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7301A - 환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주거용 건물의 건축화냉난방시스템 - Google Patents

환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주거용 건물의 건축화냉난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7301A
KR20060067301A KR1020040105561A KR20040105561A KR20060067301A KR 20060067301 A KR20060067301 A KR 20060067301A KR 1020040105561 A KR1020040105561 A KR 1020040105561A KR 20040105561 A KR20040105561 A KR 20040105561A KR 20060067301 A KR20060067301 A KR 20060067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ventilation
coupl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5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7402B1 (ko
Inventor
김광우
여명석
임재한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40105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402B1/ko
Publication of KR20060067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4Air-mixing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환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주거용 건물의 건축화 냉난방시스템은, 창호에 의해 구획되는 거실과 발코니를 포함하는 건물의 상기 거실(居室)을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냉난방시스템에 사용되는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창호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급기팬을 포함하는 팬부와 상기 팬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취출구와 상기 팬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팬부로부터 발생하는 기류를 상기 취출구를 통해 상기 거실에 공급하는 급기부와; 상기 발코니의 공간 내에 설치되며, 일측은 외기에 노출되고 타측은 상기 유입구와 결합되며, 상기 유입구와 결합되는 부위에 공기혼합베인이 설치되는 덕트부와; 상기 급기팬의 회전속도 또는 상기 공기혼합베인의 작동을 제어하는 환기시스템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기존 주거용 건물의 개별식 또는 중앙식 바닥복사난방시스템을 냉방으로 적용함과 아울러, 제습 및 환기를 병용한 배관코일을 별도의 가습장치 및 기존 창호와 통합하여 구성하고, 냉난방기간 동안 이를 병행하여 사용하며, 외기를 도입함에 있어 전열 교환 및 공기 청정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환기, 공기정화, 제습, 주거용 건물, 냉난방시스템, 바닥복사, 전열교환

Description

환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주거용 건물의 건축화 냉난방시스템{Building-integrated apparatus for architectural heating and cooling system integrated with ventilation and air-cleaning system in residential build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환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주거용 건물의 건축화 냉난방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댐퍼의 작동모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댐퍼의 작동모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기댐퍼의 작동모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환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주거용 건물의 건축화 냉난방시스템이 설치된 거실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환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주거용 건물의 건축화 냉난방시스템이 설치된 거실과 발코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열원시스템 200: 분배시스템 300: 복사냉난방 패널 400: 환기시스템 500: 제어시스템 410: 배관코일 411: 급기팬 412: 취출구 413: 유입구 414: 배기팬 420: 전열교환부 421: 급기덕트 422: 배기덕트 423: 바이패스(by-pass) 덕트 424, 425: 방향전환댐퍼 426: 배기 댐퍼 427: 공기혼합부(Air mixing box) 428: 공기혼합베인(Air mixing vane) 430: 실내측 Pre-filter 431: 외기측 Pre-filter 432: 미디엄 필터 또는 집진셀 또는 헤파 필터 433: 활성탄 필터 511: 실온 센서 512: 실내습도 센서 513: CO2 센서 514: 외기온 센서 515: 외기습도 센서 516: 바닥온도 센서 517: 창문 위치 센서
본 발명은 냉난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기 및 공기정화,제습 및 가습이 가능한 주거용 건물의 건축화 냉난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건물에서는 온수온돌에 의한 복사난방방법과 패키지 에어컨에 의한 대류냉방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며, 별도의 환기장치를 벽이나 바닥에 두고 거주하고 있다. 일부 초고층 주상 복합건물에서는 거주자의 냉난방 및 환기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여 바닥복사난방에 대류방식의 중앙식 냉방 설비를 갖추고 있거 나, 패키지 에어컨을 공조용 덕트와 병행하여 각 실을 공조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환기의 경우 기계식 환기를 통해 중앙에서 최소 외기를 실내로 유입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냉방 및 환기를 위해 중앙에서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은 덕트를 사용하여야 하고, 열용량이 물에 비해 작기 때문에 반송에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고 있다. 또한 공기를 각 실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덕트를 설치해야 하고, 주거용 건물에서는 이로 인한 공간으로 인해 층고가 높아지고, 초기투자비가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과거 주거용 건물에서 난방시스템만을 고려했던 것과 달리, 거주자의 쾌적에 대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건물 계획단계에서부터 냉난방 및 환기를 고려한 건축화 냉난방시스템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이다.
