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0261A -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 Google Patents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0261A
KR20060070261A KR1020040108936A KR20040108936A KR20060070261A KR 20060070261 A KR20060070261 A KR 20060070261A KR 1020040108936 A KR1020040108936 A KR 1020040108936A KR 20040108936 A KR20040108936 A KR 20040108936A KR 20060070261 A KR20060070261 A KR 20060070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haft
food
stirring
shaft
rot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8522B1 (ko
Inventor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이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화 filed Critical 이상화
Priority to KR1020040108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522B1/ko
Publication of KR20060070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2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끝단에 결합되며, 음식을 끓이는 용기의 가열 면을 향하는 모서리의 일부가 요입되어 으깸 방지용 홈이 형성된 음식교반용 날개와, 상기 회전축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음식을 일정하게 잘 혼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의 내용물이 으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하다.
죽, 교반

Description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AGITATOR FOR COOKING}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 은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방열판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관절부의 변형 가능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날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상단 날개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상단 날개의 변형 가능한 예의 평면도
도 9는 도 7의 하단 날개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하단 날개의 변형 가능한 예의 평면도
도 11은 도 1의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의 제 1 관절 및 제 2 관절이 일부 젖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도 1의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의 날개 장치가 거치대에 걸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구동장치 12: 전원스위치
15: 타이머 16: 속도제어기
20: 방열판 30: 거치대
40: 회전축 41: 제 1 회전축
42: 제 2 회전축 43: 제 3 회전축
44: 제 4 회전축 50a: 제 1 관절부
50b: 제 2 관절부 60: 높낮이 조절부
100: 날개 장치 110: 하단 날개
111: 으깸 방지용 홈 112: 교반 증대용 홈
120: 상단날개 121: 교반 증대용 홈
본 발명은 죽, 스프와 같은 국물이 많은 음식을 요리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눌음, 응고 및 침전없이 일정하게 잘 혼합된 죽, 스프 등을 공급할 수 있는 음식 조리용 교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죽, 스프 등과 같은 음식을 요리하는 과정에 계속 저어주지 않으면, 가열되는 면에 죽 등이 눌어 타기 쉽고, 맛도 잘 우러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조리사가 계속하여 저어주어야 하나, 이는 인건비의 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그 불편함도 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교반기를 단순히 전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럴 경우 재료가 쉽게 으깨어지기 쉽고, 요리하는 과정에 여러가지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죽, 스프와 같은 음식을 일정하게 잘 혼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이 으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한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끝단에 결합되며, 음식을 끓이는 용기의 가열면을 향하는 모서리의 일부가 요입되어 으깸 방지용 홈이 형성된 음식 교반용 날개;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음식을 자동으로 혼합할 수 있으며, 죽과 같은 음식이 용기의 바닥에 눌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이 으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식 교반용 날개는 용기의 가열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하단 날개; 및 상기 하단 날개의 상기 가열면의 반대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상단 날개;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음식의 양이 많아도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 날개 및 상기 하단 날개는 상기 회전축에 착탈 가능하도 록 결합된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끝단에 결합되어 음식을 교반하는 음식 교반용 날개; 및 상기 회전축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를 제시한다. 따라서, 용기의 높이가 상이해도 높낮이 조절부를 조절하여 교반용 날개를 용기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상기 회전축이 분리되어 형성된 외측 회전축과 상기 외측 회전축의 내경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하는 내측 회전축; 및 상기 외측 회전축을 반경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내측 회전축을 고정하는 죔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상단 회전축; 상기 상단 회전축의 상기 구동장치 반대 측 끝단에 결합되는 관절부; 상기 관절부의 상기 상단 회전축의 반대 측에 결합되는 하단 회전축; 및 상기 하단 회전축의 끝단에 결합되어 음식을 교반하는 음식 교반용 날개;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를 제시한다. 따라서, 관절부를 꺾어서,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하부에 있는 가열기를 다른 용도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반기의 사용도 용이하다.
