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3005A - 열풍로의 축열실 압력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열풍로의 축열실 압력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3005A
KR20060073005A KR1020040111825A KR20040111825A KR20060073005A KR 20060073005 A KR20060073005 A KR 20060073005A KR 1020040111825 A KR1020040111825 A KR 1020040111825A KR 20040111825 A KR20040111825 A KR 20040111825A KR 20060073005 A KR20060073005 A KR 20060073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heat storage
storage chamber
pressur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호
윤종남
박성식
현영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40111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3005A/ko
Publication of KR20060073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0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9/00Stoves for heating the blast in blast furnaces
    • C21B9/10Other details, e.g. blast mains
    • C21B9/12Hot-blast valves or slides for blast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3/00Regulating air supply or draught
    • F23N3/04Regulating air supply or draught by operation of single valves or dampers by temperature sensitive elements
    • F23N3/042Regulating air supply or draught by operation of single valves or dampers by temperature sensitive elements using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06Monitoring the characteristics (composition, quantities, temperature, pressure) of at least one of the gases of the kiln atmosphere and using it as a controlling value
    • F27D2019/0009Monitoring the pressure in an enclosure or kil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06Monitoring the characteristics (composition, quantities, temperature, pressure) of at least one of the gases of the kiln atmosphere and using it as a controlling value
    • F27D2019/0018Monitoring the temperature of the atmosphere of the kil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28Regulation
    • F27D2019/0034Regulation through control of a heating quantity such as fuel, oxidant or intensity of current
    • F27D2019/004Fuel quantity
    • F27D2019/0043Amount of air or O2 to the bur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ir Supp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조절밸브 및 공기조절밸브가 연결된 연소실과, 연도조절밸브 및 배압조절밸브가 구비된 축열실을 구비한 열풍로에서 상기 축열실의 압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축열실의 최소압력, 최대압력, 및 목표온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연도조절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배압조절밸브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가스조절밸브와 상기 공기조절밸브를 개방하여 연소가스와 공기를 상기 연소실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연소가스와 공기를 연소시키는 단계, 상기 축열실의 온도와 상기 목표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축열실의 온도가 상기 목표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연소실에 공급되는 가스가 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스조절밸브와 공기조절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축열실의 압력이 상기 최소압력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연도조절밸브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축열실의 온도가 상기 목표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연소실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가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스조절밸브와 공기조절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축열실의 압력이 상기 최대압력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연도조절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축열실 압력제어 방법은 축열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축열실에서의 열손실을 확실히 줄여준다.

Description

열풍로의 축열실 압력제어방법{HEAT ACCUMLATOR PRESSURE CONTROL METHOD FOR HOT BLAST STOVE SYSTEM}
도 1은 종래 연소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열풍로의 축열실 압력제어방법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연소실 110 : 공기차단밸브
112 : 공기조절밸브 114 : 유량검출센서
120 : 가스차단밸브 122 : 가스조절밸브
124 : 유량검출센서 130 : 온도검출센서
200 : 축열실 210 : 연도밸브
212 : 연도조절밸브 220 : 배압밸브
222 : 배압조절밸브 230 : 온도검출센서
240 : 압력검출센서 250 : 온도검출센서
300 : 제어부
본 발명은 축열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열실의 압력변화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축열실의 온도가 목표온도에 다다른 상태에서 축열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열풍로의 축열실 압력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풍로 설비는 연소장치와 송풍장치로 구성된다. 연소장치는 가스를 연소시켜 고온의 열을 열풍로에 축적하고, 송풍장치는 열풍로를 통해 찬공기를 가열시킨 후 고로로 공급한다.
도 1은 이러한 열풍로 설비에서 연소장치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장치는 연소실(1)과 축열실(2)로 구성된다. 연소실(1)에는 공기조절밸브(4)과 가스조절밸브(7)이 설치된다. 그리고 축열실(2)에는 연도밸브(10)와 배압조절밸브(13)가 설치된다.
