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1459A -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 Google Patents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1459A
KR20060071459A KR1020040110049A KR20040110049A KR20060071459A KR 20060071459 A KR20060071459 A KR 20060071459A KR 1020040110049 A KR1020040110049 A KR 1020040110049A KR 20040110049 A KR20040110049 A KR 20040110049A KR 20060071459 A KR20060071459 A KR 20060071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toppers
adjusting device
length adjust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4574B1 (ko
Inventor
하종목
Original Assignee
은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은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0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4574B1/ko
Publication of KR20060071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1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4Hose or pipe couplings for telescopic or extensible hos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에 소정 개수의 요홈의 형성되어 있는 내측 부재; 상기 내측 부재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외측 부재; 상기 외측 부재에 고정 결합되고, 몸체 일부에 한 쌍의 스토퍼를 구비한 스토퍼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몸체의 또 다른 부분에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고정 결합되는 스프링 클램프를 수용하는 클램프 수용부를 구비한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의 외측 둘레와 삽입 결합되고, 내측 표면에 상기 한 쌍의 스토퍼 상부에 대응하는 한 쌍의 누름편을 구비한 조절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스토퍼 하부가 상기 요홈 내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누름편이 상기 한 쌍의 스토퍼 상부를 누르는 상태에서, 상기 조절 노브에 일 방향 힘을 가하고, 상기 내측 부재 또는 상기 외측 부재를 상기 일방향 힘과 반대 방향의 힘을 가하여, 상기 한 쌍의 누름편이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한 쌍의 스토퍼가 탄성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한 쌍의 누름편이 상기 한 쌍의 스토퍼에 걸리면서 상기 내측 부재와 상기 외측 부재 간의 길이가 조절되는 파이프 길이조절장치를 개시한다.
길이조절장치, 내측 부재, 외측 부재, 스토퍼

Description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length of pipes and articles using the same}
도 1a는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의 종래 기술의 파이프 길이조절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b는 일 방향으로 힘을 가한 상태의 종래 기술의 파이프 길이조절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c는 도 1b의 힘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한 상태의 종래 기술의 파이프 길이조절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파이프 길이조절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로운 파이프 길이조절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새로운 파이프 길이조절장치에 일방향으로 힘을 가한 상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b의 힘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한 상태의 본발명의 파이프 길이조절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파이프 길이조절장치에 사용되는 스토퍼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파이프 길이조절장치에 사용되는 스토퍼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길이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용 제품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길이가 용이하게 신축 조절되는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용 제품에 관한 것이다.
통상 진공청소기 등에는 흡입관 또는 파이프의 길이를 임의로 신축조절하는 장치(이하 “길이 조절장치”라 함)가 구비된다. 이러한 길이조절장치는 대체로 진공청소기 본체와 연결되는 내측 파이프 외측에 조절노브가 일단에 결합된 외측 파이프가 삽입되어 조절노브를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조절노브가 결합된 외측 파이프가 내측 파이프 외측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흡입관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진공청소기 흡입관의 길이조절장치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09745호, 제0213136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종래 기술의 길이조절장치는 가이드관에 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되어 내측 파이프의 걸림홈에 걸림, 해제되면서 길이조절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스토퍼는 조절노브의 이동에 따라 내측 파이프의 걸림홈 측에 삽입, 이탈되면서 흡입관의 길이를 조절하게 되는 바, 종래 기술의 길이조절장치는 조절노브가 양측의 캡에 의해 조립되고, 스토퍼 역시 조절 노브 내측의 가이드관에 형성된 안내공을 통해 내측 파이프의 걸림홈에 걸림,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절노브와 양측의 캡, 스토퍼, 가이드관 등의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종래 흡입관의 길이조절장치는 여러 부품수와 이에 따른 다공정의 조립과정이 요구되어 생산성 저하 등의 요인이 되었다.