여기서, 상기 관절부는 상기 상단 회전축과 상기 하단 회전축을 연결하는 자재이음(universal coupling);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관절부가 꺾어져 있어도, 음식 교반용 날개가 하단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절부에 의해서 꺾인 상기 회전축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의 용기를 향하는 면에 설치된 방열판; 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 은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방열판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관절부의 변형 가능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날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상단 날개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상단 날개의 변형 가능한 예의 평면도, 도 9는 도 7의 하단 날개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하단 날개의 변형 가능한 예의 평면도, 도 11은 도 1의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의 제 1 관절 및 제 2 관절이 일부 젖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도 1의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의 날개 장치가 거치대에 걸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는 구동장치(10)와, 열기가 구동장치(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장치(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방열판(20)과, 구동장치(1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40)과, 회전축(40)의 끝단에 결합된 음식 교반용 날개 장치(100)와, 회전축(40)을 꺾을 수 있도록 구성된 관절부(50a, 50b)와, 회전축(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부(60)와, 회전축(40)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손잡이부(70)를 포함한 다.
구동장치(10)는 구동장치 케이스(11)와, 구동장치 케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축(40)을 구동하는 2개의 구동모터(미도시)와, 구동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미도시)와, 전원공급장치(미도시)의 전원을 온오프 하도록 구동장치 케이스(11)의 전면부에 설치된 전원스위치(12)와, 구동모터의 속도를 설정하는 속도 제어기(16)와, 구동모터의 구동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타이머(15)와, 타이머(15)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타이머 스위치(13)와, 경고음을 울릴 수 있도록 구동장치 케이스(11)의 전면판에 설치된 버져(14)와, 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동장치 케이스(11)의 전면판에 설치된 전원 표시등(17)으로 구성된다.
방열판(20)은 구동장치(10)의 하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즉, 방열판(20)의 구동장치(10)의 하면에 고정된 다수의 스페이서(21)에 의해 이격되어 설치된다. 한편 방열판(20)에는 회전축이 관통할 수 있도록 회전축 관통공(24)과, 스페이서(21)가 결합될 수 있는 스페이서 결합공(22)과, 양측에 치우쳐 관통되어 형성된 거치대 설치공(23)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거치대 설치공(23)에는 옷걸이 형상으로 형성된 거치대(30)가 끼워져 설치된다.
회전축(40)은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구동장치(10)에 결합되는 제 1 회전축(41)과, 상기 제 1 회전축(41)에 높낮이 조절부(60)에 의해 결합되는 제 2 회전축(42)과, 제 2 회전축(42)에 제 1 관절부(50a)에 의해 결합되는 제 3 회전축(43)과, 제 3 회전축(43)에 제 2 관절부(50b)에 의해 결합되는 제 4 회전축(44)으로 구 성된다.
제 1 회전축(41)은 높낮이 조절부(60)를 기준으로 볼 때 외경의 크기가 큰 외측 회전축(41)이 되며, 제 2 회전축(42)은 외측 회전축(41)의 내경에 끼워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외경이 형성된 내측 회전축(42)이 된다.
높낮이 조절부(60)는 외측 회전축(41)과 내측 회전축(42)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부위와, 외측 회전축(41)을 관통하여 내측 회전축(42)의 길이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죔부재(61)로 구성된다.
제 1 관절부(50a)는 제 2 회전축(42)의 하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 3 회전축(43)의 상단에 일단이 고정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 1 관절부(50a)를 중심으로 제 2 회전축(42)이 상단 회전축이 되고, 제 3 회전축이 하단 회전축이 된다. 제 2 관절부(50b) 또한 제 3 회전축(43)의 하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 4 회전축(44)의 상단에 일단이 고정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 2 관절부(50b)를 기준으로 제 3 회전축(43)이 상단 회전축이 되고, 제 4 회전축(44)이 하단 회전축이 된다.
관절부(50a, 50b)를 2 단으로 구성한 것은 요리를 하다가 용기를 간단히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1과 같이 제 2 관절부(50b)를 사용하여, 날개 장치(100)를 옆으로 젖혀 작업을 하며, 교반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요리를 하기 위해서는 도 12와 같이 제 1 관절부(50a)를 옆으로 젖혀, 제 3 혹은 제 4 회전축(43, 44)을 거치대(30)에 걸침으로서 요리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관절부(50a, 50b)를 스프링을 사용하여 구성하였다. 그러나, 반드시 스프링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3과 같이 상단 회전축(43)과 하단 회전축(44)을 핀(51)으로 힌지 고정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하단 회전축이 상단 회전축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경우, 회전축이 회전하면, 하단 회전축의 끝단이 회전하는 반경은 회전축이 기울어진 각도와 하단 회전축의 길이의 곱에 비례하여 회전하는 반경이 커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도 4 및 도 5와 같이 자재이음(universal coupling)으로 상단 회전축과 하단 회전축을 연결할 수 있다.
