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2032A -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2032A
KR20060072032A KR1020040110555A KR20040110555A KR20060072032A KR 20060072032 A KR20060072032 A KR 20060072032A KR 1020040110555 A KR1020040110555 A KR 1020040110555A KR 20040110555 A KR20040110555 A KR 20040110555A KR 20060072032 A KR20060072032 A KR 20060072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speed
pinion planetary
brake
planetary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4616B1 (ko
Inventor
심휴태
임기빈
이경철
소병호
서강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0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4616B1/ko
Priority to DE102005058684A priority patent/DE102005058684B4/de
Priority to JP2005356271A priority patent/JP4953418B2/ja
Priority to US11/302,065 priority patent/US7377873B2/en
Priority to CNB200510134332XA priority patent/CN100472093C/zh
Publication of KR20060072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62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62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 F16H3/66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composed of a number of gear trains without drive passing from one train to another
    • F16H3/663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composed of a number of gear trains without drive passing from one train to another with conveying rotary motion between axially spaced orbital gears, e.g. RAVIGNEAU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52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six forward spe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02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ets of orbital gears
    • F16H2200/2007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ets of orbital gears with two sets of orbita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2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avigneaux set
    • F16H2200/2025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avigneaux set using a Ravigneaux set with 5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3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engaging friction means not of the freewheel type, e.g. friction clutches or brakes
    • F16H2200/2043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engaging friction means not of the freewheel type, e.g. friction clutches or brakes with five engag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하나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를 조합하여 구성하되, 하나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하나의 유성기어와, 하나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기어를 별개로 자전하도록 연결하여 그 유성 캐리어를 상호 공유하도록 함과 동시에, 적어도 2개의 링기어를 일체화하여 축방향 지지구조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변속기의 전장 및 중량을 최소화하며,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하나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를 상호 조합하여 구성하되,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하나의 유성기어와, 이에 이웃한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기어를 상호 별개로 자전 가능하도록 공유 유성 캐리어로 연결하며,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와,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를 상호 직결하여 일체화하며,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와,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를 상호 직결하여 조합하며,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는 입력축의 동력이 상시 직결되도록 하며, 2개의 클러치와 3개의 브레이크를 조합하여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을 제공한다.
자동 변속기. 클러치. 유성기어셋트, 공유 유성 캐리어

Description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A 6TH-SPEED POWER TRAIN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되는 파워 트레인의 작동 요소표,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파워 트레인의 전진 1속 내지 3속 변속선도, 및 전진 4속 내지 6속 및 후진 변속선도,
도 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내지 제13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
도 18과 도 19는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의한 파워 트레인의 전진 1속 내지 3속 변속선도, 및 전진 4속 내지 6속 및 후진 변속선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
도 21은 종래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 및
도 22는 도 21에 의한 파워 트레인의 작동 요소표이다.
<도면의 주요부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변속기 케이스 3; 입력축
S1,S2,S3; 선기어 P1,P2,P3; 유성기어
R1,R2,R3; 링기어 PC1,PC2,PC3; 유성 캐리어
CPC; 공유 유성 캐리어 SPG1,SPG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DPG;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C1,C2; 클러치
B1,B2,B3; 브레이크 OWC; 원웨이 클러치
본 발명은 차량용 자동 변속기에 적용되어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자동 변속기의 다단 변속기어 메카니즘은, 복수의 유성기어셋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유성기어셋트가 조합된 파워 트레인은 엔진 토크를 변환하여 전달하는 토크 컨버터로부터 회전 동력이 입력되면 이를 다단으로 변속하여 출력측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은 많은 변속단을 보유할수록 동력 성능 및 연료 소비율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는 파워 트레인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동일 수의 변속단을 구현하더라도 유성기어셋트의 조합 방법에 따라 내구성 및 동력 전달 효율, 그리고 크기 및 중량 등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보다 견고하고 동력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컴팩트화 할 수 있는 파워 트레인의 개발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유성기어셋트를 이용하는 파워 트레인을 개발함에 있어서는 어떤 새로운 유성기어셋트를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나와 있는 싱글 피니온 유성기어셋트, 더블 피니온 유성기어셋트 혹은 싱글 및 더블 피니온 유성기어셋트를 조합한 라비뉴 타입의 유성기어셋트를 어떻게 조합하고, 이에 수반되는 클러치와 브레이크, 그리고 원웨이 클러치를 어느 위치에 몇 개를 배치하여 가능한 동력 손실이 없이 원하는 변속단과 이에 따르는 변속비를 구현하여 변속기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에 그 목표를 두고 다양한 연구되고 있다.
특히, 수동 변속기의 경우에는 변속단이 지나치게 많으면 운전자가 자주 변속을 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나, 자동 변속기의 경우에 있어서는 운전 상태에 따라 트랜스밋션 제어유닛이 자동으로 파워 트레인의 작동을 제어하여 변속을 수행하게 되는 바, 보다 많은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는 파워 트레인을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기 위하여 4속 및 5속 파워 트레인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과 아울러, 최근에는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는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이 제공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도 20에서와 같이,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3개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SPG3)를 조합하되,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의 제1선기어(S1)는 변속기 케이스(1)에 제1브레이크(B1)를 통하여 가변적으로 고정되고, 그 제1유성 캐리어(PC1)는 제3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3)의 제3링기어(R3)와 고정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출력기어(OUT)가 장착되어 출력요소로 작동하게 된다.
또한,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의 제1링기어(R1)는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의 제2유성 캐리어(PC2)와 직결된다.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의 제2선기어(S2)는 입력축(3)과 직접 연결되며, 그 제2링기어(R2)는 제3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3)의 제3유성 캐리어(PC3)와 직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2링기어(R2)와 제3유성 캐리어(PC3)는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적으로 연결되며, 동시에 제2브레이크(B2)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1)에 가변적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3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3)의 제3선기어(S3)는 제1클러치(C1)를 통하여 상기 입력축(3)과 가변적으로 연결되며, 동시에 제3브레이크(B3)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1)에 가변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파워 트레인은 도 21에서와 같이, 전진 제1속에서는 제1브레이크(B1)와 제2브레이크(B2)가 작동하고, 제2속에서는 제1브레이크(B1)와 제3브레이크(B3)가 작동하며, 제3속에서는 제1브레이크(B1)와 제1클러치(C1)가 작동하고, 제4속에서는 제1브레이크(B1)와 제2클러치(C2)가 작동하며, 제5속에서는 제1,2클러치(C1)(C2)가 작동하고, 제6속에서는 제2클러치(C2)와 제3브레이크(B3)가 작동하며, 후진 변속단에서는 제1클러치(C1)와 제2브레이크(B2)가 작동하면서 전진 6속과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파워 트레인에 있어서는, 제1,2,3링기어(R1,R2,R3)가 제 2,3,1유성 캐리어(PC2,PC3,PC1)에 각각 연결되는 구조로 각각의 유성 캐리어가 분리되어 자동변속기의 전장이 길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변속기 중량이 많이 나가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링기어가 상호 연결관계를 갖지 않아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없으며, 후진 및 최고단의 기어비가 낮아 후진 등판 성능 및 전진 구동 성능이 불리하다.
