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5839A -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장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5839A
KR20060075839A KR1020040115204A KR20040115204A KR20060075839A KR 20060075839 A KR20060075839 A KR 20060075839A KR 1020040115204 A KR1020040115204 A KR 1020040115204A KR 20040115204 A KR20040115204 A KR 20040115204A KR 20060075839 A KR20060075839 A KR 20060075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a data
control signal
selectiv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연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40115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5839A/ko
Publication of KR20060075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58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1Conversation recording systems

Abstract

발신자와 수신자 간의 통화 내역 중에서 특정 구간을 선별하여 녹취하는 장치와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사설교환기, 수신단말, 녹취 장치가 VoIP 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녹취 시스템에 있어서, 녹취 장치는 수신단말로부터 녹취 개시 제어신호 및 저장 구분자가 수신되면 그 이후에 수신되는 미디어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병합하여 저장하고, 수신단말로부터 새로운 저장 구분자가 수신되면 상기의 녹취를 중단하고 그 이후에 수신되는 미디어데이터를 다시 병합하여 저장하며, 이를 녹취 종료 제어신호가 수신되기 전까지 반복한다. 이때, 미디어데이터를 병합 저장하기에 앞서 이를 PCM 코드로 변환하여 병합하고 차후 저장시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코덱으로 다시 변환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구간별로 녹취되는 미디어데이터는 녹취 데이터베이스의 소정의 필드에 구분되어 저장된다.
녹취, 구간 녹취, 저장 구분자, 인덱스, VoIP

Description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장치, 방법 및 시스템 {Device, method and system that records specific section of conversa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를 위해 사용되는 저장 구분자 패킷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장치의 선별녹취모듈의 수행 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장치의 전체녹취모듈의 수행 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저장 구분자가 시나리오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되어 발송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단계별 흐름도.
본 발명은 발신자와 수신자 간의 통화 내역 중에서 특정 구간을 선별하여 녹취하는 장치와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설교환기, 수신단말, 녹취 장치가 VoIP 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녹취 시스템에 있어서, 녹취 장치는 수신단말로부터 녹취 개시 제어신호 및 저장 구분자가 수신되면 그 이후에 수신되는 미디어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병합하여 저장하고, 수신단말로부터 새로운 저장 구분자가 수신되면 상기의 녹취를 중단하고 그 이후에 수신되는 미디어데이터를 다시 병합하여 저장하며, 이를 녹취 종료 제어신호가 수신되기 전까지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는 IP를 사용하여 음성정보를 전달하는 일련의 설비들을 위한 IP 전화기술을 지칭하는데, 이것은 공중교환전화망인 PSTN 처럼 회선에 근거한 전통적인 프로토콜들이 아니라 불연속적인 패킷들을 통해 디지털 형태로 음성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에 있어서 통화 내역을 녹취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녹취 장치는 수신단말로부터 녹취 개시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그 이후에 도달하는 통화 내역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병합하여 저장한다. 이때, 통화 내역 데이터가 도달할 때마다 이를 PCM(Pulse Coded Modulation) 변환을 한 후에 임시저장하고, 그 이후에 도달하는 통화 내역 데이터 역시 PCM 변환을 거친 후에 병합 저장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후 수신단말로부터 녹취 종료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그 이전까지 병합되어 임시저장된 녹취 데이터(PCM 변환되어 녹취된 데이터)를 다시 미리 지정된 특정 코덱으로 변환하여 최종 저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녹취 방법에 의하면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통화 내역을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녹취해야 하므로, 차후에 그 녹취 데이터 중에서 필요한 특정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처음부터 순차적으로 검색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과도한 검색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종 저장된 전체 녹취 데이터를 차후에 그 녹취 내용에 따라 분리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분리 저장을 위한 별도의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그를 위한 별도의 시간이 더 요구되고, 분리 저장 과정 수행을 위한 별도의 저장 공간 및 시스템 자원을 더 필요로 하게 되므로, 전체적으로는 녹취 장치 또는 녹취 시스템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소정의 저장 구분자를 통해 발신자와 수신자 간의 통화 내역 중 특정 구간을 선별하여 녹취할 수 있는 녹취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별적으로 녹취된 미디어데이터를 그 종류에 따라 녹취 데이터베이스의 특정 필드에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녹취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VoIP 망을 통해 입력되는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통화 내역 미디어데이터가 어떠한 코덱으로 구성되었는지에 상관없이 이를 지정된 특정 코덱으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PCM 변환모듈 및 사용자코덱 변환모듈이 구비된 녹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녹취 방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녹취 장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망에 연결되어 있으면서 통화 내역을 기록하는 녹취 장치에 있어서, 미디어데이터 패킷, 각종 제어신호 패킷 및 저장 구분자 패킷을 캡쳐하여 녹취부로 전달하는 패킷처리부와, 상기 패킷처리부로부터 녹취 개시 제어신호 및 저장 구분자가 전달되면 녹취 종료 제어신호가 있을 때까지 그 이후에 전달되는 미디어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병합하여 저장하며, 새로운 저장 구분자가 전달되면 진행중인 녹취를 중단하고 그 이후에 전달되는 미디어데이터를 다시 병합하여 저장하는 선별녹취모듈을 포함하는 녹취부 및 상기 녹취된 미디어데이터가 저장될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녹취부는, 