기존 대류 방식인 공조설비에서는 과도한 기류에 따른 거주자 불쾌적이나 먼지의 비산, 환기 적용에 따른 외기도입량의 증가와 이에 따른 에너지 비용의 증가로 관리비의 상승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외국에서는 이를 해결하고 거주자의 쾌적 및 에너지 절감을 고려하여 대류 및 복사냉난방시스템에 대한 연구, 보급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주로 천장패널을 이용한 복사냉방과 건물 중앙에서 환기설비를 통해 제습된 신선외기를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세대별로 간헐적으로 냉방운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주거용 건물에서의 상황을 고려할 경우, 이러한 시스템을 적용하기에는 초기 투자비나 운영비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야기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 주거용 건물에서는 난방을 위해 온돌바닥패널을 이용한 복사난방방식이 적용되고 있어, 이를 냉방에도 활용하는 것이 시스템의 효과적인 통합 및 운용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종래의 국내 주거용 냉난방시스템은 별도의 시스템 구성과 운영으로 분리되어 중복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거주자의 실내환기나 공기청정에 대한 요구 및 에너지 절감에 대한 고려를 종합적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주거용 건물의 냉방 및 환기를 고려한 기술로 기존 바닥복사난방에 1) 추가적인 냉방 또는 환기를 적용하는 방식이나, 2) 공기를 이용하여 냉방과 난방을 동시에 적용하려는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1) 추가적인 냉방 또는 환기를 적용하는 방식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a)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71635호('아파트용 냉방 및 환기시스템')과 b) 대한민국 등록 제10-0327305호('주거용건물의 조립식열회수환기시스템'), c) 대한민국 등록 제10-0069021호('열교환 환기기능 단일송풍장치')를 들 수 있다. 2) 공기를 이용하여 냉방과 난방을 동시에 적용하려는 방식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d) 대한민국 등록 제10-0309710호('공기온돌 냉난방 설비방법')과 e) 대한민국 등록 제10-0384702호('고층건물의 공조시스템')를 들 수 있다.
a)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71635호('아파트용 냉방 및 환기시스템')의 경우, 심야전기를 이용한 빙축열조시스템과 냉수가 공급되는 패시브실내기, 상기 패시브실내기에 외기를 주입하는 액티브실내기로 구성되어 거실의 천장 구석에 설치됨으로써 냉방 및 환기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발명의 경우, 빙축열을 열원으로 하며, 기존 바닥복사난방과 별도로 냉방 및 환기시스템이 구성되었으며, 환기 시 전열교환이나 실내공기와의 혼합을 고려하지 않고 있어 에너지 절감측면에서의 고려가 필요하다.
b) 대한민국 등록 제10-0327305호('주거용건물의 조립식열회수환기시스템')의 경우, 주거용 건물에 전열교환기와 팬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팬을 실외에 설치함으로써, 팬의 소음을 줄이고, 흡습제를 사용하여 실내외 상대습도 차이를 줄이도록 하고 있다. c) 대한민국 등록 제10-0069021호('열교환 환기기능 단일송풍장치')의 경우, 단일송풍기로 급배기가 가능한 열교환 환기장치로서, 부품수와 소음을 줄여 생산원가의 절감 및 제품의 소형화를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발명들의 경우, 환기만을 고려한 것으로 기존 냉난방시스템 및 실내 공기와의 혼합을 고려하지 않고 있어, 운영시 에너지 절감측면에서 고려가 필요하며, 외기도입시 공기청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d) 대한민국 등록 제10-0309710호('공기온돌 냉난방 설비방법')의 경우, 실내의 바닥에 요철형 판넬을 설치하여 요부를 이용 온풍과 냉풍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므로써, 복사 및 전도, 대류에 의한 난방 및 냉방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발명의 경우, 초기 설치시 공기가 지나가기 위한 요철형 판넬 설치로 인해 바닥으로부터 패널까지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으며, 냉난방시 개실에서의 환기적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고, 외기도입시 공기청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e) 대한민국 등록 제10-0384702호('고층건물의 공조시스템')의 경우, 열펌프 및 열교환기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송풍기와 압축기를 인버터 제어함으로써, 환기, 외기냉방, 냉난방을 동시에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발명의 경우, 기존 바닥복사난방과 별도로 설치되어 운전되며, 열원에서 각 실로 공기를 내보냄으로써 기존 공조방식과 같이 덕트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발명들의 경우, 주거용 건물의 특징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으며, 기존 바닥복사난방과 별도의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또한 냉난방 및 환기, 전열교환, 공기청정에 대한 거주자의 복합적인 요구를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냉난방 및 환기, 전열교환, 공기청정, 제습, 가습기능이 동시에 가능한 주거용 건물의 건축화 냉난방시스템을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주거용 냉난방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 바닥복사난방시스템을 냉방으로 적용함과 아울러, 제습 및 환기를 병용한 냉온수 배관코일을 가습장치 및 기존 창호와 통합하여 구성하고, 냉난방기간 동안 이를 병행하여 사용하며, 외기를 도입함에 있어 전열 교환 및 공기 청정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실별 냉난방, 환기, 전열교환, 공기청정, 제습, 가습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열원, 냉온수 배관, 창측 외주부의 부하를 제거하고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환기, 전열교환, 공기청정시스템의 통합된 건축화 냉난방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태양에 따르면, 창호에 의해 구획되는 거실과 발코니를 포함하는 건물의 상기 거실(居室)을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냉난방시스템에 사용되는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창호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급기팬을 포함하는 팬부와 상기 팬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취출구와 상기 팬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팬부로부터 발생하는 기류를 상기 취출구를 통해 상기 거실에 공급하는 급기부와; 상기 발코니의 공간 내에 설치되며, 일측은 외기에 노출되고 타측은 상기 유입구와 결합되며, 상기 유입구와 결합되는 부위에 공기혼합베인이 설치되는 덕트부와; 상기 급기팬의 회전속도 또는 상기 공기혼합베인의 작동을 제어하는 환기시스템제어부를 포함하는 환기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거실(居室)의 가습이 필요한 경우, 내장형 또는 패키지형(카세트형)의 가습장치가 추가적으로 통합되어 설치된다. 