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376B1 - Side spoiler grip for tractor - Google Patents

Side spoiler grip for tra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376B1
KR101491376B1 KR20130159873A KR20130159873A KR101491376B1 KR 101491376 B1 KR101491376 B1 KR 101491376B1 KR 20130159873 A KR20130159873 A KR 20130159873A KR 20130159873 A KR20130159873 A KR 20130159873A KR 101491376 B1 KR101491376 B1 KR 101491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poiler
side spoiler
bracket
lif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598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명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59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37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3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8Side spo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1For commercial vehicles or tractor-trailer combinations, e.g.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76Transmission of human force
    • E05Y2201/68Handles, cran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0/00Motor vehicles
    • Y10S180/903Airstream reactive vehicle or vehicl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p which is mounted on a side spoiler of a tractor to be gripped while going up and down at a space between a cap and a container.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side spoiler grip of the tractor, for the tractor having a collapsible side spoiler, can provide safety and convenience when going up and down at a work space between the cap and the container by configuring an innovative grip capable of being stored and drawn out with using a steel wire and a gas lifter in the rotation of the spoiler, and can improve the appearance thereof since the grip is not exposed.

Description

트렉터 차량의 사이드 스포일러 손잡이{Side spoiler grip for tractor}Side spoiler grip for tractor "

본 발명은 트렉터 차량의 사이드 스포일러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렉터 차량의 사이드 스포일러에 장착되어 캡과 컨테이너 사이의 공간을 오르내릴 때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de spoiler handle of a tractor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dle that is mounted on a side spoiler of a tractor vehicle and can be held by hand when raising or lowering a space between the cap and the container.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는 운반용기의 일종으로 육로수송 또는 선적수송을 위해 만들어진 대용량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일정 규격의 용기로서, 화물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송하기 위한 적재함을 말한다. In general, a container is a kind of transport container, which is a container of a certain size capable of transporting a large quantity of cargo made for land transportation or shipping, and means a cargo for safely and conveniently transporting cargo.

이러한 컨테이너를 육상에서는 트레일러 차량에 탑재하여 운송하고, 해상의 경우에는 컨테이너를 적재하기 위한 대형 컨테이너 선박을 이용하여 대량의 컨테이너를 운송하고 있다.These containers are transported in trailer vehicles on the ground, and large containers are transported by large container vessels for loading containers.

컨테이너를 육로로 운반하기 위한 운송수단으로 사용되는 트레일러 차량은 보통 주행용 동력장치나 제어장치를 가지지 않고, 트렉터 차량에 편성되어 이끌리게 된다.A trailer vehicle used as a transportation means for transporting a container by land is not normally equipped with a driving power device or a control device, but is organized and attracted to a tractor vehicle.

그리고, 트렉터 차량의 경우 주행 시 캡의 후방에서 생성되는 와류에 의해 차량의 고속성능 및 연비가 떨어지게 되는데, 예를 들면 캡의 후방에 컨테이너가 장착되는 트렉터 차량의 경우에는 주행 중에 공기가 컨테이너의 선단 부위와 충돌하여 주행성능 및 연비를 저하시키게 되며, 이를 방지하고자 캡의 측면에 사이드 스포일러를 장착하여 컨테이너의 공기저항을 최대한 줄이고 있다. In the case of a tractor vehicle, high speed performance and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are deteriorated due to vortex generated at the rear of the cab during traveling.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ractor vehicle in which a container is mounted at the rear of the cab, And the side impact spoiler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cap to reduce the air resistance of the container as much as possible.

이렇게 차량의 캡 측면에 적용한 사이드 스포일러는 한국공개특허 10-2005-0099364호 등에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개시되어 있다. The side spoiler applied to the cab side of the vehicl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099364 and the like.

이러한 사이드 스포일러가 장착된 트렉터 차량의 경우, 대용량 컨테이터 탑재 시 캡과 컨테이너 간의 공간이 협소하여 유압호스를 연결하는 등의 작업을 위한 작업자의 출입이 불편하다. In the case of a tractor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side spoiler, the space between the cap and the container is small when a large capacity container is mounted, which makes it inconvenient for a worker to access the hydraulic hos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용량 컨테이너를 탑재하는 트렉터의 경우, 스포일러를 접이식으로 설계하여 출입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ractor equipped with a large-capacity container is designed to have a spoiler folded to secure an access space.

