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2429A - Apparatus for rear spoil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ar spoi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2429A
KR20060072429A KR1020040111058A KR20040111058A KR20060072429A KR 20060072429 A KR20060072429 A KR 20060072429A KR 1020040111058 A KR1020040111058 A KR 1020040111058A KR 20040111058 A KR20040111058 A KR 20040111058A KR 20060072429 A KR20060072429 A KR 20060072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vehicle
spoiler
rear spoil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0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1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2429A/en
Publication of KR20060072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4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7Rear sp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 스포일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에 설치되는 리어 스포일러 본체 후단에 플랩을 설치하고, 차량의 속도 및 주행 상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플랩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 시키는 리어 스포일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spoiler device, the flap is provided on the rear spoiler main body installed in the tailgate or trunk lid of the vehicle, and the driving stability of the vehicle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lap in accordance with the speed and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Relates to a rear spoiler device that improves.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에 설치되는 리어 스포일러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스포일러 본체; 상기 스포일러 본체 후단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 플랩부; 상기 플랩부가 작동 가능하도록 스포일러 본체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형성된 모터축에 삽입되는 원판 형상의 릴에 다수회 권취되어 상기 플랩부에 연장 설치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구동부;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른 공기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 및 상기 속도센서에서 감지한 신호값을 입력받아 이를 계산한 후 구동부의 모터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스포일러 장치를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poiler is installed in the tailgate or trunk lid of the vehicle, the spoiler body having a hollow portion therein; A flap portion installed to be detachable from a rear end of the spoiler body; A drive unit including a mot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poiler body to enable the flap unit to operate, and a wire wound on the disc-shaped reel inserted into the motor shaft formed in the motor and extending to the flap unit; A speed sensor for detecting an air speed according to a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length of the wire by controlling the motor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after receiving the signal value detected by the speed sensor and calculating the calculated signal, thereby providing a rear spoiler device.

리어 스포일러, 플랩Rear spoiler, flap

Description

리어 스포일러 장치{Apparatus For Rear Spoiler}Rear Spoiler Device {Apparatus For Rear Spoiler}

도 1은 종래의 리어 스포일러의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a conventional rear spoiler,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리어 스포일러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rear spoil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리어 스포일러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rear spoil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스포일러 본체 12 : 가이드부10: spoiler body 12: guide unit

14 : 개구홈 16 : 삽입홈14: opening groove 16: insertion groove

20 : 플랩부 22 : 연결부재20: flap portion 22: connecting member

24 : 플랩(Flap) 26 : 탄성부재24: flap 26: elastic member

30 : 구동부 32 : 모터30: drive unit 32: motor

34 : 릴 36 : 와이어34: reel 36: wire

40 : 속도센서 50 : 제어부40: speed sensor 50: control unit

본 발명은 리어 스포일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에 설치되는 리어 스포일러 본체 후단에 플랩을 설치하고, 차량의 속도 및 주행 상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플랩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 시키는 리어 스포일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spoiler device, the flap is provided on the rear spoiler main body installed in the tailgate or trunk lid of the vehicle, and the driving stability of the vehicle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lap in accordance with the speed and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Relates to a rear spoiler device that improves.

일반적으로, 차량이 도로를 따라 고속으로 주행할 때 차량의 차체를 따라 흐르는 공기 흐름에 의해 차량에 양력이 작용하게 되어 차량의 후측(뒷바퀴쪽)이 들려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In general, when the vehicle travels at high speeds along the road, lift is applied to the vehicle by the air flow flowing along the vehicle body, so that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is lifted.

즉, 차량의 상부는 곡면형으로 라운드져있고 하부는 평면형으로 되어 있어 차량의 상부를 지나는 공기의 흐름이 하부보다 빨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차량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일정한 압력차가 발생하게 되며, 이때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 차량에 양력이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vehicle is rounded in a curved shape and the lower part is in a flat shape so that the air flows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vehicle is faster than the lower part, and a constant pressure difference is generated betwee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Lifting force is applied to the vehicle by the pressure difference.

