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6647A -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과 편집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과 편집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6647A
KR20060066647A KR1020050121595A KR20050121595A KR20060066647A KR 20060066647 A KR20060066647 A KR 20060066647A KR 1020050121595 A KR1020050121595 A KR 1020050121595A KR 20050121595 A KR20050121595 A KR 20050121595A KR 20060066647 A KR20060066647 A KR 20060066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udio
slider bar
folder
ed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이치 이이다
이즈루 타나카
히로유키 신카이
사노하루미
노부히사 카메다
미노루 카네코
나오토 오쿠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66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6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는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과 편집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음성정보의 현재의 재생 위치를 표시하는 제1 재생 슬라이더 바(122)와, 해당 제1 재생 슬라이더 바(122)에 따라, 해당 북 마크 화상을 관련된 음성위치(타임 코드 위치)에, 북 마크 화상의 화상 사이즈가 소정 사이즈에 축소되어 이루어진 축소 화상 R을 디스플레이(62)에 표시하고, 그 축소 화상 R을, 제1 재생 슬라이더 바(122)에 따라 이동시키는 조작에 따라 동작시켜서 축소 화상 R을 이동시키도록 했다.
편집 장치, 북 마크 화상, IC 레코더, 조작성, 변경 화상, 슬라이더 바, 음성정보

Description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과 편집 프로그램{EDITING APPARATUS, EDITING METHOD AND EDITING PROGRAM}
도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의 외관 구성(1)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의 외관 구성(2)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의 외관 구성(3)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4는 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5는 용건 폴더 선택화면 등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6은 보이스케이프 포맷의 디렉토리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7은 용건 폴더 관리 파일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8은 화상관리 파일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의한 용건 파일 편집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0은 퍼스널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1은 메인 윈도우(7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2는 IC 레코더 정보표시부의 다른 표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3은 픽처 윈도우의 확대 표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4는 메뉴 표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5는 편집 윈도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6은 재생 슬라이드 바의 확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7은 조작 지시 포인터의 표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8은 슬라이더의 추종의 설명에 주어지는 개략도이다.
도19는 화상선택 다이알로그 박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0은 새로운 북 마크 축소 화상의 표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1은 편집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카메라 부착 IC 레코더 40…용건 폴더 편집 시스템
41…퍼스널컴퓨터 42…USB케이블
50…CPU 51…ROM
52…RAM 53…하드디스크 장치
54…화상처리부 55…음성처리부
59…본체부 61…마우스
62…디스플레이 63…스피커
70…메인 윈도우 75…플레이어부
97…편집 버튼 110…편집 윈도우
111…화상 표시란 112…편집 플레이어
112A…편집 위치 조작부 112B…편집 내용 결정부
121…프레임 122…제1 재생 슬라이드 바
122A, 123A…슬라이더 123…제2 재생 슬라이드 바
124…조작 버튼군 124A…재생 버튼
124B…재생 정지 버튼 124C…슬라이드 바 확대 버튼
124D…슬라이드 바 축소 버튼 125…스크롤 바
126…조작 지시 포인터 131…「북 마크의 추가」 버튼
132…「북 마크의 삭제」버튼
133…「북 마크와 음성의 삭제」버튼
134…「원래 상태로 되돌림」 버튼
135…「초기 상태로 되돌림」 버튼
140…화상선택 다이알로그 박스
IM…확대 화상 R1∼R3…북 마크 축소 화상
S1∼S3…북 마크 TMU…툴 메뉴
SMU…쇼트커트 메뉴 RT…편집 처리 순서
본 발명은,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과 편집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성정보에 있어서의 한개 또는 복수의 음성위치에 관련된 화상정보의 음성위치를 관리하는 관리 정보를 편집하는 편집 장치에 적용하기 적합한 것이다.
종래, 휴대형의 음성기억장치로서, IC 레코더가 있다. IC 레코더는, 내장하는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음성을 집음하고, 얻어진 음성 데이터를 압축 인코드처리해서 내장의 반도체메모리나 장전된 외부 메모리에 기억하는 것이다.
이러한 IC 레코더는, 소형 경량으로 구성되어서 운반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회의나 협의 등의 비지니스 씬에서 사용되는 한편으로, 퍼스널 유스의 음성 메모 기기로서도 널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가 탑재되어, 녹음중에 해당 CCD 카메라에 의해 촬상한 화상의 화상정보를 그 때의 음성위치와 관련시켜 보존할 수 있고, 그 후 이러한 화상을 단서로 하여 원하는 음성위치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 등도 본 특허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어 있다.