이 경우, 스포일러 마운팅 브라켓의 구조가 복잡하고 회전하는 구조로 바뀌게 되어, 후방 승강용 손잡이를 구성하기가 매우 어려워지며, 사용자의 편의성도 저하된다. In this case, the structure of the spoiler mounting bracket is changed to a complicated and rotating structur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onstruct the rear lift handle and the user's convenience is also lowered.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개발된 스포일러 장착 대형 트렉터의 경우, 초기 사양인 손잡이용 돌기(100)가 있는 타입(a) 및 승강용 손잡이(110)를 패널(120)에 마운팅한 타입(b)의 원리 시험을 거쳐 마운팅 브라켓(130)에 승강용 손잡이(110)를 설치한 타입(c)이 적용되어 있으나, 대용량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유럽 수출 차량은 접이식 스포일러를 적용하는 관계로 마운팅 브라켓에 승강용 손잡이를 달 수 없어, 초기 사양(a) 처럼 별도의 승강용 손잡이 없이 구성되면서 내수사양 대비 미관 및 운전자 승강 편의성 측면에서 상품성이 떨어진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in the case of the currently developed spoiler-mounted large-size tractor, the type (a) having the protrusion 100 for the handle, which is the initial specification, and the elevation handle 110 are mounted on the panel 120 The type (c) in which the elevating handle 110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bracket 130 through the principle test of the mounted type (b) is applied, but the European export vehicle using the large capacity container is a type that applies the folding spoiler As the mounting bracket can not be provided with a lifting handle, it is constructed without a separate lifting handle as in the initial specification (a), resulting in poor merchantability in terms of aesthetics versus domestic specifications and ease of lifting the driver.

그 밖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포일러(140)의 내측면에 손잡이용 돌기(150)를 적용한 타입(a), 별도의 손잡이가 없는 타입(b), 손잡이(110)를 백 패널(160)에 마운팅한 타입(c) 등이 있으나, 타입(a)는 손목이 꺽일 우려가 있고, 타입(b)는 스포일러 커버를 잡고 올라가야 하므로 그립력이 확보되지 않아 미끄러질 우려가 있으며, 타입(c)는 손잡이까지의 거리가 너무 멀고 항시 외부에 노출되어 미관이 불량하다.
8, a type (a) in which a knob protrusion 150 is applied to an inner surface of a spoiler 140, a type (b) in which there is no separate handle, a knob 110 is attached to a back panel Type (c) mounted on the spoiler cover 160, the type (a) may cause the wrist to bend, and the type (b) ) Is too far from the handle and exposed to the outside at all times, resulting in poor appearance.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접이식 사이드 스포일러를 채택하고 있는 트렉터 차량에서, 스틸 와이어와 가스 리프터를 이용하여 스포일러의 회전 시 이와 연계되면서 수납 및 인출 작동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손잡이를 구현함으로써, 캡과 컨테이어 사이의 작업 공간을 오르내릴 때 안전성과 편의성을 줄 수 있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트렉터 차량의 사이드 스포일러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type of folding type spoiler for a tractor vehicle employing a folding side spoil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de spoiler handle of a tractor vehicle capable of providing safety and convenience when raising and lowering a working space between a cap and a container by providing a handle,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트렉터 차량의 사이드 스포일러 손잡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ide spoiler handle of a tractor vehicl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상기 사이드 스포일러 손잡이는 캡과 컨테이너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는 사이드 스포일러의 안쪽면에 장착되어 사이드 스포일러의 접힘 및 펴짐 작동과 연계되면서 수납 및 인출가능한 손잡이를 포함하는 한편, 특히 사이드 스포일러의 접이식 브라켓측과 손잡이의 일측 사이에는 와이어가 연결됨과 더불어 손잡이는 사이드 스포일러측의 리프터에 의해 복원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side spoiler handle includes a handle that is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spoiler covering the space between the cap and the container and is capable of being stored and taken out while being associated with the folding and spreading action of the side spoiler, A wire is connected between one side of the handle and the handle is restrained by the lifter on the side of the side spoiler.

