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5113A -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5113A
KR20060075113A KR1020040113676A KR20040113676A KR20060075113A KR 20060075113 A KR20060075113 A KR 20060075113A KR 1020040113676 A KR1020040113676 A KR 1020040113676A KR 20040113676 A KR20040113676 A KR 20040113676A KR 20060075113 A KR20060075113 A KR 20060075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image sensor
camera module
lens system
optical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3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6647B1 (ko
Inventor
문준호
정호섭
최윤석
경천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3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6647B1/ko
Publication of KR20060075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5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hre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4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1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hree components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상기 렌즈에 의한 결상면에 대응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로 입사되는 빛을 필터링하거나 상기 이미지 센서를 보호하는 광학적 필터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광경로를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물질로만 구성함으로써 우수한 광학적 성능을 구현하면서도 렌즈의 구성매수가 작은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은 빛이 입사되는 첫번째 렌즈의 물체측 굴절면으로부터 상기 광학적 필터까지의 광경로 전체가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물질로만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해상도, 큰 화각의 구현 등 광학적 성능이 우수하며, 동일 광학성능 대비 컴팩트한 소형의 렌즈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매개물질, 굴절률, 광경로, MTF, 유체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Lens System For Camera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의 단면도로서,
(a)는 물체가 무한대의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고,
(b)는 물체가 10㎝ 거리에 있을 때 자동 초점조절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a)에 도시된 렌즈 시스템의 MTF 곡선이다.
도 3은 도 1(b)에 도시된 렌즈 시스템의 MTF 곡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의 단면도로서,
(a)는 물체가 무한대의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고,
(b)는 물체가 10㎝ 거리에 있을 때 자동 초점조절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b)에 도시된 렌즈 시스템의 MTF 곡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의 단면도로서,
(a)는 물체가 무한대의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고,
(b)는 물체가 10㎝ 거리에 있을 때 자동 초점조절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a)에 도시된 렌즈 시스템의 MTF 곡선이다.
도 8은 도 6(b)에 도시된 렌즈 시스템의 MTF 곡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렌즈 시스템의 MTF 곡선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에 도시된 렌즈 시스템의 MTF 곡선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도 13에 도시된 렌즈 시스템의 MTF 곡선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도 15에 도시된 렌즈 시스템의 MTF 곡선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L1...제1 렌즈 L2...제2 렌즈
L3...제3 렌즈 M1...제1 매개물질부
M2...제2 매개물질부 M3...제3 매개물질부
S...스페이서 H...하우징
OF...광학적 필터 IS...이미지 센서
E...신축부 110...주입구
120...요홈 121...체적변화 수용부
130...유로
본 발명은 고해상도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는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경로 전체를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물질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우수한 광학적 성능을 구현하면서도 렌즈의 구성매수가 작은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미지 픽업 시스템(Image Pickup System)과 관련하여 통신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디지탈 스틸 카메라(DSC, Digital Still Camera), 캠코더, PC 카메라(퍼스널 컴퓨터에 부속된 촬상장치) 등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이미지 픽업 시스템과 관련된 카메라 모듈이 상(image)을 얻기 위해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는 상(image)을 결상하는 렌즈 시스템이다.
전술한 이미지 픽업 시스템은 해상도, 화상의 품질 등에서 고성능을 요구하기 때문에 렌즈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있으나, 이와 같이 구성적으로/광학적으로 복 잡해지는 경우에는 그 크기가 증가하여 소형화/박형화에 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소형 카메라 모듈의 경우에는 모듈 내의 제한된 공간내에 구비될 수 있는 렌즈의 매수에 한계가 있으므로 적은 매수의 렌즈로는 충분한 광학적 성능을 구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특정 굴절력을 갖는 렌즈들을 배치하고 렌즈 사이의 공간은 공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면에는 평면 센서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얻는다.
