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9003A - 발신자 위치 기반 가치정보 제공 서버 - Google Patents

발신자 위치 기반 가치정보 제공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9003A
KR20080049003A KR1020080046282A KR20080046282A KR20080049003A KR 20080049003 A KR20080049003 A KR 20080049003A KR 1020080046282 A KR1020080046282 A KR 1020080046282A KR 20080046282 A KR20080046282 A KR 20080046282A KR 20080049003 A KR20080049003 A KR 20080049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terminal
caller
origin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6122B1 (ko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080046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122B1/ko
Publication of KR20080049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9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12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자 위치 기반 가치정보 제공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발신자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측위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수단 및 상기 수신된 발신자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기반 가치정보를 수신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무선 측위 기술, 이동통신 시스템, 발신 서비스

Description

발신자 위치 기반 가치정보 제공 서버{Server for Providing Value Information Caller Location Base}
도1은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위치 기반 가치 정보, 그리고 발신자 위치 정보 등을 생성 가공하여 착신 단말기의 CID에 첨부하여 전송하는 시스템에 대한 간단한 블록도이다.
도2는 측위 게이트웨이가 발신 단말기의 수치적인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3은 이동 통신 시스템과 착신 단말기에 최적화된 발신자 위치 정보를 가공하여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4 위치 기반 가치정보가 포함된 발신자 표시 서비스를 제공받는 간단한 단말기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 제공자 105 : 발신자 위치 정보 가공부
110 : DBMS 115 : 측위 게이트웨이
120 : 발신자 측 이동통신 시스템 125 : 교환기
*130 : 착신자 측 이동통신 시스템 135 : 발신 단말기
140 : 착신 단말기
본 발명은 발신자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측위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수단 및 상기 수신된 발신자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기반 가치정보를 수신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발신자 위치 기반 가치정보 제공 서버에 관한 것이다.
발신자 표시 서비스는 디지털 교환기와 공통선 신호 방식 No.7(Common Channel Signaling #7)을 기반으로 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로서, 1970년대에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의 부가서비스 중 한가지로 등장하였다. 발신자 표시 서비스는 발신자 위주의 현행 전화 통화 관행을 발신자와 수신자가 서로 대등한 관계가 되도록 수정 보완한 전화 통화 방식으로서, 발신자가 전화를 걸 때 착신자를 선택하는 것처럼, 착신자 역시 전화를 받을 때 발신자가 누구인지 확인을 하고 통화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발신자 표시 서비스는 발신자와 착신자의 통화 연결과정에서 첫 번째 전화벨이 울리고 두 번째 전화벨이 울리기 전에, 착신자 단말기에 발신자의 전화 번호를 출력시키며, 만약 발신자 전화 번호가 착신자 단말기의 주소록에 있는 전화 번호와 동일한 경우 발신자 이름까지 출력시키도록 함으로서, 착신자가 전화를 받기 전에 발신자가 누구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방법이다.
또한, 발신자 표시 서비스는 착신자가 통화 중 이거나, 또는 부재중일 때도 통화 연결을 시도한 발신자가 누구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 착신자의 단말기에 표시된 발신자 전화 번호를 회신 번호(Callback Number)로 이용함으로서, 추가적인 전화 번호 재입력 없이 발신자와 즉시 통화할 수 있으며, 발신자의 요청에 의해 발신자 본인의 정보가 착신 단말기 화면에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발신 번호 표시 방지 서비스와, 착신자의 요청에 의해 착신 단말기에 표시되지 않는 익명 발신자의 통화 연결을 선택적으로 거부할 수 있는 익명 전화 수신 거부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이 있다.
한편, 무선 통신 또는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에는 GPS 칩셋을 단말기 내부에 내장하는 GPS 기반 무선 측위 방법과,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통신망 기반 무선 측위 방법 등이 있으며, 각각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GPS 기반 무선 측위 기술은 24개의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위성 신호를 해석함으로써, 무선 단말기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시간에 관계없이 획득할 수 있도록 고안된 위치 추적 기술이다. 최근 GPS 위선 신호에 포함되었던 고의적 오차(Selective Availability)가 제거됨으로써, GPS 기반 무선 측위의 정확도 및 실용 가능성이 향상되었으며, 안테나의 재설계 및 다중상관기를 이용한 다중경로의 완화와 의사위성 또는 통신망의 결합에 의한 도심에서의 DOP(Dilution Of Precision) 등이 향상되고 있다.