즉, 상기 급기부는 내장형 가습장치, 패키지형 가습장치, 카세트형 가습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취출구를 포함하는 면이 상기 거실의 천정면 또는 벽체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취출구를 포함하는 면이 상기 창호의 창틀의 일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부는 급기덕트와 배기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발코니 공간 내의 일부에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가 인접하여 상호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열교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전열교환부가 결합되는 두 부분에 방향전환댐퍼가 삽입되며, 상기 2개의 방향전환댐퍼는 상기 전열교환부 외에 바이패스(by-pass) 덕트에 의해 기류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전환댐퍼는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전열교환부의 결합부분을 폐쇄하고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바이패스덕트 의 연결부분을 개방하는 경우와,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바이패스덕트의 연결부분을 폐쇄하고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전열교환부의 결합부분을 개방하는 경우의 사이에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부는 통형상의 부재로 구획되며, 상기 통형상의 부재의 일면에 상기 취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통형상의 부재의 다른 면에 상기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와 상기 덕트부가 결합되는 부위에 코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코일부는 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 또는 냉수가 통과하는 배관코일과, 상기 배관코일의 아랫쪽에 위치하는 판상의 드레인판과, 상기 발코니 공간 내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드레인판에 결합되는 드레인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와 상기 코일부가 결합되는 부위에 필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틈새를 통한 기류의 누출이 없도록 상기 코일부 또는 상기 유입구의 단면적과 동일한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에어필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필터층은 프리필터 또는 미디엄 필터 또는 HEPA 필터 또는 ULPA 필터 또는 광촉매필터 또는 활성카본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시스템제어부는 상기 창호가 움직임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식센서 또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닥, 벽체, 천정, 창호를 포함하는 거실(居室)과 상기 창호에 의해 거실과 구획되는 발코니를 포함하는 건물에서 상기 거실을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냉난방시스템에 있어서,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는 열원부와; 상기 거실의 바닥에 매설되며 상기 열원부로부터 공급되는 냉수 또는 온수가 통과하는 바닥배관과 상기 바닥배관을 피복하는 축열층을 포함하는 복사패널부와; 상기 창호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급기팬을 포함하는 팬부와 상기 팬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취출구와 상기 팬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팬부로부터 발생하는 기류를 상기 취출구를 통해 상기 거실에 공급하는 급기부와, 상기 유입구에 결합되며 상기 열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온수 또는 냉수가 통과하는 배관코일과 상기 배관코일의 아랫쪽에 위치하는 판상의 드레인판과 상기 발코니 공간 내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드레인판에 결합되는 드레인관을 포함하는 코일부와, 상기 발코니의 공간 내에 설치되며 일측은 외기에 노출되고 타측은 상기 코일부에 결합되며, 상기 코일부와 결합되는 부위에 공기혼합베인이 설치되는 덕트부를 포함하는 환기시스템과; 상기 열원부와 결합되는 공급본관(本管) 또는 환수본관과, 상기 공급본관 또는 환수본관에 각각 결합되는 공급분배기 또는 환수분배기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분배기의 지관(枝管)은 상기 바닥배관의 일단 또는 상기 배관코일의 일단과 결합되거나 상기 환수분배기의 지관은 상기 바닥배관의 타단 또는 상기 배관코일의 타단과 결합되는 분배부와; 상기 열원부의 운전 또는 정지 또는 공급수의 온도를 제어하는 열원제어부와; 상기 급기팬의 회전속도 또는 상기 공기혼합베인의 작동을 제어하는 환기시스템제어부와; 상기 공급분배기 또는 환수분배기의 각 지관의 개폐정도를 제어하는 분배제어부를 포함하는 환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바닥복사 냉난방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공급본관(本管)은 온수용 공급본관 및 냉수용 공급본관으로 구성되거나 상기 환수본관은 온수용 환수본관 및 냉수용 환수본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공급분배기는 온수용 공급분배기 및 냉수용 공급분배기로 구성되거나 상기 환수분배기는 온수용 환수분배기 및 냉수용 환수분배기로 구성되며, 상기 온수용 공급분배기와 상기 냉수용 공급분배기의 한 쌍의 대응되는 지관(枝管)들은 개폐식 밸브 또는 3방 밸브를 포함하는 Y자형 접속배관을 게재하여 상기 바닥배관의 일단 또는 상기 배관코일의 일단과 결합되거나, 상기 온수용 환수분배기와 상기 냉수용 환수분배기의 한 쌍의 대응되는 지관(枝管)들은 개폐식 밸브 또는 3방 밸브를 포함하는 Y자형 접속배관을 게재하여 상기 바닥배관의 타단 또는 상기 배관코일의 타단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원제어부와 상기 환기시스템제어부와 상기 분배제어부는 하나의 제어장치에 통합되며, 상기 제어장치는 홈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시스템과 연계되어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기시스템제어부는 상기 창호가 움직임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식센서 또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주거용 건물의 건축화 냉난방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환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주거용 건물의 건축화 냉난방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열원부(100), 분배부(200), 복사패널부(300), 환기시스템(400), 제어부(5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가스 흡수식 냉온수기나 지역난방과 중온수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 하여 냉수 및 온수를 만들어 내기 위한 열원부(100), 온수와 냉수를 세대내 각 실의 복사패널부(300) 및 환기시스템(400)에 공급하기 위한 분배부(200), 복사패널부(300), 환기, 제습, 전열교환 및 공기청정 기능을 포함하는 환기시스템(400), 실별 온습도, 바닥표면온도, 외기온습도 및 CO2농도 등을 검출하여 연산 및 기기를 조작하는 제어부(500)로 구성된다.
