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7227A - Headrest structure of a vehicle - Google Patents

Headrest structure of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7227A
KR20060067227A KR1020040105815A KR20040105815A KR20060067227A KR 20060067227 A KR20060067227 A KR 20060067227A KR 1020040105815 A KR1020040105815 A KR 1020040105815A KR 20040105815 A KR20040105815 A KR 20040105815A KR 20060067227 A KR20060067227 A KR 20060067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vehicle
moving arm
passenger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58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5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7227A/en
Publication of KR20060067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22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5Head-rests provided with side-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시트백의 상단에 헤드레스트가 장착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구조에 있어서, 시트백의 상단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10); 좌, 우 양측이 차량의 전방 쪽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헤드레스트(10)의 전방에 장착되는 좌면패드(30); 및 상기 좌면패드(30)의 양측을 접혀지도록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헤드레스트의 양측을 접을 수 있게 하여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 restraint structure of a vehicle, the head restraint structure of a vehicle in which a head rest is mounted on an upper end of a seat back so as to support a head of a passenger, the head rest mounted on an upper end of a seat back;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ft side pad 30 is formed so that it can be folded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mounted on the front of the headrest (10); And drive means for operating both sides of the seat pad 30 to be folded. According to this structure, both sides of the headrest can be fold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passenger.

시트백, 헤드레스트, 패드, 접힘, 모터Seatback, Headrests, Pads, Folded, Motor

Description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구조{Headrest structure of a vehicle}Headrest structure of a vehicle

도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장착구조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headrest mounting structure of a typical vehicle;

도2는 종래 기술에 다른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구조를 나타낸 외관도;2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headrest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drest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구조를 나타낸 평면 개략도;Figures 4 (a) and (b) are schematic top views showing the headrest structure of the motor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요부인 구동수단을 나타낸 개념도이다.5 (a) and 5 (b)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drive means which are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0 : 헤드레스트 20 : 플레이트10: headrest 20: plate

30 : 좌면패드 32 : 무빙암30: seat pad 32: moving arm

42 : 외피 50 : 구동모터42: jacket 50: drive motor

51, 52 : 풀리 60 : 지지구51, 52: pulley 60: support

62 : 스프링 70 : 스토퍼62: spring 70: stopper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헤 드레스트의 양측을 접을 수 있게 하여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 restraint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d restraint structure of a car that can be folded to both sides of the headrest to improve the comfort of the passenger.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는 승객의 머리 부위를 편안하게 기댈 수 있도록 하고, 후방 충돌시 승객의 목 상해를 방지하고자 하는 기능도 갖는다.In general, the headrest of the vehicle can comfortably lean on the head of the passenger, and also has a function to prevent the passenger's neck injury in the rear collision.

종래의 헤드레스트 구조는 도1 및 도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헤드레스트(1)가 시트백(2)의 상단에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장착된다.The conventional headrest structure is mounted such that the headrest 1 can support the head of the occupant at the top of the seatback 2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s.

그리고, 이러한 헤드레스트(1)는 상하로 이동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또한 그 틸팅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구조도 널리 알려져 있다. 게다가, 승객의 목 상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In addition, it is widely known that the headrest 1 is moved up and down to have a structure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and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tilting angle is also widely known. In addition, various techniques are known for preventing neck injuries of passengers.

그러나, 종래의 헤드레스트 구조는 승객의 머리가 안착되는 좌면부의 형상이 고정되어 있어 모든 승객의 두부 형상에 적합하지 않아 개개인의 취향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는다.However, the conventional headrest structure has a problem in that the shape of the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passenger's head is seated is not suitable for all passengers' head shapes and thus does not satisfy individual tastes.

