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8644A - 본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본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8644A
KR20060078644A KR1020040116949A KR20040116949A KR20060078644A KR 20060078644 A KR20060078644 A KR 20060078644A KR 1020040116949 A KR1020040116949 A KR 1020040116949A KR 20040116949 A KR20040116949 A KR 20040116949A KR 20060078644 A KR20060078644 A KR 20060078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isplay unit
rotating member
terminal bod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6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7420B1 (ko
Inventor
김명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6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420B1/ko
Priority to JP2005380227A priority patent/JP4261544B2/ja
Priority to EP05028656A priority patent/EP1677174A3/en
Priority to US11/325,783 priority patent/US7711398B2/en
Priority to CN2005101381853A priority patent/CN1798180B/zh
Publication of KR20060078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8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changing, e.g. reversing, the face orientation of the screen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e.g. for folding into tablet PC like position or orienting toward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user to show to a second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5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small, e.g. for presenting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패드가 장착되는 단말기 본체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엘시디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단말기 본체와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가로로 배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단말기 본체가 가로로 배치되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유닛으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 유닛뿐만 아니라 단말기 본체도 회전되어 가로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게임 등을 할 때 키조작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다양한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단말기, 휴대용단말기, 힌지부, 힌지연결부, 디스플레이유닛

Description

본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 {BODY ROTATION TYPE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닫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힌지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VIII-VIII 선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IX-IX 선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X-X 선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말기 본체 12 : 키패드
14 : 메인 엘시디 16 : 서브 엘시디
20 : 디스플레이 유닛 30 : 힌지유닛
32 : 디스플레이유닛 힌지부 34 : 단말기본체 힌지부
36 : 힌지 연결부 38 : 외측 커버
40 : 힌지홀 42 : 제1회전부재
44 : 제2회전부재 46 : 그루브
48 : 체결돌기 50 : 체결홈
52 : 연결부재 72 : 제1힌지부재
74 : 제2힌지부재 76 : 제3힌지부재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회전시킴과 아울러 단말기 본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힌지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그 개폐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 타입으로 나누어지는 데, 본체에 커버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립 타입(flip type), 엘시디가 장착된 폴더가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폴더 타입(folder type), 엘시디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유닛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는 슬라이드 타입(slide type) 등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단말기의 사용 용도가 다양해짐에 따라 동영상 감상 또는 화상통화 등을 위해 폴더를 회전시켜 와이드 화면을 구현하는 폴더 회전타입 단말기가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 회전타입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회로 부품이 장착된 PCB가 내장되고 전면에 키패드(102)가 장착되는 단말기 본체(110)와, 상기 단말기 본체(11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창(122)이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120)과, 상기 단말기 본체(110)와 디스플레이 유닛(1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단말기 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와이드 화면을 구현하도록 디스플레이 유닛이 자체적으로 90°로 회전시켜서 가로로 배치시키는 힌지유닛(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유닛(130)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과 단말기 본체(110)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힌지부(132)와, 상기 제1힌지부(132)와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가로로 배치되도록 90°로 회전시켜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와이드 화면을 구현하도록 하는 제2힌지부(13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 회전타입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제1힌지부(132)에 의해 단말기 본체(1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열고 닫힐 수 있도록 하고, 제2힌지부(134)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90°로 회전되어 가로로 배치되도록 하여 동영상 감상 또는 화상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 회전타입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유닛(120)만 90°로 회전되어 가로로 배치되기 때문에 동영상 감상 등 와이드 화면을 구현할 수 있지만 단말기 본체(110)는 세로로 배치되어 있 기 때문에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단말기 본체(110)는 회전될 수 없기 때문에 가로로 배치될 수 없어 게임 등 많은 키 조작을 필요로 하는 기능을 수행할 때 키 조작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유닛뿐만 아니라 단말기 본체도 회전되어 가로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게임 등을 할 때 키조작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다양한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키패드가 장착되는 단말기 본체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엘시디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단말기 본체와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가로로 배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단말기 본체가 가로로 배치되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디스플레이유닛 힌지부와, 상기 단말기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단말기본체 힌지부 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힌지부와 단말기본체 힌지부 사이에 연결되어 두 힌지부 사이를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휴대 단말기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각종 회로 부품이 실장된 메인 PCB가 내장되고 전면에 키패드(keypad:12)가 장착되는 단말기 본체(10)와, 상기 단말기 본체(1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엘시디(14)를 갖는 디스플레이 유닛(20)과, 상기 단말기 본체(10)와 디스플레이 유닛(2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이 가로로 배치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단말기 본체(10)가 가로로 배치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유닛(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은 안쪽면에 화상 및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엘시디(14)가 길이방향으로 장착되고, 바깥쪽면에 서브 엘시디(16)가 장착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유닛의 디스플레이유닛 힌지부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유닛의 단말기본체 힌지부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유닛의 힌지 연결부의 단면도이다.
