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0406A -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pdp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pdp - Google Patents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pdp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pd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0406A
KR20060080406A KR1020050000791A KR20050000791A KR20060080406A KR 20060080406 A KR20060080406 A KR 20060080406A KR 1020050000791 A KR1020050000791 A KR 1020050000791A KR 20050000791 A KR20050000791 A KR 20050000791A KR 20060080406 A KR20060080406 A KR 20060080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te composition
photosensitive paste
sio
photosensitiv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7611B1 (ko
Inventor
이범욱
최종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0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611B1/ko
Priority to JP2005376465A priority patent/JP2006196455A/ja
Priority to US11/324,807 priority patent/US20060164011A1/en
Priority to CNA2006100067596A priority patent/CN1805099A/zh
Publication of KR20060080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25Material of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4Means for improving contrast or colour purity, e.g. black matrix or light shiel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PDP)의 제조에 있어 상판의 버스 전극 (bus electrode)을 형성하는, 고온초전도체, 무기질계 바인더, 및 감광성 비이클을 포함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조성물을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및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흑색 안료로 전도성이 우수한 고온초전도체를 사용함으로써, 방전 전압이 낮아지고, 저항의 균일성이 좋아져 휘도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이중층의 버스 전극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전도성 및 흑색도가 우수한 단일층의 버스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고온초전도체, 도전성 분말, PDP 전극

Description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PDP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PDP{Photosensitive paste composition, a PDP electrode prepared therefrom, and a PDP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이중층 버스 전극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판의 단면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본적인 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된 PDP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하는 부분절개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면기판 2... 투명전극
3... 흑색층 4... 도전층
5... 블랙 스트라이프 6... 유전체층
7... 보호막 10... 배면 기판
11... 어드레스 전극 12... 배면 유전체층
13... 형광체층 14... 전면 기판
15... 투명 전극 16... 전면 유전체층
17... 보호막 19... 격벽
30... 전방 패널 31... 전면 기판
32... Y 전극 33... X 전극
34... 유지 전극쌍 35... 전면 유전체층
36... 보호막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PDP)의 제조에 있어 상판의 버스 전극 (bus electrode)을 형성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photosensitive paste)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층 구조의 버스 전극에서 콘트라스트 (contrast) 향상을 위한 흑색층 (black layer)의 제조에 사용되는 감광성 페이스트에 있어서 감광성 페이스트의 구성 성분 중 흑색 안료로 흑색도 및 전도성이 뛰어난 고온초전도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PDP 상판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기판 (1)의 배면에 투명 전극 (2) 및 블랙 스트라이프 (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명 전극 (2)의 일부에 버스 전극이 위치하며, 상기 버스 전극 위에 절연 특성을 갖는 유전체층 (6)과, 상기 유전체층을 보호하는 보호막 (7)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버스 전극은 흑색층 (black layer) (3)과 백색의 도전층 (conductive layer) (4)으로 구성되는데, 흑색층 (3)은 콘트라스트 향상을 위한 것으로서 유리 프릿 (glass frit)과 흑색 안료 (black pigment)로 구성되어 있고, 도전층 (4)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전도성 금속 및 유리 프릿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버스 전극을 이중층으로 하는 것은 단일층으로 구성할 경우 콘트라스트 및 전기 전도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기 때문이고,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일층의 버스 전극 성분은 흑색 안료, 전도성 금속, 유리 프릿으로 구성되는데, 만족스러운 흑색도를 얻기 위해 비전도성 물질인 흑색 안료의 함량 비율을 높이면 전극의 저항이 높아져 전기 전도성이 떨어지고,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도성 금속 물질의 함량 비율을 높이면 상대적으로 흑색도가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공정이 복잡함에도 불구하고 버스 전극은 이중층으로 구성되는데, 이중층으로 구성되면 백색의 도전층은 전극 역할 외에도 하판의 형광체에서 방출하는 가시광선을 반사시켜 휘도를 상승시키는 역할도 한다.
그러나, 상기 이중층의 버스 전극은 비전도성인 흑색층과 전도성인 도전층과의 전기 저항 차이가 커서 방전 전압이 높아지고, 또한 버스 전극들간의 전도성이 불균일해져 발광시 휘도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특허 제10-0392867에는 비전도성 흑색 안료 대신 흑색의 전도성 금속 산화물을 이용한 것이 나와 있고, 미합중국 특허 6,555,594에는 흑색 안료를 미립자화한 것이 나와 있으나, 지금까지 알려진 흑색 안료로는 전극의 전도성을 향상시키는 한계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흑색도 및 전도성이 우수한 흑색 전극을 제조할 수 있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한 다. 또한, 상기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및 상기 전극을 채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온초전도체, 무기질계 바인더, 및 감광성 비이클을 포함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DP)의 전극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의 PDP 전극을 채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온초전도체, 무기질계 바인더, 및 유기 비이클을 포함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흑색 안료로 사용되는 고온초전도체는 종래 공지된 흑색 안료 중에서 전도성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루테늄 산화물 또는 루테늄 복합 산화물 등에 비해 전기 전도성이 월등하면서 흑색도도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성을 갖고 있는 고온초전도체를 이용하여 이중층 버스 전극의 흑색층 제조에 사용하는 경우 흑색층의 전기 저항이 낮아져 방전 전압이 낮아지고, 버스 전극들간의 전도성이 균일해져 발광시 휘도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고온초전도체는 Y, La, Bi, Ti, Hg, Ba, Sr, 및 C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원소와 Cu와의 산화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Y-Ba-Cu-O계, Bi-Sr-Ca-Cu-O계, Ti-Ba-Ca-Cu-O계, Hg-Ba-Ca-Cu-O계, La-Sr-Cu-O계, 또는 La-Ba-Cu-O계 등의 복합 산화물을 들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YBa2Cu3O7 , Bi2Sr2CaCu2O8, HgBa2Ca2Cu3 O8, La2-XBa(Sr)XCuO4, 또는 Ti2Ba2Ca 2Cu3O10 등의 복합 산화물이다. 이들 고온초전도체는 30 내지 130 K의 극저온에서 초전도성을 나타내는 물질로서 상온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나타내지 않지만, 상온에서 다른 흑색의 전도성 금속 물질에 비해 수 배 이상의 전기 전도성을 갖고 있다. 또한, 고온초전도체가 모두 흑색인 것은 구리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에 기인한다.
