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0662A -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 및 기록매체와 이를 이용한선택적 데이터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 및 기록매체와 이를 이용한선택적 데이터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0662A
KR20060080662A KR1020050001048A KR20050001048A KR20060080662A KR 20060080662 A KR20060080662 A KR 20060080662A KR 1020050001048 A KR1020050001048 A KR 1020050001048A KR 20050001048 A KR20050001048 A KR 20050001048A KR 20060080662 A KR20060080662 A KR 20060080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gital content
storage medium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050001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0662A/ko
Publication of KR20060080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6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적 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는 저장매체로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저장매체로 전송할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추출한 상기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와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할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불가한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구조로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없는 디지털 컨텐츠도 전송과정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전송될 수 있는 소정의 컨텐츠 구조로 편집 및 최적화하여 전송 및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 저장, 편집

Description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 및 기록매체와 이를 이용한 선택적 데이터 전송방법{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for Sending Data Selectively, Method for Sending Data Selectively}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시스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3은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여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는 조건에 부합하도록 편집하는 바람직한 일 예시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품질 및 성능을 최적화되도록 편집하는 바람직한 일 예시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품질 및 성능을 최적화되도록 편집하는 다른 일 예시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클라이언트 단말 105 : 데이터 편집 애플리케이션
110 : 독출부 115 : 판단부
120 : 추출부 125 : 편집부
130 : 전송부 135 : 데이터 저장조건
140 : 데이터 편집모듈 145 : 데이터 포맷정보
150 : 메모리부 155 : 데이터(디지털 컨텐츠)
160 : 생성부 165 : 저장부
170 : 웹서버 175 : 저장매체
180 : 배포서버
185 : 데이터 편집 애플리케이션DB 190 : MMI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유무선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함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 터 저장조건 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저장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만약,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 저장할 수 없다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하도록 편집하여 전송하도록 한다.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인터넷에 게시되는 웹사이트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블로그(Blog) 또는 일인미디어라는 용어가 등장하면서 웹사이트 제작에 대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지지 못한 일반인도 패키지 형태의 웹 게시 마법사 프로그램을 통해 소정의 개인 웹사이트를 제작 및 게시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인터넷에 게시되는 웹사이트의 수는 더욱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블로그 형태의 개인 웹사이트는 단방향의 일방적인 컨텐츠 제공 위주의 웹사이트(예컨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을 통해 웹 문서 또는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사이트)가 아니라, 기본적으로 양방향으로 상호 작용하는 게시판 위주의 웹사이트로서, 상기 웹사이트에 방문한 클라이언트 단말이 상기 서버에 구비된 게시판으로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예컨대, 문자 컨텐츠, 사운드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를 전송하여, 상기 게시판과 연계된 소정의 저장매체에 등록 및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블로그 형태의 개인 웹사이트에 등록 및 게시되는 대부분의 디지털 컨텐츠는 결국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게시판과 연계된 소정의 저장매체에 일단 저장된 후, 상기 게시판이 제공하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시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서버로 업로드(Uploa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게시판 위주의 개인 웹사이트는 기존에 기업이 운영하는 컨텐츠 제공 위주의 웹사이트와 달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매체의 용량을 제한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를 위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소정의 제약 내지 제한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대부분의 블로그 형태의 개인 웹사이트에는 500KB이상의 이미지 컨텐츠를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을 제약 내지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상기와 같이 저장매체로 전송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여 그 용량을 상기 저장매체의 제약 내지 제한 범위 이내로 스스로 알아서 수동으로 조절해야 하는데, 이 과정은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통상의 지식 이상의 가진자가 아니면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용량을 상기 저장매체의 제약 내지 제한 범위 이내로 조절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상기 편집된 디지털 컨텐츠의 질이 편집되지 이 전의 원본보다 떨어지는 문제점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해당 디지털 컨텐츠가 생성되는 시점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소정의 편집 알고리즘에 따라 일방적으로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 및 변환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되는 것을 제약 내지 제한하는 소정의 컨텐츠 저장조건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는 컨텐츠 저장조건에 대응하는 소정의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시켜 전송 및 저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되는 것을 제약 내지 제한하는 소정의 컨텐츠 저장조건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컨텐츠 