컨텐츠 편집을 위한 소정의 수치계산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클래스(Class) 또는 객체(Object) 또는 스크립트(Script))의 형태로 포함되거나, 또는 소정의 컨텐츠 편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제작된 동적 연결 라이브러리(Dynamic Linking Library; DLL), 또는 액티브액스(ActiveX) 컨트롤의 형태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편집모듈(150)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저장조건(125)에 부합하도록 편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가적으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소정의 컨텐츠 구조로 편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이미지 컨텐츠라면, 상기 컨텐츠 편집모듈(150)은 상기 이미지 컨텐츠의 색상, 명암, 선명도 등을 상기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형태로 편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상기 컨텐츠 편집모듈(150)은 소정의 필터(Filter) 효과(도시생략)를 통해 상기 이미지 컨텐츠에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특수효과(예컨대, 인물 사진 형태의 이미지 컨텐츠에서 인물의 얼굴을 깨끗한 피부로 표현되도록 하기 위해 명암 및/또는 대조값을 변경하고 블러(Blur) 효과를 주는 특수효과)를 주어 편집할 수도 있다.
상기 편집코드는 상기 서버(135)에서 상기 데이터 편집모듈(150)을 통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에 최적화 시켜 편집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데이터 편집모듈(150)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에 최적화된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로 가공 내지 처리하기 위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수신하는 매개변수(Parameter)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이미지 컨텐츠이고, 상기 데이터 편집모듈(150)이 상기 이미지 컨텐츠의 색상값을 변경하는 것으로 정의된 경우, 상기 편집코드는 상기 이미지 컨텐츠에 포함된 픽셀의 색상값을 소정의 색상값으로 변경하는 옵셋(Offset)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단순하게 예를 들면, 편집코드에 포함된 색상값의 옵셋이 상기 이미지 컨텐츠의 각 픽셀을 파란색 쪽으로만 16단계 이전하도록 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인 경우, 상기 이미지 컨텐츠에서 RGB(32, 32, 16)인 픽셀의 색상값은 상기 편집코드에 의해 서버(135)에서 RGB(32, 32, 32)인 픽셀의 색상값이 변경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편집코드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서버(135)로 수신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컨텐츠 속성정보 중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지 않는 데이터 속성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 및/또는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속성정보를 변경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적용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로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이미지 컨텐츠이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서버(135)로 수신된 이미지 컨텐츠의 데이터 속성정보로서 가로방향 픽셀수가 739픽셀인데, 상기 저장매체(130)에 대한 데이터 저장조건(125)으로서 이미지 컨텐츠의 가로방향 픽셀수가 500픽셀이라면, 상기 컨텐츠 속성정보를 통해 생성되는 편집코드는 상기 739픽셀의 이미지를 500픽셀 이내의 이미지 컨텐츠로 편집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편집코드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생성 또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어 상기 서버(135)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상기 서버(135)로 소정의 편집코드가 전송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편집코드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서버(135)로 전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와 연계되어 전송되는 경우, 상기 편집코드 중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지 않는 데이터 속성정보에 대응하는 편집코드가 선택 및 상기 데이터 편집모듈(150)에 대입되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할 수 있는 최적화된 컨텐츠 구조로 편집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과 무관하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편집코드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할 수 잇는 최적화된 컨텐츠 구조로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상기 서버(135)로 소정의 편집코드가 전송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서버(135)에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를 판독 및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지 않는 데이터 편집항목을 결정하고, 상기 서버(135)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상기 결정된 데이터 편집항목에 대응하는 편집코드를 요청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상기 서버(135)로 상기 데이터 편집항목에 대응하는 편집코드를 생성 또는 입력하여 전송하고, 상기 서버(135)에서 상기 편집코드를 상기 데이터 편집모듈(150)에 대입되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할 수 있는 최적화된 컨텐츠 구조로 편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135)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165)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독출부(155)와, 상기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를 판독 및 상기 판독된 데이터 속성정보와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을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편집을 판단하는 판단부(160)와, 상기 판단결과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 편집모듈(150)을 통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시켜 편집하는 편집부(170)와, 상기 편집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30)에 저장하는 저장부(17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신부(165)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는데 요구되 는 소정의 편집코드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와 같이 수신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는 컨텐츠 해더정보 및/또는 데이터 생성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속성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직접 전송하지 않고,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상의 컨텐츠 연결정보(예컨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만을 상기 서버(135)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135)에서 상기 컨텐츠 연결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는 서버(135)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매체(130)가 구비된 웹서버(115)가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데, 이 경우 상기 서버(135)에서 상기 저장매체(130)의 URL을 알고 있는 경우(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웹서버(115)에 먼저 접속하고, 상기 웹서버(115)가 상기 서버(135)로 저장매체(130) URL을 제공하는 과정이 선행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서버(135)로 전송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와 연계되는 편집코드에는 상기 저장매체(130)의 URL이 포함되지 않아도 무관하지만, 상기 서버(135)에서 상기 저장매체(130)의 URL을 알고 있는 경우(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상기 서버(135)에 접속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서버(135)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서버(135)로 전송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와 연계되는 편집코드에는 상기 저장매체(130)의 URL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는 서버(135)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매체(130)가 