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9864A - 교통 정보 수집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통 정보 수집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9864A
KR20060079864A KR1020050000202A KR20050000202A KR20060079864A KR 20060079864 A KR20060079864 A KR 20060079864A KR 1020050000202 A KR1020050000202 A KR 1020050000202A KR 20050000202 A KR20050000202 A KR 20050000202A KR 20060079864 A KR20060079864 A KR 20060079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ffic information
user
terminal de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6800B1 (ko
Inventor
이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0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800B1/ko
Publication of KR20060079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2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other sources than vehicle or roadside beacons, e.g. mobile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서버에 전달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이용하여 교통 정보를 추출하는 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최근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IMS 환경에서, 차량 단말기나,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여, 손쉽고 효율적으로 교통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IMS 환경에서 적은 비용으로 교통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단말기의 추가적인 비용 증가 없이 매우 중요하고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IMS

Description

교통 정보 수집 방법 및 시스템{traffic information collect method and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3GPP에서 규정하는 IMS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핸드폰 타입의 IMS 단말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차량 자체에 부착되어 교통 정보를 송수신하는 IMS 단말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100: CSCF 120: 교통 정보 전송 서버
130: 교통 정보 분석 서버 140: HSS
150: SGSN 160: GGSN
170: IMS 단말기 180: MGCF
190: MGW 200: PSTN
본 발명은 차세대 모바일환경인 IMS (IP Multimedia Subsystem) 환경 하에서 제공되는 프레즌스(presence) 기능을 활용하여 교통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는 교통 정보 수집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와 같은 무선통신망 표준 업계에서는, IP기반의 IP망을 무선통신과 연결하여, IP기반에서 서비스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를 무선 환경에서의 모바일에서도 가능하도록 하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를 표준화하는 작업이, 3GPP 표준 기구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SKT에서 이미 IMS에 준하는 인프라(infra)를 구축하였고, 유럽 각 사업자들도 IMS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과 활동을 추진하고 있는 중이다.
IMS 가 상용화되면, 인터넷을 기반으로 PC에서 기대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가 모바일 핸드폰에서도 가능하게 된다. 즉 화상통신이나 화상 채팅, 그리고 원거리 게임은 물론 MSN과 같은 메신저 서비스도 가능하다. 이러한 IMS환경에서 기본이 되는 기능 중의 하나가 바로 프레즌스 기능이다. 상기 기능은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는 기능으로서, 사용자가 어디에 있는지, 전화나 다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 등을 다른 사용자가 알 수 있다. 상기 기능이 가능한 이유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예를 들면 핸드폰)가 각각의 IP를 가지고 있어 이를 이용하여 서로 식별(identify) 할 수 있고, IP 핵심 망과 연결된 기지국들이, IP를 가지고 있는 단말기를 식별하여 서로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위치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상기 IMS나 다른 통신환경 하에서 제공되는 프레즌스 기능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예는 없으며,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교통환경에 대처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상기 프레즌스 기능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최근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IMS 환경 하에서, 차량 단말기나,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여, 손쉽고 효율적으로 교통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IMS 환경 하에서 적은 비용으로 교통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추가적인 비용 증가없이 매우 중요하고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교통 정보 수집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서버에 전달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로 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이용하여 교통 정보를 추출하는 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한 RTP/RTCP, 전송계층의 UDP 프로토콜, 전송할 곳과의 세션(session)을 연결해 놓기 위한 SIP 프로토콜, 핸드프리 정보 송신 프로세스(process)모듈 및 차량 핸드프리와의 접속 여부를 디텍트(detect)하는 접속 확인 모듈로 구성되는 IMS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교통 정보 수집 방법은 휴대 단말기가 차량 핸 드프리에 접속 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접속 시 기지국과의 주기적인 통신으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알아내는 단계, 일정 주기 동안의 사용자 위치 정보 변화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위치 변화 정보를 사용하여 교통 정보를 얻어내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최근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IMS 환경 하에서, 차량 단말기나,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여, 손쉽고 효율적으로 교통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IMS 환경에서 적은 비용으로 교통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단말기의 추가적인 비용 증가없이 중요하고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하였듯, IMS 환경 하에서 프레즌스 기능을 사용하여 실시간 교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과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은 프레즌스 기능을 제공하는 다른 통신 환경에서도 적용가능하며 IMS 환경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먼저 상기 기술한 IMS 환경에서 사용자 터미널은 크게 두 가지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로 현재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는 핸드폰 타입의 단말기를 차량 핸드프리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과 둘째로, 차량 자체에 교통 정보 수집을 목표로 통신 가능한 단말기를 부착하는 형태가 가능하다. 우선 첫번째 일반 핸드폰 타입의 단말기를 예를 들어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평상시에는 일반 단말기로 사용하다가, 차량 탑승을 위해 차량 핸드프리(hand-free)에 단말기를 장착하면, 단말기가 현재 핸드프리에 장착되어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여 만일 장착되어 있으면, 상기 정보를 프레즌스를 관리하는 서버에 전달하도록 한다.