게다가, 종래의 헤드레스트 구조는 승객의 머리가 어느 일측으로 쏠려있을 경우에는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며, 특히 차안에서 잠을 자는 경우, 차량이 좌우로 흔들릴 때 승객의 머리도 헤드레스트의 어느 일측으로 쏠려 불편함을 느끼는 것이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headrest structure does not function properly when the passenger's head is inclined to one side, and especially when sleeping in the car, the passenger's head moves to either side of the headrest when the vehicle is shaken from side to side. It was an uncomfortable feeling.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헤드레스트의 양측이 접혀져 차량의 전방 쪽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여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 restraint structure of a vehicle that is capable of improving passenger comfort by allowing both sides of the headrest to be folded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There is thi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시트백의 상단에 헤드레스트가 장착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구조에 있어서, 시트백의 상단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 좌, 우 양측이 차량의 전방 쪽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헤드레스트의 전방에 장착되는 좌면패드; 및 상기 좌면패드의 양측을 접혀지도록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구조를 마렴함에 의한다.As a technical configura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eadrest structure of the vehicle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seatback to support the head of the occupant, the headrest mounted on the top of the seatback; Left and right side pads formed to be folded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mounted to the front of the headrest; And drive means for operating both sides of the seat pad to be fol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구조에서, 상기 구동수단은, 일측이 상기 좌면패드의 후방 양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헤드레스트의 내부로 관통하여 끼워진 무빙암과, 상기 무빙암이 차량의 후방 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과, 상기 무빙암을 스프링에 의한 이동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연결된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헤드레스트에 고정 설치된 스토퍼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 및 제2 풀리와, 일측이 상기 스토퍼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풀리에 감겨지도록 각각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무빙암의 후방을 관통하여 헤드레스트에 고정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무빙암과 스토퍼의 사이에 배치되는 외피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headrest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means includes a moving arm having one side fixed to both rear sides of the seat pad and the other side penetrating into the headrest, and the moving arm of the vehicle. It may include a spring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move toward the rear, and a driving motor connected to move the moving arm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ement by the spring. In addition, the driving means is connected to each of the stopper fixed to the headrest, the first and second pulley rotated by the drive motor, and one side is woun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pulley through the stopper The other side may further include a wire fixed to the headrest by penetrating the rear of the moving arm and surrounding the wire to be disposed between the moving arm and the stopp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시트백의 상단에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통상적인 구조를 갖도록 장착되는 헤드레스트(10)가 보인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eadrest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rest 10 is mounted to have a conventional structure to support the head of the occupant at the top of the seatback.

즉, 상기 헤드레스트(10)는 통상적인 구조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그 틸팅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승객의 목 상해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at is, the headrest 10 may be moved up and down by a conventional structure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adjusted in height, and may have a structure that can adjust the tilting angle, and also to prevent the neck injury of the passenger It can have a structure for.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10)에는 차량의 전방 쪽에 위치되는 플레이트(20)가 장착되며, 이 플레이트(20)는 후술하는 부품들이 장착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기계적 강성을 갖는다.The headres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with a plate 20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and the plate 20 has a predetermined mechanical rigidity so that the parts described below can be mounted and maintained.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20)의 전방 쪽에는 승객의 머리가 직접 닿는 부위인 좌면패드(30)가 장착된다.In addition, the front side of the plate 20 is equipped with a seat pad 30 which is a portion of the passenger's head directly touching.

상기 좌면패드(30)는 소정 두께를 가지면서 대략의 직사각형 모양을 갖도록 형성되고, 승객의 머리가 직접 닿는 부위이므로 부드럽고 소정의 쿠션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seat pad 3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soft and predetermined cushion since the passenger's head directly contacts.

또한, 상기 좌면패드(30)는 양측 부위가 접혀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이는 좌면패드(30)가 자체적으로 굽혀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것이 좋다. 이때, 좌면패드(30)의 내부에 굽힘 가능하고 탄력성있는 재질로 형성된 별도의 보강부재(미도시됨)가 설치되어도 좋다.In addition, the seat pad 30 has a structure in which both side portions can be folded, which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in which the seat pad 30 can be bent by itself. In this case, a separate reinforcing member (not shown) formed of a bendable and elastic material may be installed in the seat pad 30.

상기 좌면패드(30)의 후방 쪽 중앙 부위는 플레이트(20)의 전방 쪽 중앙 부위에 고정 설치된다. The rear central portion of the seat pad 30 is fixedly installed at the front central portion of the plate 20.                     

상기 좌면패드(30)의 양측 부위는 구동수단에 의해 접혀질 수 있는바, 이 구동수단은 좌면패드(30)의 후방 쪽 양측 부위에 고정 설치된 무빙암(32)을 포함하고, 이 무빙암(32)은 좌면패드(30)의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좌, 우 대칭되는 원호 형상으로 굽혀진 모습을 갖는다.Both sides of the seat pad 30 may be folded by a driving means, and the driving means includes a moving arm 32 fixed to both sides of the rear side of the seat pad 30, and the moving arm ( 32 has a shape bent in an arc shape symmetrical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seat pad (30).