종래에는 승합자동차 또는 RV차량의 루프패널 또는 테일게이트에 리어 스포일러를 설치 하거나, 일반 승용차에는 트렁크 리드 상부에 고정식 스포일러를 장착하여 고속 주행시 차량의 후측이 양력에 의해 들려지는 것을 방지하였는데, 상기 고정식 스포일러의 경우에는 스포일러가 양력에 대한 보상작용에 의해 주행시 안정감과 제동력이 증가하게 되나, 고속주행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정식 스포일러가 차량의 외측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저항을 증대시켜 주행성능이 오히려 떨어지는 문제점을 유발하였다.Conventionally, a rear spoiler is installed on a roof panel or tailgate of a van or RV vehicle, or a fixed spoiler is mounted on an upper part of a trunk lid in a general passenger car to prevent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being lifted by lift during high speed driving. In the case of the spoiler increases the stability and braking force when driving by the compensation action for lift, but when not driving at high speed, the fixed spoiler increases the resistance of the air flowing along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e driving performance is rather deteriorated Induced.

첨부된 도1은 종래의 리어 스포일러의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리어 스포일러(2)는 차량 주행시 상기 리어 스포일러(2)의 외부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공기 흐름 속도차에 의해 리어 스포일러(2)의 하부 방향으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력(F)을 발생시킨다.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a conventional rear spoiler.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ventional rear spoiler 2 is an air flow of fluid flowing along an outer surface of the rear spoiler 2 when the vehicle is driven. The speed difference generates a downward force F as shown by the arrow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rear spoiler 2.                         

또한, 상기한 리어 스포일러는 하향력(F)과 더불어서 공기 흐름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작용하는 양력(Lift Force)이 함께 발생한다.In addition, the rear spoiler generates a lift force that acts perpendicularly to the air flow direction in addition to the downward force F.

차량의 고속 주행시 발생하는 양력은 차의 안전성을 해치며 차량의 속도에 따라 저속과 고속에서 적절한 하향력이 발생시켜야 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리어 스포일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고정된 구조로 설치되어 충분한 하향력을 발생시키지 못하였다.Lifting force generated during high-speed driving of the vehicle impairs the safety of the vehicle and the rear spoiler is fixed to have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as shown in FIG. It was installed as a structure and did not generate enough downward force.

즉,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라 상기 리어 스포일러의 경사각을 달리하여 차량 주행 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하향력을 발생 시키지 못함으로써, 도로와 타이와와의 충분한 접지력을 제공하지 못해 오히려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저하 시키는 문제점을 유발하였다.That is, sinc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ar spoile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the downward force cannot be generated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vehicle driving performance, thereby not providing sufficient grip between the road and the tie, and thus driving of the vehicle. It caused a problem of deteriorating stability.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속도 및 주행 상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와이어의 길이를 변화시켜 상기 와이어와 연결된플랩부에 의해 하향력을 발생시켜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 시키는 리어 스포일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wire in accordance with the speed and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to generate a downward force by the flap portion connected to the wire to improve the running stability of the vehicle The object is to provide a rear spoiler devi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에 설치되는 리어 스포일러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스포일러 본체; 상기 스포일러 본체 후단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 플랩부; 상기 플랩부가 작동 가능하도록 스포일러 본체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형성된 모터축 에 삽입되는 원판 형상의 릴에 다수회 권취되어 상기 플랩부에 연장 설치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구동부;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른 공기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 및 상기 속도센서에서 감지한 신호값을 입력받아 이를 계산한 후 구동부의 모터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스포일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ar spoiler installed at a tail gate or a trunk lid of a vehicle, the spoiler body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A flap portion installed to be detachable from a rear end of the spoiler body; A drive unit including a mot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poiler body to enable the flap unit to operate, a wire wound on the disc-shaped reel inserted into the motor shaft formed in the motor and extending to the flap unit; A speed sensor for detecting an air speed according to a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value detected by the speed sensor, calculate the calculated value, and then control a motor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to adjust a length of the wire.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리어 스포일러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리어 스포일러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rear spoil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rear spoil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차량의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에 설치되는 리어 스포일러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스포일러 본체(10); 상기 스포일러 본체(10) 후단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 플랩부(20); 상기 플랩부(20)가 작동 가능하도록 스포일러 본체(10)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32), 상기 모터(32)에 형성된 모터축에 삽입되는 원판 형상의 릴(34)에 다수회 권취되어 상기 플랩부(20)에 연장 설치된 와이어(36)를 포함하는 구동부(30);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른 공기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40); 및 상기 속도센서(40)에서 감지한 신호값을 입력받아 이를 계산한 후 구동부(30)의 모터(32)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와이어(36)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스포일러 장치를 제공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ar spoiler installed in a tail gate or trunk lid of a vehicle, the spoiler body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A flap portion 20 installed to be detachable from a rear end of the spoiler body 10; The flap portion 20 is wound around the motor 32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poiler body 10 and a disc-shaped reel 34 inserted into a motor shaft formed on the motor 32 so that the flap portion 20 can operate. A driving part 30 including a wire 36 extending to the flap part 20; A speed sensor 40 detecting an air speed according to a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50 for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wire 36 by controll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32 of the driving unit 30 after receiving the signal value detected by the speed sensor 40 and calculating it. Provided is a rear spoil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스포일러 본체(10)는 상기 플랩부(20)의 단부가 스포일러 본체(10) 내 부로 삽입 작동 가능하도록 상기 스포일러 내부 상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부(12), 상기 가이드부(12)의 상하면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홈(14), 상기 가이드부(12)의 후단부 상, 하면 내부로 각각 형성된 삽입홈(1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The spoiler main body 10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guide part 12 and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poiler 20, respectively,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flap portion 20 can be inserted into the spoiler main body 1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opening groove 14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nsertion groove 16 formed on the rear end of the guide portion 12, respectively into the lower surface.