반면, 제1속단 기어비는 높게 형성되어 발진 시, 타이어의 슬립을 유발시키며, 제2속단과 제3속단 사이의 단간비가 커서 저속의 시내 주행영역에서 팁인(Tip-in) 충격이 크다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하나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를 조합하여 구성하되, 하나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하나의 유성기어와, 하나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기어를 별개로 자전하도록 연결하여 그 유성 캐리어를 상호 공유하도록 함과 동시에, 적어도 2개의 링기어를 일체화하여 축방향 지지구조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변속기의 전장 및 중량을 최소화하며,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진 및 최고단의 기어비를 높여 후진 등판 성능 및 전진 구동 성능을 향상시키며, 제1속단 기어비는 낮추어 타이어의 발진 슬립을 최 소화하며, 동시에 제2속단과 제3속단 사이의 단간비를 적정하게 하여 팁인(Tip-in) 충격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은,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하나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를 상호 조합하여 구성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에 있어서,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하나의 유성기어와, 이에 이웃한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기어를 상호 별개로 자전 가능하도록 공유 유성 캐리어로 연결하며,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와,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를 상호 직결하여 일체화하며,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와,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를 상호 직결하여 조합하며,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는 입력축의 동력이 상시 직결되도록 하며, 2개의 클러치와 3개의 브레이크를 조합하여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배치는 입력축이 연결되는 엔진측으로부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순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는 그 선기어가 브레이크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고, 그 유성 캐리어가 출력요소로 작동하며,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는 그 선기어가 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브레이크를 통하 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며,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각 유성기어를 연결하는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가 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변속기 케이스에 병렬로 배치되는 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배치는 입력축이 연결되는 엔진측으로부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순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는 그 선기어가 브레이크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고, 그 유성 캐리어가 출력요소로 작동하며,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는 그 선기어가 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브레이크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며,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각 유성기어를 연결하는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가 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변속기 케이스에 병렬로 배치되는 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배치는 입력축이 연결되는 엔진측으로부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순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는 그 선기어가 브레이크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 되고, 그 유성 캐리어 또는 그 유성 캐리어와 직결되는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가 출력요소로 작동하며,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는 그 선기어가 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브레이크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며,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각 유성기어를 연결하는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가 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변속기 케이스에 병렬로 배치되는 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배치는 입력축이 연결되는 엔진측으로부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순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는 그 선기어가 브레이크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고, 그 유성 캐리어가 출력요소로 작동하며,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는 그 선기어가 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브레이크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며,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가 상기 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되고,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상기 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로써,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은 2개의 클러치와 3개의 브레이크로 이루어지는 작동요소의 작동에 의해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파워 트레인은 토크 컨버터를 통하여 엔진 출력측에 접속되는 입력축(3)상의 전방에 제1선기어(S1), 제1유성기어(P1) 및 제1링기어(R1)로 된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구비된다.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의 그 후방에서 제2선기어(S2), 제2유성기어(P2) 및 제2링기어(R2)로 된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구비된다.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의 후방에는 제3선기어(S3), 2조의 제3유성기어(P3) 및 제3링기어(R3)로 된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구비된다.
즉, 상기 유성기어셋트의 배열은 변속기 전측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배치되고, 변속기 후측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배치되며, 그 사이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배치된다.
상기에서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는 제1선기어(S1)와, 제1링기어(R1)와, 이들 제1선기어(S1)와 제1링기어(R1) 사이에 치합되는 제1유성기어(P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도록 양측으로 2개의 제1유성 캐리어(PC1)를 포함한다.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는 제2선기어(S2)와, 제2링기어(R2) 사이에 치합되는 제2유성기어(P2)는 별도의 제2유성 캐리어(PC2)를 구성하지는 않는다.
단,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는 제3선기어(S3)와, 제3링기어(R3)와, 이들 제3선기어(S3)와 제3링기어(R3) 사이에 2조의 제3유성기어(P3)가 치합되는데, 상기 2조의 제3유성기어(R3) 중 하나는 이웃한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의 제2유성기어(P2)와 상호 별개로 자전 가능하도록 공유 유성 캐리어(CPC)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제3링기어(R3)와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의 제1링기어(R1)는 상호 직결하여 일체화로 조합된다.
또한,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의 제2링기어(R2)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의 제1유성 캐리어(PC1)도 상호 직결하여 조합된다.
한편, 상기 제3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3)의 제3선기어(S3)는 입력축(3)의 동력이 상시 직결되도록 입력축(3)과 연결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PSG1)는 제1선기어(S1)가 제2브레이크(B2)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1)에 가변 연결된다.
그리고 제1유성 캐리어(PC1)는 출력요소로 작동한다.
또한,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는 제2선기어(S2)가 제1클러치(C1)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제3브레이크(B3)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1)에 가변 연결된다.
그리고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는 제3유성 캐리어(PC3)가 제2클러치 (C2)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변속기 케이스(1)에 병렬로 배치되는 제1브레이크(B1) 및 원웨이 클러치(OWC)와도 연결되어 입력 및 고정요소로 작동하도록 조합된다.
여기서, 상기 출력요소로 작용하는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의 제1유성 캐리어(PC1)는 독립된 일측으로 출력기어(OUT GEAR)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6속 파워 트레인은, 도 2에서 도시한 작동 요소표에서와 같이, 제1속단에서 제2브레이크(B2)와 원웨이 클러치(OWC)가 작동하고, 제2속단에서는 제1속단의 상태에서 제3브레이크(B3)가 작동하며, 제3속단에서는 제2속단의 상태에서 제3브레이크(B3)가 해제되면서 제1클러치(C1)가 작동하고, 제4속단에서는 제3속단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C1)가 해제되면서 제2클러치(C2)가 작동한다.
그리고 제5속단에서는 제4속단의 상태에서, 제2브레이크(B2)가 해제되면서 제1클러치(C1)가 작동하고, 제6속단에서는 제5속단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C1)가 해제되면서 제3브레이크(B3)가 작동하고, 후진 변속단에서는 제1클러치(C1) 및 제1브레이크(B1)가 작동하여 전진6속 및 후진1속의 변속단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6속 파워 트레인의 변속과정을, 도 3과 도 4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한 각 작용요소는 상기 도 3과 도 4의 본 발명에 의한 파워 트레인의 전진 1속 내지 6속 및 후진 변속선도에서와 같이, 각 노드별로 각 구동요소가 배치되는데, 제1노드(N1)에는 제2선기어(S2), 제2노드(N2)에는 제1선기어(S1), 제3노드(N3)에는 공유 유성 캐리어(CPC)가 각각 설정된다.
그리고 제4노드(N4)에는 출력노드로 제1유성 캐리어(PC1)와 제2링기어(R2)가 동시에 설정되고, 제5노드(N5)에는 제1링기어(R1)와 제3링기어(R3)가 동시에 설정되며, 제6노드(N6)에는 상시 입력이 이루어지는 제3선기어(S3)가 설정된다.
이에, 원웨이 클러치(OWC)와 제2브레이크(B2)가 작동하는 상태로, 상기 제3선기어(S3)인 제6노드(N6)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며, 동시에 제2노드(N2)와 제3노드(N3)가 고정요소로 작동하여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상호 보완 작용에 의하여 도 3의 제1속 도면에서와 같은 3가지의 속도선을 형성하게 되며, 출력요소인 제4노드(N4)를 통해 D1 만큼 출력이 이루어지면서 전진 1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진 2속에서는 상기 제1속의 상태에서, 제3브레이크(B1)가 작동된다.