현재, GPS 기반 무선 측위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지며, 첫 번째는 저전력의 GPS 칩셋을 무선 단말기에 내장하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에 GPS 모듈을 부착하는 방식에 의해 GPS가 탑재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 자체에서 위치를 구하는 방식이고, 두 번째는 3분~10분에 이르는 GPS의 긴 워밍업 시간을 없애기 위해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에서 위성궤도정보를 무선 단말기에 전달하고, 무선 단말기는 위성으로부터의 의사거리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함으로써, 기지국에서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짧은 시간 안에 구하는 방식이다.
*통신망 기반 무선 측위 기술은 정확한 위치를 알고 있고, 고정되어 있는 기지국에서 무선 단말기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무선 단말기의 2차원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고안된 위치 추적 기술이다. 기지국과 무선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측정 하는 방법은 신호의 전달 시간을 상관기와 DLL(Delay Lock Loop)을 통해 계산하며,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경우, 무선 단말기에서 기지국에 전송하는 시각의 차이를 관찰함으로써, 무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경우, 기지국마다 설정되어 있는 PN(Pseudo random Noise) 코드를 신호 처리함으로써, 무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만약 3개 이상의 기지국에서 무선 단말기와 각각의 기지국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게 되면, 삼각 측량법에 의해 무선 단말기에 대한 2차원 위치 정보를 해석할 수 있게 된다.
무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방법은 전파 도달 각(Angle Of Arrival; AOA)을 이용하는 방법과 전파 도달 시간의 상관 관계 등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전파 도달 시간의 상관 관계를 이용하는 경우, 무선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신호를 보내는 경우(Backward Link)에는 TOA(Time Of Arrival), 기지국에서 무선 단말기로 신호를 보내는 경우(Forward Link)에는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또는 EOTD(Enhanced Observed Time Difference) 방법 등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신자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측위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수단 및 상기 수신된 발신자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기반 가치정보를 수신 단말기로 전송 되도록 처리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발신자 위치 기반 가치정보 제공 서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 위치 기반 가치정보 제공 서버는, 발신자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측위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수단 및 상기 수신된 발신자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기반 가치정보를 수신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위치 기반 가치정보는, 상기 발신자가 기 등록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특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다음의 도면과 설명은 본 발명을 적절하게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대표적인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다음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측위 방법에 대하여 GPS 방식과 통신망 방식의 측위 방법에 대하여 다루고 있으나, 무선 단말기가 블루투스(Bluetooth)나 와이파이(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유선 인터넷 망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접속 포인트를 통해 해당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할 수도 있으며, 통신망 방식의 측위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파일롯 신호를 이용한 무선 측위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무선 단말기의 핸드오프를 처리하기 위해 기지국에 기본적으로 저장되는 단말기 정보를 바탕으로 발신 단말기에 대한 대략적인 위치를 추적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무선 측위 기술이 특정 분야의 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도면1은 GPS 기반 무선 측위 방식, 또는 통신망 기반 무선 측위 방식을 통해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위치 기반 가치 정보, 그리고 발신자 위치 정보 등을 생성 가공하여 착신 단말기의 CID에 첨부하여 전송하는 시스템에 대한 간단한 블록도이다.
