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9943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9943A
KR20060079943A KR1020050000366A KR20050000366A KR20060079943A KR 20060079943 A KR20060079943 A KR 20060079943A KR 1020050000366 A KR1020050000366 A KR 1020050000366A KR 20050000366 A KR20050000366 A KR 20050000366A KR 20060079943 A KR20060079943 A KR 20060079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brushing
angle
present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2005B1 (ko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김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성 filed Critical 김종성
Priority to KR1020050000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005B1/ko
Priority to EP05726557A priority patent/EP1833327A4/en
Priority to MX2007008168A priority patent/MX2007008168A/es
Priority to BRPI0520612-0A priority patent/BRPI0520612A2/pt
Priority to CNA2005800400342A priority patent/CN101060797A/zh
Priority to US11/571,593 priority patent/US20080028559A1/en
Priority to PCT/KR2005/000225 priority patent/WO2006073218A1/en
Priority to JP2007546548A priority patent/JP2008522780A/ja
Publication of KR20060079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6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in the form of tapes, chains, flexible shafts, springs, ma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75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being adjustable and stable during use
    • A46B5/0079Adjustable and stable shaft or handle, e.g. generally in one piec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75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being adjustable and stable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손에 쥘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직선을 이루는 칫솔대(10)와, 상기 칫솔대(10)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좌측으로 20도 내지 70도의 각도로 구부러져 연장되고, 칫솔대(10)와 평행한 축에 대하여 칫솔모 돌출면의 배면 방향으로 10도 내지 40도의 각도로 구부러져 연장된 치솔 머리(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종래의 칫솔에 비하여 칫솔질이 어려운 부분에서의 프라그 제거력이 현저히 향상될 뿐만 아니라 손에 쥐고 양치질을 할 때 치아의 구석 구석을 닦을때 종래의 칫솔에 비하여 팔과 손목에 피로가 현저히 감소한다는 효과가 있다.
칫솔, 각도, 피로, 프라그

Description

칫솔{Tooth brush}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의 전치부 및 후치부를 골고루 청소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음식물이나 음식물에 의하여 발생된 프라그를 제거하기 위하여 칫솔과 치약을 사용하여 규칙적으로 양치질을 한다. 하지만, 양치질의 습관도 중요하여 단순히 좌우로 반복적으로 닦으면 이와 잇몸을 상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반대로, 양치질을 할 때는 바람직한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위, 아래 겉니는 윗몸 위에서 아래로 내리듯 닦는데 이때 회전하듯이 돌리는 것이 좋으나, 수직으로 해도 상관없다고 알려져 있다. 