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8808A - 음영지역에서 rf 신호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기지국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영지역에서 rf 신호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기지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8808A
KR20060078808A KR1020040118148A KR20040118148A KR20060078808A KR 20060078808 A KR20060078808 A KR 20060078808A KR 1020040118148 A KR1020040118148 A KR 1020040118148A KR 20040118148 A KR20040118148 A KR 20040118148A KR 20060078808 A KR20060078808 A KR 20060078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ase station
baseband signal
baseband
synchroniz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8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8415B1 (ko
Inventor
이용욱
정성헌
조형원
Original Assignee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8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415B1/ko
Publication of KR20060078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8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영지역에서 RF 신호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지국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음영지역 외부와 기지국 신호를 교환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받은 기저대역 신호에, TDD 동기 신호를 멀티플렉싱하여 상기 기저대역 신호와 상기 TDD 동기 신호를 하나의 심볼로 만들고, 다수의 RRU들로부터 기저대역 신호가 수신될 경우, 수신된 기저대역 신호를 가산하여 기지국에 전송하는 DU, 그리고 상기 DU로부터 수신된 신호에서 TDD 동기 신호와 기저대역 신호를 분리하고, TDD 동기 신호에 맞춰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신호로 합성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를 향해 무선 송신하는 RRU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TDD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TDD 동기 신호의 전송을 위한 전송선과 광 케이블 또는 동축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음영지역 내에 RF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음영지역

Description

음영지역에서 RF 신호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지국 시스템{BASE STATION SYSTEM FOR PROCEEDING SERVICE OF INTERCHANGE RADIO FREQUENCY SIGNAL IN SHADOW AREA}
도 1은 통상적으로 음영지역에 설치되는 기지국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음영지역에 설치되는 기지국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시스템 구성 요소들의 상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에 TDD 동기 신호가 멀티플렉싱된 심볼들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RRU로부터 수신된 기저대역 신호가 가산된 심볼들의 예시도.
본 발명은 TDD(Time Division Duplexing)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영지역에 RF(Radio Frequency) 신호 교환 서비스를 하기 위한 기지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영지역이라는 것은 이동통신사의 기지국에서 전파를 수신할 수 없는 지역을 말하는 것이다. 즉, 대형빌딩의 내부, 혹은 산이나 언덕의 뒤편, 터널이나 지하철 등의 지역 등을 말하며, 또한 기지국의 서비스 지역 이외의 통화량이 적은 소단위 인구 밀집지역, 유원지, 산골짜기 등도 이에 포함된다. 이러한 음영지역에는 이동통신사가 기지국 또는 중계기를 설치하여 전파가 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이러한 통상적인 음영지역에 RF 신호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음영지역 내에 설치되는 기지국과 그 구성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외부의 기지국들과 기지국 신호를 교환하기 위해 음영지역 내에 설치된 RF중계기(106)또는 광중계기(102)와, 음영지역 내의 이동통신 단말기들로 상기 기지국 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는 RU(Remote Unit:110), 상기 RU(110)에 상기 기지국 신호를 분배하거나, 상기 RU(110)에 수신된 RF 신호를 취합하여 상기 RF중계기(106)또는 광중계기(102)에 전송하는 메인 허브(Main Hub:104)를 구비한다.