이러한 종래의 렌즈 시스템의 경우에는 입사된 광선이 렌즈를 통과하여 렌즈 사이에 비어있는 공간(공기로 채워진 공간)에 입사되거나 이 광선이 다시 공기에서 렌즈로 재입사될 때 광선이 큰 각도로 굴절됨으로 인해 수차가 크게 증가할 뿐 아니라 반사율이 커지게 되어, 렌즈 시스템의 광학적 성능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평면 촬상소자를 사용하는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은 촬영할 수 있는 화각이 60°내외로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경로 상의 굴절률의 차이를 줄임으로써 큰 화각과 고해상도를 얻을 수 있고 컴팩트하며 광학적 성능이 우수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 초점조절이나 줌 기능의 수행이 가능하여 다양한 카메 라 모듈에 적용 가능한 렌즈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상기 렌즈에 의한 결상면에 대응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로 입사되는 빛을 필터링하거나 상기 이미지 센서를 보호하는 광학적 필터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빛이 입사되는 첫번째 렌즈의 물체측 굴절면으로부터 상기 광학적 필터까지의 광경로 전체가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물질로만 이루어진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와 렌즈 사이의 공간 및 상기 렌즈와 광학적 필터 사이의 공간은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매개물질로 채워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개물질은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유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빛이 입사되는 첫번째 렌즈의 물체측 굴절면으로부터 상기 광학적 필터까지의 광경로 전체가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접합렌즈와 광학적 필터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상면 및 상기 결상면에 대응하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광경로상 상기 첫번째 렌즈 이후에 개구 조리개(aperture stop)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으로서의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상기 렌즈에 의한 결상면에 대응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로 입사되는 빛을 필터링하거나 상기 이미지 센서를 보호하는 광학적 필터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빛이 입사되는 첫번째 렌즈의 물체측 굴절면으로부터 상기 광학적 필터까지의 광경로 전체가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물질로만 이루어지고, 자동 초점조절 또는 줌 기능의 수행을 위해 상기 렌즈 또는 상기 이미지 센서가 이송되는 공간은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유체 상태의 매개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유체를 밀폐수용하며 상기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가 이동함에 따라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광축방향으로 신장하거나 수축하는 신축부를 구비하며, 상기 신축부의 변형 및 신축에 의해 상기 유체가 상기 렌즈와 렌즈 사이 또는 상기 렌즈와 광학적 필터 사이에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 또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유체에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유체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에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2 이상의 렌즈 및 상기 렌즈에 의한 결상면에 대응하는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렌즈와 렌즈 사이의 공간은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유체 상태의 매개물질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온도 변화에 따른 상기 유체의 체적 변화를 흡수하여 상기 렌 즈와 렌즈 사이의 공간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유체의 체적 변화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형하는 체적변화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도 1(a)는 물체가 무한대의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고, 도 1(b)는 물체가 10㎝ 거리에 있을 때 자동 초점조절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의 각 실시예의 단면도에서, 렌즈의 두께, 크기, 형상은 설명을 위해 다소 과장되게 도시되었으며, 특히 단면도에서 제시된 구면 또는 비구면의 형상은 일 예로 제시되었을 뿐 이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렌즈(L1,L2,L3),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렌즈(L1,L2,L3)를 수용하는 하우징(H), 상기 렌즈(L1,L2,L3)에 의한 결상면(9)에 대응하는 이미지 센서(IS), 상기 이미지 센서(IS)로 입사되는 빛을 필터링(filtering)하거나 상기 이미지 센서(IS)를 보호하는 광학적 필터(OF), 상기 하우징(H)의 타단에 고정설치되며 그 일면에 상기 이미지 센서(IS)가 장착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IS)에서 감지된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 기판(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에서, 빛이 입사되는 첫번째 렌즈(L1)의 물체측 굴절면(1)으로부터 광학적 필터(OF)까지의 광경로 전체가 공기보 다 굴절률이 큰 물질로만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즉, 종래에는 렌즈와 렌즈 사이의 공간은 공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공기와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렌즈의 경계면에서 빛이 큰 각도로 굴절되어 수차가 커지고 반사가 증가하여 렌즈 시스템의 광학적 성능이 저하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이러한 렌즈 사이의 공간 또는 렌즈와 광학적 필터 사이의 공기 공간을 없앰으로써 광학적 성능이 우수한 렌즈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빛이 입사되는 첫번째 렌즈의 물체측 굴절면으로부터 광학적 필터까지의 광경로 전체가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물질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렌즈 사이의 공간 또는 렌즈와 광학적 필터 사이의 공간을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매개물질로 채우거나, 광경로 전체를 접합된 렌즈와 광학적 필터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있다.
이러한 매개물질로는 물이나 굴절률 조절 기름, 첨가제를 추가한 유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는 이와 같이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유체 상태의 매개물질이 사용된 경우이다.
