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8802A -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백 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백 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8802A
KR20060038802A KR1020040087957A KR20040087957A KR20060038802A KR 20060038802 A KR20060038802 A KR 20060038802A KR 1020040087957 A KR1020040087957 A KR 1020040087957A KR 20040087957 A KR20040087957 A KR 20040087957A KR 20060038802 A KR20060038802 A KR 20060038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ubstrate
source device
fluorescent layer
surfac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7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택
조석현
이기연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삼성코닝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코닝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코닝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7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8802A/ko
Publication of KR20060038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88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05Flat vessels or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8Devices for influencing the colour or wavelength of the light
    • H01J61/42Devices for influencing the colour or wavelength of the light by transforming the wavelength of the light by luminescen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4Illuminating devices using photoluminescence, e.g. phosphors illuminated by UV or blue light

Abstract

면광원 장치는 방전 가스가 주입되는 내부 공간을 서로 격리된 복수개의 방전 공간들로 구획하는 격벽들을 갖는 광원 몸체와, 내부 공간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을 포함한다. 각 방전 공간들을 연통시킬 수 있는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진 형광층이 광원 몸체의 내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전류 편류 현상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백 라이트 유닛{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BACK LIGHT UNIT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면광원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2의 Ⅱa-Ⅱ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격벽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격벽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격벽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면광원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a-Ⅷ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격벽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격벽 부위를 확대해서 나 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격벽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면광원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ⅩⅣa-ⅩⅣ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ⅩⅤ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격벽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격벽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격벽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따른 백 라이트 유닛을 확대해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광원 몸체 111 : 제 1 기판
112 : 제 2 기판 120 : 격벽
130 : 밀봉부재 140 : 방전 공간
150 : 전극 161 : 제 1 형광층
162 : 제 2 형광층 163 : 제 1 연통로
164 : 제 2 연통로 170 : 반사층
171 : 제 3 연통로
본 발명은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백 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면 형태로 광을 출사하는 면광원 장치와, 이러한 면광원 장치를 광원으로 갖는 백 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liquid crystal; LC)은 전기적 특성 및 광학적 특성을 함께 갖는다. 액정은 전기적 특성에 의해 전계의 방향에 대응하여 배열이 변경되고, 광학적 특성에 의해 배열에 대응하여 광의 투과율을 변경시킨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의 전기적 특성 및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액정표시장치는 CRT 등에 비하여 부피가 매우 작고 무게가 가벼운 장점을 갖고, 이 결과 휴대용 컴퓨터, 통신 기기, 액정 TV(liquid crystal television receiver) 및 우주 항공 산업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액정을 제어하기 위해,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을 제어하는 액정 제어 파트(liquid crystal controlling part) 및 액정에 광을 공급하는 광 공급 파트(light supplying part)를 필요로 한다.
액정 제어 파트는 제1기판에 배치된 화소전극(pixel electrode), 제2기판에 배치된 공통전극(common electrode) 및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 을 포함한다. 화소전극은 해상도에 대응하여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공통전극은 화소전극과 대향하며 1개로 이루어진다. 각 화소전극에는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화소전압(pixel voltage)을 인가하기 위해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가 연결되고, 공통전극에는 동일한 레벨의 레퍼런스 전압(reference voltage)이 인가된다. 화소 전극 및 공통전극은 도전성을 갖는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광 공급 파트는 액정 제어 파트의 액정에 광을 공급한다. 광은 화소전극, 액정 및 공통전극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이때, 액정을 통과한 영상의 표시 품질은 광 공급 파트의 휘도 및 휘도 균일성에 의하여 크게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휘도 및 휘도 균일성이 높을수록 표시 품질은 양호해진다.