도 4는 하나의 자재이음 부재(52)로 연결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2개의 자재이음(52a, 52b)을 사용하여 제 2 회전축(42), 제 3 회전축(43) 및 제 4 회전축(44)을 연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자재이음으로 회전축을 연결하면, 상단 회전축과 하단 회전축이 꺾어져 결합이 되어도, 하단 회전축은 하단 회전축의 축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음식 교반용 날개 장치(100)는 상단 날개(120)와 하단 날개(110)로 2단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1 단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 단 이상의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단 날개(120) 및 하단 날개(110)는 날개 지지편(140)에 고정되며, 날개지지편(140)은 회전축에 결합된다. 상단 날개(120)를 지지하는 날개지지편(140)은 회전축에 결합된 날개 허브(130)에 끼워져 결합되며, 하단 날개(110)를 지지하는 날개 지지편(140)은 회전축에 용접되어 결합된다. 다만, 하단 날개(110)를 지지하는 날개 지지편(140) 또한, 회전축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단 날개(120)는 4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 모서리와 하단 모서리에 교반 증대용 홈(121)이 요입되어 형성되며, 플레이트의 중앙부위는 날개 지지편(140)과 결합을 위한 결합공(123)이 형성된다.
교반 증대용 홈(121)은 죽의 흐름을 혼합시켜 죽을 잘 혼합하도록 한다. 다만,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8과 같이, 교반 증대용 홈(126)이 플레이트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하단 날개(110)는 4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 모서리 즉 용기의 가열면을 향하는 모서리에는 으깸 방지용 홈(111)이 요입되어 형성되며, 상단 모서리에는 교반 증대용 홈(112)이 요입되어 형성되며, 플레이트의 중앙부위는 날개 지지편(140)과 결합을 위한 결합공(113)이 형성된다.
또한, 하단 모서리에는 회전축(44)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14)는 회전축(44)의 하부에 위치한 내용물도 잘 혼합될 수 있도록 하여준다.
으깸 방지용 홈(111)은 하단 모서리에 위치한 밥알과 같은 내용물을 날개가 이동함에 따라서 쉽게 날개의 뒤편으로 빠져 나가게 한다. 따라서, 빠져 나가지 못해서 날개의 하단 모서리와 용기의 바닥면 사이에 끼워져 으깨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교반 증대용 홈(112)은 내용물의 흐름을 다양하게 하여 내용물이 잘 혼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교반 증대용 홈(112)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0과 같이,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관통공(112a)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날개(110, 120)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강성이 강한 스테인레스와 같은 재료로 형성될 경우, 밥알과 같은 내용물이 더 쉽게 으깨어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날개 허브(130)는 중앙에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며, 삽입공의 내측면의 일부가 요입되어 날개 지지편(140)이 삽입 결합되는 착탈홈(131)이 형성된다. 또한, 죔나사(132)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이 외면에서 삽입공까지 관통되어 형성된다.
날개 지지편(140)은 날개(110, 120)가 고정되는 날개 고정부(141)와, 착탈홈(131)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허브 결합부(142)로 구성된다. 날개 고정부(141)에는 날개의 결합공(113, 123)과 볼트(124) 및 너트(125)에 의해 결합하기 위한 고정부 결합공(143)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손잡이부(70)는 열전도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조리 후 별도의 장갑등을 착용하지 않고도 회전축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용기(200)에 죽 또는 스프에 사용되는 재료를 넣은 후, 도 1과 같이, 날개 장치(100)가 용기에 삽입되도록 배치한다.
그 다음, 스위치(12)를 켠 후, 속도 제어기(16)를 설정하고, 타이머(15)를 설정하면, 회전축이 회전을 하며, 이에 따라서 날개 장치(100)가 회전을 하게 된다.
날개 장치(100)가 회전을 하면서, 하단 날개(110)는 용기(200)의 바닥에 위 치한 재료가 용기(200)의 바닥에 눌러 붙는 것을 막아 준다. 또한, 하단 날개(110)의 으깸 방지용 홈(111)을 통해서 바닥에 위치한 밥알과 같은 내용물이 관통함으로써, 밥알이 으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하단 날개(110)와 상단 날개(120)의 교반 증대용 홈이 내용물이 잘 혼합될 수 있도록 하여준다.