상기 고온초전도체의 입자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형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구형의 입자가 충진율 및 자외선 투과도에 있어서 판상이나 무정형보다 우수한 특성을 갖기 때문이다. 고온초전도체의 평균 입경은 0.1 내지 10 ㎛가 바람직하고, 0.1 ㎛ 미만이 되면 분산성이 떨어지거나 점도 상승에 의해 인쇄성이 불량해져 바람직하지 않고, 10 ㎛를 초과하면 흑색도가 떨어지고 전극 패턴에서 직진성이 불량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고온초전도체의 함량은 이중층 버스 전극의 흑색층 형성용 조성에서는 무기질계 바인더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12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고온초전도체가 상기 함량 20 중량부에 미달되면 이중층 조성에서 흑색도가 떨어져 콘트라스트 향상에 기여할 수 없고, 120 중량부를 초과하면 무기질계 바인더 함량 이 부족해서 이중층 조성에서는 원하는 전극 형상(shape)을 얻을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고온초전도체는 전기 전도성 및 흑색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전기 전도성과 흑색도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단일층의 버스 전극을 형성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 1에서 버스 전극을 구성하는 흑색층 (black layer) (3)과 백색의 도전층 (conductive layer) (4)은 하나의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일층 버스 전극 형성용 조성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도전성 분말입자를 더 포함한다. 도전성 분말입자의 함량은 고온초전도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00 내지 2000 중량부이다. 도전성 분말의 함량이 20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단일층 버스 전극의 저항이 높고, 단선이 발생될 수 있으며, 200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흑색도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도전성 분말로는 은 (Ag), 금 (Au), 구리 (Cu), 백금 (Pt), 팔라듐 (Pd), 알루미늄 (Al), 니켈 (Ni), 또는 이들의 합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은 (Ag) 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 분말은 입자 형상이 구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구형의 입자가 충진율 및 자외선 투과도에 있어서 판상이나 무정형보다 우수한 특성을 갖기 때문이다. 도전성 분말의 평균 입경은 1.0 내지 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경이 5.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소상막 패턴의 직진성이 불량하고, 또한 소성막의 치밀도가 떨어져 저항이 높아지는 단점이 발생하며, 평균 입경이 1.0 ㎛ 미만이 되는 경우에는 페이스트의 분산성이 불량 해지고 노광 감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중층 및 단일층 버스 전극 형성용 조성에 있어서 페이스트 조성물은 도전성 평균 입경이 나노 크기를 갖는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노 입자를 미량 첨가하는 것에 의해 유기 고형분의 함량을 줄일 수 있어 소성시 수축률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소성 후, 수축율의 차이에 의해서 패턴 모서리 부분이 말려 올라가는 에지컬 (edge-curl) 현상이 최소화됨으로써 내전압 특성이 향상된다.
