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2310A - 이산화탄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열풍로 설비의 연소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열풍로 설비의 연소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2310A
KR20060072310A KR1020040110876A KR20040110876A KR20060072310A KR 20060072310 A KR20060072310 A KR 20060072310A KR 1020040110876 A KR1020040110876 A KR 1020040110876A KR 20040110876 A KR20040110876 A KR 20040110876A KR 20060072310 A KR20060072310 A KR 20060072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control
amount
setting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0065B1 (ko
Inventor
엄주선
김영석
강창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40110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065B1/ko
Publication of KR20060072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9/00Stoves for heating the blast in blast furnaces
    • C21B9/02Brick hot-blast stoves
    • C21B9/04Brick hot-blast stoves with combustion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06Monitoring the characteristics (composition, quantities, temperature, pressure) of at least one of the gases of the kiln atmosphere and using it as a controlling value
    • F27D2019/0012Monitoring the composition of the atmosphere or of one of their components
    • F27D2019/0015Monitoring the composition of the exhaust gases or of one of its compon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 설비에서 1000도 이상의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로 설비에 있어서, 연소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측정하여 이산화탄소치가 일정치 이하로 안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열풍로 설비의 연소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어 장치는 연소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관에서 이산화탄소량을 측정하고, 상기의 측정된 이산화탄소량의 평균을 구한 후, 상기 이산화탄소량의 평균치를 설정한 상한치와 비교하여, 설정된 범위 내가 되도록 열풍로 설비의 연소가스량 및 칼로리를 제어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열풍로, 고로, 이산화탄소, 연소 가스, 유량제어

Description

이산화탄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열풍로 설비의 연소 제어 장치{Hot stove combustion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carbon dioxide}
도 1은 열풍로 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열풍로 설비의 연소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럭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열풍로 설비의 연소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럭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 : 이산화탄소 검출부
210 : 신호처리부
220 : 상한 설정부
230 : 이산화탄소 설정부
240 : 신호비교부
250 : 이산화탄소 제어부
260, 270 : 제1,2설정연산부
본 발명은 고로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로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소용 가스와 연소용 공기를 일정의 비율로 연소하여 축열한 후 찬 공기를 열풍로의 축열실로 통과시켜 고온의 열풍을 용광로에 공급하는 열풍로 설비에 있어서 연소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량을 일정치 이하로 안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열풍로 설비에 있어서 이산화탄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연소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열풍로 설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열풍로 운전은, 고로가스(BFG)와 코크스 오븐 가스(COG)를 혼합한 혼합가스(MIX-GAS)와 연소용 공기를 일정의 비율로 연소실에 불어 넣어 연소시켜, 열풍로(2)내의 축열실 연와에 열을 축열하는 연소과정과, 축열된 열풍로(2)에 냉풍을 불어 넣기 위해, 열풍로(2) 압력과 냉풍의 압력을 맞추기 위해 열풍로(2) 내부에 충압을 실시하는 교체과정과, 상기 교체과정에서 충압 완료 후 축열된 열풍로(2)의 축열실에 냉풍을 통과시켜 열풍을 만든 후 고로(1)에 공급하는 송풍과정과, 상기의 송풍과정중 고로(1) 전단의 온도를 검출하여 일정한 값으로 제어하는 온도제어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열풍로 설비는 고로의 종류 마다 대수는 상이하나, 대략 3기 혹은 4기의 열풍로가 설치되어, 상기의 공정을 교대로 수행하여 고로(1)에 열풍을 연속적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열풍로 설비에 있어서, 도 2는 종래의 연소 제어 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열풍로 연소 제어 장치는, 칼로리 설정기(101)와, 혼합가스의 유량을 설정하는 유량설정기(102)와, 연소 칼로리를 제어하는 칼로리 제어기(103)와, 공기비 연산기(104)와, COG 유량제어기(105)와, 연소공기 유량제어기(106)와, 혼합가스 유량제어기(107)와, 배가스산소제어기(108)와, 돔온도제어기(109)와, 배가스 온도제어기(110)가 상호 연동하여, 연소공정에 있어서, 초기정량제어, 공연비제어, 돔온도 제어, 배가스 온도제어, 배가스 산소 제어 및 칼로리제어를 행한다.