종래 액정표시장치의 광 공급 파트는 막대 형상을 갖는 냉음극선관 방식 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또는 도트 형상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가 주로 사용된다. 냉음극선관 방식 램프는 휘도가 높고 수명이 길으며, 백열등에 비하여 매우 작은 발열량을 갖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발광 다이오드는 저소비전력 및 고휘도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 냉음극선관 방식 램프 또는 발광 다이오드는 휘도 균일성이 취약한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냉음극선관 방식 램프 또는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갖는 광 공급 파트는 휘도 균일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광판(light guide panel; LGP), 확산 부재(diffusion member) 및 프리즘 시트(prism sheet) 등과 같은 광학 부재(optical member)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냉음극선관 방식 램프 또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는 광학 부재에 의한 부피 및 무게가 크게 증가되는 문제점을 갖 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평판 형태의 면광원 장치가 제시되었다. 종래의 면광원 장치는 격벽 분리형과 격벽 일체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종래의 격벽 분리형 면광원 장치는 제 1 기판, 제 1 기판 상에 배치된 제 2 기판, 및 제 1 및 제 2 기판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한다. 격벽들이 내부 공간에 배열되어, 내부 공간을 방전 가스가 주입되는 복수개의 방전 공간들로 구획한다. 제 1 및 제 2 기판의 내면들에는 형광층이 형성된다. 방전 가스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이 제 1 및 제 2 기판의 양측 가장자리 외면을 따라 형성된다.
한편, 종래의 격벽 일체형 면광원 장치는 제 1 기판과, 제 1 기판 상에 배치된 제 2 기판을 포함한다. 제 2 기판은 복수개의 격벽부를 일체로 갖는다. 격벽부들이 제 1 기판에 맞대어져서, 방전 가스가 주입되는 복수개의 방전 공간들이 형성된다. 최외곽 격벽부들은 실링용 프릿을 매개로 제 1 기판에 접합된다. 제 1 및 제 2 기판의 내면들에 형광층이 형성된다. 방전 가스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은 제 1 및 제 2 기판의 외주면을 둘러싼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면광원 장치들에서, 각 방전 공간들을 서로 연통시키기 위해, 격벽들과 격벽부들이 사행 구조로 배열되거나, 또는 격벽들과 격벽부들에 연통공이 형성된다.
면광원 장치의 휘도 향상을 위해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전류 편류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전류 편류 현상은 이웃하는 방전 공간들 간에 전위차가 발생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이 형성된 방전 공간 내의 전류가 낮은 전압을 갖는 방전 공간으로 쏠리는 현상을 의미한다. 전류 편류 현상은 방전 공간들을 연통시키기 위한 통로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편류 현상은 면광원 장치의 휘도를 저하시키는 주된 요인이 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면광원 장치들에서는, 방전 공간들을 연통시키는 통로가 일정 이상의 크기를 가질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하여, 전류 편류 현상이 심하게 발생되어, 면광원 장치의 휘도를 향상시키는데 제한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류 편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면광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면광원 장치를 광원으로 갖는 백 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면광원 장치는 방전 가스가 주입되는 내부 공간을 서로 격리된 복수개의 방전 공간들로 구획하는 격벽들을 갖는 광원 몸체와, 내부 공간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을 포함한다. 각 방전 공간들을 연통시킬 수 있는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진 형광층이 광원 몸체의 내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면광원 장치는 방전 가스가 주입되는 내부 공간을 서로 격리된 복수개의 방전 공간들로 구획하는 격벽들을 갖는 광원 몸체와, 내부 공간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을 포함한다. 형광층이 광원 몸체의 내면에 형성된다. 각 방전 공간들을 연통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연통로가 격벽들 과 광원 몸체의 내면 사이에 위치하는 형광층 부분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 몸체는 격벽들의 하면이 맞대어지는 제 1 기판, 제 1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격벽들의 상면이 맞대어지는 제 2 기판, 및 제 1 및 제 2 기판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 공간을 한정하고 격벽들이 맞대어진 밀봉부재를 포함한다. 형광층은 제 1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고 제 1 기판과 상기 격벽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 1 연통로를 갖는 제 1 형광층, 및 제 2 기판의 내면에 형성된 제 2 형광층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제 2 기판과 격벽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형광층 부분에 제 2 연통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1 형광층과 제 1 기판 사이에 개재된 반사판에 제 1 연통로와 연결된 제 3 연통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 몸체는 제 1 기판, 및 제 1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 1 기판의 내면에 맞대어지는 격벽들을 일체로 갖는 제 2 기판을 포함한다. 