즉, HSS(Home Subscriber Server)에 등록된 사용자들의 프레즌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update)하여 필요할 경우 공유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존의 HSS에 프레즌스 로그(log)파일을 저장한다.
종래에는 HSS에 현재 시간 정보만을 기록했다면, 본 발명에서는 일정 시간동안의 프레즌스 변화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저장된 프레즌스 변화들은 차량의 이동을 의미하므로, IMS 단말기를 사용하는 무수히 많은 사용자의 차량 이동을 통하여 교통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즉, 얼마만큼의 시간동안 얼마만큼 어디서 어디로 이동했는지를 통하여 교통 상태를 유추할 수 있다. 요즘 보편화되고 있는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연계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지도에 매핑하여, 해당 지역의 현재 차량 소통 흐름을 알 수 있고, IMS 서비스 사용자는 자신이 차량 흐름 정보 제공자가 되면서, 동시에 그러한 정보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될 수 있다. 즉 차량 단말기를 통하여 HSS에 현재 위치 주변의 상황을 전송해 줌으로서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위치 주변의 차량 흐름 정보를 받아볼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실시간 교통정보를 정확하게 수집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 별로, 현재 위치 주변의 차량 흐름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3GPP에서 규정하는 IMS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CSCF(Call State Control Function:100)를 중심으로 3G, GPRS, CDMA 등의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의 IMS 단말기(170)가 연결된다. 또한 CSCF(100)는 HSS(140)와 연결되며, 교통 정보 전송 서버(120)를 통하여 교통 정보 분석 서버(130)와 연결된다. 물론, 종래의 IMS 구조에서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110)와, MGCF(180)를 통하여 MGW(190)와 PSTN(200)이 연결된다.
상기 이동통신망의 소프트 스위치인 CSCF(100)는 SIP 기반의 화상전화 시스템과 차세대 패킷망 기반 교환기이다.
상기 사용자의 IMS 단말기(170)와 CSCF(100)의 사이에는 GGSN(Gateway GPRS Service Node:160)과, SGSN(Service GPRS Service Node:150)이 형성된다. GPRS는 사용자 데이터를 패킷화 하여 IP백본을 이용하여 전송하고, GGSN(160)은 인터넷에서처럼 GPRS 네트워크 와 다른 패킷기반 네트워크 간 케이트웨이(Gateway)로서 동작한다.
상기 GGSN(160)은 또한 GPRS 로밍을 제공하기 위해 다른 GPRS 네트워크와 접속한다.
SGSN(150)은 모발 스위칭 센터로서 고려되었다. 이것은 네트워크 상의 모든 모발 스테이션의 경로를 유지함으로써 이동성의 유지를 가능하게 하고, SGSN(150) 서비스 영역의 모발 데이터 패킷 라우팅을 제공한다.
상기 HSS(Home Subscriber Server:140)는 사용자들의 마스터 데이터베이스(master database)와 같은 것으로서, 사용자의 프로파일과 등록 정보들을 관리하는 서버이다.
상기 HSS(140)에는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동안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타이머(141)와 저장공간(143), 그리고 상기 타이머(141)에 따라 최근 일정 시간동안의 사용자 프레즌스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갱신 관리 모듈(142)이 포함된다.
상기 타이머(141)에서 사용자의 위치 변화 시간을 측정하고, 일정 시간동안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를 저장공간(143)에 저장한다. 갱신 관리 모듈(142)에서는 상기 타이머의 작동 시간에 따라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를 갱신한다.
상기 HSS(140)와 많은 사용자들의 프레즌스 변화 정보를 분석하여 교통 정보를 추출하는 교통 정보 분석 서버(130), 그리고 상기 정보를 다시 각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교통 정보 전송 서버(120)는 종래의 IMS 환경을 기반으로 새로이 구성된 IMS 환경을 제안한다.
즉, 종래 IMS 환경과 비교할 때, HSS(140)에 타이머(141)와 저장공간(143), 갱신 관리 모듈(142)이 더 포함되고, 교통 정보 분석 서버(130)와, 교통 정보 전송 서버(1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교통 정보 전송 서버(120)는 HSS(140)에 접속하여, 상기 HSS(140)에 저장된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를 사용하여 현재의 사용자 위치를 알아내는 단계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 주변의 교통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을 통하여 상기 사용 자 주변의 교통정보를 추려내는 정보 필터 단계와, 추려낸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 단계를 통해 다른 사용자에게 실시간 교통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각 단계는 전송 서버내 사용자의 위치를 알아내는 장치, 교통 정보를 거르는 장치 및 걸러진 교통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를 통하여 구현된다.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180)는 케이블망 환경 하에서 인터넷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인터넷기술 표준화 단체인 IETF에서 표준으로 채택한 프로토콜이다. 상기 방식은 통신망 장비에 기능을 집중화시키고 종단 장비의 기능을 단순화시키는 특징이 있다.
