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9059A -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9059A
KR20060069059A KR1020040108150A KR20040108150A KR20060069059A KR 20060069059 A KR20060069059 A KR 20060069059A KR 1020040108150 A KR1020040108150 A KR 1020040108150A KR 20040108150 A KR20040108150 A KR 20040108150A KR 20060069059 A KR20060069059 A KR 20060069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terface
multimedia
terminal device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8323B1 (ko
Inventor
김화숙
조기성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108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323B1/ko
Publication of KR20060069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코더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 비통신용 멀티미디어 단말기기를 인터넷 망에 연결시키고, 단말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에 따라 선택적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선택적 제공 시스템은 비통신용 멀티미디어 단말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방식을 판단하는 인터페이스 방식 판단부; 상기 판단된 외부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지원 가능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목록을 제시하는 서비스 목록 제시부; 및 상기 제시된 목록 중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를 구동시키는 선택 서비스 구동부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selectively providing multimedia servic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신 매개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을 제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시스템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방법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에 제시된 흐름을 구체화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캠코더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 비통신용 멀티미디어 단말기기를 인터넷 망에 연결시키고, 단말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에 따라 선택적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캠코더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은 동영상 또는 사진 등을 촬영하여 내부의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기본 기능과 함께 이를 재생할 수 있는 화면 출력 및 음성 출력 장치 등을 가지고 있어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단말의 조건을 가지고 있으나 인터넷을 통한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아니한 비통신용 멀티미디어 단말기기이다.
이러한 단말기기는 개인용 컴퓨터나 다른 편집용 기기들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고속의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 IEEE1394 인터페이스, USB 인터페이스 등이 있으며, 상기한 단말기기의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이러한 기기에 익숙해진 사용자들은 송수신되는 영상/음성 정보 등 멀티미디어 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송수신하여 이용하기를 원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비통신 멀티미디어 단말기기에 다양한 인터페이스가 있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비통신용 멀티미디어 단말기기를 통신망에 연결시켜주는 통신 매개 장치에서 단말기기의 인터페이스의 종류를 파악하여, 단말기기의 특성에 맞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선택적 제공 시스템은
비통신용 멀티미디어 단말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방식을 판단하는 인터페이스 방식 판단부;
상기 판단된 외부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지원 가능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목록을 제시하는 서비스 목록 제시부; 및
상기 제시된 목록 중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를 구동시키는 선택 서비스 구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 선택적인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토록 하여 본 발명의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은 (a)비통신용 멀티미디어 단말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방식을 파악하는 단계;
(b)상기 파악된 외부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지원 가능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 및
(c)상기 출력된 목록 중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함하여, 상기 단말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 선택적인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토록 하여 본 발명의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하여 그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신 매개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멀티미디어 통신 매개 장치(101)는 인터넷 망을 통한 통신 기능을 갖지 않는 비통신용 멀티미디어 단말기기인 캠코더(102)나 디지털 카메라(103)를 인터넷 망에 연결하여 서버나 상대방 단말(105)과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장치이다. 멀티미디어 통신 매개 장치(101)는 캠코더나 디지털 카메라 등이 가진 동영상 촬영 기능, 동영상 출력 기능, 저장된 데이터의 화상/음성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 등을 통해 카메라, 화면 출력 장치, 마이크나 스피커 등을 모두 가진 휴대형 복합 단말의 멀티미디어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매개 장치(101)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환경이 점차로 '이동성'에 초점이 맞추어 지고 있으므로, 액세스 미디에이터(access mediator)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액세스 미디에이터는 디지털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비를 소정의 통신망에 연결시켜주는 디바이스로서, 이동성이 보장되며 저가로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2는, 도 1에 제시된 통신 매개 장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도면으로, 본 시스템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멀티미디어 통신 매개 장치(101)는 결국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시스템 발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비통신용 멀티미디어 단말기기(102 또는 103)를인터넷에 연결시키기 위한 유무선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5)를 가지며, 단말기기(102 또는 103)와 단말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단말 인터페이스부(21)는 IEEE1394 인터페이스, USB 인터페이스, 음성/화상(A/V)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A/V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음성 입력(Audio In) 인터페이스, 음성 출력(Audio Out) 인터페이스, 영상 입력(Video In) 인터페이스, 영상 출력(Video Out)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5)가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방식으로는 무선 인터페이스 방식인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802.11a, 802.11b, 802.11g, 802.16, 802.16e, 802.20, HPi 등이 있으며, 유선 인터페이스 방식인 LAN(Local Area Network) 인터페이스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본 시스템 발명(20)은 단말기기의 인터페이스를 파악하여 단말의 연결을 인식하고, 연결된 단말기기에 지원 가능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비통신용 멀티미디어 단말기기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해 단말기기(102 또는 103)가 통신 매개 장치(101)에 접속되면, 외부 인터페이스 방식 판단부(22)는 인터페이스 방식 DB를 참조하여, 접속된 단말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방식을 판단한다. 이 때 외부 인터페이스 방식으로는 상기한 것들을 그 일례로 들 수 있으며, 각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IEEE1394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캠코더와외부를 연결시키는 고속 인터페이스로 캠코더의 제어 및 음성/화상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된다. USB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카메라와 외부를 연결시키는 고속 인터페이스로 주로 저장 장치로 인식되어 저장된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된다.
