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4490A - 다중 변조 방식을 통한 전원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변조 방식을 통한 전원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4490A
KR20060074490A KR1020040113243A KR20040113243A KR20060074490A KR 20060074490 A KR20060074490 A KR 20060074490A KR 1020040113243 A KR1020040113243 A KR 1020040113243A KR 20040113243 A KR20040113243 A KR 20040113243A KR 20060074490 A KR20060074490 A KR 20060074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control signal
period
section
mod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3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2983B1 (ko
Inventor
초우친-웬
쳉잉-난
유캉-밍
청친-바유
Original Assignee
지피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피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피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40113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983B1/ko
Publication of KR20060074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4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7/00Modulating pulses with a continuously-variable modulating signal
    • H03K7/08Duration or width modulation ; Duty cycle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인버터와 후단에 있는 부하가 신뢰할 수 있는 특성 범위내에서 동작하고, 그 부하가 너무 빨리 노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변조방식이 변화하는 사이클 제어신호를 통해 선택 특성의 인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다중 변조 방식을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온구간과 오프구간을 포함하는 사이클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듀티 사이클, 주파수 변조, 및 진폭 변조를 혼합함으로써 변화하는 변조방식을 제공하기 위해 오프구간 내에 진폭 또는 주파수가 변화하는 조정 에너지를 추가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에 따라, 높은 신뢰도와 넓은 동작 범위로 전원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전원제어, 다중변조, 전원, 인버터, 동작범위, 온구간, 오프구간

Description

다중 변조 방식을 통한 전원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THROUGH MULTIPLE MODULATION MODES}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전원 제어 방법에서의 파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제어 장치를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나타낸 여러 가지 구성요소의 신호 출력 파형 시퀀스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라 변조 방식이 변화하는 사이클 제어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변조 방식이 변화하는 사이클 제어 신호를 통해 인버터를 제어하여 신뢰도가 높고 동작범위가 넓은 전원 제어를 제공하는 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밍 제어(dimming control) 등의 전원 또는 에너지 조정(regulation)을 위한 종래의 제어방법은 일반적으로 온-오프 구간을 갖는 시간 사이클을 이용하여 온-오프 사이클(T1,T2)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서로 다른 출력에너지를 얻는다(도 1 참조). 이러한 방법에 의해 얻어진 여기 동작 비율(Excitation Dynamical Ratio: EDR)은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04061789807-PAT00001
종래의 여기 동작 비율은
Figure 112004061789807-PAT00002
이다.
수학식 1에 의하면, 종래의 여기 동작 비율은 무한대이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강선을 90도로 구부리고 다시 피는 것과 유사하다. 이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면, 강선은 파열될 것이다. 강선을 10도만 구부린다면, 90도 구부린 경우에 비해 파열되기 전에 더 많이 구부릴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종래의 에너지 제어 방법은 부하의 수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여기 동작 비율이 너무 크면, 부하는 2가지 극한 조건에서 동작하게 되어 부하의 노화가 가속된다.
다른 종래의 전원제어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여기 동작 비율을 이용한다(도 2,3,4 참조).
Figure 112004061789807-PAT00003
Figure 112004061789807-PAT00004
Figure 112004061789807-PAT00005
Figure 112004061789807-PAT00006
Figure 112004061789807-PAT00007
Figure 112004061789807-PAT00008
상술한 방법도 문제가 있다. 총 조정 에너지가 변하면, 여기 에너지의 최대 파형 진폭도 감소한다. 부하가 진폭 에너지의 절반(
Figure 112004061789807-PAT00009
)에서 동작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가 그 전압이 너무 낮아 점등되지 않을 수 있고, 몇몇 전기기계 소자들은 피크 동작 에너지가 충분하지 않아 동작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하가 효과적으로 동작되도록 원 시스템의 변조 범위를 향상시키고 인버터의 전체 동작을 유지시키기 위해 오프 구간 동안 대기 모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인버터 및 부하 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그 제품에 대한 더욱 높은 신뢰도 및 효율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그 제품이 빨리 노화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변조 방식을 통한 전원 제어 방법에 의하면, 선택된 특성을 지닌 인버터를 제어하여 그 인버터와 후단에 있는 부하가 신뢰도 있는 특성 범위 내에서 동작하도록 유지시키며 부하가 빨리 노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변조방식이 변화하는 사이클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에너지/시간 비율 합성 제어부의 입력단에 총 에너지 제어 조정 신호(total energy control regulation signal)를 입력하여 온구간 및 오프구간을 포함하는 그 출력단에서의 사이클 제어신호를 얻고, 2개의 온-오프 사이클의 버스트 기간 동안 오프구간에 진폭 또는 주파수가 변화하는 조정 에너지(regulation energy)를 추가한다. 듀티 사이클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또는 주파수 변조 및 진폭 변조를 통해, 전원은 신뢰도가 높고 동작 범위가 넓게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뿐만 아니라 그 이외의 다른 목적, 특징 및 효과 등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쉽게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도 5a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변조 방식을 통한 전원 제어 방법은 새로운 여기 동작 비율(Excitation Dynamical Ratio: EDR)을 얻기 위해 온 구간(TA)과 오프구간(TB)을 포함하는 사이클 제어 신호의 오프구간(TB) 내에 변조방식이 변화하는 조정 에너지(EB)를 추가하기 위한 것이다(도 6 참조).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구간 에너지(EA) 조정부(regulation unit)(1)와, 오프구간 에너지(EB) 조정부(2)와, 에너지/시간 비율 시퀀스 제어부(3)와, 에너지/시간 비율 합성 제어부(energy/time ratio synthesizing control unit)(4)를 포함한다.