상기 나노 입자의 성분으로 은 (Ag), 금 (Au), 구리 (Cu), 백금 (Pt), 팔라듐 (Pd), 알루미늄 (Al), 니켈 (Ni), 텅스텐(W), 몰리브덴(Mo), 또는 이들의 합금을 사용하거나, 도전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실리카, 알루미나, 또는 무기질계 바인더로 사용되는 유리(glass), 및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고온초전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나노 입자로 고온 초전도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흑색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 입자들은 상기 도전성 분말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나노 입자의 형상은 비표면적이나 자외선 투과 등을 고려하여 구형이 바람직하다. 나노 입자의 평균 입경은 1 내지 100 nm인 것이 적합한데, 평균 입경이 100 nm를 초과하게 되면 페이스트의 점도 상승 효과가 미약하고, 평균 입경이 1 nm 미만이 되면 페이스트의 분산성 및 점도 상승이 급격해서 점도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페이스트 내 나노 입자의 함량은 페이스트 대비 0.1 내지 10.0 중량%가 바람직하고, 0.1 중량% 미만이 되면 페이스트의 점도 상승 효과가 미약하고, 10.0 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높아 인쇄성이 불량해지고 노광 감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무기질계 바인더를 포함하며, 상기 무기질계 바인더는 소성 공정에서 도전성 분말의 소결 특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도전성 분말과 유리 기판 사이에 접착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무기질계 바인더로는, Pb, Si, B, Al, Zn, Na, K, Mg, Ba, 및 Bi의 복합 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PbO-SiO2계, PbO-SiO2-B2O3계, PbO-SiO2-B2O3-ZnO계, PbO-SiO2-B2O3-BaO계, PbO-SiO2-ZnO-BaO계, ZnO-SiO2 계, ZnO-B2O3-SiO2계, ZnO-K2O-B2O3-SiO2-BaO계, Bi2O3-SiO2계, Bi 2O3-B2O3-SiO2계, Bi2O3 -B2O3-SiO2-BaO계, 및 Bi2O3-B2O3-SiO2-BaO-ZnO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무기질계 바인더의 입자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구형이 바람직하고, 평균 입경은 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5.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평균 입경이 5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소성막이 불균일하고 전극의 직진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무기질계 바인더의 연화 온도 (softening temperature)는 400 내지 6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화 온도가 400 ℃ 미만인 경우에는 소성시 전극 주변으로 흘러내려 퍼져 버리거나 유기물 분해를 방해하게 되며, 연화 온도가 6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소성 온도가 600 ℃를 초과하는 온도에서는 유리 기판이 휘어지기 때문에 소성 온도를 600 ℃ 이상으로 사용할 수 없어서, 무기질계 바인더의 연화가 일어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무기질계 바인더의 함량은 이중층 버스 전극의 흑색층 형성용 조성에서 는 페이스트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40 내지 7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단일층 버스 전극 형성용 조성에서는 도전성 분말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질계 바인더의 함량이 상기 함량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이중층 및 단일층 모두 전극 부착력이 떨어지며, 상기 함량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중층의 경우에는 흑색도가 저하되고, 단일층의 경우에는 전극의 저항이 증가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감광성 비이클을 포함하며, 감광성 비이클은, 유기 바인더, 가교제, 광개시제, 용매, 및 기타 첨가제를 포함한다. 감광성 비이클의 함량은 이중층 및 단일층 모두 페이스트 100 중량부에 대해서 10 내지 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광성 비이클의 함량이 10 중량부에 미달되는 경우에는 페이스트의 인쇄성 불량 및 노광 감도가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며, 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무기물 성분의 함량비가 낮게 되어 원하는 형태의 버스 전극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감광성 비이클 성분 중 유기 바인더의 경우 감광성 비이클 100 중량부에 대해서 10 내지 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다른 성분들의 경우 유기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해서, 20 내지 150 중량부의 가교제, 10 내지 150 중량부의 광개시제, 및 100 내지 500 중량부의 용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상 공정에서 알카리 수용액을 현상액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유기 바인더는 산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유기 바인더로는 여러 가지 종류의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중 아크릴계 수지가 가격 특성 면에서 가장 적합하 다. 아크릴계 수지 내에 산성기를 갖게 하기 위해서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들을 이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바인더로서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와 다른 1개 이상의 모노머들과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비닐초산 및 이들의 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와 공중합되는 다른 모노머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및 p-히드록시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 바인더로는 상기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와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바인더 내에 가교 반응을 일으킬 성분이 부가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로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유기 바인더로는 상기 공중합체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막 레벨링이나 요변 특성 향상 등의 목적으로 메틸셀룰로오즈, 에틸셀룰로오즈, 니트로셀룰로오즈,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즈,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 필셀룰로오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카르복시에틸셀룰로오즈, 및 카르복시에틸메틸셀룰로오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5,000 내지 100,000 g/mol인 것이 바람직하며, 산가는 20 내지 150 mgKOH/g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체의 분자량이 5,000 g/mol 미만인 경우에는 페이스트의 인쇄성이 떨어지고, 100,000 g/mol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현상시 비노광부가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공중합체의 산가가 20 mgKOH/g 미만인 경우에는 현상성이 떨어지고, 150 mgKOH/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노광된 부분까지 현상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가교제로는 단관능 및 다관능 모노머가 이용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노광 감도가 좋은 다관능 모노머를 이용한다. 이러한 다관능 모노머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EGDA)와 같은 디아크릴레이트계;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TMPTA), 트리메틸올프로판에톡시레이트트리아크릴레이트 (TMPEOTA), 또는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트리아크릴레이트계; 테트라메틸올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 또는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테트라아크릴레이트계; 및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DPHA)와 같은 헥사아크릴레이트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상기 공중합체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해서 20 내지 1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한데, 가교제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노광 감도가 떨어져 원하는 크기의 소성막 선폭을 얻을 수 없고, 1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소성막에 잔사를 발생시키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광개시제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벤조페논, o-벤조일벤조산메틸, 4,4-비스(디메틸아민)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2-페닐아세토페논, 2-메틸-[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1-부타논,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및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은 상기 공중합체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해서 5 내지 1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한데, 광개시제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페이스트의 노광 감도가 떨어져 원하는 크기의 소성막 선폭을 얻을 수 없고, 10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소성막의 선폭이 크게 나오거나 현상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용매로는, 바인더 및 광개시제를 용해시킬 수 있고, 가교제 및 기타 첨가제와 잘 혼합되면서 비등점이 150℃ 이상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비등점이 150℃ 미만인 경우에는 조성물의 제조 과정, 특히 3-롤 밀 공정에서 휘발되는 경향이 커서 문제가 되며, 또한 인쇄시 용매가 너무 빨리 휘발되어 인쇄 상태가 좋지 않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용매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에틸카비톨, 부틸카비톨, 에틸카비톨아세테이트, 부틸카비톨아세테이트, 텍사놀, 테르핀유,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 콜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γ-부티로락톤,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부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및 트리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매의 함량은 공중합체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해서 100 내지 5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한데, 용매의 함량이 10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페이스트의 점도가 너무 높아 인쇄가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50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가 너무 낮아 인쇄를 할 수 없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유기 비이클은 감도를 향상시키는 증감제, 조성물의 보존성을 향상시키는 중합금지제 및 산화방지제, 해상도를 향상시키는 자외선 흡광제, 조성물 내의 기포를 줄여 주는 소포제,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분산제, 인쇄시 막의 평탄성을 향상시키는 레벨링제, 및 인쇄성 향상을 위한 가소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첨가제는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 사용될 수 있으며 건조 막 두께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에는 최소량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유기 바인더, 가교제, 광개시제, 용매, 및 기타 첨가제를 함께 혼합하고 교반함으로써 유기 비이클을 제조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고온초전도체 및무기질계 바인더를 PLM(Planetary Mixer)와 같은 혼합기에 놓고 교반하면서, 상기에서 제조된 유기 비이클을 서서히 투입하여 혼합한다. 혼합된 페이스트는 3-롤 밀 (3-roll mill)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혼합한다. 이어서, 필터링을 통하여 입경이 큰 입자들 및 먼지 등의 분순물들을 제거하고, 마지막으로 탈포 장치를 통하여 페이스트 내의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는 상기 서술한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PDP 전극을 제공한다.