그런데, 이러한 내부의 구성요소들 사이를 동축 케이블로 연결할 경우, 연결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의 길이에 따라 로스(loss)가 발생하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로스가 발생하게 되면, 발생된 로스의 누적으로 인해 신호 품질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현재는 광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로스를 줄이는 방법이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도 1에서는 메인 허브(Main Hub Unit(MHU):104)와 원격 허브(Remote Hub Unit(RHU):204) 사이의 케이블이 광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대형 빌딩 내부와 같은 음영 지역 내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라 할지라도, 로스의 발생 없이 음영 지역 외의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신호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처럼 광 케이블로 연결될 경우, 그 광 케이블로 신호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 DAC(Digital Analog Converter), 그리고 광 모듈 등의 구성 요소를 추가로 필요로 한다. 따라서 광 케이블로 연결될 경우 상기한 구성 요소들의 설치에 따라 추가로 비용이 소모되며, 광 케이블 역시 케이블 자체의 단가가 높기 때문에 설치 비용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광 케이블을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광 케이블을 사용하기 위한 과정등을 추가로 필요로 하게 되므로, 상기한 광 케이블을 이용하여 음영 지역에 RF 신호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지연시간이 누적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지연시간의 누적은 시간 분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큰 문제를 야기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TDD(Time Division Duplexing) 방식과 같은 시 분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지연시간의 누적은 자칫 동기를 어긋나게 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시분할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RF 신호 교환 서비스의 제공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TDD 방식일 경우 RU(110)는 TDD 방식에 따라 상향 링크 또는 하향 링크를 선택할 수 있는 TDD 동기 신호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현재 TDD 방식으로 서비스되는 통신 서비스가 없으므로, 이러한 TDD 동기 신호를 수신하려면, 기지국처럼 차체적으로 GPS를 이용하던가, TDD 동기 신호의 전송을 위한 전송선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음영지역 내에 설치된 기지국이 기가비트 이더넷(Gigabit Ethernet)과 같은 디지털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RU에 기저대역 신호를 전송하고, 별도의 전송선 없이 TDD 동기 신호를 RU에 공급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지국 시스템은, 전파 음영지역 외부로부터 기지국 신호를 입력받아 기저대역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기저대역 신호와 시분할 전송 방식의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기지국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상기 시분할 전송 방식의 동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상기 동기 신호를 포함시켜 멀티플렉싱 (Multiplexing)하여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DU(Donor Unit)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DU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멀티플렉싱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동기 신호를 분리하고, 상향링크 신호와 하향링크 신호를 상기 동기 신호에 따라 합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무선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RRU(Remote RF Unit)들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TDD 방식 뿐 아니라 다른 시분할 방식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편의상 TDD 방식만을 그 예로 들어 설명하고, 또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시스템이 송신 또는 수신 방향으로 1G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가비트 이더넷(Gigabit Ethernet)를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기지국 또는 중계기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RF 신호가 송수신 될 때 모뎀에서 만들어진 기저대역 신호(I 신호, Q 신호)를 분기하여 사용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시스템이 기가비트 이더넷에서 사용된다고 가정하였을 경우, 이러한 최대 RRU의 개수를 산정할 수 있는데, 여기서 최대 RRU의 개수는 I 신호, Q 신호의 비트수와 샘플링률(Sampling Rate)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상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가정을 하기로 한다.
가정 1 :  샘플링률은 10MHz, I, Q bits는 각 16bits임.
가정 2 :  음영지역인 하나의 빌딩에 기지국 또는 유/무선 중계기를 설치함.
가정 3 :  TDD방식 기지국과 유/무선 중계기는 다수의 DU와 접속할 수 있음.
가정 4 :  DU는 다수의 RRU와 접속할 수 있음.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음영지역에 설치되는 기지국 시스템의 구성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시스템에서는 음영지역 외의 기지국과 기지국 신호를 교환하는 기지국(200), 일정 지역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RF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다수의 RRU(Remote Ef Unit:204), 그리고 상기 기지국(200)으로부터 전송받은 기저대역 신호를 상기 다수의 RRU(204)들에게 분배하고, RRU(204)에서 수신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RF신호를 취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DU(202)를 다수 구비한다.
상기 기지국(200)은 음영지역 외부의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신호를 받아 이를 기저대역 신호(I 신호와 Q 신호)로 복조하고, 복조된 신호를 연결되어 있는 DU(202)의 개수만큼 복제하고, TDD 동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복조된 기저대역 신호와 함께 전송한다. 그러면 DU(202)에서는 전송받은 기저대역 신호를 현재 DU(202)에 연결되어 있는 개수만큼 복제한다. 그리고 복조된 신호를 샘플링하여 프레임으로 변환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U(202)에서는 단순히 기저대역 신호만을 디지털 데이터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샘플링된 각각의 I 신호와 Q 신호에, 기지국(200)으로부터 받은 TDD 동기 신호를 샘플링한 신호를 포함시켜 멀티플렉싱하여 하나의 심볼로 만든다. 그리고 상기 DU(202)는 상기 다수의 RRU(204)들로부터 I 신호와 Q 신호가 수신될 경우, 각각의 RRU(202)에서 수신된 I 신호와 Q 신호를 가산하여 기지국(200)에 전송한다.