열원부(100)의 경우, 중앙식은 동 단위나 단지 단위 등에서 설치되어 각 세대마다 분기될 수 있으며 개별식은 세대내 별도의 열원실을 둠으로써 설치되며, 환기시스템(400)의 경우 공급 팬과 배관코일, 공기청정부분은 세대내 거실과 발코니를 구획하는 창호에 인접하여 또는 창호와 통합하여 설치되며 전열교환부 및 배기팬(414) 부분은 발코니 공간에 설치된다.
분배부(200)의 경우, 각 실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는 개폐식 밸브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3방 밸브와 열교환기, 펌프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500)의 경우, 기존 실온조절기가 설치된 높이에 세대내 각 실마다 제어 유닛(Control unit)이 설치되며, 이는 전체 세대의 홈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시스템과 연계되어 운영될 수 있도록 한다. 실내온도센서와 실내습도센서, CO2 센서는 제어 유닛 내에 포함되어 설치가능하고, 바닥온도센서는 실내 배관이 유입되는 곳에 매설되어 설치된다. 외기온센서와 외기습도 센서는 급기되는 외기도입부에 설치되고, 창호위치 센서는 창호의 일정위치에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관코일(410), 급기팬(411), 취출구(412), 유입구(413), 배기팬(414), 드레인관(415), 전열교환부(420), 급기덕트(421), 배기덕트(422), 바이패스(by-pass) 덕트(423), 방향전환댐퍼(424, 425), 배기 댐퍼(426), 공기혼합부(427), 공기혼합베인(428), 급기댐퍼(429), 실내측 프리필터(430), 외기측 프리필터(431), 미디엄 필터 또는 HEPA필터(432), 활성카본필터(433)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 환기시스템(400)은 종래의 공조시스템을 응용한 것으로, 아파트와 같이 발코니가 있는 주택의 거실에서 발코니 공간에 덕트를 설치하고, 외부로부터 도입한 외기를 상기 발코니 공간을 통해 실내로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이때, 시스템의 구성을 최대한 간결하게 구성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을 제고하기 위해 공기 취출구(412)를 거실과 발코니를 구획하는 창호에 인접하여 설치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창호에 인접하여 급기부가 설치되며 상기 급기부는 유입구(413), 급기팬(411), 취출구(412)를 포함한다. 상기 급기부의 취출구(412)를 거실의 천정면 또는 창호의 창틀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기계설비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처럼 건축설계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본 발명에서는 '건축화' 냉난방시스템이라 명명하였으며, 거주자가 심리적으로 기계적인 공기조화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계절에 따라 적절히 외기를 도입함으로써 실질적으로도 자연친화적인 환기시스템으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건축화 냉난방시스템은 취출구(412)를 세로로 하여 벽면에 포함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포함하며, 이러한 세로형 급기부는 주방과 같은 공간에 보다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 환기시스템(400)의 급기부는 천정, 창호, 벽면과 일체로 형성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 가구, 조명 등 각종 건축요소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기팬(411)을 중심으로 거실의 실내측으로는 취출구(412)가, 그 반대쪽으로는 유입구(4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천정의 반자공간을 통해 실내의 배기(Exhaust Air)를 실외로 또는 다시 실내로 공급하게 된다. 즉, 반자덕트(Plenum Duct) 개념의 배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급기부에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덕트부가 발코니 공간에 설치된다. 본 발명 환기시스템(400)은 아파트와 같은 주거용 건물의 발코니 공간을 활용하여 덕트를 설치함으로써 주택에서도 바닥 온돌난방, 패키지 에어컨에 의한 냉방 뿐만 아니라 외기도입, 환기, 공기정화 등 사무실 건물에서 사용하는 공조시스템의 기능을 모두 실현할 수 있다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덕트부는 일단은 상기 급기부의 유입구(413)와 기류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외기에 노출되게 된다. 발코니 공간에는 전열교환부(420)를 더 설치하여 에너지 절약형 시스템으로 구현하는 것이 좋다. 이는 특히 주택과 같이 유지비 절감의 필요성이 큰 건물에 더욱 절실한 시스템으로서, 실내에서 배출되는 배기와 외부로부터 도입되는 외기가 지나가는 통로(덕트)의 일부를 서로 접촉하도록 하여 배기가 보유하고 있는 열에너지를 외기로(난방기) 또는 외기가 보유하고 있는 열에너지를 배기로(냉방기)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난방 또는 냉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모든 경우에 배기와 급기간의 전열교환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외기를 바로 실내로 도입하는 것이 효율적인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열교환부(420)의 양단부에 방향전환댐퍼(424, 425)를 설치하고 이들간을 바이패스(by-pass) 덕크에 의해 기류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외기가 전열교환부(420)를 경유하지 않고 곧바로 급기부까지 도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댐퍼의 작동모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댐퍼의 작동모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방향전환댐퍼(424, 425)는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급기덕트(421)와 전열교환부(420)의 결합부분을 폐쇄하고 급기덕트(421)와 바이패스 덕트(423)의 연결부분을 개방하거나, 반대로 급기덕트(421)와 전열교환부(420)의 결합부분을 개방하고 급기덕트(421)와 바이패스 덕트(423)의 연결부분을 폐쇄하는 방식으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전환댐퍼(424, 425)의 회전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전열교환되는 공기와 바이패스되는 공기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방향전환댐퍼(424, 425)는 반드시 도 3a, 도 3b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와 같이 중앙에 축을 형성하고 ㄱ자 형태로 설치된 방향전환댐퍼(425)를 회전함에 의해 외기를 모두 전열교환시키거나(도 4a) 외기를 모두 바이패스시킬 수 있으며(도 4b), 도 4c 내지 도 4d와 같이 방향전환댐퍼(424)를 회전함에 의해 외기를 차단하거나(도 4c), 도입할 수 있다(도 4d).