편집 기능이 구비된 서버에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는 컨텐츠 저장조건에 대응하는 소정의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시켜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는 저장매체로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로 전송할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가 추출한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독출부와, 상기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와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할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불가한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구조로 편집하는 편집부 및 상기 편집부에 의해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은,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은, 개인용 컴퓨터(Person Computer; PC), 키오스크(KIOSK),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스마트폰(Smart Phone)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말에서 저장매체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데이터는 소정의 문자 정보가 포함된 문자 컨텐츠 및/또는 소정의 사운드(Sound) 정보가 포함된 사운드 컨텐츠 및/또는 소정의 이미지(Image)가 포함된 이미지 컨텐츠 및/또는 소정의 사운드와 연속되는 이미지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저장매체로 전송할 데이터를 추출하는 소정의 메모리는 상기 단말내 위치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또는 서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는 각각의 디지털 컨텐츠 파일의 해더(Header)에 포함되는 소정의 데이터 해더정보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데이터 파일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상기 파일 내부(예컨대, 파일 해더(File Deader), 소정의 옵션필드(Option Field), 또는 데이터 영역(Data Area) 등)에 포함되는 데이터 생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 해더정보는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파일포맷의 파일 해더에 저장되는 정보로서, 동일한 파일포맷에는 동일한 항목의 데이터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데이터 해더정보는 해당 파일에 포함된 데이터의 종류를 확정하거나, 상기 데이터를 재생 및/또는 출력하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예컨대, 문자 데이터의 경우 워드프로세서, 사운드 데이터의 경우 사운드 재생 프로그램, 이미지 데이터의 경우 이미지 뷰어(Image Viewer),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경우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 등)에서 상기 데이터를 출력하는데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 생성정보는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및/또는 저장하는 과정에서 상기 데이터의 생성과 관련된 소정의 정보로서,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의 해더, 및/또는 옵션필드, 및/또는 데이터 영역 등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조건 또는 정보와, 상기 데이터에 대한 간략한 설명, 지적재산권의 소유권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데이터가 이미지 데이터라면,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는 이미지 파일의 해더에 포함된 이미지 속성정보(예컨대, 압축코덱(Compressed Codec), 가로세로 픽셀값, 현재용량 등)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경우,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상기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파일 내부에 포함시킨 촬영조건(예컨대, 카메라 제조사 및 모델명, 펌웨어(Firmware) 버전, 촬영시간 등) 내지 촬영정보(예컨대, 셔터속도,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값, 조리개 값, 최대 조리개 값, 촬영모드, 측광모드, 광원, 플래시 사용여부, 초점길이 등)를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될 데이터의 용량 및/또는 포맷 및/또는 속성을 제한하는 제한조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단말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저장매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는 상기 단말에 소정의 조건문 실행코드 형태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 및/또는 상기 저장매체가 구비된 웹서버, 및/또는 네트워크 상에 구비된 별도의 저장매체에 소정의 파라미터 정보의 형태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말의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와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로부터 동일한 항목에 해당하는 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값을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방법에 따라, 상기 선택적 전송단말을 이용한 선택적 데이터 전송 방법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는 저장매체로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저장매체로 전송할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추출한 상기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와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할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불가한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구조로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는 저장매체로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록매체는 상기 저장매체로 전송할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는 기능과, 상기 추출한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기능 및 상기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와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할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판단결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불가한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구조로 편집하는 기능 및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록매체를 구비하는 단말은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데이터는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여 이루 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 구성 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중에서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실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이외에 문자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사운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및/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여 설명하여도 무방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도면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시스템 도면이다.