공기조절밸브(4)와 가스조절밸브(7)는 연소실(1)에 공급되는 공기와 가스량을 제어한다. 연도밸브(10)는 축열실(2)에 축적되는 배기가스의 출입을 통제한다. 배압조절밸브(13)는 연도밸브(10)가 개방되기 전에 개방되어 압력차이를 줄여지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된 연소장치는 연소용 공기(230℃, 100,000 ~ 118,000[NM3])와 연소용 가스(230℃, 100,000[NM3])를 연소실(12)에서 연소시켜 고온(1320℃)의 배기가스를 발생시킨 뒤 축열실(2)에 축적한다. 따라서, 축열실(2)은 항상 고온의 상태로 유지된다.
송풍장치는 신선한 냉풍을 고로로 공급한다. 냉풍은 축열실(2)을 거쳐 일정한 온도로 상승된 뒤 고로로 이동한다. 이때 냉풍의 온도는 축열실(20)의 축열상태에 따라 변화되는데 축열실(2)의 압력이 낮으면, 즉 축적된 배기가스의 양이 충분하지 않으면, 송풍시간이 단축되어 열풍로 공정 즉 연소/송풍주기가 단축된다. 그러면 연소실(1)의 연소주기가 짧아져 연소공정이 잦아지게 되고 결국 에너지 소비가 증대된다. 따라서 에너지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축열실(2)의 압력을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축열실(2)의 압력은 연소실(1)의 연소과정에 따라 달라진다. 그리고 배기가스가 축열실(2)에 체류하는 시간은 축열실(2)의 압력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축열실(2)의 압력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지 않으면 축열실(2)에 일정량의 배기가스가 축적되지 않아 축열실(2)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한편, 축열실(2)의 압력은 연소실(1)의 연소과정, 주야 및 계절에 따른 주위 온도의 변화, 그리고 연소로의 개수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러한 주변상태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채 단순희 연도밸브(10)를 개폐하는 방식으로 축열실(2) 내부의 압력을 제어하고 있다. 때문에 축열실(2)의 기능저하로 인한 에너지 손실이 매우 크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축열실(2)의 압력 제어방법이 절실히 필요하다.
참고로 광양 4고로를 기준으로 에너지 사용량을 살펴보면 용선 1톤을 생산 하는데 열풍로 연소용 가스열량은 1,150℃기준 420 Mcal가 소요된다. 또한 연소용 가스 사용량은 고로가스(BFG)3,220,000 NM3/일 + 시오지(COG)1,600,00NM3/일이 된다.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1년에 500억 정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축열실의 온도를 목표온도로 유지하면서 축열실의 압력도 일정하게 유지하여 축열실을 통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는 열풍로의 축열실 압력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조절밸브 및 공기조절밸브가 연결된 연소실과, 연도조절밸브 및 배압조절밸브가 구비된 축열실을 구비한 열풍로에서 상기 축열실의 압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축열실의 최소압력, 최대압력, 및 목표온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연도조절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배압조절밸브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가스조절밸브와 상기 공기조절밸브를 개방하여 연소가스와 공기를 상기 연소실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연소가스와 공기를 연소시키는 단계, 상기 축 열실의 온도와 상기 목표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축열실의 온도가 상기 목표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연소실에 공급되는 가스가 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스조절밸브와 공기조절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축열실의 압력이 상기 최소압력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연도조절밸브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축열실의 온도가 상기 목표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연소실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가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스조절밸브와 공기조절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축열실의 압력이 상기 최대압력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연도조절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풍로의 축열실 압력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열풍로의 축열실 압력제어방법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열풍로에 구비되는 본 발명의 연소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실(100), 축열실(200), 및 제어부(300)로 구성된다.
연소실(100)은 가스와 공기의 혼합가스를 연소시켜 고온의 배기가스를 배출한다. 연소실(100)에는 공기공급배관(102)과 가스공급배관(104)이 연결된다. 공기공급배관(102)에는 공기차단밸브(110), 공기조절밸브(112), 및 유량검출센서(114)가 설치된다. 그리고 가스공급배관(104)에는 가스차단밸브(120), 가스조절밸브(122), 및 유량검출센서(124)가 설치된다. 아울러 연소실(100)에는 온도검출센서(130)가 설치되어 연소실(100)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값을 제어부(300)에 송신한 다.