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기댐퍼의 작동모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외부로부터 도입되는 공기가 바이패스될 수 있으므로, 배기댐퍼(426)의 경우에는 바이패스시켜서 외부로 배출시킬 필요는 없으며, 배기를 차단하거나(도 5a), 전열교환부(420)를 경유하여 배출하게 된다(도 5b). 배기댐퍼(426)의 경우에도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배기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급기덕트(421)를 통해 급기부까지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혼합베인(428)에 의해 실내로 공급되거나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양이 조절되게 된다. 공기혼합베인(428)은 급기덕트(421)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만을, 또는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만을, 또는 이 둘을 혼합하여 실내로 공급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는 실내의 CO2 농도에 따라 필요외기도입량을 결정하고, 그에 따라 상기 공기혼합베인(428)의 회전각도를 조절함에 의해 가능하다.
또한, 실내로 공급되는 풍량을 조절하기 위해 급기팬(411)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급기팬(411)이 회전속도와 공기혼합베인(428)의 회전각도는 별도의 환기시스템제어부를 형성함으로써 조절가능하게 된다. 상기 환기시스템제어부에는 이 외에도 취출구(412), 유입구(413), 배기팬(414), 방향전환댐퍼(424, 425), 배기 댐퍼(426)의 작동여부 또는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이 포함되는 것이 좋다. 또한, 창호가 움직임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식센서, 적외선센서 등을 포함하여 창호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환기시 스템(4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기부에는 배관코일(41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관코일(410)에는 열원으로부터 온수 또는 냉수가 공급되게 되며, 이를 통해 급기부로부터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냉난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최근 아파트의 거실에도 반자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향후 스프링클러가 전체 층에 적용되는 경우 거실에도 반드시 반자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반자공간을 통해 상기 배관코일(410)이 열원으로부터 환기시스템(400)까지 도달되도록 설계하면, 기계설비를 위한 배관을 미관상의 문제 없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배관코일(410)에 냉수가 공급될 경우 배관코일(410)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발생한 결로수를 배출하기 위해 배관코일(410)의 아랫쪽에 드레인판과 그에 연결된 드레인관(415)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드레인관(415)은 발코니 공간에 위치하도록 하여 결로수를 발코니 공간으로 배출하도록 한다. 대부분의 아파트 발코니는 배수설계가 되어 있으므로, 발코니 공간에 위치하는 드레인관(415)은 별도의 장치가 부가됨 없이 손쉽게 결로수를 실외로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급기부에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부에 HEPA 필터, 미디엄 필터, ULPA 필터, 광촉매필터, 활성카본필터 등을 에어필터층으로서 채택함으로써 본 발명 환기시스템(400)은 공기청정기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터부는 급기부를 기류적으로 완전히 차단할 수 있 도록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와 같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환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주거용 건물의 건축화 냉난방시스템의 제어방법(운전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난방제어일때 수동운전시에는 거주자가 바닥복사난방과 창호시스템의 온수코일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운전할 수 있도록 하고, 자동운전시에는 설정실온과 바닥표면 온도값을 거주자가 조절함에 따라 바닥복사난방을 운전하거나 환기 병용 창호시스템의 온수코일을 운전한다.
이 때 환기는 거주자가 수동으로 작동하거나 타이머에 의해 거주자가 미리 정해 놓은 시간 간격마다 운전될 수 있으며, 자동 세팅으로 된 경우에는 CO2 센서에 의해 검출된 CO2 농도에 따라 공기혼합베인(428)이 움직임으로써 외기도입량과 실내공기량의 혼합비를 제어할 수 있다. 외기도입시 실온센서와 실내습도센서, 외기온센서, 외기습도센서에서 각각 실내 공기의 엔탈피, 실외 공기의 엔탈피를 계산하여 실내 공기의 엔탈피가 실외 공기의 엔탈피보다 작은 경우에는 판상형 바이패스 덕트(423)을 통해 외기를 전열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실내로 바로 유입하고, 실내 공기의 엔탈피가 실외 공기의 엔탈피보다 큰 경우에는 전열교환부(420)을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외기도입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공기혼합베인(428)이 실내공기를 재순환시킬 수 있도록 한다. 급기팬(411)의 속도는 다단계의 스텝제어를 적용하거나 인버터제어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공기혼합베인(428)의 위치는 연동되어 제어된다. 외기온 이 낮은 경우, 비운전시 바닥패널의 코일이나 환기병용 창호시스템에 내장된 코일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외기온이 설정값보다 아래로 내려가는 경우에는 온수를 순환시키도록 한다.