타이머가 설정한 시간이 지나면, 버져(14)가 울리게 되고, 요리사가 가열을 중단하고, 장치의 전원을 오프함으로써, 날개 장치(100)의 회전을 중지할 수 있다. 회전을 중지한 후에는 제 1 관절(50a) 및 제 2 관절(50b)을 젖혀서, 도 11과 같이, 인접한 위치에 위치한 용기에 날개 장치(100)를 거치시킬 수 있다. 이 때, 인접한 용기에 깨끗한 물을 담고, 날개 장치(100)를 흔들어서 청소할 수도 있고, 날개를 분리하여 청소할 수도 있으며, 도 12와 같이, 제 1 관절(50a)을 완전히 젖혀서, 거치대(30)에 걸쳐 놓을 수도 있다.
이때에는 장치의 하부에 있는 가열구에서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다.
한편, 높낮이 조절부(60)를 조절함으로써, 용기의 바닥부의 높이에 따라서 날개 장치(10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3은 회전축 및 음식교반용 날개가 결합된 부분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착탈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는 구동장치(10)와, 상기 구동장치(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방열판(20)과,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340)과, 회전축의 끝단에 결합된 음식 교반용 날개 장치(100)와, 회전축을 꺾을 수 있도록 구성된 관절부(350)와, 회전축(3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부(60)와, 교반용 날개 장치(100)를 회전축에 대해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착탈부(36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구동장치(10), 방열판(20), 높낮이 조절부(60) 및 교반용 날개 장치(100)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이들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회전축(340)은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구동장치(10)에 결합되는 제 1 회전축(341)과, 상기 제 1 회전축(341)에 높낮이 조절부(60)에 의해 결합되는 제 2 회전축(342)과, 제 2 회전축(342)에 관절부(350)에 의해 결합되는 제 3 회전축(343)과, 제 3 회전축(343)에 착탈부(360)에 의해 결합되는 제 4 회전축(344)로 구성된다.
제 1 회전축(341)은 높낮이 조절부(60)를 기준으로 볼 때, 외경의 크기가 큰 외측 회전축(341)이 되며, 제 2 회전축(342)은 외측 회전축(341)의 내경에 끼워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외경이 형성되 내측 회전축(342)이 된다.
관절부(350)는 제 2 회전축(342)의 하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 3 회전축(343)의 상단에 일단이 고정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제 1 실시예와 달리, 관절부를 2 이상으로 구성한 것이 아니라, 하나의 스프링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스프링의 길이도 길게 형성하여 제 1 실시예에 비해 좀더 유연하게 꺾일 수 있도록 하였다.
착탈부(360)는 제 3 회전축(343)의 하단에 형성되며 내측에 중공이 형성된 외측 회전축(361)과, 상기 외측 회전축(361)의 중공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하는 제 4 회전축(344)와, 제 4 회전축의 외면에 축의 길이방향으로 요입되어 형성된 걸림홈(363)과, 상기 외측 회전축(361)의 관통하여 상기 걸림홈(363)에 끼워지는 죔나사(36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착탈부(360)를 날개 장치(100)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함으로써, 요리 후 죔나사(362)를 풀어서, 상기 날개 장치(100)를 분리하여, 세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걸림홈(363)이 형성되어, 날개장치(100)가 회전방향으로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걸림홈(36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날개장치(100)의 높낮이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5는 내지 도 16은 도 13의 착탈부의 변형 가능한 예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착탈부는 외측 회전축(461)의 끝단으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이동가이드홈(462a)과, 이동가이드홈(462a)의 상단에서 회전축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걸림가이드홈(462b)과, 상기 이동가이드홈(462a) 및 걸림가이드홈(462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 4 회전축(344)에 형성된 가이드핀(463)으로 구성된다.
