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321B1 -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및 이에 적용되는 입체경 - Google Patents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및 이에 적용되는 입체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321B1
KR100886321B1 KR1020070071956A KR20070071956A KR100886321B1 KR 100886321 B1 KR100886321 B1 KR 100886321B1 KR 1020070071956 A KR1020070071956 A KR 1020070071956A KR 20070071956 A KR20070071956 A KR 20070071956A KR 100886321 B1 KR100886321 B1 KR 100886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ser
unit
terminal
eye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750A (ko
Inventor
최근환
남기선
조병기
양중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1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321B1/ko
Publication of KR20090008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및 이에 적용되는 입체경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은, 사용자의 좌측시각에 대응하여 객체를 촬영하기 위한 제 1 카메라부, 사용자의 우측시각에 대응하여 객체를 촬영하기 위한 제 2 카메라부, 제 2 카메라부를 통해 형성된 제 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1 디스플레이부, 제 1 카메라부를 통해 형성된 제 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2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 제어입력을 토대로 제 1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형성된 제 1 영상을 제 2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제 2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형성된 제 2 영상을 제 1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프로세싱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에 맞추어 소정의 객체를 촬영하여 형성한 각각의 영상을 2개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교차하여 출력하기 위한 단말과 이에 결합하는 입체경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단말 내의 사진 또는 동영상을 더욱 현실감 있고 현장감 있게 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3차원 영상, 이동통신 단말

Description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및 이에 적용되는 입체경{3 DIMENSION IMAGE-BASED TERMINAL AND STEREO SCOPE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 및 영상형성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에 맞추어 소정의 객체를 촬영하여 형성한 각각의 영상을 2개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교차하여 출력하기 위한 단말과 이에 결합하는 입체경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및 이에 적용되는 입체경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에서 사용자에게 중요한 기능으로 생각되는 것은 기본적인 기능인 것으로 인식되어버린 통화 기능보다는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부가 기능이다.
또한, 단말 제조업체에서도 단말에서 수행 가능한 부가 기능의 개발에 많은 연구와 투자를 하고 있다. 예컨데, 단말에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결합하거나 MP3 재생 기능을 부가하고, 최근에는 모바일 뱅킹 기능까지 부가하여 단말을 통해 수표 조회나 송금까지 가능하게 되었으며, 네비게이션 기능까지 부가된 단말이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으로 볼 때, 단말에 더 이상 추가할 새로운 부가 기능을 찾을 수 없을 정도가 되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 관련 업계에서는 기존에 부가된 기능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대신 좀 더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이동통신 단말에 저장중인 영상이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저장중인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기능은 아직 실행되고 있지 않으며, 상기 3차원 영상을 이동통신 단말에서 구현하기 위해 MAX, MAYA, VRML, ISA, ISB 등과 같은 2차원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전환하는 용도의 프로그램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구비하기에는 프로세싱 처리능력 및 메모리 용량 등의 장애 요인들로 인하여 실제 구현하기에는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2차원 영상을 3차원적인 영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기술이 용이하게 구현된다면, 사용자가 원하는 또 다른 서비스의 창출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에 맞추어 소정의 객체를 촬영하여 형성한 각각의 영상을 2개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교차하여 출력하기 위한 단말과 이에 결합하는 입체경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및 이에 적용되는 입체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은, 사용자의 좌측시각에 대응하여 객체를 촬영하기 위한 제 1 카메라부, 사용자의 우측시각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를 촬영하기 위한 제 2 카메라부, 상기 제 2 카메라부를 통해 형성된 제 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1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 1 카메라부를 통해 형성된 제 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2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 제어입력을 토대로 상기 제 1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형성된 상기 제 1 영상을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제 2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형성된 상기 제 2 영상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프로세싱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 2 영상 및 상기 제 1 영상을 취합하여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입체경과 착탈하기 위한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카메라부 및 상기 제 2 카메라부는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을 이루는 외부 하우징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카메라부 및 상기 제 2 카메라부는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 간의 사이 거리에 대한 평균 통계치를 토대로 상호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의 좌측시각과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의 우측시각과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은 이동통신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은, 제 1 디스플레이 화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영상 및 제 2 디스플레이 화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영상을 제공받는 디스플레이 화면부, 상기 제 2 영상을 사용자의 좌측시각에 전달하고 상기 제 1 영상을 사용자의 우측시각에 전달하는 접안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부 및 상기 접안부를 연결하는 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화면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화면를 구비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과 착탈하기 위한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은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에 고정되기 위한 헤어 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은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단 말로부터 음향을 제공받기 위한 포트연결부 및 상기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부는 상기 제 2 영상에 대응하는 제 1 영상모듈 및 상기 제 1 영상에 대응하는 제 2 영상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안부는 상기 제 2 영상에 대응하는 제 1 접안모듈; 및