한편, 매개물질로 열경화성 또는 광경화성 고분자 소재, 열가소성 고분자 소재, 투명도가 높은 플라스틱, 유리 또는 세라믹 소재 등과 같은 고상 소재 등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매개물질부는 후술하는 실시예 6 및 실시예 7에서와 같이 렌즈에 접합된 접합렌즈와 동일하게 기능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1 렌즈(L1)로부터 광학적 필터(OF)에 이르는 광경로는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접합렌즈와 광학적 필터(OF)로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광학적 필터(optical filter)(OF)는 적외선 필터, 이미지 센서(IS)를 보호하는 커버 글래스, 색 필터 등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광학적 특성에는 원칙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광학적 필터(OF)는 도 1에 도시된 제 3렌즈(L3)의 상측 굴절면(7) 등에 코팅을 하여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코팅면도 본 발명의 광학적 필터(OF)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또한, 상기 이미지 센서(IS)는 고체촬상소자(Charged Coupled Device; CCD), 보상금속반도체(Complementarly Metal Oxide Semiconduct; CMOS) 및 고분자 재료(polymer) 등으로 이루어지며, 렌즈가 형성하는 상을 수광하는 상면(감광면)(9)에 대응하여 광학적 필터(OF) 뒤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수치 실시예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이하의 각 실시예에서는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렌즈 시스템은 물체측 가장 가까이에 개구 조리개(aperture stop)(AS)를 구비하고, 이후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렌즈(L1), 제1 매개물질부(M1), 제2 렌즈(L2), 제2 매개물질부 (M2), 제3 렌즈(L3), 제3 매개물질부(M3), 광학적 필터(OF), 이미지 센서(IS)가 구비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IS) 후면에는 상기 제3 매개물질부(M3)와 연결되는 연결부(M3')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빛이 입사되는 제1 렌즈(L1)의 물체측 굴절면(1)으로부터 광학적 필터(OF)까지의 광경로 전체가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물질로만 이루어지며, 도 1에서와 같이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 사이, 제2 렌즈(L2)와 제3 렌즈(L3) 사이 및 제3 렌즈(L3)와 광학적 필터(OF) 사이의 공간을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매개물질로 채운다.
이러한 매개물질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열경화성 또는 광경화성 고분자 소재, 열가소성 고분자 소재, 투명도가 높은 플라스틱, 유리 또는 세라믹 소재 등과 같은 고상 소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매개물질부는 접합렌즈로 기능하게 되며, 제1 렌즈(L1)로부터 광학적 필터(OF)에 이르는 광경로가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접합렌즈와 광학적 필터(OF)로만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매개물질로 물이나 굴절률 조절 기름, 첨가제를 추가한 유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체 상태의 액상 물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 1에서와 같이 렌즈와 렌즈 사이 또는 렌즈와 광학적 필터(OF) 사이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렌즈의 외곽부에 원주방향으로 스페이서(S)를 설치한다. 즉, 매개물질부(M1,M2,M3)는 스페이서(S)와 렌즈/광학적 필터(OF)로 구획된 공간이 된다.
또한, 하우징(H)에 매개물질부(M1,M2,M3)와 연결되는 주입로(110)를 설치하 고, 상기 주입로(110)를 통하여 유체를 주입한 후에 상기 주입로(110)를 밀폐한다.
바람직하게는, 주입된 유체는 온도 변화에 의해 그 체적이 변화하므로, 도 1(a)의 확대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적변화 수용부(121)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체적변화 수용부(121)는 상기 주입로(110)를 밀폐함과 동시에 유체의 체적 변화를 흡수하도록 탄력적으로 변형하며, 댐퍼 필름(damper film)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유체의 체적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상기 체적변화 수용부(121)가 하방으로 변형하며, 유체의 체적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상기 체적변화 수용부(121)가 상방으로 변형되면서 유체의 체적변화를 흡수하게 되어 매개물질부 내의 유체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체적변화 수용부(121)를 수용하는 요홈(120)을 형성하여 상기 체적변화 수용부(121)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매개물질을 주입하는 경우에는 렌즈와 렌즈 사이의 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의 렌즈를 제작하는 경우보다 비용을 절감하고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해 자동 초점조절 기능이 구현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피사체가 10㎝ 거리에 있을 때 자동 초점조절을 통해 이미지 센서(IS)와 광학적 필터(OF)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자동 초점조절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자동 초점조절을 위해 이송되는 공간부, 즉 제3 매개물질부(M3)에는 매개물질로 유체가 사용되어야 하며, 추가적으로 공지의 작동부가 구비된다.
