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1584A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1584A
KR20060071584A KR1020040110208A KR20040110208A KR20060071584A KR 20060071584 A KR20060071584 A KR 20060071584A KR 1020040110208 A KR1020040110208 A KR 1020040110208A KR 20040110208 A KR20040110208 A KR 20040110208A KR 20060071584 A KR20060071584 A KR 20060071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rveillance camera
mobile communication
camera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기
박성
임재청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0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1584A/ko
Publication of KR20060071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15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5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measuring forces due to impac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13Means for detecting collision, impending collision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1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cameras with adjustable captur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주변의 움직이는 물체를 중심으로 촬영을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는 센서부에서 외부 충격이 감지된 경우, 감시 카메라로서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부가 주변에 움직이는 물체를 향하게 하고 상기 움직이는 물체의 일부를 확대하여 촬영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널리 보급된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감시 카메라 장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경감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차량 감시 카메라 장치로 이용하는 경우, 차량에 손해를 입히는 피사체를 인식할 수 있게 보다 정확히 촬영을 함으로써 차량 사고 발생시에 차에 손실을 입힌 사람을 보다 쉽게 판독할 수 있다.
감시 카메라, 초점거리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Surveillance camera apparatus using mobile device and co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 및 제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주변의 움직이는 물체를 중심으로 촬영을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난을 방지하거나 주변을 감시하기 위한 보안 시스템이 개인의 집뿐만 아니 라 은행이나 공공 건물 등에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안 시스템은 출입자 등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다.
최근에는 감시 카메라를 건물들 뿐만 아니라 차량에 장착하여, 차량 절도 또는 주차된 차량을 훼손하는 범인을 색출하기 위한 용도 등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감시 카메라 장치는, 대부분 별도의 카메라를 장착하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 등에 표시하거나, 별도의 영상시스템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형태이다.
이로 인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감시 카메라 장치는 설치비용이 증가하고, 감시 카메라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소프트웨어나 통신장치가 필요로 하여, 누구나 편리하게 감시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한편, 종래의 감시 카메라 장치는 관심대상인 피사체를 중심으로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설치된 위치에 따른 감시장소의 대부분을 촬영한다. 따라서, 감시장소에 침입한 피사체가 촬영되어도, 피사체를 포함하는 주변 환경이 함께 포함되어 촬영됨으로써 피사체의 식별이 어려우며 정확한 증거물 확보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서 감시 카메라가 그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최근에 널리 보급된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활용하여, 저렴하고 간단하게 이용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움직이는 물체, 즉 피사체를 중 심으로 촬영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의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오토포커싱부; 상기 카메라부가 피사체를 향하여 움직이도록 상기 카메라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되는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동체의 존재 여부, 동체의 움직임 정보, 및 동체까지의 거리를 판단하는 영상처리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충격이 감지된 경우,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판단된 동체의 움직임 정보를 상기 구동부로 전달하고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판단된 동체까지의 거리를 상기 오토포커싱부에 전달하여, 상기 카메라부가 피사체를 향하고 상기 피사체의 상반신을 중심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원격지의 사용자로부터의 촬영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의 제어방법은 외부로부터 충격에 의한 신호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동체의 움직임 추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동체가 일정시간 이상 계속 감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동체가 계속 감지되 는 경우, 초점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동체의 일부를 확대하여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동체의 움직임 추적은 일정시간 이상 동체가 감지되는 경우에도 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피사체라 함은 감시 카메라 장치에서 촬영되는 대상 물체로, 특히 화면 내의 배경 화면과 구별되는 소정의 대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피사체는 감시 카메라 장치를 통해 촬영되는 범인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는, 감시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감시카메라로서 동작하는 중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감지하거나 촬영되는 화면 내에 소정시간 이상 움직이는 물체(이하, "동체"라 한다.)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촬영 대상인 피사체로 판단하여 상기 피사체를 중심으로 촬영하는 데에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100)는 센서부(101), 카메라부(102), 영상처리부(104), 제어부(106), 오토포커싱부(108), 구동부(110), 입력부(116), 통신부(118), 표시부(120), 음성처리부 (122)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101)는 외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센서부(101)는 소정 크기 이상의 충격이 감지된 경우, 이를 상기 제어부(106)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센서부(101)로부터 외부 충격이 감지된 경우, 그 충격의 원인을 효과적으로 감시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처리부(104)에 동체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04)는 카메라부(102)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일정시간동안 동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동체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그 움직임 정보를 상기 제어부(106)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04)는 동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106)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부(102)는 촬영 렌즈 및 상기 촬영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광전변환소자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영상처리부(104)는 일정시간차를 두고 촬영된 화면 내에동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소정의 동체가 일정시간 계속 감지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동체를 피사체로 판단하고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 추적을 수행하여 그 움직임 정보를 상기 제어부(106)로 출력한다. 여기서, 촬영된 한 프레임의 영상을 일정 크기로 분할한 다음에, 분할된 각 영역내 또는 서로 다른 영역내의 영상신호를 비교하여 급격한 영상 변화나 휘도의 변화를 판단하여 동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분할된 영역내에서 동체를 판단하는 과정을 통해 동 체가 어떠한 방향으로 움직이는지에 관한 움직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방법 이외에도 널리 공지된 다양한 모션 디텍션(motion detection)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영상처리부(104)로부터 동체의 움직임 정보와 동체까지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정보들을 근거로 하여 상기 카메라부(102)가 피사체를 향하게 하고, 피사체를 중심으로 촬영을 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상기 오토포커싱부(108) 및 구동부(110)로 출력한다.