상기 MGCF(180)는 베어러 트래픽과 시그널링 트래픽을 모두 지원하는 게이트웨이인 MGW(Media GateWay:190)를 거쳐, PSTN(200)이 연결된다. 공공 스위칭 방식 전화 네트워크인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200)은 전세계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전화 네트워크와 서비스를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로 때때로 POTS라고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상기 IMS 단말기(170)는 IMS 단말기(170)와 차량 핸드프리의 접촉 여부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는 전송 모듈과, 차량 핸드프리에 IMS 단말기(170)가 연결되어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접속 확인 모듈이 필요하다. 이하 도 2와 도 3은 이러한 IMS 단말기(170) 구조를 기술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핸드폰 타입의 IMS 단말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도면에서 SIP(172), RTP/RTCP(176), UDP(173)등은 모두 전송과 관련된 프로토콜로서, RTP/RTCP(176), UDP(173)는 영상과 같은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며, SIP(172)는 이러한 전송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전송할 곳과의 세션(session)을 연결해 놓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특히 SIP(172)는 IP기반 망에서 IP를 가지고 서로를 연결하는 핵심 프로토콜로서 IMS 표준으로 중요한 프로토콜인데, 프레즌스 정보는 기지국과 IMS 단말기(170) 간에 SIP(172)의 메시지(message)를 통해서 서로 주고받는 정보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만일 IMS 단말기(170) 자체에 IP(174)가 부여될 경우, 상기 IMS 단말기(170)에는 IP(174)가 추가되는데, IP가 부여되지 않을 경우 기지국까지는 상기 정보가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전송되고, 해당 기지국과 연결된 첫번째 프록시(proxy) 서버에서 IMS망을 접속하기 위한 IP(174)를 가지고 IMS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IP(174)가 IMS 단말기(170) 내에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SIP(172) 메시지를 사용하여 현재 차량 핸드프리의 연결 여부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는 핸드프리 정보 송신 프로세스(process)모듈과, 차량 핸드프리와의 접속 여부를 디텍트(detect)하는 핸드프리 접속 확인 모듈(177)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핸드프리 접속 확인 모듈(177)은 차량 핸드프리와의 접속 단자와 연결된 선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전압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알아낼 수 있다.
IMS에서 정의하는 프레즌스 정보는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제공해야 하므로 주기적으로 SIP(172) 메시지를 통해 업데이트(update)된다. 따라서, 차량 핸드프리에 접속이 되어 있는 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실시간으로 계속 프레즌스 정보와 함께 업데이트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차량 자체에 부착되어 교통 정보를 송수신하는 IMS 단말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 자체에 부착되어 교통 정보를 송수신하는 IMS 단말기(170) 내에는 상기 기술한 IMS용 개인 휴대 단말기와 같이 IMS 환경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 스텍(stack)인 SIP(172), RTP/RTCP(176), UDP(173)등이 포함되어 있고, 일반 차량 단말기와는 달리, 송수신을 할 수 있는 무선 모뎀 모듈(300)이 포함되어 있다. 이를 이용하여 SIP(172)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IMS 내 서버가 프레즌스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무선 모뎀 모듈(300)은 기존에 휴대전화에 사용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또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모뎀칩이 사용될 수 있으며, 차량 단말기 자체에 IP(174)가 부여될 경우 IP(174) 프로토콜을 더 포함하게 된다.
IMS 내 교통 정보 전송 서버(120)로부터 전달된 정보는 차량 IMS 단말기(170)의 LCD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display)된다.
본 발명은 최근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IMS 환경 하에서, 차량 단말기나,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여, 손쉽고 효율적으로 교통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특히 IMS 환경 하에서 적은 비용으로 교통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며, 단말기의 추가적인 비용 증가 없이 중요하고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Claims (14)

  1. 사용자의 위치 정보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에 전달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교통 정보를 추출하는 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해당 기지국과 연결된 프록시(proxy) 서버에서 IMS망에 접속하기 위한 IP를 가지고 IMS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와 차량 내 핸드프리의 접속 단자를 연결하는 선의 전압 변화를 감지하여 핸드프리의 장착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차량 내 핸드프리에 장착되었을 때에만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서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4.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한 RTP/RTCP;
    전송계층의 UDP 프로토콜;
    전송할 곳과의 세션(session)을 연결해 놓기 위한 SIP 프로토콜;
    핸드프리 정보 송신 프로세스(process)모듈; 및
    차량 핸드프리와의 접속 여부를 디텍트(detect)하는 접속 확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 내에 IP가 부여되고,
    IMS 환경 하에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IMS 내에는 일정 시간동안 사용자의 위치 정보 변화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HSS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7.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기위한 RTP/RTCP;
    전송계층의 UDP 프로토콜;
    전송할 곳과의 세션(session)을 연결해 놓기 위한 SIP 프로토콜; 및
    IP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IMS 내 서버가 프레즌스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무선 모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단말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모뎀 모듈은 CDMA, GSM, GPRS 또는 UMTS 모뎀칩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단말 장치.
