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2340A - 이동통신 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항법 장치의 목적지 지정 시스템 구현 방안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항법 장치의 목적지 지정 시스템 구현 방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2340A
KR20060072340A KR1020040110929A KR20040110929A KR20060072340A KR 20060072340 A KR20060072340 A KR 20060072340A KR 1020040110929 A KR1020040110929 A KR 1020040110929A KR 20040110929 A KR20040110929 A KR 20040110929A KR 20060072340 A KR20060072340 A KR 20060072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destination
location
vehicle navigation
navigat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승현
Original Assignee
공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승현 filed Critical 공승현
Priority to KR1020040110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2340A/ko
Publication of KR20060072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3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pplication, e.g. PDA, mobile phone or calendar appl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7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 G08G1/09688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where input information is obtained using a mobile device, e.g. a mobile phone, a PD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7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 G08G1/096894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where input is assisted by the navigation device, i.e. the user does not type the complete name of the destination, e.g. using zip codes, telephone numbers, progressively selecting from initial letter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모뎀을 장착한 자동차 항법 장치에서 목적지의 전화번호로부터 목적지의 위치를 파악하고 그 결과로부터 항법 목적지를 선정하고 적합한 항법 경로를 찾아내는 시스템을 위한 구체적인 구현 방안과 시스템 각 구성 요소들의 기능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용 대상으로 하는 자동차 항법 장치는 이동(무선) 통신 망과 접속 가능한 이동(무선) 통신 모뎀을 구비하며 목적지 위치 지정을 위한 전화번호는 유선 망 또는 이동통신 망에서 서비스되는 모든 종류의 유무선 전화 번호를 포함한다.
자동차 항법 시스템, GPS

Description

이동통신 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항법 장치의 목적지 지정 시스템 구현 방안 {A method and apparatus for a car navigation device with a mobile communication capabilities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destination utilizing mobile positioning func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적지 선정 시스템의 자동차 항법 장치에 대한 구현 방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적지 선정 시스템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대한 구현 방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및 도 2의 목적지 선정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및 도 2의 목적지 선정 시스템의 다른 동작 흐름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적지 선정 시스템의 자동차 항법 장치에 대한 또 다른 구현 방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적지 선정 시스템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대한 또 다른 구현 방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및 도 7의 목적지 선정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이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도 6및 도 7의 목적지 선정 시스템의 다른 동작 흐름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및 도 2의 목적지 선정 시스템의 다른 동작 흐름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및 도 7의 목적지 선정 시스템의 또 다른 동작 흐름도 이다.
자동차 항법 장치의 사용은 그 시동을 위하여 소모되는 시간이 적지 않아서 사용자들에게 큰 불편이 될 수 있는데, 먼저 자동차 항법 장치가 사용하는 GPS 수신기의 초기화 시간, 자동차 항법 장치의 조작을 통한 목적지 등 설정의 2 가지가 가장 많은 시간을 가져온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크게 향상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도 항법 기능을 구현하고 있는데, 이는 기존의 A-GPS (Assisted GPS) 기능의 일회성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측정용 GPS 기능(Mobile Station Assisted)이 향상되어 A-GPS 기능을 활용한 신속한 위치 측정의 기능과 기존 GPS와 같은 자체적인 연속적 위치 측정 기능이 결합되어 단말기 기반(Mobile Station Based)의 A-GPS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말기 기반의 AGPS 기술은 곧 일반 자동차 항법 장치에서도 활용되어 GPS 수신기의 초기화에 걸리는 시간을 1분 이상에서 수초(Seconds) 대로 축소시킬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자동차 항법 장치의 조작의 편리성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설명한 2번째 문제인 자동차 항법 장치의 목적지 선정 방식에 관한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기존의 자동차 항법 장치에 있어서 목적지의 선택은 주소의 입력이나 메뉴 트리(Menu Tree)를 따른 일련의 선택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과정은 자동차 항법 장치의 사용에 있어서 불편하고 복잡한 절차가 되며 시간적 소모도 적지 않다. 이러한 불편은 관련 서비스의 활성화에도 장애가 될 뿐만 아니라 운전에 사용자가 조작을 가하는 경우 커다란 위험까지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지의 선정 방식에 있어서 전화번호 등과 같은 번호 체계를 목적지의 이름이나 주소 대신 입력하는 방식을 소재로 한다. 이러한 방안은 기존의 자동차 항법 장치 내에서 이미 구현되어 활용되고 있는데, 여기에는 전화번호나 목적지의 위도 및 경도 좌표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번호 체계가 사용되기도 한다. 즉, 위치 정보와 결합된 특수 번호 데이터 베이스(Special Number DB) 또는 위치 정보와 결합된 전화번호 데이터 베이스(Phone Number DB)를 내장한 자동차 항법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목적지를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다.
