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8620A - 백라이트용 램프 - Google Patents

백라이트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8620A
KR20060078620A KR1020040116922A KR20040116922A KR20060078620A KR 20060078620 A KR20060078620 A KR 20060078620A KR 1020040116922 A KR1020040116922 A KR 1020040116922A KR 20040116922 A KR20040116922 A KR 20040116922A KR 20060078620 A KR20060078620 A KR 20060078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electrode
electrodes
external
externa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6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8479B1 (ko
Inventor
방주영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6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479B1/ko
Priority to US11/155,647 priority patent/US7772779B2/en
Priority to GB0512954A priority patent/GB2422952B/en
Priority to FR0506567A priority patent/FR2880429B1/fr
Priority to CNA2005100824360A priority patent/CN1797121A/zh
Publication of KR20060078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8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01J65/042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 H01J65/046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the field being produced by using capacitive means around the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05Flat vessels or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01J65/042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면적 액정표시장치에 적합한 백라이트의 외부전극형 형광램프에 관한 것으로, 발광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외부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외부전극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복수의 분할영역을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전극과, 상기 분할전극과 대응하는 램프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램프를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벽을 포함하여 구성된 백라이트의 외부전극형 램프를 제공한다.
백라이트, 형광램프, 외부전극, 분할전극

Description

백라이트용 램프{LAMP FOR BACK LIGHT}
도 1은 종래 직하형 백라이트가 적용된 액정표시소자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직하형 백라이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 백라이트의 외부전극형 형광램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의 외부전극형 형광램프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I-I'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외부전극형 형광램프가 백라이트의 발광부에 적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공통전극에 인가되는 관전압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외부전극형 형광램프가 백라이트의 발광부에 적용된 다른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공통전극에 인가되는 관전압 파형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1: 발광램프 55: 격벽
52a,52b: 제1 및 제2외부전극
53a, 53b: 제1 및 제2분할전극
62a,63a,63b,62b: 제1~제4공통전극
80,81,83: 인버터
본 발명은 백라이트의 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면적 액정표시장치에 적합한 백라이트의 외부전극형 램프에 관한 것이다.
근래 핸드폰(Mobile Phone), PDA, 노트북컴퓨터와 같은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이에 적용할 수 있는 경박단소형의 평면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평면표시장치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FED(Field Emission Display), VFD(Vacuum Flourescent Display)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양산화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이유로 인해 현재에는 액정표시소자(LCD)가 각광을 받고 있다.
액정표시소자는 투과형 표시소자로서, 액정분자의 굴절율 이방성에 의해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따라서, 액정표시소자에서는 화상의 표시를 위해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원인 백라이트(back light)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백라이트는 크게 2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는 램프가 액정패널의 측면에 설치되어 액정층에 광을 제공하는 측면형 백라이트이고, 둘째는 램프가 액정패널의 하부에서 직접 광을 제공하는 직하형 백라이트이다.
측면형 백라이트는 액정패널의 측면에 설치되어 반사판과 도광판을 통해 액정층에 광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게 되므로, 얇은 두께의 표시장치가 요구되는 노트북 등에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측면형 백라이트는 광을 발광하는 램프가 액정패널의 측면에 위치하므로 대면적의 액정패널에 적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도광판을 통해 광이 공급되므로 고휘도를 얻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근래 각광받고 있는 대면적 LCD TV용 액정패널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직하형 백라이트는 램프로부터 발광된 광이 직접 액정층에 공급되므로 대면적 액정패널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휘도가 가능하기 때문에, 근래 LCD TV용 액정패널을 제작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직하형 백라이트가 적용된 종래 액정표시소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소자(1)는 크게 액정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3)과 상기 액정패널(3)의 후면에 설치된 백라이트(10)로 이루어진다. 액정패널(3)은 실제 화상을 구현하는 곳으로, 유리와 같은 투명한 하부기판(3a) 및 상부기판(3b)과 그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부기판(3a)은 백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stor)와 같은 구동소자 및 화소전극이 형성되는 TFT기판이고 상부기판(3b)은 컬러필터층(color filter layer)이 형성되는 컬러필터기판이다. 또한, 상기 하부기판(3a)의 측면에는 구동회로부(5)가 구비되어 하부기판(3a)에 형성된 박막트랜스터와 화소전극에 각각 신호를 인가한다.
