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6836A - 교량의 교각 연결용 기초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량의 교각 연결용 기초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6836A
KR20060066836A KR1020040105327A KR20040105327A KR20060066836A KR 20060066836 A KR20060066836 A KR 20060066836A KR 1020040105327 A KR1020040105327 A KR 1020040105327A KR 20040105327 A KR20040105327 A KR 20040105327A KR 20060066836 A KR20060066836 A KR 20060066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undation
pillar
bridge
pier
construc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5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복기찬
김종흔
전경수
조종석
유호인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040105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6836A/ko
Publication of KR20060066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교각연결용 기초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각각의 교각과 대응되도록 교각과 적어도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지면에 기둥기초를 굴삭한후 그 내측에 철근을 설치하고, 상기 철근이 설치되는 기둥기초의 내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상기 기둥기초의 상부에 교각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에따라서, 푸팅및 다수의 항타말뚝시공 공정을 배제시킴으로써 주변지반의 교란을 최소화 하고, 시공시 소음진동을 최소화 하며, 충분한 근입심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기둥기초, 교각, 철근, 교량, 굴착

Description

교량의 교각 연결용 기초 시공방법{A construction method for foundation which connected a column}
도1은 본 발명에 의해 시공된 기초에 교각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기초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 시공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 시공방법의 작업순서를 도시한 사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케이싱 200...철근골조
210,220...스페이서 230...커버
250...오름방지판 310...교량
320...교각 330...기둥기초
S...지표면
본 발명은 교량의 교각연결용 기초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로는, 교각과 적어도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지면상에 기둥기초 형성용 홀을 굴착한후 그 내측에 철근을 설치하고, 상기 철근이 설치되는 기둥기초용 홀 내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기초를 형성하며, 상기 기둥기초의 상부에 교각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푸팅 및 항타 말뚝시공 공정을 배제시킴으로써 주변지반의 교란을 최소화 하고, 시공시 소음진동을 최소화 하며, 충분한 근입심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교량의 교각연결용 기초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철도 같은 건설공사에 있어서, 특히 기존 건물이나 도로망이 존재하는 곳에 있어서는 하천에 인접하여 교량이 계획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하천은 하천수의 흐름에 의하여 토양이 침식되지 않도록 표면에 침식 보호석을 하부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전석이나 호박돌을 사용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와 같은 교량의 교량 기초 설치방법으로 푸팅이나 파일시공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이중 푸팅시공법은, 지지기반이 비교적 얕을 경우 사용되는 것으로서, 지지기반에 먼저 푸팅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교각 기둥을 설치한다.