구비된 웹서버(115)가 하나의 서버 시스템 내에 구비된다면, 상기와 같이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와 연계되어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서버(135)로 전송되는 편집코드에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될 저장매체(130)의 URL이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는 서버(135)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매체(130)가 구비된 웹서버(115)가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상기 저장매체(130)에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는데 요구되는 데이터 저장조건(125)이 웹서버(115)에 구비되는데, 이 경우 상기 수신부(165)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될 저장매체(130)가 구비된 웹서버(115)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저장조건(125)을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135)와 웹서버(115)가 하나 의 서버 시스템 내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은 상기 서버(135)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한데, 이 경우 상기 수신부(165)가 상기 웹서버(115)로부터 데이터 저장조건(125)을 수신하는 과정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독출부(155)는 상기 수신부(165)가 수신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컨텐츠 해더정보 및/또는 데이터 생성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와 같이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는 상기 판단부(160)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과 비교되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컨텐츠 구조를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편집부(170)에 의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컨텐츠 구조를 편집하기 위한 소정의 기준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독출부(155)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방법은, 우선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의 확장자를 판독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와 파일포맷을 통해 일차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파일포맷에 대응하는 컨텐츠 포맷정보(145)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해더를 독출한 후 상기 해더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와 파일포맷을 확정(예컨대, 대부분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는 파일의 해더에는 해당 파일의 포맷 및/또는 코덱을 판단할 수 있는 고유의 식별자가 포함되는데, 상기 독출부(155)는 이와 같은 식별자를 통해 상기 파일포맷 을 확정)한 후, 상기 파일포맷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컨텐츠 해더정보 및/또는 데이터 생성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단부(160)는 상기 독출부(155)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출한 데이터 속성정보와 상기 저장매체(1)(120)에 데이터 저장조건(125)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로부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시켜 편집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매체(1)(120)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매체(130)가 구비된 웹서버(115)에 상기 저장매체(130)와 연계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서버(135)는 상기 편집코드에 포함된 URL을 참조하여 수신부(165)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1)(120)로부터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판단부(160)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시켜 편집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와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으로부터 동일한 항목에 해당하는 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로부터 추출된 값이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을 만족하는지 판독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가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를 편집하도록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집부(170)는 상기 판단부(160)에 의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를 편집하도록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저장매체(1)(12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저장조건(125) 등을 근거로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 및/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와 연계되어 제공되는 상기 편집코드를 근거로 상기 독출부(155)에 의해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 및/또는 그에 대응하는 데이터 편집모듈(150)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 시켜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편집부(170)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를 편집하는 것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예컨대, 저장매체(130)에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될 수 있는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시켜 편집하는 것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소정의 편집코드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편집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시켜 편집하는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이미지 컨텐츠이고, 상기 저장매체(130)에 JEPG 또는 GIF의 파일포맷과 500KB 이하의 용량을 가진 이미지 컨텐츠가 저장되도록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포함된 경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시켜 편집하는 것은, 500KB이상의 용량을 갖는 TIFF 또는 BMP의 파일을 500KB 이내의 JEPG 또는 GIF 파일포맷으로 변경하되, 상기 이미지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JEPG와 GIF 중에서 상기 이미지 컨텐츠를 가장 적절하게 표현하는 소정의 파일구조로 최적화시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SO/IEC JTC 1과 ITU-T가 공동으로 표준화한 JPEG 포맷은 사진과 같은 이미지 컨텐츠를 위한 파일포맷으로서, 적응 불연속 코사인 변환(Adaptive Discrete Cosine Transformation; ADCT) 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이미지 컨텐츠를 압축하는데, 상기 적응 불연속 코사인 변환은 비압축 시의 이미지 컨텐츠를 5분의 1에서 최대 30분의 1까지 압축할 수 있는 반면, 안티얼라이어스(Anti-alliance)가 심하기 때문에 경계선이 뭉게지는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반면 미국의 컴퓨서브(CompuServer)사가 1987년에 개발한 GIF 포맷은 래스터 화상(raster image)을 전송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파일포맷으로서, 상기 GIF 포맷은 LZW 부호화 알고리즘(이스라엘 컴퓨터 학자 Abraham Lempel, Jacob Zib, Terry welch가 고안한 압축 알고리즘)을 통해 이미지 컨텐츠를 압축하는데, 상기 LZW 알고리즘은 최대 256가지 색을 표현하며, 특정한 색을 투명색(Transparent Color)으로 지정하는 투명 GIF, 화상을 저해상도부터 서서히 뚜렷한 화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GIF, 및/또는 GIF를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GIF 애니메이션 등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GIF 포맷은 이미지의 경계선이 선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독출부(155)가 독출한 데이터 속성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컨텐츠를 생성한 알고리즘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판단부(160)가 이를 통해 상기 이미지 컨텐츠를 JPEG로 변경할지 또는 GIF로 변경할지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편집부(170)는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이미지 컨텐츠를 JPEG 또는 GIF 포맷 중에서 특정의 파일포맷으로 변경시킨다.