도 1(b)와 같이 이미지 센서(IS) 등이 이동되는 경우에는 제3 매개물질부(M3)에 있는 유체가 연결부(M3')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로(130)(130')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유로(130)(130')는 하우징(H)에 설치될 수도 있고, 이미지 센서(IS) 외곽부의 사용되지 않는 부분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유로(130)(13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센서(IS)가 물체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유체에 압력이 가해져 제3 매개물질부(M3)로부터 연결부(M3')로 유체가 이동하게 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IS)를 물체측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연결부(M3')로부터 제3 매개물질부(M3)로 유체가 이동하게 된다.
한편, 이미지 센서(IS)는 상기 유체와 접촉하지 않도록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미지 센서(IS)와 광학적 필터(OF)는 접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광학적 필터(OF)를 지나가는 광선의 각도가 작기 때문에 공기층을 투과하더라도 굴절률의 차이에 의한 광학적 성능의 차이가 크지 않다는 점에서 상기 광학적 필터(OF)와 이미지 센서(IS)는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b)는 자동 초점조절의 경우에 관한 것이지만, 줌 기능을 수행하는 렌즈 시스템에도 적용가능하다.
종래의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은 렌즈 사이의 공간은 공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입사된 광선이 렌즈를 통과하여 렌즈 사이에 비어있는 공간(공기로 채워진 공간)에 입사되거나 이 광선이 다시 공기에서 렌즈로 재입사될 때 광선이 큰 각도로 굴절됨으로 인해 수차가 크게 증가할 뿐 아니라 반사율이 커지게 되어, 렌즈 시스템의 광학적 성능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 및 이하의 실시예에 의한 렌즈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빈 공간을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렌즈 또는 매개물질로 채움으로서 각 계면 사이에서의 굴절률 차를 줄임으로써 빛이 큰 각도로 굴절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차를 줄이고 반사율을 낮추고 전반사를 방지하여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각각의 매개물질부(M1,M2,M3)의 굴절률에 차이를 둠으로써 광학적 성능이 더 개선된 렌즈 시스템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매개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매개물질의 분산특성이나 굴절률 등을 이용하여 광학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자유도를 더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적은 매수의 렌즈를 사용하더라도 종래에 비해 개선된 광학적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음의 표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치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각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비구면은 공지의 수학식 1로부터 얻어지며, 코닉(Conic) 상수(K) 및 비구면 계수(A,B,C,D)에 사용되는 'E 및 이에 이어지는 숫 자'는 10의 거듭제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E-05는 10-5을 나타낸다.
Figure 112004061927902-PAT00001
Z :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
Y :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거리
r : 렌즈의 정점에서의 곡률 반경
K : 코닉(Conic) 상수
A,B,C,D : 비구면 계수
제1 실시예에서 F 넘버는 2.8이고, 제1 렌즈의 물체측 굴절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overall length)(TL)는 7.0㎜이고, 렌즈의 전화각(全畵角)(2ω)은 60°이며, 상의 높이는 2.6㎜이다.
Figure 112004061927902-PAT00002
표 1에서 *는 비구면을 나타내며, 식 1에 의한 코닉 상수(K) 및 비구면 계수 (A,B,C,D)의 값은 다음의 표 2와 같다. 즉, 제2면(제1 렌즈의 물체측면), 제3면(제1 렌즈의 상측면), 제4면(제2 렌즈의 물체측면), 제5면(제2 렌즈의 상측면), 제6면(제3 렌즈의 물체측면) 및 제7면(제3 렌즈의 상측면)이 비구면이다.
도 1(b)와 같이 10㎝ 거리의 물체에 대한 자동 초점조절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7면과 제8면 사이의 간격이 1.0401㎜에서 1.0953㎜로 변경된다.
Figure 112004061927902-PAT00003
도 2(a) 및 도 2(b)는 도 1(a)에 도시된 렌즈 시스템의 MTF 곡선으로서, 40°까지의 전화각에서는 280 cycle/㎜(30% MTF) 이상, 40~60°의 전화각에서는 220 cycle/㎜(30% MTF) 이상의 우수한 분해능을 보여준다.
도 3은 도 1(b)에 도시된 렌즈 시스템의 MTF 곡선으로서, 60°까지의 전화각에서 210 cycle/㎜(30% MTF) 이상의 우수한 분해능을 보여준다.
여기서, MTF(Modulation Transfer Function)는 밀리미터당 사이클의 공간주파수에 의존하며, 광의 최대 강도(Max)와 최소 강도(Min) 사이에 다음의 수학식 2로 정의되는 값이다.