본 도면1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인터넷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Person Computer; PC) 내지 키오스크(KIOSK),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무선 단말기(예컨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 등)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서버 또는 웹서버(170)와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 프로그램이 탑재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에서 생성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100)에는 문자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 프로그램(예컨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워드, 한글과컴퓨터사의 아래아 한글을 포함하는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 사운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 프로그램(예컨대, 골드웨이브사의 골드웨이브, 사운드파운더리사의 사운드포지를 포함하는 사운드 제작 및 편집 프로그램),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 프로그램(예컨대, 어도비사의 포토샵, JASC사의 페인트샵을 포함하는 이미지 제작 및 편집 프로그램), 및/또는 외부 소스로부터 소정의 동영상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 프로그램(예컨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미디어엔코더, 미스틱미디어사의 블레이즈메디어를 포함하는 동영상 생성 및 편집 프로그램) 등이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 프로그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는 생성부(160)와 상기 생성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00)기 PC라면 하드디스크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에 저장하는 저장부(165) 등이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해 외부장치(예컨대, 디지털 카메라)에서 생성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 된 메모리부(150)에 저장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도면1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사진 촬영을 통해 이미지 컨텐츠를 생성하는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USB를 통해 이미지 컨텐츠를 제공받아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50)에 저장하는 실시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는 상기 서버 또는 웹서버(170)와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소정의 웹브라우저가 탑재되며, 또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는 기능이 구비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이 탑재되는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상기 웹브라우저에 플러그인(Plug-in)의 형태로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네트워크 상에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배포하는 소정의 배포서버(180)에 저장 및 관리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요청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웹서버(170)에 접속하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배포서버(180)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다운로드 및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을 다운로드 및 탑재하는 배포서버(180)의 기능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접속하는 웹서버(170)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상기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75)(예컨대, 웹서버(170)에 구비된 저장매체(175))에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0)과,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0)에 대응하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시키도록 미리 정의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알고리즘 및 이를 처리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모듈(135)과,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포맷 및/또는 압축방식을 확정 또는 변경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종류(예컨대, 문자, 사운드, 이미지, 및/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를 연계하여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50)로부터 상기 저장매체(175)로 전송 및 저장할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하는 추출부(120)와, 상기 추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독출부(110)와, 상기 독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판독 및 상기 판독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을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 지털 컨텐츠)의 편집을 판단하는 판단부(115)와, 상기 판단결과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모듈(140)을 통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75)에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시켜 편집하는 편집부(125)와, 상기 편집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전송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 또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모듈(140), 또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 등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될 소정의 저장매체(175)가 구비된 웹서버(170), 또는 네트워크 상에 구비된 별도의 저장공간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는 과정에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 또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모듈(140), 또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 등이 필요한 경우, 상기 웹서버(170) 또는 네트워크 상에 구비된 별도의 저장공간으로부터 수신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은 상기 저장매체(175)에 저장될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저장매체(175)에 실제로 저장될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별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 내에서 소정의 조건문(예컨대, if… else if… else…)의 실행코드 형태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 내, 또는 상기 저장매체(175)가 구비된 웹서버(170), 또는 네트워크 상에 구비된 별도의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파라미터 정보의 형태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은 상기 저장매체(175)에 저장될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용량 및/또는 파일포맷을 제한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라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용량을 500KB로 제한하거나,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포맷을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또는 SWF(ShockWave Flash)로 제한하거나,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가로방향 픽셀 수를 500픽셀로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와 비교되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할지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과 무관하게 클라이언트의 판단(예컨대,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 상기 입력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MMI(Man Machine Interface)를 통해 웹브라우저를 거쳐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으로 제공됨.)에 의해 해당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를 변경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모듈(140)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원본을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부합하도록 편집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알고리즘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는 실행모듈로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편집 애플리케이션(105) 내에서 미리 정의된 소정의 수치계산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코드(예컨대, 컨텐츠 편집을 위한 소정의 수치계산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클래스(Class) 또는 객체(Object) 또는 스크립트(Script))의 형태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과 동적으로 연결되는 라이브러리(Dynamic Linking Library; DLL), 또는 액티브액스(ActiveX) 컨트롤의 형태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모듈(140)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부합하도록 편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가적으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로 편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라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모듈(140)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색상, 명암, 선명도 등을 상기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형태로 