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8889A - 원격제어장치 및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원격제어장치 및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8889A
KR20060068889A KR1020040107825A KR20040107825A KR20060068889A KR 20060068889 A KR20060068889 A KR 20060068889A KR 1020040107825 A KR1020040107825 A KR 1020040107825A KR 20040107825 A KR20040107825 A KR 20040107825A KR 20060068889 A KR20060068889 A KR 20060068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device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7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107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8889A/ko
Publication of KR20060068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원격제어장치 및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는 사물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원격제어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슬라이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구동부와,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를 구동시키기 위한 카메라 구동부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카메라와 슬라이드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본인을 촬영하는 경우에 적절한 촬영 각도와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원격제어장치, 리모콘, 헤드셋, 슬라이드, 이동통신단말기, 카메라.

Description

원격제어장치 및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Remote control device and slide type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와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통신단말기 200: 원격제어장치
110: 표시부 120: 입력부
130: RF 송수신부 140: 제어부
150: 메모리 160: 블루투스 모듈
170: 슬라이드 구동부 180: 카메라 구동부
190: 카메라 210: 블루투스 모듈
220: 입력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 및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 및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음성통화만이 가능하였으나, 최근들어 통신 기술 및 이동통신단말기 제작 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기능 이동통신단말기가 상용화되고 있다. 최근에 상용화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을 전달하는 통화기능 이외에 이동통신단말기로 게임이나 인터넷 검색, E-mail, 대금결제 등 다양한 기능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사물의 형상을 찍는 카메라폰 기능과 자신의 형상을 카메라로 찍어 상대방에게 전송해 주는 화상이동통신단말기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종류로는 액정화면을 대형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폴더형과 슬라이드형이 있는데,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카메라가 장착되는 경우 사용자가 피사체의 형상을 보면서 촬영하기 위해서는 액정화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폴더를 개방시켜야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어,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카메라가 장착된 제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종래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하여 카메라의 위치를 파악하고 입력부를 이용하여 카메라를 제어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을 촬영하고자 할 때 자신의 상태를 직접 확인하면서 촬영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카메라 조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드부와 카메라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제어장치에 의해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카메라 구동부와 슬라이드를 구동시키는 슬라이드 구동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격제어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과,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향키 버튼을 포함하여 구비되고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헤드셋 또는 리모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사물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원격제어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슬라이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구동부와,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를 구동시키기 위한 카메라 구동부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구동부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형 카메라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와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표시부(110), 입력부(120), RF송수신부(130), 제어부(140), 메모리(150), 블루투스 모듈(160), 슬라이드 구동부(170), 카메라 구동부(180), 카메라(190) 등을 포함한다.
표시부(110)는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주로 사용된다.
입력부(120)는 키패드, 조그셔틀, 포인트스틱,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할 때 사용된다.
RF 송수신부(130)는 무선으로 기지국과 음성 및 제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로이다. 외부의 이동통신단말기가 발송하는 호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40)에 전송하거나, 메모리(15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4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모리(150)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190)는 사물을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로 회전하는 회전형 카메라(190)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160)은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블루투스 모듈(210)과 통신하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드 구동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슬라이드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100b)와 본체(100a)로 이루어진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슬라이드 구동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슬라이드(100b)가 개폐되도록 구동시킨다.
카메라 구동부(1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190)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메라 구동부(1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형 카메라(19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모듈(210)과 입력부(220)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모듈(210)은 이동통신단말기(100)에 구비된 블루투스 모듈(160)과 통신하는 역할을 한다.
입력부(220)는 키패드, 조그셔틀, 포인트스틱,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할 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입력부(220)를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헤드셋일 수 있다. 또는, 리모콘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100)와 원격제어장치(200)의 실제 사용예에 대해서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카메라(190)와 슬라이드(100b)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입력부(120)를 통하여 촬영모드를 선택하면, 카메라(190)를 통해 피사체의 영상신호가 입력된다. 제어부(140)는 영상신호를 표시부(110)로 보낸다. 표시부(110)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카메라(190)와 슬라이드(100b)를 제어하여 촬영하기에 적합한 카메라(190) 각도와 슬라이드(100b) 높이로 조정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카메라와 슬라이드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본인을 촬영하는 경우에 적절한 촬영 각도와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이동통신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향키 버튼을 포함하여 구비되고,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어하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헤드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리모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4. 슬라이드와 본체로 이루어진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사물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원격제어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슬라이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구동부;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를 구동시키기 위한 카메라 구동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구동부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형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40107825A 2004-12-17 2004-12-17 원격제어장치 및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68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825A KR20060068889A (ko) 2004-12-17 2004-12-17 원격제어장치 및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825A KR20060068889A (ko) 2004-12-17 2004-12-17 원격제어장치 및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889A true KR20060068889A (ko) 2006-06-21

Family

ID=37163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7825A KR20060068889A (ko) 2004-12-17 2004-12-17 원격제어장치 및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88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6033B2 (en) Mobile terminal
US7499074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communication capability
JP3948387B2 (ja)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ィジタル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
US20060034601A1 (en) Multi-function two panel electronic device with 360° relative motion
US20050032557A1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JP2006527928A5 (ko)
JP2005198062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装置
JP3751197B2 (ja) 移動体電話機
KR20060068889A (ko) 원격제어장치 및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604584B1 (ko) 자동으로 카메라 모듈이 회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022571A (ko)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제어하는 리모콘
JP2004214988A (ja) 携帯型電子機器
KR200411080Y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057916A (ko) 양방향 촬영과 이중 화면 표시가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60016037A (ko)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04533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1474415B1 (ko) 휴대 단말기
KR100709813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70078443A (ko) 다이얼 휠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JP5694268B2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
KR20060073291A (ko) 회전식 마이크 세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6758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피사체의 이동에 따른 위치 추적방법
KR200411606Y1 (ko) 원통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376790Y1 (ko) 상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43960A (ko) 사이드 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