Figure 112004061927902-PAT00004
이하의 각 실시예에서는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도 4(a)는 물체가 무한대의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물체가 10㎝ 거리에 있을 때 자동 초점조절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예는 하우징(H)에 신축부(E)가 구비된 것과 자동 초점조절을 위하여 제3 렌즈(L3) 이후의 부분이 이동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러한 제2 실시예는 자동 초점조절을 위해 렌즈와 렌즈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경우로서, 렌즈와 렌즈 사이에 구비된 매개물질부(M2)의 광축상의 두께가 변화한다.
상기 신축부(E)는 상기 제2 매개물질부(M2) 내의 유체를 밀폐수용하며, 제3 렌즈(L3)가 이동함에 따라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광축방향으로 신장하거나 수축하게 된다.
상기 신축부(E)의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변형 및 광축 방향의 신축에 의 해 상기 제2 매개물질부(M2) 내의 유체가 제2 렌즈(L2)와 제3 렌즈(L3) 사이에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4(b)에 도시된 렌즈 시스템의 MTF 곡선이며, 도 4(a)에 대응하는 MTF 곡선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치예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수치예를 나타낸 표 1 및 표 2와 같다. 다만, 도 4(b)와 같이 10㎝ 거리의 물체에 대한 자동 초점조절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3 렌즈(L3)의 이동으로 인하여 제5면과 제6면 사이의 간격이 1.8000㎜에서 1.8912㎜로 변경된다.
[실시예 3]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도 6(a)는 물체가 무한대의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물체가 10㎝ 거리에 있을 때 자동 초점조절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렌즈 시스템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렌즈(L1), 제1 매개물질부(M1), 개구조리개(AS), 제2 렌즈(L2), 제2 매개물질부(M2), 제3 렌즈(L3), 제3 매개물질부(M3), 광학적 필터(OF), 이미지 센서(IS)가 구비된다.
제3 실시예의 경우에는 자동 초점조절 기능의 구현을 위하여 광학적 필터를 제1 광학적 필터(OF1)와 제2 광학적 필터(OF2)로 분리하고 상기 제1 광학적 필터(OF1)는 제3 매개물질부(M3)를 밀폐하는 데 사용하며, 제2 광학적 필터(OF2) 이후 또는 제1 광학적 필터(OF1) 이전의 부분이 자동 초점조절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 의한 렌즈 시스템은 곡면의 결상면(11)을 구비하며, 상기 결상면(11)에 대응하여 이미지 센서(IS)의 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이미지 센서(IS)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미지 센서(IS)의 면이 하나의 렌즈면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동일한 광학적 성능의 구현을 위한 렌즈의 매수가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콤팩트한 렌즈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매개물질과 렌즈의 광학적 특성의 조합과 곡면의 이미지 센서(IS) 사용 및 개구 조리개(AS)의 적절한 배치를 통하여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지닌 렌즈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의 표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수치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3 실시예에서 F 넘버는 2.8이고, 제1 렌즈의 물체측 굴절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overall length)(TL)는 7.0㎜이고, 렌즈의 전화각(全畵角)(2ω)은 60°이고, 상의 높이는 2.7㎜이며, 곡면상의 상의 길이는 2.8㎜이다.
Figure 112004061927902-PAT00005
표 3에서 *는 비구면을 나타내며, 식 1에 의한 코닉 상수(K) 및 비구면 계수(A,B,C,D)의 값은 다음의 표 4와 같다. 즉, 제1면(제1 렌즈의 물체측면), 제2면(제1 렌즈의 상측면), 제6면(제3 렌즈의 물체측면) 및 제7면(제3 렌즈의 상측면)이 비구면이다.
Figure 112004061927902-PAT00006
도 7은 도 6(a)에 도시된 렌즈 시스템의 MTF 곡선이며, 도 8은 도 6(b)에 도시된 렌즈 시스템의 MTF 곡선으로서, 60°까지의 전화각에 대해서 각각 290 cycle/ ㎜(30% MTF), 280 cycle/㎜(30% MTF) 이상의 우수한 분해능을 보여준다.
도 6(b)와 같이 10㎝ 거리의 물체에 대한 자동 초점조절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2 광학적 필터(OF2)의 이동으로 인하여 제9면과 제10면 사이의 간격이 0㎜에서 0.26㎜로 변경된다.
[실시예 4]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렌즈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렌즈 시스템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렌즈(L1), 제1 매개물질부(M1), 개구조리개(AS), 제2 렌즈(L2), 제2 매개물질부(M2), 광학적 필터(OF), 이미지 센서(IS)가 구비된다.