상기 제 1 영상에 대응하는 제 2 접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접안모듈 및 상기 제 2 접안모듈은 볼록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접안모듈 및 상기 제 2 접안모듈은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에 대응하여 각각 좌/우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안부는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에 접하기 위한 곡선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곡선 구조물은 스폰지 또는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로부는 상기 제 2 영상이 전달되는 경로 및 상기 제 1 영상이 전달되는 경로 사이에 영상 차단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부 및 상기 접안부 간의 길이를 상기 접안부에 구비되는 렌즈특성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부 및 상기 접안부 간의 길이는 평균 통계치인 60mm에서 오차 범위 이내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에 맞추어 소정의 객체를 촬영하여 형성한 각각의 영상을 2개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교차하여 출력하기 위한 단말과 이에 결합하는 입체경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단말 내의 사진 또는 동영상을 더욱 현실감 있고 현장감 있게 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및 입체경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및 입체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100)은 사용자의 좌측시각에 대응하여 소정의 객체를 촬영하기 위한 제 1 카메라부(110), 사용자의 우측시각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촬영하기 위한 제 2 카메라부(120), 상기 제 2 카메라부(120)에서 형성한 제 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1 디스플레이부(130), 상기 제 1 카메라부(110)를 통해 형성된 제 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2 디스플레이부(140), 및 사용자의 제어입력에 따라 제 1 카메라부(110) 및 제 2 카메라부(120)를 구동하여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을 각각 형성하 기 위한 프로세싱을 실행하고, 상기 제 2 영상을 제 1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하며, 상기 제 1 영상을 제 2 디스플레이부(140)에 교차하여 출력하기 위한 프로세싱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은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을 취합하여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으로 제공하는 입체경과 착탈하기 위한 결합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200)은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100)로부터 제공되는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을 제공받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부(230), 상기 제 2 영상을 사용자의 좌측시각에 전달하고 상기 제 1 영상을 사용자의 우측시각에 전달하기 위한 접안부(21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접안부(210) 간을 연결하는 통로부(22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200)은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100)과 착탈하기 위한 결합부(2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100)에 대한 전면에는 제 1 카메라부(110) 및 제 2 카메라부(120)가 각각 사용자의 시각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상기 제 1 카메라부(110) 및 제 2 카메라부(120)는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 간의 사이 거리에 대한 평균 통계치를 토대로 상호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100)에 대한 후면에는 제 1 디스플레이부(130) 및 제 2 디스플레이부(140)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30)에는 제 2 카메라부(120)를 통해 형성된 제 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140)에는 제 1 카메라부(110)를 통해 형성된 제 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교차하여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이유는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200)없이 상기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을 사용자가 바라볼 경우에도 사용자의 좌측시각은 우측방향에서 촬영하는 제 2 카메라부(120)를 통해 형성된 제 2 영상을 바라보고, 사용자의 우측시각은 좌측방향에서 촬영하는 제 1 카메라부(110)를 통해 형성된 제 1 영상을 바라보도록 구현됨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영상들을 본 후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입체경의 접안부(2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경의 접안부(210)는 제 2 영상에 대응하는 제 1 접안모듈(211) 및 제 1 영상에 대응하는 제 2 접안모듈(212)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접안모듈(211) 및 상기 제 2 접안모듈(212)은 각각 볼록렌즈를 구비하여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접안모듈(211) 및 상기 제 2 접안모듈(212)은 각각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에 대응하여 각각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과 입체경이 결합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200)은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100)과 결합하여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100)에 구비되는 제 1 디스플레이부(130) 및 제 2 디스플레이부(14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제공받기 위한 디스 플레이 화면부(230), 통로부(220) 및 접안부(210)를 포함하며, 통로부(220)는 제 1 디스플레이부(130)로부터 제공되는 제 2 영상이 전달되는 경로와 제 2 디스플레이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제 1 영상이 전달되는 경로 사이에 영상 차단막을 구비하여 영상 간의 교차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로부(220)는 디스플레이 화면부(230) 및 접안부(210) 간의 길이를 접안부(210)에 구비되는 렌즈의 특성에 따라 설정되며, 이는 평균 통계치인 60mm에서 오차범위 이내로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통로부(220)는 렌즈의 특성이 가변되도록 구현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부(230) 및 접안부(210) 간의 길이도 가변되도록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부(230)는 제 2 영상에 대응하는 제 1 영상모듈(231) 및 제 1 영상에 대응하는 제 2 영상모듈(232)을 포함하게 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입체경을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200)은 접안부(210)에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에 접하기 위한 곡선 구조물을 더 포함하여 하고, 곡선 구조물의 재질은 스폰지 또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인 것으로 한다.