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8677A -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위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위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8677A
KR20050108677A KR1020040033681A KR20040033681A KR20050108677A KR 20050108677 A KR20050108677 A KR 20050108677A KR 1020040033681 A KR1020040033681 A KR 1020040033681A KR 20040033681 A KR20040033681 A KR 20040033681A KR 20050108677 A KR20050108677 A KR 20050108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server
content
predetermined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석
주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터넷데이터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터넷데이터센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터넷데이터센터
Priority to KR1020040033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8677A/ko
Publication of KR20050108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67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66URL specific, e.g. using aliases, detecting broken or misspelled lin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Digital Contents)를 네트워크 상에 구비된 서버 상에서 소정의 플래시 파일(Flash File)로 동적 생성하여 웹에 게시하는 것에 대한 것으로서, 네트워크 상에서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로 상기 플래시 파일을 생성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된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에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Digital Contents)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로 이루어진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과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및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플래시 컨텐츠 추출코드를 연계처리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독출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송된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저장매체(2)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2)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처리한 후,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서버로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저장매체(2)로부터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추출한 후,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으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에 추가할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선택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에 대응하는 플래시 컨텐츠 추출코드를 독출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2)로부터 상기 플래시 컨텐츠 추출코드와 연계처리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추출한 후,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하여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생성된 플래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웹에 게시되는 소정의 플래시 파일(Flash File)을 생성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상에 게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컨텐츠를 무단도용의 위험성이 적고 고성능 압축으로 저용량화된 플래시 파일로 변환하여 웹에 게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플래시 파일에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를 더 추가하거나, 또는 플래시에서 제공되는 애니메이션 효과, 액션 스크립트, 및/또는 다양한 이벤트 효과를 사용자가 직접 추가 및/또는 편집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보다 동적이고 능동적인 효과를 추가하여 웹에 게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Method for Creating and Managing Flash Automatically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에 구비된 서버 상에서 소정의 플래시 파일(Flash File)을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는 것에 대한 것으로서, 네트워크 상에서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로 상기 플래시 파일을 생성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독출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출력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하여 생성한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플래시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동적으로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플래시(Flash)는 1996년 미국의 퓨쳐웨이브(FutureWave)라는 작은 벤처 기업에서 개발한 웹 애니메이션 제작도구로서, 상기 웹 애니메이션 제작도구는 초기에 퓨쳐스플래시 애니매이터(FutureSplash Animator)라는 이름으로 발표되었는데, 그 당시로서는 그리 크게 인기를 끌지 못하였다. 그러나, 그 기능의 막강함과 웹에서의 효용성에 대한 가능성 때문에 웹 멀티미디어 시장을 노리던 매크로미디어(Macromedia) 사가 1997년 1월에 퓨쳐웨이브(FutureWave) 사를 인수하게 되었으며, 이 후 가장 일반화된 웹 애니메이션 제작도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상기 플래시는 기본적으로 벡터 드로잉을 기반으로 하는데, 벡터 드로잉 방식은 종래의 비트맵 방식의 일반적인 그래픽(예컨대, GIF, JPEG, BITMAP, PCX 등)과 달리 수학적인 원리에 입각하여 선(예컨대, 베지어 곡선)과 도형의 집합으로 그래픽을 처리하는 방식으로서, 상기 벡터 이미지의 구성 요소인 객체(Object)는 자체적으로 색상, 도형, 외곽선, 크기 및 화면에서의 위치 등의 특성 값을 지니고 있으며, 각 객체의 독립성이 고유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그래픽에서 다른 객체에 영향을 주지 않고 본래의 깨끗한 모양을 정확히 유지하면서 수정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와 같은 벡터 드로잉 방식에 의해 상기 플래시는 다양한 애니메이션 효과, 액션 스크립트, 및/또는 다양한 이벤트 효과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태그포맷을 사용하기 때문에 확장성이 뛰어나고, 네트워크를 통해 무한대의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는 고성능 압축 포맷을 지원하며, 소정의 플러그인으로 운영체제에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플래시는 상기와 같은 벡터 드로잉 외에도, 기존 비트맵 방식의 그래픽이나, 사운드, 동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 경우에도 상기 플래시의 특징(예컨대, 다양한 애니메이션 효과, 액션 스크립트, 및/또는 다양한 이벤트 효과의 추가, 또는 고성능 압축 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플래시를 생성하기 위한 종래의 플래시 애플리케이션 환경은, 사용자가 플래시 플레이어에서 재생 가능한 플래시 파일(예컨대, 쇼크웨이브 파일(ShockWave File))을 생성하기 위해 반드시 플래시 소프트웨어(예컨대, FLASH 3, 5, MX 등)를 구입하여 직접 제작해야만 했으며, 일단 제작된 쇼크웨이브 파일을 이용하여 컴파일(또는 익스포트)되기 이전의 소스 파일인 FLA 파일을 재생성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물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1998년 매크로미디어사는 SWF 파일을 FLA 파일 코드로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즉 쇼크웨이브 파일의 임포트(Import)를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추가하였으나, 임포트 하더라도 FLA(FLAsh) 파일을 볼 수 있을 뿐이고, 쇼크웨이브 파일의 보호(Protect)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쇼크웨이브 파일의 수정 및 편집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상존할 뿐 아니라, 보호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라도 쇼크웨이브 파일의 수정 및 편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84048호(발명의 명칭: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는 벡터 드로잉 방식으로 클라이언트 단말에 저장된 플래시 탬플릿(Flash Template) 또는 서버로부터 제공된 소정의 플래시 탬플릿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플래시 탬플릿을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 단에서 상기 플래시 탬플릿을 컴파일(또는 익스포트(Export))하여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공보는 초기에 플래시 탬플릿(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에 기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서버로부터 제공된 플래시 탬플릿)으로 제작되어 있는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수정 및 편집하여 서버 단에서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재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단순히 플래시 컨텐츠를 재편집하여 재생성하는 방법만을 개시할 뿐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서버 단에서 소정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단말단에서 편집한 후, 서버 단에서 플래시 파일로 컴파일(또는 익스포트)하여 웹에 게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서버 단에서 소정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에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추가 및/또는 편집한 후, 서버 단에서 플래시 파일로 컴파일(또는 익스포트)하여 웹에 게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에서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로 상기 플래시 파일을 생성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된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에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Digital Contents)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로 이루어진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과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및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플래시 컨텐츠 추출코드를 연계처리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독출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송된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저장매체(2)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2)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처리한 후,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서버로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저장매체(2)로부터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추출한 후,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으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에 추가할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선택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에 대응하는 플래시 컨텐츠 추출코드를 독출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2)로부터 상기 플래시 컨텐츠 추출코드와 연계처리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추출한 후,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하여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생성된 플래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웹에 게시되는 소정의 플래시 파일(Flash File)을 생성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상에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에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Digital Contents)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독출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송된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저장매체(2)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2)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처리한 후,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출력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하여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생성된 플래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웹에 게시되는 소정의 플래시 파일(Flash File)을 생성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상에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Digital Contents)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소정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소정의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서버에서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로 이루어진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과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및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플래시 컨텐츠 추출코드를 연계처리하여 저장하는 단계;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서버로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추출한 후,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으로부터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선택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에 대응하는 플래시 컨텐츠 추출코드를 독출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플래시 컨텐츠 추출코드와 연계처리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추출한 후,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하여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생성된 플래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웹에 게시되는 소정의 플래시 파일(Flash File)을 생성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상에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유선 단말(예컨대, 인터넷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 