상기 힌지유닛(30)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디스플레이유닛 힌지부(32)와, 상기 단말기 본체(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단말기본체 힌지부(34)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힌지부(32)와 단말기본체 힌지부(34) 사이에 연결되어 두 힌지부(32,34) 사이를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연결부(36)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힌지부(3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의 외측커버(38)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외측커버(38)에 형성된 힌지홀(40)에 삽입되는 제1회전부재(42)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의 외측커버(38)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홀(40)에 삽입되고 상기 제1회전부재(42)와 체결되는 제2회전부재(44)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회전부재(42)와 제2회전부재(44)는 각각 원형링 타입으로 형성되고 제1회전부재(42)와 제2회전부재(44)가 상호 체결되면 그 안쪽면에 둘레방향으로 ?? 자 형태의 그루브(46)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홀(40)의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여기에서, 상기 그루브(46)는 상기 제1회전부재(42)에 형성될 수 있고, 제2회전부재(44)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회전부재(42)와 제2회전부재(44)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부재(42)의 내주면에는 서브 엘시디(32)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부재(42)의 하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체결돌기(48)가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부재(44)의 상면에는 체결홈(50)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48)가 체결홈(50)에 체결되면 제1회전부재(42)와 제2회전부재(44) 사이가 상호 체결되고,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힌지부(32)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제1회전부재(42)의 일측에는 상기 힌지 연결부(30)와 연결되는 연결부재(5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52)는 상기 제1회전부재(42)의 일측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로드(52a)와 상기 제1로드(52a)와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회전부재(42)의 타측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로드(52b)로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본체 힌지부(3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10)의 외측커버(54)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외측커버(54)에 형성된 힌지홀(60)에 삽입되는 제1회전부재(56)와,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외측커버(54)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홀(60)에 삽입되며 상기 제1회전부재(56)와 체결되는 제2회전부재(58)로 구성된다.
상기 제1회전부재(56)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그 하면에 둘레방향으로 상기 힌지홀(60)에 삽입되는 힌지돌기(62)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돌기(62)의 표면에는 제2회전부재(58)와 체결되는 체결돌기(64)가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제2회전부재(58)는 원형 링타입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상기 힌지홀(60)에 삽입되고 상기 제1회전부재(56)의 힌지돌기(62)와 접촉되는 힌지 돌기(66)가 둘레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돌기(66)에는 제1회전부재(56)의 체결돌기(64)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홈(68)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단말기본체 힌지부(34)의 직경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힌지부(3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회전부재(56)의 일측에는 상기 힌지 연결부와 연결되는 연결부재(7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단말기본체 힌지부(34)는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외측커버(54)에 형성된 힌지홀(60)에 제1회전부재(56)와 제2회전부재(58)의 힌지돌기(62,66)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힌지 연결부(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힌지부(32)에 형성된 제1로드(52a)와 연결되는 제1힌지부재(72)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힌지부(32)의 제2로드(52b)와 연결되는 제2힌지부재(74)와, 상기 제1힌지부재(72)와 제2힌지부재(74)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단말기본체 힌지부(34)의 연결부재(70)가 연결되는 제3힌지부재(76)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힌지부재(72)와 제2힌지부재(74)는 서로 대향되는 측면에 각각 힌지홈(80)이 형성되고, 상기 제3힌지부재(76)의 양쪽 측면에는 각각 힌지돌기(82)가 형성되어 상기 두 개의 힌지홈(8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3힌지부재(76)에는 화상 촬영과 화상 통화를 하기 위한 카메라(78)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먼저, 휴대 단말기가 일반적인 통화 모드일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연결부(36)에 의해 상기 단말기 본체(10)에서 디스플레이 유닛(20)을 개방하여 단말기 본체(10)와 디스플레이 유닛(20)이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통화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 본체(10)와 연결된 제3힌지부재(76)와 디스플레이유닛(20)과 연결된 제1힌지부재(72) 및 제2힌지부재(74)가 상호 회전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을 개방시킨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화상통화 또는 동영상을 감상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20)을 90°로 회전시켜 가로로 배치하여 동영상 감상을 위한 와이드 화면을 구현하고, 단말기 본체(10)는 세로로 배치시킨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은 디스플레이유닛 힌지부(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디스플레이 유닛(20)을 90°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 등 키 조작을 많이 할 필요가 있는 기능을 수행할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20)과 단말기 본체(10)를 전부 90°로 회전시켜 가로로 배치시킨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은 디스플레이유닛 힌지부(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회전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10)는 단말기본체 힌지부(3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단말기 본체(10)가 90°로 회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힌지 유닛을 디스플레이 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디스플레이유닛 힌지부와, 단말기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단말기본체 힌지부와, 상기 단말기 본체 힌지부와 디스플레이유닛 힌지부 사이를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연결부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유닛 뿐만 아니라 단말기 본체로 가로로 배치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게임 등 키조작을 많이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단말기에 다양한 기능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4)