상기 패킷처리부로부터 녹취 개시 제어신호가 전달되면 녹취 종료 제어신호가 있기까지 그 이후에 전달되는 미디어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병합하여 저장하는 전체녹취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선별녹취모듈은 상기 패킷처리부로부터 저장 구분자가 전달되면 새로운 저장 구분자가 있기까지 그 이후에 전달되는 미디어데이터를 따로 복사하여 그 복사본을 병합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녹취부는, 상기 패킷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미디어데이터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변환하여 임시저장하는 PCM 변환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체녹취모듈은 상기 임시저장된 PCM 변환 미디어데이터를 병합 저장하고, 상기 선별녹취모듈은 상기 임시저장된 PCM 변환 미디어데이터의 복사본을 병합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녹취부는, 새로운 저장 구분자 또는 녹취 종료 제어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병합하여 저장된 PCM 변환 미디어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특정 코덱으로 변환하는 사용자코덱 변환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부는, 녹취된 미디어데이터를 종류별로 각 필드에 구분 저장하기 위한 녹취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저장 구분자 패킷은, 당해 패킷이 저장 구분자 패킷임을 나타내는 식별자, 이후 녹취될 미디어데이터가 저장될 녹취 데이터베이스의 필드명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의 상기 식별자는 디지털화된 소정의 DTMF 신호 코드를 이용하는 것일 수도 있고, 임의로 정의된 코드를 이용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녹취 장치에는 녹취된 미디어데이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추출한 후 이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음성인식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녹취모듈 및 전체녹취모듈은, 발신자측의 미디어데이터와 수신자측의 미디어데이터를 구분하여 별도로 녹취할 수 있으며, 상기 미디어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이거나 비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다음으로,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녹취 시스템은, 외부의 발신단말과 수신단말 간에 통화를 연결하는 사설교환기와,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아 미디어데이터로 변환하는 입력수단과, 전송받은 미디어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녹취관련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신호발생모듈과, 미디어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전송받고 녹취관련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수신단말 및 상기의 녹취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설교환기, 수신단말 및 녹취 장치는 VoIP 망(Voice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수신단말은, 녹취 개시 제어신호 및 녹취 종료 제어신호를 임의로 발생시키기 위한 소정의 선택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단말의 제어신호발생모듈은, 발신단말과 통화가 연결됨과 동시에 녹취 개시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발생시키고, 통화가 종료됨과 동시에 녹취 종료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발생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신단말은, 저장 구분자 신호를 임의로 발생시키기 위한 소정의 선택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단말은 자동응답에 의하여 소정의 자동응답멘트를 순차적으로 송신하는 자동응답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단말의 제어신호발생모듈은, 상기 자동응답모듈에 의해 특정 자동응답멘트가 송신되면 그에 대응하는 저장 구분자를 자동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사설교환기(110)는 외부의 발신단말(도면에 미도시) 또는 교환국(도면에 미도시)으로부터 수신단말(130)로의 통화 연결을 요청받으면 수신단말(130)과 통화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담당하며, 외부망으로부터의 신호를 VoIP 망으로 변환하거나 그 역으로 변환하고, 수신단말(130)이 둘 이상 구비되는 경우 외부의 콜(Call)을 특정 수신단말로 배분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발명에서의 내부망은 IP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므로 사설교환기(110)에 연결되어 있는 수신단말들은 각자 고유한 IP 주소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때의 IP 주소는 사설 IP 주소일 수도 있고 공인 IP 주소일 수도 있다. 따라서, 사설교환기(110)는 내부망을 대표하는 특정 디지트 번호(전화번호)로의 콜(Call) 연결 요청이 있으면, 소정의 정책에 의하여 상기 IP 주소들 중 어느 하나의 수신단말로 통화를 연결한다. 또한, 사설교환기(110)는 수신단말별 IP 주소와 특정 디지트 번호(전화번호)를 매칭시키는 소정의 테이블을 구비하고 있으면서 발신단말로부터 통화 연결을 위한 특정 디지트 번호(내선 번호 등의 식별자를 포함한 번호)를 수신하면 그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검색하여 해당 수신단말로 통화를 연결한다. 이러한 사설교환기(110)는 특히 VoIP 망에서의 게이트웨이에 대응되는 개념이며, 게이트웨이는 VoIP 망 내의 사용자들로부터 패킷으로 나뉘어진 음성 데이터를 전달받아서, 그것을 인트라넷의 다른 사용자에게 발송하거나 소정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을 거쳐 PSTN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수신단말(120)은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아 미디어데이터로 변환하는 입력수단과, 전송받은 미디어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녹취관련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신호발생모듈과, 미디어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전송받고 녹취관련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입력수단은 사용자로부터 마이크나 캠 등을 통해 오디오 또는 비디오 미디어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출력수단은 사설교환기(110)로부터 전송받은 미디어데이터를 스피커 또는 모니터 등의 출력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하며, 사용자는 이와 같은 입력수단 및 출력수단을 통하여 상대방과 통화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녹취관련 제어신호는 녹취 개시 제어신호, 녹취 종료 제어신호 및 저장 구분자를 특히 포함하는 개념이며, 그 외에도 바람직하게는 녹취 일시정지 제어신호, 녹취 취소 제어신호, 저장 구분자 제거 제어신호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수신단말(120)에는 녹취관련 제어신호를 임의로 발생시키기 위한 소정의 선택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수신단말(120)이 전화 단말기 형태를 가지는 경우라면, 사용자는 필요한 시점에 원하는 제어신호와 매치되어 있는 전화 단말기의 특정 디지트 버튼(전화번호 입력 버튼)을 눌러 해당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 으며, 이때의 디지트 버튼이 상기 선택수단이 된다.