편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모듈(140)은 소정의 필터(Filter) 효과(도시생략)를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특수효과(예컨대, 인물 사진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서 인물의 얼굴을 깨끗한 피부로 표현되도록 하기 위해 명암 및/또는 대조값을 변경하고 블러(Blur) 효과를 주는 특수효과)를 주어 편집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포맷 또는 압축방식을 변경하는데 요구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일포맷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체(Structure) 또는 객체의 형태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축방식을 포함하 고 있는 코덱(Codec)의 형태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추출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종류(예컨대, 문자, 사운드, 이미지, 및/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확정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저장매체(175)에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파일포맷 및/또는 압축방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포맷 및/또는 압축방식을 변경하는데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는 소정의 구조체 또는 파일압축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코드로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과 동적으로 링크되는 라이브러리(DLL), 또는 액티브액스 컨트롤의 형태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포맷 및/또는 압축방식을 변경할 필요가 없는 경우 생략되어도 무방하며, 압축방식의 경우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기 구비되어 있는 코덱(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소정의 압축코 덱이 기 구비되어 있는 경우)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에 포함되는 추출부(12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50)로부터 상기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할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와 같이 추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해더정보 및/또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추출부(12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예컨대, USB 또는 NIC(Network Interface Card))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 또는 저장공간으로부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에 포함되는 독출부(110)는 상기 추출부(120)가 추출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해더정보 및/또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와 같이 독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는 상기 판단부(115)에 의해 상기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에 포함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 장조건(135)과 비교되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를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편집부(125)에 의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를 편집하기 위한 소정의 기준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독출부(110)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방법은, 우선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의 확장자를 판독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와 파일포맷을 통해 일차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파일포맷에 대응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해더를 독출한 후 상기 해더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와 파일포맷을 확정(예컨대, 대부분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는 파일의 해더에는 해당 파일의 포맷 및/또는 코덱을 판단할 수 있는 고유의 식별자가 포함되는데, 상기 독출부(110)는 이와 같은 식별자를 통해 상기 파일포맷을 확정)한 후, 상기 파일포맷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해더정보 및/또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에 포함되는 판단부(115)는 상기 독출부(110)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출한 데 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에 포함(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공간(예컨대, 웹서버(170)에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을 저장하는 소정의 저장공간)에 저장되어 있다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추출 및 수신)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로부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75)에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시켜 편집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판단부(115)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75)에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시켜 편집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으로부터 동일한 항목에 해당하는 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로부터 추출된 값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을 만족하는지 판독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를 편집하도록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에 포함되는 편집 부(125)는 상기 판단부(115)에 의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를 편집하도록 판단되거나, 또는 클라이언트가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소정의 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를 편집하도록 요구하는 경우, 상기 독출부(110)에 의해 독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를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편집부(125)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를 편집하는 것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예컨대, 저장매체(175)에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될 수 있는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저장매체(175)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시켜 편집하는 것과,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지 못한 자라도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75)로 전송 및 저장하는 과정에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클라이언트의 의도를 반영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로 편집하는 것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이고, 상기 저장매체(175)에 JEPG 또는 GIF의 파일포맷과 500KB 이하의 용량을 가진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되도록 상 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포함된 경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75)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시켜 편집하는 것은, 500KB이상의 용량을 갖는 TIFF 또는 BMP의 파일을 500KB 이내의 JEPG 또는 GIF 파일포맷으로 변경하되,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JEPG와 GIF 중에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가장 적절하게 표현하는 소정의 파일구조로 최적화시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SO/IEC JTC 1과 ITU-T가 공동으로 표준화한 JPEG 포맷은 사진과 같은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위한 파일포맷으로서, 적응 불연속 코사인 변환(Adaptive Discrete Cosine Transformation; ADCT) 방식을 포함하는 부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압축하는데, 상기 적응 불연속 코사인 변환은 비압축 시의 이미지 컨텐츠를 5분의 1에서 최대 30분의 1까지 압축할 수 있는 반면, 안티 얼라이어스(Anti Alliance)가 심하기 때문에 경계선이 뭉게지는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반면 미국의 컴퓨서브(CompuServer)사가 1987년에 개발한 GIF 포맷은 래스터 화상(raster image)을 전송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파일포맷으로서, 상기 GIF 포맷은 LZW 부호화 알고리즘(이스라엘 컴퓨터 학자 Abraham Lempel, Jacob Zib, Terry welch가 고안한 압축 알고리즘)을 통해 이미지 컨텐츠를 압축하는데, 상기 LZW 알 고리즘은 최대 256가지 색을 표현하며, 특정한 색을 투명색(Transparent Color)으로 지정하는 투명 GIF, 화상을 저해상도부터 서서히 뚜렷한 화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GIF, 및/또는 GIF를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GIF 애니메이션 등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GIF 포맷은 이미지의 경계선이 선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독출부(110)가 독출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한 알고리즘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판단부(115)가 이를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JPEG로 변경할지 또는 GIF로 변경할지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편집부(125)는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JPEG 또는 GIF 포맷 중에서 특정의 파일포맷으로 변경시킨다.