[비특허문헌1] 일본 특원 2004-256199
그런데, 최근의 IC 레코더에는, IC 레코더 내에 보존되어 있는 녹음 음성의 음성 파일과, 해당 음성 파일에 관련된 화상정보를 퍼스널컴퓨터 상에서 재생하거나 또는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기록된 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이 부속품으로서 같이 동봉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자기의 퍼스널컴퓨터에 인스톨해서 이것을 기동함으로써, 소정의 그래피컬 유저 인터페이스(이하, 이것을 간단히 GUI(Graphical User Interface)라고 부른다)를 퍼스널컴퓨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킬 수 있고, 이 GUI를 이용하여, 해당 퍼스널컴퓨터와 케이블을 거쳐서 접속한 IC 레코더 내에 보존되어 있는 녹음 음성의 음성 파일에 관련된 화상정보의 음성위치 등을 편집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렇게 IC 레코더 내에 보존되어 있는 녹음 음성의 음성 파일에 관련된 화상정보의 음성위치는, CCD 카메라에서 촬상하는 촬영 타이밍에 기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위치와 미소한 차이를 갖는 일이 많기 때문에, 해당 음성위치 등을 퍼스널컴퓨터 상에서 편집할 경우, 음성과, 그 음성에 대한 마킹 기능을 가지는 화상의 관련성을 파악시키는 위해서는, 이러한 미소한 차이를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성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는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과 편집 프로그램을 제안하려고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음성정보에 있어서의 한개 또는 복수의 음성위치에 관련된 화상정보의 음성위치를 관리하는 관리 정보를 편집하는 편집 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소정의 화상 사이즈로 변경해서 이루어진 변경 화상을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음성정보의 현재의 재생 위치를 표시하는 슬라이더 바를 표시하는 동시에, 해당 슬라이더 바를 따라, 음성위치에 변경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표시 수단에 표시된 변경 화상을, 슬라이더 바를 따라 이동시키는 조작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과, 입력 수단을 거쳐서 입력된 조작에 의해 결정된 후의 설정에 따라, 관리 정보에 있어서의 변경 화상이 관련된 음성정보의 음성위치에, 대응하는 화상정보의 음성위치를 갱신하는 갱신 수단을 설치하고, 해당 표시 수단에서는, 조작에 따라 동작시켜서 변경 화상을 이동시키도록 했다.
이 결과, 이 편집장치에 의하면, 변경 화상이 마킹으로서 뿐만 아니라 편집 점으로서도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콘 등을 조작할 경우에 비해, 사용자가 직감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원하는 음성위치까지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음성정보에 있어서의 한개 또는 복수의 음성위치에 관련된 화상정보의 음성위치를 관리하는 관리 정보를 편집하는 편집 방법에 있어서, 화상을, 소정의 화상 사이즈로 변경해서 이루어진 변경 화상을 생성하는 제1 스텝과, 음성정보의 현재의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슬라이더 바를 표시하는 동시에, 해당 슬라이더 바를 따라, 음성위치에 변경 화상을 표시하는 제2 스텝과, 표시된 변경 화상을, 슬라이더 바를 따라 이동시키는 조작을 입력하는 입력 조작에 의해 결정된 후의 설정에 따라, 관리 정보에 있어서의 변경 화상이 관련된 음성정보의 음성위치에, 대응하는 화상정보의 음성위치를 갱신하는 제3 스텝을 설치하고, 해당 제2 스텝에서는, 조작에 따라 동작시켜서 변경 화상을 이동시키도록 했다.
이 결과, 이 편집 방법에 의하면, 변경 화상이 마킹으로서 뿐만 아니라 편집 점으로서도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콘 등을 조작할 경우에 비해, 사용자가 직감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원하는 음성위치까지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음성정보에 있어서의 한개 또는 복수의 음성위치에 관련된 화상정보의 음성위치를 관리하는 관리 정보를 편집하는 편집 프로그램에 있어서, 화상을, 소정의 화상 사이즈로 변경해서 이루어진 변경 화상을 생성하는 제1 처리와, 음성정보의 현재의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슬라이더 바를 표시하는 동시에, 해당 슬라이더 바를 따라, 음성위치에 변경 화상을 표시하는 제2 처리와, 표시된 변경 화상을, 슬라이더 바를 따라 이동시키는 조작을 입력하는 입력 조작에 의해 결정된 후의 설정에 따라, 관리 정보에 있어서의 변경 화상이 관련된 음성정보의 음성위치에, 대응하는 화상정보의 음성위치를 갱신하는 제3 처리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고, 해당 제2 처리에서는, 조작에 따라 동작시켜서 변경 화상을 이동시키도록 했다.
이 결과, 이 편집 프로그램에 의하면, 변경 화상이 마킹으로서 뿐만 아니라 편집점으로서도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콘 등을 조작할 경우에 비해, 사용자가 직감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원하는 음성위치까지 조작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대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1) 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의 외관 구성
(1-1)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의 외관 구성
도 1∼도 3에 있어서, 1은 전체로서 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를 나타내고, 전체로서 둥글게 형성된 띤 세로 길이 형상의 본체부(2)의 상부에,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3)가 부착된 LCD 커버부(4)가 상방(화살표 z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2)에 있어서는, 배면 2A의 상부 좌우 양측에 각각 집음 구멍(5A, 5B)이 뚫린 동시에, 이들 집음 구멍에게 각각 대응시켜서 그 내부에 마이크로폰(20A, 20B)(도 5)이 수납되어 있고, 이리 하여 이것들 마이크로폰(20A, 20B)가 대응하는 집음 구멍(5A, 5B)을 거쳐서 외부 음성을 집음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체부(2)의 전면(2B)의 중단 위치에는 녹음 버튼(6A)이 설치되어 있어, 이 녹음 버튼(6A)를 가압 조작함으로써, 각 마이크로폰(20A, 20B)에 의해 집음된 외부음성의 녹음 동작을 개시시킬 수 있게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체부(2)의 전면(2B)의 상단위치에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해상도의 컬러 액정 모니터로 이루어진 LCD(7)가 설치되고, 이 도 3과 같이 LCD 커버부(4)를 상방으로 인출하여, 후술하는 것과 같이 LCD 커버부(4)의 카메라 커버(8)를 CCD 카메라(3)가 노출하도록 회전시킨 상태에 있어서, LCD(7)의 하측에 설치된 라이브뷰 버튼(6B)을 가압 조작함으로써, 그 때 CCD 카메라 (3)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동화상을 이 LCD(7)에 표시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체부(2)의 라이브뷰 버튼(6B)의 좌측 옆에는 카메라 셔터 버튼(6C)이 설치되고, LCD(7)에 동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이 카메라 셔터 버튼(6C)을 가압 조작함으로써, LCD(7)에 표시되어 있었던 동화상 중의 카메라 셔터 버튼(6C)을 가압 조작한 순간의 1프레임분의 정지화상을 입력해서 보존시킬 수 있게 이루어져 있다.