특히, 종래의 흡입관 길이조절장치는 조절노브를 작동하기 위한 스프링을 탄성 방식으로 설치하기 위해 조절노브 양측에 캡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이 캡을 사용하면 추가적인 조립 공정이 필요함은 물론 스프링의 반발력 등에 의해 조절노브 양측으로 캡을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조립작업도 용이하지 않은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에 의해 2004년 2월 26일자로 “진공청소기 흡입관의 길이조절장치”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출원되어 2004년 5월 17일자로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351600호에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프링클램프를 결합한 가이드관을 조절노브에 삽입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한 구조의 길이조절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351600호에 개시된 길이조절장치는 조절노브 내측에 설치되며, 가이드 관과 일체로 형성되는 스토퍼가 내측 파이프 걸림홈에 걸림 및 해제되면서 길이 조절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길이조절장치에서는 스토퍼가 하나만 형성되어 있어, 조절 노브의 누 름편이 이동하여 스토퍼의 원형 봉체 형상의 걸림핀을 누르지 않은 상태로 탄력편의 반대 방향에서 길이를 조절하는 상태에서 조절 노브를 놓으면, 누름편이 스프링에 의해 걸림핀을 밀어 걸림핀이 내측 파이프의 다음번 걸림홈에 걸릴 때 누름편이 걸림핀 상부로 이동하여 고정된다.
그러나, 누름편이 스프링에 의해 걸림핀을 밀거나 걸림핀이 걸림홈에 걸릴 때, 비교적 강성이 약한 탄력편이 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으며, 고정핀이 라운드 형태로 되어 있어서, 길이조절장치의 사용 중에 내측 파이프에 힘이 가해지면, 스토퍼가 걸림홈에서 이탈되기 쉬워서, 파이프의 길이가 고정되지 않아 길이조절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 기술의 길이조절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된 길이조절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특허청구범위 제 1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장치에 있어서, 표면에 소정 개수의 요홈의 형성되어 있는 내측 부재; 상기 내측 부재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외측 부재; 상기 외측 부재에 고정 결합되고, 몸체 일부에 한 쌍의 스토퍼를 구비한 스토퍼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몸체의 또 다른 부분에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고정 결합되는 스프링 클램프를 수용하는 클램프 수용부를 구비한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의 외측 둘레와 삽입 결합되고, 내측 표면에 상기 한 쌍의 스토퍼 상부에 대응하는 한 쌍의 누름편을 구비한 조절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스토퍼 하부가 상기 요홈 내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누름편이 상기 한 쌍의 스토퍼 상부를 누르는 상태에서, 상기 조절 노브에 일 방향 힘을 가하고, 상기 내측 부재 또는 상기 외측 부재를 상기 일방향 힘과 반대 방향의 힘을 가하여, 상기 한 쌍의 누름편이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한 쌍의 스토퍼가 탄성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한 쌍의 누름편이 상기 한 쌍의 스토퍼에 걸리면서 상기 내측 부재와 상기 외측 부재 간의 길이가 조절되는 파이프 길이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항의 길이조절장치를 구비한 에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은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가 동일한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기술의 길이조절장치(6)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조절노브(1)가 자연상태(즉,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절노브(1)의 누름편(11)이 가이드관(2)의 스토퍼(21)를 누르고 있어 스토퍼(21)가 내측 파이프(5)의 걸림홈(51,51‘)측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길이조절장치(6)의 길이도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도 1a에 도시된 상태의 길이조절장치(6)에서 한 손으로 조절노브(1)를 잡고 다른 손으로 내측 파이프(5)를 잡아 파이프 길이조절장치(6)의 길이를 늘리거나 또는 줄이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도 1b 또는 도 1c와 같이 조절노브(1)의 걸림돌기(12)와 걸림레버(32,32‘)와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클램프(3)가 상기 힘을 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한쪽 스프링(31 또는 31’)을 압축하고 또 다른 스프링(31 또는 31’)은 스프링클램프(3)를 밀어내게 된다. 이때, 스프링클램프(3)의 양 걸림레버(32,32')가 가이드(23,23‘)를 따라 안내되면서 스프링클램프(3)와 걸림레버 돌편(33,33’)이 힘을 가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클램프(3)가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면, 내측 파이프(5)의 걸림홈(51,51')에 위치한 스토퍼(21)를 누르고 있는 조절노브(1)의 누름편(11)이 스토퍼(21)를 누르고 있는 위치에서 힘을 가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누름편(11)에 의해 눌려 있던 탄력편(21a)과 고정핀(21b)으로 이루어진 스토퍼(21)가 탄성에 의해 상부로 올라오면서 내측 파이프(5)의 걸림홈(51,51‘)과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와 동시에 스프링클램프(3)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을 받는 내측 파이프(5)는 스토퍼(21)가 걸림홈(51,51‘)과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이므로, 자유롭게 원하는 만큼 파이프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즉, 내측 파이프(5)가 주어진 힘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걸림홈(51,51‘)은 스토퍼(21) 하부를 지나더라도 스토퍼(21)의 상방향 탄성력으로 인해 걸림홈(51,51‘)에 걸리지 않으므로, 힘을 가하는 동안 내측 파이프(5)의 이동이 계속 이루어져 파이프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진다.