그러나, 목적지의 위도 및 경도 좌표를 이용하는 특수 번호(Special Number made from Longitude and Latitude) 데이터 베이스 방식에 있어서 모든 목적지의 위도 및 경도 좌표를 사용자가 이를 미리 알고 있도록 하는 것이 어려우며 광범위한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사용자가 모든 지점의 위도 및 경도 좌표를 알고 있어야 하므로 그러한 방법의 활용이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전화번호를 이용한 목적지의 선택 방식은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대용량의 전화번호 데이터를 자동차 항법 장치에 저장해야 하며 특히, 많은 전화번호가 지속적으로 개정(Update) 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번호 체계를 활용한 목적지 선택 방식은 항법 장치 내에서의 구현 만으로는 데이터의 관리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설명한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써 전화 번호를 이용한 목적지 선정 방식을 개선하는 기술과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망과 연동하여 자동차 항법 장치에서 입력한 전화번호를 전달하고 이동통신 망에 연결된 전화번호부(Yellow Page) 서버를 통하여 전달받은 전화번호의 지리적(Geographic) 위치를 반환(Return)하거나 전달한 전화번호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파악된 단말기의 위치를 반환하는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요소 및 시스템 요소를 소개하고 이들의 연동 및 동작 흐름 방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제시 방식에 있어서 목적지를 대표하는 전화 번호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측정을 수행에 있어서 정확도 요구 정도에 따라 측정 결과를 상기 선택된 목적지로 설정하는 방법과 구체적인 구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핵심에 대한 설명에 직접적인 관련이 없거나 기지의 기술이나 이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또한 중복되는 설명이나
내용이 있는 경우, 이에 대한 설명도 생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자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목적지 선정 시스템의 자동차 항법 장치에 대한 기본적 구현 방안으로써 GPS 수신기와 제어기 및 이동통신 모뎀을 주 장치 요소로 하고 있다. 본 구성 요소는 기존의 자동차 항법 장치에서도 구비되어 있는 일반적인 장치 요소이지만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은 기존의 기능에 구비되어 있지 않다. 먼저, GPS 수신기(101)는 GPS 위성 신호를 측정하여 현재의 시간과 위치 정보를 제어기(111)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기(111)는 외부 접속(External Interface)으로부터 사용자의 항법 목적지 전화번호를 입력(Phone Number Input) 받아 이동( 무선) 통신 모뎀(Mobile Modem, 121, 이하 '이동통신모뎀' 또는 '이동통신송수신모뎀'으로 칭함)으로 전달함으로써 이동통신모뎀(121)이 입력된 항법 목적지 전화번호(PN)를 이동통신 망(Mobile Communication Network)에 전달한다. 상기 이동통신모뎀(121)은 상기 이동통신 망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항법 목적지 전화번호(PN)에 해당하는 전화기가 위치한 곳(목적지)의 위치 정보(Destination Position, DP, 위도 및 경도로 표현된 목적지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전화기가 위치한 곳의 주소 정보(Destination Address, DA)를 수신 받아 상기 제어기(111)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기(111)는 상기 이동통신모뎀(121)으로부터 입력 받은 목적지 위치(DP) 또는 목적지 주소(DA) 정보와 상기 GPS 수신기(101)로부터 출력되는 현 위치 정보(Current Position)를 항로 계산(Path Routing) 기능 블록(112, S/W 기능 블록으로써 점선 블록으로 표현함)으로 출력한다. 상기 항로 계산 기능 블록(112)은 도로 지도 데이터(113, S/W 기능 블록으로써 점선 블록으로 표현함)와 연동하여 항로를 찾게 된다. 여기서 상기 S/W 기능 블록(112와 113)은 상기 제어기(111)에서 처리되는 기능 블록들이다. 참고로, 상기 GPS 수신기(101)가 현재 자동차 항법 장치의 위치(CP)를 제어기(111)로 출력하는 과정이 다른 장치들의 동작과는 무관하므로 다른 장치들의 동작과 상관없이 진행되어도 무방하다.