한편, 본체부(2)의 우측면(2C)에는 메뉴 버튼(6D)이 설치되어, 이 메뉴 버튼(6D)을 가압 조작함으로써, LCD(7)에 소정의 메뉴 화면을 표시시킬 수 있도록 이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체부(2)의 우측면(2C)에 있어서의 메뉴 버튼(6D)의 하측에는 조그 레버(6E)가 설치되어, 이 조그 레버(6E)를 상하 좌우측 방향으로 쓰러뜨리거나 가압하도록 조작함으로써, 메뉴 화면 내에 표시된 각종 선택 사항 중에서 원하는 선택 사항을 선택 또는 그 선택 사항을 선택 대상으로 하여 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체부(2)의 우측면(2C)에 있어서의 조그 레버(6E)의 하측에는, 정지 버튼(6F)이 설치되는 동시에 해당 정지 버튼(6F)의 하측에는 볼륨 버튼(6G)이 설치되고 있고, 이 정지 버튼(6F)를 가압 조작함으로써 녹음 동작이나 재생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재생 동작시에 볼륨 버튼(6G)의 상측 또는 하측을 가압 조작함으로써, 이 때 LCD(7)의 이면편에 설치된 스피커(31)(도 5)에서 출력되는 재생 음성의 음량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킬 수 있게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체부(2)의 좌측면(2D)에 있어서의 전원 커넥터(9)의 하측에는, USB(Universal Serial Bus) 커넥터(10)가 설치되어 있어, 이 USB커넥터(10)를 통해 퍼스널컴퓨터 등의 외부기기와 USB 접속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이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에 있어서는, 이러한 USB 접속된 외부기기와의 사이에서 이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 내에 보존된 녹음 음성의 음성 데이터나 녹화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외부기기에 출력하거나, 해당 외부기기로부터 주어지는 음성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에 대하여 LCD 커버부(4)의 상부에는, 원기둥 형상의 카메라 커버(8)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이 카메라 커버(8)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의 CCD 카메라(3)가 그 광학축을 해당 카메라 커버(8)의 중심축과 수직한 방향을 향해서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에 있어서는, 카메라 커버(8)를 CCD 카메라(3)가 하향이 되는 원점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불사용시의 CCD 카메라(3)를 보호하는 한편, 이 상태로부터 카메라 커버(8)를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CCD 카메라(3)를 본체부(2)의 배면(2A)측의 정면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LCD(7)에 표시되는 동화상을 눈으로 보면서 원하는 화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1-2)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의 내부구성
여기에서 도 4는, 이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것이 다.
이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에 있어서는, 전원투입시, 외부음성을 마이크로폰(20A, 20B)에 의해 집음하고, 얻어진 음성신호 S1을 증폭기(21)를 통해 AD(Analog·Digital)/DA(Digital·Analog) 컨버터(22)에 입력한다. 또한, AD/DA 컨버터(22)는, 공급되는 음성신호 S1을 순차적으로 디지털 변환 처리하고, 얻어진 음성 데이터 D1을 데이터 처리 및 제어부(23)에 순차적으로 송출한다.
데이터 처리 및 제어부(23)는, 이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 전체의 제어를 주관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4), 각종 프로그램이 격납된 ROM(Read Only Memory)(25) 및 해당 CPU(24)의 워크 메모리로서의 RAM(Random Access Memory)(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마이크로컴퓨터 구성의 제어부(27)와, 음성 데이터 D1및 후술하는 화상 데이터 D3에 대한 데이터 압축신장 기능을 가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28)로 구성된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 및 제어부(23)의 제어부(27)에는, 조작부를 구성하는 상기한 녹음 버튼(6A), 라이브뷰 버튼(6B), 카메라 셔터 버튼(6C), 메뉴 버튼(6D), 조그 레버(6E), 정지 버튼(6F) 및 볼륨 스윗치(6G) 중 어느 한개가 조작되었을 때에, 이것에 따른 조작 입력 신호(S2)가 조작부(60(6A∼6G)로부터 주어진다.