도 16에 도시된 착탈부는 제 4 회전축(344)의 외경에 요입되어 형성되며, 축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걸림홈(563)과, 외측 회전축(461)의 내경에 결합되며, 제 4 회전축이 외측 회전축(561)을 향해 이동할 때 상기 걸림홈(563)에 걸리지 않으며, 제 4 회전축이 외측 회전축(56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걸리도록 형성된 래치기구(미도시)와, 상기 래치기구가 걸림홈(563)에서 해제되도록 하는 해제버튼(56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 4 회전축(344)을 외측 회전축(561)에 끼울때에는 래치기구가 걸림홈(563)에 걸리지 않아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까지 이동 시킬 수 있으며, 적정위치에서 사용자가 파지한 손을 놓으면, 제 4 회전축(344)이 하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나, 래치기구가 걸림홈(563)에 걸려서 제 4 회전축(344)의 이동을 방지한다. 그 다음, 사용자가 날개 장치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해제버튼(562)를 눌러서 래치기구가 걸림홈(563)에서 이탈되도록 한 후, 제 4 회전축(344)을 하향으로 이동 시켜, 제 4 회전축(344)과 외측 회전축(561)을 분리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착탈부는 외측 회전축(661)의 내경에 형성된 암나사부(미도시) 제 4 회전축(344)의 끝단 외경에 상기 암나사부와 체결되도록 형성된 수나사부(663)로 구성된다. 상기 암나사부 및 상기 수나사부(663)는 회전축이 음식물을 젓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잠기는 방향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는 자동으로 음식을 정해진 시간만큼 저어 주므로, 죽과 같은 음식의 맛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에 위치한 재료가 눌어서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날개에 으깸 방지용 홈이 형성됨으로써, 내용물이 으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날개에 교반 증대용 홈이 형성됨으로써, 재료를 잘 혼합할 수 있어, 맛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날개가 2단으로 형성됨으로써, 혼합 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날개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날개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관절부를 구비함으로서, 날개 장치를 더욱 쉽게 용기에 넣을 수 있으며, 높낮이 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용기의 바닥부의 높이에 따라서 날개 장치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날개 장치에 인접한 위치에 착탈부를 구비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날개 장치를 착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Claims (27)

  1.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축에 결합되어 음식을 교반하는 음식 교반용 날개에 있어서,
    용기의 가열면을 향하는 모서리의 일부가 요입되어 형성된 으깸 방지용 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교반용 날개.
  2. 제 2 항에 있어서,
    용기의 가열면을 향하는 모서리의 반대 측 모서리가 요입되어 형성된 교반 증대용 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교반용 날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음식 교반용 날개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4.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끝단에 결합되며, 용기의 가열면을 향하는 모서리의 일부가 요입되어 으깸 방지용 홈이 형성된 음식 교반용 날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단 회전축과, 하단 회전축으로 분리되며,
    상기 상단 회전축에 대해 상기 하단 회전축을 꺾을 수 있도록 상기 상단 회전축과 상기 하단 회전축 사이에 결합된 관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6.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상단 회전축;
    상기 상단 회전축의 상기 구동장치 반대 측 끝단에 결합되는 관절부;
    상기 관절부의 상기 상단 회전축의 반대 측에 결합되는 하단 회전축; 및
    상기 하단 회전축의 끝단에 결합되어 음식을 교반하는 음식 교반용 날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7.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제 1 회전축;
    상기 제 1 회전축의 상기 구동장치 반대 측 끝단에 결합되는 제 1 관절부;
    상기 제 1 관절부의 상기 제 1 회전축의 반대 측에 결합되는 제 2 회전축;
    상기 제 2 회전축의 끝단에 결합되는 제 2 관절부;
    상기 제 2 관절부의 상기 제 2 회전축의 반대 측에 결합되는 제 3 회전축; 및
    상기 제 3 회전축의 끝단에 결합되어 음식을 교반하는 음식 교반용 날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8.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끝단에 결합되어 음식을 교반하는 음식 교반용 날개; 및
    상기 회전축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9.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는,
    상기 회전축들 사이에 고정된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10.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는,
    상기 관절부의 양측에 위치한 상기 회전축들을 핀으로 힌지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11.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는,
    상기 관절부의 양측에 위치한 상기 회전축들을 연결하는 자재이음(universal coupling);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상기 회전축이 분리되어 형성된 외측 회전축과 상기 외측 회전축의 내경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하는 내측 회전축; 및
    상기 외측 회전축을 반경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내측 회전축을 고정하는 죔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13.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의 용기를 향하는 면에 설치된 방열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14.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회전축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 및
    상기 구동모터의 속도를 설정하는 속도 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타이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16.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 교반용 날개는,
    용기의 가열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하단 날개; 및