Audio In은 음성 입력 인터페이스로 음성 출력 단자에 해당하며 주로 마이크 형태의 단말과 연결되고, Audio Out은 음성 출력 인터페이스로 주로 스피커 형태의 단말과 연결된다. Video In 은 영상 입력 인터페이스로 영상의 입력이 가능한 카메라 등을 가진 장치에 연결되고, Video Out 인터페이스는 영상 출력 인터페이스로 영상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캠코더는 IEEE1394와 AV in/out 인터페이스를 디지털 카메라는 USB와 A/V out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멀티미디어 통신 매개 장치(101, 20)는 단말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해 연결된 단말기기(102 또는 103)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멀티미디어 제공 서비스를 수행한다. 매개 장치(101, 20)를 통해 제공 가능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실시간 영상(방송) 데이터 전송 서비스, VoIP 서비스, WEB 검색 서비스, VOD 서비스, DnS(Download and Store) 서비스, NSA(Network Storage Access) 서비스이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통상 각 서비스를 지원하는 고유한 인터페이스(상기한 외부 인터페이스)방식에 의해 제공된다.
실시간 영상(방송) 데이터 전송 서비스는 캠코더(103)로부터 입력된 음성/화상을 인터넷을 통해 해당 서버나 단말(105)로 전송하는 서비스로, 캠코더(103)로부터 입력된 고속/고화질의 영상 및 음성을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달하기 위해 실시간 인코딩과 스트리밍 전송 기능 및 이를 위한 프로토콜을 수행한다.
VoIP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해 음성 전화 서비스를 하기 위한 프로토콜 수행과 음성 데이터의 인코딩/디코딩 및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WEB 서비스는인터넷 검색 서비스를 단말의 화면을 통해 가능하도록 필요한 프로토콜과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VOD 서비스는 WEB화면을 통해 선정된 영상물을 인터넷을 통해 수신하여 볼 수 있도록 프로토콜 수행 및 화상/음성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스트리밍 기능, 화상/음성 데이터의 디코딩 및 플레이어 기능과 이를 위한 프로토콜을 수행한다.
DnS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연결된 단말의 저장 장 치에 저장해 주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및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NSA 서비스는 DnS 서비스와 반대의기능으로 단말의 저장 장치의 내용을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저장 장치에 업로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서비스 목록 제시부(23)은 인터페이스 방식 판단부(22)에 의해 판단된 단말기기의 인터페이스 방식에 의해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목록을 제시하는 부분으로 판단된 단말기기의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지원 가능한 서비스의 목록 DB를 참조하여 제시한다, 선택 서비스 구동부(24)는 서비스 목록 제시부(23)에 의하여 제시된 서비스 목록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를 인식하여 그 선택한 서비스를 구동시키는데 서비스 목록 DB로부터 그 선택 서비스를 독출하여 구동시킨다. 구동된 서비스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5)를 통해 해당 서버(105)로 제공되거나 해당 서버(105)로부터 제공받는다.
도 3은 본 방법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흐름도이다.
S31 단계는 비통신용 멀티미디어 단말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방식을 파악하여 단말기기가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지 판단하는 단계로, 구체적으로는 각 단말 인터페이스를 차례로 점검하여 인터페이스의 연결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다.
우선 IEEE 1394 인터페이스의 연결 상태를 점검하여(S311) 활성화되어 있으면 가능한 서비스 목록에 실시간 영상(방송)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추가한다(S312). 다음 단계로 USB 인터페이스의 연결 상태를 점검하는데(S313), USB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어 있을 경우 NSA와 DnS 서비스를 가능 서비스 목록에 추가한다(S314). 다음 단계로 A/V 인터페이스 연결상태 점검 단계로 들어간다(S315).
Audio Out이 활성화되어 있고 Audio in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VoIP 서비스를 서비스 목록에 추가하고, Audio Out 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Video Out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WEB 서비스와 VOD 서비스를 가능 서비스 목록에 추가한다.