또한, 수신단말(120)이 모니터및 헤드셋을 동반한 PC 단말기 형태를 가지는 경우라면, 제어신호 발생을 위한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모니터에 녹취와 관련한 각종 기능들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에 대한 메뉴를 선택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때의 응용 프로그램이 상기 소정의 선택수단이 된다.
한편, 수신단말(120)은 위와 같이 수신자의 임의 선택에 의해 녹취관련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방식 외에도, 통화가 연결됨과 동시에 녹취 개시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발생시키고 통화가 종료됨과 동시에 녹취 종료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발생시키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신호발생모듈은 특히 이러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한편, 수신단말(120)에는 자동응답에 의하여 소정의 자동응답멘트를 순차적으로 송신하는 자동응답모듈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어신호발생모듈은 자동응답모듈에 의해 특정 자동응답멘트가 송신되면 그에 대응하는 저장 구분자를 자동으로 발생시키게 된다.
마지막으로, 녹취 장치(130)는 수신단말(150)로부터 녹취관련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그 제어신호의 종류에 따라 입력되는 미디어데이터를 전체 녹취하거나, 특정 구간만을 선별 녹취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부 구성 및 각 구성요소의 역할에 대하여는 아래의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녹취 장치는 크게 패킷처리부(210), 녹취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패킷처리부(210)는 VoIP 망을 통해 입력되는 미디어데이터 패킷, 각종 제어신호 패킷 및 저장 구분자 패킷을 캡쳐하여 소정의 헤더를 분리한 후에 필요한 데이터 부분을 녹취부로 전달한다. 미디어데이터 패킷은 발신단말로부터 전송된 것일 수도 있고 수신단말로부터 전송된 것일 수도 있다.
저장 구분자 패킷은 당해 패킷이 저장 구분자를 포함하는 것임을 알리는 식별자와 기타 녹취 관련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해보면 다음과 같다.
패킷의 맨 처음에는 패킷의 시작을 알리는 헤더(301)가 구비되고, 맨 마지막에는 패킷의 끝을 알리는 테일(305)이 구비되어 있다. 헤더(301)에 이어 당해 패킷이 저장 구분자임을 알리는 소정의 식별자(302)가 구비된다. 이러한 식별자(302)는 디지털화된 소정의 DTMF 신호 코드를 이용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임의로 정의한 코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녹취 장치에 의해 녹취된 특정 구간의 통화 내역 미디어데이터는 그 포함된 내용의 종류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의 특정 필드에 저장될 수 있는 바, 당해 미디어데이터가 녹취 데이터베이스의 어떤 테이블에 저장될 것인가를 알려주기 위해 식별자(302)에 이어 데이터베이스 테이블(30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해당 테이블의 어떤 필드에 저장할 것인가를 알려주기 위해 데이터베이 스 필드(304)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정보들 외에도 당해 저장 구분자가 수신된 이후에 녹취되는 미디어데이터에 용이한 소정의 정보들이 상기 저장 구분자 패킷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다음으로, 녹취부(220)에는 패킷처리부(210)로부터 녹취 개시 제어신호 및 저장 구분자를 전달받으면 녹취 종료 제어신호가 있을 때까지 그 이후에 전달되는 미디어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병합하여 저장하며, 새로운 저장 구분자가 전달되면 진행중인 녹취를 중단하고 그 이후에 전달되는 미디어데이터를 다시 병합하여 저장하는 선별녹취모듈(2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녹취부(220)에는, 패킷처리부(210)로부터 녹취 개시 제어신호가 전달되면 저장 구분자의 유무에 관계없이 녹취 종료 제어신호가 있기까지 그 이후에 전달되는 미디어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병합하여 저장하는 전체녹취모듈(22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원칙적으로 저장 구분자가 도착할 때마다 새로운 저장 구분자가 도착하기 전까지 통화 내역을 분리(또는 선별)하여 저장하고, 이와는 별도로 녹취 개시 제어신호가 있은 후부터 녹취 종료 제어신호가 있을 때까지 모든 통화 내역을 일괄하여 하나의 파일로 저장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선별 녹취 및 전체 녹취는 발신자측 통화 내역과 수신자측 통화 내역을 각기 분리하여 녹취하는 것을 예정하는 것이나, 이를 구분하지 않고 녹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저장 구분자 패킷에는 발신자측 또는 수신자측 미디어데이터임을 알리는 소정의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녹취부(220)에는 패킷처리부(210)로부터 전달받은 미디어데이터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변환하여 임시저장하는 PCM 변환모듈(223)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선별녹취모듈(221)은 상기 임시저장된 PCM 변환 미디어데이터를 병합 저장하여 녹취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녹취부(220)에 전체녹취모듈(222)이 구비된 경우라면 전체녹취모듈(222)이 상기 임시저장된 PCM 변환 미디어데이터를 병합 