예컨대, 상기 이미지 컨텐츠에서 독출되는 데이터 속성정보에 포함된 펌웨어 버전이 특정 디지털 카메라가 사용하는 펌웨어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면, 상기 이미지 컨텐츠는 JPEG로 변경하는 것이 상기 이미지 컨텐츠를 최적화시켜 변경하는 바람직한 방법이다. 반면 상기 이미지 컨텐츠에서 독출되는 데이터 속성정보에 포함된 펌웨어 버전이 코렐드로우(Corel Draw)와 같이 벡터맵 방식의 이미지 생성 프로 그램(105)을 포함하는 펌웨어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면, 상기 이미지 컨텐츠는 경계선이 선명한 GIF 포맷으로 변경하는 것이 상기 이미지 컨텐츠를 최적화시켜 변경하는 바람직한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이미지 컨텐츠인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제공되는 편집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는 것은, 상기 이미지 컨텐츠의 색상, 명암, 선명도 등과 같은 이미지 컨텐츠 파라미터들을 상기 편집코드를 매개변수로 사용하는 소정의 이미지 프로세싱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이미지 컨텐츠에 처리하되, 상기 이미지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컨텐츠 파라미터들을 가장 적절한 값으로 최적화시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화상 이미지에 있어서, 자연광 내지 백열등 아래의 피사체를 형광등 촬영모드에서 촬영하면 상기 피사체의 색상은 원래의 색상보다 푸르게 변하게 되고, 반대로 형광등 아래의 피사체를 자연광 내지 백열등 촬영모드에서 촬영하면 상기 피사체의 색상을 원래의 색상보다 붉게 변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이미지 컨텐츠에서 독출되는 데이터 속성정보에 포함된 촬영모드에 상기 이미지를 촬영할 당시의 조명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이미지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로 전송하여 저장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의 의도가 상기 이 미지 컨텐츠에 포함된 피사체의 색상을 가능한 원래의 색상이 되도록 원한다면, 상기 형광등 촬영모드에서 촬영된 자연광 내지 백열등 아래 피사체의 색상은 좀더 붉은색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고, 반대로 자연광 내지 백열등 촬영모드에서 촬영된 형광등 아래 피사체의 색상은 좀더 푸른색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저장부(175)는 상기와 같이 저장매체(130)에 저장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로 편집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예컨대, 웹서버(115)에 구비된 저장매체)로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서버(135)를 통해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30)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2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웹서버(115)에 접속하여 상기 웹서버(115)에 구비된 상기 저장매체(130)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하여 저장할 것을 요청하면, 상기 웹서버(115)에서 상기 서버(135)로 저장매체(130) URL, 클라이언트 단말(100) URL, 및 데이터 저장조건(125)을 제공하고, 상기 서버(135)에서 상기 URL 및 조건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 및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로 편집하여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것이다.
특히, 본 도면2는 서버(135)에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를 판독 및 분석하고, 상기 저장매체(130)에 대한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는지 판단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와 데이터 저장조건(125)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에 최적화 시켜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편집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편집하는 실시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면2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저장매체(예컨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업로드가 가능한 게시판)가 구비된 웹서버(115)에 접속 및 소정의 회원인증을 거친 후(200),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상기 웹서버(115)에 구비된 저장매체(130)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하여 저장할 것을 요청한다(205). 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웹서버(115)에 접속하고,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기능이 구비된 게시판에서 “쓰기” 버튼을 클릭한다.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웹서버(115)에 구비된 상기 저장매체(130)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하여 저장할 것을 요청하면, 상기 웹서버(115)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에 최적화된 구조로 편집하여 저장하는 서버(135)로 저장매체(130) URL, 클라이언트 단말(100) URL, 그리고 상기 저장매체(130)에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최적화시켜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조건(125)을 제공한다(210).
웹서버(115)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100) URL을 제공받은 서버(135)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서버(135)로 전송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웹 컨트롤(예컨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및/또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태그와 자바스크립트(JAVA Script))을 포함하는 소정의 웹 인터페이스(예컨대, HTML 및/또는 XML 태그와 자바스크립트로 이루어진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21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135)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과 웹서버(115) 사이에 연결된 통신세션(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웹서버(115)에 접속 및 회원인증을 통해 연결된 통신세션)을 승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상기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URL을 근거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과 서버(135) 사이의 신규 통신세션 연결과정을 통해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서버(135)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웹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면, 클라이언트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되어 있는 소정의 입력수단(예컨대, 키보드 또는 마우스)을 통해 상기 웹 인터페이스에 정의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추출 기능을 이용하여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한다(220).
예컨대, 웹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클라이언트 단말(100) 내 저장된 파일에 대한 탐색 및 경로 추출과, 상기 경로(Path)로부터 소정의 파일을 읽어오는 기능을 통해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한다. 또는, 상기 웹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네트워크 탐색 및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URL 추출, 및/또는 상기 추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URL로부터 소정의 파일을 읽어오는 기능을 통해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한다
상기와 같이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추출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추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135)로 전송한다(225).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서버(135)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13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데이터 해더정보 및/또는 데이터 생성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속성정보를 독출한다(230).
상기와 같이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속성정보가 독출되면, 상기 서버(135)는 상기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 중에서 데이터 해더정보와 데이터 포맷정보(145)에 포함된 파일해더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포맷을 확정하고, 상기 웹서버(115)로부터 제공된 데이터 저장 조건(125) 중에서 상기 파일포맷에 대응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의 데이터 해더정보 및/또는 데이터 생성정보 등이 부합하는지 판단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의 데이터 저장조건(125)으로 최적화시켜 편집할지 여부를 판단한다(235).
만약 판단결과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의 데이터 저장조건(125)으로 최적화시켜 편집하도록 판단되는 경우(240)(예컨대,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의 데이터 해더정보 및/또는 데이터 생성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버(135)는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 중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지 않는 데이터 속성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 및 상기 저장매체(130)에 최적화된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로 편집하기 위한 소정의 편집코드를 생성한다(245).
상기와 같이 편집코드가 생성되면, 서버(135)는 상기와 같이 데이터 속성정보로부터 생성된 편집코드를 데이터 편집모듈(150)에 대입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함 및 상기 저장매체(130)에 최적화된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로 편집한다(250).
반면 상기 판단결과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의 데이터 저장조건(125)으로 최적화시켜 편집하도록 판단되지 않는 경우 (255)(예컨대,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가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는 경우), 또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저장매체(130)의 데이터 저장조건(125)으로 최적화되어 편집된 경우, 상기 서버(135)는 상기 서버(135)는 웹서버(115)에 구비된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한다(260).
도면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서버(135)를 통해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30)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3은 상기 도면2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웹서버(115)에 접속하여 상기 웹서버(115)에 구비된 상기 저장매체(130)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하여 저장할 것을 요청하면, 상기 웹서버(115)에서 상기 서버(135)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 및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로 편집하여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도면2와 중복되는 선행 과정은 생략하고 서버(135)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소정의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이후부터 설명한다.