도 2에는 도 1의 자동차 항법 장치와 연동하는 이동통신 망 내부의 시스템 구현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 된 각 시스템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블록 201은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자동차의 항법 장치(Navigator)를 나타낸다. 블록 211은 이동통신 망(Mobile Communication Network)을 나타내며 블록 251은 상기 자동차 항법 장치(201)의 사용자가 지정한 전화번호(이동전화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Station)를 나타낸다. 또한 블록 221은 이동통신 망 내부의 단말기 위치 정보 관리 및 서비스를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써 WCDMA(광대역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 제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UMTS)에서는 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에 해당하며 CDMA(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 또는 TDMA(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MPC(Mobile Positioning Center)에 해당한다. 블록 231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Station)에 대한 실질적인 위치 측정 서버로써 WCDMA(광대역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 제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UMTS)에서는 SAS(Standalone AGPS Server)에 해당하며 CDMA(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 또는 TDMA(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PDE(Position Determination Element)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를 이용한 목적지 선정 시스템에서는 상기 GMLC(MPC)에 전화번호부(Yellow Page) 데이터 서버(223) 및 상기 GMLC/MPC와 연동하는 항법 서버(Navigation Server, 222)가 추가되어 있다. 상기 항법 서버(222)는 상기 자동차 항법 장치(201)의 주 서비스 제공 서버이다.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 서버는 입력 받은 유선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전화기가 위치한 주소 또는 위도와 경도로 표시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이다. 도 2에서는 상기 항법 서버(222)를 GMLC/MPC에 연결된 서버로써 나타내고 있으나 망의 형태나 구조에 따라서 그 위치는 조금씩 다를 수 있다.
상기 도 1과 도 2의 시스템간의 동작은 여러 가지 경우에 대하여 조금씩 다른 상호 연동 및 동작 흐름을 갖는데, 이러한 대표적인 상호 연동 및 동작 흐름의 예를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며 이들 도면과 함께 도 1의 자동차 항법 장치가 도 2의 시스템과 연동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3은 자동차 항법 장치(201)가 유선 전화기의 위치를 목적지로 하는 경우에 상기 도 1의 장치와 및 도 2의 시스템의 기능과 이들간 동작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상기 항법 장치는 과정 301에서 이동통신망(211, Mobile Communication Network)의 GMLC/MPC(221)로 전화번호(PN)와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위치 정보의 요청을 전송(Destination Position Request with PN)한다. 상기 301 과정의 요청을 받은 GMLC/MPC(221)는 항법 서비스 요청을 전담하는 항법 서버(Navigation Server, 222)로 상기 301 과정의 요청을 전달하고 상기 요청된 목적지 전화번호(PN)가 유선전화의 전화번호(Public Phone Number)인 경우, 전화번호부 DB 서버(Yellow Page DB, 223)로 요청된 전화번호(PN)를 입력(과정 311)하고 상기 전화번호부 DB 서버(223)로부터 상기 전화번호(PN)에 해당하는 위도 및 경도 좌표(DP, Destination Position) 또는 주소 정보(DA, Destination Address) 출력을 GMLC/MPC(221) 서버로 전달(과정 321)하여 상기 요청을 최초 전송한 자동차 항법 장치(201)로 전달(과정 331)한다. (여기서, 상기 항법 서버(222)가 입력된 목적지 확인 전화번호(PN)가 유선전화의 것인지 이동통신 전화기의 것인지 판별하는 과정은 본 특허의 핵심과 무 관하고 이미 구현되어 있는 기능이므로 그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상기 자동차 항법 장치(201)가 이동통신 전화기(Mobile Station)를 목적지로 하는 경우에 상기 도 1의 장치 및 도 2의 시스템의 기능과 이들간 동작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상기 항법 장치는 과정 401에서 이동통신망(211, Mobile Communication Network)의 GMLC/MPC(221)로 전화번호(PN)와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위치 정보의 요청을 전송(Destination Position Request with PN)한다. 상기 401 과정의 요청을 받은 GMLC/MPC(221)는 항법 서비스 요청을 전담하는 항법 서버(Navigation Server, 222)로 상기 401 과정의 요청을 전달하고 상기 항법 서버(222)와 함께 목적지를 나타내는 단말기(241)의 위치 정보 제공에 대한 인가 절차를 수행한다.(본 과정은 본 발명의 핵심에서 벋어나며 기존 이동통신 표준에서 규정된 부분이므로 이에 대한 도시와 설명은 이하 모든 도면에서 생략하였음). 상기 과정 411을 수행한 상기 GMLC/MPC(221) 및 항법 서버(222)는 인가 받은 위치 정보 QoS(Quality of Service)에 따라 SAS/PDE(231)로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할 것을 요청(과정 421)한다. 상기 요청(421)에 따라, 상기 SAS/PDE(231)은 상기 단말기(241)에 대하여 QoS에 따른 위치 측정을 수행(위치 측정 방식은 QoS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된다)하고 그 결과(DP or DA)를 GMLC/MPC (221)로 출력(441)한다. 상기 과정 441의 출력은 다시 이동통신 망을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 항법 장치(201)로 전달(과정 451)된다.
