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8468A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체 영상 통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체 영상 통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8468A
KR20060078468A KR1020040118431A KR20040118431A KR20060078468A KR 20060078468 A KR20060078468 A KR 20060078468A KR 1020040118431 A KR1020040118431 A KR 1020040118431A KR 20040118431 A KR20040118431 A KR 20040118431A KR 20060078468 A KR20060078468 A KR 20060078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video call
terminal
cameras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8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수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8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8468A/ko
Publication of KR20060078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84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94Transmission of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46Calibration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에 두 대의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일정 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의 영상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 통화를 구현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체 영상 통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송신 단말기의 기 설정된 위치에 구비된 두 대의 카메라에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두 카메라로 입력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고, 그 수신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양안 시차 방식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 시 입체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체 영상 통화 방법{METHOD FOR EXECUTING 3D VIDEO CALL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1은 일반적인 스테레오 카메라에서 트윈 렌즈를 조정하기 위한 구조도.
도2는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위치에 대한 일 예시도.
도3은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체 영상 통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 순서도.
도4는 본 발명에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위치(a) 및 수신 단말기에서 영상 데이터 표시 방향(b)에 대한 일 예시도.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체 영상 통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우에 두 대의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일정 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의 영상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 통화를 구현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체 영상 통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레오 입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특수한 스테마 트윈렌즈(Stemar twin lens)를 사용하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하는데, 스테레오 입체 영 상의 경우 가변적 거리의 피사체를 입체적으로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의 마스크와 렌즈의 수평 조절용 슬라이딩바(sliding bar)의 핀 등을 사용하였다. 즉, 입체감을 극대화하기 위해 좌우 양 카메라의 초점을 얼굴 거리에 일치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렌즈 좌우 각도 회전 메커니즘을 구현하고, 액정상에 표현된 초점을 두 영상의 일치점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절하는데, 이에 대한 도면을 도1에 도시하였다.
하지만,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우 20~30[cm] 정도의 정해진 거리에 있는 얼굴을 입체적으로 촬영하는 것에 관심을 두고 있기 때문에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와 같이 기구적으로 복잡하고 불안정한 구조를 단말기에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현재까지 3세대(3G)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 기능이 구현되었으나 입체(3D) 영상이 아닌 평면(2D) 영상으로 영상 통화가 이루어졌고, 3D 영상 표시 기술 또한 존재하지만 대부분 저장된 정보의 표현에 국한되어 있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얼굴 방향에 1개의 회전형 카메라 또는 고정형 카메라를 구비하는데,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 기능을 사용한 경우 하나의 카메라를 얼굴 방향으로 정하고, 다른 하나의 카메라를 원거리 촬영용으로 설치하여 얼굴 방향의 카메라에서 하나의 초점으로 영상을 촬영한 후 신호 처리를 통하여 전송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구비된 두 대의 카메라에서 영상을 입 력받아 상기 두 카메라로 입력된 영상 프레임을 소정 처리하여 전송하고, 수신 단말기에서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양안 시차 방식을 이용하여 3D 영상을 표현함으로써,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 시 입체감을 줄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체 영상 통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신 단말기의 기 설정된 위치에 구비된 두 대의 카메라에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두 카메라로 입력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고, 그 수신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양안 시차 방식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체 영상 통화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영상 통화 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소정의 거리(6.5[cm])만큼 떨어져 위치한 두 대의 카메라에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입체 영상 데이터로 소정 처리하여 수신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양안 시차 방식으로 표시창에 표시하여 입체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도3은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체 영상 통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단말기의 기 설정된 위치에 구비된 두 대의 카메라에서 영상 데이터를 각각 입력받고, 그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입 체 영상 데이터로 처리하여 수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양안 시차 방식으로 표시창에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양안 시차 방식은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기 때문에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두 대의 카메라는 인간의 눈 간격, 즉, 6.5[cm]정도 이격되어 위치하고, 영상 통화 시 20~30[cm]정도 떨어진 위치에 사용자의 눈이나 코와 초점이 일치하도록 일정각도 수평 경사를 두도록 고정 설치한다.
또한, 영상 통화 시 입체감을 높이기 위해 영상 통화 전 두 대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표시창에 표시하고, 좌우 초점 인식 마크를 표시창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단말기와 얼굴간의 거리를 적절히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입체감이 최대가 되는 적절한 거리를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단말기를 들고 영상 통화를 수행하기 때문에 손떨림에 대한 보정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송신 단말기에서 수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영상 데이터는 두 대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두 영상 데이터의 유사성과 변이성을 검출하고, 하나의 기준 영상 데이터와 이의 변이 정보가 포함된 영상 데이터로서, 본 발명에서 두 대의 카메라로 촬영된 모든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이유는 두 대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모두 전송하면 기존에 비해 데이터량이 2배로 증가하기 때문에 영상 통화 시 트래픽 적체로 전송프레임이 줄어들고, 이로 인해 동영상이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두 대의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정해진 거리의 피사체를 촬영하므 로 이에 대한 일부 예상 변이가 계산되어 있어 이에 대한 정보는 따로 전달하지 않고, 수신 단말기에서 이를 반영하여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 정보에는 예상 변이에 대한 정보가 반영되지 않는 상세 정보만을 반영한다.