도 2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본적인 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전방 패널은 전면 기판(14), 상기 전면기판의 배면에 형성된 투명 전극(15)을 구비한 전면 유전체층(16), 및 상기 전면 유전체층을 덮는 보호막 (17)을 구비한다. 상기 투명 전극(15)은 명암 향상을 위한 흑색층 (3) 및 도전성을 부여하는 도전층 (4)으로 구성되는 버스 전극(3,4)을 구비한다. 상기 도전층(4)은 전극 역할 외에도 하판의 형광체층(13)에서 방출하는 가시광선을 반사시켜 휘도를 상승시키는 역할도 한다. 후방 패널은 배면 기판 (10), 배면 기판의 전면에 상기 투명 전극과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어드레스 전극 (11), 상기 어드레스 전극들을 덮는 배면 유전체층 (12), 상기 보호막(17) 및 상기 배면 유전체층(12) 사이에 형성되어 셀을 구획하는 격벽 (19), 및 형광체층(13)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도 2에서는 이중층의 전극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흑색층 (3) 및 도전층 (4)이 하나로 구성된 단일층의 버스전극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세한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이중층 버스 전극 제조방법
ITO 투명 전극이 패턴화 되어 있는 PDP 상판 기판에 SUS 325메쉬나 SUS 400 메쉬와 같은 스크린 마스크를 사용한 스크린 인쇄기를 이용하여 흑색층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를 전면 도포하고, 컨벡션 오븐 (convection oven) 또는 IR 오븐에서 80 내지 150 ℃의 온도로 5 내지 30 분 동안 건조시킨다. 상기 형성된 흑색층 건조 막 위에 SUS 325메쉬나 SUS 400메쉬와 같은 스크린 마스크를 사용한 스크린 인쇄기를 이용하여 도전층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를 전면 도포하고, 컨벡션 오븐 (convection oven) 또는 IR 오븐에서 80 내지 150 ℃의 온도로, 5 내지 30 분 동안 건조시킨다. 형성된 이중층의 페이스트 코팅 막 위에 자외선 광원을 사용하여 300 내지 450 nm의 빛으로 패턴이 형성되도록 노광을 행하고, Na2CO3 용액, KOH, TMAH 등과 같은 적당한 알칼리 현상액으로 30 ℃ 내외의 온도에서 현상하여, 미 노광된 부위를 제거하여 미세 패턴화된 이중층의 막을 얻는다.
이후 패턴화된 이중층의 막은 전기로 등에서 500 내지 600 ℃로 10 내지 30 분간 소성하여 이중층을 갖는 버스 전극을 형성한다.