그러면, 상기 제3선기어(S3)인 제6노드(N6)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며, 동시에 제1노드(N1)와 제2노드(N2)가 고정요소로 작동하여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상호 보완 작용에 의하여 도 3의 제2속 도면에서와 같은 3가지의 속도선을 형성하게 되며, 출력요소인 제4노드(N4)를 통해 D2 만큼 출력이 이루어지면서 전진 2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진 3속에서는 상기 제2속의 상태에서, 제3브레이크(B3)의 작동이 해제되고, 제1클러치(C1)가 작동된다.
그러면, 상기 제3선기어(S3)인 제6노드(N6)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며, 동시에 제2선기어(S2)인 제1노드(N1)에도 동일한 입력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노드(N2)는 여전히 고정요소로 작동하여 제1,2싱글 피니언 유 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상호 보완 작용에 의하여 도 3의 제3속 도면에서와 같은 3가지의 속도선을 형성하게 되며, 출력요소인 제4노드(N4)를 통해 D3 만큼 출력이 이루어지면서 전진 3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진 4속에서는 상기 제3속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C1)의 작동이 해제되고, 제2클러치(C2)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상기 제3선기어(S3)인 제6노드(N6)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며, 동시에 제3노드(N3)도 동일한 입력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노드(N2)는 여전히 고정요소로 작동하여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상호 보완 작용에 의하여 도 4의 제4속 도면에서와 같은 3가지의 속도선을 형성하게 되며, 출력요소인 제4노드(N4)를 통해 D4 만큼 출력이 이루어지면서 전진 4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전진 5속에서는 상기 제4속의 상태에서 제2브레이크(B2)의 작동이 해제되고, 제1클러치(C1)가 다시 작동된다.
그러면, 상기 제3선기어(S3)인 제6노드(N6)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며, 동시에 제3노드(N3) 및 제1노드(N1)에도 동일한 입력이 이루어진다.
즉,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각 기어들은 사실상 하나로 직결된 것과 같이 작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 4의 제5속 도면에서와 같이 입력과 동일한 속도선을 형성하게 되며, 출력요소인 제4노드(N4)를 통해 D5 만큼인 입력과 동일한 출력이 이루어지면서 전진 5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진 6속에서는 상기 제5속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C1)의 작동이 해제되고, 제3브레이크(B3)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상기 제3선기어(S3)인 제6노드(N6)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며, 동시에 제3노드(N3)도 동일한 입력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노드(N1)는 고정요소로 작동하여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상호 보완 작용에 의하여 도 4의 제6속 도면에서와 같은 3가지의 속도선을 형성하게 되며, 출력요소인 제4노드(N4)를 통해 D6 만큼 출력이 이루어지면서 전진 6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후진 변속단에서는 제1클러치(C1)와 제1브레이크(B1)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3선기어(S3)인 제6노드(N6)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며, 동시에 제1노드(N1)도 동일한 입력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3노드(N3)는 고정요소로 작동하여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상호 보완 작용에 의하여 도 4의 후진속 도면에서와 같은 3가지의 속도선을 형성하게 되며, 출력요소인 제4노드(N4)를 통해 R 만큼 출력이 이루어지면서 후진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첨부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로써,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은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에서와 같이, 토크 컨버터를 통하여 엔진 출력측에 접속되는 입력축(3)상의 전방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의 그 후방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구비되며,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의 후방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구비되어 2개의 클러치와 3개의 브레이크로 이루어지는 작동요소의 작동에 의해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하도록 조합되는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유성기어셋트의 배열도 엔진에 대응하여 변속기 전측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배치되고, 변속기 후측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배치되며, 그 사이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배치되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한 5개의 작동요소의 연결에 있어서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제1실시예에서는 출력요소로 작동하는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의 독립된 제1유성 캐리어(PC1)에 출력기어(OUT GEAR)연결되었으나. 제2실시예에서는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의 제2링기어(R2)와 직결된 제1유성 캐리어(PC1)의 일측으로 상기 출력기어(OUT GEAR)가 것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합되는 5개의 작동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에 입력축(3)의 동력이 전달되는 경로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그 작동 요소표도 제1실시예의 도 2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변속과정은 상기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실시예의 해석과정과 동일하여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를 첨부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로써,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은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에서와 같이, 토크 컨버터를 통하여 엔진 출력측에 접속되는 입력축(3)상의 전방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의 그 후방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구비되며,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의 후방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구비되어 2개의 클러치와 3개의 브레이크로 이루어지는 작동요소의 작동에 의해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하도록 조합되는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유성기어셋트의 배열도 엔진에 대응하여 변속기 전측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배치되고, 변속기 후측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배치되며, 그 사이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배치되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한 5개의 작동요소의 연결에 있어서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제1실시예에서는 제3유성 캐리어(PC3)가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변속기 케이스(1)에 병렬로 배치되는 제1브레이크(B1) 및 원웨이 클러치(OWC)와도 연결되어 입력 및 고정요소로 작동하도록 조합되는 반면, 제3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3유성 캐리어(PC3)가 상기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 연결되고, 제2유성 캐리어(PC2)가 상기 제1브레이크(B1) 및 원웨이 클러치(OWC)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1)에 가변 연결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합되는 5개의 작동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에 입력축(3)의 동력이 전달되는 경로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그 작동 요소표도 제1실시예의 도 2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변속과정은 상기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실시예의 해석과정과 동일하여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를 첨부한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로써,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은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에서와 같이, 토크 컨버터를 통하여 엔진 출력측에 접속되는 입력축(3)상의 전방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의 그 후방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구비되며,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의 후방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구비되어 2개의 클러치와 3개의 브레이크로 이루어지는 작동요소의 작동에 의해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하도록 조합되는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유성기어셋트의 배열도 엔진에 대응하여 변속기 전측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배치되고, 변속기 후측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배치되며, 그 사이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배치되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한 5개의 작동요소의 연결에 있어서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제1실시예에서는 출력요소로 작동하는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의 독립된 제1유성 캐리어(PC1)에 출력기어(OUT GEAR)연결되었으나. 제4실시예에서는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의 제2링기어(R2)와 직결된 제1유성 캐리어(PC1)의 일측으로 상기 출력기어(OUT GEAR)가 연결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는 제3유성 캐리어(PC3)가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변속기 케이스(1)에 병렬로 배치되는 제1브레이크(B1) 및 원웨이 클러치(OWC)와도 연결되어 입력 및 고정요소로 작동하도록 조합되는 반면, 제4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유성 캐리어(PC3)가 상기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 연결되고, 제2유성 캐리어(PC2)가 상기 제1브레이크(B1) 및 원웨이 클러치(OWC)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1)에 가변 연결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합되는 5개의 작동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에 입력축(3)의 동력이 전달되는 경로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그 작동 요소표도 제1실시예의 도 2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변속과정은 상기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실시예의 해석과정과 동일하여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를 첨부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로써,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은 토크 컨버터를 통하여 엔진 출력측에 접속되는 입력축(3)상의 전방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의 그 후방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구비되며,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후방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구비되어 2개의 클러치와 3개의 브레이크로 이루어지는 작동요소의 작동에 의해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하도록 조합되는 구성은 동일하다.