한편, 스토퍼(21)가 소정의 걸림홈(51,51‘) 상부에 놓인 상태에서 길이조절 장치(6)가 원하는 길이에 도달하면, 사용자는 조절노브(1)를 놓는다. 이 때, 가이드홈(2)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클램프(3)의 양 스프링(31,31’)에 의한 복원력으로 인해 조절노브(1)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려는 힘을 받게 되어, 누름편(11)이 스토퍼(21)의 상부로 이동하면서 스토퍼(21)의 상부를 눌러 스토퍼(21)가 소정의 걸림홈(51,51‘)에 걸리게 된다. 이 후, 내측 파이프(5)는 스토퍼(21)의 걸림에 의해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므로, 파이프의 길이가 고정,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가이드관(2)에는 스토퍼(21)가 1개만 형성되어 있어, 특히 누름편(11)이 탄력편(21a)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였다가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돌아오는 경우 고정핀(21b)에 걸려 탄력편(21a)이 휘어지거나 부러질 염려가 있었으며, 이 경우 파이프 길이조절 장치(6)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핀(21b)의 형태가 라운드 형태로 되어 있어서, 누름편(11)이 스토퍼(21)를 눌러 스토퍼(21)가 소정의 걸림홈(51,51‘)에 걸린 상태에서도, 상기 길이조절장치(6)의 사용 중에 내측 파이프(5)에 힘이 가해지면, 스토퍼(21)가 소정의 걸림홈(51,51‘)에서 이탈되기 쉬워서, 파이프의 길이가 고정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의 본 발명 파이프 길이조절 장치(6)의 구성은 가이드관(2)의 스토퍼(21, 21‘) 및 이 스토퍼(21,21’)를 누르는 누름편(11,11‘)을 제 외하고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파이프 길이조절 장치(6)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인 가이드관(2)의 스토퍼(21,21’) 및 이 스토퍼(21,21)를 누르는 누름편(11,11‘)의 구성 및 기능과 다른 구성요소 간의 작동 관계를 상세히 기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파이프 길이조절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이프 길이조절장치(6)는 내측 부재(5), 외측 부재(4), 한 쌍의 스토퍼(21,21‘)를 포함하는 스토퍼 부재(60)를 구비한 가이드관(2), 상기 가이드관(2)의 외측에 삽입 결합되며, 내부 표면에 누름편(11,11’)을 구비한 조절노브(1), 상기 가이드관(2)에 체결 결합되면, 2개의 스프링(31,31’)에 의해 상기 조절 노브(1)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클램프(3)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파이프 길이조절장치(6)는 가이드관(2)의 일측면이 보이지 않도록, 상기 조절노브(1)의 일측 단부와 회전 방식으로 착탈되는 사이트캡(40)이 제공된다. 이러한 사이트캡(40)은 선택 사양으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사용되거나 또는 미사용될 수 있다.