형광층은 제 1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고 제 1 기판과 격벽들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 1 연통로를 갖는 제 1 형광층, 및 제 2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고 제 1 연통로와 연결된 제 2 연통로를 갖는 제 2 형광층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제 1 형광층과 제 1 기판 사이에 개재된 반사판에 제 1 및 제 2 연통로와 연결된 제 3 연통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백 라이트 유닛은 면광원 장치, 면광원 장치를 수납하는 상하부 케이스, 면광원 장치와 상부 케이스 사이에 개재된 광학 시트, 및 면광원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방전 전압을 면광원 장치에 인가하는 인버 터를 포함한다. 면광원 장치는 방전 가스가 주입되는 내부 공간을 서로 격리된 복수개의 방전 공간들로 구획하는 격벽들을 갖는 광원 몸체, 내부 공간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 및 광원 몸체의 내면에 형성되고 각 방전 공간들을 연통시킬 수 있는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진 형광층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형광층이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격벽에 맞대어지는 형광층 부분에 연통로가 형성됨으로써, 방전 공간들을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로의 크기를 최대한 줄일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연통로를 통해서 발생되는 전류 편류 현상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면광원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2의 Ⅱa-Ⅱ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100)는 방전 가스가 주입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광원 몸체(110), 및 방전 가스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150)을 포함한다. 한편, 방전 가스로는 수은(mercury) 가스, 아르곤(argon) 가스, 네온(neon) 가스, 크세논(xenon) 가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100)는 격벽 분리형이다. 따라서, 광원 몸체 (110)는 제 1 기판(111), 제 1 기판(111) 상에 배치된 제 2 기판(112), 제 1 및 제 2 기판(111, 112)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밀봉부재(130), 및 내부 공간을 복수개의 방전 공간(140)들로 구획하는 격벽(120)들을 포함한다. 격벽(120)들은 제 1 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내부 공간을 복수개의 방전 공간(140)들로 구획한다. 격벽(120)들의 하면은 제 1 기판(111)에 맞대어지고, 상면은 제 2 기판(112)에 맞대어진다. 특히, 격벽(120)들의 양단은 밀봉부재(130)에 맞대어진다. 따라서, 각 방전 공간(140)들은 서로 격리된다.
제 1 및 제 2 기판(111, 112)은 가시광은 투과시키고 자외선은 차단하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 2 기판(112)이 방전 공간에서 발생된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이 된다.
전극(150)은 제 1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제 1 및 제 2 기판(111, 112)의 양측 가장자리 외면에 형성된다. 한편, 전극(150)은 도전성 테이프 또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층(170)이 제 1 기판(111)의 표면에 형성된다. 반사층(170)은 방전 공간(140)에서 발생된 광 중 제 1 기판(111) 방향으로 향하는 광을 제 2 기판(112)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1 형광층(161)이 반사층(170)의 표면에 형성된다. 제 2 형광층(162)이 제 2 기판(112)의 밑면에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특히, 제 1 및 제 2 형광층(161, 162)은 방전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간극들을 갖는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서로 격리된 방전 공간(140)들은 다공성 재질의 제 1 및 제 2 형광층 (161, 162)을 통해서 서로 연통된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격벽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형광층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따른 면광원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부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격벽(120)과 반사층(170)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형광층(161) 부분에 이웃하는 방전 공간(140)들을 연통시키기 위한 제 1 연통로(163)가 형성된다. 제 1 형광층(161)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수십 ㎛ 정도이므로, 방전 가스의 주입 시간 및 배기 시간의 단축을 위해서, 제 1 연통로(163)는 각 격벽(120)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격벽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형광층과 반사층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따른 면광원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부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 다.