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200)은 해당 영상을 일정시간 동안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임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에 고정되기 위한 헤어 밴드부(2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입체경을 또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200)은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100) 로부터 음향을 제공받기 위한 포트연결부(250) 및 제공되는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26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에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에 맞추어 소정의 객체를 촬영하여 형성한 각각의 영상을 2개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교차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구현하고, 이러한 단말에 대응하는 입체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및 입체경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입체경의 접안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과 입체경이 결합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입체경을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입체경을 또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110 : 제 1 카메라부
120 : 제 2 카메라부 130 : 제 1 디스플레이부
140 : 제 2 디스플레이부 150 : 제어부
160, 240 : 결합부 200 :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
210 : 접안부 211 : 제 1 접안모듈
212 : 제 2 접안모듈 220 : 통로부
230 : 디스플레이 화면부 231 : 제 1 영상모듈
232 : 제 2 영상모듈 240 : 헤어 밴드부
250 : 포트연결부 260 : 스피커부

Claims (21)

  1. 사용자의 좌측시각에 대응하여 객체를 촬영하기 위한 제 1 카메라부;
    사용자의 우측시각에 대응하여 상기 객체를 촬영하기 위한 제 2 카메라부;
    상기 제 2 카메라부를 통해 형성된 제 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1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 1 카메라부를 통해 형성된 제 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2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제어입력을 토대로 상기 제 1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형성된 상기 제 1 영상을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제 2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형성된 상기 제 2 영상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프로세싱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 2 영상 및 상기 제 1 영상을 취합하여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입체경과 착탈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부 및 상기 제 2 카메라부는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을 이루는 외부 하우징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부 및 상기 제 2 카메라부는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 간의 사이 거리에 대한 평균 통계치를 토대로 상호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의 좌측시각과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의 우측시각과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은
    이동통신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9. 제 1 디스플레이 화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영상 및 제 2 디스플레이 화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영상을 제공받는 디스플레이 화면부;
    상기 제 2 영상을 사용자의 좌측시각에 전달하고 상기 제 1 영상을 사용자의 우측시각에 전달하는 접안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부 및 상기 접안부를 연결하는 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화면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화면를 구비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과 착탈하기 위한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은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에 고정되기 위한 헤어 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은
    상기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로부터 음향을 제공받기 위한 포트연결부; 및
    상기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
  13.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부는
    상기 제 2 영상에 대응하는 제 1 영상모듈; 및
    상기 제 1 영상에 대응하는 제 2 영상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
  14.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부는
    상기 제 2 영상에 대응하는 제 1 접안모듈; 및
    상기 제 1 영상에 대응하는 제 2 접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안모듈 및 상기 제 2 접안모듈은
    볼록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안모듈 및 상기 제 2 접안모듈은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에 대응하여 각각 좌/우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
  17.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부는
    사용자의 좌/우측 시각에 접하기 위한 곡선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구조물은
    스폰지 또는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
  19.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상기 제 2 영상이 전달되는 경로 및 상기 제 1 영상이 전달되는 경로 사이에 영상 차단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
  20.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부 및 상기 접안부 간의 길이를 상기 접안부에 구비되는 렌즈특성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부 및 상기 접안부 간의 길이는
    평균 통계치인 60mm에서 오차 범위 이내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기반의 입체경.