공기차단밸브(110)와 가스차단밸브(120)는 제어부(300)의 신호에 따라 단순히 개폐동작하며 공기공급배관(102)과 가스공급배관(104)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가스의 유동을 차단 또는 허용한다. 이와 달리 공기조절밸브(112)와 가스조절밸브(122)는 제어부(300)의 신호에 따라 개폐량이 임의로 조절된다. 따라서, 공기조절밸브(112)와 가스조절밸브(122)를 제어하면 연소실(100)의 연소온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공기공급배관(102)과 가스공급배관(104)에 설치된 각각의 유량검출센서(114, 124)는 연소실(100)로 공급되는 공기와 가스의 양을 측정하여 그 값을 제어부(300)로 송신한다.
축열실(200)은 연소실(100)에 배출된 배기가스를 저장하여 고온의 열을 축적한다. 축열실(200)에는 배출배관(202)이 연결된다. 배출배관(202)으로는 축열실(200)에 저장된 배기가스가 배출된다. 축열실(200)에는 온도검출센서(230)와 압력검출센서(240)가 결합된다. 온도검출센서(230)와 압력검출센서(240)는 축열실(200)의 온도와 압력을 각각 측정하여 그 값을 제어부(300)로 송신한다.
배출배관(202)에는 복수개의 연도밸브(210)와 연도조절밸브(212)가 설치된다. 연도밸브(210)는 단순히 개방 또는 폐쇄되어 배출배관(202)을 유동하는 배기가스의 출입을 통제한다. 이와 달리 연도조절밸브(212)는 제어부(300)의 신호를 받아 개폐량이 조절된다. 따라서, 연도조절밸브(212)를 제어하면 축열실(200)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면부호 250은 온도검출센서이다. 이 온도검출센서(250)는 배출 배관(202)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여 그 값을 제어부(300)에 송신한다.
한편, 배출배관(202)에는 축열실(200)로 소통되는 배출배관(202)보다 직경이 작은 배압배관(204)이 연결된다. 배압배관(204)으로는 배출배관(202)과 마찬가지로 배기가스가 소통된다. 배압배관(204)은 축열실(200)과 배출배관(202)의 압력편차를 줄이는 기능을 한다. 연소실(100)과 축열실(200)은 별도의 배관(106)을 통해 연결된다. 배압배관(204)에는 배압밸브(220)와 별도의 배압조절밸브(222)가 설치된다. 배압조절밸브(222)는 배압배관(204)을 통해 소통되는 배기가스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소장치의 동작순서는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어부(300)에 축열실(200)의 최소압력, 최대압력, 및 목표온도를 설정한다. 그 다음 연도밸브(210)를 개방하고 배압밸브(220)를 폐쇄한다. 그리고 공기차단밸브(110)와 가스차단밸브(120)를 개방하여 연소실(100)에 공기와 가스를 공급한다. 연소실(100)은 가스와 공기의 혼합가스를 연소시켜 고온의 배기가스를 생성한다.
제어부(300)는 연소실(100)과 축열실(200)에 각각 설치된 온도검출센서(130, 230)와 압력검출센서(240)로부터 측정값을 수신 받아 설정 값과 비교한다. 이때, 축열실(200)의 현재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낮으면, 제어부(300)는 연소실(100)에 가스가 더 공급되는 방향으로 공기조절밸브(112)와 가스조절밸브(122)의 개폐량을 조절하고, 축열실(200)의 압력이 최소압력으로 유지되도록 연도조절밸브(212)의 개폐 량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하면 연소실(100)에 가스공급이 활발해져 연소실(100)과 축열실(200)의 온도가 상승한다. 한편, 축열실(200)의 온도상승을 위해 연소실(100)에 과다한 가스가 공급하면 불완전 연소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축열실(200)의 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축열실(200)을 최소압력으로 유지하여 불완전 연소가스는 배출시키고 최소한의 배기가스만 저장되게 하는 것이다.