도 5를 참조하면, 방전 가스의 주입 시간과 배기 시간을 보다 단축시키기 위해서, 제 1 연통로(163)와 이어진 제 3 연통로(171)가 반사층(17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 3 연통로(171)는 격벽(120)과 제 1 기판(111) 사이에 위치한 반사층(170) 부분에 형성되어, 제 1 연통로(163)와 이어진다. 한편, 제 3 연통로(171)는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 정도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 4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격벽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형광층과 반사층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따른 면광원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부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연통로(163) 뿐만 아니라 제 2 기판(112)과 격벽(120)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형광층(162) 부분에 방전 공간(140)들을 연통시키기 위한 제 2 연통로(164)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제 1 연통로(163) 대신에 제 2 연통로(164)만을 갖는 면광원 장치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2 연통로(164)도 제 1 연통로(163)와 마찬가지로, 각 격벽(120)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5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면광원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Ⅷa-Ⅷ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Ⅸ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로, 본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200)는 방전 가스가 주입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광원 몸체(210), 및 방전 가스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2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200)는 격벽 일체형이다. 따라서, 광원 몸체(210)는 제 1 기판(211), 및 제 1 기판(211) 상에 배치되고 격벽부(220)들을 일체로 갖는 제 2 기판(212)을 포함한다. 제 1 방향을 따라 배열된 격벽부(220)들이 제 1 기판(211)에 맞대어져서, 복수개의 방전 공간(240)들을 형성한다. 최외곽 격벽부(220)들이 실링용 프릿(280)을 매개로 제 1 기판(211)에 접합된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격벽부(220)들은 서로 격리된 방전 공간(240)들을 형성한다. 한편, 격벽부(220)들은 0.5 내지 2㎜ 정도의 폭을 가질 수도 있다.
전극(250)은 제 1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제 1 및 제 2 기판(211, 212)의 양측 가장자리 외면에 형성된다.
반사층(270)이 제 1 기판(211)의 표면에 형성된다. 반사층(270)은 방전 공간(240)에서 발생된 광 중 제 1 기판(211) 방향으로 향하는 광을 제 2 기판(212)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1 형광층(261)이 반사층(270)의 표면에 형성된다. 제 2 형광층(262)이 제 2 기판(212)의 밑면에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특히, 제 1 및 제 2 형광층(261, 262)은 방전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서로 격리된 방전 공간(240)들은 다공성 재질의 제 1 및 제 2 형광층(261, 262)을 통해서 서로 연통된다.
실시예 6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격벽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형광층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에 따른 면광원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부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격벽(220)과 반사층(270)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형광층(261) 부분에 이웃하는 방전 공간(240)들을 연통시키기 위한 제 1 연통로(263)가 형성된다. 제 1 연통로(263)는 각 격벽(220)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7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격벽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형광층과 반사층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에 따른 면광원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부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방전 가스의 주입 시간과 배기 시간을 보다 단축시키기 위해서, 제 1 연통로(263)와 이어진 제 3 연통로(271)가 반사층(27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 8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격벽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형광층과 반사층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에 따른 면광원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부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 1 연통로(263) 뿐만 아니라 격벽부(220) 밑면에 형성된 제 2 형광층(262) 부분에 방전 공간(240)들을 연통시키기 위한 제 2 연통로(264)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2 연통로(264)도 제 1 연통로(263)와 마찬가지로, 각 격벽(220)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9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면광원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ⅩⅣa-ⅩⅣ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ⅩⅤ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로, 본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300)는 방전 가스가 주입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광원 몸체(310), 및 방전 가스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3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300)는 격벽 일체형이다. 따라서, 광원 몸체(310)는 제 1 기판(311), 및 제 1 기판(311) 상에 배치되고 격벽부(320)들을 일체로 갖는 제 2 기판(312)을 포함한다. 제 1 방향을 따라 배열된 격벽부(320)들이 제 1 기판(311)에 맞대어져서, 서로 격리된 복수개의 방전 공간(340)들을 형성한다. 최외곽 격벽부(320)들이 실링용 프릿(380)을 매개로 제 1 기판(311)에 접합된다. 특히, 격벽부(320)를 통해서 이웃하는 방전 공간(340)들 사이에 전류가 편류하는 현상을 억제시키기 위해서, 격벽부(320)들은 대략 2 내지 5㎜ 정도, 바람직하게는 4㎜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전극(350)은 제 1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제 1 및 제 2 기판(311, 312)의 양측 가장자리 외면에 형성된다. 반사층(370)이 제 1 기판(311)의 표면에 형성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 재질의 제 1 형광층(361)이 반사층(370)의 표면에 형성되고, 역시 다공성 재질의 제 2 형광층(362)이 제 2 기판(312)의 밑 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서로 격리된 방전 공간(340)들은 다공성 재질의 제 1 및 제 2 형광층(361, 362)을 통해서 서로 연통된다.