백라이트(10)는 실제 광을 방출하여 액정패널(3)에 광을 공급하는 복수의 램프(11)와, 상기 램프(11)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방사하여 광효율을 향상시키는 반사판(reflector;17)과, 상기 램프(11)로부터 방출된 광을 확산시켜 액정패널(3)로 입사시키는 광학시트(1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직하형 백라이트를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하형 백라이트(10)는 하부케이스(21)와, 상기 하부케이스(21) 위에 배치되어 램프(11)로부터 방출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17)과, 상기 반사판(17) 위에 설치되어 램프(11)를 고정시키는 램프고정부(24)와, 상기 램프고정부(24)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고정부(24)를 지지하는 측면지지부(26)와, 램프(11) 위에 배치되어 램프(11)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확산시켜 액정패널에 균일한 광을 공급하는 확산판(15a) 및 복수의 확산시트(15b,15c)와, 확산시트(15b,15c) 위에 설치된 상부케이스(28)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램프는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CCFL)를 사용하였지만, 냉음극 형광램프는 30,000cd/m²정도의 고휘도로 작동하며 램프의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냉음극 형광램프는 직하형 백라이트 뿐만 아니라 측면형 백라이트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데, 측면형 백라이트에 사용할 경우 고휘도의 발광에 비하여 패널 전체의 휘도가 실질적으로 낮아 대형 화면용 패널에 부적합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직하형 백라이트에 적용할 경우에는 액정패널의 적정휘도를 유지하기 위해 램프간 간격이 크게 되어야만 하므로, 특별한 구조의 반사판을 필요로함과 동시에 확산판과 램프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액정패널 의 두께가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대화면 액정표시소자의 고휘도와 고효율을 보장함과 동시에, 긴 수명과 경략화를 실천할 수 있는 백라이트의 개발이 요구되었는데, 이러한 요구에 따라 개발된 것이 외부전극형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이다.
상기 외부전극형 형광램프는 램프의 양단부에 외부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외부전극에 연속적인 고주파전압이나 펄스형태의 고주차전압을 인가하여 점등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외부전극형 형광램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전극형 형광램프에서는 캡형상의 외부전극(21)에 형광램프(11)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외부로부터 고추파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형광램프(11)의 내부에 방전에 의해 형광물질이 발광함으로써 광을 발산하는 것이다.
액정패널이 대형화됨에 따라 상기 형광램프(11)의 길이도 길어지게 되는데, 30~40'급 이상의 액정패널의 경우 램프의 길이가 700mm 이상 필요하다. 이와 같이, 램프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발광램프의 점등을 위한 구동시 밝기가 불균해지며, 높은 관전압이 필요하므로 안정성 및 액정패널 구동회로의 전기적 영향에 따른 화질저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이 목적은 대면적 액정표시소자에 적합한 백라이트의 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분적으로 휘도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백라이트의 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은 이하의 발명의 구성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외부전극형 형광램프는 발광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외부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외부전극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램프의 분할영역을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전극과, 상기 분할전극과 대응하는 램프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램프를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할전극은 램프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외부전극과, 분할전극은 하나의 인버터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램프는 "U" 또는 "W" 또는 "ㅡ" 자형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외부전극형 형광램프는 발광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를 적어도 두개 이상의 분할영역을 정의하는 복수의 외부전극과, 상기 전극과 대응하는 램프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램프를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벽을 포함한다.