상기 플랩부(20)는 상기 구동부(30) 와이어(36)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부재(22), 상기 연결부재(22)와 연결 설치되는 플랩(24), 상기 플랩(24)에 설치되되 가이드부(12)에 형성된 삽입홈(16)에 삽입 또는 인출되어 플랩(24)의 회동각을 변화시키는 탄성부재(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The flap portion 20 is installed on the connecting member 22 connected to the end of the drive unit 30 wire 36, the flap 24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22, and the flap 24.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n elastic member 26 is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insertion groove 16 formed in the guide portion 12 to change the rotation angle of the flap 24.

상기 탄성부재(26)는 판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며 상기 연결부재(22)는 단면 형상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Preferably, the elastic member 26 uses a leaf spring, and the connection member 22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상기 제어부(50)는 ECU를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하나 별도의 로직시스템을 갖춘 콘트롤러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50 preferably uses an ECU, but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nd use a controller having a separate logic system.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스포일러 본체(10) 내부에 모터(32)를 설치하고 상기 모터(32)를 스포일러 본체(10) 내부의 바닥면에 고정한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motor 32 is installed inside the spoiler body 10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and the motor 32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poiler body 10.

상기 모터(10)는 차량 시동이 온(On) 됨에 따라 배터리(도면 미도시)의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 하나 별도의 전원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해도 무방하다.The motor 10 is preferably operated by being supplied with the power of a battery (not shown) as the vehicle is started (On), but may be used by installing a separate power supply device.

상기 모터(32)의 모터축에는 원판 형상의 릴(34)이 삽입 설치되되 상기 릴(34)에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36)가 다수회 권취되어 플랩부(20)의 연결부재(22)의 단부에 고정 설치된다.A reel 34 having a disc shape is inserted into and installed on the motor shaft of the motor 32, but a wire 36 having one end fixed to the reel 34 is wound a plurality of times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22 of the flap portion 20 is formed. It is fixedl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상기 연결부재(22)의 단부에는 플랩(Flap)이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재(22)는 스포일러 본체(10) 내부의 가이드부(12)의 상하면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개구홈(14)에 릴(34)에 권취된 와이어(36)에 의해 상기 개구홈(14)을 따라 좌, 우로 작동되며 상기 연결부재(22)의 단부에 형성된 플랩(24) 또한 상기 연결부재(22)의 좌, 우작동에 따라 상기 스포일러 본체(1) 후단에서 분리되어 작동한다.A flap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22, and the connecting member 22 is reeled in the opening groove 14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guide part 12 inside the spoiler main body 10. The flap 24 form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22 is also operated left and right along the opening groove 14 by the wire 36 wound around the 34. In operation, the spoiler main body 1 is separated and opera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랩부(20)의 플랩(24)이 보다 원할한 작동을 위해 상기 플랩(24)의 상, 하 회동각을 변화 시키는 탄성부재(26)인 판 스프링을 가이드부(12)에 형성된 삽입홈(16)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한다.Preferably, the flap 24 of the flap portion 20 is a spring plate which is an elastic member 26 for changing the upper and lower rotation angles of the flap 24 for a more smooth operation. It is installed to be inserted or withdrawn in the formed insertion groove (16).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이 주차, 정차 또는 고속으로 주행시에는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은 상태이며 차량이 출발함에 따라 차량의 진행 방향을 따라 속도(V)값을 갖는 공기가 차체의 바디 라인을 따라 흐르게 된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vehicle is parked, stopped, or driven at high speed, air as shown in FIG. 3 is attached, and air having a velocity V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s the vehicle starts. It will flow along the body line.