상기 구동부(110)는 상기 제어부(106)에서 전달된 동체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102)의 위치를 상하로 이동시켜 촬영 영역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틸트(tilt)동작 및/또는 상기 카메라부(102)의 위치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팬(pan)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팬/틸트 동작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부(102)의 위치가 움직이는 물체의 중심을 향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오토포커싱부(Auto Focusing:AF)(108)는 상기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부(104)에서 판단된 동체까지의 거리를 바탕으로 상기 카메라부(102)의 촬영 렌즈의 초점거리를 조절하여, 피사체의 상반신을 중심으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35mm 필름 카메라에서 인물중심의 촬영을 위하여 적용되는 초점거리를 변화시키는 방법은 다음의 표 1과 같다.
카메라 초점거리(단위:mm) 인물중심촬영을 위한 피사체 거리(단위:mm)
38 1540
45 1954
55 2238
65 2543
75 2836
85 3121
95 3419
... ...
125 4629
여기서, 상기 카메라는 38mm(와이드:wide)부터 125mm(텔레:tele) 까지 연동이 되는 줌 카메라로서, 상기 카메라에서 인물 중심 촬영을 위해 사용되는 초점거리 조절 방법을 살펴보면, 가령 카메라와 피사체와의 거리가 2543mm 떨어져 있으면 카메라 초점거리가 65mm가 되도록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여 상반신을 중심으로 촬영이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피사체(인물) 중심의 촬영 방법을 포트레이트 줌(portrait zoom) 방법이라고도 한다.
상기 오토포커싱부(108)에서도, 상기한 바와 같은 인물 중심 촬영 방법을 이용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 정보 및 피사체가 화면 내에서 차지하는 분포를 바탕으로 피사체의 상반신을 중심으로 촬영이 가능하도록 렌즈의 초점거리를 조절한다.
상기 입력부(116)는 감시 카메라 장치(100)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키 등을 구비하며,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16)를 통해 감시 카메라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8)는 상기 카메라부(102)에서 촬영된 영상을 원격지 사용자의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거나, 상기 원격지 사용자로부터의 촬영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06)로 전달한다.
상기 표시부(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의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구현되며, 상기 카메라부(102)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116)를 통해 입력되는 키데이터 및 상기 제어부(106)의 각종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한다.
상기 음성처리부(12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100)에 외부 음성을 녹음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102)의 촬영 전이나 후의 음성신호를 녹음함으로써 감시 기능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의 사용자가 상기 감시 카메라 장치(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 및 제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원격제어용 이동통신 단말기"라 한다.)(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원격제어용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감시 카메라 장치(100)로 촬영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감시 카메라 동작을 제어하거나, 상기 감시 카메라 장치(100)에서 송신되는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용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통신부(202), 영상처리부(204), 제어부(206), 입력부(208), 표시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202)는 상기 감시 카메라 장치(100)에서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입력부(208)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촬영 제어신호를 상기 감시 카메라 장치(100)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통신부(202)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는 상기 제어부(320)의 제어하에 상기 영상처리부(204)에서 디코딩되어 표시부(210)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부(102)에서 촬영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08)는 원격지의 사용자가 상기 감시 카메라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곳으로, 예를 들어 카메라의 팬, 틸트, 줌 기능 및 초점거리 조절을 위한 키(wide,tele)등을 구비한다.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208)를 통해 입력한 제어 명령은 상기 제어부(206)를 거쳐 상기 통신부(202)를 통해 송신된다. 상기 제어부(106)는 수신된 상기 제어 명령이 정당한 제어권한이 있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것인지 여부를 수신된 제어신명령에 포함된 사용자 ID 등을 통해 확인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확인 과정을 거친후,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감시 카메라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200) 상호간의 통신을 통해 원격지에서도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 장치의 동작 순서도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의 동작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휴대폰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06)는 모드 선택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16)를 통해 감시카메라 모드를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단계 300), 감시카메라 모드가 아닌 휴대폰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감시 카메라 기능을 작동시키지 않고 일반 휴대폰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단계 310).