따라서, 상기 사이드 스포일러 손잡이는 사이드 스포일러 접힘 시 접이식 브라켓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가 당겨지면서 손잡이가 인출될 수 있고, 사이드 스포일러 펴짐 시 와이어 장력 해제와 동시에 리프터에 의해 복원되어 손잡이가 수납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herefore, when the side spoiler is folded, the folding bracket can rotate the wire to pull out the grip, and when the side spoiler is expanded, the wire springs are released and the grip is restored by the lifter at the same time have.

여기서, 상기 와이어는 손잡이의 후단부에 있는 제1고정점와 접이식 브라켓에 있는 제2고정점 사이에 양단 고정되고, 손잡이의 선단부와 접이식 브라켓측에 있는 다수의 안내브라켓에 의해 안내되는 궤적을 따라 위로 당겨지거나 아래로 풀려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wire is fixed at both ends between a first fixing point at the rear end of the handle and a second fixing point at the folding bracket, and along the trajectory guided by the leading end of the handle and the plurality of guide brackets on the folding- So that it can be pulled or pulled down.

그리고, 상기 손잡이는 사이드 스포일러의 안쪽면에 설치되어 있는 위아래 한 쌍의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수납 및 인출 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handle may be slidably coupled to a pair of upper and lower guide rail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spoiler so as to be guided during storage and withdrawal.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리프터의 경우, 사이드 스포일러의 안쪽면에 로드부를 통해 고정됨과 더불어 손잡이의 후단부에 몸체부를 통해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손잡이가 당겨질 때 압축되었다가 와이어 장력 해제 시 복원력을 발휘하여 손잡이를 수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er is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side spoiler via a rod portion and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handle through a body portion. When the handle is pulled, So that the handle can be moved to the storage position.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트렉터 차량의 사이드 스포일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The side spoiler of the tractor vehicl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캡 백 패널에 장착하는 기존의 방식에 비해 마운팅 위치에서 힘점까지의 거리가 짧아 강성이 증대되며,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기존의 방식 대비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rst,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of mounting on the cab back panel, the distance from the mounting position to the fulcrum is short, which increases the stiffness and can improve the appearance compared with the existing method which is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둘째, 차량 승강 시 잡고 오르기가 용이하고 손목이 꺽이는 등의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등 사용 시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Second,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eliminate the problems such as easy climbing and climbing of the wrist when the vehicle is lifted and lowered, thus securing safety and convenience in 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렉터 차량의 사이드 스포일러 손잡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부위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B 부위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렉터 차량의 사이드 스포일러 손잡이에서 마운팅 브라켓 작동 시 와이어 당김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렉터 차량의 사이드 스포일러 손잡이에서 손잡이 수납/인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렉터 차량의 사이드 스포일러 손잡이의 사용 및 미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종래 트렉터 차량의 사이드 스포일러 손잡이에 대한 여러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종래 트렉터 차량의 사이드 스포일러 손잡이에 대한 실차 적용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de spoiler handle of a tractor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
Fig.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B-
4 is a plan view showing a wire pulling state when the mounting bracket is operated in the side spoiler knob of the tractor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ll-in / pull-out operation state in the side spoiler knob of the tractor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and non-use state of the side spoiler knob of the tractor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various examples of a side spoiler knob of a conventional tractor vehicl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an actual vehicle to a side spoiler handle of a conventional tractor vehicl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렉터 차량의 사이드 스포일러 손잡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to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ide spoiler handle of a tractor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스포일러 손잡이는 사이드 스포일러의 접힘 및 펴짐 작동과 연계되면서 자동으로 수납 및 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작업자에게 손잡이 사용에 따른 편의를 제공해줄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side spoiler handle is structured such that the side spoiler handle is automatically stored and drawn while being linked with the folding and spreading operation of the side spoiler. Accordingly, .

이를 위하여, 상기 사이드 스포일러(10)는 캡과 컨테이너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는 수단으로서, 캡 백 패널(18)과 사이드 스포일러(10)의 안쪽면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접이식 브라켓(19)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To this end, the side spoiler 10 is a means for covering the space between the cap and the container, by means of a plurality of folding brackets 19 which are provided between the cap back panel 18 and the inner side of the side spoiler 10 And is rotatably supported.