및/또는 무선 단말(예컨대, 무선랜에 연결된 무선 노트북) 및/또는 휴대폰(예컨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에 저장되는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는, 소정의 이미지 포맷(Image Format)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비트맵 방식의 이미지 컨텐츠, 소정의 사운드 포맷(Sound Format)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사운드 컨텐츠, 및/또는 소정의 압축 코덱(Compressed Code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동영상 컨텐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되는 저장매체(1)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부 또는 하드디스크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연결된 소정의 장치(예컨대, 디지털 카메라)에 구비된 메모리부 또는 이동식 메모리를 포함하며, 네트워크 상에 구비된 소정의 웹서버(Web Server) 또는 웹하드(Web Hard)에 구비된 저장매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에 저장되는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서버 단에서 플래시 파일에 포함될 수 있는 플래시 탬플릿 형태로 변환 및/또는 가공 처리된 플래시 컨텐츠로서, 상기 서버 단에서 상기 원본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원래의 소정의 이미지 포맷, 사운드 포맷, 및/또는 압축 코덱으로부터 상기 플래시에 임포트되는 것이 가능한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되고, 상기와 같이 변환된 포맷을 통해 플래시 탬플릿 형태로 임포트된 것으로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서 소정의 플래시 탬플릿의 구조를 포함하도록 변환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에 추가하기 위해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2)에 저장한 플래시 컨텐츠로서, 기본적으로 플래시 탬플릿의 구조를 포함하며, 각각의 정의된 기능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니메이션 효과, 액션 스크립트, 및/또는 이벤트 효과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저장매체(2)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는 특정의 플래시 컨텐츠 추출코드와 연계되어 상기 저장매체(2)에 저장되는데, 플래시 컨텐츠 추출코드는 상기 저장매체(2)에서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소정의 질의(Query)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매체(2)에는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외에 상기 서버에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XML(eXtended Markup Language) 코드, 및/또는 플래시용 태그(Tag) 등을 포함하는 소정의 플래시 코드를 더 포함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매체(2)에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도시 생략)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하지 않는 경우(예컨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이 기 탑재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매체(2)에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는 것이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에 정의된 구조에 대응하는 소정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통해 설정된 소정의 플래시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래시 데이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와, 뷰 상에서 상기 플래시 컨텐츠의 위치 정보 또는 확대/축소 정보와, 상기 플래시 컨텐츠에 적용된 애니매이션 효과와 액션 스크립트 및/또는 이벤트 효과와, 및/또는 서버 단에서 상기 플래시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소정의 플래시 파일이 게시될 네트워크 상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Digital Contents)를 독출하는 기능; 상기 독출한 디지털 컨텐츠(Digital Contents)를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 상기 서버에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여 전송하면,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서버로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요청하는 기능;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면, 이를 수신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상에 출력하는 기능; 클라이언트가 상기 출력된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에서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에 추가할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선택시, 상기 선택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상기 서버로 요청하는 기능;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선택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제공하면, 이를 수신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상에 출력하는 기능; 상기 출력된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하여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생성된 플래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Digital Contents)를 독출하는 기능; 상기 독출한 디지털 컨텐츠(Digital Contents)를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 상기 서버에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여 전송하면,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수신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하여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생성된 플래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요청하는 기능;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면, 이를 수신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상에 출력하는 기능; 클라이언트가 상기 출력된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에서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선택시, 상기 선택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상기 서버로 요청하는 기능;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선택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제공하면, 이를 수신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상에 출력하는 기능; 상기 출력된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하여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생성된 플래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아 소정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 처리하는 기능; 상기 변환 처리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이용하여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시,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수신한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웹에 게시되는 소정의 플래시 파일(Flash File)을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생성된 플래시 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상에 게시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아 소정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 처리하는 기능; 상기 변환 처리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이용하여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시,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수신한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웹에 게시되는 소정의 플래시 파일(Flash File)을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생성된 플래시 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상에 게시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는 기능;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선택시, 상기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수신한 선택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소정의 저장매체로부터 추출하는 기능; 상기 추출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이용하여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시,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수신한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웹에 게시되는 소정의 플래시 파일(Flash File)을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생성된 플래시 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상에 게시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 구성 요소를 총괄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총괄적인 실시예의 일부분만을 상정하여 개별적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여도 무방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도면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 및/또는 편집하여 웹 상에 게시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 및/또는 편집하여 웹 상에 게시하는 시스템은,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 및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생성하는 플래시 생성 엔진(105)이 구비된 서버(100)와, 상기 서버(100)로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 및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100)로 제공하는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이 구비된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구성되는데, 상기 서버(100) 및 클라이언트 단말(140)의 기능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구성요소는 생략하고,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해 요구되는 기능구성을 도시하여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서버(100) 또는 클라이언트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비교적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1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140)에는 저장매체(1)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독출하여 상기 서버(100)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래시 컨텐츠(예컨대,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하여 사용자가 정의한 소정의 플래시 구조와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다시 상기 서버(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이 구비된다.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은 상기 서버(100) 단에서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동적으로 생성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제공받아야 하는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소정의 기능(Function)이 구조화된 탬플릿으로서,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에 구비된 플래시 생성 엔진과 연동하여 상기 서버(100) 단에서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동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에서 미리 정의된 구조(예컨대, 탬플릿에 정의된 사용자 입력)를 통해 서버(100) 단에서 동적 생성될 플래시 파일에 탑재될 소정의 플래시 구조를 상기 사용자가 정의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은 상기 저장매체(1)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독출하는 독출부(160),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통해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예컨대, 상기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변환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100)측의 저장매체(2)로부터 추출되어 제공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하는 편집부(150), 상기 서버(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페이스하며, 상기 독출부(160)에 의해 독출된 디지털 컨텐츠 및/또는 상기 편집부(150)에 의해 생성된 플래시 데이터를 상기 서버(100)로 전송하는 전송부(155), 및 상기 서버(100)로부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100)측 플래시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165)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에 구비되는 독출부(16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에서 접근 가능한 저장매체(1)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독출부(16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구비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구비된 NIC(Network Interface Card)를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예컨대, 웹하드), 및/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구비된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해 연결된 소정의 장치(예컨대, 디지털 카메라)에 구비된 메모리부 등으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독출부(160)에 의해 상기 저장매체(1)로부터 독출되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는 소정의 이미지 포맷(예컨대, GIF, JPEG, BITMAP, PCX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비트맵 방식의 이미지 컨텐츠, 소정의 사운드 포맷(예컨대, MP3, WM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사운드 컨텐츠, 및/또는 소정의 압축 코덱(예컨대, DIVX, MPEG)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동영상 컨텐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에 구비되는 전송부(155)는 상기 독출부(160)에 의해 독출된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서버(1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와 같이 전송된 디지털 컨텐츠는 상기 서버(100)에서 플래시 파일에 포함되는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 처리된다. 예컨대, 상기 전송부(155)가 상기 서버(100)로 이미지 컨텐츠를 전송한 경우, 상기 이미지 컨텐츠는 상기 서버(100)에서 플래시에 임포트되는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 처리된다.