제4 실시예는 90°의 전화각을 구현할 수 있는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물체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제1 렌즈(L1)와 상기 제1 렌즈(L1) 이후에 설치된 개구 조리개(AS)를 통하여 일반적인 초소형 렌즈 시스템에서는 구현하기 힘든 90°의 전화각을 구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넓은 화각은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매개물질부(M1)를 통하여 구현되는 것으로서, 제1 렌즈(L1)와 제1 매개물질부(M1)는 굴절률이 크므로 넓은 입사각을 갖는 빛이 개구 조리개(AS)를 통과할 수 있도록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곡면의 이미지 센서(IS)를 사용하기 때문에 평면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넓은 화각의 구현이 가능하며 설계 변경을 통하여 180°이상의 전화각을 갖는 렌즈 시스템을 구현할 수도 있다.
다음의 표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수치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4 실시예에서 F 넘버는 2.8이고, 제1 렌즈의 물체측 굴절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overall length)(TL)는 6.2㎜이고, 렌즈의 전화각(全畵角)(2ω)은 90°이고, 상의 높이는 2.7㎜이며, 곡면상의 상의 길이는 3.0㎜이다.
Figure 112004061927902-PAT00007
표 5에서 *는 비구면을 나타내며, 식 1에 의한 코닉 상수(K) 및 비구면 계수(A,B,C,D)의 값은 다음의 표 6과 같다. 즉, 제1면(제1 렌즈의 물체측면) 및 제2면(제1 렌즈의 상측면)이 비구면이다.
Figure 112004061927902-PAT00008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렌즈 시스템의 MTF 곡선으로서, 90°까지의 전화각에 대해서 135 cycle/㎜(30% MTF) 이상의 우수한 분해능을 보여준다.
[실시예 5]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렌즈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렌즈 시스템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렌즈(L1), 개구조리개(AS), 제2 렌즈(L2), 제1 매개물질부(M1), 광학적 필터(OF), 이미지 센서(IS)가 구비된다.
이때,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 사이에 개구 조리개(AS)가 배치되며, 이러한 개구 조리개(AS)는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 제작시 함께 접합하여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제5 실시예는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가 접합렌즈로 형성되어 빛이 입사되는 제1 렌즈(L1)의 굴절면으로부터 광학적 필터(OF)까지의 광경로가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물질로 이루어지게 된다.
제5 실시예는 140~170°의 매우 큰 전화각을 구현할 수 있는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물체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제1 렌즈(L1)와 제1 렌즈(L1) 이후에 설치된 개구 조리개(AS)를 통하여 일반적인 초소형 렌즈 시스템에서는 구현하기 힘든 90°이상의 전화각을 구현하고 있다.
제1 렌즈(L1)는 넓은 입사각을 갖는 빛이 개구 조리개(AS)를 통과할 수 있도록 모아주는 역할을 하며, 곡면의 이미지 센서(IS)를 사용하기 때문에 평면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넓은 화각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의 표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수치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5 실시예에서 F 넘버는 2.8이고, 제1 렌즈의 물체측 굴절면으로부터 상면 까지의 거리(overall length)는 5.9㎜이고, 렌즈의 전화각(全畵角)(2ω)이 140°일 때 상의 높이는 3.8㎜이며, 곡면상의 상의 길이는 5.0㎜이다. 또한, 렌즈의 전화각(全畵角)(2ω)이 170°일 때 상의 높이는 4.2㎜이며, 곡면상의 상의 길이는 6.2㎜이다.
Figure 112004061927902-PAT00009
표 7에서 *는 비구면을 나타내며, 식 1에 의한 코닉 상수(K) 및 비구면 계수(A,B,C,D)의 값은 다음의 표 8과 같다. 즉, 제1면(제1 렌즈의 물체측면)이 비구면이다.
Figure 112004061927902-PAT00010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에 도시된 렌즈 시스템의 MTF 곡선으로서, 140°까지의 전화각에 대해서 120 cycle/㎜(30% MTF) 이상의 우수한 분해능을 보여주며, 170°까지의 전화각에 대해서 다소 떨어지지만 30 cycle/㎜(30% MTF) 이상의 분해능을 보여주므로, 170°의 매우 넓은 전화각의 구현이 가능하다.
[실시예 6]
도 13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렌즈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렌즈 시스템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렌즈(L1), 개구조리개(AS), 제2 렌즈(L2), 제3 렌즈(L3), 광학적 필터(OF), 이미지 센서(IS)가 구비된다.