특히, 본 도면3은 서버(135)에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 출된 데이터 속성정보를 판독 및 분석하고, 상기 저장매체(130)에 대한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는지 판단하고, 데이터 속성정보가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는 경우 서버(135)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클라이언트의 의도를 반영하는 편집코드를 더 수신하여 편집하고, 부합하지 않는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도록 최적화시키는 편집코드를 더 수신하여 편집하는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135)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 및 편집하여 상기 웹서버(115)에 구비된 저장매체(130)로 저장하기 위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웹 컨트롤을 포함하는 소정의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300).
상기와 같이 서버(135)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웹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면, 클라이언트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되어 있는 소정의 입력수단(예컨대, 키보드 또는 마우스)을 통해 상기 웹 인터페이스에 정의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추출 기능을 이용하여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하고(305), 상기 웹 인터페이스에 구비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 기능을 통해 상기 추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135)로 전송한다(310).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서버(135)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13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데이터 해더정보 및/또는 데이터 생성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속성정보를 독출한다(315).
상기와 같이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속성정보가 독출되면, 상기 서버(135)는 상기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 중에서 데이터 해더정보와 컨텐츠 포맷정보(145)에 포함된 파일해더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포맷을 확정하고, 상기 웹서버(115)로부터 제공된 데이터 저장조건(125) 중에서 상기 파일포맷에 대응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의 데이터 해더정보 및/또는 데이터 생성정보 등이 부합하는지 판단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의 데이터 저장조건(125)으로 최적화시켜 편집할지 여부를 판단한다(320).
만약 판단결과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의 데이터 저장조건(125)으로 최적화시켜 편집하도록 판단되는 경우(325)(예컨대,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의 데이터 해더정보 및/또는 데이터 생성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버(135)는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 중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지 않는 데이 터 속성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 및 상기 저장매체(130)에 최적화된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로 편집해야 하는 데이터 편집항목을 결정한다(330).
예컨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이미지 컨텐츠이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서버(135)로 수신된 이미지 컨텐츠의 데이터 속성정보로서 가로방향 픽셀수가 739픽셀인데, 상기 저장매체(130)에 대한 데이터 저장조건(125)으로서 이미지 컨텐츠의 가로방향 픽셀수가 500픽셀이라면, 상기 서버(135)는 상기 이미지 컨텐츠의 데이터 속성정보 중에서 “가로/세로방향 픽셀수”를 데이터 편집항목으로 결정한다.
상기와 같이 데이터 편집항목이 결정되면, 상기 서버(135)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상기 데이터 편집항목에 대응하는 편집코드를 제공받는 기능이 구비된 소정의 웹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335).
반면 상기 판단결과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의 데이터 저장조건(125)으로 최적화시켜 편집하도록 판단되지 않는 경우(340)(예컨대,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가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서버(135)는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를 근거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의 의도를 반영하여 최적화시키기는 소정의 편집코드를 제공받는 기능이 구비된 소정의 웹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345).
예컨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이미지 컨텐츠이고, 상기 이미지 컨텐츠에 포함된 화상정보가 인물 사진이라면, 클라이언트는 상기 인물의 결점을 보완하고 보다 아름답게 출력되는 의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인물 사진에 상기와 같은 클라이언트의 의도를 반영하기 위한 편집코드를 상기 서버(135)로 전송하는 소정의 웹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은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제공할 소정의 웹 인터페이스가 생성되면, 상기 서버(135)는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상기 생성된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350), 상기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제공될 편집코드를 통해 편집되기 전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출력시킨다(355).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소정의 편집코드를 생성 또는 입력받는 기능이 구비된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제공될 편집코드를 통해 편집되기 바로 전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출력되면,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소정의 편집코드를 생성 또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서버(135)로 전송한다(360).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소정의 편집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135)는 상기 편집코드를 소정의 데이 터 편집모듈(150)에 대입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 및/또는 클라이언트의 의도를 반영하는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로 편집한다(36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제공된 소정의 웹 인터페이스로 현재까지 편집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추가적인 편집코드(예컨대, 현재까지 편집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더 편집하기 위한 편집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편집코드를 소정의 데이터 편집모듈(150)에 대입하여 편집하는 과정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편집코드 생성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소정의 편집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는 과정이 완료되면(370), 상기 서버(135)는 웹서버(115)에 구비된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 및/또는 클라이언트의 의도가 반영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웹서버(115)에 구비된 저장매체(130)에 저장한다(375).
상기와 같이 편집코드가 생성되면, 서버(135)는 상기와 같이 데이터 속성정보로부터 생성된 편집코드를 데이터 편집모듈(150)에 대입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함 및 상기 저장매체(130)에 최적화된 데이터(또는 컨텐 츠) 구조로 편집한다.
반면 상기 판단결과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의 데이터 저장조건(125)으로 최적화시켜 편집하도록 판단되지 않는 경우(예컨대,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가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는 경우), 또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저장매체(130)의 데이터 저장조건(125)으로 최적화되어 편집된 경우, 상기 서버(135)는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구조로 최적화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한다.
도면4는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서버(135)를 통해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30)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4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웹서버(115)에 접속하여 상기 웹서버(115)에 구비된 상기 저장매체(130)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하여 저장할 것을 요청하면, 상기 웹서버(115)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여 저장매체(130)에 저장하는 서버(135)의 URL을 제공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상기 서버(135)에 접속하여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하며, 상기 서버(135)에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또 는 컨텐츠) 구조로 편집하여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것이다.