예컨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서 독출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에 포함된 펌웨어 버전이 특정 디지털 카메라가 사용하는 펌웨어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는 JPEG로 변경하는 것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최적화시켜 변경하는 바람직한 방법이다. 반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서 독출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에 포함된 펌웨어 버전이 코렐드로우(Corel Draw)와 같이 벡터맵 방식의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펌웨어 정보를 포함 하고 있다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는 경계선이 선명한 GIF 포맷으로 변경하는 것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최적화시켜 변경하는 바람직한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인 경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클라이언트의 의도를 반영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로 편집하는 것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색상, 명암, 선명도 등과 같은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파라미터들을 소정의 이미지 프로세싱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처리하되,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컨텐츠 속성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파라미터들을 가장 적절한 값으로 최적화시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화상 이미지에 있어서, 자연광 내지 백열등 아래의 피사체를 형광등 촬영모드에서 촬영하면 상기 피사체의 색상은 원래의 색상보다 푸르게 변하게 되고, 반대로 형광등 아래의 피사체를 자연광 내지 백열등 촬영모드에서 촬영하면 상기 피사체의 색상을 원래의 색상보다 붉게 변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서 독출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에 포함된 촬영모드에 상기 이미지를 촬영할 당시의 조명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의 의도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피사체의 색상을 가능한 원래의 색상이 되도록 원한다면, 상기 형광등 촬영모드에서 촬영된 자연광 내지 백열등 아래 피사체의 색상은 좀더 붉은색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고, 반대로 자연광 내지 백열등 촬영모드에서 촬영된 형광등 아래 피사체의 색상은 좀더 푸른색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에 포함되는 전송부(130)는 상기와 같이 저장매체(175)에 저장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로 편집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75)(예컨대, 웹서버(170)에 구비된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면2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을 실시간 다운로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된 소정의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배포서버(180)와, 상기 배포서버(180)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을 다운로드 및 탑재되는 클라이언트 단말(100)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전송하는 소정의 데이터 (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되는 저장매체(175)를 구비한 웹서버(170)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웹서버(170)에 접속하고, 상기 웹서버(170)에 구비된 소정의 저장매체(175)(예컨대, 웹사이트에 구비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업로드가 가능한 게시판)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을 요청한다. 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상기 웹서버(170)에 접속하여 게시판에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업로드 버튼을 클릭한다.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상기 웹서버(170)에 구비된 소정의 저장매체(175)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을 요청하면, 상기 웹서버(170)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편집하여 상기 저장매체(175)로 전송하도록 미리 정의된 기술구성을 포함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을 배포하는 소정의 배포서버(180)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을 탑재하도록 요청한다.
예컨대, 상기 웹서버(170)는 상기 배포서버(180)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네트워크 연결정보(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00)이 네트워크를 통해 웹서버(170)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스택으로부터 독출된 IP 주소)를 제공하고, 상기 배포서버(180)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 (105)을 배포하도록 요청한다.
상기와 같이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배포하는 것이 요청되면, 상기 배포서버(18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이 탑재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이 탑재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이전 버전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이 탑재되어 있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최신 버전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을 다운로드 및 탑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배포서버(180)는 웹서버(170) 내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이 소정의 이동형 저장매체(175)를 통해 배포되거나,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최신 버전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이 기 탑재되어 있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최신 버전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을 다운로드 및 탑재하는 과정이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최신 버전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이 탑재되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클라이언트가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포함하는 소정의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판독(예컨대, 클라이언트가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중에서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선택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판독)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50)로부터 상기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할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된 USB 또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 포트를 통해 연결되는 소정의 외부장치로부터 직접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하거나, 또는 NIC을 통해 LAN(Local Area Network) 상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공유 메모리로부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할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추출되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상기 추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해더정보 및/또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독출한다.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가 독출되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75)에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예컨대, 프로그램 코드 형태 또는 동적연결된 라이브러리나 액티브액스 컨트롤의 형태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에 포함되거나, 또는 저장매체(175)가 구비된 웹서버(170)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과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을 만족하는지 판독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75)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으로 최적화시켜 편집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175)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으로 최적화시켜 편집하도록 판단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부합하는(예컨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저장매체(175)에 저장될 수 있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로 최적화시켜 편집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클라이언트의 의도를 반영하는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로 편집한다.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상기와 같이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편집되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상기 저장매체(175)에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구조로 최적화시켜 편집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웹서버(170)에 구비된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한다.
도면3은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여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바람직한 흐름도이다.
특히 본 도면3은 상기 도면2와 같이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과정을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본 도면3에 실시되는 방법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본 도면3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됨은 명백할 것이다.
본 도면3은 상기 도면2와 같은 흐름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예컨대, 이미지 컨텐츠를 편집하여 저장매체(175)로 전송 및 저장하도록 미리 정의된 구조와 적어도 하나 이상 의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모듈(140),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 등을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이 탑재되고,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을 통해 상기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할 소정의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추출 및 편집하여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75)로 전송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 것이다.
도면3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을 통해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75)(=웹서버(170)에 구비된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시킬 소정의 이미지가 추출되면(300),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클라이언트 단말(100)에 탑재된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의 확장자를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포맷을 1차로 결정한다(305).