단일층 버스 전극 제조방법
ITO 투명 전극이 패턴화 되어 있는 PDP 상판 기판에 SUS 325메쉬나 SUS 400메쉬와 같은 스크린 마스크를 사용한 스크린 인쇄기를 이용하여 단일층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를 전면 도포하고 컨벡션 오븐 (convection oven) 또는 IR 오븐에서 80 내지 150 ℃의 온도로, 5 내지 30 분 동안 건조시킨 다음, 형성된 페이스트 코팅 막 위에 자외선 광원을 사용하여 300 내지 450 nm의 빛으로 패턴이 형성되도록 노광을 행하고, Na2CO3 용액, KOH, TMAH 등과 같은 적당한 알칼리 현상액으로 30 ℃ 내외의 온도에서 현상하여 미 노광된 부위를 제거하여 미세 패턴화된 막을 얻는다. 이후 패턴화된 막은 전기로 등에서 500 내지 600 ℃로 10 내지 30 분간 소성하여 단일층을 갖는 버스 전극을 형성한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본 발명의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대신 감광성 그린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쇄시 스크린 인쇄법 대신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코팅하는 것 외에는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하여 미세 패턴을 얻고 소성 공정을 거쳐 버스 전극을 형성하면 된다. 감광성 그린 시트 제조방법은 감광성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하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감광성 그린 시트의 제조방법
PET 필등 등의 지지체 필름에 코터 (coater) 등을 이용하여 감광성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컨벡션 오븐 (convection oven) 또는 IR 오븐에서 80 내지 150 ℃의 온도로, 5 내지 30 분 동안 건조시켜 감광층을 형성한 다음, PE 필름 등을 감광층 위에 보호 필름으로 라미네이션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PDP 전극을 포함하는 PDP를 제공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PDP 전극을 포함하는 PDP의 구체적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하기의 PDP 구조 중에서 버스 전극의 백색 (white) 전극 형성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도전층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는 어드레스 전극의 제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된 PDP는 전방 패널 (30) 및 후방 패널 (20)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전방 패널 (30)은 전면 기판 (31), 상기 전면 기판의 배면 (31a)에 형성된 Y전극 (32)과 X전극 (33)을 구비한 유지 전극쌍 (34)들, 상기 유지 전극쌍들을 덮는 전면 유전체층 (35), 및 상기 전면 유전체층을 덮는 보호막 (36)을 구비한다. 상기 Y전극 (32)과 X전극 (33) 각각은, ITO 등으로 형성된 투명 전극 (32b, 33b); 명암 향상을 위한 흑색 전극 (미도시) 및 도전성을 부여하는 백색 전극 (미도시)으로 구성되는 버스 전극 (32a, 33a)을 구비한다. 상기 버스 전극 (32a, 33a)들은 PDP의 좌우측에 배치된 연결 케이블과 연결된다.
상기 후방 패널 (20)은 배면 기판 (21), 배면 기판의 전면 (21a)에 상기 유지 전극쌍과 교차하도록 형성된 어드레스 전극 (22)들, 상기 어드레스 전극들을 덮는 배면 유전체층 (23), 상기 배면 유전체층 상에 형성되어 발광 셀 (26)들을 구획하는 격벽 (24), 및 상기 발광 셀 내에 배치된 형광체층 (25)을 구비한다. 상기 어드레스 전극 (22)들은 PDP의 상하측에 배치된 연결 케이블과 연결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이중층 버스 전극의 흑색층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제조
1) 조성물 1의 제조
흑색 안료 (YBa2Cu3O7, 평균 입자 크기 = 1.5 ㎛, 무정형) 25 중량%, 유리 프릿 (평균 입자 크기 = 2.1 ㎛, 무정형, PbO-SiO2-B2O3계) 37.0 중량%, 바인더 1 (poly(MMA-co-MAA) 공중합체, 분자량 15,000 g/mol, 산가 105 mgKOH/g) 6.0 중량%, 바인더 2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평균 분자량 (Mw) = 100,000 g/mol) 1.0 중량%, 광개시제 1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프로판-1-온) 1.0 중량%, 광개시제 2 (2,4-디에틸티오산톤) 0.3 중량%, 가교제 1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톡시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4.0 중량%, 가교제 2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2.0 중량%, 용매 (텍사놀) 23.7 중량%의 조성을 갖는 페이스트를 배합하여 교반기에 의해서 교반한 후, 3-롤 밀을 이용하여 반죽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는 유기 비이클 성분을 먼저 배합하여 비이클을 제조한 후, 유리 프릿을 첨가하였다.
2) 조성물 2의 제조
상기 조성물 1의 제조에서 흑색 안료로 Bi2Sr2CaCu2O8 (평균 입자 크기 = 1.2 ㎛, 무정형)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조성물 2를 제조하였다.
3) 비교 조성물 1의 제조
상기 조성물 1의 제조에서 흑색 안료로 Co-Mn-Fe계 산화물 (평균 입자 크기 = 1.4 ㎛, 무정형)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비교 조성물 1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단일층 버스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제조
1) 조성물 3의 제조
흑색 안료 (YBa2Cu3O7, 평균 입자 크기 = 0.4 ㎛, 무정형) 12 중량%, 도전성 분말 (Ag powder, 평균 입자 크기 = 1.3 ㎛) 60 중량%, 유리 프릿 (평균 입자 크기 = 2.1 ㎛, 무정형, PbO-SiO2-B2O3계) 2.0 중량%, 바인더 1 (poly(MMA-co-MAA) 공중합체, 분자량 15,000 g/mol, 산가 105 mgKOH/g) 6.0 중량%, 바인더 2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평균 분자량 (Mw) = 100,000 g/mol) 1.0 중량%, 광개시제 1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프로판-1-온) 1.0 중량%, 광개시제 2 (2,4-디에틸티오산톤) 0.3 중량%, 가교제 1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톡시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4.0 중량%, 가교제 2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2.0 중량%, 용매 (텍사놀) 11.7 중량%의 조성을 갖는 페이스트를 배합하여 교반기에 의해서 교반한 후, 3-롤 밀을 이용하여 반죽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는 유기 비이클 성분을 먼저 배합하여 비이클을 제조한 후, 유리 프릿을 첨가하였다.
2) 조성물 4의 제조
상기 조성물 3의 제조에서 흑색 안료로 Ti2Ba2Ca2Cu3O 10 (평균 입자 크기 = 0.5 ㎛, 무정형)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조성물 4를 제조하였다.