그리고 RRU(204)에서는 DU(202)에서 분기된 기지국 신호를 기가비트 이더넷으로 수신한 후 심볼 데이터를 분리하고, 각 심볼 데이타에서 TDD 동기 신호를 분 리한다. 이렇게 분리된 TDD 동기 신호는 샘플링률 단위로 출력되는 연속된 비트열이 되어 이를 하나의 신호로 공급한다. 그리고 TDD 동기 신호에 맞춰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신호로 합성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를 향해 무선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RRU(204)에 수신된 무선 신호는 I,Q신호로 복조된다. 그리고 복조된 I,Q신호를 기가비트 이더넷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데이터열을 생성한다.
도 2b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200), DU(202), 그리고 RRU(204)의 블록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우선 기지국(200)은 음영지역 외부의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하향 주파수 변환기(250)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하향 주파수 변환기(250)으로부터 상기 가정 1에서 가정한 것과 같이 하향링크의 I 신호와 Q 신호, 도합 32비트와 TDD 동기 신호를 DU(202)로 출력하고, 이를 입력받은 DU(202)에서는 TDD 신호 MUX(252)를 구비하여 상기 I 신호와 Q 신호에 TDD 신호를 포함하여 멀티플렉싱을 수행한다. 그리고 각 I 신호와 Q 신호에 TDD 동기 신호가 멀티플렉싱되면, 멀티플렉싱된 신호는 P2S(Parallel To Serial) 변환부(254)로 입력되고 직렬로 변환되어 다운링크 신호로 GE 인터페이스 제어부(258)로 입력된다. 여기서 GE 인터페이스 제어부(258)는 버퍼(Buffer)를 구비한다. 그리고 만약 여기서 버스 단위 버퍼링(Buffering)이 가능할 경우에는 심볼단위로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GE 인터페이스 제어부(258)은 상기 P2S 변환부(254)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다수의 GE 인터페이스(260)와 다수의 RJ-45 포트(262)를 통해 각 RRU(204)로 전송한다. 그 리고 RRU(204)에서는 RRU(204)의 RJ-45포트(264)와 GE 인터페이스(266), 그리고 RRU(204)의 GE 인터페이스 제어부(270)를 통해 S2P(Serial To Parallel)/ P2S 변환부(270)을 거쳐 다시 병렬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TDD 디멀티플렉서(DEMUX:272)에서 각 심볼데이타로부터 TDD 동기 신호를 분리한다. 이렇게 분리된 TDD 동기 신호는 샘플링률 단위로 출력되는 연속된 비트열이 되어 이를 하나의 신호로 만들어 IF/RF부(278)의 Tx/Rx 절차 신호로 공급한다. 그리고 IF/RF부(278)에서는 상향링크 신호와 하향링크 신호를 TDD 동기 신호에 맞춰 합성한 후 단말기를 향해 무선으로 송신된다. 또한 복호화된 I 신호와 Q 신호는 DAC(Digital Analog Converter)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IF/RF부(278)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RRU(204)에 수신된 신호들은 상술한 과정의 역순을 통해 RRU(204)와 DU(202)를 거쳐 기지국(200)에 전송된다. 여기서 TDD 동기 신호는 이미 RRU(204)에서 TDD 동기신호를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하였기 때문에 합성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각각의 RRU(204)에 수신된 신호들은 음영지역에 구비된 기지국(200)을 통해 음영지역 외부로 송신된다.