상기에서, 초기 정량 제어는 연소 개시 시점에서 이루어지는 제어로서, 연소용 공기 및 혼합가스를 일정 유량 확보 하도록 유량제어기(105~107)들이 조절밸브(11,16,18)의 개도를 일정 값으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공연비 제어는 연소가 진행되면 상기의 혼합가스유량제어기(107)에서 지시된 혼합가스의 유량에 따라서, 연소에 충분한 공기를 공기비 연산기(104)를 통하여 산출하고, 이를 연소공기 유량제어기(106)에 지시하여, 혼합가스와 연소공기의 유량을 연동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돔 온도제어는 상기의 돔온도제어기(109)가 상기의 공연비 제어를 기본으로 열풍로 상부의 온도검출기(19)의 검출온도가 설정값이 되도록 연소공기 유량제어기(106)의 설정값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어서, 배가스온도제어는, 배가스온도제어기(110)가 온도검출기(21)에서 검출된 열풍로(2)의 배가스 온도가 운전자가 설정한 설정치로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의 공연비제어를 기본으로 하면서 배기가스 온도검출값에 따라서 혼합가스 유량제어기(107)의 설정값을 제어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배가스산소제어는, 상기의 공연비 제어에 따른 연소 중에 배가스 중의 산소량을 운 전자가 설정한 설정치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배가스 산소제어기(108)에서 산소검출기(20)의 배가스 산소검출량이 설정치가 되도록 혼합가스 유량제어기(107)의 설정값을 조정한다. 마지막으로, 칼로리 제어에서는, 혼압가스(MIX GAS)관에 설치된 칼로리 검출기(14)에 의해 검출된 혼합가스의 칼로리 값을 칼로리 제어기(103)에서 칼로리 설정기(101)의 설정값과 비교하여, 설정값이 되도록 COG 유량제어기(105)의 설정값을 제어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열풍로 연소 공정 중에는, 초기 정량 제어를 실시한 후에, 공연비, 열풍로 상부(DOME)온도, 배기가스 온도, 배기가스 O2를 고려하여, 연소공기, 혼합가스 유량, COG 가스 유량등을 제어하고 있으나, 연소 상태에 따라 상이하게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량에 대해서는 고려되어 있지 않다.
그런데, 이러한 이산화탄소 발생량의 변동폭이 크다는 것은 연소 상태가 불안정함을 의미하며, 불안정한 연소상태에서는 축열능력 및 열효율이 저하되므로, 이산화탄소량의 제어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열풍로 연소 중에 배가스의 이산화탄소량을 일정치 이하로 제어함으로서, 불안정한 연소상태에 의한 축열능력, 열효율저하를 해결하는 열풍로 설비에 있어서 이산화탄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연소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COG와 BFG가 혼합된 혼합가스와 연소용 공기를 일정의 비율로 연소시키는 열풍로에서 COG 유량과, COG와 BFG의 혼합가스 유량을 조절하는 연소시의 칼로리 및 혼합가스량을 조절하는 열풍로 설비의 연소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풍로의 연소시 배출되는 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량을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검출부; 상기 이산화탄소 검출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설정된 형태의 신호로 가공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배가스에 포함되는 이산화탄소량의 상한 설정값을 설정하는 상한 설정부; 상기 신호처리부를 통해 인가된 이산화탄소 검출값이 상기 상한 설정부의 상한 설정값보다 큰지를 비교하여, 상한 설정값 이상인 경우 이산화탄소량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비교부; 이산화탄소 제어 설정값을 설정하는 이산화탄소설정부; 상기 신호 비교부의 비교결과, 이산화탄소 검출값이 상한 설정값이상인 경우에 동작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설정부의 설정값과 이산화탄소 검출값의 편차를 산출하고, 상기 편차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이산화탄소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열풍로 설비의 연소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제어부는 이산화탄소 설정값과 이산화탄소검출값이 동일한 경우, 50% 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산화탄소 검출값이 설정값보다 큰 경우, 그 편차에 비례하여 감소되는 50% 이하의 신호를 출력하고, 이산화탄소 검출값이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그 편차에 