또한, 상기 전송부(155)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 외에 추가적으로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에 추가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래시 컨텐츠를 포함하는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추출하여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소정의 명령을 상기 서버(100)로 전송하거나, 상기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기반으로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에 추가하도록 선택된 서버(100측 플래시 컨텐츠를 추출하여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플래시 컨텐츠 추출코드를 상기 서버(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에 구비되는 편집부(150)에 의해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하여 생성된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를 상기 서버(1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에 구비되는 수신부(165)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서버로 전송된 상기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변환 처리된 플래시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플래시 컨텐츠 목록(예컨대,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2)에 저장되어 있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에 대한 목록)을 수신하거나, 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예컨대,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2)(130)에 저장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에서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에 추가하기 위해 상기 플래시 컨텐츠 목록으로부터 선택한 플래시 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이 구비되는 편집부(150)는 상기 수신부(165)를 통해 상기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하고, 상기 서버(100) 단에서 상기 편집된 플래시 컨텐츠를 소정의 플래시 파일로 동적 생성 및 웹 상에 게시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소정의 부가정보가 추가된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편집부(150)가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포함하는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하는 것은,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에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추가하거나, 상기 플래시 컨텐츠에 소정의 프레임(Frame)을 추가하거나, 또는 상기 플래시 컨텐츠에 다양한 효과를 추가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와 같은 플래시 컨텐츠 편집과정은 클라이언트 단말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편집부(150)는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구비된 소정의 MMI(Man Machine Interface)를 통해 미리 정의된 구조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예컨대,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소정의 키 데이터, 및/또는 마우스로부터 획득되는 포인팅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에 설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는 해당 플래시 컨텐츠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 입력 데이터가 정의된다. 예컨대, 상기 플래시 컨텐츠가 레이어(Layer) 형태로 이루어진 벡터맵 데이터라면, 상기 플래시 컨텐츠는 드래그앤드롭(Drag and Drop)에 해당하는 마우스 입력 데이터를 통해 위치가 이동되거나, 또는 벡터맵의 우-하단 포인터의 드래그(Drag)에 해당하는 마우스 입력 데이터를 통해 확대/축소되는 사용자 입력 데이터가 정의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상기 플래시 컨텐츠의 플래시 구조를 정의하는데,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 의해 정의되는 플래시 구조는 뷰 상에서 플래시 컨텐츠의 위치, 확대/축소, 애니메이션 효과, 액션 스크립트, 및/또는 다양한 이벤트 효과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통해 상기 플래시 컨텐츠가 편집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가 정의한 플래시 구조가 상기 플래시 컨텐츠에 설정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정의한 플래시 구조는 XML에 기반하는 웹 컨트롤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편집된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와 웹 컨트롤은 플래시 데이터로 정의되는데, 상기 플래시 데이터는 웹 컨트롤 형식(예컨대, XML)의 플래시 구성 소스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와,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 플래시 컨텐츠의 위치 정보 또는 확대/축소 정보와, 상기 플래시 컨텐츠에 적용된 애니메이션 효과와 액션 스크립트 및/또는 이벤트 효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플래시 데이터에는 서버(100) 단에서 동적 생성되는 플래시 파일에 게시되는 네트워크 상의 URL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1을 참조하면, 서버(100)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 처리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전송하고, 상기 저장매체(2)(130)에 저장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전송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수신된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로부터 플래시 파일을 동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플래시 생성 엔진(105)이 구비된다.
플래시 생성 엔진(105)은 상기 서버(100) 단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거나,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제공되는 플래시 데이터를 통해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동적으로 생성하기 위해 상기 서버(100)에 구비된 모듈로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거나, 또는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컴파일(또는 익스포트)하여 소정의 플래시 파일(예컨대, 쇼크웨이브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소정의 컴파일러(Compiler), 라이브러리(Library), 및/또는 리소스(Resource)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플래시 생성 엔진(105)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140)들과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부(110),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아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 처리하는 컨텐츠 변환부(115),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와 플래시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매체(2)(130), 상기 저장매체(2)(130)로부터 플래시 컨텐츠 목록,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플래시 코드 등을 추출하는 추출부(120),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플래시 데이터를 제공받아 웹 상에 게시하는 것이 가능한 플래시 파일을 동적으로 생성하는 플래시 생성부(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래시 생성 엔진(105)에 구비되는 인터페이스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140)과 통신 세션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 세션을 통해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동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부(11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이 상기 서버(100)에 접속하여 수행하는 일련의 과정(예컨대, 회원 로그인, 플래시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래시 생성 엔진(105)에 구비되는 컨텐츠 변환부(115)는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이 탑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플래시에서 사용하는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기 위한 소정의 컴파일러(예컨대, 파일 포맷 변환모듈), 라이브러리(예컨대, 파일 포맷을 변환하는데 요구되는 라이브러리), 및/또는 리소스(예컨대, 파일 포맷을 변경하는데 요구되는 코덱)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변환부(115)는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이 탑재된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예컨대, 이미지, 사운드, 또는 동영상)와 포맷(예컨대, 파일 포맷, 또는 압축 포맷 등)을 판독하고, 상기 판독결과를 근거로 디지털 컨텐츠를 플래시에 임포트 가능한 구조로 변경하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플래시로 임포트하여 플래시 탬플릿 형태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텐츠 변환부(115)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플래시로 임포트하는 과정에서 상기 저장매체(2)(130)에 저장된 플래시 코드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임포트되는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최적화시키며,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에 소정의 애니메이션 효과, 액션 스크립트, 및/또는 이벤트 효과를 더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수신된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가 소정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되면, 상기 컨텐츠 변환부(115)는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전송한다.
상기 플래시 생성 엔진(105)에 구비되는 추출부(120)는 상기 저장매체(2)(130)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소정의 플래시 코드를 추출하여 상기 컨텐츠 변환부(115)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저장매체(2)(130)에 저장되어 있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에 대한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추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제공하거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제공되는 플래시 컨텐츠 추출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저장매체(2)(13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제공하거나,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플래시 데이터가 수신되고 상기 플래시 데이터에 포함된 플래시 컨텐츠에 탑재할 소정의 플래시 코드를 추출하여 상기 플래시 생성부(125)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래시 생성 엔진(105)에 구비되는 플래시 생성부(125)는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이 탑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수신되는 플래시 데이터를 컴파일(또는 익스포트)하여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동적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플래시 파일에 사용되는 소정의 프레임(Frame), 레이어(Layer), 액션(Action), 및/또는 스테이지(Stage)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리머티브(Premitive)를 포함하고,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웹 상에 게시되는 소정의 플래시 파일로 컴파일(또는 익스포트)하기 위한 소정의 컴파일러(예컨대, 쇼크웨이브 파일 생성모듈), 라이브러리(예컨대, 플래시 소스로부터 쇼크웨이브 파일을 생성하는데 요구되는 라이브러리), 및/또는 리소스(예컨대, 쇼크웨이브 파일을 생성하는데 요구되는 이미지/사운드 파일, 폰트(Font) 등)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플래시 생성부(125)는 매크로미디어사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통해 제작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수신된 상기 플래시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에 구비된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플래시 데이터에 정의한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 구조)를 상기 서버(100) 상에서 실현하여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동적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플래시 생성부(125)는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이 탑재된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플래시 데이터에 포함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독출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에서 사용자가 소정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통해 상기 플래시 데이터에 포함된 플래시 컨텐츠에 정의한 소정의 플래시 구조를 판독한다.
예컨대, 상기 플래시 생성부(125)에서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정의한 플래시 구조를 판독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구비된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을 이용하는 소정의 입력 데이터를 통해 상기 플래시 데이터에 포함된 플래시 컨텐츠의 위치 정보 또는 확대/축소 정보와, 상기 플래시 컨텐츠에 적용된 애니메이션 효과와 액션 스크립트 및/또는 이벤트 효과를 판독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플래시 데이터에 포함된 플래시 컨텐츠에 사용자가 정의한 플래시 구조가 판독되면, 상기 플래시 생성부(125)는 추출부(120)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2)(130)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정의한 플래시 구조를 상기 플래시 데이터에 포함된 플래시 컨텐츠에 탑재할 소정의 플래시 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플래시 코드를 미리 정의된 소정의 자료구조로 구조화하여 상기 플래시 데이터에 포함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에 탑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플래시 생성부(125)가 상기와 같이 소정의 플래시 코드를 상기 플래시 데이터에 포함된 플래시 컨텐츠에 탑재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래시 코드와 연계된 소정의 리소스(예컨대, 이미지/사운드 데이터, 또는 폰트)가 추출되어 상기 플래시 컨텐츠에 추가되는 것이 가능하며, 리소스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예컨대, 상기 플래시 생성부(125)에서 상기 플래시 데이터에 포함된 플래시 컨텐츠에 사용자가 정의한 플래시 구조의 판독결과가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에 눈(Snow)이 내리는 이벤트 효과를 설정한 것으로 판독되면, 플래시 생성부(125)는 상기 플래시 코드 중에서 화면에 눈이 내리게 하는 이벤트 효과를 위한 소정의 플래시 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코드에서 사용하는 이미지 데이터(예컨대, 화면에 뿌려질 눈(Snow) 이미지)를 함께 추출하여 상기 플래시 컨텐츠에 탑재한다.