온구간 에너지(EA) 조정부(1)는 2개의 입력단(11,12)을 가지고 있다. 입력단(11)은 설정된 듀티 주파수 점(duty frequency point)을 갖는 기준 신호를 입력받는다. 다른 하나의 입력단(12)은 그 듀티 폭을 조정하기 위한 피드백 에러 신호를 입력받는다. 온구간 에너지(EA) 조정부(1)는 온구간의 에너지 크기(EA)를 결정하기 위한 온구간의 에너지 조정 신호를 출력하여 에너지/시간 비율 시퀀스 제어부(3)에 전달하기 위한 출력단(13)을 가지고 있다.
오프구간 에너지(EB) 조정부(2)는 2개의 입력단(21,22)을 가지고 있다. 입력단(21)은 온구간 에너지(EA) 조정부(1)와 동일한 기준신호를 입력받는다. 다른 하나의 입력단(22)은 기준 시퀀스 신호의 시간 관계를 변경하기 위한 에러 신호 전위를 입력받는다. 오프구간 에너지(EB) 조정부(2)는 오프구간의 에너지 크기(EB)를 결정하기 위해 오프구간의 다른 하나의 에너지 조정신호를 생성하여 에너지/시간 비율 시퀀스 제어부(3)에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23)을 가지고 있다. 오프구간의 에너지크기(EB)는 온구간의 에너지크기(EA)보다 작다.
에너지/시간 비율 합성 제어부(4)는 10%에서 100%까지 변화하는 등의 선택된 범위의 에너지 조정 비율을 포함하는 총 에너지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단(41)을 가지고 있다. 제어부(4)는 온구간 에너지(EA) 조정부(1)와 오프구간 에너지(EB) 조정부(2)에 각각 분배되는 온구간 및 오프구간 사이클 제어신호(TA/TB )를 얻어서 에너지/시간 시퀀스제어부(3)에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42,43)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에너지/시간 비율 시퀀스 제어부(3)의 출력단(31)은 기본위상(basic phase) 제어신호(본 발명의 변조 방식에 따라 생성된 서로 다른 총 에너지 또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다른 하나의 출력단(32)은 상기 기본 위상 제어신호를 보완하는 상보적 위상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외부 소프트 공진부(resonant component)(6)를 제어하여 소정의 에너지 파형 변환을 수행한다. 그리고 (사인파와 유사한) 그 에너지 파형은 전력 전달 소자(power transfer element)(5)에 전달된다. 그 변환된 신호(승압 또는 감압 신호)는 (램프, 정류회로 등의) 부하(7)에 제공된다. 다양한 신호의 출력 파형 시퀀스를 도 5b에 나타내었다.
출력 에너지 크기를 변화시키기 위해, 주파수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듀티폭을 변화시킨다. 주파수가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대역통과 특성을 갖춘 전력 전달소자(5)는 최대 효율점에서 동작할 수 있다. 듀티폭이 변화하므로, 소프트 스위칭부(6)를 통해 출력된 후에, 보다 작은 진폭(amplitude)의 전압 파형을 얻을 수 있 다. 따라서 부하(7)의 전압이 변화하여, 레귤레이션 제어 기능(regulation control function)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에너지 크기를 조정하는 동안, 온구간 에너지 크기(EA)는 최대 에너지 크기를 계속 유지하며, 온구간 에너지 조정부(1)에 의해 제어된다. 하지만, 오프구간 에너지 크기(EB)는 오프구간 에너지 조정부(2)에 의해 제어되어, 오프구간(TB) 내의 다른 하나의 사이클의 폭을 조정하기 위해 조정 입력단에 온구간(TA)과 오프구간(TB)의 평균에너지를 추가하게 된다. 이러한 폭의 기본 에너지 크기는 온구간(TA)에서보다 매우 작게 된다. 하지만, 평균적으로는, 어떠한 간헐적 인터럽션도 없이 에너지 크기 제어 효과를 여전히 얻을 수 있다.