또한, 제어부(27)에는, LCD 커버부(4) 내에 설치된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제1 센서로부터 LCD 커버부(4)가 도 1과 같이 닫힌 폐쇄 상태 및 도 3과 같이 열린 개방 상태의 어느쪽의 상태에 있는가를 나타내는 LCD 커버 상태신호 S3가 주어지는 동시에, LCD 커버부(4) 내에 설치된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제 2 센서로부터, 카메라 커버(8)의 회전 상태가, CCD 카메라(3)가 노출 하지 않는 폐쇄 상태 및 CCD 카메라(3)가 노출한 개방 상태의 어느쪽의 상태에 있는가를 나타내는 카메라 커버 상태신호 S4가 주어진다.
이리 하여 제어부(27)의 CPU(24)는, 조작 입력 신호 S2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조작 내용을 인식하는 동시에, LCD 카메라 커버 상태신호 S3 및 카메라 커버 상태신호 S4에 근거해서 현재의 LCD 커버부(4) 및 카메라 커버(8)의 상태를 감지하고, 이들의 인식 및 감지 결과에 근거해서 대응하는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실제상, CPU(24)는, LCD 커버부(40 및 카메라 커버(8)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닫힌 상태에 있는 것을 감지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녹음 버튼(6A)이 가압 조작된 것을 인식하면, 동작 모드를 녹음 모드로 천이해서 DSP(28)을 제어함으로써, AD/DA 컨버터(22)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 D1에 대하여 LPEC(소니 주식회사 등록상표) 등의 소정의 음성압축방식에 준거한 음성압축처리를 실행시켜, 얻어진 압축 음성 데이터 D2을 내장하는 플래시 메모리(29)에 순차적으로 격납시킨다.
또한, CPU(24)는, 이후 정지 버튼(6F)이 가압 조작된 것을 인식하면, DSP(28)를 제어함으로써, AD/DA 컨버터(22)로부터 주어지는 음성 데이터 D1에 대한 음성압축처리를 정지시키는 한편, 그 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있었던 후술하는 폴더(도 6의 「FOLDER1」∼「FOLDER3」) 내에 새로운 용건 폴더(도 6의 「03072400」∼「03072408」)를 생성하고, 이러한 압축 음성 데이터 D2을 파일화하고, 얻어진 음성 파일(도 6의 「03072400.MSV」)을 그 용건 폴더에 수납한다. 또 한, CPU는, 그 용건 폴더의 관리 정보를 후술하는 관리 파일 MSF(도 7)에 격납한다.
한편, CPU(24)는, LCD 커버부(4) 및 카메라 커버(8)의 양쪽이 개방 상태가 된 것을 감지하면, 동작 모드를 카메라 모드로 천이시켜서, CCD 카메라(3)을 제어함으로써 CCD 카메라(3)를 기동시킨다. 이 결과, 그 때 CCD 카메라(3)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광경에 관한 화상신호 S5가 해당 CCD 카메라(3)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어, 이것이 데이터 처리 및 제어부(23)에 주어진다.
그리고 CPU(24)는, 이 상태에 있어서 라이브뷰 버튼(6B)이 가압 조작된 것을 인식하면, 이것에 따라 DSP(28)를 제어한다. 이리 하여 이 때 DSP(28)는, 이러한 CCD 카메라(3)로부터 주어지는 화상신호 S5을 순차적으로 디지털 변환하고, 얻어진 화상 데이터 D3을 LCD(7)에 송출한다. 이 결과, 이 화상 데이터 D3에 근거하여 그 때 CC D 카메라(3)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광경의 동화상이 실시간으로 LCD(7)에 표시된다.
또한, CPU(24)는, 이후 이 상태에 있어서 카메라 셔터 버튼(6C)이 가압 조작된 것을 인식하면, 이것에 따라 DSP(28)를 제어한다. 이리 하여, 이 때 DSP (28)는, 화상 데이터 D3에 근거해 얻어지는 그 카메라 셔터 버튼(6C)이 눌러진 순간의 1프레임분의 정지화상의 화상 데이터 D3을 입력하고, 이 입력한 화상 데이터 D 3에 대하여 예를 들면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등의 소정의 화상압축방식에 준거한 화상압축 처리를 실시하고, 얻어진 압축 화상 데이터 D4을 플래시 메모리(29)에 격납한다.
그리고 CPU(24)는, 이후 그 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있었던 폴더 내에 새로운 용건 폴더를 생성하고, 이러한 압축 화상 데이터 D4로부터 이루어지는 화상 파일(도 6의 「P0000000.JPG」∼「P0000003.JPG」)을 그 용건 폴더에 수납하고, 그 용건 폴더의 관리 정보를 관리 파일 MSF에 격납한다.
한편, CPU(24)는, LCD 커버부(4)및 카메라 커버(8)의 양쪽 개방 상태에 있는 것을 감지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녹음 버튼(6A)이 가압 조작된 것을 인식하면, 동작 모드를 녹음 녹화 모드로 천이 시킴과 동시에, 이것에 따라 DSP(28)를 제어한다.