발신 단말기(135)의 위치를 추적하거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GPS 기반 무선 측위 방식이나, 기지국과 발신 단말기(135)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후 삼각 측량법을 시용하여 발신 단말기(135)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망 무선 측위 방식 등이 있으며, GPS 기반 무선 측위 방식은 발신 단말기(135)에 탑재되어 있는 GPS 칩셋을 이용하여 발신 단말기(135)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고, 통신 무선 측위 방식은 단말기에 특별한 장치가 탑재될 필요는 없지만, 비교적 정확한 위치 정보 획득을 위해 3개 이상의 기지국에서 발신 단말기(135)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측위 게이트웨이(115)는 이동 통신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대한 관제 및 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으로써, GPS 방식 또는 통신망 방식의 측위 방법에 의해 얻어진 무선 단말기의 수치적인 위치 정보와 기지국 정보 등을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 제공자(100)에게 전달하는 유·무선 인터넷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대표적인 측위 게이트웨이(115)의 역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측위 게이트웨이(115)의 첫 번째 역할은,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처리하여 경도와 위도와 같은 수치적인 위치를 계산하고, 좌표 변환 등을 수행하여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무선 단말기 또는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GPS 무선 측위 방식에서 사용하는 지구 타원체 좌표계는 발신자 위치 정보를 서비스하는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 제공자(100)가 사용하는 좌표계가 다르며, 통신망 기반 무선 측위 방식에서 사용하는 좌표계와도 서로 다르다. 따라서, 측위 게이트웨이(115)는 각각의 무선 측위 방식을 통해 획득되는 무선 단말기의 수치적인 위치 정보를 표준화된 형태로 좌표 변환해야만 한다. 상기 과정에서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기지국에 강제적으로 알리도록 SMS(Short Message Service)나 WAP Push 기능을 이용하여 명령할 수 있다. CDMA 방식의 경우, 기지국과 무선 단말기 사이의 위치 계산을 위한 정보 교환은 IS-801규약을 이용한다.
측위 게이트웨이(115)의 두 번째 역할은, 무선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100) 등을 인증(authorization)하고, 인증 받은 서비스 제공자(100)에게 보내는 위치 정보를 암호화(Encryption)한다. 본 발명에서 측위 게이트웨이(115)는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 제공자(100)에게 전송하는 발신 단말기(135)의 위치 정보를 암호화함으로써, 발신자의 개인 정보가 부적절한 방법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차단한다. 이 과정에서 측위 게이트웨이(115)는 일반적인 무선 인터넷 암호화 기술은 WTLS(Wireless Transport Layer Security)나 E2E(End To End) 보안 기술은 물론, PKI(Public Key Infrastructure)와 같은 암호화 알고리즘 등을 사용한다.
측위 게이트웨이(115)의 세 번째 역할은, 무선 측위가 적용되는 무선 단말기와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 제공자(100)와 같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자(100) 등을 등록하고, 관리 유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 제공자(100)는 측위 게이트웨이(115)에 기본적으로 등록되어 있지만, 무선 측위가 적용되는 무선 단말기는 측위 게이트웨이(115)가 요구하는 절차를 통해 등록해야만 한다.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 제공자(100)는 측위 게이트웨이(115)로부터 전송되는 발신 단말기(135)의 위치 정보로부터 착신 단말기(140)에 전송되는 위치 기반 가치 정보와 발신자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발신 단말기(135)의 위치 정보로부터 위치 기반 가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 기반 참조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는 D/B들이 연동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110)을 탑재하고 있으며, 상기 DBMS(110)로부터 추출된 위치 기반 참조 정보와 측위 게이트웨이(115)로부터 전송되는 발신 단말기(135) 위치 정보를 통해 위치 기반 가치 정보와 발신자 위치 정보를 생성 가공할 수 있는 발신자 위치 정보 가공부(105) 등이 탑재되어 있다.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 제공자(100)의 DBMS(110)에는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 사용자 D/B를 포함하여, 도심과 각 지방의 상세한 위치를 표현할 수 있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B, 디지털 지도 D/B, 그리고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착신 단말기(140)의 시스템 정보 D/B와 같이, 발신 단말기(135) 위치 정보로부터 위치 기반 가치 정보와 발신자 위치 정보 등을 추출하는데 필요한 모든 종류의 위치 기반 참조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는 D/B 등이 연동되어 있으며, DBMS(110)로부터 추출되는 위치 기반 참조 정보는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과 착신자의 특징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위치 기반 가치 정보나 발신자 위치 정보에는 “동경 128 북위 36.5”라는 수치적인 위치 정보나 “서울 강남구 논현동”이라는 단순한 위치 정보보다는 “회사에서 근무 중”이나 “거래처와 상담 중”이라는 위치 기반 가치 정보가 탑재되며, DBMS(110)는 이와 같은 위치 기반 가치 정보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위치 기반 참조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발신자 위치 정보 가공부(105)는 측위 게이트웨이(115)로부터 전송되는 수치 적인 위치 정보와 DBMS(110)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위치 기반 참조 정보를 결합하여, 위치 기반 가치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위치 기반 가치 정보의 종류는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과 착신 단말기(140) 시스템 성능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착신자 측 이동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낮은 경우에는 문자 기반 발신자 위치 정보를 서비스하며, 착신자 측 이동 통신 시스템(130)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착신 단말기(140)의 처리 능력이 향상된 경우에는 발신자 위치 정보를 이미지 데이터나 착신 단말기(140)의 VM(Virtual Machine에서 구동 가능한 형태로 가공하여 전송한다. 특히, 발신자 위치 정보가 이미지 형태로 가공되는 경우, GIS D/B나 디지털 지도 D/B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지도상에 발신자의 위치를 표시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착신 단말기(140)의 VM에서 구동 가능한 형태로 가공되는 경우, 유선 인터넷 상의 플래시 애니메이션과 같이 무선 인터넷 기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형태로 발신자 위치 정보가 가공되어 전송된다.
