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8918A - 초음파를 이용한 웨이퍼 세척 방법 - Google Patents

초음파를 이용한 웨이퍼 세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8918A
KR20060078918A KR1020040117510A KR20040117510A KR20060078918A KR 20060078918 A KR20060078918 A KR 20060078918A KR 1020040117510 A KR1020040117510 A KR 1020040117510A KR 20040117510 A KR20040117510 A KR 20040117510A KR 20060078918 A KR20060078918 A KR 20060078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cleaning
present
cleaning solution
ultras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7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6132B1 (ko
Inventor
김성진
Original Assignee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7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132B1/ko
Publication of KR20060078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8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57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 H01L21/02068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during, before or after processing of conductive layers, e.g. polysilicon or amorphous silicon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Drying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이퍼 표면에 잔류하는 불순물을 초음파(megasonic)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웨이퍼 세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웨이퍼를 황화 수산화물 세척 용액에 담그는 단계와, 황화 수산화물 세척 용액에 초음파(megasonic)를 가해서 웨이퍼 상에 존재하는 입자들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후속 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하고 소자의 결함으로 이어지는 것을 막고, 수율을 증대시키며 소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초음파, megasonic, 웨이퍼, 살리사이드, 황화 수산화물, NC2

Description

초음파를 이용한 웨이퍼 세척 방법{Method for Cleaning Wafer by Megasonic}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해 세척한 경우 웨이퍼에 남아 있는 불순물을 보여주는 SEM 사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해 세척한 경우 후속 공정에서 유발되는 결함을 보여주는 SEM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세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180㎚ 플래시 메모리에 대해서 본 발명을 실시한 경우 초음파의 진동수에 따른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의 세척도를 비교해서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31: 세척 용액 33: 용기
35: 웨이퍼 37: 진동자
39: 공급 전원 41: 히터
본 발명은 반도체 기술에 관한 것으로 살리사이드(salicide)를 형성한 뒤에 웨이퍼 표면에 잔류하는 불순물을 초음파(megasonic)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웨이퍼 세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살리사이드 형성 공정은 실리콘 혹은 폴리실리콘 위에 코발트, 티타늄 또는 티타늄 질화물 등을 도포한 뒤 이를 열처리하여 저항이 작은 화합물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게이트 또는 소스/드레인 영역의 접촉 저항을 크게 줄여 준다.
하지만, 살리사이드 형성 과정에서 실리콘과 반응하지 못한 코발트 등의 금속 잔류물(residue)은 소자의 불량을 초래하게 되므로 살리사이드를 형성한 뒤에는 이런 잔류물을 제거하는 세척 과정이 필요하다. 특히 소자의 최소 선폭이 점점 작아져 서브 마이크론 영역에 이르게 되면 각 공정 전후에 웨이퍼 표면을 세척하는 과정은 더욱 중요해진다.
종래에는 살리사이드를 형성한 뒤에 웨이퍼를 황화 수산화물(sulfuric hydroxide) 용액에 담궈, 열처리 공정에서 실리콘과 반응하지 못한 코발트 등 잔존물을 제거하였다. 하지만, 이렇게 부식성이 있는 용액에 웨이퍼를 담그는 것만으로는 완벽한 세척이 이루어 지지 않는다.