또한, 예컨대 상기 플래시 생성부(125)에서 상기 플래시 데이터에 포함된 플래시 컨텐츠에 사용자가 정의한 플래시 구조의 판독결과가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에 비가 내리는 이벤트 효과를 설정한 것으로 판독되면, 플래시 생성부(125)는 상기 플래시 코드 중에서 화면에 비(Rain)가 내리게 하는 이벤트 효과를 위한 소정의 플래시 코드를 추출하여 상기 플래시 컨텐츠에 탑재하는데, 상기 비(Rain)는 점 또는 직선 형태의 벡터로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리소스가 추출되는 과정이 생략된다.
상기와 같이 플래시 데이터에 포함된 플래시 컨텐츠에 사용자가 정의한 플래시 구조가 탑재되면, 플래시 생성부(125)는 상기 플래시 컨텐츠를 상기 플래시 구조로 컴파일(또는 익스포트)하여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플래시 생성부(125)가 사용자가 정의한 플래시 구조로 플래시 파일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래시 생성부(12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컴파일러, 라이브러리, 및/또는 리소스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정의한 소정의 플래시 구조로 플래시 파일이 생성되면, 상기 플래시 생성부(125)는 상기 플래시 데이터로부터 상기 플래시 파일이 게시될 URL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URL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로 상기 플래시 파일을 복사함으로써 상기 플래시 파일을 웹 상에 게시한다.
도면2는 클라이언트 단말(140)에서 독출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서버(100) 단에서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 및/또는 편집하여 웹 상에 게시하는 일 실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히, 본 도면2는 클라이언트 단말(140)에서 독출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서버(100) 단에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하여 서버(100) 단에서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동적 생성하여 웹 상에 게시하는 과정에 대한 것이다.
본 도면2와 같은 과정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구비된 디지털 컨텐츠를 서버(100) 단에서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 및/또는 편집하여 웹 상에 게시하기 위해서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이 접근 가능한 저장매체(1)에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가 기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실시간 생성하여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저장매체(1)에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소정의 절차(예컨대, 회원 로그인)를 수행한 후, 클라이언트 단말(140)에서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를 추가 및/또는 편집하는 기능이 정의된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을 요청하고, 상기 서버(100)는 상기와 같은 기능이 정의된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전송하여 탑재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상기와 같은 기능이 정의된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이 기 탑재되어 있다면,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을 탑재하는 과정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를 추가 및/또는 편집하는 기능이 정의된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이 탑재되면,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은 미리 정의된 구조에 따르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저장매체(1)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예컨대, 이미지, 사운드, 또는 동영상 컨텐츠)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디지털 컨텐츠를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버(100) 단에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도록 요청한다.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한 서버(100)는 플래시 생성 엔진(105)에 구비된 컨텐츠 변환부(115)를 통해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한다. 이에 대한 바람직한 과정은 도면5에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디지털 컨텐츠가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되면, 상기 서버(100)에 구비된 플래시 생성 엔진(105)은 상기 생성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전송하여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 화면에 출력시킨다.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가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구비된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 화면에 출력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 사용자는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에 정의된 구조에 따라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소정의 플래시 구조로 정의 및 설정하여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통해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은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에서 상기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버(100) 단에서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정의한 플래시 구조를 포함하는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동적 생성하도록 요청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사용자가 정의한 플래시 구조를 포함하는 플래시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100)에 구비된 플래시 생성 엔진(105)은 상기 플래시 데이터에 포함된 플래시 컨텐츠에 상기 사용자가 정의한 플래시 구조를 탑재한 후, 상기 플래시 컨텐츠를 컴파일(또는 익스포트)하여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플래시 파일을 웹 상에 게시한다. 이에 대한 바람직한 과정은 도면6에서 설명한다.
도면3은 클라이언트 단말(140)에서 독출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서버(100) 단에서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 및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를 추가 및/또는 편집하여 웹 상에 게시하는 일 실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히, 본 도면3은 클라이언트 단말(140)에서 독출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서버(100) 단에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추가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하여 서버(100) 단에서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동적 생성하여 웹 상에 게시하는 과정에 대한 것이다.
본 도면3과 같은 과정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구비된 디지털 컨텐츠를 서버(100) 단에서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 및/또는 편집하여 웹 상에 게시하기 위해서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이 접근 가능한 저장매체(1)에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가 기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실시간 생성하여 저장되어 있어야 하며, 또한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2)에 플래시 파일을 동적 생성하여 웹 상에 게시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생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래시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매체(2)에 저장되는 상기 플래시 컨텐츠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로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변환 및 생성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에 추가되는 아이템으로서, 소정의 구조(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40)에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가 정의하는 특정의 플래시 구조로 정의될 수 있는 구조)로 미리 정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매체(2)(130)에는 클라이언트 단말(140)에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통해 정의된 소정의 플래시 구조를 실현하기 위한 소정의 플래시 코드를 더 포함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 의해 정의 플래시 구조가 상기 플래시 코드를 요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저장매체(2)(130)에 상기 플래시 코드가 저장되는 것이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저장매체(1)에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되고, 상기 저장매체(2)(130)에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플래시 코드가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서버(100)에 접속하여 소정의 절차(예컨대, 회원 로그인)를 수행한 후, 클라이언트 단에서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를 추가 및/또는 편집하는 기능이 정의된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을 요청하고, 상기 서버(100)는 상기와 같은 기능이 정의된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전송하여 탑재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상기와 같은 기능이 정의된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이 기 탑재되어 있다면,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을 탑재하는 과정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를 추가 및/또는 편집하는 기능이 정의된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이 탑재되면,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은 상기 도면2와 같이 소정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저장매체(1)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예컨대, 이미지, 사운드, 또는 동영상 컨텐츠)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디지털 컨텐츠를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버(100) 단에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한 서버(100)는 플래시 생성 엔진(105)에 구비된 컨텐츠 변환부(115)를 통해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한 후, 상기 생성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전송하여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 화면에 출력시킨다. 이에 대한 바람직한 과정은 도면5에서 설명한다.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가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구비된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 화면에 출력되면,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에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를 추가하기 위해 상기 서버(100)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에 대한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전송하도록 요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매체(2)(130)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가 카테고리(Category) 별로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는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 사용자는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이 제공하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에 추가할 플래시 컨텐츠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된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전송하도록 요청한다.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 목록의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서버(100)에 구비된 플래시 생성 엔진(105)은 저장매체(2)(130)로부터 해당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전송하여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 화면에 출력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플래시 컨텐츠 목록은 미리보기(Preview) 화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라디오 버튼(Radio Button)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래시 컨텐츠 중에서 특정 플래시 컨텐츠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 화면에 상기 플래시 컨텐츠 목록이 출력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 사용자는 상기 플래시 컨텐츠 목록에 포함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에 추가할 특정 플래시 컨텐츠를 선택하고,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플래시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2)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 추출코드를 생성한다.