도면2는 측위 게이트웨이(115)가 발신 단말기(135)의 수치적인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무선 측위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GPS 기반 무선 측위 방식과 통신망 기반 무선 측위 방식을 모두 사용한다. 따라서, 발신 단말기(135)의 전원이 입력되어 발신 단말기(135)가 이동 통신 시스템과 연결되 면(200), 측위 게이트웨이(115)는 발신자 측 이동 통신 시스템(120)의 HLR(Home Location Register)/VLR(Visitor Location Register)이나 각 기지국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기 정보, 또는 단말기와 이동 통신 시스템 사이에 송수신되는 정보 등을 분석하여 발신 단말기(135)에 GPS 칩셋이 탑재되어 있는지 확인한다(205). 만약 발신 단말기(135)에 GPS 칩셋이 탑재되어 있다면(210), 측위 게이트웨이(115)는 GPS 기반 무선 측위 방식을 전환되며(215), 반대로 발신 단말기(135)에 GPS 칩셋이 탑재되어 있지 않다면 측위 게이트웨이(115)는 통신망 기반 무선 측위 방식으로 전환된다.
발신 단말기(135)에 GPS 칩셋이 탑재되어 GPS 기반 무선 측위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210), 발신 단말기(135)에 탑재되어 있는 GPS 칩셋은 위성 궤도에 있는 GPS 위성으로부터 발신 단말기(135)에 대한 3차원 위치 정보와 내부 알고리즘을 통해, 발신 단말기(135)의 현재 위치를 계산한 후, 이것을 측위 게이트웨이(115)로 전송한다(220). 이 때, 발신 단말기(135)에 탑재되어 있는 GPS 칩셋은 저전력 기술을 바탕으로 구동되며, 발신 단말기(135)에서 측위 게이트웨이(115)로 전송되는 위치 정보 역시 이동 통신 시스템에 부하를 주지 않는 범위에서 최적화된다.