차체측에 고정 설치된 속도센서(40)는 차량 주행에 따른 공기속도를 감지하여 제어부(50)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50)는 속도센서(40)에서 감지한 신호값을 입력받아 차체에서 발생되는 양력(Lift Force)의 크기를 계산한 후에 상기한 양력의 힘을 상쇄시킬 수 있는 하향력(F)을 생성하도록 구동부(30)의 모터(32)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The speed sensor 40 fixed to the vehicle body detects the air speed according to the vehicle driving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50. The control unit 50 receives the signal value detected by the speed sensor 40 and is generated at the vehicle body. After calculating the magnitude of lift force, the motor 32 of the driving unit 3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o generate a downward force F that can cancel the above lift force.

상기한 모터(32)의 회전에 의해 모터축이 회전함에 따라 릴(34)에 권취된 와이어(36)가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풀어지게 된다. As the motor shaft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32, the wire 36 wound on the reel 34 is released as shown in FIG. 2.                     

즉, 차량이 직선 주행시에는 위에서 서술한 바와같이 플랩부(20)의 플랩(24)이 상향 작동되어 차량에 발생하는 양력을 상쇄하는 정도의 하향력을 발생시켜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도모한다.That is,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in a straight line, as described above, the flap 24 of the flap portion 20 is operated upward to generate a downward force that cancels the lifting force generated in the vehicle, thereby achieving driving stability of the vehicle.

상기 플랩(24) 작동시 상기 스포일러 본체(10)내부에 설치된 가이드부(12)의 후단부 상, 하면 내부로 형성된 삽입홈(16)에서 플랩(24)의 작동과 더불어 탄성부재(26)인 판 스프링이 밴딩되어 플랩(24)의 회동각도에 따라 플랩(24)이 공기의 흐름을 유도 할 수 있도록 하여 하향력(F)을 유도한다.When the flap 24 is operated, the elastic member 26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the flap 24 in the insertion groove 16 formed into the lower and upper ends of the guide portion 12 installed inside the spoiler main body 10. The leaf spring is bent to allow the flap 24 to induce the flow of air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flap 24 to induce a downward force (F).

또한, 차량이 가속 또는 감속시에 차량의 가속력 및 제동력은 타이어와 노면과의 접촉에 의해 생성되는데 이러한 가속력 및 제동력은 최대 마찰 계수가 한정되어 있는 타이어에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영향을 받는다.In addition, when the vehicle accelerates or decelerates, the acceleration force and the braking force of the vehicle are generat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tire and the road surface, and the acceleration force and the braking force are affected by the force ac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tire where the maximum coefficient of friction is defined.

차량이 직선 주행중에 가속 또는 감속시에는 차량 주행에 따른 공기의 속도를 속도센서(40)가 감지하고 제어부(50)에 전송하면 상기 제어부(50)가 가속력 및 제동력에 비례하여 모터(32)의 회전수를 조절하면 상기 모터축에 삽입된 릴(34)이 회전하면서 와이어(36)가 풀어진다.When the vehicle accelerates or decelerates while driving in a straight line, when the speed sensor 40 detects the speed of the air according to the vehicle driving and transmits the speed to the controller 50, the controller 50 is proportional to the acceleration and braking force of the motor 32. When the rotation speed is adjusted, the wire 36 is released while the reel 34 inserted into the motor shaft rotates.