특히, 본 도면4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상기 서버(135)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코드를 미리 정의한 후,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와 상기 편집코드를 연계하여 전송하면, 상기 서버(135)에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출되는 데이터 속성정보를 판독 및 분석하고,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연계되어 전송된 편집코드를 통해 편집 가능한지,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편집코드를 수신할지 판단한 후,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편집코드를 통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는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면4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저장매체(130)(예컨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업로드가 가능한 게시판)가 구비된 웹서버(115)에 접속 및 소정의 회원인증을 거친 후(400),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상기 웹서버(115)에 구비된 저장매체(130)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하여 저장할 것을 요청하면(405), 상기 웹서버(115)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에 최적화된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로 편집하는 서버(135)의 URL 정보를 제공하고(410),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 서버(135) URL을 통해 상기 서버(135)에 접속한다(415).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접속하면, 상기 서버(135)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서버(135)로 전송하는 기능과,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편집코드를 생성 또는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와 연계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웹 컨트롤을 포함하는 소정의 웹 인터페이스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제공한다(420).
상기와 같이 서버(135)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소정의 웹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면, 클라이언트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되어 있는 소정의 입력수단(예컨대, 키보드 또는 마우스)을 통해 상기 웹 인터페이스에 정의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추출 기능을 이용하여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하고(425), 상기 웹 인터페이스에 구비된 편집코드 생성 또는 입력 기능을 통해 상기 추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는 편집코드를 생성 또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받는다(430).
예컨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이미지 컨텐츠라면, 상기 웹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이미지 컨텐츠의 크기를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도록 편집할 지 여부를 선택하는 웹 컨트롤, 파일포맷을 변경할지 선택하거나, 또는 변경될 파일포맷을 결정하는 웹 컨트롤, 또는 이미지 컨텐츠의 품질을 상향조정 내지 하향조정할 수 있는 웹 컨트롤 등이 포함되며,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와 같이 웹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웹 컨트롤을 통해 상기 이미지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소정의 편집코드를 생성 또는 입력한다.
상기와 같이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추출되고, 이것을 상기 저장매체(130)에 최적화시키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로 편집하기 위한 소정의 편집코드가 생성 또는 입력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추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와 편집코드를 연계하여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135)로 전송한다(435).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서버(135)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및 그와 연계된 편집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13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데이터 해더정보 및/또는 데이터 생성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속성정보를 독출한다(440).
상기와 같이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속성정보가 독출되면, 상기 서버(135)는 상기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 중에서 데이터 해더정보와 컨텐츠 포맷정보(145)에 포함된 파일해더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포맷을 확정하고, 상기 웹서버(115)로부터 제공된 데이터 저장조건(125) 중에서 상기 파일포맷에 대응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의 데이터 해더정보 및/또는 데이터 생성정보 등이 부합하는지 판단함으로써, 상기 데 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의 데이터 저장조건(125)으로 최적화시켜 편집할지 여부를 판단한다(445).
만약 상기 판단결과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의 데이터 저장조건(125)으로 최적화시켜 편집하도록 판단되지 않는 경우(450)(예컨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가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서버(135)는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지 않고 상기 웹서버(115)에 구비된 저장매체(130)에 저장한다(455).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가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는 경우에도 상기 도면3과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편집코드를 통해 편집하여도 무방하다.
예컨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이미지 컨텐츠이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서버(135)로 수신된 이미지 컨텐츠의 데이터 속성정보로서 가로방향 픽셀수가 450픽셀인데, 상기 저장매체(130)에 대한 데이터 저장조건(125)으로서 이미지 컨텐츠의 가로방향 픽셀수가 500픽셀 이내라면, 상기 이미지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의 가로방향 픽셀수는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한다. 그러나, 상기 서버(135)는 상기 이미지 컨텐츠의 가로방향 픽셀수를 500 픽셀로 편집하는 편집코드를 통해 상기 450픽셀의 가로방향 픽셀수를 500픽셀로 확대하여도 무방하다.
반면 상기 판단결과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의 데이터 저장조건(125)으로 최적화시켜 편집하도록 판단되는 경우(460)(예컨대,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의 데이터 해더정보 및/또는 데이터 생성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버(135)는 독출된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 중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지 않는 데이터 속성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 및 상기 저장매체(130)에 최적화된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로 편집해야 하는 편집항목을 결정한다(465).
상기와 같이 편집항목이 결정되면, 상기 서버(135)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와 연계되어 수신된 편집코드에 상기 편집항목에 대응하는 편집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470).
만약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와 연계되어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편집코드가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지 않는 컨텐츠 편집항목에 포함된다면(475), 상기 서버(135)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와 연계되어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편집코드를 데이터 편집모듈(150)에 대입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하여 편집하고, 상기와 같이 편집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웹서버(115)에 구비된 저장매체(130)에 저장한다.
반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와 연계되어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편집코드가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지 않는 컨텐츠 편집항목에 포함되지 않는다면(480), 상기 서버(135)는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상기 결정된 컨텐츠 편집항목에 포함되지 않는 편집코드를 제공받는 웹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485), 상기와 같이 생성된 웹 인터페이스를 상기 도면3과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전송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소정의 편집코드를 수신하고(490), 상기 수신된 편집코드를 상기 데이터 편집모듈(150)에 대입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하여 편집하고(495), 상기와 같이 편집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웹서버(115)에 구비된 저장매체(130)에 저장한다.