이 때 DSP(28)는, 전술한 녹음 모드시와 마찬가지로 AD/DA 컨버터(22)로부터 주어지는 음성 데이터 D1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소정의 음성압축 처리를 실시하고, 얻어진 압축 음성 데이터 D2을 플래시 메모리(29)에 격납한다. 또한, 이 때 DSP(28)는, 전술한 카메라 모드시와 마찬가지로, CCD 카메라(3)로부터 주어지는 화상신호 S5을 순차적으로 디지털 변환하고, 얻어진 화상 데이터 D3을 LCD(7)에 송출한다. 이 결과 LCD(7)에는, 이 화상 데이터 D3에 근거하는 그 때 CCD 카메라(3)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광경의 동화상이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또한 CPU(24)는 이후 이 상태에 있어서 카메라 셔터 버튼(6C)이 가압 조작된 것을 인식하면, 이것에 따라 DSP(28)를 제어한다. 이 때 DSP(28)는, 카메라 모드시와 마찬가지로, CCD 카메라(3)로부터 주어지는 화상신호 S5에 근거해 얻어지는 그 카메라 셔터 버튼(6C)이 가입된 순간의 1프레임분의 정지화상의 화상 데이터 D3를 받아들이고, 이 받아들인 화상 데이터 D3에 대하여 화상압축 처리를 실 시한다.
또한, DSP(28)는, 이후 이와 같은 화상압축처리에 의해 얻어진 압축 화상 데이터 D4를, 그 카메라 셔터 버튼(6C)이 가압 조작된 순간을 나중에 검색할 때의 마크로 되는 화상(이하, 이것을 북 마크 화상이라고 부른다)의 압축 화상 데이터 D4로서, 그 때 플래시 메모리(29)에 순차적으로 격납되어 있는 압축 음성 데이터 D2의 대응하는 위치와 관련되어 플래시 메모리(29)에 격납한다.
그리고 CPU(24)는, 이후 정지 버튼(6F)이 가압 조작된 것을 인식하면, 그 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있었던 폴더 내에 새로운 용건 폴더를 생성하고, 이러한 압축 음성 데이터 D2로 이루어진 음성 파일과, 해당 음성 파일과 관련된 상기한 각 압축 화상 데이터 D4로 이루어지는 각 화상 파일을 용건 폴더에 수납하고, 그 용건 폴더의 관리 정보를 관리 파일 MSF에 격납한다.
이렇게 하여 이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에 있어서는, 음성 및 정지화상을 각각 독립하여 기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지화상을 녹음중인 음성과 관련시켜 북 마크 화상으로서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에서는, 이렇게 음성과 관련시켜 기록된 북 마크 화상에 의거하여 소망하는 용건 폴더나 용건 폴더 내의 원하는 음성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실제상, CPU(24)는, 조그 레버(6E)가 가압 조작되어, 소망하는 폴더 내의 소망하는 용건 폴더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화면(이하, 이것을 용건 폴더 선택화면이라고 부른다) 또는 그 용건 폴더 내의 소망하는 북 마크 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이하, 이것을 북 마크 화상 선택화면이라고 부른다)의 표시 명령이 입력된 것을 인식하면,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D3를 ROM(25)으로부터 판독해서 LCD(7)에 송출함으로써,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용건 폴더 선택화면(32)이나, 해당 용건 폴더 선택화면(32)과 같은 구성의 북 마크 화상 선택화면(33)(도 5)을 LCD(7)에 표시시킨다.
이 경우에 있어서 CPU(24)는, 용건 폴더 선택화면(32)을 LCD(7)에 표시시키는 것에 있어서는, 그 폴더 내의 용건 폴더마다, 각각 그 용건 폴더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대표적인 북 마크 화상(이하, 이것을 대표 화상이라고 부른다)의 화상 파일(압축 화상 데이터 D4)을 플래시 메모리(29)로부터 판독하고, 이것을 DSP(28)에서 복호화처리시켜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 D3에 근거해 소정 사이즈의 섬네일 화상 P1∼P6을 작성한다.
그리고 CPU(24)는, 이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이 얻어진 용건 폴더마다의 섬네일 화상 P1∼P6을 용건 폴더 선택화면(32) 내에 일람표시시킨다. 또, 이 때 음성만의 정지화상을 포함하지 않는 용건 폴더에 대해서는, 섬네일 화상 대신에 소정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또한, CPU(24)는, 그 후 조그 레버(6E)가 조작되어서, 용건 폴더 선택화면(32) 내의 1개의 섬네일 화상 P1∼P6가 선택되면, 전술한 관리 파일 MSF(도 7)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용건 폴더 내의 음성 파일(압축 음성 데이터 D2)을 플래시 메모리(29)로부터 판독하고, 이것을 DSP(28)에서 복호화처리시킨다.
이 결과, 이러한 복호화처리에 의해 얻어진 음성 데이터 D1이 DSP(28)로부터 출력되어, 이것이 AD/DA 컨버터(22)에 있어서 아날로그 변환되고, 얻어진 음성신호 S6가 증폭기(30)를 통해 스피커(31)에 주어진다. 이에 따라 이 때 이 음성신호 S 6에 근거하는 음성이 스피커(31)로부터 출력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CPU(24)는, 북 마크 화상 선택화면(33)(도 5)을 LCD(7)에 표시시킬 때는, 이러한 관리 파일 MSF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용건 폴더 내의 각 북 마크 화상의 화상 파일(압축 화상 데이터 D4)을 플래시 메모리(29)로부터 판독하고, 이것들을 DSP(28)에서 복호화처리시켜서, 얻어진 각 화상 데이터 D3에 근거해 소정 사이즈의 섬네일 화상 P1∼P6을 각각 작성한다. 그리고 CPU(24)는, 이렇게 하여 얻어진 북 마크 화상마다의 섬네일 화상 P1∼P6을, 북 마크 화상 선택화면(33) 내에 일람표시시킨다.