상기 단계 300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감시 카메라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106)는 전체 장치를 감시 카메라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한편, 상기 센서부(101)로부터 외부 충격에 의한 신호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320).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센서부(101)에서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영상처리부(104)를 제어하여 동체를 추적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영상처리부(104)에게 상기 카메라부(102)에서 촬영된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동체를 추적하여 그 움직임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영상처리부(104)에서 출력되는 동체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102)가 상기 동체의 중심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부(110)로 출력한다. 상기 구동부(110)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102)가 동체의 중심 위치로 이동되도록 팬 및/또는 틸트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동체 추적이 수행된다(단계 330).
상기 동체 추적 과정 중에 상기 영상처리부(104)는 동체가 일정시간 이상 감지되는지를 판단하고, 촬영된 화면 내에 계속 동체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영상처리부(104)에서 동체까지의 거리 계산 결과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동체까지의 거리를 상기 오토포커싱부(108)에 전달한다(단계 340).
상기 오토포커싱부(108)는 상기 동체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동체의 상단부 가 촬영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부(102) 렌즈의 초점거리를 가변시킨다(단계 350).
상기 과정을 통해 렌즈의 초점거리가 맞추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카메라부(102)에 촬영 제어신호를 보내어 동체를 사진 촬영하도록 제어한다(단계 360). 상기 카메라부(102)에서 촬영된 영상은 상기 통신부(118)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되거나 메모리 등의 저장수단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4의 설명 중 도 3과 중복되는 내용은 간략히 언급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제어방법은, 상기 센서부(101)로부터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영상처리부(104)에서 일정시간 동안 동체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425(제 1 동체 판단 단계)가 더 포함된다는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 3의 제어방법과 유사하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센서부(101)에 외부 충격에 의한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영상처리부(104)에서 일정시간 이상 동체가 감지된 경우 동체 추적 단계(단계 430)가 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한 바와 같은 동체 추적 과정 중에(단계 430) 상기 영상처리부(104)는 계속해서 일정시간 동안 동체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제 2 동체 판단 단계)(단계 440). 상기 제 2 동체 판단 단계(단계 440) 결과, 동체가 계속해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106)의 제어하에 상기 오토포커싱부(108)에서 상기 동체의 상반신을 중심으로 초점거리를 가변하고(단계 450), 상기 제어부(106)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부(102)가 동체를 사진 촬영한다(단계 460).
상기 도 4의 제어방법은, 범인일지도 모르는 움직이는 물체가 차량에 충격을 가하기 전에 움직이는 물체가 계속 감지되는 경우 추적을 개시하고, 상기 추적결과 계속해서 움직이는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물체를 사진 촬영해 둠으로써 잠재적인 위협 요소를 인식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 장치의 주변에 계속해서 동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동체가 이후에 잠재적인 위협 요소로 작용할 개연성이 있으므로 이를 미리 촬영해 두는 것이다.