예컨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의 확장자가 “*.BMP”라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는 비트맵 이미지 컨텐츠이고, 상기 파일의 확장자가 “*.JPG”라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는 JEPG 포맷으로 압축된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포맷이 1차로 결정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 파일포맷에 대응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를 추출(예컨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에 포함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를 추출하거나, 또는 웹서버(170) 내지 네트워크 상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해더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1차로 결정된 파일포맷과 일치하는지 파일해더 유효성을 확인한다(31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1차로 결정된 파일포맷에 대응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의 구조에 상기 파일해더에 포함된 정보가 정확하게 매칭된다면, 상기 파일해더 유효성을 확인되는 것이며, 그렇지 않다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해더 유효성은 확인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1차로 결정된 파일포맷에 대응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를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는 파일해더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는다면(315),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 추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 이외에 다른 종류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를 추출하고, 이와 같이 추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를 통해 상기 파일해더에 대한 유효성을 재확인한다(32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파일해더의 유효성을 재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을 통해 확인 가능한 모든 종류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에 대하여 유효성 인증이 시도되며, 모든 종류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에 대하여 시도된 파일해더 유효성 인증이 실패할 경우(325),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 추출된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종료한다.
반면 상기 1차로 결정된 파일포맷에 대응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를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는 파일해더의 유효성이 인증되거나(330), 또는 다른 종류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를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는 파일해더의 유효성이 인증되면,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와 같이 파일해더의 유효성이 인증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포맷정보(145)에 대응하는 파일포맷으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포맷을 확정한다(335).
상기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포맷이 확정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 확정된 파일포맷의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하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을 추출한다(340).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와 같이 파일포맷이 확정된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해더정보 및/또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독출한다.
상기와 같이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이 추출되고,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가 독출되면,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 독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34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과정은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로부터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의 특정항목에 매칭되는 항목의 속성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속성정보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부합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 항목에 대하여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부합하지 않는다면(350),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도면3과 같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75)에 저장될 수 있는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부합하도록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크기, 변경포맷, 및/또는 품질 파라미터의 변경값을 자동 결정한다(355).
반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부합하거나, 또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정보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부합하도록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파라미터의 변경값이 자동으로 결정되면(360),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도면3 내지 도면4 내지 도면5와 같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부합하는 최상의 품질과 효과로 최적화되도록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색상, 명암, 및/또는 선명도 파라미터 변경값을 자동 결정한다(365).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파라미터가 클라이언트가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포함하는 소정의 입력수단을 통해 수동으로 변경되어도 무방하며, 또는 상기와 같이 자동으로 결정된 후에 상기 입력수단으로 통해 클라이언트의 의도대로 재변경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파라미터 변경값이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부합하도록 변경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파라미터의 변경값을 클라이언트가 승인하도록 요청한다.
만약 클라이언트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파라미터의 변경값을 승인하지 않는다면(370),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75)로 전송되지 않고 종료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파라미터의 변경값을 승인하지 않았을지라도,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이미 부합된다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175)로 전송되어 저장되어도 무방하다.
반면 클라이언트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파라미터의 변경값을 승인한다면(375),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파라미터 변경값을 변경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모듈(140)에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대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 털 컨텐츠)를 편집한다(38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에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모듈(140)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는 것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크기, 파일포맷, 품질 또는 색상, 명암, 선명도 등의 변경값을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순차적으로(예컨대, 선행된 변경값을 후행되는 변경값이 무효화시키지 않는 순서대로) 적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편집되면, 클라이언트 단말(100)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에 구비된 저장매체(175)로 전송하여 저장시키는데(385), 이 과정은 기존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웹서버(170)에 업로드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동일하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매체(175)에 저장할 수 있는 조건에 부합하도록 편집하는 바람직한 일 예시도면이다.