비례하여 증가되는 50% 이상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열풍로 설비의 연소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이산화탄소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칼로리 변화량을 산출하여, 상기 칼로리 제어를 위한 칼로리 설정값을 조절하는 제1설정연산부와, 상기 이산화탄소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혼합가스 변화량을 산출하고, 이에 따라 혼합가스 유량제어를 위한 혼합가스유량 설정값을 조절하는 제2설정연산부중 하나 또는 모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열풍로 설비의 연소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설정연산부는
Figure 112004060794958-PAT00001
(여기서, f는 제1설정연산부에서 출력되는 칼로리 설정값이고, P는 기설정된 칼로리 설정값이며, e는 상기 이산화탄소 제어부의 제어신호이고, k3는 보정계수이다)에 의하여 칼로리 설정값을 산출하며, 상기 제2설정연산부는
Figure 112004060794958-PAT00002
(여기서, g는 제2설정연산부에서 출력되는 혼합가스 유량 설정값이고, Q는 기설정된 혼합가스 유량 설정값이며, e는 상기 이산화탄소 제어부의 제어신호이고, k4는 보정계수이다) 에 의하여, 혼합가스 유량 설정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열풍로 연소 제어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열풍로 연소 제어 장치는 일반적인 열풍로 연소 제어 장치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서, 상술한 초기정량제어, 공연비제어, 돔온도 제어, 배가스 온도제어, 배가스 산소 제어 및 칼로리제어에 더하여, 배가스중의 이산화탄소 제어기능을 더 포함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 3의 열풍로 연소 제어 장치는 도 2에 보인 열풍로 연소 제어 장치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라서 개선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 3 및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기존의 구성 및 기능이 일치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기존의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열풍로 설비의 연소 제어 장치는, 열풍로(2)의 연소시 배출되는 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량을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검출부(22)와, 상기 이산화탄소 검출부(22)에서 출력된 신호를 설정된 형태의 신호로 가공하는 신호처리부(210)와, 상기 배가스에 포함되는 이산화탄소량의 상한 설정값을 설정하는 상한 설정부(220)와, 이산화탄소 제어 설정값을 설정하는 이산화탄소설정부(230)와, 상기 신호처리부(210)를 통해 인가된 이산화탄소 검출값이 상기 상한 설정부(220)의 상한 설정값보다 큰지를 비교하여, 상한 설정값 이상인 경우 이산화탄소량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비교부(240)와, 상기 신호 비교부(240) 의 비교결과, 이산화탄소 검출값이 상한 설정값이상인 경우에 동작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설정부(230)의 설정값과 이산화탄소 검출값의 편차를 산출하고, 상기 편차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이산화탄소 제어부(250)를 필수구성요소로 포함한다.
더하여, 상기 이산화탄소량 조절을 칼로리 제어, 혼합가스 유량제어를 통해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제어부(250)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이산화탄소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칼로리 변화량을 산출하여, 상기 칼로리 설정기(101)의 칼로리 설정값을 가변시키는 제1설정연산부(260)와, 상기 이산화탄소 제어부(250)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혼합가스 변화량을 산출하고, 이에 따라 혼합가스 유량설정기(102)의 혼합가스유량 설정값을 가변시키는 제2설정연산부(270)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이산화탄소(이하, CO라 한다)검출기(22)는 열풍로(2)가 연소동작하는 중에 굴뚝(5)으로 배출되는 배가스의 이산화탄소량을 검출하여 신호처리부(210)로 입력한다. 상기 신호처리부(210)는 CO검출기(22)의 검출신호를 설정된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비교부(240)에 CO검출값으로서 제공한다.