저장하여 녹취를 수행하고, 선별녹취모듈(221)은 상기 임시저장된 PCM 변환 미디어데이터의 복사본을 병합 저장하여 녹취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녹취부(220)에는 새로운 저장 구분자 또는 녹취 종료 제어신호가 전달된 경우, 상기 녹취된 PCM 변환 미디어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특정 코덱으로 변환하는 사용자코덱 변환모듈(22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VoIP 망을 통해 녹취 장치에 입력되는 미디어데이터에 적용된 코덱은 그 종류가 다양하므로 위와 같은 사용자코덱 변환모듈(224)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코덱으로 변환함으로써 녹취 데이터베이스에는 일률적으로 동일한 코덱이 적용된 미디어데이터만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PCM 변환모듈(223)은 변환 전의 미디어데이터를 사용자 코덱으로 변환하기 위한 중간 단계의 변환을 담당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녹취되는 미디어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인 경우 사용자코덱 변환모듈(224)은 G.711, G.723, G.728, G.729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의 표준을 지원한다. VoIP의 H.323 표준은 5.3~64kbit/s 범위의 오디오 코덱을 규정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PCM 방식인 G.711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G.711은 전화망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된 코덱으로 가입자쪽 대역폭이 이보다 작은 인터넷에서의 통 신에는 상대적으로 부적합하므로 5.3kbit/s와 6.3kbit/s에서 양질의 음질을 제공하는 G.723.1 또는, 각각 16kbit/s와 8kbit/s에서 높은 음질을 제공하는 G.728과 G.729 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녹취되는 미디어데이터가 비디오 데이터인 경우 H.323 표준에서는 비디오를 선택적으로 지원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코덱 변환모듈(224)는 이를 위해 H.261/QCIF 또는 H.263 코덱을 특히 구비한다.
마지막으로, 저장부(230)는 녹취된 미디어데이터가 저장될 공간을 제공하며, 로컬 디스크가 될 수도 있고 별도의 저장 서버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230)는 녹취된 미디어데이터를 종류별로 각 필드에 구분 저장하기 위한 녹취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녹취 데이터베이스는 발신측 통화 내역과 수신측 통화 내역을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둘 이상의 테이블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각 테이블에는 선별되어 녹취된 각 통화 내역의 특징(또는 내용)에 따라 하나 이상의 필드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선별적 녹취 장치 중 특히 선별녹취모듈의 수행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기로 한다.
교환기를 통해 발신단말과 수신단말 간에 통화가 연결되면(S401), 녹취 장치는 수신단말로부터 녹취관련 제어신호가 발송되기를 기다리며 대기하고 있다.
사용자가 수신단말에 구비된 소정의 선택수단 즉, 전화번호 버튼이나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여 녹취 개시를 지시하거나,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으 로 녹취 개시가 지시되면, 수신단말은 그에 해당하는 녹취 개시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녹취 장치로 송신한다. 또한, 동일한 방법에 의해 구분 저장자가 생성되어 송신된다.
녹취 장치에 상기 녹취 개시 제어신호가 수신되고(S403) 이어서 구분 저장자가 수신되면(S405), 그 이후에 수신되는 미디어데이터에 대하여 녹취가 개시된다. 즉, 녹취 장치에 미디어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S407), 패킷의 헤더가 제거되어 녹취부로 전송되고 이어서 PCM 변환을 거쳐 임시저장된다(S409). 이때, 당해 미디어데이터가 구분 저장자가 있은 후에 처음 수신된 것이라면 그대로 저장하고, 당해 미디어데이터보다 먼저 수신되어 저장된 미디어데이터가 존재하면 그에 병합하여 저장한다(S411). 이러한 S407 단계 내지 S411 단계는 새로운 구분 저장자가 수신되기 전까지 반복된다.
이제, 녹취 장치에 새로운 구분 저장자가 수신되면(S421), 그 이전까지 병합되어 임시저장되었던 PCM 변환 미디어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특정 코덱으로 변환한 후(S423), 녹취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필드에 최종 저장하고(S425), 다시 새로운 구분 저장자가 수신될 때까지 S407 단계 내지 S411 단계를 반복한다. 여기서, 코덱 변환된 미디어데이터가 최종 저장될 녹취 데이터베이스의 필드는 상기 미디어데이터의 녹취를 개시토록 한 구분 저장자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관련 정보(데이터베이스 테이블 및 데이터베이스 필드)를 참조하여 결정된다.
한편, 녹취 장치에 녹취 종료 제어신호가 수신되면(S413), 그 이전까지 병합되어 임시저장되었던 PCM 변환 미디어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특정 코덱으로 변환한 후(S415), 녹취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필드에 최종 저장한다(S417). 만약, 그 이후에 통화가 종료된다면(S419) 그대로 녹취를 종료하게 되고, 통화가 종료되지 않은 채 새로운 녹취 개시 제어신호가 수신된다면 S405 단계부터 다시 반복되어 수행된다.