이때, 서로 이웃하는 외부전극들에는 각각 180°의 위상차를 갖는 관전압이 인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외부전극들은 하나의 인버터에 연결되도록 하거나, 이웃하는 두개의 외부전극들끼리 각각 하나의 인버터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외부전극은, 상기 램프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전극 사이에 램프의 외주면을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분할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리벽은 상기 분할전극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벽은 상기 분할전극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분할전극을 2등분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외부전극형 형광램프는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의 발광램프와, 상기 각 발광램프의 양단부에 형성된 외부전극과, 상기 각 발광램프를 적어도 두개 이상의 분할영역을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전극과, 상기 분할전극과 대응하는 각 램프의 내부 형성되어 상기 램프를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벽과, 상기 발광램프들을 소정의 단위로 묶어서 각 단위의 발광램프의 외부전극 및 분할전극들을 각 전극들끼리 공통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공통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할전극은 각 램프에 대하여 동일한 위치에 배열되거나, 이웃하는 각 램프에 대하여 지그재그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분할전극을 따라 형성된 공통전극들도 지그재그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전극 및 분할전극은 공통전극을 통해서 이웃하는 전극들 간에 180°의 위상차를 갖는 관전압을 인가받게 된다.
상기 공통전극은 하나의 인터버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웃하는 공통전극들끼 리 각각 하나의 인버터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외부전극형 형광램프는 램프의 양단부 사이에 램프의 외주면을 따라 분할전극을 형성함으로써, 램프의 사이즈에 상관없이 균일한 휘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종래에는 액정패널이 대형됨에 따라, 램프의 길이도 길어지기 때문에 관전압이 높아지고, 램프의 위치에 따라 휘도가 불균일한 문제가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램프의 양단부에 형성된 외부전극 사이에 상기 램프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전극을 형성하고, 특히, 상기 분할전극과 대응하는 램프의 내부에, 분할전극에 의해 분할된 영역을 격리시키는 분리벽을 형성함으로써, 관전압을 낮추고, 전체 램프에 대하여 균일한 휘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인접하는 두 전극끼리 하나의 인버터에 연결함으로써, 부분적으로 휘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말해, 본 발명에서는 각각이 분할전극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램프가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발광램프에서, 램프의 위치별 전극을 공통으로 연결하는 공통전극을 하나의 인버터에 연결하는 경우, 전체 휘도의 제어만 가능하다. 반면, 서로 인접하는 두개의 공통전극을 한세트로하여 독립된 인버터에 연결하고, 관전압을 다르게 인가할 경우, 부분적인 휘도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즉, 각 분할된 영역에 인가되는 관전압이 다르기 때문에 램프의 위치마다 다른 휘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외부전극형 형광램프를 나타낸 것으로, 도 4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I-I'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외부전극형 형광램프(50)는 내주면 전체에 형광체(미도시)가 도포된 발광램프(51)와 상기 발광램프(5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전극(52a,52b,53a,53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극은 램프(51)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외부전극(52a,52b)과 상기 제1외부전극(52a)과 제2외부전극(52b)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램프(51)에 복수의 분할영역(A,B,C)을 정의하는 제1 및 제2분할전극(53a,53b)으로 구성된다. 도면에는 2개의 분할전극이 도시되어 있으나, 분할전극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전극(53a,53b)과 대응하는 램프(51)의 내부에는 상기 분할영역(A,B,C)을 독립적으로 격리시키는 분리벽(5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램프(51) 내부는 불활성기체 혼합물이나 수은(Hg) 등으로 이루어진 방전가스(discharge gas)가 채워져 있다.