그리고, 지지기반이 깊을 경우에 파일시공법이 적용되고 있으며, 상기 파일시공법은, 다수의 말뚝을 항타하여 지지기반까지 도달되도록 하므로써 충분한 하중전달이 이루어 질 수 있게 한 후 다수의 말뚝 위에 푸팅을 설치하고, 상기 푸팅에 교각 기둥을 설치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교량의 기초 시공방법은, 푸팅시공시 과도한 터파기량 이 발생되어 터파기 잔존물의 후처리에 문제점이 있으며, 많은 작업공간을 필요로 하여 작업의 동시진행이 힘들게 되으로써 공기가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소구경의 말뚝 항타시에는, 소음 및 진동이 심하게 발생되어 주변의 민원을 야기시키며, 기초하부지반이 자갈층일 경우 말뚝의 항타및 관입이 곤란하고, 교각에 파일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횡압력에 취약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둥기초와 교각을 연속시공하여 푸팅 및 다수의 항타 말뚝시공을 배제함으로써 주변지반 교란을 최소화 하도록 하고, 시공시 항타등에 의한 소음진동을 최소화 하도록 하며, 충분한 근입심도를 유지하여 세굴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하고, 터파기량을 감소시킴은 물론 기초굴착시 지지층의 직접확인 하여 양호한 암반층 시공이 가능토록 하며, 대구경으로 횡방향 저항력에 충분한 확보가 가능도록 하는 교량의 교각연결용 기초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각과 적어도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지면상에 기둥기초 형성용 홀을 굴착한후 그 내측에 철근을 설치하고, 상기 철근이 설치되는 기둥기초용 홀 내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기초를 형성하며, 상기 기둥기초의 상부에 교각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교량의 교각연 결용 기초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먼저 기둥기초(330)를 시공할 부분을 중심측량을 완료한후 기둥기초와 동일한 원을 그린다.
그리고, 상기 원의 중심에 케이싱(100)이 수직으로 압입될 수 있도록 내림추를 설치한다.
계속하여, 상기 기둥기초가 그리는 원주의 외측에 버팀콘크리트(A)를 타설한후 케이싱(330)에 설치되는 오실레이터를 장착한다(B).
또한, 상기 오실레이터의 장착이 완료되면 케이싱(330)를 소정의 깊이 즉 그래브의 동작에 의해 움직임이 방지토록 되는 깊이인 4~5M정도 케이싱(330)을 압입한다.
상기 케이싱(330)의 압입이 완료되면 해머그래브를 통하여 흙이나 자갈등으로 이루어진 토사층 및 그 하부에 위치한 풍화함증 까지 압입 및 굴착한다(C).
그리고, 상기 해머그래브에 의한 굴착작업이 완료되면 해머그래브의 작동을 위한 오실레이터를 철거하고, 풍화함층 하부의 연암및 경암층 굴착을 위한 R.C.D비트를 조립한후 연암및 경암층을 압입및 굴착한다(D).
이때, 상기 R.C.D굴착은 드릴롯트의 단부에 부착되는 비트에 의해 롤러커터를 회전시켜 암반을 굴착하고, 드릴로드파이프로 순환수와 함께 파석을 에어압에 의해 배출하는 서징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서징작업에 의해 배출되는 시료를 통하여 현재 굴착되는 위치의 지반상태를 알수 있게 되고, 특히 암반이 연암인 경우 우선적으로 R.C.D의 굴착능력이 풍화암보다 저하되며 굴착공 밖으로 배출되는 슬라임(파쇄암편)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굴착작업이 완료되면 철근골조(200)를 삽입하며(E), 상기 철근골조(200)는 철근망에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하면 바닥과 수평이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철근골조(200)는, 기둥기초(330)의 굴착공의 측면 및 저부와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210)(220)가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철근골조(200)의 상부에는 철근의 보호를 위하여 커버(230)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철근골조(200)의 저부에는 오를방지판(250)이 더 구비되어 지하수등에 의한 철근골조의 상승을 방지토록 된다.
상기와 같이 철근골조(200)의 삽입이 완료되면 지표면(S)의 하부에 위치하는 기둥기초(330)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이를 경화시킨다(F)(G).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는, 지하공간의 굴착으로 지하수가 유입되므로써 트레미관을 이용하여 수중타설을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100)은,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케이싱을 인발 할수 없게 되거나 기둥기초의 직경을 축소시키게 되는 결과를 가져와 콘크리트의 주입상태에 따라 케이싱의 회수후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교각(320)과 동일하거나 확대되는 직경을 갖는 기둥기초(330)를 먼저 굴착한 후 그 내측에 철근골조(200)를 주입하고, 상기 기둥기초(330)에 콘크리트를 주입 경화시킴으로써 교각과 동일 직경을 갖는 기둥기초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둥기초(330)의 상부에 일체로 교각(320)를 시공하게 되며, 상기 교각(320)의 기둥기초(330)와 동일한 기둥폼의 내측에 기둥기초(330)와 연결되는 철근골조를 설치한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기초(330)와 연결되는 교각(320)를 일체로 연속 설치한다.
더하여, 상기 교각(320)의 상부에 일반적인 교량의 설치와 동일하게 보(350)가 일체로 설치된 교량(310)를 연결 설치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둥기초와 교각을 연속시공하여 푸팅및 다수의 항타 말뚝시공을 배제함으로써 주변지반 교란을 최소화 하고, 시공시 항타등에 의한 소음진동을 최소화 하며, 충분한 근입심도를 유지하여 세굴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터파기량을 감소시킴은 물론 기초굴착시 지지층의 직접확인으로 안정성을 확보하며, 소구경의 말뚝을 항타할때 자갈층에서도 관입이 곤란 문제점을 해결함은 물론 대구경으로 횡방향 저항력에 충분하게 대응됨으로써 교량기초시공에 있어 시공성, 경제성및 구조적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5)