둘째, 냉방제어일때 수동운전시에는 거주자가 바닥복사냉방과 창호시스템의 냉수코일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운전할 수 있도록 하고, 자동운전시에는 설정실온과 바닥표면 온도값을 거주자가 조절함에 따라 바닥복사냉방을 운전하거나 환기 병용 창호시스템의 냉수코일을 운전한다.
이 때 환기는 거주자가 수동으로 작동하거나 타이머에 의해 거주자가 미리 정해 놓은 시간 간격마다 운전될 수 있으며, 자동 세팅으로 된 경우에는 CO2 센서에 의해 검출된 CO2 농도에 따라 공기혼합베인(428)이 움직임으로써 외기도입량과 실내공기량의 혼합비를 제어할 수 있다. 외기도입시 실온센서와 실내습도센서, 외기온센서, 외기습도센서에서 각각 실내 공기의 엔탈피, 실외 공기의 엔탈피를 계산하여 실내 공기의 엔탈피가 실외 공기의 엔탈피보다 큰 경우에는 판상형 바이패스 덕트(423)을 통해 외기를 전열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실내로 바로 유입하고, 실내 공기의 엔탈피가 실외 공기의 엔탈피보다 작은 경우에는 전열교환부(420)을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외기도입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공기혼합베인(428)이 실내공기를 재순환시킬 수 있도록 한다. 급기팬(411)의 속도는 다단계의 스텝제어를 적용하거나 인버터제어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공기혼합베인(428)의 위치는 연동되어 제어된다. 창문이 개방되는 경우, 창문위치센서(517)에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서 바닥복사냉방의 운전을 멈추고, 냉수코일을 운전하여 냉각제습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중간기제어 일 때 수동운전시에는 각 실의 냉난방 요구에 따라 선택적으로 냉수 또는 온수를 각각의 바닥패널이나 환기 병용 창호시스템의 코일에 보내고, 자동운전시에는 전열교환기의 운전만으로 냉방 또는 난방이 가능한 경우, 실온과 실내습도, 외기온도, 외기습도를 검출하여 실내외 엔탈피 차이에 따라 외기만을 유입하여 냉난방을 실시함으로써 냉난방에너지를 절감하거나, CO2 센서에 의해 필요 환기량만큼 외기를 도입하고 나머지는 바닥패널이나 환기 병용 창호시스템의 코일을 운전하여 냉난방을 운전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환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주거용 건물의 건축화 냉난방시스템이 설치된 거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사패널부(300), 환기시스템(40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 환기시스템(400)은 주택의 냉난방시스템과 통합되어 환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주거용 건물의 건축화 냉난방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즉, 열원부(100), 복사패널부(300), 환기시스템(400), 분배부(200), 제어부(500)(열원제어부, 환기시스템제어부, 분배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복사패널부(300)를 냉방 및 난방시스템으로 사용하면서 보조냉난방, 제습, 환기, 공기청정 등의 부가기능을 환기시스템(400)을 통해 구현하는 시스템이다. 상기 분배부(200)는 열원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온수 또는 냉수가 복사패널부(300) 또는 환 기시스템(400)으로 공급되도록 분배하는 기능을 하며, 분배제어부에서는 복사패널부(300) 또는 환기시스템(400)으로 공급되는 온수 또는 냉수의 양, 온수와 냉수의 혼합비율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하나의 제어장치에 통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제어방법이 제어장치 내에 내장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장치는 홈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시스템과 연계되어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음성신호, 인터넷, 휴대용 단말기 등의 원격신호를 통해 주택 내의 냉난방, 환기, 공기청정 등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환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주거용 건물의 건축화 냉난방시스템이 설치된 거실과 발코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실내온도 센서(511), 실내습도 센서(512) CO2 센서(513) 외기온 센서(514), 외기습도 센서(515), 바닥온도 센서(516), 창호 개폐여부 센서(517)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공지된 기술과 마찬가지로 실내 온습도, 외기의 온습도, 바닥온도를 감지하여 냉난방을 하며, 이에 추가하여 창호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창호가 개방되었을 경우 바닥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배관에 냉수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 환기시스템(400)을 가동시키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환기시스템(400)의 급기팬(411)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에어커튼(Air Curtain)의 역할도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주거용 건물의 건축화 냉난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창호에 의해 구획되는 거실과 발코니를 포함하는 건물의 거실을 대상으로 하고, 상기 건물의 용도로는 아파트 등 주거전용 건물뿐만 아니라, 오피스텔 및 숙박시설 등 다양한 용도의 건물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주거용 건물의 개별식 또는 중앙식 바닥복사난방시스템을 냉방으로 적용함과 아울러, 제습 및 환기를 병용한 배관코일(410)을 가습장치 및 기존 창호와 통합하여 구성하고, 냉난방기간 동안 이를 병행하여 사용하며, 외기를 도입함에 있어 전열 교환 및 공기 청정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실별 냉난방, 환기, 전열교환, 공기청정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열원, 냉온수 배관, 창측 외주부의 부하를 제거하고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환기, 전열교환, 공기청정시스템의 통합된 건축화 냉난방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즉, 건축 초기 단계에서 세대내 각 실별로 냉난방 및 환기, 공기 청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외기도입에 따른 열손실을 줄여 에너지 절감을 이룰 수 있으며, 중앙공급 덕트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치면적을 줄이고, 층고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초기투자비용을 줄이며, 시스템 통합화에 따른 유지관리를 일원화함으로써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존 방식은 세대내 공조실이 위치한 세대 중앙에서 외기를 도입하여 각 실 까지 덕트를 사용함으로써 층고를 높이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만을 천장위로 설치함으로써 층고를 줄일 수 있고, 각 방별로 외기가 발코니를 통해 유입됨으로 인해 환기의 개실제어가 가능하다