또한, CPU(24)는, 그 후 조그 레버(6E)가 조작되어서, 북 마크 화상 선택화면(33) 내의 1개의 섬네일 화상 P1∼P6이 선택되면, 플래시 메모리(29)로부터 대응하는 음성 파일에 있어서의 그 섬네일 화상 P1∼P6의 원래의 북 마크 화상과 대응된 음성 부분 이후의 압축 음성 데이터 D2를 판독하고, 이것을 DSP(28)에서 복호화처리시킨다.
이 결과, 이러한 복호화처리에 의해 얻어진 음성 데이터 D1이 DSP(28)로부터 출력되고, 이것이 AD/DA 컨버터(22)에 있어서 아날로그 변환되어서, 얻어진 음성신호 S6가 증폭기(30)을 통해 스피커(31)에 주어진다. 이에 따라 이 음성 신호 S6에 의거하여 선택된 용건 폴더에 있어서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북 마크 화상과 대응된 음성 위치 이후의 음성이 스피커(31)로부터 출력된다.
이렇게 하여 이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에 있어서는, 용건 폴더의 대표 화상이나 용건 폴더 내의 각 북 마크 화상에 의거하여 소망하는 용건 폴더나, 용건 폴더 내의 소망하는 음성위치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1-3)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에 있어서의 데이터 관리 포맷의 디렉토리 구조
다음에 이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에 채용되고 있는, 압축 음성 데이터 D2와 압축 영상 데이터 D4의 데이터 관리 포맷인 보이스케이프 포맷(Voiscape Format)의 디렉토리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6은, 이러한 보이스케이프 포맷의 디렉토리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녹음 음성의 음성 파일(「03072400.MSV」)과 이것에 관련되어 기록된 북 마크 화상의 화상 파일(「P0000000.JPG」∼「P0000003.JPG」)은, 「MSSONY」라고 하는 폴더 내에 작성된 「VOISCAPE」라고 하는 폴더에 격납된다.
용건 폴더를 수납하는 폴더(「FOLDER1」∼「FOLDER3」)는, 이 「VOISCAPE」 내에 존재하고, 사용자는 이들 폴더 중에서 녹음 음성의 음성 파일 등의 수용 장소로서 원하는 폴더를 선택하거나, 새롭게 폴더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VOISCAPE」에는, 작성된 용건 폴더를 관리하기 위한 상기한 관리 파일 MSF(「MSGLIST.MSF」)도 수납된다. 이 관리 파일 MSF는,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해당 관리 파일 MSF를 최후에 편집한 연월일, 시분초 및 요일 등이 기술된 32 [Byte]의 헤더(「Header」)의 뒤에, 각 폴더(「FOLDER1」∼ 「FOLDER3」)의 폴더명 등이 기술된 폴더 엔트리(「Folder Entry」)와, 그 폴더 내에 작성된 각 용건 폴더의 폴더명 및 그 용건 폴더의 작성 일시 등이 기술된 메시지 엔트리(「Message Entry」)가 폴더마다 순차적으로 기술된 데이터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이 보이스케이프 포맷에서는, 새로운 폴더나 새로운 용건 폴더가 작성되었을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각종 관리 정보가 기술된 폴더 엔트리나 메시지 엔트리가 관리 파일 MSF에 반드시 등록된다. 이에 따라 이 보이스케이프 포맷에서는, 이 관리 파일 MSF에 의거하여 원하는 용건 폴더가 어느 폴더 내에 있는지를 확실하고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각 폴더(「FOLDER1」∼「FOLDER3」) 내에는, 각각 사용자의 사용상황 에 따라 한개 또는 복수의 용건 폴더(「03072400」∼「03072408」)가 작성되고, 이들 각 용건 폴더 내에, 녹음에 의해 얻어진 압축 음성 데이터 D2의 음성 파일(「03072400.MSV」)과, 이러한 녹음 중에 촬영된 각 북 마크 화상의 압축 화상 데이터 D4의 화상 파일 (「P0000000.JPG」∼「P0000003.JPG」)과, 각 화상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화상 관리 파일 PIN(「03072400.PIN」)이 수납된다. 또, 이러한 음성 파일은, 기존의 IC 레코더에 있어서 채용되고 있는 음성 파일의 포맷과 같은 파일 포맷을 가진다.
화상 관리 파일 PIN은,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화상 관리 파일 PIN을 최후에 편집한 연월일, 시분초 및 요일 등이 기술된 헤더(「Header」)의 뒤에, 복수의 픽처 엔트리(「Picture Entry」)가 배치된 데이터 구조를 가진다.