도면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서버(135)를 통해 이미지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30)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는 도면5는 상기 서버(135)에서 상기 도면2, 도면3, 내지 도면4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들을 적절히 혼합하여 소정의 이미지 컨텐츠를 편집한 후, 웹서버(115)에 구비된 저장매체(130)에 저 장하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본 도면5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 방법들이 실제로 적용되는 기술구성을 보다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도면2, 도면3, 내지 도면4에서 제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본 도면5와 같이 상기 실시 방법들을 적절히 혼합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특히, 본 도면5는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소정의 이미지 컨텐츠가 서버(135)로 수신된 이후 단계부터 상기 이미지 컨텐츠가 웹서버(115)에 구비된 저장매체(130)에 저장되는 단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소정의 이미지 컨텐츠가 상기 서버(135)로 수신되는데, 이 경우 상기 서버(135)는 상기 이미지 컨텐츠의 파일 확장자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컨텐츠의 파일포맷을 1차로 결정한다(500).
예컨대, 상기 이미지 컨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의 확장자가 “*.BMP”라면, 상기 이미지 컨텐츠는 비트맵 이미지 컨텐츠이고, 상기 파일의 확장자가 “*.JPG”라면, 상기 이미지 컨텐츠는 JEPG 포맷으로 압축된 이미지 컨텐츠에 해당한다.
상기와 같이 이미지 컨텐츠의 파일포맷이 1차로 결정되면, 상기 서버(135)는 상기 이미지 컨텐츠로부터 데이터 해더정보 및/또는 데이터 생성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속성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파일 확장자를 통해 1차 결정된 파일포맷에 대응하는 데이터 포맷정보(145)를 추출(예컨대, 저장매체(130)(2)에 포함된 데이터 포맷정보(145)를 추출(504)한다.
상기와 같이 이미지 컨텐츠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속성정보가 독출되고, 상기 파일포맷에 대응하는 데이터 포맷정보(145)가 추출되면, 상기 서버(135)는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의 데이터 해더정보와 데이터 포맷정보(145)의 파일해더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컨텐츠가 상기 1차로 결정된 파일포맷과 일치하는지 파일해더 유효성을 확인한다(508).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1차로 결정된 파일포맷에 대응하는 데이터 포맷정보(145)의 구조에 상기 파일해더에 포함된 정보가 정확하게 매칭된다면, 상기 파일해더 유효성을 확인되는 것이며, 그렇지 않다면 상기 이미지 컨텐츠의 파일해더 유효성은 확인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1차로 결정된 파일포맷에 대응하는 데이터 포맷정보(145)를 통해 상기 이미지 컨텐츠를 포함하는 파일해더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는다면(512), 서버(135)는 상기 추출된 데이터 포맷정보(145) 이외에 다른 종류의 데이터 포맷정보(145)를 추출하고, 이와 같이 추출된 데이터 포맷정보(145)를 통해 상기 파일해더에 대한 유효성을 재확인한다(516).
만약 상기와 같이 다른 종류의 데이터 포맷정보(145)를 이용했는데도 상기 이미지 컨텐츠의 파일해더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는 파일포맷이 존재하지 않는다면(520), 상기 서버(135)는 상기 이미지 컨텐츠를 편집하여 상기 웹서버(115)에 구비된 저장매체(130)에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종료한다.
반면 상기와 같이 1차로 결정된 파일포맷에 대응하는 데이터 포맷정보(145)를 통해 상기 이미지 컨텐츠를 포함하는 파일해더의 유효성이 인증되거나, 또는 다른 종류의 데이터 포맷정보(145)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컨텐츠를 포함하는 파일해더의 유효성이 인증되면(524), 상기 서버(135)는 상기와 같이 파일해더의 유효성이 인증된 데이터 파일포맷에 대응하는 파일포맷을 상기 이미지 컨텐츠의 파일포맷으로 확정한다(528).
상기와 같이 이미지 컨텐츠의 파일포맷이 확정되면, 상기 서버(135)는 상기 이미지 컨텐츠를 저장매체에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조건을 추출/수신하고(532), 상기 이미지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해더정보 및/또는 데이터 생성정보와 상기 웹서버(115)에 구비된 저장매체(130)의 데이터 저장조건(125)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가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는지 판단한다(536).
만약 상기 판단결과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의 데이터 저장조건(125)으로 최적화시켜 편집하도록 판단되는 경우(540)(예 컨대,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의 데이터 해더정보 및/또는 데이터 생성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버(135)는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 중에서 이미지 컨텐츠의 크기, 변경포맷, 또는 품질과 같이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지 않는 데이터 속성정보를 상기 이미지 컨텐츠에 부합하도록 편집하는 편집코드를 생성하고(544), 상기 생성된 편집코드를 소정의 데이터 편집모듈(150)에 대입하여 상기 이미지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할 수 있는 최적화된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로 편집한다(548).
반면 상기 판단결과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의 데이터 저장조건(125)으로 최적화시켜 편집하도록 판단되지 않는 경우(552)(예컨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가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는 경우), 또는 상기와 같이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지 않는 이미지 컨텐츠의 크기, 포맷, 또는 품질 등이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도록 편집된 경우, 상기 서버(135)는 상기 이미지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전송하여 출력한 후, 상기 이미지 컨텐츠를 추가적으로 편집할 지 여부를 승인하도록 클라이언트에게 요청한다(556).
만약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상기 이미지 컨텐츠를 추가 편집하는 것이 승인되지 않는다면(560), 상기 서버(135)는 상기와 같이 저장매체(130)에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를 포함하는 이미지 컨텐츠를 웹서버(115)에 구비된 저장매체(130)에 저장한다(564).