도 3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U(202)에서 샘플링된 각각의 I 신호와 Q 신호에 기지국(200)으로부터 전송받은 TDD 동기 신호를 멀티플렉싱하는 과정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여기서 TDD 동기 신호라는 것은 DU(202), RRU(204)에게 상향 또는 하향 링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호로서, 상기 도 3에서는 하향 링크, 즉 다운로드 링크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TDD 동기 신호를 '1'로, 그리고 상향 링크, 즉 업 링크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TDD 동기 신호를 '0'으로 샘플링 된 경우를 가정한 예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3의 (a)는 샘플링되기 이전의 기지국(200)으로부터 DU(202)에 수신된 TDD 동기 신호와 기저대역 신호를 보이고 있으며, 도 3의 (b)는 멀티플렉싱되기 이전의 TDD 동기 신호와 샘플링된 기저대역 신호를 보이고 있다. 또한 도 3의 (c)는 샘플링된 기저대역 신호와 TDD 동기 신호가 멀티플렉싱되어 각각 하나의 심볼로 만들어진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또한 상기 가정 1에서 I 신호와 Q 신호는 각각 16비트라고 가정하였으므로, TDD 동기 신호는 MSB(Most Significant Bit) 또는 LSB(Least Significant Bit)중 어느 하나를 확장하여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가정 1에서 샘플링률은 10MHz인 것을 가정하였으므로, 기가비트 이더넷 방식을 위해 P2S(Parrell To Serial) 변환부를 거친다면 심볼 데이터 비트수와 샘플링 주파수를 곱한 값이 바로 전송속도가 되므로, 상기한 도 3의 (c)와 같은 경우에 전송 속도는 하기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4063188688-PAT00001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시스템의 전송 속도는 기가비트 이더넷 전송 속도에 부합되며, 이에 따라 기가비트 이더넷 전송 방식을 통해 다수의 RRU(204)들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DU(202)는 각각의 RRU(204)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을 하여 현재 연결되어 있는 RRU(204)가 같은 기지국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RRU(204)로부터 기저대역 신호(I 신호, Q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DU(202)는 수신된 신호들을 취합하여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U(202)가 다수의 RRU(204)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취합한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4에서는, DU(202)에 연결되어 있는 RRU(204)의 개수를 8개로 가정한 경우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또한 원래는 I 신호와 Q 신호 모두 가산하여야 하나, I 신호의 경우 Q 신호의 경우와 같기 때문에 Q 신호 하나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DU(202)에서 가산된 예에서는 8개의 RRU(204)의 심볼이 모두 'FFFF' 가산된 신호들의 최고치가'2FFFFD'보이고 있다. 그러나 I 신호까지 포함되어 가산된다면, 상기 예의 경우 가산된 최고치는'5FFFE'가 될 것이다.
상기 도 4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RRU(204) 8대에서 Q 신호를 가산할 경우 DU(202)에서 가산된 심볼은 16비트 + 8비트 = 24비트로 늘어난다. 그리고 후에 DU(202)에서 또 가산이 되기 때문에 분리도(Resolution)를 높이기 위해 24비트 심볼을 그대로 전송한다. 만약 DU(202)가 여러개일 경우 기지국(200)은 최종적으로 가산되어진 I 신호 또는 Q 신호를 16비트로 맞추기 위하여 RRU(204)의 개수만큼 LSB부터 제거하는 비트 트렁케이션(bit truncation)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8개의 RRU(204)에서 수신된 I 신호와 Q신호를 모두 가산하여 기지국 또는 중계기로 전송할 경우 하나의 DU(202)에서 기지국(200)으로 보내는 최대 수신 데이터는 2 x (16bits + 8bits) = 480Mbps 가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데이터 전송 용량에 맞추어 사용가능한 DU(202)와 RRU(204)의 개수를 정할 수 있는데, 여기서 최대 전송 용량에 따른 DU(202)의 개수와 RRU(204)의 개수는 하기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04063188688-PAT00002
최대 전송 용량(bps) =
여기서 D는 DU(202)의 개수를 말하는 것이며, R은 RRU(204)의 개수를, 그리고 B는 I 신호 또는 Q 신호의 분리도를 위한 비트수를 말하는 것이며, S는 샘플링률(Hz)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최대 전송 용량은 DU(202), RRU(204)가 배치된 음영지역 내의 사용중인 모든 RRU(204)의 수신 데이터들의 합이다. 상기한 예에서는 일단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지국 또는 중계기에 최대 전송속도로 전송하였지만, 각 기지국(200)에서 사용하는 DAC(Digital Analog Converter) 분리도(Resolution)를 맞추기 위해서는 적절한 값을 찾아 비트 트렁케이션을 하여야 한다. 즉 최종 가산결과 값의 분리도는 B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음영지역 외의 기지국과 기지국 신호를 교환하는 기지국(200)과, 그리고 상기 기지국(200)으로부터 전송받은 기저대역 신호에, 상기 기지국(200)으로부터 전송받은 TDD 동기 신호를 멀티플렉싱하여 상기 기저대역 신호와 상기 TDD 동기 신호를 하나의 심볼로 만들고, 상기 다수의 RRU(204)들로부터 기저대역 신호가 수신될 경우, 각각의 RRU(204)에서 수신된 기저대역 신호를 가산하여 기지국에 전송하는 DU(202), 그리고 상기 DU(202)로부터 수신된 신호에서 TDD 동기 신호와 기저대역 신호를 분리하고, TDD 동기 신호에 맞춰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신호로 합성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를 향해 무선 송신하는 RRU를 구비함으로써 TDD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TDD 동기 신호의 전송을 위한 전송선과 광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음영지역 내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RF 신호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더불어 상기 음영지역 내에 설치된 기지국이 RRU에 기저대역 신호를 전송하여 기가비트 이더넷(Gigabit Ethernet)과 같은 디지털 