  1. 각각의 교각과 대응되면서 교각과 적어도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지면상에 기둥기초 축조용 공간을 각각 굴착한후 그 내측에 철근골조를 설치하고, 상기 철근골조가 설치되는 기둥기초용 공간의 내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기초를 형성하며, 상기 기둥기초의 상부에 교각을 연속하여 일체로 연결하는 교량의 교각연결용 기초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기초 축조는, 기둥기초가 그리는 원주의 외측에 버팀콘크리트를 타설한후 해머그래브 동작용 오실레이터를 장착하고, 상기 해머그래브를 동작시켜 기둥기초와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토사층및 풍화암층을 굴착하며, 상기 해머그래브를 배출한후 R.C.D비트를 조립하여 연암층을 기둥기초와 동일한 직경으로 압입 및 굴착하고, 상기 기둥기초 축조용 홀의 굴착이 완료되면 철근골조의 투입과 콘크리트 주입으로 기둥기초를 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교각연결용 기초 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C.D굴착은, 드릴롯트의 단부에 부착되는 비트에 의해 롤러커터를 회전시켜 암반을 굴착하고, 드릴로드파이프로 순환수와 함께 파석을 에어압에 의해 배출하는 서징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교각연결용 기초 시공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골조는, 기둥기초의 굴착공의 측면 및 저부와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철근의 보호를 위하여 커버가 부착되고, 저부에는 오를방지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교각연결용 기초 시공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기초의 굴착은, 기둥기초를 시공할 부분을 중심측량을 완료한후 기둥기초와 동일한 원을 그린후 상기 원의 중심에 케이싱이 수직으로 압입될 수 있도록 내림추를 설치하고, 상기 오실레이터에 케이싱이 설치되어 지표면상에 소정깊이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교각연결용 기초 시공방법.
KR1020040105327A 2004-12-14 2004-12-14 교량의 교각 연결용 기초 시공방법 KR20060066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327A KR20060066836A (ko) 2004-12-14 2004-12-14 교량의 교각 연결용 기초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327A KR20060066836A (ko) 2004-12-14 2004-12-14 교량의 교각 연결용 기초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836A true KR20060066836A (ko) 2006-06-19

Family

ID=37161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327A KR20060066836A (ko) 2004-12-14 2004-12-14 교량의 교각 연결용 기초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683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824B1 (ko) * 2011-01-31 2011-07-20 혜림엔지니어링(주) 수상부 교량 확장시 오실레이터를 이용한 확장용 교각 시공 공법
CN103603267A (zh) * 2013-11-21 2014-02-26 同济大学 一种变高度牺牲桩群抵抗桥墩基础局部冲刷的防护装置
CN106835957A (zh) * 2017-04-06 2017-06-13 四川交通职业技术学院 高墩大跨窄桥高性能抗震连续刚构结构体系
CN115075236A (zh) * 2022-08-05 2022-09-20 四川省交通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异型水下断面桥梁桩基加固结构及测量施工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824B1 (ko) * 2011-01-31 2011-07-20 혜림엔지니어링(주) 수상부 교량 확장시 오실레이터를 이용한 확장용 교각 시공 공법
CN103603267A (zh) * 2013-11-21 2014-02-26 同济大学 一种变高度牺牲桩群抵抗桥墩基础局部冲刷的防护装置
CN106835957A (zh) * 2017-04-06 2017-06-13 四川交通职业技术学院 高墩大跨窄桥高性能抗震连续刚构结构体系
CN115075236A (zh) * 2022-08-05 2022-09-20 四川省交通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异型水下断面桥梁桩基加固结构及测量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4796B1 (ko) 기성 콘크리트 기둥부재를 이용한 탑다운 시공방법
KR100957599B1 (ko) 가설흙막이 구조물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CN108193642B (zh) 一种驳岸加固设施及其施工方法
CN113174961B (zh) 一种基坑边坡支护方法
CN112761644A (zh) 一种悬浮下沉竖井成井工艺
CN112761076A (zh) 一种应用于水位变化条件下的锁扣钢管桩围堰及施工方法
CN113756330A (zh) 一种临近既有运营铁路的基坑支护施工方法
CN109811773B (zh) 一种偏压隧道洞口开挖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JP3979466B2 (ja) 仮締切り工法
JP2002146811A (ja) 水中構造物基礎の施工法
JP3516391B2 (ja) 地山掘削工法
KR20060066836A (ko) 교량의 교각 연결용 기초 시공방법
CN103334451A (zh) 高铁桥墩间利用咬合桩形成下穿通道及其方法
KR20090098201A (ko) 말뚝을 이용한 기존 교량 기초지지력 증대방법
KR20000058238A (ko) 영구 구조체의 철근콘크리트 보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이용하는 지하 구조물 구축방법
KR100948060B1 (ko) 강재 케이싱 토류벽을 이용한 하천제방 정비공법
CN209958372U (zh) 铁路新增二线台后路基桩管帷幕支护结构
KR100493516B1 (ko) 현장 마이크로 파일과 조립식 브라켓을 이용한 교각용조립식 기초보강 구조체 및 그의 구축방법
CN112709252A (zh) 一种半水淹陡峻岩质边坡内的承台施工方法
KR20120099811A (ko) 편심굴착 보링공 내에 기둥을 수직으로 삽입하는 공법
KR200224758Y1 (ko) 사각콘크리트 케이슨 흙막이구조
CN214423184U (zh) 一种应用于水位变化条件下的锁扣钢管桩围堰
CN219175134U (zh) 一种泄洪消能冲刷区的岸坡防护结构
CN216999773U (zh) 一种路堑拓宽支挡结构
RU2807350C1 (ru) Конструктивно-технологическое решение фундамента промежуточной опоры по типу «высокий свайный ростверк», сооружаемого во временном ограждающем сооружен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