특히 본 도면4는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75)에 저장하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이 이미지 가로방 향 픽셀 수가 500픽셀 이내이고, 파일 포맷은 JEPG와 GIF 중에서 선택되며, 색품질은 32비트 이내이고, 이미지 품질의 분해능이 인치당 72픽셀로 고정된 경우에 있어서, 가로방향 739픽셀 및 세로방향 570픽셀의 BMP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부합하도록 편집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추출된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픽셀 수를 상기 컨텐츠 속성정보를 근거로 이미지가 왜곡되지 않게 가로방향 500픽셀 및 세로방향 386픽셀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픽셀 수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재조정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왜곡되지 않도록 가로방향 픽셀 수가 변경하면 그에 대응하여 세로방향 픽셀 수가 자동 변경되고, 반대로 세로방향 픽셀 수가 변경되면 그에 대응하여 가로방향 픽셀 수가 자동 변경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소정의 피사체(예컨대, 풍경)를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것이므로(예컨대, 컨텐츠 생성조건의 펌웨어에 특정 제조 사의 디지털 카메라가 사용하는 펌웨어 버전이 확인되면), 상기 BMP의 파일포맷을 JPEG와 GIF 중에서 JPEG로 포맷으로 결정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색품질 또는 이미지 품질을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에 부합하는 32비트의 색품질과 인치당 72픽셀의 분해능으로 자동 결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변경된 사진크기, 파일포맷, 및 품질 파라미터들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저자매체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저장조건(135)으로 최적화(예컨대, 컨텐츠 저장조건(135)의 제한범위 내에서 최상의 품질로 설정)된 것이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품질 및 성능을 최적화되도록 편집하는 바람직한 일 예시도면이다.
특히 본 도면5는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명암 및/또는 색상을 최상의 품질 및 성능으로 최적화시키는 경우에 대한 것으로서, 자연광 아래의 피사체를 형광등 조명모드에서 촬영하여 화상 이미지가 원래 색상보다 약간 푸르게 나온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색상을 전체적으로 노란색 또는 붉은색 계열로 조정하고, 화사한 느낌을 주기 위해 이미지를 좀더 밝게 명암을 조정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형광등 조명모드에서 촬영된 것을 확인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색상을 전체적으로 노란색 내지 빨간색으로 변경하도록 색상값 변경을 자동 결정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낮 시간에 촬영된 것을 확인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명암을 전체적으로 밝게 변경하도록 명암값 변경을 자동으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색상 내지 명암 변경은 본 도면5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지 못한 자라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수치적인 값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미리보기 화면을 통해 색상 내지 명암을 변경하는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품질 및 성능을 최적화되도록 편집하는 다른 일 예시도면이다.
특히 본 도면5는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선명도를 최상의 품질 및 성능으로 최적화시키는 경우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의 측광모드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이미지를 보다 선명하게 할 것인지 아니면 보다 흐리게 할 것인지 조정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인물사진 내지 정물사진 이라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한 디지털 카메라의 측광모드는 인물사진 또는 정물사진에 적합한 측광모드(예컨대, 아웃포커싱 모드)를 사용하였을 것이며,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풍경사진 이라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한 디지털 카메라의 측광모드는 풍경사진에 적합한 측광모드를 사용하였을 것이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구비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편집 애플리케이션(105)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 속성정보에 포함된 측광모드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좀더 돋보이게 하기 위해 선명도를 자동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풍경을 촬영한 경우 상기 이미지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는 좀더 선명하게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선명도 변경은 본 도면6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지 못한 자라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수치적인 값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미리보기 화면을 통해 선명도를 변경하는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소정의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또는 디지털 컨텐츠)의 저장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하도록 최적으로 편집하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없는 디지털 컨텐츠도 전송과정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전송될 수 있는 소정의 컨텐츠 구조로 편집 및 최적화하여 전송 및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6)

  1.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는 저장매체로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로 전송할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부가 추출한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독출부;
    상기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와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할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불가한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구조로 편집하는 편집부; 및
    상기 편집부에 의해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개인용 컴퓨터(Person Computer; PC), 키오스크(KIOSK),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스마트폰(Smart Phone)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소정의 문자 정보가 포함된 문자 컨텐츠 및/또는 소정의 사운드(Sound) 정보가 포함된 사운드 컨텐츠 및/또는 소정의 이미지(Image)가 포함된 이미지 컨텐츠 및/또는 소정의 사운드와 연속되는 이미지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단말내 위치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또는 서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해더(Header)에 포함되는 소정의 데이터 해더정보, 및/또는 상기 데이터의 생성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해더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종류 정보 및/또는 상기 데이터를 출력하는데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정보는,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조건 또는 정보와, 상기 데이터에 대한 주석정보 또는 지적재산권의 소유권자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
  10.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는,
    상기 데이터가 이미지 컨텐츠인 경우,
    상기 이미지 컨텐츠에 대한 압축코덱(Compressed Codec) 정보, 가로세로 픽셀값 정보, 용량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데이터가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경우,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상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데이터 내부에 포함시킨 촬영조건 및/또는 촬영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될 데이터의 용량 및/또는 포맷 및/또는 속성을 제한하는 제한조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
  12. 제 1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는,
    상기 단말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저장매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
  13. 제 1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는,
    상기 단말에 소정의 조건문 실행코드 형태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 및/또는 상기 저장매체가 구비된 웹서버, 및/또는 네트워크 상에 구비된 별도의 저장매체에 소정의 파라미터 정보의 형태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와 상기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로부터 동일한 항목에 해당하는 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값을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
  15.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는 저장매체로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저장매체로 전송할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추출한 상기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와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할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불가한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구조로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데이터 전송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데이터 전송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데이터 전송방법.