위 제어를 통해 축열실(200)의 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하면, 제어부(300)는 연소실(100)에 공기가 더 공급되는 방향으로 공기조절밸브(112)와 가스조절밸브(122)를 제어하고 축열실(200)의 압력이 최대압력으로 유지되도록 연도조절밸브(212)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축열실(200)에 저장되는 배기가스의 양이 점차 증가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연도조절밸브(212)를 통해 축열실(200)의 압력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연도조절밸브(212)의 개폐량을 일정하게 고정시킨 뒤 배압밸브(220)를 개방하고 배압조절밸브(222)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축열실(200)의 압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축열실 내부의 압력을 축열실의 온도에 따라서 운전자가 설정한 값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게 함으로서 고온의 열풍을 일정하게 고로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정적인 고로 조업을 가능하게 하고 축열실을 통해 손실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열풍로의 축열실 압력제어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1)

  1. 가스조절밸브 및 공기조절밸브가 연결된 연소실과, 연도조절밸브 및 배압조절밸브가 구비된 축열실을 구비한 열풍로에서 상기 축열실의 압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축열실의 최소압력, 최대압력, 및 목표온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연도조절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배압조절밸브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가스조절밸브와 상기 공기조절밸브를 개방하여 연소가스와 공기를 상기 연소실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연소가스와 공기를 연소시키는 단계,
    상기 축열실의 온도와 상기 목표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축열실의 온도가 상기 목표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연소실에 공급되는 가스가 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스조절밸브와 공기조절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축열실의 압력이 상기 최소압력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연도조절밸브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축열실의 온도가 상기 목표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연소실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가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스조절밸브와 공기조절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축열실의 압력이 상기 최대압력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연도조절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풍로의 축열실 압력제어방법.
KR1020040111825A 2004-12-24 2004-12-24 열풍로의 축열실 압력제어방법 KR20060073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825A KR20060073005A (ko) 2004-12-24 2004-12-24 열풍로의 축열실 압력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825A KR20060073005A (ko) 2004-12-24 2004-12-24 열풍로의 축열실 압력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005A true KR20060073005A (ko) 2006-06-28

Family

ID=37166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825A KR20060073005A (ko) 2004-12-24 2004-12-24 열풍로의 축열실 압력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30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364A (ko) * 2014-12-26 2016-07-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축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도 제어 방법
CN108871030A (zh) * 2018-08-06 2018-11-23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烟气余热加强保温和调温调压的蒸汽蓄热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9364A (ko) * 2014-12-26 2016-07-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축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도 제어 방법
CN108871030A (zh) * 2018-08-06 2018-11-23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烟气余热加强保温和调温调压的蒸汽蓄热器
CN108871030B (zh) * 2018-08-06 2024-03-12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烟气余热加强保温和调温调压的蒸汽蓄热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07128A1 (en) Cogeneration system
CN106011352A (zh) 一种高炉热风炉煤气流量优化控制系统
KR101839205B1 (ko) 래들 가열장치
US20180172316A1 (en) Performance of a gas-fired appliance by use of fuel injection technology
KR20060073005A (ko) 열풍로의 축열실 압력제어방법
US20140322657A1 (en) Thermal afterburn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system
CN108980888A (zh) 燃气加热设备及其控制方法
KR101038116B1 (ko) 축열식 가열로의 로압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930006168B1 (ko) 연소기의 제어장치
KR100862812B1 (ko) 냉풍조절용밸브를 이용한 고로의 열풍로 균압 제어장치
CN211177940U (zh) 一种建筑构件耐火实验炉控制系统
JP2003042444A (ja) 給湯器
CN207486840U (zh) 一种燃油锅炉点火系统
CN207035215U (zh) 一种带压高惰性气氛下的点火装置
JP7210125B2 (ja) 燃焼設備
JPH07103461A (ja) 蓄熱型燃焼器を使用する炉の空気比調整方法
JP5557708B2 (ja) 施設園芸用温風暖房機およびその冷却制御方法
CN115111593A (zh) 蓄热式热力焚化炉及其燃气阀开度调节控制装置
JPS5956508A (ja) 溶鉱炉用熱風炉における燃焼制御方法
JP2000179836A (ja) 燃焼制御装置
KR100940738B1 (ko) 열풍로 연소 제어장치
WO2023121479A1 (en) A chimney control assembly for minimizing particle emission in a fuel burning heating device and a method for minimizing particle emission in a fuel burning heating device
CN116085813A (zh) 一种rto炉的燃烧器节能装置及方法
JP3958942B2 (ja) リジェネレイティブバーナ用排気ガス循環装置
JP2003342624A (ja) 熱風炉の保熱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