KR1020070071956A 2007-07-18 2007-07-18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및 이에 적용되는 입체경 KR100886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956A KR100886321B1 (ko) 2007-07-18 2007-07-18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및 이에 적용되는 입체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956A KR100886321B1 (ko) 2007-07-18 2007-07-18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및 이에 적용되는 입체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750A KR20090008750A (ko) 2009-01-22
KR100886321B1 true KR100886321B1 (ko) 2009-03-04

Family

ID=40488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956A KR100886321B1 (ko) 2007-07-18 2007-07-18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및 이에 적용되는 입체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3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1591A (zh) * 2017-09-12 2018-12-18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图像传输方法、设备、可移动平台、监控设备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609912D0 (en) * 2016-06-07 2016-07-20 Charpak Ltd Packag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8917A (ja) 1998-04-10 1999-10-29 Ricoh Co Ltd ビデオカメラ用ステレオアタッチメント及びステレオビュア
KR20060035064A (ko) * 2004-10-20 200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삼차원 영상데이터 표시방법
KR100682338B1 (ko) 2004-08-06 2007-02-15 주식회사 자타 액체 비누 분배기
KR20070027318A (ko) * 2005-09-06 2007-03-09 (주)다산알앤디 입체영상의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8917A (ja) 1998-04-10 1999-10-29 Ricoh Co Ltd ビデオカメラ用ステレオアタッチメント及びステレオビュア
KR100682338B1 (ko) 2004-08-06 2007-02-15 주식회사 자타 액체 비누 분배기
KR20060035064A (ko) * 2004-10-20 200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삼차원 영상데이터 표시방법
KR20070027318A (ko) * 2005-09-06 2007-03-09 (주)다산알앤디 입체영상의 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1591A (zh) * 2017-09-12 2018-12-18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图像传输方法、设备、可移动平台、监控设备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750A (ko) 200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7746B1 (en) Photographing method for dual-camera device and dual-camera device
CN102318331B (zh) 立体图像拾取装置
JP6252849B2 (ja) 撮像装置および方法
JPWO2012117617A1 (ja) 立体画像撮像装置
CN104247412A (zh) 图像处理装置、摄像装置、图像处理方法、记录介质以及程序
JP2006033476A (ja) 撮影装置、表示装置及び撮影表示装置
JP4989788B2 (ja) 立体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WO2014119965A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 스테레오 영상 촬영 방법 및 이를 위한 단안식 카메라
KR100886321B1 (ko) 3차원 영상 기반의 단말 및 이에 적용되는 입체경
JP2002218506A (ja) 撮像装置
JP4536231B2 (ja) 撮像装置
CN101778304A (zh) 立体摄像观像装置及其控制方法
JPH1075432A (ja) 立体テレビ電話器
CN104041026B (zh) 图像输出装置、方法以及程序及其记录介质
JP3939127B2 (ja) 撮像装置
KR101682049B1 (ko) 실시간 후방 인지 멀티 안경
JP4512276B2 (ja) 撮像装置
CN107277492A (zh) 一种3d图像显示方法及系统
CN109068207B (zh) 一种耳机及耳机系统
KR102201187B1 (ko) 스테레오 카메라 기반 트윈 카메라 모듈
CN109429055B (zh) 图像展示、视频文件处理方法及装置
KR20110049405A (ko)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영상촬영 방법
KR101813103B1 (ko) 넥밴드형 캠코더
CN220554028U (zh) 一种能够拍摄立体影像的手机
JP2010283550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コミュニケー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