그럼, 상기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에 구비된 두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에 초점을 맞추도록 적절한 거리를 조정하다. 이때, 사용자의 얼굴과 단말기의 적절한 거리는 단말기 표시창에 표시되는 사용자 얼굴에 대한 입체감이 최적일 때 사용자가 적절한 거리로 판단한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입체감이 최적인 위치로 거리를 조정하면서 입체감을 확인한 영상을 전송하기 때문에 부가적인 기구적 메커니즘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에 의해 최적의 거리가 조정되면, 두 대의 카메라로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두 영상 데이터의 유사성과 변이성을 검출한다.
상기 유사성과 변이성의 검출을 통해 하나의 기준 영상과 변이성을 이용한 변이 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기준 영상 및 변이 정보(입체 영상 데이터)를 수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수신 단말기는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입체 영상 데이터, 즉, 하나의 기준 영상 데이터와 그에 대한 변이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처리 된 영상 데이터를 양안 시차 방식을 이용하여 표시창에 표시한다. 예컨대, 표시창이 LCD인 경우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의 진행 방향을 수직으로 하나의 필터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양안의 각도를 기준으로 영상을 반복적으로 보낸다. 물론, 좌안 또는 우안에서 반대쪽의 영상도 일부 인식이 되나 광량이 많은 자기 영상을 받아들이는 정도가 강하기 때문에 좌우 영상을 분리/인식하여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이때, LCD의 최대 밝기 위치가 중간이 아니라 이정 각도를 갖는 양안 각도가 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입체감을 높일 수 있는 적절한 거리가 선택되는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단말기에 구비된 두 대의 카메라가 고정식이 아닌 경우 한 대의 카메라를 고정하고 나머지 한 대의 카메라를 이동하여 초점을 만들고, 단말기로 거리를 이동하여 적절한 위치가 되었을 때 단말기에서 소정의 신호(예를 들어, 음성)를 출력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구비된 두 대의 카메라에서 영상을 입력받아 상기 두 카메라로 입력된 영상 프레임을 소정 처리하여 전송하고, 수신 단말기에서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양안 시차 방식을 이용하여 3D 영상을 표현함으로써, 단말기에서 영상 통화 시 입체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송신 단말기의 기 설정된 위치에 구비된 두 대의 카메라에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두 카메라로 입력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입체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고, 그 수신된 입체 영상 데이터를 양안 시차 방식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체 영상 통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대의 카메라 간격은 6.5[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체 영상 통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말기의 두 카메라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두 영상 데이터의 유사성과 변이성을 조사하여 하나의 기준 영상과 이의 변이 정보를 생성하여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체 영상 통화 방법.
KR1020040118431A 2004-12-31 2004-12-3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체 영상 통화 방법 KR200600784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8431A KR20060078468A (ko) 2004-12-31 2004-12-3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체 영상 통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8431A KR20060078468A (ko) 2004-12-31 2004-12-3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체 영상 통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468A true KR20060078468A (ko) 2006-07-05

Family

ID=37170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8431A KR20060078468A (ko) 2004-12-31 2004-12-3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체 영상 통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84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203B1 (ko) * 2012-03-14 2013-09-10 주식회사 펀진 정면 영상 생성 영상통화 장치 및 방법
US8633961B2 (en) 2010-12-02 2014-01-21 Korean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video calls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3961B2 (en) 2010-12-02 2014-01-21 Korean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video calls using the same
KR101303203B1 (ko) * 2012-03-14 2013-09-10 주식회사 펀진 정면 영상 생성 영상통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34000B (zh) 远程会议方法和远程通信系统
JP3186448B2 (ja) 立体テレビカメラ
RU2388172C2 (ru) Формирование трехмерн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эффекта близости
KR101763592B1 (ko)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영상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KR100616556B1 (ko) 무손실 편광형 입체 디스플레이방법 및 장치
EP1566974A1 (en) Multiple image transmission method and mobile device having multiple image simultaneous imaging function
EP2216678A1 (en) Image photo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iing image photo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US9544578B2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autostereoscopic display
US20130113793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US8648953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as well as program
JPWO2012117617A1 (ja) 立体画像撮像装置
US20120307016A1 (en) 3d camera
CN116405653A (zh) 实时裸眼3d的图像处理方法、系统、设备及介质
JP5474530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
JP2002218506A (ja) 撮像装置
US5874987A (en) Method for recording stereoscopic images and device for the same
KR2006007846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체 영상 통화 방법
CN104041026B (zh) 图像输出装置、方法以及程序及其记录介质
JP2003134534A (ja) 撮像装置
CN104054333A (zh) 图像处理装置、方法以及程序及其记录介质
JP4360180B2 (ja) 立体映像撮影装置
KR100886321B1 (ko)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및 이에 적용되는 입체경
US9762891B2 (en) Terminal device, image shooting system and image shooting method
KR102242923B1 (ko) 스테레오 카메라의 정렬장치 및 스테레오 카메라의 정렬방법
KR101864450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화상 보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