상기 접이식 브라켓(19)은 캡 백 패널(18)측에 고정되는 패널측 브라켓(19a)과 사이드 스포일러(10)의 안쪽면에 고정되는 스포일러측 브라켓(19b), 그리고 상기 패널측 브라켓(19a)과 스포일러측 브라켓(19b) 사이에 양단부가 핀구조로 연결되어 링크운동가능한 위아래 한 쌍의 링크 브라켓(19c)을 포함한다. The foldable bracket 19 includes a panel side bracket 19a fixed to the cab back panel 18 side, a spoiler side bracket 19b fix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spoiler 10, And a pair of link brackets 19c, both ends of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pin structur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poiler brackets 19b.

이에 따라, 상기 사이드 스포일러(10)는 한 쌍의 링크 브라켓(19c)이 발휘하는 링크운동을 통해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side spoiler 10 can be unfolded or folded while freely rotating through a link movement exerted by the pair of link brackets 19c.

또한, 상기 패널측 브라켓(19a)에는 스포일러 복원용 리프터(20)가 구비되며, 이때의 스포일러 복원용 리프터(20)는 패널측 브라켓(19a)측에 몸체부 후단이 지지되는 동시에 로드부를 통해 아래쪽에 위치되는 링크 브라켓(19c)의 후단부 일측, 예를 들면, 링크 브라켓(19c)의 후단부 핀체결부위로부터 좀더 연장된 부분에 연결된다. The panel side bracket 19a is provided with a spoiler restoration lifter 20. The spoiler restoration lifter 20 at this time is supported on the panel side bracket 19a with the rear end of the body part, For example,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rear end pin engagement portion of the link bracket 19c to the rear end portion of the link bracket 19c.

이에 따라, 상기 사이드 스포일러(10)를 접어놓은 상태에서 재차 펼칠 때, 상기 스포일러 복원용 리프터(20)의 힘을 받아 펼침 조작이 좀더 수월해질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side spoiler 10 is folded and opened again, the spoiler restoring lifter 20 can receive the force of the spoiler 20, and the unfold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특히, 작업자가 작업공간을 오르내릴 때 손으로 잡고 이용하는 수단으로 손잡이(11)가 마련된다. In particular, the handle 11 is provided as means for holding and using the worker when the worker moves up and down the work space.

상기 손잡이(11)는 위아래 후단부를 연결하는 보강대(21)를 가지는 대략 "ㄷ"자 모양의 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사이드 스포일러(10)의 안쪽면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스포일러 폭방향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수납 및 인출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The handle 1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ubstantially "C" shaped bar having a reinforcing bar 21 connecting upper and lower rear ends thereof. The handle 11 is disposed side by si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spoiler 10, So that it can be stored and taken out.

이를 위하여, 상기 손잡이(11)는 후단부, 즉 보강대(21)와 사이드 스포일러(10)의 안쪽면에 있는 브라켓 사이에는 리프터(13), 예를 들면 가스 리프터가 수평자세로 연결 설치된다. To this end, a lifter 13, for example, a gas lifter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handle 11, that is, between the bracke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spoiler 10 in a horizontal posture.

즉, 상기 사이드 스포일러(10)의 안쪽면에 장착되어 있는 브라켓에 리프터(13)의 로드부가 고정되고, 이와 동시에 손잡이(11)의 후단부 보강대(21)에 리프터(13)의 몸체부가 고정된다. That is, the rod portion of the lifter 13 is fixed to the bracket mount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spoiler 10, and at the same time, the body portion of the lifter 13 is fixed to the rear end portion ridge 21 of the pull 11 .

이에 따라, 상기 리프터(13)는 손잡이(11)가 당겨질 때 함께 당겨져 압축되었다가, 와이어 장력 해제 시 복원력을 발휘하여 손잡이(11)를 수납 위치로 이동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lifter 13 is pulled together when the pull 11 is pulled, and is compressed. Then, the lifter 13 exerts a restoring force when the wire tension is released, thereby moving the pull 11 to the receiving position.