상기 와이어(36)의 풀림에 따라 플랩(24)에 연결된 연결부재(22)가 개구홈(14)에서 후방쪽으로 슬라이딩 되고 상기 플랩(24)은 와이어(36)의 풀어진 길이만큼 스포일러 본체(10) 후단에서 분리되어 차량에 하향력(F)을 발생시킨다.As the wire 36 is loosened, the connecting member 22 connected to the flap 24 slides backward from the opening groove 14, and the flap 24 extends the spoiler main body 10 by the loosened length of the wire 36. It is separated at the rear end to generate a downward force (F) on the vehicle.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리어 스포일러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시에는 차체의 바디 라인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속도 또한 고속으로 작용하게된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ear spoil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at high speed, the speed of air flowing along the body line of the vehicle body also acts at a high speed. .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할 때 지나친 하향력(F) 발생은 오히려 차량의 주행 안전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스포일러 본체(10) 후단에서 플랩(20)을 분리시키게 되면 항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플랩(20)을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은 상태로 주행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Since excessive downward force (F) is generated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at a high speed, since the flap 20 is separated from the rear end of the spoiler body 10 since the driving safety of the vehicle is reduced, the flap 20 is increased. It is preferable to drive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또한, 차량의 가속 또는 감속과 더불어서 선회시에는 타이어와 노면과의 접촉에 의해 차량의 선회능력이 좌우 되는데 최대 마찰 계수가 한정되어 있는 타이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In addition, the turning ability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tire and the road surface when turning with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of the vehicle, which is most affected by the force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tire whose maximum coefficient of friction is limited.

즉, 차량이 선회할 때에는 공기의 속도를 속도센서(40)가 감지하고 제어부(50)는 차량의 선회에 따른 최적의 하향력을 발생하도록 모터(32)의 회전을 제어하여 와이어(36)를 풀되 차량 선회에 따른 양력을 감소시키되 타이어와 지면이 마찰되어 차량의 속도를 감소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선회 가능하도록 플랩(24)을 작동시킨다.That is, when the vehicle turns, the speed sensor 40 senses the speed of the air, and the controller 50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motor 32 to generate the optimal downward force according to the turning of the vehicle to control the wire 36. The flap 24 is operated to reduce the lifting force due to the turning of the vehicle, but to be able to turn within a range in which the tire and the ground are not rubbed to reduce the speed of the vehicle.

따라서,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차량에 작용하는 속도를 감지하여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저해하지 않는 하향력을 발생시켜 최적의 주행이 가능하게 한다.Therefore, by sensing the speed acting on the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to generate a downward force that does not impair the driving stability of the vehicle to enable optimal driving.

한편, 본 발명은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스포일러 장치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주행에 방해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하향력을 발생시켜 최적의 상태로 차량이 주행 가능하게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ar spoil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generating a downward force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to enable the vehicle to run in an optimal state.                     

또한, 상기한 하향력에 의해 주행성능을 향상시키고 연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ownward force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unning performance and fuel economy.

Claims (5)

차량의 테일 게이트 또는 트렁크 리드에 설치되는 리어 스포일러에 있어서,In the rear spoiler installed in the tailgate or trunk lid of the vehicle,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스포일러 본체(10);A spoiler body 10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상기 스포일러 본체(10) 후단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 플랩부(20); A flap portion 20 installed to be detachable from a rear end of the spoiler body 10; 상기 플랩부(20)가 작동 가능하도록 스포일러 본체(10)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32), 상기 모터(32)에 형성된 모터축에 삽입되는 원판 형상의 릴(34)에 다수회 권취되어 상기 플랩부(20)에 연장 설치된 와이어(36)를 포함하는 구동부(30); The flap portion 20 is wound around the motor 32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poiler body 10 and a disc-shaped reel 34 inserted into a motor shaft formed on the motor 32 so that the flap portion 20 can operate. A driving part 30 including a wire 36 extending to the flap part 20;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른 공기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40); 및A speed sensor 40 detecting an air speed according to a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And 상기 속도센서(40)에서 감지한 신호값을 입력받아 이를 계산한 후 구동부(30)의 모터(32)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와이어(36)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스포일러 장치.The control unit 50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ire 36 by controll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32 of the drive unit 30 after calculating the received signal value detected by the speed sensor 40 is calculated Rear spoil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포일러 본체(10)는 상기 플랩부(20)의 단부가 스포일러 본체(10) 내부로 삽입 작동 가능하도록 상기 스포일러 내부 상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부(12), 상기 가이드부(12)의 상하면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홈(14), 상기 가이드부(12)의 후단부 상, 하면 내부로 각각 형성된 삽입홈(1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스포일러 장치.The spoiler main body 10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guide part 12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guide part 12 respectively formed so that the end of the flap part 20 can be inserted into the spoiler main body 10. The rear spoil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ning groove (14)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nsertion groove (16) formed in the lower surface, respectively on the rear end of the guide portion (12). 제 1항 내지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플랩부(20)는 상기 구동부(30) 와이어(36)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부재(22), 상기 연결부재(22)와 연결 설치되는 플랩(24), 상기 플랩(24)에 설치되되 가이드부(12)에 형성된 삽입홈(16)에 삽입 또는 인출되어 플랩(24)의 회동각을 변화시키는 탄성부재(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스포일러 장치.The flap portion 20 is installed on the connecting member 22 connected to the end of the drive unit 30 wire 36, the flap 24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22, and the flap 24. The rear spoil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member 26 which is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insertion groove (16) formed in the guide portion 12 to change the rotation angle of the flap (24).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탄성부재(26)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스포일러 장치.Rear spoil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member 26 is a leaf spring.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연결부재(22)는 단면 형상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스포일러 장치.The connection member 22 is a rear spoil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is formed round.
KR1020040111058A 2004-12-23 2004-12-23 Apparatus for rear spoiler KR200600724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058A KR20060072429A (en) 2004-12-23 2004-12-23 Apparatus for rear spoi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058A KR20060072429A (en) 2004-12-23 2004-12-23 Apparatus for rear spoi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429A true KR20060072429A (en) 2006-06-28