단지, 제5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성기어셋트의 배치가 변속기 전측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배치되고, 변속기 후측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배치되며, 그 사이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배치되는 것이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5개의 작동요소의 연결에 있어서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제1실시예에서는 제3유성 캐리어(PC3)가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변속기 케이스(1)에 병렬로 배치되는 제1브레이크(B1) 및 원웨이 클러치(OWC)와도 연결되어 입력 및 고정요소로 작동하도록 조합되는 반면, 제5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유성 캐리어(PC3)가 상기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 연결되고, 제2유성 캐리어(PC2)가 상기 제1브레이크(B1) 및 원웨이 클 러치(OWC)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1)에 가변 연결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합되는 5개의 작동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에 입력축(3)의 동력이 전달되는 경로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그 작동 요소표도 제1실시예의 도 2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변속과정은 상기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실시예의 해석과정과 동일하여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를 첨부한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로써,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은 토크 컨버터를 통하여 엔진 출력측에 접속되는 입력축(3)상의 전방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의 그 후방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구비되며,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후방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구비되어 2개의 클러치와 3개의 브레이크로 이루어지는 작동요소의 작동에 의해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하도록 조합되는 구성은 동일하다.
단지, 제6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성기어셋트의 배치가 변속기 전측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배치되고, 변속기 후측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배치되며, 그 사이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배치되는 것이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5개의 작동요소의 연결에 있어서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제1실시예에서는 제3유성 캐리어(PC3)가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변속기 케이스(1)에 병렬로 배치되는 제1브레이크(B1) 및 원웨이 클러치(OWC)와도 연결되어 입력 및 고정요소로 작동하도록 조합되는 반면, 제6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유성 캐리어(PC3)가 상기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 연결되고, 제2유성 캐리어(PC2)가 상기 제1브레이크(B1) 및 원웨이 클러치(OWC)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1)에 가변 연결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또한, 상기 제1,2,3,4,5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클러치(C1)와 제2클러치(C2)가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양 외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나, 제6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클러치(C1)가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의 외측에, 그리고 제2클러치(C2)는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와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합되는 5개의 작동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에 입력축(3)의 동력이 전달되는 경로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그 작동 요소표도 제1실시예의 도 2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변속과정은 상기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실시예의 해석과정과 동일하여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를 첨부한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로써,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은 토크 컨버터를 통하여 엔진 출력측에 접속되는 입력축(3)상의 전방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구비되고,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의 그 후방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구비되며,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후방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구비되어 2개의 클러치와 3개의 브레이크로 이루어지는 작동요소의 작동에 의해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하도록 조합되는 구성은 동일하다.
단지, 제7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성기어셋트의 배치가 변속기 전측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배치되고, 변속기 후측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배치되며, 그 사이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배치되는 것이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그리고 제1실시예에서는 출력요소로 작동하는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의 독립된 제1유성 캐리어(PC1)에 출력기어(OUT GEAR)연결되었으나. 제7실시예에서는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의 제2링기어(R2)에 그 일측으로 상기 출력기어(OUT GEAR)가 연결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는 제3유성 캐리어(PC3)가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변속기 케이스(1)에 병렬로 배치되는 제1브레이크(B1) 및 원웨이 클러치(OWC)와도 연결되어 입력 및 고정요소로 작동하도록 조합되 는 반면, 제7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유성 캐리어(PC3)가 상기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 연결되고, 제2유성 캐리어(PC2)가 상기 제1브레이크(B1) 및 원웨이 클러치(OWC)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1)에 가변 연결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합되는 5개의 작동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에 입력축(3)의 동력이 전달되는 경로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그 작동 요소표도 제1실시예의 도 2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변속과정은 상기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실시예의 해석과정과 동일하여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8실시예를 첨부한 도 11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로써,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은 토크 컨버터를 통하여 엔진 출력측에 접속되는 입력축(3)상의 전방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구비되고,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의 그 후방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구비되며,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후방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구비되어 2개의 클러치와 3개의 브레이크로 이루어지는 작동요소의 작동에 의해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하도록 조합되는 구성은 동일하다.
단지, 제8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성기어셋트의 배치가 변속기 전측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배치되고, 변속기 후측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배치되며, 그 사이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배치되는 것이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5개의 작동요소의 연결에 있어서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제1실시예에서는 제3유성 캐리어(PC3)가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변속기 케이스(1)에 병렬로 배치되는 제1브레이크(B1) 및 원웨이 클러치(OWC)와도 연결되어 입력 및 고정요소로 작동하도록 조합되는 반면, 제8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유성 캐리어(PC3)가 상기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 연결되고, 제2유성 캐리어(PC2)가 상기 제1브레이크(B1) 및 원웨이 클러치(OWC)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1)에 가변 연결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또한, 상기 제1,2,3,4,5,7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클러치(C1)와 제2클러치(C2)가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양 외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나, 제8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클러치(C1)가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의 외측에, 그리고 제2클러치(C2)는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와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합되는 5개의 작동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에 입력축(3)의 동력이 전달되는 경로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그 작동 요소표도 제1실시예의 도 2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변속과정은 상기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실시예의 해석과정과 동일하여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9실시예를 첨부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로써,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은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에서와 같이, 토크 컨버터를 통하여 엔진 출력측에 접속되는 입력축(3)상의 전방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의 그 후방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구비되며,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의 후방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구비되어 2개의 클러치와 3개의 브레이크로 이루어지는 작동요소의 작동에 의해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하도록 조합되는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유성기어셋트의 배열도 엔진에 대응하여 변속기 전측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배치되고, 변속기 후측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배치되며, 그 사이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배치되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한 5개의 작동요소의 연결에 있어서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클러치(C1)와 제2클러치(C2)가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양 외측에 각각 하나씩 배 치되나, 제9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클러치(C1)와 제2클러치(C2)가 전방의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의 외측에서 엔진 측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는 제3유성 캐리어(PC3)가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변속기 케이스(1)에 병렬로 배치되는 제1브레이크(B1) 및 원웨이 클러치(OWC)와도 연결되어 입력 및 고정요소로 작동하도록 조합되는 반면, 제9실시예에서는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CPC)가 상기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 연결되고, 제3유성 캐리어(PC3)가 상기 제1브레이크(B1) 및 원웨이 클러치(OWC)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1)에 가변 연결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합되는 5개의 작동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에 입력축(3)의 동력이 전달되는 경로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그 작동 요소표도 제1실시예의 도 2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변속과정은 상기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실시예의 해석과정과 동일하여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0실시예를 첨부한 도 13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로써,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은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에 서와 같이, 토크 컨버터를 통하여 엔진 출력측에 접속되는 입력축(3)상의 전방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의 그 후방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구비되며,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의 후방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구비되어 2개의 클러치와 3개의 브레이크로 이루어지는 작동요소의 작동에 의해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하도록 조합되는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유성기어셋트의 배열도 엔진에 대응하여 변속기 전측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배치되고, 변속기 후측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배치되며, 그 사이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배치되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한 5개의 작동요소의 연결에 있어서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제1실시예에서는 출력요소로 작동하는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의 독립된 제1유성 캐리어(PC1)에 출력기어(OUT GEAR)연결되었으나. 