이하 도 5 ~ 도 8에 소개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방안은 상기 제시한 자동차 항법 장치(도 1)가 점선으로 표시했던 기능(경로 탐색 및 도로 지도 DB) 들을 구비하지 않거나 상기 기능들을 상기 자동차 항법 장치가 아닌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결된 장비(Equipment)에서 구비되어 동작하는 경우에 대한 것들이다. 이와 같은 구현 방안이 특별히 다르게 제시되는 이유는 도로 지도 DB로부터 경로를 탐색하는 기능에 외부 망에서 얻어낸 도로 교통 정보 등이 쉽게 추가되어 종합적인 경로 탐색이 가능하도록 만든 구현 방안이기 때문이다. 즉, 상기 경로 탐색 과정이 자동차 항법 장치에서 수행되는 경우 필요한 교통 정보들을 추출하여 추출된 교통 정보들을 자동차 항법 장치로 보내는 과정이 현실적으로 데이터의 양 등을 고려할 때 비현실적이기 때문이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목적지 선정 시스템의 자동차 항법 장치에 대한 또 다른 기본적 구현 방안으로써 GPS 수신기와 제어기 및 이동통신 모뎀을 주 장치 요소로 하고 있다. 본 구성 요소는 기존의 자동차 항법 장치에서도 구비되어 있는 일반적인 장치 요소이지만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은 기존의 기능에 구비되어 있지 않다. 가장 먼저, GPS 수신기(501)는 GPS 위성 신호를 측정하여 현재의 시간과 위치 정보를 제어기(511)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기(511)는 외부 접속(External Interface)으로부터 사용자의 항법 목적지 전화번호를 입력(Phone Number Input) 받아 이동(무선) 통신 모뎀(Mobile Modem, 521, 이하 '이동통신모뎀' 또는 '이동통신송수신모뎀'으로 칭함)으로 상기 현재의 위치 정보와 함께 전달함으로써 이동통 신모뎀(521)이 입력된 항법 목적지 전화번호(PN)를 이동통신 망(Mobile Communication Network)에 전달한다. 상기 이동통신모뎀(521)은 상기 이동통신 망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항법 목적지 전화번호(PN)에 해당하는 전화기가 위치한 곳(목적지)을 찾아가기 위한 항법 경로 정보(Route Information)를 수신 받아 상기 제어기(511)로 출력한다.