Family

ID=37165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058A KR20060072429A (en) 2004-12-23 2004-12-23 Apparatus for rear spoi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2429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434B1 (en) * 2013-09-13 2014-03-03 한국오텍공업(주) Speed induction-type variable spoiler mounted on the rear of the bus
CN104118482A (en) * 2014-06-26 2014-10-29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Car roof vortex generator and car with car roof vortex generator
KR101490605B1 (en) * 2012-07-18 2015-02-05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Air-guiding apparatus
KR101491376B1 (en) * 2013-12-20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ide spoiler grip for tractor
KR101581007B1 (en) * 2015-06-16 2015-12-31 알앤더스 주식회사 Speed sensitive spoiler unit for vehicle
KR101655150B1 (en) * 2015-03-25 2016-09-07 이용섭 Variable Spoiler for Minicar
US10112658B2 (en) 2016-11-14 2018-10-30 Hyundai Motor Company Spoiler apparatus for RV vehicl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605B1 (en) * 2012-07-18 2015-02-05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Air-guiding apparatus
KR101369434B1 (en) * 2013-09-13 2014-03-03 한국오텍공업(주) Speed induction-type variable spoiler mounted on the rear of the bus
KR101491376B1 (en) * 2013-12-20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ide spoiler grip for tractor
CN104118482A (en) * 2014-06-26 2014-10-29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Car roof vortex generator and car with car roof vortex generator
KR101655150B1 (en) * 2015-03-25 2016-09-07 이용섭 Variable Spoiler for Minicar
KR101581007B1 (en) * 2015-06-16 2015-12-31 알앤더스 주식회사 Speed sensitive spoiler unit for vehicle
US10112658B2 (en) 2016-11-14 2018-10-30 Hyundai Motor Company Spoiler apparatus for RV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1124B2 (en) Vehicle rectifier
US8191904B2 (en) Hybrid leveling system
CA26135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omotive adhesion control
JP7178440B2 (en) vehicle
JPH05105124A (en) Mobile spats for automobile
KR20130118991A (en) Traveling device
KR20060072429A (en) Apparatus for rear spoiler
CN108248453B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gnizing road surface and automobile
CN101113932A (en) Driving dynamics regulator with a torque sensor fitted in the steering mechanism
JP2013193596A (en) Vehicle control device
JP2003513854A (en) How to reduce wheel slip in automobiles.
ITTO20010905A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CONTROL OF THE CRUISE SPEED OF A VEHICLE.
JP4269901B2 (en) Vehicle behavior control device and program
KR100292774B1 (en) Spoiler controller for adapting to speed of vehicle
KR100559856B1 (en) Height and speed control device for driving inclination road in vehicle
KR101561576B1 (en) Spoiler unit for vehicle stability control
KR970010849B1 (en) Auxiliary brake system with an air-spoiler
KR200181787Y1 (en) Down-force apparatus for an automobile
KR200314166Y1 (en) Roof fairing apparatus for a heavy-duty truck
CN116888037A (en) Spoiler system for a vehicle
KR200369152Y1 (en) restraint unit of hydro planing
KR100569393B1 (en) recreation vehicle rear spoiler to prevent pollution on tailgate
KR0181627B1 (en) Variable air spring for suspension
KR0178655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JPH0345474A (en) Under floor structure of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