도 3a에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길이조절장치(6)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이프 길이조절장치(6)에 사용되는 가이드관(2)은 종래 기술과는 달리 2개의 스토퍼(21,21‘)를 구비한 스토퍼 부재(60)를 구비하고 있다. 스토퍼 부재(60)는 가이드관(2)의 중앙부에서 짧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62,62’:도 2 참조)에 의해 가이드관(2)과 연결되어 있다. 가이드관(2) 및 스토퍼 부재(60)의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또는 세 라믹 재질일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스토퍼 부재가 탄성을 가진 임의의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a를 계속 참조하면, 스토퍼 부재(60)상의 2개의 스토퍼(21,21‘)는 내측 파이프(5)의 걸림홈(51,51‘)에 걸려 있다. 이 때, 조절노브(1)의 내측 표면에는 각각의 스토퍼(21,21’)를 누르는 누름편(11,11‘)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스토퍼(21,21’)의 이격거리 및 2개의 누름편(11,11‘)의 이격거리는 걸림홈(51,51‘) 간의 이격거리와 동일하다.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도 3a에 도시된 상태의 길이조절장치(6)에서 한 손으로 조절노브(1)를 잡고 다른 손으로 내측 파이프(5)를 잡아 파이프 길이조절장치(6)의 길이를 늘리거나 또는 줄이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가이드관(2)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클램프(3)가 상기 힘을 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한쪽 스프링(31 또는 31’)은 더욱 압축되고 또 다른 스프링(31 또는 31’)은 이완되면서 스프링클램프(3)가 힘을 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클램프(3)가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내측 파이프(5)의 걸림홈(51,51')에 위치한 스토퍼(21,21‘)를 누르고 있는 조절노브(1)의 누름편(11,11’)이 스토퍼(21,21‘)를 누르고 있는 위치에서 힘을 가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누름편(11,11’)에 의해 눌려 있던 스토퍼(21,21‘)가 탄성에 의해 상부로 올라오면서 스토퍼(21,21’)가 내측 파이프(5)의 걸림홈(51,51‘)과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와 동시에 스프링클램프(3)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을 받는 내측 파이프(5)는 스토퍼(21,21’)가 걸림홈(51,51‘) 과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이므로, 자유롭게 원하는 만큼 파이프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즉, 내측 파이프(5)가 주어진 힘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걸림홈(51,51‘)은 스토퍼(21,21’) 하부를 지나더라도 스토퍼(21,21‘)의 상방향 탄성력으로 인해 걸림홈(51,51‘)에 걸리지 않으므로, 힘을 가하는 동안 내측 파이프(5)의 이동이 계속 이루어져 파이프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b 또는 도 3 c의 경우는, 누름편(11,11‘)과 스토퍼(21,21’)가 종래 기술과는 달리 2개의 위치에서 걸리게 되어, 훨씬 안정적인 걸림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서는 단일 스토퍼(21)를 형성하는 탄력편(21a)의 한쪽에만 고정핀(21b)이 연결되어 있어, 탄력편(21a)이 휘어지거나 부러질 염려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단일 스토퍼(21) 대신 2개의 스토퍼(21,21‘)를 사용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탄력핀(21a)이 휘어지거나 부러질 염려가 없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스토퍼(21,21')가 소정의 걸림홈(51,51‘) 상부에 놓인 상태에서 길이조절장치(6)가 원하는 길이에 도달하면, 사용자는 조절노브(1)를 놓는다. 이 때, 조절노브(1)와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클램프(3)의 양 스프링(31,31’)에 의한 복원력으로 인해 조절노브(1)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려는 힘을 받게 되어, 누름편(11,11‘)이 스토퍼(21,21’)의 상부로 이동하면서 스토퍼(21,21‘)의 상부를 눌러 스토퍼(21,21’)가 소정의 걸림홈(51,51‘)에 걸리게 된다. 이 후, 내측 파이프(5)는 스토퍼(21,21’)의 걸림에 의해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므로, 파이프의 길이가 고정, 유지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스토퍼(21,21‘) 모양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하는 양 스토퍼(21,21’)의 안쪽 부분(21a,21a')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깥쪽 부분(21b,21b')은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조절노브(1)에 힘을 가하여 누름편(11,11')이 우측으로 이동하면, 스토퍼 부재가 탄성에 의해 상부로 올라오면서 각각의 누름편(11,11')이 각각의 스토퍼(21,21')에 걸리게 된다. 우측 누름편(11')의 경우는 스토퍼(21')와의 걸림 접촉부가 경사를 이루어 누름편의 이동이 부드럽게 행해지는 반면, 좌측 누름편(11)의 경우는 좌측 스토퍼(21)의 수직 부분과 결합하게 되어, 조절노브(1)와 가이드관(2)의 확실한 걸림 상태를 보장한다.
