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3844A -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3844A
KR20060073844A KR1020040112280A KR20040112280A KR20060073844A KR 20060073844 A KR20060073844 A KR 20060073844A KR 1020040112280 A KR1020040112280 A KR 1020040112280A KR 20040112280 A KR20040112280 A KR 20040112280A KR 20060073844 A KR20060073844 A KR 20060073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key
folder
detection senso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2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형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2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3844A/ko
Publication of KR20060073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8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04M1/0212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i.e. folding around a first axis and rotating around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수평회전축 및 상기 수평회전축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각각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키와;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키조작회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입력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REDUCING KEY OPERATING NUMBER}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폴더부가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키배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부 110 : 숫자키
160 : 문자키 161 : 모드전환키
170 : 제2감지센서 200 : 폴더부
230 : 수평회전축 240 : 수직회전축
250 : 제1감지센서 260 : 제3감지센서
본 발명은,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키조작회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입력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부(100)와, 본체부(100)에 대하여 상대 회동 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200)로 구성된다.
본체부(100)의 전면에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복수의 조작키(1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조작키(110)의 일측에는 청각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마이크(120)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키(110)의 상측에는 기능키(150)가 마련되어 있으며, 본체부(100)의 배면에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터리(13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체부(100)의 일측에는 고정힌지부(140)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힌지부(140) 사이에는 본체부(10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고정힌지부(140)에 대해 상대회전하는 수평회전축(230)이 결합되어 있다. 수평회전축(230)에는 수직하게 수직회전축(24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회전축(240)에는 폴더부(200)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폴더부(20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구비되어 있으며, 폴더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상측에는 청각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스피커(220)가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는, 조작키(11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표시되는 문자를 입력시,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입력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키(150)를 이용하여 입력 모드를 선택한 후, 조작키(110)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게 되는데 다른 문자(예를들면, 문자와 숫자 또는 한글과 영어 등)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기능키(150)를 이용하여 입력 모드를 전환한 후, 조작키(110)를 이용하여 다른 문자를 입력해야 하므로 키조작 회수가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키조작회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입력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수평회전축 및 상기 수평회전축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각각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키와;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폴더부가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키배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작동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다만,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부(100)와, 본체부(10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수평회전축(230) 및 수평회전축(230)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회전축(240)을 중심으로 본체부(100)에 대하여 각각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200)와, 본체부(100)의 전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숫자키(110)와,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문자키(1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100)의 전면에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복수의 숫자키(1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숫자키(110)의 일측에는 청각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마이크(120)가 배치되어 있다. 숫자키(110)의 상측에는 기능키(150)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부(100)의 상측 단면에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터리(130)를 삽입, 인출할 수 있도록 배터리 삽입공이 구비되어 있으며, 배터리(130)는 상기 배터리 삽입공에 삽입 결합되어 있다.
본체부(100)의 일측에는 고정힌지부(140)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힌지부 (140) 사이에는 본체부(100)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고정힌지부(140)에 대해 상대회전하는 수평회전축(230)이 결합되어 있다. 수평회전축(230)에는 수직하게 수직회전축(24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회전축(240)에는 폴더부(200)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폴더부(20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구비되어 있으며, 폴더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상측에는 청각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스피커(220)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본체부의 배면에는 복수의 문자키(160)가 구비되어 있다. 문자키(160)는 본체부(100)의 폭방향을 따라 4열을 이루고,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10행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본체부(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문자키(160)의 전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어 알파벳과 한글 모음, 한글 자음 그리고 특수기호가 인쇄되어 있다.
복수의 문자키(160)들 중 어느 하나는 입력되는 문자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입력모드를 전환하는 모드전환키(161)이다.
본체부(100)에 대하여 폴더부(200)가 수평회전축(230)을 중심으로 회동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폴더부(200)가 본체부(100)와 중첩되었을 때 본체부(100)의 전면과 접촉되는 폴더부(200)의 전면 일측에는 제1감지센서(250)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부(100)에 대하여 폴더부(200)가 수직회전축(240)을 중심으로 회동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폴더부(200) 하측단면의 일측에는 제3감지센서(260) 가 구비되어 있으며, 폴더부(200)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수평회전축(230)을 중심으로 회동하였을 때 제3감지센서(260)와 접촉하는 본체부(100)의 상측단면에는 제2감지센서(170)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시에는 폴더부(200)를 수평회전축(230)을 중심으로 본체부(100)에 대하여 회동시키면 숫자키(110)가 외부로 노출되고 제1감지센서(250)가 본체부(100)의 전면에서 이탈되어 숫자키(110)를 이용하여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므로 사용자는 전화 번호를 입력하여 통화를 할 수 있다.
문자를 입력시에는 본체부(100)를 수직회전축(240)을 중심으로 폴더부(200)에 대하여 회동시키면 본체부(100)의 배면에 구비된 문자키(160)가 사용자측으로 방향이 전환되며, 이와 동시에 제3감지센서(260)와 제2감지센서(170)가 접촉되어 문자키(160)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므로 사용자는 모드전환키(161)를 이용하여 영어와 한글을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폴더부(200)와 수직회전축(240)이 상호 접촉하는 접촉면 중 폴더부(200)의 접촉면의 일측에는 제2감지센서(170)를 설치하고, 제2감지센서(170)와 접촉할 수 있도록 폴더부(200)와 수직회전축(240)이 상호 접촉하는 접촉면 중 수직회전축(240)의 접촉면의 일측에는 제3감지센서(260)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문자를 입력시에는 본체부(100)를 수직회전축(240)을 중심으로 폴더부(200)에 대하여 회동시키면 본체부(100)의 배면에 구비된 문자키(160)가 사용자측으로 방향이 전환되며,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과 연장되게 폴더부(200)를 배치하지 않고 경사지게 배치하더라도 제3감지센서(260)와 제2감지센서(170)가 접촉되어 문자키(160)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므로 사용자는 모드전환키(161)를 이용하여 영어와 한글을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감지센서가 모두 폴더부의 내면에 배치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제1감지센서를 수평회전축과 수평회전축을 수용 지지하는 축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감지스위치 형태로 구성하고, 다른 하나에 폴더부가 수평회전축을 중심으로 본체부에 대해 상대 회전되는 경우 감지스위치와 상호 작용하는 감지대상, 예를 들면 감지스위치와 접촉되는 감지돌기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수평회전축 및 상기 수평회전축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각각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키와; 상기 본체부 의 배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키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키조작회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입력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Claims (9)