그리고, 상기 손잡이(11)의 수납 및 인출을 위한 슬라이드 시 이를 안내하기 위한 수단으로 위아래 한 쌍의 가이드 레일(17)이 마련된다. A pair of upper and lower guide rails 17 are provided as means for guiding the handle 11 when it is slid for storage and withdrawal.

상기 가이드 레일(17)은 손잡이(11)의 상단측과 하단측에 나란하게 수평 위치되면서 사이드 스포일러(10)의 안쪽면에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he guide rails 17 ar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spoiler 10 while being horizontally positioned in parallel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andle 11.

이렇게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7)에는 슬롯(22)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1)에는 슬롯(22) 내에 끼워져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23)가 형성된다. A slot 22 is formed in the guide rail 17 and a guide protrusion 23 is formed in the handle 11 so as to be inserted in the slot 22 and to move along the slot.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11)는 위아래 한 쌍의 가이드 레일(17)에 의한 슬라이드 안내를 받으면서 수납 및 인출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handle 11 can be stored and taken out while being guided by the pair of upper and lower guide rails 17.

특히, 상기 사이드 스포일러(10)의 접힘 및 펴짐 작동과 손잡이(11)의 수납 및 인출 작동을 연계시켜주는 수단으로 와이어(12)가 마련된다. In particular, the wire 12 is provided as a means for linking folding and spreading operations of the side spoiler 10 with storing and pulling operations of the pull 11.

이러한 와이어(12)는 사이드 스포일러(10)의 접이식 브라켓(12)측과 손잡이(11)의 일측 사이에는 연결되어, 사이드 스포일러 접힘 시에는 당겨지면서 손잡이(11)를 당겨주게 되고, 사이드 스포일러 펴짐 시에는 자체 장력이 해제되면서 리프터(13)에 의한 손잡이(11)의 위치 복원을 가능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Such a wire 12 is connected between the side of the folding bracket 12 of the side spoiler 10 and one side of the pull 11 and is pulled when the side spoiler is folded to pull the pull 11, And the position of the handle 11 can be restored by the lifter 13 while the self tension is released.

이를 위하여, 상기 와이어(12)의 양쪽 끝은 손잡이(11)의 후단부 보강대(21)에 있는 제1고정점(14)와 접이식 브라켓(19)에 있는 한 쌍의 링크 브라켓(19c) 중에서 윗쪽으로 위치되는 링크 브라켓(19c)의 후단부에 있는 제2고정점(15) 사이에 연결된다. To this end, both ends of the wire 12 are connected to a first fixing point 14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handle 11 and a pair of link brackets 19c of the folding type bracket 19, And a second fixing point 15 at the rear end of the link bracket 19c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link bracket 19c.

이렇게 양단 고정되는 와이어(12)는 와이어 관통을 위한 홀을 가지는 다수의 안내브라켓(16)에 의해 소정의 궤적을 이루면서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되는데, 예를 들면 손잡이(11)의 선단부에 있는 안내브라켓(16), 접이식 브라켓(19)의 스포일러측 브라켓(19b)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있는 각각의 안내브라켓(16)에 걸쳐지게 된다. The wire 12 fixed at both ends is movable up and down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locus by a plurality of guide brackets 16 having holes for wire penetration. For example, the guide bracket 16 at the distal end of the handle 11 And the guide brackets 16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spoiler-side bracket 19b of the folding bracket 19, respectively.

즉, 상기 와이어(12)는 손잡이(11)의 후단부 제1고정점(14)에서부터 수평 연장되어 손잡이의 선단부 안내브라켓(16)에 걸쳐지면서 수직으로 방향이 꺽여 위로 연장되고, 계속해서 스포일러측 브라켓(19b)의 선단부 안내브라켓(16)에 걸쳐지면서 수평으로 방향이 꺽여 연장되며, 계속해서 스포일러 브라켓(19b)의 후단부 안내브라켓(16)에 걸쳐진 후에 링크 브라켓(19c)의 후단부 제2고정점(15)에 연결되는 궤적을 가지게 된다. That is, the wire 12 extends horizontally from the rear end first fixing point 14 of the handle 11 to extend vertically upwardly from the distal end guide bracket 16 of the handle, And then extends horizontally while extending over the distal end guide bracket 16 of the bracket 19b and then continues to extend over the rear end guide bracket 16 of the spoiler bracket 19b, And has a locus connected to the fixed point 15.