이후, 스토퍼(21,21')가 소정의 걸림홈(51,51‘) 상부에 놓인 상태에서 길이조절장치(6)가 원하는 길이에 도달하면, 사용자는 조절노브(1)를 놓는다. 이 때, 조절노브(1)와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클램프(3)의 양 스프링(31,31’)에 의한 복원력으로 인해 조절노브(1)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려는 힘을 받게 되어, 누름편(11,11')이 스토퍼(21,21')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도 4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좌우측 누름편(11,11')의 양측면이 모두 경사를 갖고 있기 때문에 복원력에 의한 누름편(11,11‘)의 이동도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토퍼(21,21’)가 상술한 도 4a의 형상을 구비한 경우가, 도 3a 내지 도 3c의 경우에 비해 더욱 안정적인 길이조절 동작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는 도 4a에 도시된 스토퍼(21,21‘)의 변형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b에 도시된 스토퍼(21,21’)는 도 4a에 도시된 스토퍼(21,21‘)와 스토 퍼 안쪽 부분(21a,21a')은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바깥쪽 부분(21b,21b')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도 4b에 도시된 스토퍼의 기능 및 효과가 도 4a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길이조절 장치는 높이 조절식 가동 입간판의 높이 조절용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공청소기나 스팀 청소기 등 길이 조절이 필요한 제품에 부착하여 간편하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상기 본 발명의 길이조절 장치가 부착 사용되는 제품으로 상기 열거된 제품 이외에 다양한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길이조절 장치는 종래 길이 조절 장치의 단점을 현저하게 개선하여, 스토퍼가 휘어지거나 부러질 염려가 없어, 길이조절 장치의 고장 발생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장점을 달성한다.
아울러, 길이조절장치의 사용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스토퍼와 걸림홈 간의 이탈이 충분히 방지되어, 길이조절장치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대폭 개선되는 장점이 달성된다.
다양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예시된 구성 및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따라서만 정해져야 한다.

Claims (12)

  1. 파이프 길이조절장치에 있어서,
    표면에 소정 개수의 요홈의 형성되어 있는 내측 부재;
    상기 내측 부재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외측 부재;
    상기 외측 부재에 고정 결합되고, 몸체 일부에 한 쌍의 스토퍼를 구비한 스토퍼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몸체의 또 다른 부분에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고정 결합되는 스프링 클램프를 수용하는 클램프 수용부를 구비한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의 외측 둘레와 삽입 결합되고, 내측 표면에 상기 한 쌍의 스토퍼 상부에 대응하는 한 쌍의 누름편을 구비한 조절노브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스토퍼 하부가 상기 요홈 내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누름편이 상기 한 쌍의 스토퍼 상부를 누르는 상태에서, 상기 조절 노브에 일 방향 힘을 가하고, 상기 내측 부재 또는 상기 외측 부재를 상기 일방향 힘과 반대 방향의 힘을 가하여, 상기 한 쌍의 누름편이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한 쌍의 스토퍼가 탄성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한 쌍의 누름편이 상기 한 쌍의 스토퍼에 걸리면서 상기 내측 부재와 상기 외측 부재 간의 길이가 조절되는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토퍼 상부의 측면은 각각 대향하는 안쪽 부분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바깥쪽 부분이 상기 측면 아래쪽으로 넓어지도록 경사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누름편 각각은 양 측면이 상기 각 스토퍼의 경사와 대응하는 경사를 갖는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토퍼 상부의 측면은 각각 대향하는 안쪽 부분이 상기 측면 아래쪽으로 넓어지도록 경사가 형성되고, 바깥쪽 부분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누름편 각각은 양 측면이 상기 각 스토퍼의 경사와 대응하는 경사를 갖는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탄성을 갖는 임의의 재질로 만들어지는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재질은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인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장치가 상기 조절노브의 일측 단부와 회전 방식으로 착탈되는 체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파이프 길이조절 장치를 구비한 제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이 높이 조절식 가동 입간판, 진공청소기, 및 스팀 청소기 중 어느 하나인 제품.
  9. 제 4항에 따른 파이프 길이조절 장치를 구비한 제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이 높이 조절식 가동 입간판, 진공청소기, 및 스팀 청소기 중 어느 하나인 제품.