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상기 이미지 컨텐츠를 추가 편집하는 것을 승인한다면(568), 상기 서버(135)는 상기 이미지 컨텐츠의 색상, 명암, 선명도 등과 같이 상기 이미지 컨텐츠의 특정 속성을 상기 클라이언트의 의도에 따라 추가적으로 편집하기 위한 편집코드를 상기 서버(135)로 전송하는 기능이 구비된 웹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제공한다(572).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의 의도에 따라 상기 이미지 컨텐츠의 색상, 명암, 선명도 등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코드를 서버(135)로 전송하는 웹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면,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편집코드를 생성 또는 입력하여 상기 서버(135)로 전송하고(576), 상기 서버(135)는 상기 수신된 편집코드를 소정의 데이터 편집모듈(150)에 대입하여 상기 이미지 컨텐츠의 색상, 명암, 선명도 등을 편집한다(58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이미지 컨텐츠의 색상, 명암, 선명도 등을 클라이언트의 의도에 따라 편집하는 과정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서버(135)로 상기 이미지 컨텐츠에 대한 편집코드를 전송하는 과정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된다.
만약 상기와 같이 이미지 컨텐츠를 편집하는 과정이 완료되면(584), 상기 서버(135)는 상기와 같이 편집된 이미지 컨텐츠를 웹서버(115)에 구비된 저장매체 (130)에 저장한다.
도면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135)를 통해 이미지 컨텐츠를 편집하는 바람직한 일 예시도면이다.
특히 본 도면6은 이미지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30)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조건(125)이 이미지 가로방향 픽셀 수가 500픽셀 이내이고, 파일 포맷은 JPEG와 GIF 중에서 선택되며, 색품질은 32비트 이내이고, 이미지 품질의 분해능이 인치당 72픽셀로 고정된 경우에 있어서, 가로방향 739픽셀 및 세로방향 570픽셀의 BMP 이미지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도록 편집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도면6은 이미지 컨텐츠의 색상을 클라이언트의 의도에 따라 최적화시키는 경우에 대한 것으로서, 자연광 아래의 피사체를 형광등 조명모드에서 촬영하여 화상 이미지가 원래 색상보다 약간 푸르게 나온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컨텐츠의 색상을 전체적으로 노란색 또는 붉은색 계열로 조정하고, 화사한 느낌을 주기 위해 이미지를 좀더 밝게 명암을 조정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서버(135)는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컨텐츠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픽셀 수를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를 근거로 이미지가 왜곡되지 않게 가로방향 500픽셀 및 세로방향 386픽셀로 결정하도록 정의된 웹 컨트롤을 포함하는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편집코드를 수신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이미지 컨텐츠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픽셀 수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재조정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이미지 컨텐츠가 왜곡되지 않도록 가로방향 픽셀 수가 변경하면 그에 대응하여 세로방향 픽셀 수가 자동 변경되고, 반대로 세로방향 픽셀 수가 변경되면 그에 대응하여 가로방향 픽셀 수가 자동 변경하도록 정의된 웹 컨트롤을 포함하는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편집코드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135)는 상기 이미지 컨텐츠의 데이터 속성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컨텐츠가 소정의 피사체(예컨대, 풍경)를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것이므로(예컨대, 컨텐츠 생성조건의 펌웨어에 특정 제조사의 디지털 카메라가 사용하는 펌웨어 버전이 확인되면), 상기 BMP의 파일포맷을 JPEG와 GIF 중에서 JPEG로 포맷으로 결정하도록 정의된 웹 컨트롤을 포함하는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편집코드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135)는 상기 이미지 컨텐츠의 색품질 또는 이미지 품질을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125)에 부합하는 32비트의 색품질과 인치당 72픽셀의 분해능으로 자동 결정하도록 정의된 웹 컨트롤을 포함하는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편집코드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변경된 사진크기, 파일포맷, 및 품질 파라미터들은 상기 이미지 컨텐츠의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조건(125)으로 최적화(예컨대, 데이터 저장조건(125)의 제한범위 내에서 최상의 품질로 설정)된 것이다.
또한, 본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135)는 상기 이미지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컨텐츠가 형광등 조명모드에서 촬영된 것을 확인하고, 상기 이미지 컨텐츠의 색상을 전체적으로 노란색 내지 빨간색으로 변경하도록 색상값 변경하도록 정의된 웹 컨트롤을 포함하는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로부터 편집코드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서버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에 포함된 소정의 데이터(또는 컨텐츠) 속성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데이터를 최적의 구조로 편집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도록 하는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기 곤란한 데이터 또는 디지털 컨텐츠라도 상기 데이터 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전송과정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전송될 수 있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컨텐츠) 구조로 편집 및 최적화하여 전송 및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41)

  1.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는 서버로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전송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독출부;
    상기 독출부가 독출한 데이터 속성정보와 상기 데이터를 저장할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불가한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구조로 편집하는 편집부; 및
    상기 편집부에 의해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시키는 저장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개인용 컴퓨터(Person Computer; PC), 키오스크(KIOSK),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스마트폰(Smart Phone)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서버로 전송할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단말내 위치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또는 서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는,
    상기 서버에 위치하거나 또는 제2의 서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소정의 문자 정보가 포함된 문자 컨텐츠 및/또는 소정의 사운드(Sound) 정보가 포함된 사운드 컨텐츠 및/또는 소정의 이미지(Image)가 포함된 이미지 컨텐츠 및/또는 소정의 사운드와 연속되는 이미지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해더(Header)에 포함되는 소정의 데이터 해더정보, 및/또는 상기 데이터의 생성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해더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종류 정보 및/또는 상기 데이터를 출력하는데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정보는,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조건 또는 정보와, 상기 데이터에 대한 주석정보 또는 지적재산권의 소유권자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12. 제 1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는,
    상기 데이터가 이미지 컨텐츠인 경우,
    상기 이미지 컨텐츠에 대한 압축코덱(Compressed Codec) 정보, 가로세로 픽셀값 정보, 용량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데이터가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경우,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데이터 내부에 포함시킨 촬영조건 및/또는 촬영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될 데이터의 용량 및/또는 포맷 및/또는 속성을 제한하는 제한조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14. 제 1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는,
    상기 서버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저장매체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저장매체가 위치하는 제2의 서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15. 제 1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는,
    상기 서버에 소정의 조건문 실행코드 형태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서버 및/또는 상기 저장매체가 구비된 제2의 서버, 및/또는 네트워크 상에 구비된 별도의 저장매체에 소정의 파라미터 정보의 형태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해 요구되는 소정의 편집 코드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와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로부터 동일한 항목에 해당하는 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값을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공받거나 또는 상기 서버에 기 구비된 소정의 편집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편집부에 의해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편집부에 의해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해도 된다는 확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확인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편집부에 의해 편집된 데이터가 적어도 두개 이상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복수개의 편집된 데이터 중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할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저장부로 통지하는 확인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22.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는 저장매체에 저장하고자 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는 서버로 전 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와 상기 데이터를 저장할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불가한 경우, 상기 서버에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구조로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는 저장매체에 저장하고자 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는 저장매체에 저장하고자 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단말내 위치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또는 서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방법.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불가한 경우, 상기 서버에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구조로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해 요구되는 소정의 편집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방법.