이제까지는 본 발명에 따라 특정 통화 구간을 선별적으로 녹취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에 의한 녹취 장치는 선별적 녹취와 동시에 통화 내역의 전체를 녹취를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는 바, 하기에는 특히 전체녹취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녹취 장치 중 전체녹취모듈의 수행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교환기를 통해 발신단말과 수신단말 간에 통화가 연결되면(S501), 녹취 장치는 수신단말로부터 녹취관련 제어신호가 발송되기를 기다리며 대기하고 있다.
사용자가 수신단말에 구비된 소정의 선택수단 즉, 전화번호 버튼이나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여 녹취 개시를 지시하거나,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으로 녹취 개시가 지시되면, 수신단말은 그에 해당하는 녹취 개시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녹취 장치로 송신한다.
녹취 장치에 상기 녹취 개시 제어신호가 수신되면(S503), 그 이후에 수신되는 미디어데이터에 대하여 녹취가 개시된다. 즉, 녹취 장치에 미디어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S505), 패킷의 헤더가 제거되어 녹취부로 전송되고 이어서 PCM 변환을 거쳐 임시저장된다(S507). 이때, 당해 미디어데이터가 구분 저장자가 있은 후에 처음 수신된 것이라면 그대로 저장하고, 당해 미디어데이터보다 먼저 수신되어 저장된 미디어데이터가 존재하면 그에 병합하여 저장한다(S509). 이러한 S505 단계 내지 S509 단계는 구분 저장자가 수신되는 것과는 상관없이 일관되게 수행된다.
이제, 녹취 장치에 녹취 종료 제어신호가 수신되면(S511), 그 이전까지 병합되어 임시저장되었던 PCM 변환 미디어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특정 코덱으로 변환한 후(S513), 최종 저장한다(S515). 이때, 코덱 변환된 전체 녹취 미디어데이터는 로컬 디스크에 디폴트 파일로 저장될 수도 있고, 이를 위해 특별히 마련된 녹취 데이터베이스의 특정 필드에 저장될 수도 있다. 만약, 그 이후에 통화가 종료된다면 (S517) 그대로 녹취를 종료하게 되고, 통화가 종료되지 않은 채 새로운 녹취 개시 제어신호가 수신된다면 S505 단계부터 다시 반복되어 수행된다.
이제, 본 발명에 의한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방법이 보험 상담에 응용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아래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참고로,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7은 저장 구분자가 미리 설정된 자동응답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되어 발송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단계별 흐름도이다.
고객(600)은 보험 회사의 콜센터에 전화를 걸어 보험회사의 상담원(651~653 중 하나)과 보험 관련 상담을 하게 되는데, 고객의 발신단말이 E1 또는 T1 급의 전용망, ISDN 망 또는 PSTN 망(723)을 통해 교환국(도면에 미도시)에 콜센터의 대표 전화번호로 접속하면, 교환국은 발신단말의 호 연결신호를 VoIP 망의 신호로 스위칭하여 보험회사의 IP용 사설 사설교환기(IP PBX)(610)로 전송하고, 보험회사의 IP PBX(610)는 이를 특정 상담원의 수신단말(651~653 중의 하나)에 분배하여 통화를 연결시킨다.
특정 수신단말에 통화가 연결되면, IVR(Interactive Voice Response) 서버(630)는 미리 준비된 자동응답 멘트를 송출하여 고객의 기본 정보를 묻는다(S701). 즉, 고객은 전화가 연결되는 즉시 "원하시는 서비스 번호를 눌러주십시오. 보험 상품 안내는 1번, 보험 가입 안내는 2번, 기 가입한 보험에 대한 문의는 3번....", "다음으로, 고객님의 주민등록번호 14자리를 누른 후 #를 눌러주십시오" 등의 멘트를 듣게 되며, 그에 따라 전화기의 디지트 버튼을 눌러 소정의 정보를 입력한다. 만약, 고객이 컴퓨터 단말을 이용하여 전용망을 통해 접속한 경우라면 IVR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소정의 ARS 메뉴 인터페이스를 접하게 될 것이며,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해당 메뉴에 소정의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과정을 대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고객의 기본 정보가 모두 입력되면, CTI 서버(620)는 소정의 고객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고객에 관한 각종 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수신단말로 전송하여 상담원이 해당 고객에 대하여 미리 파악하고 상담에 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특히 당해 보험회사에 거래 전적을 가지고 있는 고객에게 유용한 것으로서 상담의 질을 향상시켜 마케팅에 일조할 수 있도록 한다.
고객 파악이 완료되면 상담원은 보험 상담을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를 설명한 후 고객이 보험 가입을 결정하면 보험 가입을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 즉, 가입자 명(질문 1), 주민등록번호(질문 2), 주소(질문 3), 보험 가입 동의 여부(질문 4) 등의 정보를 순차적으로 묻는다. 물론 이러한 질문을 하기 이전에 상담요원은 상담단말에 구비된 특정 키 또는 모니터의 특정 메뉴를 선택하여 녹취 장치(640)에 녹취 개시를 지시하고, 상기 각각의 질문 후에는 곧바로 상담단말에 구비된 특정 키 또는 모니터의 특정 메뉴를 선택하여 각 질문에 따른 저장 구분자를 녹취 장치(640)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질문들에 대한 각각의 응답(응답 1 내지 응답 4)이 녹취되도록 한다. 이때, 위와 같이 상담원이 손수 질문 및 녹취 개시, 저장 구분자 를 녹취 장치(640)로 발송할 수도 있으나, IVR 서버(630)을 통해 자동으로 미리 준비된 멘트를 송출하는 경우라면 그 멘트가 송출될 때마다 그에 해당하는 저장 구분자 역시 자동으로 녹취 장치(640)로 발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각 저장 구분자에 의해 선별적으로 녹취된 고객의 응답 내역은 그 종류별로 녹취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필드에 각각 저장된다.