3) 비교 조성물 2의 제조
상기 조성물 3의 제조에서 흑색 안료로 Co-Mn-Fe계 산화물 (평균 입자 크기 = 0.5 ㎛, 무정형)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비교 조성물 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이중층 버스 전극의 도전층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의 제조
1) 조성물 5의 제조
도전성 분말 (Ag powder, 평균 입자 크기 = 1.5 ㎛) 65 중량%, 유리 프릿 (평균 입자 크기 = 2.1 ㎛, 무정형, PbO-SiO2-B2O3계) 3.0 중량%, 바인더 1 (poly(MMA-co-MAA) 공중합체, 분자량 15,000 g/mol, 산가 105 mgKOH/g) 6.0 중량%, 바인더 2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평균 분자량 (Mw) = 100,000 g/mol) 1.0 중량%, 광개시제 1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프로판-1-온) 1.0 중량%, 광개시제 2 (2,4-디에틸티오산톤) 0.3 중량%, 가교제 1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톡시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4.0 중량%, 가교제 2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2.0 중량%, 용매 (텍사놀) 17.7 중량%의 조성을 갖는 페이스트를 배합하여 교반기에 의해서 교반한 후, 3-롤 밀을 이용하여 반죽함으로써 도전층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는 감광성 비이클 성분을 먼저 배합하여 비이클을 제조한 후, 도전성 분말과 유리 프릿을 첨가하였다.
실시예 4. 이중층 버스 전극의 형성
흑색층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인 상기 조성물 1, 2 및 비교 조성물 1과 도 전층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인 상기 조성물 5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중층을 갖는 버스 전극을 형성한 다음 저항 및 흑색도(blackness)를 비교 판단하였다.
1) ITO 투명 전극이 패턴화 되어 있는 PDP 상판 기판에 스크린 인쇄법으로 상기 조성물 1과 2 및 비교 조성물 1을 각각 스크린 인쇄법을 이용하여 격벽 상부에 도포하였다.
2) IR 건조기를 이용하여 100 ℃에서 15분간 건조하였다.
3) 스크린 인쇄법으로 상기 조성물 5를 스크린 인쇄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건조막에 도포하였다.
4) IR 건조기를 이용하여 100 ℃에서 15분간 건조하였다.
5) 고압 수은 램프가 장착된 자외선 노광 장치를 이용하여 400 mJ/㎠로 조사하였다.
6) 35 ℃, 0.4%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노즐압력 1.5kgf/㎠ 분사하여 현상시켰다.
7) 전기 소성로를 이용하여 580℃에서 15분간 소성하여 이중층을 갖는 버스 전극을 형성하였다.
상기 절차에 의해 형성한 흑색층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항목 조성물 1 조성물 2 비교 조성물 1
소성 후 두께(㎛), 흑색 층 1.5 1.4 1.5
소성 후 두께(㎛), 도전 층 3.8 3.7 3.9
선 저항(Ω) 32.5 34.2 47.1
색(color) 검은색 검은색 검은색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흑색 안료로 고온초전도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일반 흑색 안료를 사용한 경우보다 저항이 낮았으며, 색은 동일하게 검은색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 단일층 버스 전극의 형성
상기 조성물 3과 4 및 비교 조성물 2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단일층을 갖는 버스 전극을 형성한 다음 저항 및 흑색도(blackness)를 비교 판단하였다.
1) ITO 투명 전극이 패턴화 되어 있는 PDP 상판 기판에 스크린 인쇄법으로 상기 조성물 3과 4 및 비교 조성물 2를 각각 스크린 인쇄법을 이용하여 격벽 상부에 도포하였다.
2) IR 건조기를 이용하여 100 ℃에서 15분간 건조하였다.
3) 고압 수은 램프가 장착된 자외선 노광 장치를 이용하여 500 mJ/㎠로 조사하였다.
4) 35 ℃, 0.4%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노즐압력 1.5kgf/㎠ 분사하여 현상시켰다.
5) 전기 소성로를 이용하여 580℃에서 15분간 소성하여 단일층을 갖는 버스 전극을 형성하였다.
상기 절차에 의해 형성한 흑색층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항목 조성물 3 조성물 4 비교 조성물 2
소성 후 두께(㎛) 4.5 4.4 4.4
선 저항(Ω) 46.5 47.3 60.4
색(color) 검은색 검은색 검은색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흑색 안료로 고온초전도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일반 흑색 안료를 사용한 경우보다 저항이 낮았으며, 색은 동일하게 검은색으로 나타났다.