제10실시예에서는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의 제2링기어(R2)와 직결된 제1유성 캐리어(PC1)의 일측으로 상기 출력기어(OUT GEAR)가 것에 차이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클러치(C1)와 제2클러치(C2)가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양 외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나, 제10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클러치(C1)와 제2클러치(C2)가 이웃하여 전방의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의 외측에서 엔진 측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는 제3유성 캐리어(PC3)가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변속기 케이스(1)에 병렬로 배치되는 제1브레이크(B1) 및 원웨이 클러치(OWC)와도 연결되어 입력 및 고정요소로 작동하도록 조합되는 반면, 제10실시예에서는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CPC)가 상기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 연결되고, 제3유성 캐리어(PC3)가 상기 제1브레이크(B1) 및 원웨이 클러치(OWC)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1)에 가변 연결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합되는 5개의 작동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에 입력축(3)의 동력이 전달되는 경로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그 작동 요소표도 제1실시예의 도 2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변속과정은 상기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실시예의 해석과정과 동일하여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1실시예를 첨부한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로써,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은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에서와 같이, 토크 컨버터를 통하여 엔진 출력측에 접속되는 입력축(3)상의 전방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의 그 후방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구비되며, 상기 제2싱 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의 후방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구비되어 2개의 클러치와 3개의 브레이크로 이루어지는 작동요소의 작동에 의해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하도록 조합되는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유성기어셋트의 배열도 엔진에 대응하여 변속기 전측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배치되고, 변속기 후측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배치되며, 그 사이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배치되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한 5개의 작동요소의 연결에 있어서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제1실시예에서는 출력요소로 작동하는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의 독립된 제1유성 캐리어(PC1)에 출력기어(OUT GEAR)연결되었으나. 제11실시예에서는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의 제2링기어(R2)와 직결된 제1유성 캐리어(PC1)의 일측으로 상기 출력기어(OUT GEAR)가 것에 차이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클러치(C1)와 제2클러치(C2)가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양 외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나, 제11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클러치(C1)와 제2클러치(C2)가 이웃하여 전방의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의 외측에서 엔진 측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는 제3유성 캐리어(PC3)가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변속기 케이스(1)에 병렬로 배치되는 제1브레이크(B1) 및 원웨이 클러치(OWC)와도 연결되어 입력 및 고정요소로 작동하도록 조합되 는 반면, 제11실시예에서는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CPC)가 상기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 연결되고, 제2유성 캐리어(PC2)가 상기 제1브레이크(B1) 및 원웨이 클러치(OWC)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1)에 가변 연결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합되는 5개의 작동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에 입력축(3)의 동력이 전달되는 경로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그 작동 요소표도 제1실시예의 도 2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변속과정은 상기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실시예의 해석과정과 동일하여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2실시예를 첨부한 도 15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로써,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은 토크 컨버터를 통하여 엔진 출력측에 접속되는 입력축(3)상의 전방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의 그 후방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구비되며,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후방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구비되어 2개의 클러치와 3개의 브레이크로 이루어지는 작동요소의 작동에 의해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하도록 조합되는 구성은 동일하다.
단지, 제12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성기어셋트의 배치가 변속기 전측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배치되고, 변속기 후측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배치되며, 그 사이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배치되는 것이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5개의 작동요소의 연결에 있어서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제1실시예에서는 제3유성 캐리어(PC3)가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변속기 케이스(1)에 병렬로 배치되는 제1브레이크(B1) 및 원웨이 클러치(OWC)와도 연결되어 입력 및 고정요소로 작동하도록 조합되는 반면, 제12실시예에서는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CPC)가 상기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 연결되고, 제2유성 캐리어(PC2)가 상기 제1브레이크(B1) 및 원웨이 클러치(OWC)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1)에 가변 연결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클러치(C1)와 제2클러치(C2)가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양 외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나, 제1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클러치(C1)와 제2클러치(C2)가 후방의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의 외측에서 엔진 반대측에 나란히 배치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합되는 5개의 작동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에 입력축(3)의 동력이 전달되는 경로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그 작동 요소표도 제1실시예의 도 2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변속과정은 상 기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실시예의 해석과정과 동일하여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3실시예를 첨부한 도 1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로써,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은 토크 컨버터를 통하여 엔진 출력측에 접속되는 입력축(3)상의 전방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구비되고,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의 그 후방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구비되며,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후방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구비되어 2개의 클러치와 3개의 브레이크로 이루어지는 작동요소의 작동에 의해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하도록 조합되는 구성은 동일하다.
단지, 제13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성기어셋트의 배치가 변속기 전측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배치되고, 변속기 후측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배치되며, 그 사이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배치되는 것이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5개의 작동요소의 연결에 있어서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제1실시예에서는 제3유성 캐리어(PC3)가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변속기 케이스(1)에 병렬로 배치되는 제1브레이크(B1) 및 원웨이 클러치(OWC)와도 연결되어 입력 및 고정요소로 작동하도록 조합되는 반면, 제13실시예에서는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CPCP)가 상기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입 력축(3)에 가변 연결되고, 제2유성 캐리어(PC2)가 상기 제1브레이크(B1) 및 원웨이 클러치(OWC)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1)에 가변 연결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클러치(C1)와 제2클러치(C2)가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의 양 외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나, 제13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클러치(C1)와 제2클러치(C2)가 전방의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의 외측에서 엔진 측에 나란히 배치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합되는 5개의 작동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에 입력축(3)의 동력이 전달되는 경로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그 작동 요소표도 제1실시예의 도 2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변속과정은 상기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실시예의 해석과정과 동일하여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4실시예를 첨부한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로써,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은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에서와 같이, 토크 컨버터를 통하여 엔진 출력측에 접속되는 입력축(3)상의 전방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의 그 후방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구비되며, 상기 제2싱 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의 후방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구비되어 2개의 클러치와 3개의 브레이크로 이루어지는 작동요소의 작동에 의해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하도록 조합되는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유성기어셋트의 배열도 엔진에 대응하여 변속기 전측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배치되고, 변속기 후측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배치되며, 그 사이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배치되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한 5개의 작동요소의 연결에 있어서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제1실시예에서는 제3유성 캐리어(PC3)가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변속기 케이스(1)에 병렬로 배치되는 제1브레이크(B1) 및 원웨이 클러치(OWC)와도 연결되어 입력 및 고정요소로 작동하도록 조합되는 반면, 제14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링기어(R3)가 상기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 연결되고, 제2유성 캐리어(PC2)가 상기 제1브레이크(B1) 및 원웨이 클러치(OWC)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1)에 가변 연결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합되는 5개의 작동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에 입력축(3)의 동력이 전달되는 경로는 상기 제1실시예와 다소 차이가 있으나, 그 작동 요소표는 제1실시예의 도 2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변속과정은 상기 제1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8과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실시예의 해석과정을 통하여 당업자에 의해 충분히 구현할 수 있을 정도의 것이므로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5실시예를 첨부한 도 20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개략도로써,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은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에서와 같이, 토크 컨버터를 통하여 엔진 출력측에 접속되는 입력축(3)상의 전방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의 그 후방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구비되며,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의 후방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구비되어 2개의 클러치와 3개의 브레이크로 이루어지는 작동요소의 작동에 의해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하도록 조합되는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유성기어셋트의 배열도 엔진에 대응하여 변속기 전측에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가 배치되고, 변속기 후측에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가 배치되며, 그 사이에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가 배치되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한 5개의 작동요소의 연결에 있어서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제1실시예에서는 출력요소로 작동하는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의 독립된 제1유성 캐리어(PC1)에 출력기어(OUT GEAR)연결되었으나. 제15실시예에서는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2)의 제2링기어(R2)와 직결된 제1유성 캐리어(PC1)의 일측으로 상기 출력기어(OUT GEAR)가 연결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는 제3유성 캐리어(PC3)가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변속기 케이스(1)에 병렬로 배치되는 제1브레이크(B1) 및 원웨이 클러치(OWC)와도 연결되어 입력 및 고정요소로 작동하도록 조합되는 반면, 제15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링기어(R3)가 상기 제2클러치(C2)를 통하여 입력축(3)에 가변 연결되고, 제2유성 캐리어(PC2)가 상기 제1브레이크(B1) 및 원웨이 클러치(OWC)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1)에 가변 연결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합되는 5개의 작동요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SPG1,SPG2)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DPG)에 입력축(3)의 동력이 전달되는 경로는 상기 제1실시예와 다소 차이가 있으나, 그 작동 요소표는 제1실시예의 도 2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따른 파워 트레인의 변속과정은 상기 제1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8과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실시예의 해석과정을 통하여 당업자에 의해 충분히 구현할 수 있을 정도의 것이므로 생략한다.