이에 따라, 사이드 스포일러 접힘 시 접이식 브라켓(15)의 회전에 의해 링크 브라켓(19c)의 제2고정점(15)과 사이드 스포일러측 스포일러 브라켓(19b)의 안내브라켓(16) 간의 거리가 늘어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그 만큼의 와이어(12)가 당겨지면서 손잡이측 제1고정점(14)을 당겨주게 되므로, 손잡이(11)가 인출될 수 있게 된다.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fixing point 15 of the link bracket 19c and the guide bracket 16 of the side spoiler side spoiler bracket 19b is increased by the rotation of the folding bracket 15 when the side spoiler is folded, At the same time, as much of the wire 12 is pulled, the handle-side first fixing point 14 is pulled, so that the knob 11 can be pulled ou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렉터 차량의 사이드 스포일러 손잡이에서 마운팅 브라켓 작동 시 와이어 당김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4 is a plan view showing a wire pulling state when a mounting bracket is operated in a side spoiler knob of a tractor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접이식 브라켓(19)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12)가 당겨진 상태를 보여준다. As shown in Fig. 4, here, the state in which the wire 12 is pulled by the rotation of the folding bracket 19 is shown.

사이드 스포일러(10)를 접게 되면, 접이식 브라켓(19)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링크 브라켓(19c)의 제2고정점(15)과 스포일러 브라켓(19b)의 안내브라켓(16) 간의 거리가 늘어나게 된다. When the side spoiler 10 is folded, the folding bracket 19 is rotat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fixing point 15 of the link bracket 19c and the guide bracket 16 of the spoiler bracket 19b is increased do.

예를 들면, 회전 전 약 60mm 에서 회전 후 약 145mm로, 85mm 정도 늘어나게 된다. For example, after about 60 mm before rotation, about 145 mm after rotation, it is increased by 85 mm.

이에 따라, 전체 와이어(12)는 85mm 만큼 위로 당겨지게 되고, 결국 이렇게 당겨지는 와이어(12)에 의해 손잡이측 제1고정점(14) 또한 당겨지면서 손잡이(11)의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entire wire 12 is pulled up by 85 mm. As a result, the first fixing point 14 on the handle side is pulled by the wire 12 thus pulled out, so that the pulling out of the knob 11 can be perform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렉터 차량의 사이드 스포일러 손잡이에서 손잡이 수납/인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ull-in / pull-out operation state of the side spoiler knob of the tractor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와이어가 손잡이를 당겨서 손잡이가 바깥쪽으로 돌출(인출)되는 상태를 보여준다. As shown in Fig. 5, here, the wire pulls the handle and the handle is projected (drawn out) to the outside.

사이드 스포일러 젖힘 작동에 의해 와이어(12)가 위로 당겨지게 되면, 손잡이(11)의 후단부 제1고정점(14)이 바깥쪽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손잡이(11)는 가이드 레일(17)의 안내를 받으면서 바깥쪽으로 슬라이드되어 인출될 수 있게 된다. When the wire 12 is pulled up by the side spoiler bending operation, the rear end first fixing point 14 of the knob 11 is pulled outward so that the knob 11 is pulled out of the guide rail 17 And can be slid outward while being guided.

이때, 손잡이(11)측과 연결되어 있는 리프터(13)는 압축된 상태가 되고, 와이어 장력 해제 시 복원력을 발휘하여 손잡이(11)를 인출 전 초기 위치로 복귀시켜줄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lifter 13 connected to the handle 11 side is in a compressed state, and when the wire tension is released, the restoring force is exerted, and the handle 11 can be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before withdrawal.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렉터 차량의 사이드 스포일러 손잡이의 사용 및 미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use and non-use of the side spoiler handle of the tractor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스포일러(10)가 펼침 상태로 있는 경우, 손잡이(11)는 사이드 스포일러(10)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외부로는 노출되지 않게 된다. As shown in FIG. 6, when the side spoiler 10 is in the unfolded state, the handle 11 is housed inside the side spoiler 10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한편, 작업자가 캡과 컨테이너 사이 공간에서 유압호스 등을 연결하기 위한 작업공간 확보 시 사이드 스포일러(10)를 차량 앞쪽으로 젖혀 접게 되면, 이와 연계되어 와이어(12)가 당겨지면서 손잡이(11)가 사이드 스포일러(10)의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In the meantime, when the operator folds the side spoiler 10 to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when the operator assures the working space for connecting the hydraulic hose or the like in the space between the cap and the container, the wire 12 is pulled in conjunction with the side spoiler 10, And protrudes outward of the spoiler 10.