이중층의 PDP 버스 전극 형성에 사용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에 있어서, 흑색 안료로 전도성이 우수한 고온초전도체를 사용함으로써, 방전 전압이 낮아지고, 저항의 균일성이 좋아져 휘도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전도성 및 흑색도가 우수한 단일층의 버스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Claims (27)

  1. 고온초전도체, 무기질계 바인더, 및 유기 비이클을 포함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초전도체는 Y, La, Bi, Ti, Hg, Ba, Sr, 및 C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원소와 Cu와의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초전도체는 Y-Ba-Cu-O계, Bi-Sr-Ca-Cu-O계, Ti-Ba-Ca-Cu-O계, Hg-Ba-Ca-Cu-O계, La-Sr-Cu-O계, 또는 La-Ba-Cu-O계의 복합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초전도체는 YBa2Cu3O7, Bi2Sr 2CaCu2O8, HgBa2Ca2Cu3O8, La2-XBa(Sr)XCuO4, 또는 Ti2Ba2Ca2Cu3O10의 복합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초전도체의 함량은 이중층 버스 전극의 흑색층의 조성에 있어서, 무기질계 바인더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1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초전도체의 평균 입경은 0.1 내지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도전성 분말입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분말 입자의 함량이 상기 고온초전도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00 내지 200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분말입자는 은 (Ag), 금 (Au), 동 (Cu), 백금 (Pt), 팔라듐 (Pd), 알루미늄 (Al), 니켈 (Ni),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평균 입경이 0.1 내지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나노 분말 입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분말 입자는, 은 (Ag), 금 (Au), 동 (Cu), 백금 (Pt), 팔라듐 (Pd), 알루미늄 (Al), 니켈 (Ni), 텅스텐(W), 몰리브덴(Mo), 또는 이들의 합금, 실리카, 알루미나, 무기질계 바인더, 또는 고온초전도체 중의 하나 이상으로서, 평균 입경이 1 내지 1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계 바인더는 Pb, Si, B, Al, Zn, Na, K, Mg, Ba, 또는 Bi의 복합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계 바인더는 PbO-SiO2계, PbO-SiO2-B2O 3계, PbO-SiO2-B2O3-ZnO계, PbO-SiO2-B2O3-BaO계, PbO-SiO2-ZnO-BaO계, ZnO-SiO2계, ZnO-B2O3-SiO2계, ZnO-K2O-B2O3-SiO2-BaO계, Bi2 O3-SiO2계, Bi2O3-B2O3-SiO 2계, 및 Bi2O3-B2O3-SiO2-BaO계, 및 Bi2O3-B2O3-SiO2-BaO-ZnO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계 바인더는 연화 온도 (softening temperature)가 400 내지 600℃이고, 평균 입경이 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비이클은, 유기 바인더, 가교제, 광개시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비이클은 유기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해서, 20 내지 150 중량부의 가교제, 10 내지 150 중량부의 광개시제, 및 100 내지 500 중량부의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바인더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와 다른 1개 이상의 모노머들과의 공중합체이며, 상기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비닐초산, 및 이들의 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상기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와 공중합되는 다른 모노머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및 p-히드록시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가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3,4-에폭시 시클로헥실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3,4-에폭시 시클로헥실 메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서 형성된 가교성 기 (grou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5,000 내지 100,000 g/mol이고, 산가는 20 내지 150 mgKOH/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 성물.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디아크릴레이트계, 트리아크릴레이트계, 테트라아크릴레이트계, 및 헥사아크릴레이트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벤조페논, o-벤조일벤조산메틸, 4,4-비스(디메틸아민)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2-페닐아세토페논, 2-메틸-[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1-부타논,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및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에틸카비톨, 부틸카비톨, 에틸카비톨 아세테이트, 부틸카비톨 아세테이트, 텍사놀, 테르핀유,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γ-부티로락톤,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부틸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및 트리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비이클은 증감제, 중합금지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광제, 소포제, 분산제, 레벨링제,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의 어느 한 항의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한 그린시트.
  26. 제1항 내지 제24항 중의 어느 한 항의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DP)의 전극.
  27. 제26항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50000791A 2005-01-05 2005-01-05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pdp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pdp KR100927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791A KR100927611B1 (ko) 2005-01-05 2005-01-05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pdp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pdp
JP2005376465A JP2006196455A (ja) 2005-01-05 2005-12-27 感光性ペースト組成物、それを利用して製造されたpdp電極、及びそれを含むpdp
US11/324,807 US20060164011A1 (en) 2005-01-05 2006-01-04 Photosensitive paste composition, PDP electrode manufactured using the composition, and PDP including the PDP electrode
CNA2006100067596A CN1805099A (zh) 2005-01-05 2006-01-05 光敏糊组合物、使用该组合物制造的pdp电极以及包含该pdp电极的pd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791A KR100927611B1 (ko) 2005-01-05 2005-01-05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pdp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pd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406A true KR20060080406A (ko) 2006-07-10
KR100927611B1 KR100927611B1 (ko) 2009-11-23

Family

ID=36696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791A KR100927611B1 (ko) 2005-01-05 2005-01-05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pdp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pdp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164011A1 (ko)
JP (1) JP2006196455A (ko)
KR (1) KR100927611B1 (ko)
CN (1) CN180509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909B1 (ko) * 2006-08-07 2008-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71060B1 (ko) * 2007-05-11 2008-11-27 주식회사 두산 감광성 페이스트 및 이의 이용
KR100934078B1 (ko) * 2007-12-28 2009-12-24 주식회사 두산 오프셋 인쇄용 감광성 페이스트 및 이의 이용
KR101318952B1 (ko) * 2007-04-04 2013-10-17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
KR101338548B1 (ko) * 2010-07-23 2013-1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페이스트 조성물 및 태양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4878B2 (ja) * 2005-06-08 2011-03-09 Dowa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黒色電極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8304992B2 (en) * 2006-12-15 2012-11-06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panel including a black layer