  1.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수평회전축 및 상기 수평회전축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각각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키와;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대한 상기 폴더부의 상기 수평회전축을 중심축으로 이루어지는 회동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가 상기 폴더부와 중첩시 상호 접촉되는 접촉면 중 어느 한 면의 일측에는 제1감지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대한 상기 폴더부의 상기 수직회전축을 중심축으로 이루어지는 회동여부를 감지할 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과 연장되게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폴더부가 전개된 경우 상기 본체부의 접촉면에 구비되는 제2감지센서와, 상기 폴더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수직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한 경우 상기 제2감지센서와 접촉하도록 상기 폴더부의 접촉면에 구비되는 제3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폴더부와 상기 수직회전축이 접촉되는 상호 접촉면 중 폴더부의 접촉면에 구비되는 제2감지센서와, 상기 폴더부와 상기 수직회전축이 접촉되는 상호 접촉면 중 상기 수직회전축의 접촉면에 구비되는 제3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센서가 판면과 접촉되지 않고, 상기 제2감지센서와 상기 제3감지센서가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1키가 입력모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센서가 판면과 접촉되지 않고, 상기 제2감지센서와 상기 제3감지센서가 접촉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키가 입력모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키는 숫자키이며, 상기 제2키는 쿼티(Qwerty) 자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키는 상기 제2키의 입력 상태를 한글과 영어로 모드 전환할 수 있는 모드전환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112280A 2004-12-24 2004-12-24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73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280A KR20060073844A (ko) 2004-12-24 2004-12-24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280A KR20060073844A (ko) 2004-12-24 2004-12-24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844A true KR20060073844A (ko) 2006-06-29

Family

ID=37166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2280A KR20060073844A (ko) 2004-12-24 2004-12-24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38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070B1 (ko) * 2006-04-25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070B1 (ko) * 2006-04-25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3914B1 (en) Keypads for electrical devices
KR20000064177A (ko) 이동 단말기
US20050091431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20080168075A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apable of entering thereinto plurality of character types, record medium recording control program, and method for character entry processing
JP3964154B2 (ja) 携帯端末用の入力装置
US20060061556A1 (en) Electronic apparatus
KR20060073844A (ko)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06040155A (ja) 携帯電子機器
JP2005228054A (ja) 携帯端末
JP3882699B2 (ja) 折畳み式携帯電話機とその文字入力モード切替方法
KR100685218B1 (ko) 로테이션 앤 클릭 타입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데이터 입력 방법
JP4043396B2 (ja) 携帯端末装置
KR100735146B1 (ko) 측면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KR20060072773A (ko) 키조작 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47589B1 (ko) 듀얼 키패드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15787B1 (ko) 회전에 따라 문자입력모드를 전환하는 이동통신단말기
JP4395177B2 (ja) キーボード
KR20070109028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14824Y1 (ko) 이동 단말기
CN101132425A (zh) 可以减少键操作次数的手机
JP2005079851A (ja) 携帯端末装置
KR100461552B1 (ko) 회전식 키입력장치
JP4566016B2 (ja) 小型電子機器
JP4501001B2 (ja) 携帯端末
KR1011605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