상기 분할전극(53a,53b)은 램프(51)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제1 및 제2외부전극(52a,52b)에 인가되는 관전압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 전체적인 휘도의 불균일을 해결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상기 분할영역(A,B,C)을 동일한 길이로 등분하거나, 서로 다른 길이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분할전극(53a,53b) 및 분리벽(55)에 의해 램프가 동일한 길이로 등분되는 경우, 상기 발광램프(51)의 1/3 길이를 갖는 램프가 일렬로 배열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램프의 길이가 줄었기 때문에, 동일한 휘도를 나타내더라도, 종래에 비해, 전극간에 인가되는 관전압이 감소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외부전극(52a)과 제1분할전극(53a)에 인가되는 관전압에 의해 제1분할영역(A)이 발광하게 되고, 상기 제1분할전극(53a)과 제2분할전극(53b)에 인가되는 관전압에 의해 제2분할영역(B)이 발광하며, 상기 제2분할전극(53b)과 제2외부전극(52b)에 인가되는 관전압에 의해 제3분할영역(C)이 발광하게 되는데, 이때, 각 전극 간 거리는 종래 램프의 1/3 길이에 해당하기 때문에, 동일한 휘도를 구현하더라도, 이들간에 인가되는 관전압은 종래에 비해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관전압이 줄고, 램프의 길이가 줄어든 효과를 얻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휘도를 구현할 수가 있다. 이때, 각 전극에 인가되는 관전압은 이웃하는 전극들간에 180°의 위상차를 갖도록 해야 한다. 다시말해, 제1외부전극(52a)과 제1분할전극(53a)에 인가되는 관전압은 180°의 위상차를 가지며, 제1분할전극(53a) 및 제2분할전극(53b)에 인가되는 관전압도 180°의 위상차를 갖는다. 그리고, 제2분할전극(53b)과 제2외부전극(52b)에 인가되는 관전압도 180°의 위상차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1외부전극(52a) 및 제2분할전극(53b)에 인가되는 관전압의 위상이 동일하고, 상기 제1분할전극(53a) 및 제2외부전극(52b)에 인가되는 관전압의 위상이 동일하다. 이때, 제1외부전극(52a) 및 제2외부전극(52b)과, 제1분할전극(53a) 및 제2분할전극(53b)을 하나의 인버터에 연결하여 각 분할영역(A,B,C)의 휘도를 동일하게 해줌으로써, 전체 휘도를 제어하거나, 상기 제1외부전극(52a)과 제1 분할전극(53a)을 제1인버터에 연결하고 제2분할전극(53b) 및 제2외부전극(52b)을 제2인버터에 연결하여 각 분할영역 별로 휘도를 제어할 수 있도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외부전극형 형광램프가 직하형 백라이트에 적용될 예를 나타낸 것으로, 특히, 전체 휘도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백라이트의 발광램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발광램프에 인가되는 관전압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직하형 백라이트는 복수의 외부전극형 형광램프(5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열된다. 이때, 상기 외부전극형 형광램프(50)는 도 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형광체가 도포된 발광램프(51)와 상기 발광램프(51) 양단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1 및 제2외부전극(52a,52b)과, 상기 제1외부전극(52a)과 제1외부전극(52a) 사이에 형성되어 복수의 분할영역을 정의하는 제1 및 제2분할전극(53a,53b)으로 이루어지며, 각 분할전극과 대응하는 램프의 내부에는 분리벽(5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벽(55)은 상기 분할전극를 2등분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외부전극형 램프(50)들은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백라이트의 발광부를 구성하는데, 이때, 각 램프에 대하여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전극을 연결하는 공통전극(62a,62b,63a,6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통전극(62a,62b,63a,63b)은 인버터(80)를 통해 관전압이 인가된다.
즉, 상기 제1외부전극(52a)들은 제1하부기구물(72a) 상에 형성된 제1공통전극(62a)에 의해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분할전극(53a)들은 제2하부기 구물(73a) 상에 형성된 제2공통전극(63a)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분할전극(53b)들은 제3하부기구물(73b) 상에 형성된 제3공통전극(63b)에 의해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외부전극(52b)들은 제4하부기구물(72b) 상에 형성된 제4공통전극(62b)에 의해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3공통전극(62a,63b)이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공통전극 및 제4공통전극(63a,62b)이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통전극(62a,62b,63a,63b)은 인버터(80)에 연결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인버터(80)는 전원을 인가받아 교류를 발생시키는 발진부와, 상기 발진부에서 발생된 교류를 승압시켜 상기 공통전극을 통해 램프에 공급하는 변압부와, 상기 램프에 공급되는 전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램프 제어부로 구성되지며, 도면에는 변압부만을 도시하였다.