도 6에는 도 5의 자동차 항법 장치와 연동하는 이동통신 망 내부의 시스템 구현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 된 각 시스템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블록 601은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자동차의 항법 장치(Navigator)를 나타낸다. 블록 611은 이동통신 망(Mobile Communication Network)을 나타내며 블록 641은 상기 자동차 항법 장치(601)의 사용자가 지정한 전화번호(이동전화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Station)를 나타낸다. 또한 블록 621은 이동통신 망 내부의 단말기 위치 정보 관리 및 서비스를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써 WCDMA(광대역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 제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UMTS)에서는 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에 해당하며 CDMA(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 또는 TDMA(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MPC(Mobile Positioning Center)에 해당한다. 또한, 블록 631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Station)에 대한 실질적인 위치 측정 서버로써 WCDMA(광대역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 제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UMTS)에서는 SAS(Standalone AGPS Server)에 해당하 며 CDMA(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 또는 TDMA(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PDE(Position Determination Element)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를 이용한 목적지 선정 시스템에서는 상기 GMLC(MPC)에 전화번호부(Yellow Page) 데이터 서버(623) 및 상기 GMLC/MPC와 연동하며 입력 받은 자동차 항법 장치의 현재 위치(CP) 및 목적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DP or DA)로부터 전자지도DB(624)와 연동하여 최적의 경로를 탐색하는 항법 서버(Navigation Server, 622)가 추가되어 있다. 상기 항법 서버(622)는 상기 자동차 항법 장치(601)의 주 서비스 제공 서버이다.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 서버(Yellow Page Server)는 입력 받은 유선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전화기가 위치한 주소 또는 위도와 경도로 표시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이다. 도 6에서는 상기 항법 서버(622)를 GMLC/MPC에 연결된 서버로써 나타내고 있으나 망의 형태나 구조에 따라서 그 위치는 조금씩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항법 서버(622)는 도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전자지도DB(Digital Map DB, 624)와 연동된다.
상기 도 3, 4의 구현 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도 5과 도 6의 시스템간의 동작은 여러 가지 경우에 대하여 조금씩 다른 상호 연동 및 동작 흐름을 갖는데, 이러한 대표적인 상호 연동 및 동작 흐름의 예를 도 7, 8에 도시하며 이들 도면과 함께 도 5의 자동차 항법 장치가 도 6의 시스템과 연동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7은 자동차 항법 장치(601)가 유선 전화기의 위치를 목적지로 하는 경우에 상기 도 5의 장치와 및 도 6의 시스템의 기능과 이들간 동작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상기 항법 장치는 과정 701에서 이동통신망(611, Mobile Communication Network)의 GMLC/ MPC(621)로 목적지의 전화번호(PN)와 상기 자동차 항법 장치(601)의 현재 위치(CP) 정보를 전송하면서 동시에 상기 목적지 전화번호의 위치로 진행하기 위한 경로 정보(Route Information)의 요청을 전송(Route Request with CP and PN)한다. 상기 701 과정의 요청을 받은 GMLC/MPC(621)는 항법 서비스 요청을 전담하는 항법 서버(Navigation Server, 622)로 상기 701 과정의 요청을 전달한다(과정 711). 상기 과정 711의 요청을 받은 항법 서버(622)는 상기 요청된 목적지 전화번호(PN)가 유선전화의 전화번호(Public Phone Number)인 경우, 전화번호부 DB 서버(Yellow Page DB, 623)로 요청된 전화번호(PN)를 다시 전달(과정 721)하고 상기 전화번호부 DB 서버(623)로부터 상기 전화번호(PN)에 해당하는 유선전화의 설치된 위도 및 경도 좌표(DP, Destination Position) 또는 주소 정보(DA, Destination Address)를 출력 받은 이후 전자지도DB(624)와 연동하여 상기 자동차 항법 장치(601)의 현재 위치(CP)에서 목적지(DP or DA)까지의 최적 경로를 찾아낸다. 상기 찾아진 최적 경로 정보는 상기 항법 서버(622)로부터 상기 GMLC/MPC(621)로 전달(741)되고 상기 GMLC/MPC(621)는 다시 상기 자동차 항법 장치로 최종 전달(과정 751)한다.
도 8는 상기 자동차 항법 장치(601)가 이동통신 전화기(Mobile Station)의 위치를 목적지로 하는 경우에 상기 도 5의 장치 및 도 6의 시스템의 기능과 이들간 동작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상기 항법 장치는 과정 801에서 이동통신망(611, Mobile Communication Network)의 GMLC/MPC(621)로 전화번호(PN)와 상기 자동차 항법 장치(601)의 현재 위치(CP) 및 상기 목적지 전화번호의 위치로 진행하기 위한 경로 정보(Route Information)의 요청을 전송(Route Request with CP and PN)한다. 상기 801 과정의 요청을 받은 GMLC/MPC(721)는 목적지를 나타내는 단말기(641)에 대한 위치 측정을 상기 SAS/PDE (631)에 전달(811)한다. 상기 과정 811 직전에 상기 도 4의 과정 411과 같이, 상기 GMLC/MPC(621)은 상기 단말기(641)과 위치 정보 제공에 대한 QoS 협의를 거칠 수 있다. (본 과정에 대한 내용은 상기 도 8에서는 중복되는 내용으로써 생략하였다) 상기 요청(811)에 따라, 상기 SAS/PDE(631)은 상기 단말기(641)에 대하여 QoS에 따른 위치 측정을 수행(과정 821, 위치 측정 방식은 QoS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된다)하고 그 결과(DP or DA)를 GMLC/MPC (621)로 출력(831)한다. 상기 GMLC/MPC(621)는 상기 과정 831의 출력인 단말기(641)의 위치 정보와 상기 자동차 항법 장치(601)의 위치 정보(CP)를 항법 서버(622)로 전달함과 최적 경로에 대한 탐색을 요청(과정 841)한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항법 서버(622)는 전자지도DB(624)와 연동하여 최적 경로를 찾아내고 이를 상기 GMLC/MPC(621)로 출력하여 다시 상기 자동차 항법 장치(601)로 전달되도록 한다(과정 861).