이때, 상기 무빙암(32)은 좌면패드(30)의 양측 부위가 굽혀지는 것을 고려하여 그 곡률이 설정되며, 상기 무빙암(32)의 후방 쪽 끝단은 각각 상기 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헤드레스트(10) 내부로 삽입되며, 이렇게 헤드레스트(10) 내부로 삽입된 무빙암(32)의 끝단은 도4 및 도5에 도시된 것처럼 외피(42)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외피(42)는 길이방향으로 신축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moving arm 32 has a curvature set in consideration of both sides of the seat pad 30 being bent, and the rear end of the moving arm 32 penetrates the plate 20 to the head. Inserted into the rest 10, the end of the moving arm 32 inserted into the headrest 1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uter shell 42 as shown in FIGS. 4 and 5, and the outer shell ( 42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not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헤드레스트(10)의 내부에는 구동모터(50)가 장착되고, 이 구동모터(50)의 회전축에는 제1 및 제2 풀리(51)(52)가 장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 풀리(51)(52)에는 상기 외피(42)를 관통하도록 끼워져 그 외피(42)를 따라 이동하는 와이어(40)의 일측이 각각 감겨지며, 상기 와이어(40)의 타측은 상기 플레이트(2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된다.In addition, a driving motor 50 is mounted inside the headrest 10, and first and second pulleys 51 and 52 are mounted on a rotation shaft of the driving motor 50. 2 pulleys (51) and (52) are inserted so as to pass through the sheath (42), one side of the wire 40 to move along the sheath 42 is wound, respectively, the other side of the wire 40 is the plate 20 It is fixed to both sides of).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10)의 내부에는 플레이트(20)의 후방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된 지지구(60)가 구비되며, 이 지지구(60)는 대략의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개방된 부위가 플레이트(20)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headrest 10 is provided with support members 60 fixedly installed on both rear sides of the plate 20, and the support members 60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 shape and their The open area is fixed to the plate 20.

또한, 상기 지지구(60)에는 각각 스프링(62)이 설치되어 상기 무빙암(32)을 좌면패드(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구성을 갖는다.In addition, the support 60 is provided with a spring 62, respectively, has a configuration that applies the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moving arm 32, the seat pad 30.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구(60)는 상기 무빙암(32)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 록 원호 형상으로 절곡된 모습을 갖는다.Referring to Figure 4, the support 60 is bent in an arc shape to have the same curvature as the moving arm (32).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측 단부가 상기 무빙암(32)의 후방 쪽 끝단에 고정된 외피(42)의 타측 단부는 스토퍼(7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70)는 헤드레스트(10)의 내부 소정 위치, 예컨대 구동모터(50)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40)는 스토퍼(70)를 관통하도록 끼워진다.Referring to FIG. 5, the other end of the outer shell 42,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moving arm 32, is fixed to the stopper 70. The stopper 70 is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headrest 10, for example, the driving motor 50, and the wire 40 is fitted to penetrate the stopper 70.

이때, 와이어(40)가 제1 및 제2 풀리(51)(52)에서 풀려지도록 구동모터(50)가 작동하였을 때, 도5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와이어(40)에 아무런 장력이 작용하지 않아 무빙암(32)이 스프링(62)의 복원력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 경우, 무빙암(32)에 의해 좌면패드(30)의 양측 부위가 도4의 (a)에 도시된 것처럼 펼쳐지며, 이 상태가 초기 상태로 설정된다.At this time, when the drive motor 50 is operated so that the wire 40 is released from the first and second pulleys 51 and 52, as shown in FIG. 5A, no tension is applied to the wire 40. This does not work, the moving arm 32 is moved to the left direc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62, in this case, both sides of the seat pad 30 by the moving arm 32 to (a) of FIG. It is expanded as shown, and this state is set to the initial state.

반대로, 와이어(40)가 제1 및 제2 풀리(51)(52)에 감겨지도록 구동모터(50)가 작동하였을 때, 도5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와이어(40)가 플레이트(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외피(42)는 상대적으로 무빙암(32)을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 경우, 무빙암(32)에 의해 좌면패드(30)의 양측 부위가 도4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접혀지게 된다.Conversely, when the drive motor 50 is operated such that the wire 40 is woun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pulleys 51 and 52, as shown in FIG. 20, the outer shell 42 relatively moves the moving arm 32 to the right, and in this case, both sides of the seat pad 30 are moved by the moving arm 32 to FIG. 4 (b). Folded as shown in

물론, 상기 구동모터(5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스위치(미도시됨)가 소정 개소에 설치되어 승객이 필요에 의해 그 구동모터(50)를 작동시킬 수 있다.Of course, an operation switch (not shown) for operating the drive motor 5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o that the passenger can operate the drive motor 50 as needed.

따라서, 승객은 필요에 의해 구동모터(50)를 작동시켜 좌면패드(30)의 양측 부위를 접을 수 있으며, 이렇게 좌면패드(30)의 양측 부위가 접혀지면 승객의 목부분을 감싸주어 승객의 목이 편안하게 받혀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passenger can fold both sides of the seat pad 30 by operating the drive motor 50 as needed, and when both sides of the seat pad 30 are folded, the neck of the passenger is wrapped around the neck of the passenger. It can be comfortably supported.                     

이는 승객이 차안에서 잠을 자는 경우, 차량이 좌우로 흔들려도 승객의 머리는 좌면패드의 양측 접힘 부위에 의해 일측으로 쏠리는 것이 방지되어 안락함을 느낄 수 있다.When the passenger sleeps in the car, even if the vehicle is shaken from side to side, the passenger's head can be comfortably prevented from being pulled to one side by both folded portions of the seat pad.