상기 플래시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플래시 컨텐츠 중에서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에 추가된 특정 플래시 컨텐츠가 선택 및 상기 플래시 컨텐츠를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로서 상기 저장매체(2)(130)로부터 추출할 소정의 플래시 추출코드가 생성되면,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은 상기 플래시 컨텐츠 추출코드를 상기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버(100)로부터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추출하여 전송하도록 요청한다.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의 추출 및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서버(100)에 구비된 플래시 생성 엔진(105)은 상기 플래시 컨텐츠 추출코드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2)(130)로부터 해당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전송하여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 화면에 출력시킨다.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구비된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 화면에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와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가 출력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 사용자는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에 각각 정의된 소정의 구조에 따라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통해 상기 플래시 컨텐츠를 소정의 플래시 구조로 정의 및 설정하여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통해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은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에서 상기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버(100) 단에서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정의한 플래시 구조를 포함하는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동적 생성하도록 요청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사용자가 정의한 플래시 구조를 포함하는 플래시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100)에 구비된 플래시 생성 엔진(105)은 상기 플래시 데이터에 포함된 플래시 컨텐츠에 상기 사용자가 정의한 플래시 구조를 탑재한 후, 상기 플래시 컨텐츠를 컴파일(또는 익스포트)하여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플래시 파일을 웹 상에 게시한다. 이에 대한 바람직한 과정은 도면6에서 설명한다.
도면4는 클라이언트 단말(140)에서 네트워크 상에 저장되는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하여 웹 상에 게시하는 일 실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히, 본 도면4는 네트워크 상에 저장되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단말(140)에서 편집한 후,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하여 서버(100) 단에서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동적 생성하여 웹 상에 게시하는 과정에 대한 것이다.
본 도면4와 같은 과정을 통해 네트워크 상에 저장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하여 웹 상에 게시하기 위해서는, 상기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2)(130)에 플래시 파일을 동적 생성하여 웹 상에 게시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생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래시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매체(2)(130)에 저장되는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는 소정의 구조(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40)에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가 정의하는 특정의 플래시 구조로 정의될 수 있는 구조)로 미리 정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매체(2)(130)에는 클라이언트 단말(140)에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통해 정의된 소정의 플래시 구조를 실현하기 위한 소정의 플래시 코드를 더 포함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 의해 정의 플래시 구조가 상기 플래시 코드를 요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저장매체(2)(130)에 상기 플래시 코드가 저장되는 것이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저장매체(2)에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플래시 코드가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서버(100)에 접속하여 소정의 절차(예컨대, 회원 로그인)를 수행한 후, 클라이언트 단에서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를 추가 및/또는 편집하는 기능이 정의된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을 요청하고, 상기 서버(100)는 상기와 같은 기능이 정의된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전송하여 탑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실시 방법으로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이 기 탑재되어 있다면,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을 탑재하는 과정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이 탑재되면,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은 네트워크 상에 저장된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해 상기 서버(100)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에 대한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전송하도록 요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매체(2)(130)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가 카테고리(Category) 별로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는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 사용자는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이 제공하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에서 편집할 플래시 컨텐츠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된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전송하도록 요청한다.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 목록의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서버(100)에 구비된 플래시 생성 엔진은 저장매체(2)(130)로부터 해당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전송하여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 화면에 출력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플래시 컨텐츠 목록은 미리보기(Preview) 화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라디오 버튼(Radio Button)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래시 컨텐츠 중에서 특정 플래시 컨텐츠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 화면에 상기 플래시 컨텐츠 목록이 출력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 사용자는 상기 플래시 컨텐츠 목록에 포함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에서 편집할 특정 플래시 컨텐츠를 선택하고,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플래시 컨텐츠를 상기 저장매체(2)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 추출코드를 생성한다.
상기 플래시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플래시 컨텐츠 중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에서 편집할 특정 플래시 컨텐츠가 선택 및 상기 플래시 컨텐츠를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로서 상기 저장매체(2)(130)로부터 추출할 소정의 플래시 추출코드가 생성되면,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은 상기 플래시 컨텐츠 추출코드를 상기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버(100)로부터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추출하여 전송하도록 요청한다.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의 추출 및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서버(100)에 구비된 플래시 생성 엔진(105)은 상기 플래시 컨텐츠 추출코드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2)(130)로부터 해당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전송하여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 화면에 출력시킨다.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구비된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 화면에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가 출력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 사용자는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에 각각 정의된 소정의 구조에 따라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통해 상기 플래시 컨텐츠를 소정의 플래시 구조로 정의 및 설정하여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통해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은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에서 상기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버(100) 단에서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정의한 플래시 구조를 포함하는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동적 생성하도록 요청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사용자가 정의한 플래시 구조를 포함하는 플래시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100)에 구비된 플래시 생성 엔진(105)은 상기 플래시 데이터에 포함된 플래시 컨텐츠에 상기 사용자가 정의한 플래시 구조를 탑재한 후, 상기 플래시 컨텐츠를 컴파일(또는 익스포트)하여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플래시 파일을 웹 상에 게시한다. 이에 대한 바람직한 과정은 도면6에서 설명한다.
도면5는 클라이언트 단말(140)에서 독출된 디지털 컨텐츠를 서버 단에서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는 바람직한 실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구비된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으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가 독출되어 상기 서버(100)로 수신되면(500), 상기 서버(100)에 구비된 플래시 생성 엔진(105)의 컨텐츠 변환부(115)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를 판독한다(50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컨텐츠는 소정의 자료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파일(File)의 형태로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수신되는데, 상기 컨텐츠 변환부(115)는 상기 파일의 확장자 및/또는 해더(Header)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를 판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수신된 디지털 컨텐츠가 컴퓨서브(CompuServe) 사의 투명 이미지 컨텐츠라면, 상기 파일의 확장자는 GIF이며, 상기 파일 해더의 제1 메모리 주소에서 제6 메모리 주소에는 “GIF89a”라는 문자가 저장되는데, 상기 컨텐츠 변환부(115)는 상기 파일의 확장자 및/또는 상기 파일의 해더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를 판독한다.
상기와 같이 수신된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가 판독되면, 컨텐츠 변환부(115)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플래시에서 사용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인지 판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디지털 컨텐츠가 이미지 컨텐츠, 사운드 컨텐츠, 및/또는 동영상 컨텐츠 중에서 특정 컨텐츠 카테고리에 포함된다면, 상기 디지털 컨텐츠는 상기 플래시에서 사용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에 해당한다. 그러나,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를 판독할 수 없거나, 또는 판독되더라도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플래시에 임포트할 수 없는 자료구조로 이루어진 파일(예컨대, 한글과컴퓨터 사의 아래아 한글 파일 포맷)이라면, 상기 디지털 컨텐츠는 플래시에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만약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플래시에서 사용이 불가능한 파일이라면(510), 컨텐츠 변환부(115)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플래시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종료한다.
반면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플래시에서 사용이 가능한 파일이라면(515), 컨텐츠 변환부(115)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 포맷을 판독한다(52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가 상기 플래시에서 사용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일지라도,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그대로 플래시에 임포트할 수는 없다. 예컨대,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가 이미지 컨텐츠이고, 파일 포맷이 컴퓨서브 사의 투명 이미지 컨텐츠라면,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플래시에 그대로 임포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가 이미지 컨텐츠이지만, 파일 포맷을 플래시가 지원하지 않는다면,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플래시에 그대로 임포트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컨텐츠 변환부(105)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 포맷을 판독하고, 상기 파일 포맷 판독결과를 근거로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파일 포맷 변경 없이 플래시에 그래도 임포트가 가능한지 판단한다(525).
만약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 포맷을 변경하지 않고 플래시에 임포트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면(530)(예컨대, 디지털 컨텐츠를 플래시에 임포트하기 위해서는 파일 포맷의 변경이 필요하다면), 상기 컨텐츠 변환부(115)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와 컨텐츠 변환부(115)에 구비된 컴파일러와, 라이브러리 및/또는 리소스를 근거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 포맷을 변경시키기 위한 디지털 컨텐츠의 변경 포맷을 결정한다(53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 포맷을 변경시키기 위한 변경 포맷은 적어도 두개 이상 존재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 경우 상기 컨텐츠 변환부(115)는 상기 원본 디지털 컨텐츠의 질을 유지하면서 용량을 최소화하는 파일 포맷을 변경 포맷으로 결정한다.