도 9와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방식의 흐름도를 갖는 동작 구현 방안으로써 목적지를 나타내는 대상 단말기(241)가 모든 과정을 시작하는 방식의 동작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과정 901에서 단말기(241)는 상기 SAS/PDE(231)로 위치 측정을 요구하고 과정 911에서 상기 단말기(241)에 대한 위치 측정이 수행된다. 다시 과정 921에서 측정된 위치 결과를 전달받은 상기 단말기(241)는 다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자동차 항법 장치(201)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자동차 항법 장치(201)가 상기 단말기(241)의 위치를 전달 받게 된다. 이하의 과정은 상기 자동차 항법 장치(201)가 상기 입력된 목적지 위치를 활용하여 항법 경로를 찾는 내용으로 상기 설명한 도 1의 기능의 일부를 반복 설명하는 것이므로 생략한다.
도 10은 도 9의 경우와 같이 목적지를 나타내는 대상 단말기(641)에 의하여 도 6의 항법 시스템이 시동되는 상황을 제시하는 또 다른 동작 방안이다. 먼저, 과정 1001, 과정 1011, 과정 1021 및 과정 1031은 상기 도 9의 과정 901, 과정 911, 과정 921 및 과정 931과 각각 동일한 내용을 수행하는 과정으로써 대상 단말기(641)와 SAS/PDE(631) 및 자동차 항법 장치(601)간의 동작 흐름도이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과정을 수행한 이후, 상기 자동차 항법 장치(601)는 다음 과정인 과정 1041에서 현재 위치(CP)와 목적지 위치(DP 또는 DA)를 상기 GMLC/MPC(621)로 전송하여 경로 탐색을 요청한다. 상기 과정 1041의 요청은 다시 과정 1051에서 항법 서버(622)로 전달되어 상기 항법 서버(622)가 전자지도DB(624)와 연동하여 상기 자동차 항법 장치(601)가 요구하는 최적 경로를 탐색하도록 한다. 이상의 과정에서 탐색된 최적 경로는 다시 상기 항법 서버(622)로부터 상기 GMLC/MPC (621)을 거쳐 상기 자동차 항법 장치(601)로 전달된다. 이후의 과정은 상기 도 9에서 생략된 이 후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또한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과 연계되는 대부분의 자동차 항법 장치에 있어서 AGPS와 같은 이동통신 망과 연동하는 과정에서 손쉬운 사용자 설정(User Interface)으로 목적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고정된 유선 전화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목적지로 선정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전화기의 위치를 자동차 항법 장치의 목적지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적지에 위치한 이동전화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주소를 알 수 없는 경우에도 상기 설명한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항법 장치를 가진 상대방이 쉽게 자신을 찾아올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

Claims (8)

  1.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목적지의 위치를 설정하는 자동차항법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항법장치가 GPS 수신기와 이동통신송수신모뎀 및 전자지도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성되고,
    상기 자동차항법장치의 이동통신송수신모뎀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 전화번호에 대한 위치 확인 요청을 원격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1 절차와,
    상기 원격 시스템의 응답 메시지를 통하여 목적지의 위치를 전달 받아 목적지의 위치를 설정하는 제2 절차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항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항법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원격 시스템이 유선전화번호의 설치 위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자동차항법장치가 유선전화번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유선전화번호의 설치 위치 또는 주소정보를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항법장치의 목적지 선정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시스템이 이동통신 망의 단말기 위치 측정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자동차항법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대한 위치 확인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위치 측정 서버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측정을 요청하고 측정된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자동차항법장치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항법장치의 목적지 선정 시스템.