이러한 녹취 메카니즘은 당해 녹취 시스템과 라우터(600)를 통해 연결된 다른 상담센터의 상담원의 수신단말(671~672)을 통해서도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차후 가입된 고객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보험 내용, 건강상태, 동의 의사 여부 등을 확인함에 있어, 상기 녹취 정보는 기존의 가입 문서를 대신할 수 있으며, 고객이 가입 내용을 확인하는 경우, 보험 관련 분쟁이 발생한 경우 또는 보험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에 필요한 부분을 녹취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신속하게 검색하여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은행, 증권사, 쇼핑몰 등의 콜센터 또는 상담센터에 유용하게 응용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발신자와 수신자 간의 통화 내역 중에서 원하는 특정 구간만을 실시간으로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으므로, 단순한 통화 내역의 기록에서 더 나아가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써 차후에 용이한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PCM 변환모듈 및 사용자코덱 변환모듈을 통해 수신자 또는 발신자의 통화 내역 미디어데이터가 어떠한 코덱으로 구성되었는지에 상관없이 미리 지정된 특정 코덱으로 일률적인 데이터베이스화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52)

  1.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망에 연결되어 있으면서 통화 내역을 기록하는 녹취 장치에 있어서,
    미디어데이터 패킷, 각종 제어신호 패킷 및 저장 구분자 패킷을 캡쳐하여 녹취부로 전달하는 패킷처리부;
    상기 패킷처리부로부터 녹취 개시 제어신호 및 저장 구분자가 전달되면 녹취 종료 제어신호가 있을 때까지 그 이후에 전달되는 미디어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병합하여 저장하며, 새로운 저장 구분자가 전달되면 진행중인 녹취를 중단하고 그 이후에 전달되는 미디어데이터를 다시 병합하여 저장하는 선별녹취모듈을 포함하는 녹취부; 및
    상기 녹취된 미디어데이터가 저장될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녹취부는,
    상기 패킷처리부로부터 녹취 개시 제어신호가 전달되면 녹취 종료 제어신호가 있기까지 그 이후에 전달되는 미디어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병합하여 저장하는 전체녹취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선별녹취모듈은, 상기 패킷처리부로부터 저장 구분자가 전달되면 새로 운 저장 구분자가 있기까지 그 이후에 전달되는 미디어데이터를 따로 복사하여 그 복사본을 병합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녹취부는, 상기 패킷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미디어데이터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변환하여 임시저장하는 PCM 변환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선별녹취모듈은, 상기 임시저장된 PCM 변환 미디어데이터를 병합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녹취부는, 상기 패킷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미디어데이터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변환하여 임시저장하는 PCM 변환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체녹취모듈은 상기 임시저장된 PCM 변환 미디어데이터를 병합 저장하고, 상기 선별녹취모듈은 상기 임시저장된 PCM 변환 미디어데이터의 복사본을 병합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녹취부는,
    새로운 저장 구분자 또는 녹취 종료 제어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병합하여 저장된 PCM 변환 미디어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특정 코덱으로 변환하는 사용자코덱 변 환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녹취된 미디어데이터를 종류별로 각 필드에 구분 저장하기 위한 녹취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구분자 패킷은,
    당해 패킷이 저장 구분자 패킷임을 나타내는 식별자, 이후 녹취될 미디어데이터가 저장될 녹취 데이터베이스의 필드명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디지털화된 소정의 DTMF 신호 코드를 이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임의로 정의된 코드를 이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녹취모듈은, 발신자측의 미디어데이터와 수신자측의 미디어데이터를 구분하여 별도로 녹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녹취모듈 및 전체녹취모듈은, 발신자측의 미디어데이터와 수신자측의 미디어데이터를 구분하여 별도로 녹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녹취된 미디어데이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추출한 후 이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음성인식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장치.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장치.
  15. 외부의 발신단말과 수신단말 간에 통화를 연결하는 사설교환기;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아 미디어데이터로 변환하는 입력수단과, 전송받은 미디어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출력수단과, 녹취관련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신호발생모듈과, 미디어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전송받고 녹취관련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수신단말; 및
    상기 제 1 항의 녹취 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설교환기, 수신단말 및 녹취 장치는 VoIP 망(Voice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시스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말은,
    녹취 개시 제어신호 및 녹취 종료 제어신호를 임의로 발생시키기 위한 소정의 선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시 스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말의 제어신호발생모듈은,
    발신단말과 통화가 연결됨과 동시에 녹취 개시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발생시키고, 통화가 종료됨과 동시에 녹취 종료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시스템.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 중 일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말은, 저장 구분자 신호를 임의로 발생시키기 위한 소정의 선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시스템.