이때,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 사이에 개구 조리개(AS)가 배치되며, 이러한 개구 조리개(AS)는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 제작시 함께 접합하여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제6 실시예는 매개물질을 사용하지 않으며 제1 렌즈(L1), 제2 렌즈(L2) 및 제3 렌즈(L3)를 접합렌즈로 형성함으로써, 빛이 입사되는 제1 렌즈(L1)의 굴절면으로부터 광학적 필터(OF)까지의 광경로가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물질로 이루어지게 하는 렌즈 시스템이다.
제6 실시예는 120°의 매우 큰 전화각을 구현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다음의 표 9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수치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6 실시예에서 F 넘버는 2.8이고, 제1 렌즈의 물체측 굴절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overall length)(TL)는 5.0㎜이고, 렌즈의 전화각(全畵角)(2ω)이 120°이고, 상의 높이는 2.8㎜이며, 곡면상의 상의 길이는 3.4㎜이다.
Figure 112004061927902-PAT00011
표 9에서 *는 비구면을 나타내며, 식 1에 의한 코닉 상수(K) 및 비구면 계수(A,B,C,D)의 값은 다음의 표 10과 같다. 즉, 제1면(제1 렌즈의 물체측면)이 비구면이다.
Figure 112004061927902-PAT00012
도 14(a) 및 도 14(b)는 도 13에 도시된 렌즈 시스템의 MTF 곡선으로서, 120°까지의 전화각에 대해서 160 cycle/㎜(30% MTF) 이상의 우수한 분해능을 보여준다.
[실시예 7]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렌즈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렌즈 시스템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렌즈(L1), 개구조리개(AS), 제2 렌즈(L2), 광학적 필터 (OF), 이미지 센서(IS)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7 실시예는 제6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매개물질을 사용하지 않으며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를 접합하여 형성함으로써, 빛이 입사되는 제1 렌즈(L1)의 굴절면으로부터 광학적 필터(OF)까지의 광경로가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물질로 이루어지게 하는 렌즈 시스템이다.
또한, 제7 실시예는 구면 렌즈만을 사용한 렌즈 시스템으로서 120~170°의 매우 큰 전화각을 구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음의 표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수치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7 실시예에서 F 넘버는 2.8이고, 제1 렌즈의 물체측 굴절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overall length)(TL)는 4.9㎜이고, 렌즈의 전화각(全畵角)(2ω)이 120°일 때 상의 높이는 2.7㎜이며, 곡면상의 상의 길이는 3.3㎜이다.
Figure 112004061927902-PAT00013
도 16(a) 및 도 16(b)는 도 15에 도시된 렌즈 시스템의 MTF 곡선으로서, 도 16(a)에서는 80°까지의 전화각에 대해서 150 cycle/㎜(30% MTF) 이상의 우수한 분해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6(b)에서는 120°까지의 전화각(h2) 및 160°까지의 전화각(h4)에 대해서 각각 120 cycle/㎜(30% MTF), 70 cycle/㎜(30% MTF) 이상의 분해능을 확인할 수 있으며, 분해능이 다소 떨어지지만 170°의 전화각(h5)에 대해서도 40 cycle/㎜(30% MTF) 이상의 분해능을 나타내므로, 170°까지의 전화각 구현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경로 전체를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물질로 채워 각 계면 사이의 굴절률의 차이를 줄임으로써 빛이 큰 각도로 굴절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 수차를 개선하고 반사율을 낮추고 전반사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광학적 성능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으로서 곡면의 결상면을 이용함으로써, 고해상도의 구현이 가능하며, 렌즈의 매수를 줄일 수 있어 종래의 동일한 광학성능을 지니는 시스템에 비해 컴팩트한 소형의 렌즈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개물질을 이용함으로써 큰 화각을 얻을 수 있으며, 자동 초점조절 또는 줌 기능의 수행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다양한 렌즈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11)

  1.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상기 렌즈에 의한 결상면에 대응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로 입사되는 빛을 필터링하거나 상기 이미지 센서를 보호하는 광학적 필터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빛이 입사되는 첫번째 렌즈의 물체측 굴절면으로부터 상기 광학적 필터까지의 광경로 전체가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물질로만 이루어진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와 렌즈 사이의 공간 및 상기 렌즈와 광학적 필터 사이의 공간은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매개물질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물질은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유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빛이 입사되는 첫번째 렌즈의 물체측 굴절면으로부터 상기 광학적 필터까지의 광경로 전체가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접합렌즈와 광학적 필터로만 이루어진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면 및 상기 결상면에 대응하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광경로상 상기 첫번째 렌즈 이후에 개구 조리개(aperture stop)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
  7.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상기 렌즈에 의한 결상면에 대응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로 입사되는 빛을 필터링하거나 상기 이미지 센서를 보호하는 광학적 필터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빛이 입사되는 첫번째 렌즈의 물체측 굴절면으로부터 상기 광학적 필터까지의 광경로 전체가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물질로만 이루어지고,