전송이 가능하게 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음영지역 내에 설치되는 것이 기지국이라고 설명하였으나, RF/IF부를 구비하여 I 신호와 Q 신호를 복조할 수 있는 중계기의 경우 상기 기지국(200) 대신에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TDD 방식을 그 예로 들었으나, 다른 형태의 시분할 방식에도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FDD(Frequency Division Duples) 방식의 전송 방식에도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해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음영지역 외부와 기지국 신호를 교환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받은 기저대역 신호에, TDD 동기 신호를 멀티플렉싱하여 상기 기저대역 신호와 상기 TDD 동기 신호를 하나의 심볼로 만들고, 다수의 RRU들로부터 기저대역 신호가 수신될 경우, 수신된 기저대역 신호를 가산하여 기지국에 전송하는 DU, 그리고 상기 DU로부터 수신된 신호에서 TDD 동기 신호와 기저대역 신호를 분리하고, TDD 동기 신호에 맞춰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신호로 합성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를 향해 무선 송신하는 RRU를 구비한다. 따라서 기가비트 이더넷과 같이 디지털 전송방식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손실 없이, 100m 가까운 거리를 이격시켜 손실되지 않은 기지국 신호를 서비스 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음영지역에 다수의 RRU를 설치하여 음영지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UTP선로를 이용할 경우, 케이블 단가가 저렴하고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UTP선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 공사비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기지국 시스템에 있어서,
    전파 음영지역 외부로부터 기지국 신호를 입력받아 기저대역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기저대역 신호와 시분할 전송 방식의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기지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기지국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상기 시분할 전송 방식의 동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상기 동기 신호를 포함시켜 멀티플렉싱(Multiplexing)하여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DU(Donor Unit)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DU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멀티플렉싱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동기 신호를 분리하고, 상향링크 신호와 하향링크 신호를 상기 동기 신호에 따라 합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무선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RRU(Remote RF Unit)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영지역에서 RF 신호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지국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RU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무선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복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DU들 중 어느 하나에 전송하고,
    상기 DU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RRU로부터 입력된 기저대역 신호를 취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들 중 어느 하나에 전송하고,
    상기 내부 기지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DU로부터 입력된 기저대역 신호를 취합하고, 이를 변조하여 상기 전파 음영지역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영지역에서 RF 신호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지국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U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RRU에 이더넷 전송 방식의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을 이용하여, 현재 연결되어 있는 RRU들이 서로 같은 기지국 신호를 송수신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영지역에서 RF 신호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지국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U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입력된 TDD 동기 신호와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털 데이터화하고, 이를 멀티플렉싱을 통해 하나의 심볼로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영지역에서 RF 신호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지국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U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RRU로부터 수신된 기저대역 신호를 취합할 때, 상기 내부 기지국의 ADC(Analog Digital Converter) 분리도(Resolution) 또는 DAC(Digital Analog Converter) 분리도(Resolution)에 맞게 비트 트렁케이션(Truncati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영지역에서 RF 신호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지국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U는,
    상기 샘플링된 TDD 동기 신호를, 상기 샘플링된 기저대역 신호의 LSB(Least Significant Bit) 또는 MSB(Most Significant Bit) 중 어느 하나를 확장하여 포함시켜 멀티플렉싱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영지역에서 RF 신호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지국 시스템.