도 1은 황화 수산화물 용액에 담궈 웨이퍼를 세척한 뒤에도 잔류하는 입자들의 모습을 보여주는 SEM 사진이다. 또한 도 2는 금속 배선 공정 후 감지된 결함을 SEM으로 촬영한 것으로, 세척 공정에서 제거되지 않은 잔류물이 금속 배선 공정에 영향을 미치고 결함을 유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살리사이드를 형성한 다음 잔존하는 불순물을 초음파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도체 웨이퍼를 좀 더 효과적으로 세척하여 반도체 소자의 불량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웨이퍼(wafer)를 세척하는 방법으로서, 웨이퍼를 황화 수산화물(sulfuric hydroxide) 세척 용액에 담그는 단계와, 황화 수산화물 세척 용액에 초음파(megasonic)를 가해서 웨이퍼 상에 존재하는 입자들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세척 용액을 바꾸고 다시 초음파를 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실시하여 잔존하는 불순물을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부식성 용액에 담겨진 웨이퍼에 초음파를 가하는 경우, 초음파의 진동수와 그 진동수를 만들어내는 전력을 어떻게 조절하느냐가 상당히 중요하다. 진동수가 작으면 불순물을 제거하기 어렵고, 진동수가 커지면, 웨이퍼와 그 위에 형성된 살리사이드 구조에 충격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최적의 세척 조건을 가해지는 초음파의 진동수를 통해서 결정하며, 그 결과 웨이퍼 세척 과정의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세척 용액(31)이 담긴 용기(33)에 웨이퍼(35)를 담근다. 이 때 세척 용액(31)은 세척력이 강한 황화 수산화물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웨이퍼는 도 3과 같이 수직으로 담글 수도 있고 수평으로 담글 수도 있다. 수평으로 담글 경우 불순물이 웨이퍼에서 떨어진 뒤 아래로 침전하므로 세척효과가 커지나, 한번에 세척할 수 있는 웨이퍼의 수가 한정되어 효율이 낮다. 본 발명의 경우 초음파를 이용하여 세척력이 뛰어나므로 여러 장을 수직으로 담궈 한번에 세척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웨이퍼(35)를 세척 용액(31)에 담근 뒤에는 외부 전원(39)에서 전력을 공급하여 진동자(37)를 진동시킨다. 진동자(37)가 진동하면서 생성되는 초음파(megasonic)에 의해서 웨이퍼(35)에 붙어있던 불순물들이 떨어져 나간다. 이 때, 히터(41)로 열을 가해서 세척 용액의 세척력을 높일 수 있다.
초음파를 사용하여 웨이퍼를 세척하는 경우, 가해지는 초음파의 진동수는 웨이퍼와 그 위에 형성된 구조물의 종류에 맞춰 세밀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진동수가 상대적으로 작으면 세척이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고, 진동수가 상대적으로 크면 소자에 손상을 입히게 된다.
서브 마이크론(sub micron) 단위의 소자, 예를 들어 180㎚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만들기 위한 공정에서 살리사이드를 해당 레이아웃(layout)에 맞춰 제작한 경우에는 약 750 ㎑ 정도에서 세척력이 극대화 된다.
최적의 세척 조건을 정하려면, 패턴 리프팅(pattern lifting)이 적게 일어나고, 동시에 세척하는 웨이퍼들(35) 중에서 앞 쪽에 있는 웨이퍼들과 뒤 쪽에 있는 웨이퍼들의 불순물 제거율(removal rate, 이하 'R/R'이라 함)이 크게 차이 나지 않 고 소자의 손상 없이 불순물을 많이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최적의 세척 조건에 맞춰 180㎚ 플래시 메모리의 경우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도 4에서 보듯이 패턴 리프팅이 일어나지 않는 최대 공급 전력이며, 공급전원을 50W, 100W, 200W, 300W의 네 경우로 나누어 웨이퍼 전단과 후단의 R/R을 측정하였을 때, 도 5에서 보듯이 차이가 비교적 작은 200W의 공급 전력에서 발생하는 750 ㎑가 최적의 세척 조건임을 알 수 있다.
약 750 ㎑ 의 초음파를 공급하여 웨이퍼를 세척한 경우 플래시 셀(flash cell)의 게이트 구조에 손상에 손상을 주지 않았으며, 단순히 황화 수산화물 용액에 담궈 세척한 경우와 비교하여 잔존 불순물을 50% 이상 감소시킬 수 있었다. 도 6은 그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죄측의 단순 세척 과정에서 남은 불순물에 비해 초음파 세척한 우측의 결과는 불순물의 양이 현저히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황화 수산화물 용액에 웨이퍼를 담궈 초음파 세척한 다음, 용액을 NC2로 바꾸어 다시 한번 초음파 세척을 하여서 더욱 세척도를 높일 수 있다.
지금까지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 방법을 설명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정하여지며, 도면을 참조로 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충분히 변형되거나 수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후속 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하고 소자의 결함으로 이어지는 것을 막고, 수율을 증대시키며 소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4)