상기에서 각 유성기어셋트에 대한 속도선에 대해서는 당업자라면 충분히 구현할 수 있는 공지 부분이므로 제1실시예를 제외한 제2실시예 내지 제15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파워 트레인에 대한 다양한 15가지의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하여 균등 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파워 트레인은, 2개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하나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를 조합하여 구성하되, 하나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하나의 유성기어와, 하나의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기어를 별개로 자전하도록 연결하여 그 유성 캐리어를 상호 공유하도록 함과 동시에, 적어도 2개의 링기어를 일체화하여 축방향 지지구조를 구축함으로써, 변속기의 전장 및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후진 및 최고단의 기어비를 높여 후진 등판 성능 및 전진 구동 성능을 향상시키며, 제1속단 기어비는 낮추어 타이어의 발진 슬립을 최소화하며, 동시에 제2속단과 제3속단 사이의 단간비를 적정하게 하여 팁인(Tip-in) 충격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8)

  1.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하나의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를 상호 조합하여 구성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에 있어서,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하나의 유성기어와, 이에 이웃한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기어를 상호 별개로 자전 가능하도록 공유 유성 캐리어로 연결하며,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와,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를 상호 직결하여 일체화하며,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와,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를 상호 직결하여 조합하며,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는 입력축의 동력이 상시 직결되도록 하며,
    2개의 클러치와 3개의 브레이크를 조합하여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배치는 입력축이 연결되는 엔진측으로부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순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는 그 선기어가 브레이크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고, 그 유성 캐리어가 출력요소로 작동하며,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는 그 선기어가 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브레이크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며,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각 유성기어를 연결하는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가 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변속기 케이스에 병렬로 배치되는 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는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상기 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도 가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는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상기 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되고,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상기 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는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상기 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고,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가 상기 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는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상기 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고,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가 상기 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출력요소는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독립된 일측 유성 캐리어에 출력기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출력요소는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와 직결되는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에 출력기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에 연결되는 클러치와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에 연결되는 클러치는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양 외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에 연결되는 클러치와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에 연결되는 클러치는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외측으로 엔진 측에 대응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클러치와 각 브레이크는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를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하는 브레이크를 제2브레이크로 하고,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를 입력축에 가변 연결하는 클러치를 제1클러치로 하며, 이를 다시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하는 브레이크를 제3브레이크로 하며,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를 입력축에 가변 연결하는 클러치를 제2클러치로 하고, 이를 다시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하는 브레이크를 제1브레이크로 하되,
    제1속단에서 제2브레이크와 원웨이 클러치가 작동하고, 제2속단에서는 제1속단의 상태에서 제3브레이크가 작동하며, 제3속단에서는 제2속단의 상태에서 제3브 레이크가 해제되면서 제1클러치가 작동하고, 제4속단에서는 제3속단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2클러치가 작동하고, 제5속단에서는 제4속단의 상태에서, 제2브레이크가 해제되면서 제1클러치가 작동하고, 제6속단에서는 제5속단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3브레이크가 작동하고, 후진 변속단에서는 제1클러치 및 제1브레이크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배치는 입력축이 연결되는 엔진측으로부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순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는 그 선기어가 브레이크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고, 그 유성 캐리어가 출력요소로 작동하며,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는 그 선기어가 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브레이크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며,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각 유성기어를 연결하는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가 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변속기 케이스에 병렬로 배치되는 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는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상기 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되고,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상기 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는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상기 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고,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가 상기 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출력요소는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와 직결되는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에 출력기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에 연결되는 클러치와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에 연결되는 클러치는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양 외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에 연결되는 클러치와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에 연결되는 클러치는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외측과,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에 연결되는 클러치와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에 연결되는 클러치는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외측으로 엔진 반대측에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19.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각 클러치와 각 브레이크는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를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하는 브레이크를 제2브레이크로 하고,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를 입력축에 가변 연결하는 클러치를 제1클러치로 하며, 이를 다시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하는 브레이크를 제3브레이크로 하며,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를 입력축에 가변 연결하는 클러치를 제2클러치로 하고, 이를 다시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하는 브레이크를 제1브레이크로 하되,
    제1속단에서 제2브레이크와 원웨이 클러치가 작동하고, 제2속단에서는 제1속단의 상태에서 제3브레이크가 작동하며, 제3속단에서는 제2속단의 상태에서 제3브레이크가 해제되면서 제1클러치가 작동하고, 제4속단에서는 제3속단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2클러치가 작동하고, 제5속단에서는 제4속단의 상태에서, 제2브레이크가 해제되면서 제1클러치가 작동하고, 제6속단에서는 제5속단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3브레이크가 작동하고, 후진 변속단에서는 제1클러치 및 제1브레이크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배치는 입력축이 연결되는 엔진측으로부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순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는 그 선기어가 브레이크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고, 그 유성 캐리어 또는 그 유성 캐리어와 직결되는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가 출력요소로 작동하며,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는 그 선기어가 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브레이크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며,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각 유성기어를 연결하는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가 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변속기 케이스에 병렬로 배치되는 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는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상기 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되고,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상기 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는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상기 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고,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가 상기 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23.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출력요소는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직결되는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에 출력기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24.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출력요소는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독립된 일측 유성 캐리어에 출력기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25.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각 클러치와 각 브레이크는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를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하는 브레이크를 제2브레이크로 하고,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를 입력축에 가변 연결하는 클러치를 제1클러치로 하며, 이를 다시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하는 브레이크를 제3브레이크로 하며,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를 입력축에 가변 연결하는 클러치를 제2클러치로 하고, 이를 다시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하는 브레이크를 제1브레이크로 하되,