상기 인버터(80)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3공통전극(62a,63b)에 인가되는 관전압과 상기 제2 및 제4공통전극(63a,62b)에 인가되는 관전압은 180°의 위상차를 갖게 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전극들은 180°의 위상차를 갖는 관전압을 인가받게 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3공통전극(62a,63b)에 사인파(sine wave)의 관전압이 인가되고, 제2 및 제4공통전극(63a,62b)에는 접지전압(0)을 기준으로 제1 및 제3공통전극(62a,63b)과 대칭인 관전압(180°의 위상차를 갖는 관전압)이 인가된다.
도면에는 관전압 파형을 사인파형으로만 표현하였지만, 실제로는 변형된 사인파형, 펄스파형, 변형된 펄스파형과 같이 여러가지 파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및 3공통전극과, 제2 및 제4공통전극이 인버터에 연결된 경우, 각 분할영역에 인가되는 관전압이 동일하기 때문에, 발광램프 전체가 균일한 휘도를 나타내며, 상기 인버터를 통해 인가되는 관전압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전체휘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공통전극 및 제3공통전극을 제1인버터에 연결하고, 상기 제2공통전극 및 제4공통전극을 제2인버터에 연결하여 서로 다른 관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분할영역별 휘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8은 램프의 위치별 휘도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백라이트의 발광램프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발광램프에 인가되는 관전압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발광램프의 구성은 인버터를 제외한 모든 구성이 도 6과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공통전극(62a,63a)은 제1인버터(8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3 및 제4공통전극(63b,62b)은 제2인버터(83)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인버터(81,83)에서는 동일한 값의 관전압이 인가될 수 있으나, 분할영역 별로 휘도를 제어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관전압 값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에도, 이웃하는 전극들은 180°의 위상차를 갖는 관전압이 인가되어야 한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인버터(81)를 통해 제1공통전극(62a)에는 사인파(sine wave)의 관전압이 인가되고, 제2공통전극(63a)에는 접지전압(0)을 기준으로 제1공통전극(62a)과 대칭인 관전압(180°의 위상차를 갖는 관전압)이 인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인버터(83)를 통해 제3공통전극(63b)에는 사인파(sine wave)의 관전압이 인가되고, 제4공통전극(62b)에는 접지전압(0)을 기준으로 제3공통전극(63b)과 대칭인 관전압(180°의 위상차를 갖는 관전압)이 인가된다. 즉, 홀수번째 공통전극과 짝수번째 공통전극들이 접지라인을 기준으로 180° 위상차를 갖는 관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상기 제1인버터(81)를 통해 인가되는 제1관전압과 제2인버터(83)를 통해 인가되는 제2관전압을 서로 다르게 인가하여 영역별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인버터(83)를 통해 인가되는 제2관전압이 제1인버터(81)를 통해 인가되는 제1관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제3분할영역(C)의 휘도가 상기 제1분할영역(A)의 휘도보다 높게 구현되며, 상기 제2분할영역(B)의 휘도는 상기 제1인버터(81)로부터 인가되는 제1관전압과 상기 제2인버터로부터 인가되는 제2관전압의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즉, 상기 제1관전압과 제2관전압의 차이가 클수록 제2분할영역(B)의 휘도는 증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전극형 형광램프에 있어서, 상기 램프의 양단부에 형성된 외부전극 사이에 램프의 복수의 분할영역으로 정의하는 분할전극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관전압을 줄이고, 균일한 휘도를 구현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분할전극과 대응하는 램프 내부, 즉, 상기 분할영역의 경계부에 램프를 분리시키는 분리벽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이웃하는 분할영역 간의 영향을 제거함으로써, 완전분할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웃하는 전극간에 180°의 위상차를 갖는 관전압을 인가하고, 두개의 전극을 하나의 인버터에 연결함으로써, 위치별 휘도제어를 가능하 게 한다. 즉, 분할전극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분할영역의 휘도가 개별적으로 연결된 인버터에 의해 구동하는 경우, 관전압을 서로 다르게 인가함으로써, 분할영역 별로 휘도를 다르게 구현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전극형 형광램프의 양단부 사이에 분할영역을 정의하는 분할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분할전극과 대응하는 램프의 내부에 분리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램프는 어떠한 형태로는 변형시킬 수가 있다. 예를 들러, 상기 램프는 "U" 또는 "W" 또는 "ㅡ" 자형등과 같이 어떠한 형태로는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분할전극은 램프의 분할영역을 같은 폭으로 등분하거나, 서로 다른인 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분할영역이 서로 다른 폭을 갖는 경우, 이웃하는 램프들 간의 분할전극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할전극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분할전극을 공통으로 연결하는 공통전극 또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백라이트로 사용되는 외부전극형 발광램프에 있어서, 상기 발광램프의 양단 사이에 발광램프를 복수의 분할영역으로 정 의하는 분할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분할전극과 대응하는 램프내부에 분리벽을 설치함으로써, 발광램프의 길이가 짧아진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액정패널의 크기에 제한 없이 균일한 휘도를 구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두개의 전극을 한쌍으로하여 각각 하나의 인버터에 연결함으로써, 램프의 위치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휘도제어를 할수 있도록 한다.