앞니 안쪽면은 바깥으로 당겨서 쓸어 올리듯 닦아 주어야 하고, 어금니 바깥쪽은 위로 쓸어올리듯 쓸어올려가며 닦 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치솔들은 양치질할 때 이와 같은 요령으로 양치질을 하면 손목이나 팔에 피로를 느끼게 되어 빨리 양치질을 끝내고 싶게 되고 결국은 청결한 치아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치아의 구석까지 손쉽게 청소할 수 있기 위하여 구부러진 구조의 칫솔이 개발된 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87-0004713호(1987.04.20 공개)에는 치솔유니트와 손잡이로 구성된 치솔에 있어서, 솔부를 가진 치솔유니트의 하부에 원호돌륜을 형성하고, 이의 중앙에 운동공과 외주연에 복수개 각도공을 천설하며, 스위치홈 이 형성된 손잡이엔 상기 원호돌륜의 고정용 중심축과 좌,우회전용 운동홈을 각설하고, 손잡이에 현출시킨 스위치와 동작봉의 돌봉 및 스프링에 의해 상기 치솔유니트가 소정각도의 위치에서 가변적으로 위치고정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하는 각도 가변형 치솔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20-1997-0048852호(1997.08.12 공개)에는 각도 조정 구조를 형성한 치솔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 실용신안 공보에 개시된 치솔은 치솔대 일측부에 돌출부를 원형 중심으로 형성하고 쇄모부인 치솔몸체 일측부를 중심이 절개된 삽입홈과 원형 중심 천공부를 C자형으로 구성하며 스냅식 결합부와 같은 구조로 하여 이를 치솔대와 치솔몸체가 결합되어 각도를 임의대로 조정 될 수 있도록 하며 치솔대 일측부에 마그네틱자석을 결합하여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치솔들도 치솔대와 솔부가 한쪽방향으로만 굴절되므로 치아의 프라그 제거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양치질할 때 손목이나 팔에 피로 를 느끼게 되어 빨리 양치질을 끝내고 싶게 되고 결국은 청결한 치아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바람직하다고 알려져 있는 칫솔질 방법으로 양치질할 때 손목이나 팔에 피로를 느끼게 되지 않고도 치아의 구석 구석에 칫솔모를 접촉시킬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손에 쥘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직선을 이루는 칫솔대(10); 및
상기 칫솔대(10)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칫솔대(10)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좌측으로 20도 내지 70도의 각도로 구부러져 연장되고, 칫솔대(10)와 평행한 축에 대하여 칫솔모 돌출면의 배면 방향으로 10도 내지 40도의 각도로 구부러져 연장된 치솔 머리(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칫솔 머리(12)는 칫솔대(10)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타원 곡선을 이루면서 구부러져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손에 쥘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직선을 이루는 칫솔대(10) 및 상기 칫솔대(10)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칫솔대(10)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좌측으로 20° 내지 70°의 각도로 타원 곡선을 이루면서 구부러져 연장되고, 칫솔대(10)와 평행한 축에 대하여 칫솔모 돌출면의 배면 방향으로 10° 내지 40°의 각도로 타원 곡선을 이루면서 구부러져 연장된 치솔 머리(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의 칫솔은 예를들어 하악 전치부의 앞니 뒷면을 솔질하기 위하여는, 오른손 잡이의 경우, 칫솔대를 쥔 손을 구강보다 높은 위치까지 들어올려야 하고 그 칫솔질 방향은 칫솔 머리의 연장 방향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이 되는데 접촉 면적이 적고 칫솔 머리의 선두 부분에 위치한 칫솔모가 쉽게 눕게 되어 칫솔 자체의 프라그 제거능력이 현저히 빨리 진행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칫솔 머리(12)가 칫솔대(10)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타원 곡선을 이루면서 구부러져 연장되는데 이는 치솔질을 할 때 칫솔대(10)와 칫솔 머리(12) 사이가 입술에 닿을때의 느낌이 이물감이 적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연장되는 형태를 원형으로 하는 것에 비하여 타원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칫솔대(10)를 오른손에 쥐고 칫솔질을 하면 칫솔모가 상악, 하악의 전치 및 후치의 모든 부분에서 접촉이 잘 되어 동일한 조건, 즉, 동일한 치약, 솔질 방법, 및 시간을 사용하여 비교하면 프라그 제거력이 현저히 증가될 뿐만 아니라 종래의 칫솔에 비하여 손목과 팔에 피로를 느끼는 것이 감소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상하 방향의 칫솔질을 유도하게 되어 나쁜 양치 습관을 고치는데도 도움이 되며, 특히 통상 칫솔모가 닿지 않아 양치질이 어려운 상악 또는 하악의 뒷면에의 접근력이 향상되어 프라그 제거력이 우수하다. 