이 경우, 1번째의 픽처 엔트리에는, 대표 화상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의 그 북 마크 화상의 화상 파일의 파일명 및 해당 북 마크 화상의 음성 파일(음성 데이터 D1)에 대한 대응 위치(시·분·초) 등이 기술된다. 또, 대표 화상이 설정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각 픽처 엔트리의 선두에 기술되는 해당 영역이 픽처 엔트리인 것을 나타내는 픽처ID 이외의 해당 1번째의 픽처 엔트리의 모든 부분에 제로 데이터가 격납된다.
또한, 2번째 이후의 픽처 엔트리에는, 대응하는 음성의 녹음중에 촬영된 각 북 마크 화상의 화상 파일의 파일명 및 그 북 마크 화상의 해당 음성에 대한 대응 위치(시, 분 및 초) 등이 기술된다. 이 경우, 2번째 이후의 픽처 엔트리는, 새로운 북 마크 화상의 화상 파일이 기록될 때마다 순차적으로 뒤에 부가되는 것이기 때문에, 화상 관리 파일 PIN에 있어서의 2번째 이후의 픽처 엔트리의 배열 순서가, 그대로 대응하는 음성의 선두로부터의 그 화상 파일이 대응된 위치의 순서를 표시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이 보이스케이프 포맷에서는, 이 화상 관리 파일 PIN에 의거하여 그 용건 폴더의 대표 화상이나 각 북 마크 화상의 음성에 대한 대응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음성 파일과 이것에 관련된 각 북 마크 화상의 화상 파일을 동일한 폴더(용건 폴더) 내에 수납함으로써, 이들 데이터를 외부의 퍼스 널컴퓨터에 입력해서 익스플로러에서 보았을 때에, 음성 파일과 화상 파일의 관련을 인식하기 쉽고, 이 결과 사용자가 잘못하여 음성 파일이나 화상 파일을 삭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2) 본 실시예에 의한 용건 폴더 편집 시스템(40)의 구성
(2-1) 용건 폴더 편집 시스템(40)의 구성
여기에서 도 9는, 이러한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에 대한 각종 설정이나, 용건 폴더의 추가 또는 복사, 또는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 내에 보존된 용건 폴더의 시청 또는 편집 등을 퍼스널컴퓨터(1)를 사용해서 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용건 폴더 편집 시스템(40)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용건 폴더 편집 시스템(40)은, 이러한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 및 퍼스널컴퓨터(41)가 USB 케이블(42)을 통해 접속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퍼스널컴퓨터(41)는, 일반 가정에 설치되는 범용의 것이고,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CPU(50), 각종 프로그램이 격납된 ROM(51), CPU(50)의 워크 메모리로서의 RAM(52), 각종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격납된 하드디스크 장치(53),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처리를 실행하는 화상처리부(54),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처리 등의 소정의 신호처리를 실행하는 음성처리부(55), 인터페이스(56), USB 커넥터(57)가 버스(58)를 통해서 서로 접속됨으로써 본체부(59)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56)에는 키보드(60) 및 마우스(61)가 접속되는 동시에, 화상처리부(54)에는 디스플레이(62)가 접속되고, 음성처리부 (55)에는 스피커(63)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하드디스크 장치(53)에는,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의 메이커로부터 CD-R OM에 기록되어 제공된 것을 인스톨하고, 또는 사용자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해당 메이커의 홈 페이지로부터 다운로드한, 상술한 바와 같은 용건 폴더의 시청 또는 편집 등의 기능을 가지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이하, 이것을 용건 폴더 편집용 애플리케이션이라고 부른다)가 격납되어 있다.
그리고 CPU(50)는, 키보드(60)나 마우스(61)가 조작되어서 용건 폴더 편집용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명령이 입력되면, 하드디스크 장치(53)로부터 해당 용건 폴더 편집용 애플리케이션을 판독하고, 이것을 RAM(52)에 전개한다.
또한, CPU(50)는, 이후 이 용건 폴더 편집용 애플리케이션이나 사용자 조작에 근거하여, 필요에 따라 화상처리부(54)를 제어함으로써, 후술한 것과 같은 메인 윈도우(70)(도11)나 편집 윈도우(도 15) 등의 각종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62)에 표시시키는 한편, 필요에 따라 USB 커넥터(57)를 통해서 접속된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와 통신을 함으로써, 해당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와의 사이에서 용건 폴더의 파일 데이터와 도 7에 대해서 전술한 관리 파일 MSF의 파일 데이터의 판독 기록을 행하거나,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에 대하여 사용자 조작에 따른 각종 설정을 행한다.
또한, CPU(50)는, 이러한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로부터 용건 폴더의 파일 데이터나 관리 파일 MSF의 파일 데이터를 판독했을 때에는, 필요에 따라서 용건 폴더 내의 대응하는 북 마크 화상의 화상 파일의 데이터(이하, 이것을 화상 파일 데이터라고 부른다)와, 관리 파일의 파일 데이터에 근거하는 소정의 관리 데이터를 화상처리부(54)에 줌으로써, 이 화상 파일 데이터나 관리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이나 관리 정보를 디스플레이(62)에 표시된 GUI 내의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시킨다. 또한, CPU(50)는, 필요에 따라서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로부터 판독한 용건 폴더 내의 음성 파일의 파일 데이터(이하, 이것을 음성 파일 데이터라고 부른다)를 음성처리부(55)에 줌으로써, 해당 음성 파일 데이터에 근거하는 음성을 스피커(31)로부터 출력시킨다.