여러 가지 실시예들 중 하나는 주파수를 변경시키지 않으면서, 주파수 일정 및 듀티폭 조정 방식(즉, 듀티폭(즉, 온구간(TA)과 오프구간(TB)의 길이)을 변경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다(도 6 참조). 주파수가 고정되므로(fA=fB), 대역통과 특성을 갖춘 전력 전달 소자(5)는 (주로 소정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최대 효율점에서 동작할 수 있다. 듀티폭이 변화하므로, 소프트 스위칭부(6)(도 5a 참조)를 통해 보다 적은 진폭의 전압파형을 얻게 된다. 따라서 부하(7)의 전압이 변화하여, 진폭 레귤레이션 제어 기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온구간(TA)과 오프구간(TB)도 주파수 변조(fA≠fB), 일정 폭의 방식(도 7참조), 또는 주파수 변조 및 폭 변조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를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0이 아닌 에너지크기(EB)가 오프구간(TB) 동안 계속 유지됨에 따라, 변조 범위를 향상시키고 전력 전달 소자(5)의 총 동작이 멈춤 없이 유지되도록 대기 모드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가청 노이즈가 방지된다. 또한, 온구간(TA)과 오프구간(TB)은 서로 다른 에너지 크기를 제공하며, 부하(7)는 효과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전달 소자(5)와 부하(7)는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그 제품은 더욱 신뢰도 있고 효율적이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에너지크기가 0(EC=0)인 정지시간(TC)이 오프구간(TB)에 추가된다. 따라서 다중 변조 방식의 제어가능 사이클 구성이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도 8 참조).
도 7에 나타낸 실시예의 변형에 해당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의 실시예의 주요 특징은 온구간(TA)의 시작 및 종료 기간에 서서히 상승하는 영역(TA1)과 서서히 하강하는 영역(TA2)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는 에너지크기(EA/EB)에 대해 너무 큰 여기 동작 비율(EDR)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에너지 크기(EA/EB)의 전이 기간(transition period)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8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온구간(TA) 및 오프구간(TB)의 시작 및 종료 기간에 각각 서서히 상승하는 영역(TA1, TB1)과 서서히 하강하는 영역(TA2, TB2)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의 주요 특징은 오프구간(TB)내의 정지구간(Tc) 전후에 서서히 하강하는 영역(TB2)과 서서히 상승하는 영역(TB1)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에너지 크기(EA/EB)의 전이 기간(transition period)을 향상시켜 에너지 크기(EA/EB)의 여기 동작 비율이 너무 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정지 시간(TC) 내에 진폭이 변화하는 변조 에너지(EB)를 추가한 후에, 다음과 같은 새로운 여기 동작 비율(EDR)을 얻을 수 있게 된다.