    상기 하단 날개의 상기 가열면의 반대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상단 날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17.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 교반용 날개에 다수의 교반 증대용 홈이 요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날개 및 상기 하단 날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다수의 교반 증대용 홈이 요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19.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 교반용 날개는 상기 회전축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20.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 교반용 날개는 폴리에틸렌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21.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식 교반용 날개의 용기의 가열면을 향하는 모서리가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22.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상기 회전축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손잡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23.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상기 구동장치의 반대측 끝단에 결합되어 음식을 교관하는 음식 교반용 날개; 및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며, 상기 음식 교반용 날개가 장착된 회전축을 분리하도록 하는 착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회전축이 분리되어 형성된 외측 회전축과, 상기 외측 회전축의 내경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하는 내측 회전축; 및
    상기 외측 회전축을 반경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내측 회전축을 고정하는 죔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회전축이 분리되어 형성된 외측 회전축과, 상기 외측 회전축의 내경으 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하는 내측 회전축;
    상기 외측 회전축의 끝단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이동 가이드 홈;
    상기 이동 가이드 홈의 상기 외측 회전축의 끝단의 반대단에서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 가이드 홈; 및
    상기 이동 가이드 홈 및 상기 걸림 가이드 홈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내측 회전축의 외경에 돌출되어 형성된 가이드 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회전축이 분리되어 형성된 외측 회전축과, 상기 외측 회전축의 내경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하는 내측 회전축;
    상기 내측 회전축의 외경에 요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내측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 걸림홈;
    상기 외측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내측 회전축이 상기 외측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는 상기 걸림홈에 걸리지 않으며, 상기 내측 회전축이 상기 외측 회전축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걸림홈에 걸리도록 형성된 래치 기구; 및
    상기 래치 기구를 상기 걸림홈에서 해제하는 해제 버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회전축이 분리되어 형성된 외측 회전축과, 상기 외측 회전축의 내경으로 삽입되는 내측 회전축;
    상기 외측 회전축의 내경에 형성된 암나사부; 및
    상기 암나사부와 체결 가능하게 상기 내측 회전축의 외경에 형성된 수나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KR1020040108936A 2004-12-20 2004-12-20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KR100648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936A KR100648522B1 (ko) 2004-12-20 2004-12-20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936A KR100648522B1 (ko) 2004-12-20 2004-12-20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424U Division KR200379411Y1 (ko) 2004-12-22 2004-12-22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261A true KR20060070261A (ko) 2006-06-23
KR100648522B1 KR100648522B1 (ko) 2006-11-28

Family

ID=37164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936A KR100648522B1 (ko) 2004-12-20 2004-12-20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5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814B1 (ko) * 2012-04-04 2014-04-01 송중식 즉석 죽 제조기
JP2018202093A (ja) * 2017-06-09 2018-12-27 株式会社カジワラ 掻取羽根
KR102380654B1 (ko) * 2021-01-08 2022-04-01 최근진 소스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3275A1 (en) * 2014-03-20 2015-09-24 Vita-Mix Corporation Mountable blender system and container for upside down blending
KR102594057B1 (ko) 2023-05-11 2023-10-24 김현간 시소식 조리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814B1 (ko) * 2012-04-04 2014-04-01 송중식 즉석 죽 제조기
JP2018202093A (ja) * 2017-06-09 2018-12-27 株式会社カジワラ 掻取羽根
KR102380654B1 (ko) * 2021-01-08 2022-04-01 최근진 소스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8522B1 (ko) 200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3994B2 (en) Food mixer with screw-threaded impeller
US9572458B2 (en) Multifunctional food processing tool for use with a food processing device
EP3626337B1 (en) Detachable rib and stir tool for a mixing bowl
US6026735A (en) Self stirring cooking assembly
US3752057A (en) Portable scraper-type mixer
US5533805A (en) Free-standing stirrer appliance
KR200486475Y1 (ko) 음식물 조리기구
JP2012531245A (ja) フードプロセッサ用の汎用ブレードおよびアクセサリ
KR101904332B1 (ko) 서로 다른 궤적으로 회전하는 교반기
JP4797006B2 (ja) ミキサー装置
US20120213030A1 (en) Mixer for use in a microwave oven
CN108324146B (zh) 多功能食品处理机
JPH02228919A (ja) 電動式撹拌機
KR100648522B1 (ko)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US20120174800A1 (en) Independent stirring cooking receptacle
KR200379411Y1 (ko) 음식 조리용 교반장치
GB2347095A (en) Kitchen appliance with tool storage arrangement
JP3950877B2 (ja) 食材の斜軸型ミキサー
KR101480764B1 (ko) 국솥 혼합장치
JP6515390B2 (ja) ミキサーヘッド
EP0235147B1 (en) A device for beating and mixing of liquids and batters
KR101399416B1 (ko) 음식물 조리기
KR200463539Y1 (ko) 가정용 자동 교반 용기
JPH029884Y2 (ko)
KR102420713B1 (ko) 스마트 조리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