Claims (19)

  1. 발광하는 램프;
    상기 램프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외부전극;
    상기 제1 및 제2외부전극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복수의 분할영역을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전극;
    상기 분할전극과 대응하는 램프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램프를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벽을 포함하여 구성된 백라이트의 외부전극형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전극은 램프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전극형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외부전극과, 분할전극은 하나의 인버터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전극형 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U" 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전극형 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W" 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전극형 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ㅡ" 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전극형 램프.
  7. 발광하는 램프;
    상기 램프를 적어도 두개 이상의 분할영역을 정의하는 복수의 외부전극;
    상기 전극과 대응하는 램프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램프를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벽을 포함하여 구성된 백라이트의 외부전극형 램프.
  8. 제7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외부전극들에는 각각 180°의 위상차를 갖도록 관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의 외부전극형 램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전극들은 하나의 인버터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전극형 램프.
  10. 제7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두개의 외부전극들끼리 각각 하나의 인버터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전극형 램프.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전극은,
    상기 램프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전극 사이에 램프의 외주면을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분할전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전극형 램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은 상기 분할전극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전극형 램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은 상기 분할전극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분할전극을 2등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전극형 램프.
  14.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의 발광램프;
    상기 각 발광램프의 양단부에 형성된 외부전극;
    상기 각 발광램프를 적어도 두개 이상의 분할영역을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전극;
    상기 분할전극과 대응하는 각 램프의 내부 형성되어 상기 램프를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벽;
    상기 발광램프들을 소정의 단위로 묶어서 각 단위의 발광램프의 외부전극 및 분할전극들을 각 전극들끼리 공통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공통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된 백라이트의 외부전극형 램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전극은 각 램프에 대하여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전극형 램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전극은 이웃하는 각 램프에 대하여 지그재그로 배열되고, 각 분할전극을 따라 형성된 공통전극들도 지그재그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전극형 램프.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전극 및 분할전극은 공통전극을 통해서 이웃하는 전극들 간에 180°의 위상차를 갖는 관전압을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전극형 램프.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은 하나의 인터버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전극형 램프.
  19. 제14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공통전극들끼리 각각 하나의 인버터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전극형 램프.