상기 신호비교부(240)에는 설정부(220)에 의하여 이산화탄소량의 상한 설정값이 설정되어 있으며, 신호비교부(240)은 상기 신호처리부(210)에서 입력된 CO 검출값이 상기 설정된 상한 설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 판단결과 CO 검출 값이 설정값 이상이 되면, 소정의 신호(예를 들어, 출력 접점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CO 검출값을 이산화탄소제어부(250)로 인가한다.
상기 접점 신호에 의하여, 이산화탄소제어부(250)의 제어신호가 제1,2설정연산부(260,270)로 출력되는데, 상기 이산화탄소제어부(250)는 이산화탄소 설정부(230)에서 설정된 CO 설정값과 상기의 신호비교부(240)를 통해 인가된 CO 검출값을 그 편차값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이산화탄소제어부(25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는 CO 검출값이 상한 설정값을 넘어서는 경우, 제1,2설정연산부(260,270)로 인가되는데, 상기 이산화탄소제어부(250)는 CO 검출값과 설정값이 같으면 이산화탄소량이 안정된 것이므로 50%의 출력을 보내고, CO 검출값이 설정값보다 커지면 50% 이하로 출력을 감소시키고, CO 검출값이 설정값보다 작아지면 50% 이상으로 출력을 증가시킨다.
상기 제1설정연산부(260)은 칼로리 제어에 이산화탄소 제어를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칼로리설정기(101)에서 설정된 칼로리 설정값을 기준으로 상기 이산화탄소제어부(250)의 출력값에 해당하는 칼로리값을 연산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1설정연산부(260)는 다음과 같은 연산을 통해 칼로리 설정값을 가변시킨다.
Figure 112004060794958-PAT00003
여기서, f는 제1설정연산부에서 출력되는 칼로리 설정값이고, P는 기설정된 칼로리 설정값이며, e는 상기 이산화탄소 제어부의 제어신호이고, k3는 보정계수이 다.
예를 들어, 상기의 칼로리 설정기(103)에서 설정된 칼로리 설정값 P가 70%이고, 이산화탄소제어부(250)로부터 인가된 제어출력이 배가스중 이산화탄소의 증가로 인하여 감소하여 30% 라면, 상기 제1설정연산부(260)는 70+(30-50)×0.1= 68% 에 의하여, 칼로리 설정값을 2%가 줄여서, 칼로리 제어기(103)에 인가한다. 이에 칼로리 제어기(103)은 연소시 칼로리가 적어지도록 연소용 COG량을 줄이고, 이에 COG 유량제어기(105)가 COG 유량을 조절하여, 결과적으로 배가스중 이산화탄소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배가스중 이산화탄소량이 감소하여 상기 이산화탄소제어기(250)의 출력이 증가하여 제어출력이 70%가 될 경우, 상기 제1설정연산부(260)는 칼로리 설정기(101)의 칼로리 설정값 70%에 대하여, 70+(70-50)×0.1=72 로 연산하여, 칼로리 설정값을 2% 증가시켜 칼로리 제어기(103)에 인가하고, 이에, 연소시 칼로리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연소용 COG 유량이 COG유량제어기(105)의 제어에 의하여 증가된다. 결과적으로, COG 가스량의 증가로 인하여 연소후 발생되는 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가스량이 증가한다.
그리고, 상기 CO 검출량이 상한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이산화탄소제어부(250)의 제어 출력이 제1설정연산부(260)에 인가되지 않으며, 따라서, 제1설정연산부(260)에서 발생되는 칼로리 설정값을 없게 되고, 이때는 기존의 칼로리설정기(101)에 의하여 칼로리 제어가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이산화탄소제어부(250)의 출력은 제2설정연산부(270)로도 인가되는데, 상기 제2설정연산부(270)은 이산화탄소 변화량에 따라 혼합가스 유량을 조절하여 배가스의 이산화탄소량을 기준범위내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2설정연산부(270)는 혼합가스 유량설정기(102)의 설정값에서 상기의 이산화탄소제어부(250)의 제어 출력에 해당하는 혼합가스량을 가감하여, 혼합가스 유량을 조절한다.