  20. 제 17 항 또는 제 18 항 중 일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말은, 자동응답에 의하여 소정의 자동응답멘트를 순차적으로 송신하는 자동응답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단말의 제어신호발생모듈은, 상기 자동응답모듈에 의해 특정 자동응답멘트가 송신되면 그에 대응하는 저장 구분자를 자동으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시스템.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녹취 장치의 녹취부는, 상기 패킷처리부로부터 녹취 개시 제어신호가 전달되면 녹취 종료 제어신호가 있기까지 그 이후에 전달되는 미디어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병합하여 저장하는 전체녹취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녹취 장치의 선별녹취모듈은, 상기 패킷처리부로부터 저장 구분자가 전달되면 새로운 저장 구분자가 있기까지 그 이후에 전달되는 미디어데이터를 따로 복사하여 그 복사본을 병합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시스템.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녹취 장치의 녹취부는, 상기 패킷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미디어데이터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변환하여 임시저장하는 PCM 변환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녹취 장치의 선별녹취모듈은, 상기 임시저장된 PCM 변환 미디어데이터를 병합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시스템.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녹취 장치의 녹취부는, 상기 패킷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미디어데이터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변환하여 임시저장하는 PCM 변환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녹취 장치의 전체녹취모듈은 상기 임시저장된 PCM 변환 미디어데이터를 병합 저장하고, 상기 녹취 장치의 선별녹취모듈은 상기 임시저장된 PCM 변환 미디 어데이터의 복사본을 병합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시스템.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녹취 장치의 녹취부는,
    새로운 저장 구분자 또는 녹취 종료 제어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병합하여 저장된 PCM 변환 미디어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특정 코덱으로 변환하는 사용자코덱 변환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시스템.
  25. 제 15 항 또는 제 21 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녹취 장치의 저장부는,
    녹취된 미디어데이터를 종류별로 각 필드에 구분 저장하기 위한 녹취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시스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구분자 패킷은,
    당해 패킷이 저장 구분자 패킷임을 나타내는 식별자, 이후 녹취될 미디어데이터가 저장될 녹취 데이터베이스의 필드명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시스템.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디지털화된 소정의 DTMF 신호 코드를 이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시스템.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임의로 정의된 코드를 이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시스템.
  2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녹취 장치의 선별녹취모듈은, 발신자측의 미디어데이터와 수신자측의 미디어데이터를 구분하여 별도로 녹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시스템.
  30.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녹취 장치의 선별녹취모듈 및 전체녹취모듈은, 발신자측의 미디어데이터와 수신자측의 미디어데이터를 구분하여 별도로 녹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시스템.
  31. 제 15 항 또는 제 21 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녹취 장치는,
    녹취된 미디어데이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추출한 후 이를 텍스트로 변환하 여 저장하는 음성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시스템.
  32. 제 15 항 또는 제 21 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시스템.
  33. 제 15 항 또는 제 21 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시스템.
  34. 사설교환기, 수신단말 및 녹취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미디어데이터 녹취 시스템에서 녹취 장치가 미디어데이터를 녹취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단말로부터 녹취 개시 제어신호 및 저장 구분자가 수신되면 그 이후에 수신되는 미디어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병합하여 저장하는 제 1 단계;
    수신단말로부터 새로운 저장 구분자가 수신되면 상기 제 1 단계의 녹취를 중단하고 그 이후에 수신되는 미디어데이터를 다시 병합하여 저장하는 제 2 단계; 및
    수신단말로부터 녹취 종료 제어신호가 수신되기 전까지 제 2 단계를 반복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수신단말로부터 녹취 개시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녹취 종료 제어신호가 있기까지 그 이후에 수신되는 미디어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병합하여 저장하는 전체녹취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는, 수신단말로부터 저장 구분자가 수신되면 새로운 저장 구분자가 수신되기까지 그 이후에 수신되는 미디어데이터를 따로 복사하여 그 복사본을 병합 저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방법.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수신단말로부터 녹취 개시 제어신호 및 저장 구분자가 수신되면 그 이후에 수신된 미디어데이터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변환하여 임시저장하는 제 1-1 단계 및 상기 임시저장된 PCM 변환 미디어데이터를 병합하여 저장하는 제 1-2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단계는,
    수신단말로부터 새로운 저장 구분자가 전달되면 상기 제 1 단계의 녹취를 중단하고 그 이후에 수신된 미디어데이터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변환하여 임 시저장하는 제 2-1 단계 및 상기 임시저장된 PCM 변환 미디어데이터를 병합하여 저장하는 제 2-2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방법.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녹취단계는,
    수신단말로부터 녹취 개시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그 이후에 수신된 미디어데이터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변환하여 임시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저장된 PCM 변환 미디어데이터를 병합하여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의 병합 저장은, 상기 임시저장된 PCM 변환 미디어데이터를 복사하여 병합 저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방법.
  38. 제 36 항 또는 제 37 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수신단말로부터 새로운 저장 구분자 또는 녹취 종료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병합하여 저장된 PCM 변환 미디어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특정 코덱으로 변환하는 사용자코덱 변환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방법.