    자동 초점조절 또는 줌 기능의 수행을 위해 상기 렌즈 또는 상기 이미지 센서가 이송되는 공간은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유체 상태의 매개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유체를 밀폐수용하며 상기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가 이동함에 따라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광축방향으로 신장하거나 수축하는 신축부를 구비하며,
    상기 신축부의 변형 및 신축에 의해 상기 유체가 상기 렌즈와 렌즈 사이 또는 상기 렌즈와 광학적 필터 사이에 유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또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유체에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유체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
  10. 하우징 내부에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2 이상의 렌즈 및 상기 렌즈에 의한 결상면에 대응하는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렌즈와 렌즈 사이의 공간은 공기보다 굴절률이 큰 유체 상태의 매개물질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온도 변화에 따른 상기 유체의 체적 변화를 흡수하여 상기 렌즈와 렌즈 사이의 공간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유체의 체적 변화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형하는 체적변화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
KR1020040113676A 2004-12-28 2004-12-28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 KR100616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676A KR100616647B1 (ko) 2004-12-28 2004-12-28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676A KR100616647B1 (ko) 2004-12-28 2004-12-28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113A true KR20060075113A (ko) 2006-07-04
KR100616647B1 KR100616647B1 (ko) 2006-08-28

Family

ID=37167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3676A KR100616647B1 (ko) 2004-12-28 2004-12-28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66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76068A (zh) * 2013-12-20 2014-03-26 信利半导体有限公司 一种微型摄像装置
WO2018169344A1 (ko) * 2017-03-16 2018-09-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CN113890966A (zh) * 2020-06-19 2022-01-04 株式会社电装 相机模块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2009A (en) * 1978-10-13 1980-04-16 Olympus Optical Co Ltd Fluid lens for automatic focusing
JPS61226726A (ja) 1985-03-29 1986-10-08 Sharp Corp 光学読取装置
JP3677837B2 (ja) * 1995-11-10 2005-08-03 株式会社ニコン 投影露光装置
JPH10148744A (ja) * 1996-11-15 1998-06-02 Fuji Photo Optical Co Ltd レンズ装置
JP3278407B2 (ja) * 1998-02-12 2002-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投影露光装置及びデバイス製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76068A (zh) * 2013-12-20 2014-03-26 信利半导体有限公司 一种微型摄像装置
WO2018169344A1 (ko) * 2017-03-16 2018-09-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180105824A (ko) * 2017-03-16 2018-10-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US11029580B2 (en) 2017-03-16 2021-06-08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N113890966A (zh) * 2020-06-19 2022-01-04 株式会社电装 相机模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6647B1 (ko) 2006-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2545B2 (en) Liquid zoom lens
CN108254857B (zh) 光学成像系统及包括该光学成像系统的便携式电子装置
KR100711247B1 (ko) 액체 줌 렌즈
KR100616616B1 (ko) 카메라 모듈의 자동 초점조절 광학계
EP1626301B1 (en) Optical system and imaging device
KR102550509B1 (ko) 촬상 광학계
KR100835108B1 (ko) 카메라 모듈의 자동 초점조절 광학계
US7466493B2 (en) Liquid lens
KR100714583B1 (ko) 카메라 모듈의 자동 초점조절 광학계
US10866381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mera module, and lens assembly
CN113287049A (zh) 图像捕获透镜
CN102576145B (zh) 变焦透镜和包括该变焦透镜的图像拾取设备
KR100616647B1 (ko)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
KR101204095B1 (ko) 줌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0930183B1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20090096953A (ko) 화질 균일성이 향상된 모바일용 렌즈 조립체
CN114079710A (zh) 潜望式连续光变摄像模组及相应的电子设备
CN219329799U (zh) 相机模块及包括该相机模块的设备
US11997374B2 (en) Camera module with liquid lens and image plane correction method thereof
WO2021056558A1 (en) Optical filter free lens system
TWI354134B (en) A variable focus lens module and a camera lens mod
KR20180048292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