  1. 키패드가 장착되는 단말기 본체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엘시디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단말기 본체와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가로로 배치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단말기 본체가 가로로 배치되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디스플레이유닛 힌지부와;
    상기 단말기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단말기본체 힌지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힌지부와 단말기본체 힌지부 사이에 연결되어 두 힌지부 사이를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힌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커버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외측커버에 형성된 힌지홀에 삽입되는 제1회전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커버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1회전부재와 체결되는 제2회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는 각각 원형링 타입으로 형성되고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가 상호 체결되면 그 안쪽면에는 상기 힌지홀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그루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재의 하면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재에는 상기 힌지 연결부와 연결되는 연결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회전부재에 각각 수평하게 연결되는 제1로드와 제2 로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재의 내주면에는 서브 엘시디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휴대 단말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본체 힌지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측커버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외측커버에 형성된 힌지홀에 삽입되는 제1회전부재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측커버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홀에 삽입되며 상기 제1회전부재와 체결되는 제2회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재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그 하면에 둘레방향으로 상기 힌지홀에 삽입되는 힌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돌기에는 체결돌기가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부재는 원형 링타입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상기 힌지홀에 삽입되는 힌지돌기가 둘레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돌기에는 제1회전부재의 체결돌기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연결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힌지부의 제1로드와 연결되는 제1힌지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힌지부의 제2로드와 연결되는 제2힌지부재와;
    상기 제1힌지부재와 제2힌지부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단말기본체 힌지부의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제3힌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재와 제2힌지부재는 서로 대향되는 측면에 각각 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3힌지부재의 양쪽 측면에는 각각 힌지핀이 형성되어 상기 두 개의 힌지홈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힌지부재에는 화상 촬영과 화상 통화를 하기 위한 카메라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40116949A 2004-12-30 2004-12-30 본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677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949A KR100677420B1 (ko) 2004-12-30 2004-12-30 본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
JP2005380227A JP4261544B2 (ja) 2004-12-30 2005-12-28 本体回転型携帯端末機
EP05028656A EP1677174A3 (en) 2004-12-30 2005-12-29 Body rotation type portable terminal
US11/325,783 US7711398B2 (en) 2004-12-30 2005-12-30 Body rotation type portable terminal
CN2005101381853A CN1798180B (zh) 2004-12-30 2005-12-30 机身转动式便携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949A KR100677420B1 (ko) 2004-12-30 2004-12-30 본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644A true KR20060078644A (ko) 2006-07-05
KR100677420B1 KR100677420B1 (ko) 2007-02-02

Family

ID=36088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6949A KR100677420B1 (ko) 2004-12-30 2004-12-30 본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11398B2 (ko)
EP (1) EP1677174A3 (ko)
JP (1) JP4261544B2 (ko)
KR (1) KR100677420B1 (ko)
CN (1) CN179818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677B1 (ko) * 2006-09-07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다축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결 부재
KR100801413B1 (ko) * 2006-09-22 2008-02-05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휴대 단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4946A (ja) * 2006-07-26 2008-02-14 Sharp Corp 折畳み式携帯電話
US7991441B2 (en) 2006-11-23 2011-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ng hinge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nd dual hinge device having the same
KR101409658B1 (ko) * 2007-11-06 2014-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회전 힌지 장치
JP2008153901A (ja) * 2006-12-15 2008-07-03 Fujitsu Ltd 電子機器
KR100860671B1 (ko) * 2007-01-22 2008-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회전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듀얼 힌지장치, 스윙형 휴대 단말기 및 슬라이딩/회전형 휴대 단말기