  39. 제 34 항 또는 제 35 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 내지 제 3 단계의 미디어데이터 저장은,
    녹취된 미디어데이터를 녹취 데이터베이스의 각 필드에 종류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구분자는,
    저장 구분자임을 나타내는 식별자, 이후 녹취될 미디어데이터가 저장될 녹취 데이터베이스의 필드명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방법.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디지털화된 소정의 DTMF 신호 코드를 이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방법.
  42.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임의로 정의된 코드를 이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방법.
  43.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 내지 제 3 단계의 녹취는,
    발신자측의 미디어데이터와 수신자측의 미디어데이터를 구분하여 별도로 녹 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방법.
  44.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녹취단계, 제 1 단계 내지 제 3 단계의 녹취는,
    발신자측의 미디어데이터와 수신자측의 미디어데이터를 구분하여 별도로 녹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방법.
  45. 제 34 항 또는 제 35 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녹취된 미디어데이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추출한 후 이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음성인식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방법.
  46. 제 34 항 또는 제 35 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방법.
  47. 제 34 항 또는 제 35 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방법.
  48. 사설교환기, 수신단말 및 녹취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미디어데이터 녹취 시스템에서 수신단말이 미디어데이터의 녹취를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와 통화가 연결되면 녹취 장치에 녹취 개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 1 단계;
    녹취 장치에 저장 구분자를 송신하는 제 2 단계; 및
    녹취 장치에 녹취 종료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방법.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녹취 개시 제어신호 및 녹취 종료 제어신호는,
    수신단말에 구비된 소정의 선택수단이 선택됨으로써 송신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방법.
  50.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녹취 개시 제어신호는, 발신단말과 호가 연결되는 경우 이와 동시에 자동으로 송신되는 것이고,
    상기 녹취 종료 제어신호는, 발신단말과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 이와 동시에 자동으로 송신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방법.
  51. 제 49 항 또는 제 50 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구분자는, 수신단말에 구비된 소정의 선택수단이 선택됨으로써 송신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방법.
  52.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말은 자동응답시스템이며,
    상기 제 2 단계는,
    미리 정해진 자동응답멘트를 교환기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제 2-1 단계와,
    해당 자동응답멘트에 대응되는 저장 구분자를 녹취 장치에 송신하는 제 2-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방법.
KR1020040115204A 2004-12-29 2004-12-29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758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204A KR20060075839A (ko) 2004-12-29 2004-12-29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장치,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5204A KR20060075839A (ko) 2004-12-29 2004-12-29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장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839A true KR20060075839A (ko) 2006-07-04

Family

ID=37168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5204A KR20060075839A (ko) 2004-12-29 2004-12-29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58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583B1 (ko) * 2006-12-07 200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화 통화 내용을 자동으로 메모하는 방법 및 장치, 통화목록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0913818B1 (ko) * 2007-11-06 2009-08-26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Ip 전화 시스템에 구비된 녹취장치 및 그 녹취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583B1 (ko) * 2006-12-07 200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화 통화 내용을 자동으로 메모하는 방법 및 장치, 통화목록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0913818B1 (ko) * 2007-11-06 2009-08-26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Ip 전화 시스템에 구비된 녹취장치 및 그 녹취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65187B (zh) 用于在源电话和目标电话之间提供呼叫应答服务的方法和系统
US6668044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telephonic communications
US6661879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telephonic communications
CN102082884B (zh) 一种基于3g的音视频协作方法及系统
US6678359B1 (en) Called party identification in packet switched networks
JP2000504183A (ja) リアルタイム電話対電話間音声通信用複合ネットワーク
CN1202074A (zh) 综合公共交换电话网、分组交换网和呼叫应答系统的电话系统
CN1295752A (zh) 有回叫能力的电话系统和用于将消息的接收方与主叫用户连接起来的方法
CN112887194B (zh) 实现听障人士通话的交互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0403261C (zh) 纯软件的交互式语音应答/语音信箱设备的实现方法
CN101202795B (zh) 一种进行音频内容用户录音的方法和系统
CN102196101B (zh) 回拨分机号码的方法、查找分机号码的方法、设备及系统
CN101848283A (zh) 呼叫拒接转移的方法、装置及系统和终端
US20090016497A1 (en) Network edge telephony device with audio message insertion
US8108007B1 (en) Displaying directory information on a handset without simultaneous data and voice
KR20060075839A (ko) 특정 통화 구간의 선별적 녹취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0729580B1 (ko) IVR 기능을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전화 가입자에게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화서비스망 및 그 부가 서비스 방법
WO20030966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telephonic communications
CN1190941C (zh) 一种融合包交换方式和电路交换方式的呼叫中心
CN101420488B (zh) 处理终端间通信请求的方法、服务器
JP7414215B1 (ja) 電話番号の調査装置、調査方法、調査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KR100545081B1 (ko) 인터넷 폰 서비스를 위한 원격 구내 교환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집단고객 통화 서비스 방법
JP4030017B2 (ja) Ip音声応答方法及び装置
KR20060068876A (ko) 인덱스를 포함하는 통화 내역 녹취장치, 방법 및 시스템
CN117956111A (zh) 一种基于5g视频通话的音视频分流触达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