  4.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목적지의 위치를 설정하는 자동차항법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항법장치가 GPS 수신기와 이동통신송수신모뎀을 구비하며 상기 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성되고,
    상기 자동차항법장치의 이동통신송수신모뎀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GPS 위치와 목적지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경로탐색 요청 메시지를 원격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1 절차와,
    상기 원격 시스템의 응답 메시지를 통하여 최적 경로 정보를 전달 받는 제2 절차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항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항법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상기 원격 시스템이 유선전화번호의 설치 위치 데이터베이스 및 전자지도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자동차항법장치가 유선전화번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유선전화번호의 설치 위치 또는 주소정 보를 목적지로 하는 경로 탐색을 수행하고 상기 탐색된 최적경로 정보를 상기 자동차항법장치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항법장치의 최적경로 선정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시스템이 유선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 및 전자지도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이동통신 망의 단말기 위치 측정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자동차항법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대한 위치 확인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위치 측정 서버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측정을 요청하고 측정된 단말기의 위치를 목적지로 하는 경로 탐색을 수행하여 상기 탐색된 최적경로 정보를 상기 자동차항법장치로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항법장치의 최적경로 선정 시스템.
  7. GPS 수신기와 이동통신송수신모뎀 및 전자지도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성된 자동차항법장치가,
    목적지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전달 받는 제1 절차와,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상기 자동차항법장치의 목적지로 선정하는 제2 절차 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항법장치.
  8. GPS 수신기와 이동통신모뎀을 구비하며 상기 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성되며 전자지도 데이터베이스를 갖춘 원격 시스템과 이동통신 망을 통하여 연동하는 자동차항법장치가,
    목적지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전달 받는 제1 절차와,
    상기 전달 받은 위치 정보와 상기 자동차항법장치의 GPS 위치를 상기 원격 시스템으로 전달하여 경로 탐색을 요청하는 제2 절차와,
    상기 원격 시스템을 통하여 최적 경로를 응답 받는 제3 절차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항법장치.
KR1020040110929A 2004-12-23 2004-12-23 이동통신 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항법 장치의 목적지 지정 시스템 구현 방안 KR20060072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929A KR20060072340A (ko) 2004-12-23 2004-12-23 이동통신 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항법 장치의 목적지 지정 시스템 구현 방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929A KR20060072340A (ko) 2004-12-23 2004-12-23 이동통신 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항법 장치의 목적지 지정 시스템 구현 방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340A true KR20060072340A (ko) 2006-06-28

Family

ID=37165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929A KR20060072340A (ko) 2004-12-23 2004-12-23 이동통신 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항법 장치의 목적지 지정 시스템 구현 방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23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38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outing, mapping, and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to users of a communication network
US6389290B1 (en) Enhanced weather and traffic information from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67661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rectional information
US7474896B2 (en) Locating system and method
EP1710600A1 (en) Subscriber Identity Module with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receiver and antenna
US6940451B2 (en) Provision of navigation information
AU2002320609A1 (en)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US7209827B2 (en) Server apparatus,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N103134502A (zh) 导航方法、导航系统及网络服务器
US20060161343A1 (en) Mobile navigation
KR100802090B1 (ko) 3차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47941B1 (ko) 이동통신망과 차량 네비게이션을 연동한 주차장안내서비스 방법
KR20060099782A (ko) 유무선인터넷 기반 다수단간 통합경로안내시스템 및 방법
KR10130124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위치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72340A (ko) 이동통신 망과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항법 장치의 목적지 지정 시스템 구현 방안
Millar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cellular network—an overview
US7738878B2 (en) Method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unit using a wireline telephone number
KR100911292B1 (ko) 로밍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KR100860783B1 (ko) 발신자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CN105823488A (zh) 一种导航方法和装置
SE518173C2 (sv) Talstyrd telefonitjänst för att ge positionsrelaterad information för ett geografiskt objekt
KR2006005836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경로를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방법
KR20080049003A (ko) 발신자 위치 기반 가치정보 제공 서버
Millar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Cellular Network-an Overview
KR20070074992A (ko) 양방향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버스운행정보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