특히, 기존 에어컨이나 바닥복사난방, 공기청정기, 전열교환기, 환기 시스템, 가습기 등을 일체화하여 구성함으로써, 건축초기단계에서 건축물과 통합된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고, 건물의 온열 환경 및 실내 공기환경을 통합 제어함으로써 인텔리젼트건축물을 구현할 수 있으며, 거주자에게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창호에 의해 구획되는 거실과 발코니를 포함하는 건물의 상기 거실(居室)을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냉난방시스템에 사용되는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창호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급기팬을 포함하는 팬부와 상기 팬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취출구와 상기 팬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팬부로부터 발생하는 기류를 상기 취출구를 통해 상기 거실에 공급하는 급기부와;
    상기 발코니의 공간 내에 설치되며, 일측은 외기에 노출되고 타측은 상기 유입구와 결합되며, 상기 유입구와 결합되는 부위에 공기혼합베인이 설치되는 덕트부와;
    상기 급기팬의 회전속도 또는 상기 공기혼합베인의 작동을 제어하는 환기시스템제어부를 포함하는 환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부는 내장형 가습장치, 패키지형 가습장치, 카세트형 가습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를 포함하는 면이 상기 거실의 천정면 또는 상기 거실의 벽체면 또는 상기 창호의 창틀의 일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급기덕트와 배기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발코니 공간 내의 일부에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가 인접하여 상호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열교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전열교환부가 결합되는 두 부분에 방향전환댐퍼가 삽입되며, 상기 2개의 방향전환댐퍼는 상기 전열교환부 외에 바이패스(by-pass) 덕트에 의해 기류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댐퍼는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전열교환부의 결합부분을 폐쇄하고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바이패스덕트의 연결부분을 개방하는 경우와,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바이패스덕트의 연결부분을 폐쇄하고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전열교환 부의 결합부분을 개방하는 경우의 사이에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덕트부가 결합되는 부위에 코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코일부는 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 또는 냉수가 통과하는 배관코일과, 상기 배관코일의 아랫쪽에 위치하는 판상의 드레인판과, 상기 발코니 공간 내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드레인판에 결합되는 드레인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코일부가 결합되는 부위에 필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틈새를 통한 기류의 누출이 없도록 상기 코일부 또는 상기 유입구의 단면적과 동일한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에어필터층을 포함하되, 상기 에어필터층은 프리필터, 미디엄 필터, HEPA 필터, ULPA 필터, 광촉매필터, 활성카본필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시스템제어부는 상기 창호가 움직임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식센서 또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10. 바닥, 벽체, 천정, 창호를 포함하는 거실(居室)과 상기 창호에 의해 거실과 구획되는 발코니를 포함하는 건물에서 상기 거실을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냉난방시스템에 있어서,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는 열원부와;
    상기 거실의 바닥에 매설되며 상기 열원부로부터 공급되는 냉수 또는 온수가 통과하는 바닥배관과 상기 바닥배관을 피복하는 축열층을 포함하는 복사패널부와;
    상기 창호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급기팬을 포함하는 팬부와 상기 팬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취출구와 상기 팬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팬부로부터 발생하는 기류를 상기 취출구를 통해 상기 거실에 공급하는 급기부와, 상기 유입구에 결합되며 상기 열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온수 또는 냉수가 통과하는 배관코일과 상기 배관코일의 아랫쪽에 위치하는 판상의 드레인판과 상기 발코니 공간 내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드레인판에 결합되는 드레인관을 포함하는 코일부와, 상기 발코니의 공간 내에 설치되며 일측은 외기에 노출되고 타측은 상기 코일부에 결합되며, 상기 코일부와 결합되는 부위에 공기혼합베인이 설치되는 덕트부를 포함하는 환기시스템과;
    상기 열원부와 결합되는 공급본관(本管) 또는 환수본관과, 상기 공급본관 또는 환수본관에 각각 결합되는 공급분배기 또는 환수분배기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분배기의 지관(枝管)은 상기 바닥배관의 일단 또는 상기 배관코일의 일단과 결합되거나 상기 환수분배기의 지관은 상기 바닥배관의 타단 또는 상기 배관코일의 타단과 결합되는 분배부와;
    상기 열원부의 운전 또는 정지 또는 공급수의 온도를 제어하는 열원제어부와;
    상기 급기팬의 회전속도 또는 상기 공기혼합베인의 작동을 제어하는 환기시스템제어부와;
    상기 공급분배기 또는 환수분배기의 각 지관의 개폐정도를 제어하는 분배제어부를 포함하는 환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바닥복사 냉난방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본관(本管)은 온수용 공급본관 및 냉수용 공급본관으로 구성되거나 상기 환수본관은 온수용 환수본관 및 냉수용 환수본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공급분배기는 온수용 공급분배기 및 냉수용 공급분배기로 구성되거나 상기 환수분배기는 온수용 환수분배기 및 냉수용 환수분배기로 구성되며,
    상기 온수용 공급분배기와 상기 냉수용 공급분배기의 한 쌍의 대응되는 지관(枝管)들은 개폐식 밸브 또는 3방 밸브를 포함하는 Y자형 접속배관을 게재하여 상기 바닥배관의 일단 또는 상기 배관코일의 일단과 결합되거나,
    상기 온수용 환수분배기와 상기 냉수용 환수분배기의 한 쌍의 대응되는 지관(枝管)들은 개폐식 밸브 또는 3방 밸브를 포함하는 Y자형 접속배관을 게재하여 상기 바닥배관의 타단 또는 상기 배관코일의 타단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바닥복사 냉난방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제어부와 상기 환기시스템제어부와 상기 분배제어부는 하나의 제어장치에 통합되며, 상기 제어장치는 홈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시스템과 연계되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바닥복사 냉난방시스템.