상기 제2설정연산부(270)는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이산화탄소 변화가 나타나도록 혼합가스 유량설정값을 가변시킨다.
Figure 112004060794958-PAT00004
여기서, g는 제2설정연산부에서 출력되는 혼합가스 유량 설정값이고, Q는 기설정된 혼합가스 유량 설정값이며, e는 상기 이산화탄소 제어부의 제어신호이고, k4는 보정계수이다.
예를 들면, 상기의 혼합가스설정기(102)의 혼합가스 유량 설정값 Q가 70%인 상태에서, 이산화탄소량이 설정값보다 커짐으로 인하여 상기 이산화탄소제어부(250)의 제어출력이 감소하여 30%가 될 경우, 상기 제2설정연산부(270)는 70+(30-50)×0.1= 68%로 연산하여, 혼합가스 설정량을 2% 줄이고, 이에 혼합가스 유량제어기(107)은 상기 2% 줄어든 혼합가스 설정량으로 혼합가스 유량을 감소시킨다. 반대로 배가스중 포함된 이산화탄소량이 감소되어, 상기 이산화탄소제어부(250)의 출력이 증가하여 70%가 되면, 상기 제2설정연산부(270)는 70+(70-50)×0.1=72로 연산동 작하여, 혼합가스 유량설정값을 2% 증가시키며, 이에 혼합가스 유량제어기(107)는 열풍로(2)의 연소설비로 공급하는 혼합가스 유량을 증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소 제어 장치는, 배가스중 포함된 이산화탄소 변화량에 따라서, 연소시의 칼로리, 혼합가스 유량을 가감시킴으로서, 배가스중 포함된 이산화탄소가 항상 설정된 범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같이 이산화탄소량이 일정 범위를 유지한다는 것은, 열풍로(2)의 연소상태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하도록, 연소 불균일 등에 의한 축열능력, 열효율저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풍로 연소제어장치는, 열풍로 연소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량을 설정한 일정 범위 내에서 안정되게 관리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억제하고 안정된 연소를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열풍로의 출열 능력 및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열풍로 연소공정에서 COG 유량과, COG와 BFG의 혼합가스 유량을 조절하여 연소시의 칼로리 및 혼합가스량을 조절하는 열풍로 설비의 연소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풍로의 연소시 배출되는 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량을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검출부;
    상기 이산화탄소 검출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설정된 형태의 신호로 가공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배가스에 포함되는 이산화탄소량의 상한 설정값을 설정하는 상한 설정부;
    상기 신호처리부를 통해 인가된 이산화탄소 검출값이 상기 상한 설정부의 상한 설정값보다 큰지를 비교하여, 상한 설정값 이상인 경우 이산화탄소량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비교부;
    이산화탄소 제어 설정값을 설정하는 이산화탄소설정부;
    상기 신호 비교부의 비교결과, 이산화탄소 검출값이 상한 설정값이상인 경우에 동작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설정부의 설정값과 이산화탄소 검출값의 편차를 산출하고, 상기 편차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이산화탄소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열풍로 설비의 연소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제어부는 이산화탄소 설정값과 이산화탄소검출값이 동일한 경우, 50% 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산화탄소 검출값이 설정값보다 큰 경우, 그 편차에 비례하여 감소되는 50% 이하의 신호를 출력하고, 이산화탄소 검출값이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그 편차에 비례하여 증가되는 50% 이상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열풍로 설비의 연소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이산화탄소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칼로리 변화량을 산출하여, 상기 칼로리 제어를 위한 칼로리 설정값을 조절하는 제1설정연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열풍로 설비의 연소 제어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혼합가스 변화량을 산출하고, 이에 따라 혼합가스 유량제어를 위한 혼합가스유량 설정값을 조절하는 제2설정연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열풍로 설비의 연소 제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설정연산부는
    Figure 112004060794958-PAT00005
    (여기서, f는 제1설정연산부에서 출력되는 칼로리 설정값이고, P는 기설정된 칼로리 설정값이며, e는 상기 이산화탄소 제어부의 제어신호이고, k3는 보정계수이다)
    에 의하여 칼로리 설정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열풍로 설비의 연소 제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설정연산부는
    Figure 112004060794958-PAT00006
    (여기서, g는 제2설정연산부에서 출력되는 혼합가스 유량 설정값이고, Q는 기설정된 혼합가스 유량 설정값이며, e는 상기 이산화탄소 제어부의 제어신호이고, k4는 보정계수이다)
    에 의하여, 혼합가스 유량 설정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열풍로 설비의 연소 제어 장치.