상기와 같이 변경 포맷이 결정되면, 상기 컨텐츠 변환부(115)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현재 파일 포맷을 상기 변경 포맷으로 변경하기 위한 라이브러리 및/또는 리소스를 추출하고(540), 상기 추출된 라이브러리 및/또는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 포맷을 상기 변경 포맷으로 변경한다(545).
반면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 포맷을 변경하지 않고 플래시에 임포트하는 것이 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과정을 통해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플래시에 임포트되는 소정의 변경 포맷으로 변경되었다면(550), 상기 컨텐츠 변환부(115)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정의된 데이터 구조를 판독하고(555), 상기 판독결과에 따라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기 위해 요구되는 소정의 플래시 코드를 상기 플래시 생성 엔진()105에 구비된 추출부(120)를 통해 저장매체(2)(130)로부터 추출한다(560).
예컨대,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이미지 컨텐츠라면, 상기 컨텐츠 변환부(115)는 상기 파일의 해더에 정의되어 있는 이미지 컨텐츠의 크기(가로-세로 픽셀수), 분해능, 팔레트 정보 등을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디지털 컨텐츠로부터 변환된 플래시 컨텐츠에 필요한 자료구조로 정의된 소정의 플래시 코드를 추출한다.
상기와 같이 디지털 컨텐츠를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기 위해 요구되는 플래시 코드가 추출되면, 상기 컨텐츠 변환부(115)는 상기 플래시 컨텐츠를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적용하고(565),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플래시로 임포트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을 유지하면서 플래시에서 사용 가능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생성한다(570).
상기와 같이 디지털 컨텐츠가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되면(예컨대, 디지털 컨텐츠의 속성을 포함하며 플래시에서 사용 가능한 플래시 컨텐츠가 생성되면), 상기 컨텐츠 변환부(115)는 플래시 생성 엔진(105)의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클라이언트 단말(140)로 전송하여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 화면에 출력시킨다(575).
도면6은 클라이언트 단말(140)에서 생성된 플래시 데이터를 통해 서버(100) 단에서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동적 생성하는 바람직한 실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에 구비된 플래시 애플리케이션(145)으로부터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예컨대,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에 사용자가 정의한 플래시 구조를 포함하도록 편집되어 상기 서버(100)로 수신되면(600), 상기 서버(100)에 구비된 플래시 생성 엔진(105)의 플래시 생성부(125)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로부터 수신된 플래시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한다(60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플래시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래시 컨텐츠와 사용자에 의해 상기 플래시 컨텐츠에 정의된 플래시 구조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플래시 생성부(125)에 의해 동적 생성된 플래시 파일이 게시된 URL 등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플래시 생성부(125)는 상기 플래시 데이터에 상기와 같은 정보 또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함으로써 상기 플래시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한다.
만약 상기 플래시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는다면(610), 상기 플래시 생성부(125)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플래시 데이터를 통해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동적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종료한다.
반면 상기 플래시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된다면(615), 상기 플래시 생성부(125)는 상기 수신된 플래시 데이터로부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도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독출하고(620), 상기 독출된 플래시 컨텐츠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한다(62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플래시 컨텐츠는 상기 플래시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 형태로 상기 서버(100)로 전송되는데, 상기 플래시 생성부(125)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구조가 상기 플래시 컨텐츠의 구조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함으로써 그 유효성을 판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플래시 컨텐츠는 소정의 링크 정보(예컨대, 실제 플래시 컨텐츠는 클라이언트 단말(140)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상기 서버(100)에서 상기 플래시 컨텐츠를 링크하도록 하는 주소 정보)로 이루어져 상기 서버(100)로 전송되는 것이 가능한데, 상기 플래시 생성부(125)는 상기 링크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플래시 컨텐츠를 독출함으로써 그 유효성을 판단한다.
만약 상기 플래시 컨텐츠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는다면(630), 상기 플래시 생성부(125)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플래시 데이터를 통해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동적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종료한다.
반면 상기 플래시 컨텐츠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된다면(635), 상기 플래시 생성부(125)는 상기 플래시 데이터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140) 사용자가 소정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통해 정의한 플래시 구조를 판독하고(640), 추출부(120)를 통해 저장매체(2)(130)에 저장된 플래시 코드로부터 상기 플래시 데이터에 정의된 상기 플래시 구조를 실현하기 위한 소정의 플래시 코드를 추출한다(645).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정의한 플래시 구조를 실현하기 위한 플래시 코드가 추출되면, 상기 플래시 생성부(125)는 상기 플래시 코드를 구조화하여 상기 플래시 데이터에 포함된 플래시 컨텐츠에 탑재하고(650), 상기 플래시 컨텐츠를 소정의 라이브러리 및/또는 리소스를 이용하여 컴파일(또는 익스포트)하여 웹 상에 게시되는 플래시 파일(예컨대, 쇼크웨이브 파일)을 동적으로 생성한다(655).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정의한 플래시 구조를 포함하는 플래시 파일이 동적으로 생성되면, 상기 플래시 생성부(125)는 상기 플래시 데이터로부터 상기 플래시 파일이 게시될 URL을 추출하고, 상기 URL에 대응하는 저장매체로 상기 플래시 파일을 복사함으로써, 상기 플래시 파일을 웹 상에 게시한다(660).