실시예 10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격벽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형광층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에 따른 면광원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부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격벽(320)과 반사층(370)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형광층(361) 부분에 이웃하는 방전 공간(340)들을 연통시키기 위한 제 1 연통로(363)가 형성된다. 제 1 연통로(363)는 각 격벽(320)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1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격벽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형광층과 반사층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에 따른 면광원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부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 다.
도 17을 참조하면, 방전 가스의 주입 시간과 배기 시간을 보다 단축시키기 위해서, 제 1 연통로(363)와 이어진 제 3 연통로(371)가 반사층(37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 12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격벽 부위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형광층과 반사층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에 따른 면광원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부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 1 연통로(363) 뿐만 아니라 격벽부(320) 밑면에 형성된 제 2 형광층(362) 부분에 방전 공간(340)들을 연통시키기 위한 제 2 연통로(364)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2 연통로(364)도 제 1 연통로(363)와 마찬가지로, 각 격벽(320)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3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따른 백 라이트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백 라이트 유닛(1000)은 실시예 9에 따른 면광원 장치(300), 상하부 케이스(1100, 1200), 광학 시트(900) 및 인버터(1300)를 포함한다.
면광원 장치(300)는 도 13에 도시한 면광원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면광원 장치(30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면광원 장치들이 백 라이트 유닛(1000)에 채용될 수도 있다.
하부 케이스(1200)는 면광원 장치(300)를 수납하기 위하여 바닥부(1210) 및 바닥부(1210)의 가장자리로부터 수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연장된 복수의 측벽(1220)으로 이루어진다. 면광원 장치(300)는 하부 케이스(1200)의 수납 공간에 수납된다.
인버터(1300)는 하부 케이스(1200)의 배면에 배치되며, 면광원 장치(300)를 구동하기 위한 방전 전압을 발생시킨다. 인버터(1300)로부터 발생된 방전 전압은 제 1 및 제 2 전원선(1352, 1354)을 통해 면광원 장치(300)의 전극(350)에 각각 인가된다.