Figure 112004061789807-PAT00010
(TTOTAL은 버스트 기간)
부하단에 전달된 에너지가 동일하므로, 전원 레귤레이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 동작 비율은 원래의 무한대보다 훨씬 작게 된다. 따라서 부하의 노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문제가 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원래의 피크 동작 에너지를 유지하는 동시에 총 에너지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부하의 수명을 단축시키지 않고 에너지 조정 동작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반면에, TA/TB에서의 제어신호는 주파수 일정, 폭이 변조이거나, 또는 주파수 변조, 폭 일정이거나, 또는 그 양쪽 모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버퍼 인터페이스 제어의 시간 시퀀스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는 주파수 일정, 주파수 변조, 폭 일정 또는 폭 변화 등의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는 서서히 하강하는 영역(TA2) 및 서서히 상승하는 영역(TA1)의 파형 변화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주요 목적은 EA/EB의 전이 기간을 향상시켜 EA/EB의 여기 동작 비율(EDR)이 너무 크게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버스트 기간에서의 총 에너지는 다음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4061789807-PAT00011
(TA/TB는 에너지 분배를 위한 시간 비율)
이상 본 발명을 개시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 이외의 다른 실시예뿐만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의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첨부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변조방식이 변화하는 사이클 제어신호를 통해 선택 특성의 인버터를 제어하 여, 인버터와 후단에 있는 부하가 신뢰할 수 있는 특성 범위 내에서 동작하고, 그 부하가 너무 빨리 노화되지 않게 된다. 또한, 높은 신뢰도와 넓은 동작 범위로 전원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인버터를 제어하여 에너지 변환을 수행하기 위해 다중 변조 방식방식해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온구간과 오프구간을 포함하는 사이클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선택된 특성의 전력 전달 소자를 제어하여 인버터와 후단에 있는 부하가 신뢰할 수 있는 특성 범위 내에서 동작하도록 유지시키기 위해, 2개 이상의 사이클을 혼합함으로써 높은 신뢰도와 넓은 동작범위를 지닌 에너지 변조를 달성하도록 상기 오프구간 내에 진폭이 변화하거나 주파수가 변화하는 조정 에너지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원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 제어신호는 에너지/시간 비율 합성 제어부의 입력단에 입력된 총 에너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에너지/시간 비율 합성 제어부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총 에너지 제어신호는 10퍼센트에서 100퍼센트까지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 폭 범위 비율(width range ratio)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 제어신호는 주파수가 일정하고 폭이 변조되는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 제어신호는 주파수가 변조되고 폭이 일정한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 제어신호는 주파수가 변조되고 폭이 변조되는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구간은 에너지크기가 0인 정지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구간은 서서히 상승하는 영역과 서서히 하강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시작기간과 종료기간을 가짐으로써, 에너지 크기의 전이 기간을 향상시켜 상기 에너지 크기의 여기 동작 비율이 너무 크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구간은 서서히 상승하는 영역과 서서히 하강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시작기간과 종료기간을 가짐으로써, 상기 사이클 제어신호의 에너지 크기의 전이 기간을 향상시켜 상기 에너지 크기의 여기 동작 비율이 너무 크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KR1020040113243A 2004-12-27 2004-12-27 다중 변조 방식을 통한 전원 제어방법 KR100802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243A KR100802983B1 (ko) 2004-12-27 2004-12-27 다중 변조 방식을 통한 전원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243A KR100802983B1 (ko) 2004-12-27 2004-12-27 다중 변조 방식을 통한 전원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4490A true KR20060074490A (ko) 2006-07-03
KR100802983B1 KR100802983B1 (ko) 2008-02-14

Family

ID=37167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3243A KR100802983B1 (ko) 2004-12-27 2004-12-27 다중 변조 방식을 통한 전원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2983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6638B2 (ja) * 1991-10-29 1999-11-10 横河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2983B1 (ko)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6130B2 (en) Variable frequency PWM controller circuit
CN1729722B (zh) 用于led发光模块的供电组件
US10368410B2 (en) PWM control for LEDs with reduced flicker when using spread spectrum switching frequencies
RU2008131329A (ru) Резонансн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постоянного ток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этим преобразователем
US8525500B1 (en) Control signal generation and power supply circuitry
US10652981B1 (en) Method for driv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and drive circuit
KR20120050324A (ko) 다이렉트 모드를 갖는 디지털 pwm 방식에서 디밍 신호를 이용한 dc-dc 컨버터용 pwm 신호 생성회로 및 이를 이용한 led 구동회로
US7521877B2 (en) Dimmer circuit for a discharge lighting apparatus
JPH10228993A (ja) 圧電トランスインバータ装置
KR100802983B1 (ko) 다중 변조 방식을 통한 전원 제어방법
JP2008509643A (ja) フォワードおよびバックワード制御を有するコンバータ回路
US20070268006A1 (en) D-optimized switching converter
US726256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through multiple modulation modes
US718369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in a buffered modulation mode
KR102070445B1 (ko) 플리커를 저감하기 위한 led 디밍 제어장치 및 방법
US7224592B2 (en) Multi-period cycle-alternative switching mode power supply control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EP2538754B1 (en) Illumination apparatus
JP4595272B2 (ja) 放電灯点灯装置
US7755302B2 (en) Multi-modulation mode LED driving circuit
JP4542251B2 (ja) 電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9076685A (zh) 用于操作至少一个光源的操作电路和方法
KR100395094B1 (ko) Lcd패널용 백라이트 인버터의 비동기식 구동회로
JP2006180577A (ja) 多重変調モードの電源制御方法
CN100468270C (zh) 避免不连续模式的切换式电压调节器
KR100526240B1 (ko) 복합디밍제어방식의 냉음극형광램프용 인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