특히, 승객의 두부 위치를 바로잡아 종래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조에 비하여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head position of the passenger can be corrected to increase safety compared to conventional active headrest structur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구조에 의하면, 승객의 머리가 안착되는 좌면패드의 양측이 접혀질 수 있어 승객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headrest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h sides of the seat pad on which the passenger's head is seated can be folded, thereby improving the comfort of the passenger.

Claims (3)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시트백의 상단에 헤드레스트가 장착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구조에 있어서,In the headrest structure of the car that the headrest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seat back to support the head of the passenger, 시트백의 상단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10);Headrest 10 mounted on the top of the seat back; 좌, 우 양측이 차량의 전방 쪽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헤드레스트(10)의 전방에 장착되는 좌면패드(30); 및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ft side pad 30 is formed so that it can be folded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mounted on the front of the headrest (10); And 상기 좌면패드(30)의 양측을 접혀지도록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구조.Headrest structur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ive means for operating to fold both sides of the seat pad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일측이 상기 좌면패드(30)의 후방 양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헤드레스트(10)의 내부로 관통하여 끼워진 무빙암(32)과, 상기 무빙암(32)이 차량의 후방 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62)과, 상기 무빙암(32)을 스프링(62)에 의한 이동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연결된 구동모터(5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구조.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means, one side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seat pad 30, the other side moving arm 32 is inserted through the interior of the headrest 10 and the moving arm ( A spring 62 that exerts an elastic force to move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and a drive motor 50 connected to move the moving arm 32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ovement by the spring 62. Headrest structure of ca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헤드레스트(10)에 고정 설치된 스토퍼(70)와, 상기 구동모터(50)에 의해 회전되는 제1 및 제2 풀리(51)(52)와, 일측이 상기 스토퍼(70)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풀리(51)(52)에 감겨지도록 각각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무빙암(32)의 후방을 관통하여 헤드레스트(10)에 고정된 와이 어(40)와, 상기 와이어(40)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무빙암(32)과 스토퍼(70)의 사이에 배치되는 외피(42)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구조.According to claim 2, The drive means, the stopper 70 is fixed to the headrest 10, the first and second pulleys (51) (52) rotated by the drive motor (50), One side is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ulleys 51 and 52 to penetrate through the stopper 70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headrest 10 through the rear of the moving arm 32. A headrest structure of an automobile further comprising a wire 40 and an outer shell 42 disposed to surround the wire 40 and disposed between the moving arm 32 and the stopper 70. .
KR1020040105815A 2004-12-14 2004-12-14 Headrest structure of a vehicle KR2006006722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815A KR20060067227A (en) 2004-12-14 2004-12-14 Headrest structure of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815A KR20060067227A (en) 2004-12-14 2004-12-14 Headrest structure of a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227A true KR20060067227A (en) 2006-06-19

Family

ID=37161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815A KR20060067227A (en) 2004-12-14 2004-12-14 Headrest structure of a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722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94356A (en) * 2016-10-11 2017-02-15 刘新虎 Car seat headrest and car sea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94356A (en) * 2016-10-11 2017-02-15 刘新虎 Car seat headrest and car seat
CN106394356B (en) * 2016-10-11 2020-02-14 刘新虎 Automobile seat headrest and automobile se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79886A1 (en) Seat back frame and vehicle seat
US11338716B2 (en) Vehicle footrest
JP2003063293A (en) Automobile submarine preventing panel structure
JPH1134707A (en) Vehicular seat
KR20060067227A (en) Headrest structure of a vehicle
JP2009234286A (en) Head rest device for vehicle
KR100403478B1 (en) Headrest of automobiles
KR100680721B1 (en) Active headrest structure of seat for automobile
KR0118171Y1 (en) Arm support device of car seat
CN112955352B (en) Device for reducing carsickness related disturbances of passengers in driving operation of a vehicle and vehicle
KR200326840Y1 (en) A head support for car-seat
KR0128698Y1 (en) Armrest structure of a car
KR0130281Y1 (en) Structure of car seat
KR200346887Y1 (en) A Headrest for vehicles
KR100506026B1 (en) Seat having a head-rest of angle variable
KR950008607Y1 (en) Tiltable headrest of seat unie for car
KR19990038576A (en) Car headrest
KR200147193Y1 (en) Headrest
KR20030006358A (en) Vehicle safety seat system
KR20050015565A (en) height adjust apparatus of the seat belt
KR19980045634U (en) Secondary headrest on the rear seat of the car
KR19990005713U (en) Headrest of seat
KR20030021391A (en) Lumbar support-device using S-spring for automobile
KR19980031782A (en) Before and after adjustment of car headrest
KR19980062181A (en) Headrest Structure of Car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