다만, 주변의 잠시 스쳐지나가는 동체를 모두 촬영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므로, 우선 제 1 동체 판단 단계(단계 425)를 통해 동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추적을 한후, 제 2 동체 판단 단계(단계 440)를 통해서 계속해서 동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사진 촬영을 함으로써, 잠시 스쳐지나는 물체에 불과한 것은 사진 촬영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방법은 상기 센서부(101)와 상기 영상처리부(104)에서의 움직임 추적 결과를 조합한 자동화된 방법으로, 이외에 사용자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원격제어용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 장치(10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초점거리 조절 및 사진 촬영 여부를 원격에서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용 카메라 장치를 차량에 설 치하면, 차량을 훼손하는 범인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어 차량 범죄 예방 및 증거 확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널리 보급된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감시 카메라 장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차량 감시 카메라 장치로 이용하는 경우, 차량에 손해를 입히는 피사체를 인식할 수 있게 보다 정확히 촬영을 함으로써 차량 사고 발생시에 차에 손실을 입힌 사람을 보다 쉽게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차량 주변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으며, 차량 손상 및 도난 등의 사고 내용을 차량 소유자에게 알릴 수 있으므로 차량 소유자의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의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오토포커싱부;
    상기 카메라부가 피사체를 향하여 움직이도록 상기 카메라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되는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동체의 존재 여부, 동체의 움직임 정보, 및 동체까지의 거리를 판단하는 영상처리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충격이 감지된 경우,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판단된 동체의 움직임 정보를 상기 구동부로 전달하고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판단된 동체까지의 거리를 상기 오토포커싱부에 전달하여, 상기 카메라부가 피사체를 향하고 상기 피사체의 상반신을 중심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원격지의 사용자로부터의 촬영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
  3.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충격에 의한 신호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동체의 움직임 추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동체가 일정시간 이상 계속 감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동체가 계속 감지되는 경우, 초점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동체의 일부를 확대하여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의 제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움직임 추적은 일정시간 이상 동체가 감지되는 경우에도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40110208A 2004-12-22 2004-12-2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715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208A KR20060071584A (ko) 2004-12-22 2004-12-2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208A KR20060071584A (ko) 2004-12-22 2004-12-2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584A true KR20060071584A (ko) 2006-06-27

Family

ID=37164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208A KR20060071584A (ko) 2004-12-22 2004-12-2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158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157B1 (ko) * 2006-08-29 2008-09-05 카시와야마 토요히테 인터폰을 이용한 차량용 홈오토메이션 보안장치
WO2009017336A2 (en) * 2007-07-27 2009-02-05 Spreadtelecom Inc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deo for remote monitoring
KR100976823B1 (ko) * 2008-08-25 2010-08-20 (주)텔레비트 화상폰을 이용한 실시간 동영상 원격제어장치
CN103049955A (zh) * 2012-12-28 2013-04-17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助设备视频监控处理方法及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157B1 (ko) * 2006-08-29 2008-09-05 카시와야마 토요히테 인터폰을 이용한 차량용 홈오토메이션 보안장치
WO2009017336A2 (en) * 2007-07-27 2009-02-05 Spreadtelecom Inc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deo for remote monitoring
WO2009017336A3 (en) * 2007-07-27 2009-04-02 Spreadtelecom Inc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deo for remote monitoring
KR100976823B1 (ko) * 2008-08-25 2010-08-20 (주)텔레비트 화상폰을 이용한 실시간 동영상 원격제어장치
CN103049955A (zh) * 2012-12-28 2013-04-17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助设备视频监控处理方法及装置
CN103049955B (zh) * 2012-12-28 2015-09-23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助设备视频监控处理方法及装置
EP2940661A4 (en) * 2012-12-28 2016-11-23 Grg Banking Equipment Co Ltd VIDEO SURVEILLANC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SELF-SERVICE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5312B2 (en) Monitoring camera and monitoring camera control method
US20050128314A1 (en) Image-taking apparatus and image-taking system
KR100768820B1 (ko) 차량 탑재하여 운행중 위법차량 단속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2211496B1 (ko) 주차시 차량용 블랙박스의 이벤트 감지시스템 및 그 이벤트 감지방법
CN111656411B (zh) 记录控制装置、记录控制系统、记录控制方法及存储介质
US10846954B2 (en) Method for monitoring vehicle and monitoring apparatus
US7898590B2 (en) Device having imaging function
KR20120124785A (ko) 물체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물체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62130B1 (ko) 단일카메라를 이용한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KR20170140954A (ko) 감시 카메라 장치 및 감시 카메라 시스템
JP2003116029A (ja) 撮像装置及びこの撮像装置を用いた画像記録装置
KR20060071584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85423B1 (ko) 광역 감시 시스템 및 이동 물체 촬영 방법
JP2009046253A (ja) エレベーターの防犯カメラ装置及びその撮影方法
KR20140136278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ptz 감시 장치 및 감시 시스템
KR20100135103A (ko) 이종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1519145B1 (ko) 차량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0415231Y1 (ko) 차량 탑재하여 운행중 위법차량 단속장치
KR19990049951A (ko) 자동차의 다기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34641B1 (ko) 차단기
KR20170121644A (ko) 차량의 주변 정보 감시와 기록을 위한 카메라 장치와 그 제어 방법
CN109074710B (zh) 闭路电视机顶盒防盗方法及装置
KR1007029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감시 카메라 장치 및 그제어방법
JPH06284328A (ja) 撮像装置
KR101255143B1 (ko) 영역 감시기능을 구비한 차량 탑재형 카메라 시스템 및 그 감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