  18. 제 15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소정의 문자 정보가 포함된 문자 컨텐츠 및/또는 소정의 사운드(Sound) 정보 가 포함된 사운드 컨텐츠 및/또는 소정의 이미지(Image)가 포함된 이미지 컨텐츠 및/또는 소정의 사운드와 연속되는 이미지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데이터 전송방법.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단말내 위치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또는 서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데이터 전송방법.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속성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해더(Header)에 포함되는 소정의 데이터 해더정보, 및/또는 상기 데이터의 생성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데이터 전송방법.
  21.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될 데이터의 용량 및/또는 포맷 및/또는 속성을 제한하는 제한조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데이터 전송방법.
  22. 제 15항 또는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는,
    상기 단말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저장매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데이터 전송방법.
  23.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는 저장매체로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저장매체로 전송할 데이터를 소정의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는 기능;
    상기 추출한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속성정보를 독출하는 기능; 및
    상기 독출된 데이터 속성정보와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할 상기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조건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판단결과,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불가한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구조로 편집하는 기능; 및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를 구비하는 단말은,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050001048A 2005-01-06 2005-01-06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 및 기록매체와 이를 이용한선택적 데이터 전송방법 KR200600806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048A KR20060080662A (ko) 2005-01-06 2005-01-06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 및 기록매체와 이를 이용한선택적 데이터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048A KR20060080662A (ko) 2005-01-06 2005-01-06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 및 기록매체와 이를 이용한선택적 데이터 전송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687A Division KR20120060195A (ko) 2012-05-24 2012-05-24 컨텐츠 코덱 변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662A true KR20060080662A (ko) 2006-07-11

Family

ID=37171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048A KR20060080662A (ko) 2005-01-06 2005-01-06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 및 기록매체와 이를 이용한선택적 데이터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06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5690A1 (en) * 2007-03-19 2008-09-25 Motorola, Inc. Content sharing via discovery of and transfer to nearby more capable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5690A1 (en) * 2007-03-19 2008-09-25 Motorola, Inc. Content sharing via discovery of and transfer to nearby more capable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2674B2 (ja) 特定のクライアント装置タイプに対して最適化された動的ビューポート階層化を提供する画像システム
US7010144B1 (en) Associating data with images in imaging systems
CN109670427B (zh) 一种图像信息的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080032739A1 (en) Management of digital media using portable wireless devices in a client-server network
US9123085B2 (en) Optimizing the performance of an image editing system in a client-server environment
EP2352120A1 (en) Network-based access to auxiliary data based on steganographic information
CN102693538A (zh) 生成高动态范围图像的全局对准
US8553977B2 (en) Converting continuous tone images
JP2003037763A (ja) イメージ取得装置においてインテントをセットするシステム
JP4523193B2 (ja) 拡張色域デジタル画像の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保存用製品
JP2014082705A (ja) 撮影機器
JP2016076235A (ja) 複数の多重修正した子マルチメディア資産からのマルチメディア資産の取得
US201601649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content using cloud
CN117076811A (zh) 一种网页导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Besser Introduction to imaging
KR20060080663A (ko)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060080662A (ko) 선택적 데이터 전송 단말 및 기록매체와 이를 이용한선택적 데이터 전송방법
KR20100010041A (ko) 선택적 데이터 전송방법
US20160292298A1 (en) Server device, clien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487523B1 (ko) 컨텐츠 등록 방법
KR20120060195A (ko) 컨텐츠 코덱 변환 방법
CN107347082A (zh) 视频效果的实现方法和装置
KR20120049856A (ko) 컨텐츠 등록 방법
KR20130055626A (ko) 컨텐츠 변환 등록 방법
EP1762068B1 (fr) Procede d&#39;edition de pages multimedia aupres d&#39;un terminal,avec pre-memorisation de parametres d&#39;objets intervenant dans les sce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203

Effective date: 2014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