JP4288287B2 (ja) * 2007-03-22 2009-07-01 シャープ株式会社 折畳み式携帯端末
JP4918726B2 (ja) * 2008-01-11 2012-04-18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
WO2015200744A1 (en) * 2014-06-27 2015-12-30 Real Science Innovation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measuring strike and dip, trend and plunge, bearings, and inclination
USD830862S1 (en) 2015-06-26 2018-10-16 Real Science Innovations, LLC Geological compass
US11379016B2 (en) 2019-05-23 2022-07-05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operate closed-lid portable computers
US11543873B2 (en) 2019-09-27 2023-01-03 Intel Corporation Wake-on-touch display screen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11733761B2 (en) 2019-11-11 2023-08-22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manage power and performance of computing devices based on user presence
US11809535B2 (en) 2019-12-23 2023-11-07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modal user device authentication
US11360528B2 (en) 2019-12-27 2022-06-14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rmal management of electronic user devices based on user activity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938B1 (ko) * 2001-06-21 200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 표시창이 포함된 폴더형 휴대폰
KR100470172B1 (ko) * 2001-06-22 2005-02-04 주식회사 임팩트라 디스플레이부를 수직 및 수평으로 변환가능한 이동단말기
JP2003134214A (ja) * 2001-10-23 2003-05-09 Sony Corp 携帯情報端末
KR100486611B1 (ko) * 2001-12-18 2005-05-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회전가능한 액정표시장치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JP4063571B2 (ja) * 2002-04-10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通信端末
JP4061473B2 (ja) * 2002-04-26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JP2004064716A (ja) * 2002-06-03 2004-02-26 Toya Kensetsu Kogyo:Kk 携帯用電話機
US7773957B2 (en) 2002-07-22 2010-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otational display unit
KR100465961B1 (ko) 2002-07-23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20040011275A (ko) * 2002-07-30 200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영상단말기의 카메라 구조
JP2004104164A (ja) 2002-09-04 2004-04-02 Hitachi Ltd 撮像カメラ付きの折畳み式携帯端末装置
CN100418337C (zh) * 2003-05-06 2008-09-10 三星电子株式会社 具有改进的输入数据能力的便携式通信装置
KR100557078B1 (ko) * 2003-11-06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회전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78041B1 (ko) * 2003-11-24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회전성 힌지 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디지털 통신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677B1 (ko) * 2006-09-07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다축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결 부재
US8250712B2 (en) 2006-09-07 2012-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axes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 connection member having the plurality of axes
KR100801413B1 (ko) * 2006-09-22 2008-02-05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휴대 단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46030A1 (en) 2006-07-06
EP1677174A3 (en) 2011-05-04
CN1798180B (zh) 2010-09-15
EP1677174A2 (en) 2006-07-05
KR100677420B1 (ko) 2007-02-02
JP2006191632A (ja) 2006-07-20
CN1798180A (zh) 2006-07-05
JP4261544B2 (ja) 2009-04-30
US7711398B2 (en) 201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7420B1 (ko) 본체 회전 타입 휴대 단말기
EP1530346B1 (en) Mobile phone having rotation type display
EP1898606B1 (en) Hinge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axes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 connection member having the plurality of axes
KR100566276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스윙 힌지 모듈
US7020495B2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with rotational LCD device
US7991441B2 (en) Swing hinge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nd dual hinge device having the same
KR100865351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JP3163264U (ja) 携帯式電子装置
KR100651410B1 (ko) 2-웨이 폴더형 단말기
KR100773679B1 (ko) 폴더/슬라이드 겸용 휴대폰
KR200396211Y1 (ko) 회전식 슬라이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714512B1 (ko)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열릴 수 있는 폴더형이동통신 단말기
KR100690717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회전 가능한 슬라이딩 장치
KR100636530B1 (ko) 키 버튼을 양면에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621006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646539B1 (ko) 이동형 키패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874765B1 (ko) 회전과 슬라이딩이 가능한 일체형 휴대폰의 결합장치
KR1012085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09117A (ko) 회전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
KR100630137B1 (ko) 회전 제한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883451B1 (ko) 멀티 모드 구조
KR20070049847A (ko) 더블힌지 구조 폴더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00080501A (ko) 휴대용 통신단말기를 개폐하기 위한 슬라이드 조립체
KR20070068726A (ko) 회전 및 슬라이드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는이동통신단말기
KR20070082167A (ko) 양면 키패드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