상기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정의한 플래시 구조를 포함하는 플래시 파일이 웹 상에 게시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40)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상의 클라이언트 단말(140)은 사기 플래시 파일에 접근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플래시 파일에 정의한 다양한 플래시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컨텐츠를 무단도용의 위험성이 적고 고성능 압축으로 저용량화된 플래시 파일로 변환하여 웹에 게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플래시 파일에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를 더 추가하거나, 또는 플래시에서 제공되는 애니메이션 효과, 액션 스크립트, 및/또는 다양한 이벤트 효과를 사용자가 직접 추가 및/또는 편집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보다 동적이고 능동적인 효과를 추가하여 웹에 게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 및/또는 편집하여 웹 상에 게시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독출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서버 단에서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 및/또는 편집하여 웹 상에 게시하는 일 실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3은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독출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서버 단에서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 및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를 추가 및/또는 편집하여 웹 상에 게시하는 일 실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4는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독출된 디지털 컨텐츠를 서버 단에서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는 바람직한 실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5는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생성된 플래시 데이터를 통해 서버 단에서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동적 생성하는 바람직한 실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6은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생성된 플래시 데이터를 통해 서버 단에서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동적 생성하는 바람직한 실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서버 105 : 플래시 생성 엔진
110 : 인터페이스부 115 : 컨텐츠 변환부
120 : 추출부 125 : 플래시 생성부
130 : 저장매체(2) 135 : 웹서버
140 : 클라이언트 단말 145 : 플래시 애플리케이션
150 : 편집부 155 : 전송부
160 : 독출부 165 : 수신부

Claims (57)

  1. 네트워크 상에서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로 상기 플래시 파일을 생성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된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에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Digital Contents)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로 이루어진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과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및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플래시 컨텐츠 추출코드를 연계처리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독출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송된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저장매체(2)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2)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처리한 후,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서버로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저장매체(2)로부터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추출한 후,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으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에 추가할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선택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에 대응하는 플래시 컨텐츠 추출코드를 독출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2)로부터 상기 플래시 컨텐츠 추출코드와 연계처리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추출한 후,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하여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생성된 플래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웹에 게시되는 소정의 플래시 파일(Flash File)을 생성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상에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Digital Contents)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소정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소정의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에 저장되는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는,
    소정의 이미지 포맷(Image Format)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비트맵 방식의 이미지 컨텐츠와, 소정의 사운드 포맷(Sound Format)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사운드 컨텐츠와, 소정의 압축 코덱(Compressed Code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동영상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되는 저장매체(1)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부 또는 하드디스크, 및/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연결된 소정의 장치에 구비된 메모리부 또는 이동식 메모리, 및/또는
    네트워크 상에 구비된 소정의 웹서버(Web Server) 또는 웹하드(Web Hard)에 구비된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에 저장되는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서버 단에서 플래시 파일에 포함될 수 있는 플래시 탬플릿 형태로 변환 및/또는 가공 처리한 플래시 컨텐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는,
    상기 서버 단에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포맷, 및/또는 사운드 포맷, 및/또는 압축 코덱으로부터 상기 플래시에 임포트되는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된 포맷을 통해 플래시 탬플릿 형태로 임포트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래시 탬플릿의 구조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니메이션 효과, 액션 스크립트 효과, 이벤트 효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컨텐츠 추출코드는,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소정의 질의(Query)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2)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XML(eXtended Markup Language) 코드, 플래시용 태그(Tag)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소정의 플래시 코드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 제공하는 플래시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데이터와,
    뷰(View) 상에서 상기 플래시 컨텐츠의 위치 정보 데이터 및/또는 확대/축소 정보 데이터와,
    상기 플래시 컨텐츠에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니매이션 효과 데이터, 액션 스크립트 효과 데이터, 이벤트 효과 데이터와,
    상기 서버 단에서 상기 플래시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소정의 플래시 파일이 게시될 네트워크 상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구비되는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저장매체(1)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독출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수신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하여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
    상기 생성된 플래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독출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상의 저장매체(1)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독출하는 것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구비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및/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구비된 NIC(Network Interface Card)를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 및/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구비된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해 연결된 소정의 장치에 구비된 메모리부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2)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처리한 후,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출력시키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와 포맷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판독결과를 근거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플래시에 임포트 가능한 구조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플래시로 임포트하여 플래시 탬플릿 형태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플래시로 임포트하여 플래시 탬플릿 형태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니메이션 효과, 액션 스크립트 효과, 이벤트 효과를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와 포맷을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확장자 및/또는 해더(Header) 분석을 통해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웹에 게시되는 소정의 플래시 파일(Flash File)을 생성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상에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플래시 데이터에 포함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플래시 데이터로부터 플래시 컨텐츠의 위치 정보, 및/또는 확대/축소 정보, 및/또는 애니메이션 효과 정보, 및/또는 액션 스크립트 정보, 및/또는 이벤트 효과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소정의 플래시 구조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에 상기 플래시 구조에 대응하는 플래시 코드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플래시 코드가 적용된 상기 플래시 컨텐츠를 컴파일(또는 익스포트)하여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17. 제 1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웹에 게시되는 소정의 플래시 파일(Flash File)을 생성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상에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플래시 데이터로부터 상기 플래시 파일이 게시될 URL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URL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로 상기 플래시 파일을 복사하여 상기 생성된 플래시 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상에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웹에 게시되는 소정의 플래시 파일(Flash File)을 생성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상에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플래시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플래시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플래시 데이터로부터 독출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 및/또는 휴대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21. 네트워크 상에서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로 상기 플래시 파일을 생성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된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에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Digital Contents)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독출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송된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저장매체(2)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2)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처리한 후,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출력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하여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생성된 플래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웹에 게시되는 소정의 플래시 파일(Flash File)을 생성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상에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Digital Contents)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소정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소정의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에 저장되는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는,
    소정의 이미지 포맷(Image Format)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비트맵 방식의 이미지 컨텐츠와, 소정의 사운드 포맷(Sound Format)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사운드 컨텐츠와, 소정의 압축 코덱(Compressed Code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동영상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되는 저장매체(1)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부 또는 하드디스크, 및/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연결된 소정의 장치에 구비된 메모리부 또는 이동식 메모리, 및/또는
    네트워크 상에 구비된 소정의 웹서버(Web Server) 또는 웹하드(Web Hard)에 구비된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25.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에 저장되는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서버 단에서 플래시 파일에 포함될 수 있는 플래시 탬플릿 형태로 변환 및/또는 가공 처리한 플래시 컨텐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26.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는,
    상기 서버 단에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포맷, 및/또는 사운드 포맷, 및/또는 압축 코덱으로부터 상기 플래시에 임포트되는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된 포맷을 통해 플래시 탬플릿 형태로 임포트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27.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2)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XML(eXtended Markup Language) 코드, 플래시용 태그(Tag)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소정의 플래시 코드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28.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 제공하는 플래시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데이터와,
    뷰(View) 상에서 상기 플래시 컨텐츠의 위치 정보 데이터 및/또는 확대/축소 정보 데이터와,
    상기 플래시 컨텐츠에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니매이션 효과 데이터, 액션 스크립트 효과 데이터, 이벤트 효과 데이터와,
    상기 서버 단에서 상기 플래시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소정의 플래시 파일이 게시될 네트워크 상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29.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구비되는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저장매체(1)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독출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수신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하여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
    상기 생성된 플래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30.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독출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상의 저장매체(1)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독출하는 것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구비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및/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구비된 NIC(Network Interface Card)를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 및/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구비된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해 연결된 소정의 장치에 구비된 메모리부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31.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2)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처리한 후,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출력시키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와 포맷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판독결과를 근거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플래시에 임포트 가능한 구조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플래시로 임포트하여 플래시 탬플릿 형태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플래시로 임포트하여 플래시 탬플릿 형태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니메이션 효과, 액션 스크립트 효과, 이벤트 효과를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3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와 포맷을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확장자 및/또는 해더(Header) 분석을 통해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3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웹에 게시되는 소정의 플래시 파일(Flash File)을 생성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상에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플래시 데이터에 포함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플래시 데이터로부터 플래시 컨텐츠의 위치 정보, 및/또는 확대/축소 정보, 및/또는 애니메이션 효과 정보, 및/또는 액션 스크립트 정보, 및/또는 이벤트 효과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소정의 플래시 구조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에 상기 플래시 구조에 대응하는 플래시 코드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플래시 코드가 적용된 상기 플래시 컨텐츠를 컴파일(또는 익스포트)하여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35. 제 21항 또는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웹에 게시되는 소정의 플래시 파일(Flash File)을 생성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상에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플래시 데이터로부터 상기 플래시 파일이 게시될 URL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URL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로 상기 플래시 파일을 복사하여 상기 생성된 플래시 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상에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36.