  9. 사용자의 위치 변화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일정 시간동안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 및
    상기 타이머의 작동 시간에 따라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갱신 관리 모듈;로 구성되는 서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추출된 교통 정보를 다시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교통 정보 전송 서버가 더 추가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 전송 서버는 교통 정보를 전송하고자 하는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장치와,
    상기 인식된 단말 장치의 위치 주변의 교통 정보만을 거르는 필터링 장치와,
    상기 걸러진 교통 정보를 해당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다수 사용자들의 프레즌스 변화 정보를 분석하여 교통 정보를 추출하는 교통 정보 분석 서버가 더 추가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13. 휴대 단말기가 차량 핸드프리에 접속 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접속 시 기지국과의 주기적인 통신으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알아내는 단계;
    일정 주기 동안의 사용자 위치 정보 변화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위치 변화 정보를 사용하여 교통 정보를 얻어내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수집 방법.
  14. 교통 정보 전송 서버는,
    HSS와 접속 후 전송할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를 사용하여 현재의 사용자 위치를 알아내는 단계;
    사용자의 현재 위치 주변의 교통 정보를 분석 결과에서 추려내는 정보 필터 단계; 및
    상기 추려낸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 단계;를 통해 각 사용자에가 실시간 교통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정보 수집 방법.
KR1020050000202A 2005-01-03 2005-01-03 교통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 단말장치 KR100696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202A KR100696800B1 (ko) 2005-01-03 2005-01-03 교통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 단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202A KR100696800B1 (ko) 2005-01-03 2005-01-03 교통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 단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864A true KR20060079864A (ko) 2006-07-07
KR100696800B1 KR100696800B1 (ko) 2007-03-19

Family

ID=37171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202A KR100696800B1 (ko) 2005-01-03 2005-01-03 교통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 단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68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64027A (zh) * 2014-06-13 2014-09-24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交通信息的获取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3184A (ja) * 1997-12-17 1999-07-09 Xanavi Informatics Corp 交通情報システム
KR20000032614A (ko) * 1998-11-16 2000-06-15 이흥수 전역 측위 시스템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와 차량 수집 교통 정보의 속도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485514B1 (ko) * 2000-11-28 2005-04-28 주식회사 아이캔텍 교통 정보 제공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정보 제공시스템
KR20030006166A (ko) * 2001-07-11 2003-01-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교통 정보 획득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64027A (zh) * 2014-06-13 2014-09-24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交通信息的获取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6800B1 (ko) 2007-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3569C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emergency calls in a packet switched radio access network
US7853261B1 (en)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 router
CN1886999B (zh) 自动发现多媒体服务能力的方法和通信系统
CN101406091B (zh) 用于重建无线通信会话的方法和装置
CN101911647B (zh) 支持无线紧急呼叫的语音呼叫连续性(vcc)的装置和方法
US20070021118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fix-line local numbers to mobile roaming subscribers
KR101460151B1 (ko) 이종 망간의 로밍 서비스를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201100967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Emergency Location Service
CN101115283B (zh) 终端位置信息提供系统和方法
CN101175248A (zh) Ip多媒体子系统集中控制业务的紧急呼叫系统及方法
KR20060110581A (ko) 아이엠에스 기반 네트워크에서 위치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한 방법
CN101796872A (zh) 通信系统、用户设备注册方法、交换设备和用户设备注册系统
EP3398395B1 (en) Method and network for providing a setup of an enhanced call via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N103404221A (zh) 将会话从主叫方的服务通信网络中的主叫方路由选择到被叫方的方法
EP2110983B1 (en) Providing a roaming service to a user terminal in a communications system
CN101395888A (zh) 在包括ims的网络环境中将来电呼叫路由到合适的域的系统和方法
CN101277518B (zh) 一种紧急业务的处理方法
CN101366317B (zh) 通信系统及通信方法
CN101577889A (zh) 一种紧急呼叫系统及紧急通信受理中心的回呼方法
KR100696800B1 (ko) 교통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 단말장치
KR100447412B1 (ko) Ip 멀티미디어 서비스 가입자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가입자 데이터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90016906A (ko) Ims망에서 위치/상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1027887B (zh) 双模式用户设备及操作和支持它的方法和装置
CN101771932B (zh) 多媒体子系统本地业务触发系统、方法及相关装置
EP30624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s, especially emergency calls, for voice calls originating from a data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