그러나, 발신 단말기(135)에 GPS 칩셋이 탑재되어 있지 않다면(225), 측위 게이트웨이(115)는 핸드오프를 위해 각각의 기지국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기 정보로부터 발신 단말기(135)에 대한 기지국 정보를 확인한 후, 해당 기지국에서 발신 단 말기(135)와 거리를 측정한다(230). 이 때 발신 단말기(135)의 정확한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3개 이상의 기지국에서 발신 단말기(135)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하지만, 그 이하의 조건에서도 대략적인 발신 단말기(135)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235). 상기와 같이 각각의 기지국으로부터 발신 단말기(135)와의 거리가 획득되면, 측위 게이트웨이(115)는 각 기지국에 대한 고정된 위치 정보와 발신 단말기(135) 사이의 위치 정보 등으로부터 삼각 측량법을 이용한 통신망 기반 무선 측위 방식을 통해 발신 단말기(135)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이 때, 발신 단말기(135)에는 특별한 장치가 탑재될 필요가 없으며, 발신 단말기(135)와 기지국 사이의 파일롯 신호를 통해 발신 단말기(135)의 위치를 획득하기 때문에, 발신 단말기(135)의 위치 추출을 위해 발신 단말기(135)와 기지국 사이의 추가적인 데이터 통신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발신 단말기(135)의 위치 정보가 획득되면, 측위 게이트웨이(115)는 해당 발신 단말기(135) 위치 정보를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 제공자(100)가 사용하는 좌표계로 변환하며(240), 이렇게 변환된 발신 단말기(135) 위치 정보는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 제공자(100)에게 즉시 전송된다(245). 상기 과정은, 발신 단말기(135)가 이동 통신에 연결된 후, 발신 단말기(135)의 전력을 심각하게 소모하지 않는 저전력 상태와 이동 통신 시스템에게 부하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도면3은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 제공자(100)에 탑재되어 있는 발신자 위치 정보 가공부(105)가 측위 게이트웨이(115)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와 DBMS(110)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기반 참조 정보를 바탕으로 위치 기반 가치 정보를 생성하고, 발신 단말기(135)가 착신 단말기(140)에 전화를 걸어 CID 서비스가 개시되는 시점에서, 착신자 측 이동 통신 시스템과 착신 단말기(140)에 최적화된 발신자 위치 정보를 가공하여 착신 단말기(140)로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발신 단말기(135)의 전원이 입력되어 발신 단말기(135)가 이동 통신 시스템과 연결되면(300),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 제공자(100)는 발신 단말기(135)에 대한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 요청자의 요구를 분석한다(305). 일반적으로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 요청자는 해당 발신 단말기(135) 사용자이지만, 경우에 따라 발신 단말기(135) 사용자 이외의 제3자가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 단말기(135)를 미성년자가 사용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부모가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으며, 발신 단말기(135)가 기업의 업무용인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의 상급자가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를 요청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 제공자(100)는 해당 발신 단말기(135) 사용자 또는 해당 발신 단말기(135)에 대한 적법한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요청자의 요구를 분석한 후, DBMS(110)로부터 해당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 제공자(100)가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 기반 참조 정보를 추출한 다(310).
그리고, 측위 게이트웨이(115)로부터 발신 단말기(135)에 대한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315),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 제공자(100)에 탑재되어 있는 발신자 위치 정보 가공부(105)는 측위 게이트웨이(115)로부터 수신된 발신 단말기(135) 위치 정보와 DBMS(110)에서 추출된 위치 기반 참조 정보 등을 결합하여, 발신 단말기(135)에 대한 위치 기반 가치 정보를 생성하며(320), 상기 과정은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가 개시되거나 발신 단말기(135)가 이동 통신 시스템과의 연결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한다(325).
만약 발신 단말기(135)가 착신 단말기(140)에 전화를 걸어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가 개시되었다면(330), 발신자 위치 정보 가공부(105)는 착신자 측 이동 통신 시스템과 착신 단말기(140)에 대한 시스템 성능 분석을 실행한다(335). 일반적으로 착신 단말기(140)는 단말기 제조 회사나 모델에 따라 다양한 성능을 지니고 있으며, 착신자 측 이동 통신 시스템에 따라서도 가능한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 제공자(100)는 발신 단말기(135)가 착신 단말기(140)에 전화를 걸어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가 개시되는 시점에서 착신자 측 이동 통신 시스템과 착신 단말기(140)에 대한 성능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위치 기 반 가치 정보를 해당 착신자에 출력 가능한 발신자 위치 정보로 가공할 수 있다(340).
착신자 측 이동 통신 시스템과 착신 단말기(140)에 대한 성능 분석이 완료되면, 위치 기반 발신 서비스 제공자(100)의 발신자 위치 정보 가공부(105)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생성된 위치 기반 가치 정보를 착신 단말기(140)에서 CID의 용도로 출력 가능한 발신자 위치 정보로 가공한다. 그리고, 착신 단말기(140)에 출력 가능한 상태로 가공된 발신자 위치 정보를 착신 단말기(140)로 전송되는 CID 정보에 포함시킴으로써(345), 발신자 위치 정보를 착신 단말기(140)로 전송한다(350).