S31 단계에 의하여 단말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방식이 파악되면 그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 가능한 서비스 목록이 출력되며(S32), 출력된 서비스 목록 중 사용자가 서비스를 선택하면 선택한 서비스를 구동시켜(S33)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IEEE1394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캠코더 등의 단말기기를 인식하여 실시간 방송 데이터 전송 서비스,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저장장치의 데이터를 백업하는 NSA서비스,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MP3 플레이어 또는 다른 미디어 플레이어 등의 저장장치에 인터넷으로부터 새로운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DnS 서비스, 마이크와 스피커가 연결된 상태에서의 VoIP서비스, Audio Out/ Video Out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캠코더나 TV 화면을 통한 WEB 서비스와 VOD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중개 할 수 있게 된다.
본 방법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 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 인식에 따른 선택적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인터넷 통신이 불가능한 비통신용 멀티미디어 단말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의 특성을 통해, 단말기기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그 단말기기로 제공 가능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통신 매개 장치를 통해 서비스 될 수 있는 서비스 목록을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단말기나 인터페이스의 종류에 따라 가능한 서비스의 목록을 기억할 필요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단말기기가 가진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능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함에 의해 단말기기의 기본 기능 이 외에 인터넷 연결을 통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지원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측면에서 기존에 사용자가 가진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등의 비통신용 멀티미디어 단말기기가 가진 인터페이스를 통해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고가의 복합 단말의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차세대 인터넷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멀티미디어 단말 특성을 가진 비통신 단말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Claims (4)

  1. 비통신용 멀티미디어 단말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방식을 판단하는 인터페이스 방식 판단부;
    상기 판단된 외부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지원 가능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목록을 제시하는 서비스 목록 제시부; 및
    상기 제시된 목록 중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를 구동시키는 선택 서비스 구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 선택적인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액세스 미디에이터로 구현되어 상기 서비스의 이동성을 보장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3. (a)비통신용 멀티미디어 단말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방식을 파악하는 단계;
    (b)상기 파악된 외부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지원 가능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 및
    (c)상기 출력된 목록 중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함하여, 상기 단말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 선택적인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기에 따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IEEE 1394 인터페이스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a2)상기 (a1)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IEEE 1394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상기 서비스 목록에 실시간 영상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추가하고, USB 인터페이스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a3)상기 (a2)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NSA 서비스와 DnS 서비스를 상기 서비스 목록에 추가하고, 음성/영상 인터페이스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a4)상기 (a3)단계의 판단 결과, 음성 출력 인터페이스와 음성 입력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VoIP 서비스를 상기 서비스 목록에 추가하고, 음성 출력 인터페이스와 영상 출력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WEB 서비스와 VOD 서 비스를 상기 서비스 목록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방식을 파악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기에 따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KR1020040108150A 2004-12-17 2004-12-17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628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150A KR100628323B1 (ko) 2004-12-17 2004-12-17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150A KR100628323B1 (ko) 2004-12-17 2004-12-17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059A true KR20060069059A (ko) 2006-06-21
KR100628323B1 KR100628323B1 (ko) 2006-09-27

Family

ID=37163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150A KR100628323B1 (ko) 2004-12-17 2004-12-17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83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063B1 (ko) * 2005-08-01 2007-04-13 주식회사 케이티 1394b-UTP5를 이용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방법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063B1 (ko) * 2005-08-01 2007-04-13 주식회사 케이티 1394b-UTP5를 이용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방법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8323B1 (ko)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8152B2 (en) Super share
US838081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070053345A1 (en) Data transmission system
US20140189149A1 (en) Routing of data including multimedia between electronic devices
JP2007300594A (ja) テレビを用いた音声−画像通信方法及び該方法を用いるテレビ
US20100157014A1 (en) Method for storing data of video telephony call in mobile terminal and system thereof
US20070223666A1 (en) Electronic equipment and service providing personalized call features
EP1965317A1 (en) Content providing method, content playback method,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content playback apparatus
US8055194B2 (en) Method for searching for devices for Bluetooth communication in wireless terminal
EP2157761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the cooperative operation of several appliances interconnected via a home network
JPH08251305A (ja) 構内の記録ユニットを使って離れた場所で受信された情報を記録および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装置
US201403374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and transferring contents
JP4056486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接続方法
KR100628323B1 (ko)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US8345664B2 (en) IP communication apparatus
US76681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voice portal
KR20030012918A (ko) 휴대폰용 모바일기기에서 현재 작동되고 있는 콘텐츠를일반 오디오/비디오 재생 기기에서 재생하는 장치및 시스템
JP2000066969A (ja) 画像データ転送システム、カメラ一体型記録再生装置、およびサーバ
JP2009130644A (ja) 通信装置、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KR101501923B1 (ko) Dlna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적응적 데이터 전송 방법 및전송 시스템
KR100860754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검색하고 재생하는 장치및 방법
JP4987108B2 (ja) 携帯電話機
KR100803583B1 (ko)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록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제공 방법및 그 시스템
JP2007518295A (ja) 画像補強方法及びカメラ
JP4800738B2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