KR1020040118148A 2004-12-31 2004-12-31 음영지역에서 rf 신호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기지국 시스템 KR100728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8148A KR100728415B1 (ko) 2004-12-31 2004-12-31 음영지역에서 rf 신호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기지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8148A KR100728415B1 (ko) 2004-12-31 2004-12-31 음영지역에서 rf 신호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기지국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808A true KR20060078808A (ko) 2006-07-05
KR100728415B1 KR100728415B1 (ko) 2007-06-13

Family

ID=37170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8148A KR100728415B1 (ko) 2004-12-31 2004-12-31 음영지역에서 rf 신호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기지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41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9959A1 (fr) * 2007-07-16 2009-01-22 Datang Mobile Communications Equipment Co., Ltd Procede et systeme de traitement de signaux d'antennes multiples
CN101170357B (zh) * 2007-11-22 2010-06-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级联射频拉远单元的上行数据传输方法
CN101335561B (zh) * 2008-08-01 2012-03-21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拉远数据交换设备及其数据交换的方法
KR101257725B1 (ko) * 2008-12-04 2013-04-2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들의 포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410997B1 (ko) * 2011-08-16 2014-06-23 주식회사 케이티 신호 처리 시스템
KR101471679B1 (ko) * 2009-03-03 2014-12-15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송수신기 및 중계기 정합을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453B1 (ko) * 2018-04-04 2018-11-05 (주)이랑텍 능동형 부스팅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3076B1 (ko) * 1999-01-28 2001-02-15 조정남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의 원격지 기지국을 운용하는 도너 기지국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9959A1 (fr) * 2007-07-16 2009-01-22 Datang Mobile Communications Equipment Co., Ltd Procede et systeme de traitement de signaux d'antennes multiples
CN101170357B (zh) * 2007-11-22 2010-06-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级联射频拉远单元的上行数据传输方法
CN101335561B (zh) * 2008-08-01 2012-03-21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拉远数据交换设备及其数据交换的方法
KR101257725B1 (ko) * 2008-12-04 2013-04-2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들의 포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471679B1 (ko) * 2009-03-03 2014-12-15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송수신기 및 중계기 정합을 위한 장치
KR101410997B1 (ko) * 2011-08-16 2014-06-23 주식회사 케이티 신호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8415B1 (ko)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5649B2 (ja) 無線中継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US821340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P communication over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transport
EP3585019B1 (en) A communication device for providing digital transport of signals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4667319A (en) Digital repeater with 3-way branching of service channels
KR20070006535A (ko)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중계 장치 및 원격 무선 기지국 장치
US20140003351A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01321010A (zh) 一种数字覆盖方法及系统
KR101226617B1 (ko) 다양한 유형의 통신 신호를 통합 중계하는 통합 중계기 및 통합 중계 시스템
US9609532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KR20180005996A (ko) 빌딩 내의 rf 케이블을 공유하는 5g 인빌딩 중계 시스템 및 5g 인빌딩 중계 방법
KR100728415B1 (ko) 음영지역에서 rf 신호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기지국 시스템
EP2600686A2 (en) Communication link for a split microwave backhaul architecture
EP1708520B1 (en) Baseband signal processing module with interfaces to other baseband signal processing modules and to a radio frequency signal processing module
USRE47466E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P communication over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transport
KR100314206B1 (ko) 이동통신기지국의디지털전송장치
KR10029387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확장장치
KR100711169B1 (ko) 갭 필러 시스템 및 그 프로그램 신호 송신 방법
KR20150070627A (ko) 아날로그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중계 장치
JP200226171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345683B1 (ko)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간 무선 광 정합장치 및 그 방법
KR20180106820A (ko) 디지털 광 중계기 시스템
KR100661506B1 (ko)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원격 기지국 장치
RU36594U1 (ru) Телевизионная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я сеть
JP2002261674A (ja) 加入者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加入者局装置
JP2020198582A (ja) 周波数増設分散アンテナシステム及び周波数増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