KR1020040105561A 2004-12-14 2004-12-14 환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바닥복사 냉난방시스템 KR100627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561A KR100627402B1 (ko) 2004-12-14 2004-12-14 환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바닥복사 냉난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561A KR100627402B1 (ko) 2004-12-14 2004-12-14 환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바닥복사 냉난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301A true KR20060067301A (ko) 2006-06-20
KR100627402B1 KR100627402B1 (ko) 2006-09-21

Family

ID=37161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561A KR100627402B1 (ko) 2004-12-14 2004-12-14 환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바닥복사 냉난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4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170B1 (ko) * 2011-03-09 2013-02-22 대림산업 주식회사 실별 바닥복사 및 공조 통합 제어 시스템
CN104596017A (zh) * 2014-12-11 2015-05-06 中国核电工程有限公司 贮存发热体厂房的通风降温装置
KR101634502B1 (ko) * 2015-09-03 2016-06-3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공조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39604B (zh) 2008-02-04 2013-10-23 德尔塔T公司 风扇系统及安装和运行该风扇系统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4929A (ja) * 1996-06-06 1997-12-16 Shimizu Corp 空調方式
JPH10220807A (ja) 1996-07-08 1998-08-21 Shimizu Corp 低床二重床を利用した空調システム
KR20010025711A (ko) * 2001-01-19 2001-04-06 이현우 창문 일체형 팬코일 유닛
JP2004092923A (ja) 2002-08-29 2004-03-25 Matsushita Ecology Systems Co Ltd 窓取付同時給排形換気扇
KR200355152Y1 (ko) 2004-04-13 2004-07-02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실내공기질 제어를 위한 창호 일체형 환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170B1 (ko) * 2011-03-09 2013-02-22 대림산업 주식회사 실별 바닥복사 및 공조 통합 제어 시스템
CN104596017A (zh) * 2014-12-11 2015-05-06 中国核电工程有限公司 贮存发热体厂房的通风降温装置
CN104596017B (zh) * 2014-12-11 2017-10-24 中国核电工程有限公司 贮存发热体厂房的通风降温装置
KR101634502B1 (ko) * 2015-09-03 2016-06-3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공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7402B1 (ko) 200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7503B2 (ja) 空調システム
WO2022264721A1 (ja) ダクト式空調換気システム
KR101504077B1 (ko) 통합형 공조기를 갖는 바닥취출공조 시스템
KR20210106836A (ko) 건물 환기 시스템
JP2024036429A (ja) 空調換気システム
KR100583004B1 (ko) 복합 공조 및 환기 시스템
WO2006035826A1 (ja) 換気装置、空調システム、換気システム及び建物
JP4524348B1 (ja) 省エネルギー換気システム
KR100627402B1 (ko) 환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바닥복사 냉난방시스템
KR100740711B1 (ko) 환기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주거용 건물의 건축화 냉난방시스템 제어방법
JP4295541B2 (ja) 換気システム
CN213872960U (zh) 一种超静音无风感健康舒适家用中央空调采暖系统
Bhatia Design Options for HVAC Distribution Systems
JPH09280604A (ja) 空気調和装置
KR20180107494A (ko) 통합 세대 환기장치
CN112556027A (zh) 一种超静音无风感健康舒适家用中央空调采暖系统
JP2002013219A (ja) 家屋の換気システム
JP2001289476A (ja) 換気システムおよび換気方法
JP2011112239A (ja) 換気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KR100670668B1 (ko) 공기 공급장치
JP2006023065A (ja) 換気機能付き空気調和機及び換気機能付き空気調和機の換気装置及び換気機能付き空気調和機の換気方法
JP2020148386A (ja) 加圧型熱交換換気式建屋
KR102404857B1 (ko) 공동주택 통합 환기 시스템
KR20180036235A (ko) 통합 배기 장치 및 통합 배기 유닛, 그리고 통합 배기 방법
US20230040056A1 (e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