광학 시트(900)는 면광원 장치(30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판(미도시)과, 확산된 광에 직진성을 부여하기 위한 프리즘 시트(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케이스(1100)는 하부 케이스(1200)에 결합되어 면광원 장치(300)와 광학 시트(900)를 지지한다. 상부 케이스(1100)는 면광원 장치(300)가 하부 케이스(1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미도시)이 상부 케이스(1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공성 재질의 형광층을 통해서나 또는 형광층에 형성된 연통로를 통해서 서로 격리된 방전 공간들이 서로 연통됨으로써, 전류 편류 현상이 최대한 억제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1. 방전 가스가 주입되는 내부 공간을 서로 격리된 복수개의 방전 공간들로 구획하는 격벽들을 갖는 광원 몸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 및
    상기 광원 몸체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각 방전 공간들을 연통시킬 수 있는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진 형광층을 포함하는 면광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몸체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의 상부에 배치된 제 2 기판; 및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격벽들이 배열되는 상기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형광층은
    상기 제 1 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제 1 형광층; 및
    상기 제 2 기판의 밑면에 형성된 제 2 형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몸체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기판에 맞대어지는 상기 격벽들을 일체로 갖는 제 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형광층은 상기 제 1 기판의 상면과 상기 제 2 기판의 밑면 및 상기 격벽들의 밑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3 내지 5㎜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과 상기 광원 몸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형광층 부분에 연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6. 방전 가스가 주입되는 내부 공간을 서로 격리된 복수개의 방전 공간들로 구획하는 격벽들을 갖는 광원 몸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 및
    상기 광원 몸체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각 방전 공간들을 연통시키기 위해 상기 격벽들과 상기 광원 몸체의 내면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통로를 갖는 형광층을 포함하는 면광원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몸체는
    상기 격벽들의 하면이 맞대어지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격벽들의 상면이 맞대어지는 제 2 기판; 및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한정하고, 상기 격벽들이 맞대어진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층은
    상기 제 1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격벽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 1 연통로를 갖는 제 1 형광층; 및
    상기 제 2 기판의 내면에 형성된 제 2 형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격벽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형광층 부분에 제 2 연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형광층과 상기 제 1 기판 사이에 개재된 반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격벽 사이에 위치한 상기 반사판 부분에 상기 제 1 연통로와 연결된 제 3 연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 원 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몸체는
    제 1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기판의 내면에 맞대어지는 상기 격벽들을 일체로 갖는 제 2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들은 3 내지 5㎜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층은
    상기 제 1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격벽들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 1 연통로를 갖는 제 1 형광층; 및
    상기 제 2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연통로와 연결된 제 2 연통로를 갖는 제 2 형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형광층과 상기 제 1 기판 사이에 개재된 반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격벽 사이에 위치한 상기 반사층 부분에 상기 제 1 및 제 2 연통로와 연결된 제 3 연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17. 방전 가스가 주입되는 내부 공간을 서로 격리된 복수개의 방전 공간들로 구획하는 격벽들을 갖는 광원 몸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 및 상기 광원 몸체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각 방전 공간들을 연통시킬 수 있는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진 형광층을 포함하는 면광원 장치;
    상기 면광원 장치를 수납하는 상하부 케이스;
    상기 면광원 장치와 상기 상부 케이스 사이에 개재된 광학 시트; 및
    상기 면광원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방전 전압을 상기 전극에 인가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백 라이트 유닛.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과 상기 광원 몸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형광층 부분에 연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유닛.
KR1020040087957A 2004-11-01 2004-11-01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백 라이트 유닛 KR200600388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957A KR20060038802A (ko) 2004-11-01 2004-11-01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백 라이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957A KR20060038802A (ko) 2004-11-01 2004-11-01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백 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802A true KR20060038802A (ko) 2006-05-04

Family

ID=37146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7957A KR20060038802A (ko) 2004-11-01 2004-11-01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백 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88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3070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20060044821A1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0660279B1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백 라이트 유닛
JP2006332053A (ja) 面光源装置及びそれを具備する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0728738B1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백 라이트 유닛
JP2006147570A (ja) 面光源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20070094040A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백 라이트 유닛
KR100648782B1 (ko) 방전가스, 면광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20060038802A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백 라이트 유닛
JP2005142158A (ja) 面光源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US20080143263A1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KR100596906B1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백 라이트 유닛
KR20060120768A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백 라이트 유닛
KR20060022004A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백 라이트 유닛
KR20060023655A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백 라이트 유닛
KR20060057998A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백 라이트 유닛
KR20060109057A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백 라이트 유닛
KR100769183B1 (ko) 면발광 램프
KR20060109215A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백 라이트 유닛
KR100746449B1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백 라이트 유닛
KR100811896B1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백 라이트 유닛
KR20070111873A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백 라이트 유닛
KR20090072182A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KR20080068947A (ko) 셀전극을 구비하는 면광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KR20070073058A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백 라이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