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웹에 게시되는 소정의 플래시 파일(Flash File)을 생성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상에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플래시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플래시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플래시 데이터로부터 독출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38.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 및/또는 휴대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39. 네트워크 상에서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로 상기 플래시 파일을 생성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된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로 이루어진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과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및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플래시 컨텐츠 추출코드를 연계처리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서버로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추출한 후,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으로부터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선택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에 대응하는 플래시 컨텐츠 추출코드를 독출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플래시 컨텐츠 추출코드와 연계처리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추출한 후,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하여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생성된 플래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웹에 게시되는 소정의 플래시 파일(Flash File)을 생성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상에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XML(eXtended Markup Language) 코드, 플래시용 태그(Tag)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소정의 플래시 코드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41.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래시 탬플릿의 구조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니메이션 효과, 액션 스크립트 효과, 이벤트 효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42.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컨텐츠 추출코드는,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한 소정의 질의(Query)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43.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서버로 제공하는 플래시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데이터와,
    뷰(View) 상에서 상기 플래시 컨텐츠의 위치 정보 데이터 및/또는 확대/축소 정보 데이터와,
    상기 플래시 컨텐츠에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니매이션 효과 데이터, 액션 스크립트 효과 데이터, 이벤트 효과 데이터와,
    상기 서버 단에서 상기 플래시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소정의 플래시 파일이 게시될 네트워크 상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44.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웹에 게시되는 소정의 플래시 파일(Flash File)을 생성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상에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플래시 데이터에 포함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플래시 데이터로부터 플래시 컨텐츠의 위치 정보, 및/또는 확대/축소 정보, 및/또는 애니메이션 효과 정보, 및/또는 액션 스크립트 정보, 및/또는 이벤트 효과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소정의 플래시 구조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에 상기 플래시 구조에 대응하는 플래시 코드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플래시 코드가 적용된 상기 플래시 컨텐츠를 컴파일(또는 익스포트)하여 소정의 플래시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45. 제 39항 또는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웹에 게시되는 소정의 플래시 파일(Flash File)을 생성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상에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플래시 데이터로부터 상기 플래시 파일이 게시될 URL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URL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로 상기 플래시 파일을 복사하여 상기 생성된 플래시 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상에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46.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웹에 게시되는 소정의 플래시 파일(Flash File)을 생성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상에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플래시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47.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플래시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플래시 데이터로부터 독출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48.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 및/또는 휴대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49.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Digital Contents)를 독출하는 기능;
    상기 독출한 디지털 컨텐츠(Digital Contents)를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
    상기 서버에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여 전송하면,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서버로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요청하는 기능;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면, 이를 수신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상에 출력하는 기능;
    클라이언트가 상기 출력된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에서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에 추가할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선택시, 상기 선택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상기 서버로 요청하는 기능;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선택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제공하면, 이를 수신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상에 출력하는 기능;
    상기 출력된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하여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생성된 플래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50.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클라이언트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 및/또는 휴대폰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51. 클라이언트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Digital Contents)를 독출하는 기능;
    상기 독출한 디지털 컨텐츠(Digital Contents)를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
    상기 서버에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소정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하여 전송하면,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수신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하여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생성된 플래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52.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클라이언트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 및/또는 휴대폰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53.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요청하는 기능;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면, 이를 수신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상에 출력하는 기능;
    클라이언트가 상기 출력된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에서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선택시, 상기 선택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상기 서버로 요청하는 기능;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선택한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제공하면, 이를 수신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상에 출력하는 기능;
    상기 출력된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편집하여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생성된 플래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54.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클라이언트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 및/또는 휴대폰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55.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아 소정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 처리하는 기능;
    상기 변환 처리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 및/또는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이용하여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시,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수신한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웹에 게시되는 소정의 플래시 파일(Flash File)을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생성된 플래시 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상에 게시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56.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아 소정의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로 변환 처리하는 기능;
    상기 변환 처리된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클라이언트측 플래시 컨텐츠를 이용하여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시,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수신한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웹에 게시되는 소정의 플래시 파일(Flash File)을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생성된 플래시 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상에 게시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57. 클라이언트 단말로 소정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을 제공하는 기능;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 목록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선택시, 상기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수신한 선택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소정의 저장매체로부터 추출하는 기능;
    상기 추출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상기 서버측 플래시 컨텐츠를 이용하여 소정의 플래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시, 상기 플래시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수신한 플래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웹에 게시되는 소정의 플래시 파일(Flash File)을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생성된 플래시 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상에 게시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040033681A 2004-05-13 2004-05-13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위한 기록매체 KR200501086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681A KR20050108677A (ko) 2004-05-13 2004-05-13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위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681A KR20050108677A (ko) 2004-05-13 2004-05-13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위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677A true KR20050108677A (ko) 2005-11-17

Family

ID=37284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681A KR20050108677A (ko) 2004-05-13 2004-05-13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위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8677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076B1 (ko) * 2005-08-25 2007-05-18 장용석 플래시 동영상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KR100722003B1 (ko) * 2006-01-21 2007-05-25 (주)퓨전정보기술 플래시애니메이션 제작 장치
WO2007111404A1 (en) * 2006-03-27 2007-10-04 Mobiders, Inc. Mobile terminal capable of modifying a flash image and method of modifying a flash image therewith
KR101037130B1 (ko) * 2008-11-11 2011-05-26 (주)스튜디오애니멀 플래시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러그 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8205159B2 (en) 2006-12-18 2012-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method and medium organizing templates for generating moving images
US8559792B2 (en) 2006-11-27 2013-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method and medium generating frame information for moving images
KR101392319B1 (ko) * 2007-05-03 2014-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일 트랜스포밍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480A (ko) * 2000-07-14 2000-11-06 이헌 배너광고 자동제작 시스템과 자동광고서비스 시스템
KR20010044310A (ko) * 2001-02-05 2001-06-05 김용태 네트워크를 이용한 동화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69684A (ko) * 2001-04-27 2001-07-25 박경권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을 이용한 이미지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95821A (ko) * 2001-06-15 2002-12-28 이상현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유통 및 제어를 위한 정보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480A (ko) * 2000-07-14 2000-11-06 이헌 배너광고 자동제작 시스템과 자동광고서비스 시스템
KR20010044310A (ko) * 2001-02-05 2001-06-05 김용태 네트워크를 이용한 동화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69684A (ko) * 2001-04-27 2001-07-25 박경권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을 이용한 이미지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95821A (ko) * 2001-06-15 2002-12-28 이상현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유통 및 제어를 위한 정보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076B1 (ko) * 2005-08-25 2007-05-18 장용석 플래시 동영상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KR100722003B1 (ko) * 2006-01-21 2007-05-25 (주)퓨전정보기술 플래시애니메이션 제작 장치
WO2007111404A1 (en) * 2006-03-27 2007-10-04 Mobiders, Inc. Mobile terminal capable of modifying a flash image and method of modifying a flash image therewith
KR100814078B1 (ko) * 2006-03-27 2008-03-14 주식회사 모비더스 플래시 이미지 편집이 가능한 이동 기기 및 이미지 편집방법
US8559792B2 (en) 2006-11-27 2013-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method and medium generating frame information for moving images
US8205159B2 (en) 2006-12-18 2012-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method and medium organizing templates for generating moving images
KR101392319B1 (ko) * 2007-05-03 2014-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일 트랜스포밍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1037130B1 (ko) * 2008-11-11 2011-05-26 (주)스튜디오애니멀 플래시 콘텐츠 제작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러그 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3222B2 (en) Method of enabling the downloading of content
US85951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and delivering mobile widgets
JP4451063B2 (ja) 双方向テレビジョンでの表示のためにコンテンツを再フォーマットする方法及び装置
Quint Scalable vector graphics
JP5222997B2 (ja) 動的な画像合成
Britton et al. Transcoding: Extending e-business to new environments
US20040024812A1 (en) Content publication system for supporting real-time integration and processing of multimedia content including dynamic data, and method thereof
US200601121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to media devices
US20050071757A1 (en) Providing scalable, alternative component-level views
US20100218077A1 (en) Modifying a markup language document which includes a clickable image
CN104714982A (zh) 一种网页的加载方法和系统
GB2371896A (en) Web Server
US20050278351A1 (en) Site navigation and site navigation data source
Schilit et al. m-links: An infrastructure for very small internet devices
KR20010103273A (ko) 동기 멀티미디어 통합언어 포맷을 이용한 전자 음악 배급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onshin Next. js Quick Start Guide: Server-side rendering done right
KR20050108677A (ko) 플래시를 동적으로 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위한 기록매체
KR101771473B1 (ko) 반응형 웹페이지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020041331A (ko) 컨텐츠 제공 시스템
CA244161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to media devices
KR101771475B1 (ko) 반응형 웹페이지 생성 방법 및 장치
Rischpater Wireless web development
Wickham Practical Android
JP2005507098A6 (ja) コンテンツをメディアデバイスに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Agosti et al. Managing the interactions between handheld devices, mobile applications, and u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