따라서, 작업자는 사이드 스포일러(10)의 측단에 튀어나와 있는 손잡이(11)를 잡고 편리하고 안전하게 작업공간으로 오르내릴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operator can conveniently and securely move up and down the work space by holding the handle 11 protruding from the side edge of the side spoiler 10. [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캡 후방으로 승강하기 위해 사이드 스포일러를 접는 동작만으로 손잡이가 노출되도록 한 구조로서, 손잡이를 사용하기 위해 작업자의 별도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손잡이 위치가 작업자와 가까운 스포일러면에 위치하여 사용편의성이 우수하고, 캡 백 패널애ㅔ서 나오는 손잡이 구조에 비해 미관적으로 우수하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is exposed only by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side spoiler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rear of the cap. By implementing a structure in which the operator does not need to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to use the handle, It is located near the spoiler side and has excellent usability and is superior in appearance compared with the handle structure of the cap back panel.

또한, 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스포일러에 돌기를 적용한 구조와 비교할 때 사용자의 손목이 꺽이지 않아 안전사고의 위험 또한 줄어든다.
In addition, since the handle is protruded to the outside,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is reduced because the user's wrist is not bent as compared with the structure in which the projection is applied to the spoiler.

10 : 사이드 스포일러 11 : 손잡이
12 : 와이어 13 : 리프터
14 : 제1고정점 15 : 제2고정점
16 : 안내브라켓 17 : 가이드 레일
18 : 캡 백 패널 19 : 접이식 브라켓
20 : 스포일러 복원용 리프터 21 : 보강대
22 : 슬롯 23 : 가이드 돌기
10: Side spoiler 11: Handle
12: wire 13: lifter
14: first fixed point 15: second fixed point
16: guide bracket 17: guide rail
18: Cap back panel 19: Folding bracket
20: Lifter for spoiler restoration 21: Reinforcing bar
22: Slot 23: Guide projection

Claims (4)

캡과 컨테이너 사이의 공간을 커버하는 사이드 스포일러(10)의 안쪽면에 장착되어 사이드 스포일러(10)의 접힘 및 펴짐 작동과 연계되면서 수납 및 인출가능한 손잡이(11)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스포일러(10)의 접이식 브라켓(19)측과 상기 손잡이(11)의 일측 사이에는 와이어(12)가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손잡이(11)는 사이드 스포일러(10)측의 리프터(13)에 의해 복원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사이드 스포일러 접힘 시 접이식 브라켓(19)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12)가 당겨지면서 손잡이(11)가 인출될 수 있고, 상기 사이드 스포일러 펴짐 시 와이어 장력 해제와 동시에 리프터(13)에 의해 복원되어 손잡이(11)가 수납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렉터 차량의 사이드 스포일러 손잡이.
And a handle (11) mounted on an inner surface of a side spoiler (10) covering a space between the cap and the container and capable of being stored and taken out while being associated with the folding and spreading operation of the side spoiler (10)
A wire 12 is connected between the side of the folding bracket 19 of the side spoiler 10 and one side of the pull 11 and the pull 11 is hooked by the lifter 13 of the side spoiler 10 So that the handle 11 can be pulled out by the rotation of the foldable bracket 19 when the side spoiler is folded and the wire 12 can be pulled out and the lifter 13 ) So that the handle (11) can be receiv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2)는 손잡이(11)의 후단부에 있는 제1고정점(14)와 접이식 브라켓(19)에 있는 제2고정점(15) 사이에 양단 고정되고, 손잡이(11)의 선단부와 접이식 브라켓(19)측에 있는 다수의 안내브라켓(16)에 의해 안내되는 궤적을 따라 위로 당겨지거나 아래로 풀려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렉터 차량의 사이드 스포일러 손잡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 12 is fixed at both ends between a first fixing point 14 at the rear end of the handle 11 and a second fixing point 15 at the folding bracket 19 and the distal end of the handle 11 Is adapted to be pulled up or pulled down along the locus guided by the plurality of guide brackets (16) on the side of the folding bracket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는 사이드 스포일러(10)의 안쪽면에 설치되어 있는 위아래 한 쌍의 가이드 레일(17)에 슬라이드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수납 및 인출 시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렉터 차량의 사이드 스포일러 손잡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le 11 is slidably coupled to a pair of upper and lower guide rails 17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spoiler 10 so that the guide 11 can be guided during storage and withdrawal. Vehicle side spoiler hand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13)는 사이드 스포일러(10)의 안쪽면에 로드부를 통해 고정됨과 더불어 손잡이(11)의 후단부에 몸체부를 통해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손잡이(11)가 당겨질 때 압축되었다가 와이어 장력 해제 시 복원력을 발휘하여 손잡이(11)를 수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렉터 차량의 사이드 스포일러 손잡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er 13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spoiler 10 through a rod portion and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pull 11 through a body portion. The lifter 13 is compressed when the pull 11 is pulled, And the grip (11) can be moved to the storage position by exerting a restoring force when releasing the tension.
KR20130159873A 2013-12-20 2013-12-20 Side spoiler grip for tractor KR1014913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9873A KR101491376B1 (en) 2013-12-20 2013-12-20 Side spoiler grip for tr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9873A KR101491376B1 (en) 2013-12-20 2013-12-20 Side spoiler grip for tra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376B1 true KR101491376B1 (en) 2015-02-06