    제1속단에서 제2브레이크와 원웨이 클러치가 작동하고, 제2속단에서는 제1속단의 상태에서 제3브레이크가 작동하며, 제3속단에서는 제2속단의 상태에서 제3브레이크가 해제되면서 제1클러치가 작동하고, 제4속단에서는 제3속단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2클러치가 작동하고, 제5속단에서는 제4속단의 상태에서, 제2브레이크가 해제되면서 제1클러치가 작동하고, 제6속단에서는 제5속단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3브레이크가 작동하고, 후진 변속단에서는 제1클러치 및 제1브레이크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2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배치는 입력축이 연결되는 엔진측으로부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순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는 그 선기어가 브레이크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고, 그 유성 캐리어가 출력요소로 작동하며,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는 그 선기어가 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브레이크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며,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가 상기 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되고,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상기 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출력요소는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독립된 일측 유성 캐리어에 출력기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28.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출력요소는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와 직결되는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에 출력기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29.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각 클러치와 각 브레이크는
    상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를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하는 브레이크를 제2브레이크로 하고,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를 입력축에 가변 연결하는 클러치를 제1클러치로 하며, 이를 다시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하는 브레이크를 제3브레이크로 하며,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를 입력축에 가변 연결하는 클러치를 제2클러치로 하고, 상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를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하는 브레이크를 제1브레이크로 하되,
    제1속단에서 제2브레이크와 원웨이 클러치가 작동하고, 제2속단에서는 제1속단의 상태에서 제3브레이크가 작동하며, 제3속단에서는 제2속단의 상태에서 제3브레이크가 해제되면서 제1클러치가 작동하고, 제4속단에서는 제3속단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2클러치가 작동하고, 제5속단에서는 제4속단의 상태에서, 제2브레이크가 해제되면서 제1클러치가 작동하고, 제6속단에서는 제5속단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3브레이크가 작동하고, 후진 변속단에서는 제1클러치 및 제1브레이크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30. 제1선기어(S1), 제1유성기어(P1) 및 제1링기어(R1)로 구성된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제2선기어(S2), 제2유성기어(P2) 및 제2링기어(R2)로 구성된 제2 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및 제3선기어(S3), 2조의 제3유성기어(P3) 및 제3링기어(R3)로 구성된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를 상호 조합하여 구성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에 있어서,
    상기 2조의 제3유성기어 중 하나의 제3유성기어와, 이에 이웃한 제2유성기어를 상호 별개로 자전 가능하도록 공유 유성 캐리어로 연결하며,
    상기 제3링기어와, 상기 제1링기어를 상호 직결하여 일체화하며,
    상기 제2링기어와, 상기 제1유성 캐리어를 상호 직결하여 조합하며,
    상기 제3선기어는 입력축의 동력이 상시 직결되도록 하며,
    2개의 클러치와 3개의 브레이크를 조합하여 전진 6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배치는 입력축이 연결되는 엔진측으로부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순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선기어가 제2브레이크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고, 제1유성 캐리어가 출력요소로 작동하며,
    상기 제2선기어가 제1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제3브레이크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며,
    상기 제2,3유성기어를 연결하는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가 제2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변속기 케이스에 병렬로 배치되는 제1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는 상기 제3유성 캐리어가 상기 제2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1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도 가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33.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는 상기 제3유성 캐리어가 상기 제2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되고, 제2유성 캐리어가 상기 제1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34.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는 상기 제3유성 캐리어가 상기 제1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고,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가 상기 제2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35.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 는 상기 제2유성 캐리어가 상기 제1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고,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가 상기 제2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36.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출력요소는 독립된 제1유성 캐리어에 출력기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37.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출력요소는 제2링기어와 직결되는 제1유성 캐리어에 출력기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38.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와 제2클러치는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양 외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39.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와 상기 제2클러치는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외측으로 엔진 측에 대응하여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40.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각 클러치와 각 브레이크는
    제1속단에서 제2브레이크와 원웨이 클러치가 작동하고, 제2속단에서는 제1속 단의 상태에서 제3브레이크가 작동하며, 제3속단에서는 제2속단의 상태에서 제3브레이크가 해제되면서 제1클러치가 작동하고, 제4속단에서는 제3속단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2클러치가 작동하고, 제5속단에서는 제4속단의 상태에서, 제2브레이크가 해제되면서 제1클러치가 작동하고, 제6속단에서는 제5속단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3브레이크가 작동하고, 후진 변속단에서는 제1클러치 및 제1브레이크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4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배치는 입력축이 연결되는 엔진측으로부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순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선기어가 제2브레이크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고, 제1유성 캐리어가 출력요소로 작동하며,
    상기 제2선기어가 제1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제3브레이크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며,
    상기 제2,3유성기어를 연결하는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가 제2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변속기 케이스에 병렬로 배치되는 제1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42.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는 상기 제3유성 캐리어가 상기 제2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되고, 제2유성 캐리어가 상기 제1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43.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는 상기 제2유성 캐리어가 상기 제1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고,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가 상기 제2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44.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출력요소는 제2링기어와 직결되는 제1유성 캐리어에 출력기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45.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와 제2클러치는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양 외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46.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와 제2클러치는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외측과, 상기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47.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와 제2클러치는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외측으로 엔진 반대측에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48.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각 클러치와 각 브레이크는
    제1속단에서 제2브레이크와 원웨이 클러치가 작동하고, 제2속단에서는 제1속단의 상태에서 제3브레이크가 작동하며, 제3속단에서는 제2속단의 상태에서 제3브레이크가 해제되면서 제1클러치가 작동하고, 제4속단에서는 제3속단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2클러치가 작동하고, 제5속단에서는 제4속단의 상태에서, 제2브레이크가 해제되면서 제1클러치가 작동하고, 제6속단에서는 제5속단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3브레이크가 작동하고, 후진 변속단에서는 제1클러치 및 제1브레이크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49.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배치는 입력축이 연결되는 엔진측으로부터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순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선기어가 제2브레이크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고, 제1유성 캐리어 또는 제1유성 캐리어와 직결되는 제3링기어가 출력요소로 작동하며,
    상기 제2선기어가 제1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제3브레이크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며,
    상기 제2,3유성기어를 연결하는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가 제2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변속기 케이스에 병렬로 배치되는 제2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50. 청구항 49에 있어서,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는 상기 제3유성 캐리어가 상기 제2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되고, 제2유성 캐리어가 상기 제1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51. 청구항 49에 있어서,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와 동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요소는 상기 제2유성 캐리어가 상기 제1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고, 상기 공유 유성 캐리어가 상기 제2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52. 청구항 49에 있어서, 상기 출력요소는 제1유성 캐리어와 직결되는 제3링기어 에 출력기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53. 청구항 49에 있어서, 상기 출력요소는 독립된 제1유성 캐리어에 출력기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54. 청구항 49에 있어서, 상기 각 클러치와 각 브레이크는