  1. 반도체 웨이퍼(wafer)를 세척하는 방법으로서,
    웨이퍼를 황화 수산화물 세척 용액에 담그는 단계와,
    상기 황화 수산화물 세척 용액에 초음파(megasonic)를 가해서 상기 웨이퍼 상에 존재하는 파티클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의 세척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황화 수산화물 세척 용액에 가해지는 상기 초음파는 약 750㎑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세척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세척 용액은 황화 수산화물(sulfuric hydrox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세척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황화 수산화물 세척 용액에 초음파(megasonic)를 가해서 상기 웨이퍼 상에 존재하는 파티클을 제거하는 단계에 이어서 세척 용액을 NC2로 바꾸어서 동일 한 세척 과정을 진행하는 단깨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세척 방법.
KR1020040117510A 2004-12-30 2004-12-30 초음파를 이용한 웨이퍼 세척 방법 KR100606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510A KR100606132B1 (ko) 2004-12-30 2004-12-30 초음파를 이용한 웨이퍼 세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510A KR100606132B1 (ko) 2004-12-30 2004-12-30 초음파를 이용한 웨이퍼 세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918A true KR20060078918A (ko) 2006-07-05
KR100606132B1 KR100606132B1 (ko) 2006-07-31

Family

ID=37170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7510A KR100606132B1 (ko) 2004-12-30 2004-12-30 초음파를 이용한 웨이퍼 세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61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2985A (ko) 2022-04-28 2023-11-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촉식 웨이퍼 픽업 및 세정장치
KR20230156979A (ko) 2022-05-09 2023-11-1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이퍼 세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9144A (ja) * 1992-03-11 1993-10-08 Fujitsu Ltd 基板洗浄方法
KR19990005888A (ko) * 1997-06-30 1999-01-25 김영환 웨이퍼 세정방법
US6526995B1 (en) * 1999-06-29 2003-03-04 Intersil Americas Inc. Brushless multipass silicon wafer cleaning process for post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using immersion
KR100520819B1 (ko) * 2003-02-25 2005-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의 세정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2985A (ko) 2022-04-28 2023-11-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촉식 웨이퍼 픽업 및 세정장치
KR20230156979A (ko) 2022-05-09 2023-11-1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이퍼 세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6132B1 (ko) 2006-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19399B (en) Post-lapping cleaning process for silicon wafers
TW473852B (en) A single-operation method of cleaning semiconductors after final polishing
KR100488378B1 (ko) 기판 세정 방법 및 기판 세정 장치
JP2005183937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レジスト除去用洗浄装置
CN101075552A (zh) 去除离子注入光敏抗蚀剂的方法
CN101154558A (zh) 刻蚀设备组件的清洗方法
WO2013008605A1 (ja) メタルゲート半導体の洗浄方法
JP2008091498A (ja) 基板処理装置及び基板処理方法
KR100606132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웨이퍼 세척 방법
WO2008021265A2 (en) Semiconductor substrate cleaning apparatus
US6796315B2 (en) Method to remove particulate contamination from a solution bath
KR100830750B1 (ko) 실리콘 웨이퍼 세정방법
JP4752117B2 (ja) 半導体ウェハ上の粒子を除去する方法
JP7258915B2 (ja) 半導体ウエハの洗浄に用いられる方法及び装置
WO2012108835A1 (en) Cleaning process for bond surface contamination
US7674695B1 (en) Wafer cleaning system
JP2005183627A (ja) 未反応チタン膜の除去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未反応チタン膜の除去装置
KR100906043B1 (ko) 반도체 소자의 세정 방법
WO2001054181A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leaning silicon wafers
JP2001269632A (ja) 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TWI828723B (zh) 基板的清洗方法及裝置
JP2003173999A (ja) 半導体基板洗浄装置、半導体基板洗浄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70001745A (ko) 게이트 산화막의 전처리 세정방법
KR100598287B1 (ko) 반도체 소자의 세정 방법
JPH0737780A (ja) レジスト除去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レジスト除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