Family

ID=52591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59873A KR101491376B1 (en) 2013-12-20 2013-12-20 Side spoiler grip for tra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37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5205A1 (en) 2001-03-21 2002-09-26 Oliver Steven A. One piece cab extender mounting and integrated grab handle for a mobile vehicle
US20040075298A1 (en) 2002-06-06 2004-04-22 Wong Alec C. Adjustable cab extender assembly method and apparatus
KR20060072429A (en) * 2004-12-23 2006-06-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rear spoiler
JP2010000975A (en) 2008-06-23 2010-01-07 Nissan Motor Co Ltd Vehicular seat with assist gri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5205A1 (en) 2001-03-21 2002-09-26 Oliver Steven A. One piece cab extender mounting and integrated grab handle for a mobile vehicle
US20040075298A1 (en) 2002-06-06 2004-04-22 Wong Alec C. Adjustable cab extender assembly method and apparatus
KR20060072429A (en) * 2004-12-23 2006-06-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rear spoiler
JP2010000975A (en) 2008-06-23 2010-01-07 Nissan Motor Co Ltd Vehicular seat with assist gri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3940B2 (en) Folding wagon
JP3974854B2 (en) Travel bag with folding cart
AU2016215378B2 (en) Tool stand with automatically deployable legs
US7044484B2 (en) Folding anchor structure for foldable hand trucks
US20110074134A1 (en) Qwik Fold Golf Push / Pull Cart
EP1916173A2 (en) Safety lock for an umbrella stroller
CN109178077A (en) Folding baby cart
US7909382B2 (en) Automobile
US20080093825A1 (en) Safety lock for a baby stroller
JP2007519557A (en) Folding handcart and handcart
CN111746605B (en) Folding four-wheel flat car
KR101491376B1 (en) Side spoiler grip for tractor
WO2014195753A1 (en) Cabin of a vehicle comprising a folding table
KR101591415B1 (en) Lifting apparatus for car trunkroom luggage
JP2011194968A (en) Holding structure of coupler adapter for railcar
EP3253536B1 (en) Tool stand with automatically deployable legs
CN104149837B (en) Children trolley
US9169665B1 (en) Pushrod-type tent frame
JP2010155600A5 (en)
TWM435409U (en) Landing gear of the two-wheeled vehicle
JP2016172509A (en) Foldable slope
JP2532693Y2 (en) Fork telescopic device
KR101745141B1 (en) Tilt locking apparatus of truck cab
JP5483411B2 (en) Carriage for transportation
KR20180108956A (en) Multi function luggage board assembly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