KR1020040110876A 2004-12-23 2004-12-23 이산화탄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열풍로 설비의 연소 제어장치 KR101070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876A KR101070065B1 (ko) 2004-12-23 2004-12-23 이산화탄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열풍로 설비의 연소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876A KR101070065B1 (ko) 2004-12-23 2004-12-23 이산화탄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열풍로 설비의 연소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310A true KR20060072310A (ko) 2006-06-28
KR101070065B1 KR101070065B1 (ko) 2011-10-04

Family

ID=37165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876A KR101070065B1 (ko) 2004-12-23 2004-12-23 이산화탄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열풍로 설비의 연소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0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711B1 (ko) * 2005-09-22 2007-04-0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비례 가스보일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48130B (zh) * 2016-03-23 2017-11-17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热风炉烧炉自动点火控制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05917B (ko) 1995-06-02 1997-05-21 Nippon Kokan Kk
JPH10245611A (ja) 1997-03-07 1998-09-14 Nippon Steel Corp 熱風炉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711B1 (ko) * 2005-09-22 2007-04-0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비례 가스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0065B1 (ko) 2011-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053B1 (ko) 축열식 가열로의 연소 배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10120444A (ko) 열풍로 설비의 연소 제어 장치 및 방법
US643633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arbon baking furnace
CN110160082A (zh) 一种燃料气燃烧控制方法、系统及装置
KR101070065B1 (ko) 이산화탄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열풍로 설비의 연소 제어장치
KR100798061B1 (ko) 열풍로에 있어서 풍량과 고로가스 성분에 따라 연소가스량을 자동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11214A (ko) 연소 장치 및 연소 방법
CA2850254C (en) Monitoring method
KR200301073Y1 (ko) 열풍로의연소제어장치
US20180372315A1 (en) Electronic control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safety of at least one radiant tube burner
KR100804230B1 (ko) 고로 열풍로 연소제어방법
KR100905591B1 (ko) 고로 열풍로의 온도 제어장치
KR101395508B1 (ko) 가열로의 산소랜싱 연소제어장치
KR100593754B1 (ko) 코크스 건식소화설비 및 그 방법
KR101123901B1 (ko) 열풍로의 진동제어장치
KR101388020B1 (ko) 열풍로의 연소 제어방법
KR100995598B1 (ko) 코크스 제조공정에서의 연소실 온도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2466507B1 (ko) 열풍로 설비의 운전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5117660A (ja) コークス炉の燃焼制御方法
KR100691514B1 (ko) 연료가스의 발열량 측정에 의한 코크스 오븐의 공기량제어방법
JPH028213B2 (ko)
KR101175438B1 (ko) 열풍로의 연소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06348063A (ja) コークス炉の燃焼制御方法
JPH08127811A (ja) 熱風炉の燃焼制御方法
JPH09302351A (ja) コークス炉の窯毎の投入熱量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