    제1속단에서 제2브레이크와 원웨이 클러치가 작동하고, 제2속단에서는 제1속단의 상태에서 제3브레이크가 작동하며, 제3속단에서는 제2속단의 상태에서 제3브레이크가 해제되면서 제1클러치가 작동하고, 제4속단에서는 제3속단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2클러치가 작동하고, 제5속단에서는 제4속단의 상태에서, 제2브레이크가 해제되면서 제1클러치가 작동하고, 제6속단에서는 제5속단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3브레이크가 작동하고, 후진 변속단에서는 제1클러치 및 제1브레이크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55.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제1,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와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배치는 입력축이 연결되는 엔진측으로부터 제1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제2싱글 피니언 유성기어셋트, 더블 피니언 유성기어셋트의 순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선기어가 제2브레이크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고, 제 1유성 캐리어가 출력요소로 작동하며,
    상기 제2선기어가 제1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됨과 동시에, 제3브레이크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며,
    상기 제3링기어가 제2클러치를 통하여 입력축에 가변 연결되고, 제2유성 캐리어가 상기 1브레이크 및 원웨이 클러치를 통하여 변속기 케이스에 가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56. 청구항 55에 있어서, 상기 출력요소는 독립된 제1유성 캐리어에 출력기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57. 청구항 55에 있어서, 상기 출력요소는 제2링기어와 직결되는 제1유성 캐리어에 출력기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58. 청구항 55에 있어서, 상기 각 클러치와 각 브레이크는
    제1속단에서 제2브레이크와 원웨이 클러치가 작동하고, 제2속단에서는 제1속단의 상태에서 제3브레이크가 작동하며, 제3속단에서는 제2속단의 상태에서 제3브레이크가 해제되면서 제1클러치가 작동하고, 제4속단에서는 제3속단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2클러치가 작동하고, 제5속단에서는 제4속단의 상태에서, 제2브레이크가 해제되면서 제1클러치가 작동하고, 제6속단에서는 제5속단의 상태에서 제1클러치가 해제되면서 제3브레이크가 작동하고, 후진 변속단에서는 제1클 러치 및 제1브레이크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20040110555A 2004-12-22 2004-12-22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634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555A KR100634616B1 (ko) 2004-12-22 2004-12-22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DE102005058684A DE102005058684B4 (de) 2004-12-22 2005-12-08 Automatisch schaltbares Sechsganggetriebe
JP2005356271A JP4953418B2 (ja) 2004-12-22 2005-12-09 自動変速機の6速パワートレイン
US11/302,065 US7377873B2 (en) 2004-12-22 2005-12-12 Six-speed powertrain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CNB200510134332XA CN100472093C (zh) 2004-12-22 2005-12-14 自动变速装置的六速动力系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555A KR100634616B1 (ko) 2004-12-22 2004-12-22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032A true KR20060072032A (ko) 2006-06-27
KR100634616B1 KR100634616B1 (ko) 2006-10-16

Family

ID=36596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555A KR100634616B1 (ko) 2004-12-22 2004-12-22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77873B2 (ko)
JP (1) JP4953418B2 (ko)
KR (1) KR100634616B1 (ko)
CN (1) CN100472093C (ko)
DE (1) DE102005058684B4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185B1 (ko) * 2007-03-29 2008-05-16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7속 파워 트레인
KR100830183B1 (ko) * 2007-03-29 2008-05-16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911505B1 (ko) * 2008-03-31 2009-08-10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20150102088A (ko) * 2013-03-26 2015-09-04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자동 변속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775B1 (ko) * 2004-11-09 2006-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680641B1 (ko) 2005-12-12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6속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KR100802932B1 (ko) * 2006-05-09 2008-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836912B1 (ko) * 2006-05-29 2008-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802938B1 (ko) * 2006-05-29 2008-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802936B1 (ko) * 2006-05-29 2008-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802933B1 (ko) * 2006-05-29 2008-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803303B1 (ko) * 2006-10-27 2008-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8속 파워트레인
JP4811335B2 (ja) * 2007-04-27 2011-11-09 マツダ株式会社 自動変速機
JP2008298126A (ja) 2007-05-30 2008-12-11 Mazda Motor Corp 自動変速機
KR100916776B1 (ko) 2007-09-03 2009-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US8298122B2 (en) * 2009-10-06 2012-10-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trol of parallel reaction brakes in a transmission
US8784258B2 (en) * 2010-12-01 2014-07-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lanetary power transmission
US8579755B2 (en) * 2011-03-07 2013-11-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assive mechanical torque converter
US9017203B2 (en) * 2012-10-02 2015-04-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axial gear system
US8617022B1 (en) 2013-01-09 2013-12-3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ulti-speed automatic transmission
US8529396B1 (en) 2013-01-09 2013-09-1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ulti-speed automatic transmission
CN103234012A (zh) * 2013-05-13 2013-08-07 周庆华 串连行星齿轮接力式自动变速箱
JP6762256B2 (ja) * 2017-03-30 2020-09-3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動力伝達装置および建設機械
DE102017207191A1 (de) * 2017-04-28 2018-10-31 Zf Friedrichshafen Ag Getriebe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6817A (en) * 1974-08-27 1976-12-14 Caterpillar Tractor Co. Transmission including dual input clutch assembly
JPS5761943B2 (ko) * 1975-03-20 1982-12-27 Aisin Seiki
US5133697A (en) * 1989-05-02 1992-07-28 Nissan Motor Co., Ltd. Planetary gear system
JP2778278B2 (ja) * 1991-03-14 1998-07-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遊星歯車変速機構
KR0145492B1 (ko) 1994-10-03 1998-08-01 와다 아키히로 자동변속기용 기어변속장치
KR100305478B1 (ko) * 1997-10-08 2001-12-28 이계안 5속자동변속기용파워트레인
DE19912480B4 (de) * 1999-03-22 2006-03-16 Zf Friedrichshafen Ag Automatisch schaltbares Kraftfahrzeuggetriebe
JP4359982B2 (ja) * 1999-12-24 2009-11-1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変速装置
US20020183160A1 (en) * 2001-06-05 2002-12-05 Chi-Kuan Kao Six-speed planetary transmission mechanisms with two clutches and three brakes
US6626789B2 (en) * 2001-09-19 2003-09-30 General Motors Corporation Family of six-speed transmission mechanisms with three planetary gearsets
JP3736481B2 (ja) * 2001-10-30 2006-0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
JP3630132B2 (ja) * 2001-10-30 2005-03-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
US6827664B2 (en) * 2001-11-15 2004-12-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nsmission
DE10162885A1 (de) * 2001-12-20 2003-07-24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Mehrstufengetriebe
KR100623775B1 (ko) * 2004-11-09 2006-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185B1 (ko) * 2007-03-29 2008-05-16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7속 파워 트레인
KR100830183B1 (ko) * 2007-03-29 2008-05-16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911505B1 (ko) * 2008-03-31 2009-08-10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20150102088A (ko) * 2013-03-26 2015-09-04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자동 변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93694A (zh) 2006-06-28
DE102005058684A1 (de) 2006-07-13
US7377873B2 (en) 2008-05-27
DE102005058684B4 (de) 2013-12-19
JP4953418B2 (ja) 2012-06-13
KR100634616B1 (ko) 2006-10-16
JP2006177554A (ja) 2006-07-06
CN100472093C (zh) 2009-03-25
US20060135309A1 (en) 200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4616B1 (ko)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534780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534779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JP5187799B2 (ja) 自動変速機の6速パワートレイン
KR100610789B1 (ko)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559336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634610B1 (ko)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551317B1 (ko)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623776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534778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868214B1 (ko) 차량용 10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0623782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623758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623778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623781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802935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623774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610793B1 (ko)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623777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623780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623779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836912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100916776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20060016655A (ko) 자동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KR20040039737A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6속 파워 트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