또한, 종래의 칫솔은 수평 방향의 양치질을 할 때 자주 발생하는 현상으로서 치솔모의 속으로 치약이 들어가게 되어 실제 양치질에는 사용되지 않는 치약이 많게 되어 치약의 소모량이 많은데 반하여 본 발명의 칫솔은 수직 방향의 양치질을 유도함으로써 치약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칫솔대(10)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칫솔대(10)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좌측으로 약 20° 미만의 각도를 이루면서 구부러져 연장되는 경우에는 종래의 칫솔과 같이 통상의 양치 자세로는 잘 닿지 않는 곳에 대한 칫솔모의 접촉 면적이 그다지 변하지 않으며, 70°를 초과하면서 구부러져 연장되는 경우에는 칫솔대가 입술 부분에 닿아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늘어나므로, 치솔 머리(12)는 상기 칫솔대(10)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칫솔대(10)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좌측으로 20° 내지 70°의 각도로 타원 곡선을 이루면서 구부러져 연장되어야만 본원 발명의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칫솔대(10)와 평행한 축에 대하여 칫솔모 돌출면의 배면 방향으로 10° 미만의 각도로 구부러져 연장되는 경우에는 종래의 칫솔과 같이 통상의 양치 자세로는 잘 닿지 않는 곳에 대한 칫솔모의 접촉 면적이 그다지 변하지 않으며, 40°를 초과하면서 구부러져 연장되는 경우에는 치아와 잘 교합이 되지 않음을 호소하는 경우가 늘어난다. 따라서, 칫솔 머리(12)는 칫솔대(10)와 평행한 축에 대하여 칫솔모 돌출면의 배면 방향으로 10° 내지 40°의 각도로 타원 곡선을 이루면서 구부러져 연장되어야만 본원 발명의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물론, 종래의 칫솔을 사용하여도 본원 발명의 칫솔과 같이 구석 구석을 신경써가면서 닦아낼 수는 있지만 사용자가 손목과 팔에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고 칫솔의 마모도 빠르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임의로 선택된 200명의 피험자에 대하여 100명은 종래의 칫솔을 사용하게 하고 또 다른 100명은 본 발명의 칫솔을 사용하게 하면서 다른 조건을 동일, 예를 들면, 동일한 치약, 솔질 방법, 및 시간을 사용하여 피로를 느낀다고 호소하는 피험자의 수와 전치 하악부의 프라그 제거력을 비교 실험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피로를 느낀 피험자수[명/100명] 전치하악부의 프라그 제거[%]
본원 발명의 칫솔 종래의 칫솔 본원 발명의 칫솔 종래의 칫솔
30초 0명 1명 25% 12%
1 분 0명 3명 36% 18%
1 분 30초 2명 14명 54% 27%
2 분 7명 25명 71% 35%
2 분 30초 12명 38명 85% 46%
3 분 22명 52명 92% 57%
3 분 30초 28명 57명 95% 72%
4 분 35명 65명 97% 78%
5 분 46명 85명 98% 85%
7 분 52명 92명 98% 90%
10 분 75명 100명 99% 95%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종래의 칫솔에 비하여 칫솔질이 어려운 부분에서의 프라그 제거력이 현저히 향상될 뿐만 아니라 손에 쥐고 양치질을 함에 있어 치아의 구석 구석을 닦을 때 종래의 칫솔에 비하여 팔과 손목에 피로가 현저히 감소한다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칫솔질이 어려운 부분에서의 프라그 제거력이 현저히 향상될 뿐만 아니라 손에 쥐고 양치질을 할 때 치아의 구석 구석을 닦을때 종래의 칫솔에 비하여 팔과 손목에 피로가 현저히 감소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하 방향의 칫솔질을 유도하게 되어 나쁜 양치 습관을 고치는데도 도움이 되며, 특히 통상 칫솔모가 닿지 않아 양치질이 어려운 상악 또는 하악의 뒷면에의 접근력이 향상되어 프라그 제거력이 우수하다. 또한, 수직 방향의 양치질을 유도함으로써 치약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Claims (2)

  1. 손에 쥘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직선을 이루는 칫솔대(10); 및
    상기 칫솔대(10)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칫솔대(10)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좌측으로 20도 내지 70도의 각도로 구부러져 연장되고, 칫솔대(10)와 평행한 축에 대하여 칫솔모 돌출면의 배면 방향으로 10도 내지 40도의 각도로 구부러져 연장된 치솔 머리(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 머리(12)는 칫솔대(10)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타원 곡선을 이루면서 구부러져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050000366A 2005-01-04 2005-01-04 칫솔 KR100602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366A KR100602005B1 (ko) 2005-01-04 2005-01-04 칫솔
EP05726557A EP1833327A4 (en) 2005-01-04 2005-01-27 TOOTHBRUSH
MX2007008168A MX2007008168A (es) 2005-01-04 2005-01-27 Cepillo de dientes.