도4는 위치 기반 가치정보가 포함된 발신자 표시 서비스를 제공받는 간단한 단말기 예시도이다.
본 도면은 위치 기반 가치정보가 포함된 발신자 표시 서비스를 신청한 클라이언트의 무선 단말기로 발신자의 위치 기반 가치정보가 제공되어 수신되는 예시도로써, 0xx-xxx-xxxx라는 번호를 가지고 있는 클라이언트에게서 통화가 걸려올 때, 착신자의 무선 단말기에는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의 위치 기반 가치정보가 표시된다.
본 도면에서는 `서울 강남구 논현동`이라는 단순 위치정보 및 상기 발신 클라이언트의 위치 기반 가치정보인 `회사-근무중`이라는 발신 표시가 포함되어 전송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기반 가치정보가 포함된 발신자 표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통화 개시를 실시하는 착신자의 무선 단말기에 상기 통화 개시를 요구하는 발신자의 위치기반 정보가 포함된 발신자 표시를 확인하여 상기 발신자의 위치 및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모 클라이언트는 자녀들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를 통해서 그들의 위치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발신자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측위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수단; 및
    상기 수신된 발신자 무선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기반 가치정보를 수신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위치 기반 가치정보 제공 서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반 가치정보는,
    상기 발신자가 기 등록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위치 기반 가치정보 제공 서버.
KR1020080046282A 2008-05-19 2008-05-19 발신자 위치 기반 가치정보 제공 서버 KR100886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282A KR100886122B1 (ko) 2008-05-19 2008-05-19 발신자 위치 기반 가치정보 제공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282A KR100886122B1 (ko) 2008-05-19 2008-05-19 발신자 위치 기반 가치정보 제공 서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5919A Division KR100860783B1 (ko) 2006-12-11 2006-12-11 발신자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003A true KR20080049003A (ko) 2008-06-03
KR100886122B1 KR100886122B1 (ko) 2009-02-27

Family

ID=39804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282A KR100886122B1 (ko) 2008-05-19 2008-05-19 발신자 위치 기반 가치정보 제공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1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2321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디비콤 Ict 기반 요구조자 단말의 위치 검출 시스템과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697A (ko) * 2001-03-17 2001-06-05 박용한 지피에스 단말기를 통한 위치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2321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디비콤 Ict 기반 요구조자 단말의 위치 검출 시스템과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6122B1 (ko) 200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5048B2 (en) Method and/or apparatus for location privacy via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 provisioning
RU2460229C2 (ru) Способ согласования версии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й плоскости
US8447325B2 (en) Mobile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6839022B1 (en) Network support for subscriber access to mobile caller location information
KR101008507B1 (ko) 역 광고 sms에 의해 개시되고 촉발되는 supl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분실된 및/또는 도난된 전화의 위치 결정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2008535426A (ja) ユーザ装置の位置を特定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20060101790A (ko) 위치 정보의 제공
US78015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veying location-granularity preferences with location-based service requests
JP2015528099A (ja) ユーザ装置の測位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7518327A (ja) 訪問されているネットワーク内における位置情報の提供
WO2003045084A2 (en) Provision of location information
US20060173612A1 (en) Method of distributing the location data of a mobile device
TW2005322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a position estimate of a mobile station using network information
US20130237251A1 (en) Position measurement system, position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position information administration device, and position measurement method
US20110223909A1 (en) Roaming gateway enabling location based services (LBS) roaming for user plane in CDMA networks without requiring use of a mobile positioning center (MPC)
KR100785100B1 (ko) 발신자 위치정보가 결합된 발신인 표시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KR100860783B1 (ko) 발신자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KR100886122B1 (ko) 발신자 위치 기반 가치정보 제공 서버
KR20090086502A (ko) 무선 커뮤니티 회원 위치정보 제공서버
KR100587717B1 (ko)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4039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전송 조건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13921A (ko) Svd 기능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 중에 위치 정보를송수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115492B1 (ko) 로밍 망의 기지국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통신 환경에서 로밍된 가입자 단말기를 측위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09523A (ko) 무선 커뮤니티 회원 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