  26.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불가한 경우, 상기 서버에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구조로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해 요구되는 소정의 편집 코드를 생성하거나 또는 기 구비된 편집 코드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방법.
  27.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방법.
  28.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해도 된다는 확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확인 데이터에 대응하여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방법.
  29.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된 데이터가 적어도 두개 이상인 경우,
    상기 서버에서 상기 복수개의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복수개의 편집된 데이터 중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할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선택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선택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방법.
  30.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방법.
  31.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방법.
  32. 제 22항 또는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소정의 문자 정보가 포함된 문자 컨텐츠 및/또는 소정의 사운드(Sound) 정보가 포함된 사운드 컨텐츠 및/또는 소정의 이미지(Image)가 포함된 이미지 컨텐츠 및/또는 소정의 사운드와 연속되는 이미지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방법.
  3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해더(Header)에 포함되는 소정의 데이터 해더정보, 및/또는 상기 데이터의 생성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방법.
  3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될 데이터의 용량 및/또는 포맷 및/또는 속성을 제한하는 제한조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방법.
  35. 제 22항 또는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는,
    상기 서버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저장매체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저장매체가 위치하는 제2의 서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 방법.
  36.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는 저장매체에 저장하고자 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기능;
    상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기능; 및
    상기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와 상기 데이터를 저장할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판단결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불가한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구조로 편집하는 기능; 및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기능;을 더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9.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편집된 데이터가 적어도 두개 이상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복수개의 편집된 데이터 중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할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선택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기능;을 더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40.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를 구비하는 단말은,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41.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050001051A 2005-01-06 2005-01-06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0600806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051A KR20060080663A (ko) 2005-01-06 2005-01-06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051A KR20060080663A (ko) 2005-01-06 2005-01-06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935A Division KR20100019544A (ko) 2010-01-06 2010-01-06 데이터 저장 방법
KR1020120044114A Division KR20120049856A (ko) 2012-04-26 2012-04-26 컨텐츠 등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663A true KR20060080663A (ko) 2006-07-11

Family

ID=37171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051A KR20060080663A (ko) 2005-01-06 2005-01-06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066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156B1 (ko) * 2007-08-22 2012-01-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환경에서의 메시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42793A (ko) * 2012-06-20 2013-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에서 타임머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26845A (ko) * 2012-08-23 2014-03-06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 저장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156B1 (ko) * 2007-08-22 2012-01-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환경에서의 메시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42793A (ko) * 2012-06-20 2013-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에서 타임머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26845A (ko) * 2012-08-23 2014-03-06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 저장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2674B2 (ja) 特定のクライアント装置タイプに対して最適化された動的ビューポート階層化を提供する画像システム
US6577311B1 (en) Techniques for automatically providing a high-resolution rendering of a low resolution digital image in a distributed network
US70652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age editing
US68705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ndering a low-resolution thumbnail image suitable for a low resolution display having a reference back to an original digital negative and an edit list of operations
JP4194575B2 (ja) ウエブサービスアプリケーションベースの光学文字認識システム及び方法
US6850248B1 (en) Method and apparatus that allows a low-resolution digital greeting card image or digital calendar image to contain a link to an associated original digital negative and edit list
US7062107B1 (en) Techniques for generating a distributed low-resolution digital image capable of viewing in any resolution
US20080320387A1 (en) Information displaying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US10360694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image loading and methods and devices for video playback
US8553977B2 (en) Converting continuous tone images
JP2014082705A (ja) 撮影機器
JP2016076235A (ja) 複数の多重修正した子マルチメディア資産からのマルチメディア資産の取得
KR20060080663A (ko)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CN117076811A (zh) 一种网页导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7557951B2 (en) Image processor and image printer
US84827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file using address and information tags
US20030231240A1 (en) On demand techniques for using data associated with a digital image suitable for rasterization at any resolution
KR20120049856A (ko) 컨텐츠 등록 방법
KR101487523B1 (ko) 컨텐츠 등록 방법
KR20130055626A (ko) 컨텐츠 변환 등록 방법
KR20060080662A (ko)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 및 기록매체와 이를 이용한선택적 데이터 전송방법
KR20100010041A (ko) 선택적 데이터 전송방법
KR20050108677A (ko)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위한 기록매체
JP4669183B2 (ja) 任意の解像度でのラスタ化に適切なデジタル画像と関連付けられるデータを使用するためのオンデマンド技法
KR100771198B1 (ko) 영상 데이터를 전자 액자로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