BRPI0520612-0A BRPI0520612A2 (pt) 2005-01-04 2005-01-27 escova de dentes
CNA2005800400342A CN101060797A (zh) 2005-01-04 2005-01-27 牙刷
US11/571,593 US20080028559A1 (en) 2005-01-04 2005-01-27 Tooth Brush
PCT/KR2005/000225 WO2006073218A1 (en) 2005-01-04 2005-01-27 Tooth brush
JP2007546548A JP2008522780A (ja) 2005-01-04 2005-01-27 歯ブラ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366A KR100602005B1 (ko) 2005-01-04 2005-01-04 칫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126U Division KR200381044Y1 (ko) 2005-01-04 2005-01-04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943A true KR20060079943A (ko) 2006-07-07
KR100602005B1 KR100602005B1 (ko) 2006-07-24

Family

ID=36647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366A KR100602005B1 (ko) 2005-01-04 2005-01-04 칫솔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80028559A1 (ko)
EP (1) EP1833327A4 (ko)
JP (1) JP2008522780A (ko)
KR (1) KR100602005B1 (ko)
CN (1) CN101060797A (ko)
BR (1) BRPI0520612A2 (ko)
MX (1) MX2007008168A (ko)
WO (1) WO20060732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71915A4 (en) * 2006-09-29 2012-01-25 Craig Matthew Erskine-Smith DENTAL INSTRUMENT RETENTION DEVICE AND DENTAL WELL
IL196650A (en) 2009-01-22 2015-06-30 Mordechai Kirsh Toothbrush
JP2017221602A (ja) * 2016-06-17 2017-12-21 有限会社八芳フーズ 歯根用歯ブラシ
CN106723926B (zh) * 2017-02-20 2019-04-30 陈道炬 一种方便竖刷的牙刷
US11330895B2 (en) 2020-02-08 2022-05-17 Joseph E Noonan, JR. Dental clean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01866A (en) * 1931-10-28 1933-03-21 Hamilton V Bryan Toothbrush
US2056447A (en) * 1934-06-22 1936-10-06 Joseph G Fell Tooth brush
JPS4950177U (ko) * 1972-08-08 1974-05-02
JPS53142275U (ko) * 1977-04-12 1978-11-10
US4109339A (en) * 1977-09-08 1978-08-29 Ursula Dietrich Toothbrush with curved handle
JPS5594208A (en) * 1979-01-09 1980-07-17 Gee Eru Pee G Fuyua Rateionere Tooth brush
JPS5858009A (ja) * 1981-09-25 1983-04-06 ステフアン・ジエイ・ゼスキ 歯ブラシ
US4454623A (en) * 1982-09-08 1984-06-19 Radius Corporation Toothbrush
US4829621A (en) 1986-07-09 1989-05-16 Phenegar John S Toothbrush
JPH02501446A (ja) * 1987-02-27 1990-05-24 ブレンダック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ク 歯ブラシ
JPS63138135U (ko) * 1987-02-28 1988-09-12
DE9304608U1 (ko) * 1993-03-26 1993-07-22 Oehlrich, Walter, 34355 Staufenberg, De
SG44420A1 (en) * 1993-12-13 1997-12-19 Chan Boon Su A double-headed toothbrush
US5622502A (en) * 1994-11-22 1997-04-22 Wilkes; David B. Tooth brush with helical bristles and method
KR970048852U (ko) * 1996-01-18 1997-08-12
JPH11137340A (ja) * 1997-11-06 1999-05-25 Yukimitsu Hibino 自在に曲がる歯ブラシ
KR20000020365U (ko) * 1999-05-04 2000-12-05 장영순 칫솔
US6182321B1 (en) * 1999-11-11 2001-02-06 Addway Engineering Ltd. Tooth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07008168A (es) 2007-08-06
JP2008522780A (ja) 2008-07-03
EP1833327A4 (en) 2010-03-17
BRPI0520612A2 (pt) 2009-09-29
CN101060797A (zh) 2007-10-24
US20080028559A1 (en) 2008-02-07
EP1833327A1 (en) 2007-09-19
KR100602005B1 (ko) 2006-07-24
WO2006073218A1 (en) 200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5455B1 (ko) 구강 케어 기구를 위한 헤드 및 이러한 헤드를 포함하는 키트
US4399582A (en) Modular interproximal toothbrush system
KR100983504B1 (ko) 상하방향의 동작패턴을 이용한 칫솔
WO1994028762A1 (en) Twin-headed toothbrush
US5121520A (en) Twin-headed toothbrush
KR100602005B1 (ko) 칫솔
JP2002506360A (ja) 凹凸デンタルレーキ
KR101673095B1 (ko) 치아 교정장치가 부착된 치아를 닦기 위한 교정용 칫솔
KR200381044Y1 (ko) 칫솔
KR20070014929A (ko) 탄성 라멜라 구조체를 구비한 칫솔
JP2008284251A (ja) 歯ブラシ
KR102593082B1 (ko) 구강 케어 기구를 위한 헤드 및 이러한 헤드를 포함하는 키트
KR200433060Y1 (ko) 45도 각도 회전 치솔
KR100922289B1 (ko) 기능성 칫솔
EP0130252A1 (en) Modular interproximal toothbrushes
CN202233752U (zh) 一种新型牙刷
KR200242592Y1 (ko) T자형 칫솔
CN210353682U (zh) 一种牙刷
JP3076940U (ja) 幅広歯ブラシ
US20180352944A1 (en) Dental hygeine device utilizing axial forces and related methods
KR200370002Y1 (ko) 칫솔
KR200444502Y1 (ko) 칫솔
TW295538B (ko)
KR200225409Y1 (ko) 치솔
KR20180086727A (ko)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