US7648655B2 (en) * 2007-10-30 2010-01-1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ductive composition for black bus electrode, and front panel of plasma display panel
US8193707B2 (en) * 2007-11-06 2012-06-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ductive composition for black bus electrode, and front panel of plasma display panel
US8329304B2 (en) * 2008-05-27 2012-12-11 Guardian Industries Corp. Plasma display panel including TCC EMI filter, and/or method of making the same
US8436537B2 (en) * 2008-07-07 2013-05-07 Samsung Sdi Co., Ltd. Substrate structure for plasma display pane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ubstrate structure, and plasma display panel including the substrate structure
US8329066B2 (en) * 2008-07-07 2012-12-11 Samsung Sdi Co., Ltd. Paste containing aluminum for preparing PDP electrode, method of preparing the PDP electrode using the paste and PDP electrode prepared using the method
KR100996614B1 (ko) 2008-12-19 2010-11-25 한국세라믹기술원 포토루미네선스형 형광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110091694A1 (en) * 2009-10-20 2011-04-2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for forming fine electrode patterns
US9564680B2 (en) 2009-12-28 2017-02-07 Green Swan, Inc. Removable and Replaceable Sound Tunnel Shell
US9065900B2 (en) * 2009-12-28 2015-06-23 Green Swan, Inc. Method and system to shield mobile phones and devices to minimize radiation exposure
JP5793855B2 (ja) * 2010-11-29 2015-10-14 Jnc株式会社 光硬化性接着剤及び表示素子
JP6814237B2 (ja) * 2018-03-23 2021-01-13 株式会社ノリタケカンパニーリミテド 感光性組成物とその利用
JP7309651B2 (ja) * 2020-03-31 2023-07-18 株式会社ノリタケカンパニーリミテド 感光性組成物とその利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6513B2 (ja) * 1987-09-29 1997-03-05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超伝導体膜形成用ペースト
JP2633389B2 (ja) * 1990-04-02 1997-07-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ガス放電型表示パネル
US6097357A (en) * 1990-11-28 2000-08-01 Fujitsu Limited Full color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device
JP3259253B2 (ja) * 1990-11-28 2002-02-25 富士通株式会社 フラット型表示装置の階調駆動方法及び階調駆動装置
EP0764931B1 (en) * 1991-12-20 1999-07-28 Fujitsu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display panel
DE69318196T2 (de) * 1992-01-28 1998-08-27 Fujitsu Ltd Plasma Farbanzeige-Vorrichtung von Oberflächenentladungs-Typ
JP3025598B2 (ja) * 1993-04-30 2000-03-27 富士通株式会社 表示駆動装置及び表示駆動方法
JP2891280B2 (ja) * 1993-12-10 1999-05-17 富士通株式会社 平面表示装置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JP3163563B2 (ja) * 1995-08-25 2001-05-08 富士通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6156433A (en) * 1996-01-26 2000-12-05 Dai Nippon Printing Co., Ltd. Electrode for plasma display panel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3424587B2 (ja) * 1998-06-18 2003-07-07 富士通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3479463B2 (ja) * 1999-01-29 2003-12-15 太陽インキ製造株式会社 光硬化型導電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電極形成し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7135267B2 (en) * 2004-08-06 2006-11-1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queous developable photoimageable compositions for use in photo-patterning method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909B1 (ko) * 2006-08-07 2008-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1318952B1 (ko) * 2007-04-04 2013-10-17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형성용 감광성 페이스트
KR100871060B1 (ko) * 2007-05-11 2008-11-27 주식회사 두산 감광성 페이스트 및 이의 이용
KR100934078B1 (ko) * 2007-12-28 2009-12-24 주식회사 두산 오프셋 인쇄용 감광성 페이스트 및 이의 이용
KR101338548B1 (ko) * 2010-07-23 2013-1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페이스트 조성물 및 태양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96455A (ja) 2006-07-27
US20060164011A1 (en) 2006-07-27
KR100927611B1 (ko) 2009-11-23
CN1805099A (zh) 200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611B1 (ko)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pdp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pdp
KR100669725B1 (ko)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US7582404B2 (en) Photosensitive paste composition, PDP electrode manufactured using the composition, and PDP comprising the PDP electrode
KR100781326B1 (ko) 전극 형성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4440877B2 (ja) 感光性ペースト組成物、及びそれを利用して製造され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5352481A (ja) 感光性ペースト組成物、これを利用して製造されたpdp電極、及びこれを備えるpdp
TWI406300B (zh) 漿料組合物、包含其的顯示器件及相關方法
US7892456B2 (en) Composition for use in making a light-blocking layer
KR20100074945A (ko) 자성 흑색안료를 포함하는 전극 형성용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전극 형성 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용 전극 및 그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3538408B2 (ja) 光硬化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電極形成し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080083518A (ko)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8383013B2 (en) Photosensitive paste composition for fabricating the plasma display panel electrode, plasma display panel electrode and plasma display panel thereby
JP2011504636A (ja) 黒色バス電極用の導電性組成物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前面パネル
JP5303127B2 (ja) 黒色バス電極用導電組成物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前面板
KR100923741B1 (ko)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전극 형성용 페이스트조성물
KR100799062B1 (ko) 전도성 조성물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배면 기판의 제조방법
JP2011503806A (ja) 黒色バス電極用の導電性組成物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前面パネル
KR101053882B1 (ko) 도전성 분말, 상기 도전성 분말을 포함한 전극 및 상기전극을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6278310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8253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 전극, 이를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29546A (ko)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pdp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pdp
KR2006008253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어드레스 전극의 제조방법
KR20080038575A (ko)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8462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버스 전극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