  11. 제 6 항에 따른 파이프 길이조절 장치를 구비한 제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이 높이 조절식 가동 입간판, 진공청소기, 및 스팀 청소기 중 어느 하나인 제품.
KR1020040110049A 2004-12-22 2004-12-22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KR100704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049A KR100704574B1 (ko) 2004-12-22 2004-12-22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049A KR100704574B1 (ko) 2004-12-22 2004-12-22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332U Division KR200378556Y1 (ko) 2004-12-22 2004-12-22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459A true KR20060071459A (ko) 2006-06-27
KR100704574B1 KR100704574B1 (ko) 2007-04-06

Family

ID=37164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049A KR100704574B1 (ko) 2004-12-22 2004-12-22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457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704B1 (ko) * 2010-03-18 2012-04-13 은성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신축 흡입파이프
KR101276952B1 (ko) * 2012-02-16 2013-06-19 한희성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KR101277026B1 (ko) * 2012-02-16 2013-06-24 한희성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KR101424133B1 (ko) * 2012-09-12 2014-08-01 주식회사 와이에스테크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KR20150002525U (ko) 2013-12-19 2015-06-29 서영종 장대봉의 길이조절 및 작업도구 설치용 고정지그
KR20170007193A (ko) * 2015-07-09 2017-01-18 은성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신축파이프
KR102246019B1 (ko) * 2021-03-09 2021-04-29 주식회사 야흥금속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KR20210099550A (ko) * 2019-10-02 2021-08-12 플러스-플러스 에이/에스 장난감 조립 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005B1 (ko) 2008-04-28 2010-06-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환경친화형 태양광 파이프
KR101435009B1 (ko) * 2012-09-26 2014-10-20 주식회사 와이에스테크 회전식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516A (ko) * 2001-06-25 200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힌지 조립체
KR100528812B1 (ko) * 2003-06-20 2005-11-21 허상록 엠디에프용 다층기판 접속핀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704B1 (ko) * 2010-03-18 2012-04-13 은성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신축 흡입파이프
KR101276952B1 (ko) * 2012-02-16 2013-06-19 한희성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KR101277026B1 (ko) * 2012-02-16 2013-06-24 한희성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KR101424133B1 (ko) * 2012-09-12 2014-08-01 주식회사 와이에스테크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KR20150002525U (ko) 2013-12-19 2015-06-29 서영종 장대봉의 길이조절 및 작업도구 설치용 고정지그
KR20170007193A (ko) * 2015-07-09 2017-01-18 은성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신축파이프
KR20210099550A (ko) * 2019-10-02 2021-08-12 플러스-플러스 에이/에스 장난감 조립 블록
KR102246019B1 (ko) * 2021-03-09 2021-04-29 주식회사 야흥금속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4574B1 (ko) 200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4574B1 (ko)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US7093811B2 (en) Clamping base
US5361461A (en) Preloadable cord lock
JP3078283U (ja) プッシュ式クリップ型留め具
US7360837B1 (en) Backrest adjusting device for chair
US20070132346A1 (en) Automatic closing mechanism for a sliding track of a drawer
JPH1066619A (ja) コードロック
KR101136632B1 (ko) 탄성밴드를 가진 버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품
JPH05237007A (ja) バックルのばね負荷される摺動バーウェブコネクタ組立体
US20210040715A1 (en) Shower head holder structure
US10786048B2 (en) Cord lock
EP0984199A1 (en) Pre-loadable cord lock
JPH0575929U (ja) 押ボタンスイッチ
KR200378556Y1 (ko)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US20180245782A1 (en) Assembly structure for embedded light device
TWI672133B (zh) 夾持機構
WO2005082222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length and articles using the same
KR101972818B1 (ko) 길이 조절장치
KR100758543B1 (ko) 끈 결속장치
KR200374081Y1 (ko) 노크식 앵커 정착제
US20200215669A1 (en) Adjusting and Positioning Device for Wooden Boards
JP2000088120A5 (ko)
EP1683976B1 (en) Telescopic rod with tensioning mechanism
CN216256719U (zh) 按钮装置及包含其的烹饪机
TWI492462B (zh) 固定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