KR1020040116922A 2004-12-30 2004-12-30 백라이트용 램프 KR101078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922A KR101078479B1 (ko) 2004-12-30 2004-12-30 백라이트용 램프
US11/155,647 US7772779B2 (en) 2004-12-30 2005-06-20 Lamp for backlight
GB0512954A GB2422952B (en) 2004-12-30 2005-06-24 Lamp for backlight
FR0506567A FR2880429B1 (fr) 2004-12-30 2005-06-28 Lampe de retroeclairage
CNA2005100824360A CN1797121A (zh) 2004-12-30 2005-06-30 背光用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922A KR101078479B1 (ko) 2004-12-30 2004-12-30 백라이트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620A true KR20060078620A (ko) 2006-07-05
KR101078479B1 KR101078479B1 (ko) 2011-10-31

Family

ID=36589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6922A KR101078479B1 (ko) 2004-12-30 2004-12-30 백라이트용 램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72779B2 (ko)
KR (1) KR101078479B1 (ko)
CN (1) CN1797121A (ko)
FR (1) FR2880429B1 (ko)
GB (1) GB242295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13402A (zh) * 2012-03-15 2012-08-01 北京大北农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螯合态微量元素在制备肉仔鸡饲料添加剂中的应用
KR101386573B1 (ko) * 2007-11-23 2014-04-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외부전극 형광램프 및 이를 채용한 액정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64263B2 (en) * 2009-04-10 2012-04-24 Ushio Denki Kabushiki Kaisha Excimer discharge lamp
US9786961B2 (en) 2011-07-25 2017-10-10 Lightening Energy Rapid charging electric vehicl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 chargi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2578B2 (ja) * 1991-05-31 2004-05-31 三菱電機株式会社 放電ランプおよびこれを用いる画像表示装置
US5325024A (en) 1992-10-16 1994-06-28 Gte Products Corporation Light source including parallel driven low pressure RF fluorescent lamps
US5479069A (en) * 1994-02-18 1995-12-26 Winsor Corporation Planar fluorescent lamp with metal body and serpentine channel
KR200171939Y1 (ko) * 1994-10-25 2000-03-02 손욱 면광원장치
JPH08273604A (ja) 1995-03-31 1996-10-18 Sanyo Electric Co Ltd 平面蛍光ランプ
CN1121707C (zh) * 1997-11-07 2003-09-17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照明装置和液晶显示器件
JP3509551B2 (ja) 1998-04-30 2004-03-22 ウシオ電機株式会社 外部電極型放電ランプによる光源装置
JP3688915B2 (ja) * 1998-11-27 2005-08-31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2001155689A (ja) 1999-11-30 2001-06-08 Nec Lighting Ltd 平面形希ガス蛍光ランプ装置
JP4050886B2 (ja) 2001-09-18 2008-02-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KR100438831B1 (ko) 2001-11-22 2004-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평판 램프
KR100442297B1 (ko) * 2002-06-14 2004-07-3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백라이트
JP2004200127A (ja) * 2002-12-20 2004-07-15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照明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573B1 (ko) * 2007-11-23 2014-04-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외부전극 형광램프 및 이를 채용한 액정표시장치
CN102613402A (zh) * 2012-03-15 2012-08-01 北京大北农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螯合态微量元素在制备肉仔鸡饲料添加剂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512954D0 (en) 2005-08-03
GB2422952B (en) 2007-01-31
CN1797121A (zh) 2006-07-05
US20060145619A1 (en) 2006-07-06
FR2880429A1 (fr) 2006-07-07
FR2880429B1 (fr) 2007-12-07
KR101078479B1 (ko) 2011-10-31
US7772779B2 (en) 2010-08-10
GB2422952A (en) 200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44821A1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0525440B1 (ko) 백 라이트 유닛
US7772779B2 (en) Lamp for backlight
US765995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having electrode pairs in partitioned light emitting spaces, respectively
KR20070016355A (ko) 평판 형광 램프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20070217222A1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KR100728738B1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백 라이트 유닛
US7211962B2 (en) Planar light source device, method of driv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651669B2 (ja) 表示装置用照明装置、表示装置
KR100999009B1 (ko)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유닛
KR101373394B1 (ko) 평판형 형광램프
KR101295870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KR10150217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구동방법
KR100971391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30081728A (ko) 백라이트 장치
KR101349779B1 (ko) 액정표시장치 및 백라이트유닛
KR20070000841A (ko) 전극 길이가 다양한 외부전극 형광램프를 다수 포함하는백라이트 어셈블리
US20080143667A1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KR20070069805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60064196A (ko) 직하형 백라이트
KR20060078245A (ko) 방열효과가 극대화된 백라이트용 램프
KR20080053767A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20060025768A (ko) 백라이트 유닛
KR20060038802A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백 라이트 유닛
KR20090081822A (ko) 면광원장치용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면광원장치 및백라이트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