(2-2) 메인 윈도우(70)의 구성
여기에서, CPU(50)는, 용건 폴더 편집용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시, USB 케이블(42)을 통해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과 통신함으로써, 관리 파일 MSF(도 7)의 파일 데이터를 해당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로부터 판독하는 동시에, 이후 이 관리 파일 MSF의 파일 데이터 등에 의거하여 화상처리부(54)를 제어함으로써,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메인 윈도우(70)를 디스플레이(62)에 표시시킨다.
이 메인 윈도우(70)는, 툴바(71), IC 레코더 정보표시부(72), 퍼스널컴퓨터 정보표시부(73), 섬네일 표시부(74) 및 플레이어부(75)로 구성되는 것으로, 툴바(71)에는, 「파일」, 「편집」 및 「표시」 등의 이 용건 폴더 편집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행할 수 있는 내용의 항목명과 그 내용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이 툴바(71)에 표시된 IC 레코더 설정 기능에 대응된 아이콘(71A)을 클릭함으로써 소정의 설정 윈도우(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를 이 메인 윈도우(70)에 계단식 배열시킬 수 있고, 이 설정 윈도우를 이용하여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의 각종 설정을 행할 수 있다.
IC 레코더 정보표시부(72)는, 디바이스 선택 콤보박스(80), 잔량 표시란(81), 폴더 정보 표시란(82) 및 용건 폴더 표시란(83)으로 구성되고,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로부터 판독한 해당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에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명과 그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의 기종명이 최상단에 표시됨과 동시에, 해당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의 녹음가능한 잔량시간이 잔량 표시란(81)에 표시된다.
또한, IC 레코더 정보표시부(72)에서는,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로부터 판독한 관리 파일 MSF(도 7)의 파일 데이터에 의거하여 해당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에 있어서 설정되어 있는 각 폴더(도 6에 있어서의 「FOLDER1」∼「FOLDER4」)의 폴더명과 폴더 내에 수납되어 있는 용건 폴더의 수가 폴더 정보 표시란(82)에 일람 표시된다.
그리고 IC 레코더 정보표시부(72)에 있어서는, 폴더 정보 표시란(82)에 표시된 각 폴더 중에서 원하는 1개의 폴더를 마우스 조작에 의해 선택함으로써, 그 폴더에 수납되어 있는 각 용건 폴더의 폴더명과 녹음 일시 및 녹음 시간 등의 소정의 정보를 텍스트 형식으로 용건 폴더 표시란(83(에 일람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IC 레코더 정보표시부(72)에서는, 이 때의 설정을 바꿈으로써, 이러한 텍스트 형식으로의 일람표시 대신에,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IC 레코더 정보표시부(72)의 폴더 정보 표시란(82)에 있어서 선택한 폴더 내에 등록되어 있는 각 용건 폴더의 대표 화상의 섬네일 화상 P10∼P12을 용건 폴더 표시란(83)에 일람표 시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이 용건 폴더 표시란(83)에 텍스트 정보 또는 섬네일 화상 P10∼P12가 표시된 각 용건 폴더 중에서, 소망하는 용건 폴더를 마우스 조작에 의해 1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1개의 용건 폴더가 선택되면, 그 용건 폴더 내의 각 북 마크 화상의 섬네일 화상 P20∼P23이, 해당 북 마크 화상이 관련된 녹음 음성의 타임 코드와 함께 섬네일 표시부(74) 내에 일람표시된다.
또한, 이 때 플레이어부(75)의 상단에는, 그 용건 폴더에 설정된 사용자 이름과, 전술한 바와 같이 해서 선택된 용건 폴더의 파일명과, 그 용건 폴더의 녹음 일시와, 그 용건 폴더의 전체 녹음 시간 중의 현재의 재생 시간이 각각 표시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1개의 용건 폴더가 선택되면, 플레이어부(75)의 하단에 설정된 각종 기본적인 조작을 행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90A∼90J)으로 이루어지는 기본 조작 버튼군(90)이 활성표시된다. 이리 하여 사용자는, 이 활성표시된 기본조작 버튼군(90) 중의 재생 버튼(90A), 정지 버튼(90B), 빠른 재생 버튼(90C) 또는 빨리 되돌림 재생 버튼(90D)을 클릭함으로써, 퍼스널컴퓨터(41) 상에서 이러한 용건 폴더를 재생시키거나, 해당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예를 들면 20초 빨리 감고 3초간 재생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빠른 재생을 실행시키거나 또는 예를 들면 20초 빨리 되돌려서 3초간 재생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빨리 되돌림 재생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기본조작 버튼군(90)에는, 이밖에 이지 서치 버튼(90E, 90F), 북마크 점프 버튼(90G, 90H) 및 용건 전환 버튼(90I, 90J)이 설치되어 있고, 이 중에서 이지 서치 버튼(90E, 90F)을 클릭함으로써, 그 때 퍼스널컴퓨터(41) 상에서 재생되고 있는 용건 폴더에 대해서, 10초만큼 빨리 감기해서 재생동작으로 돌아가는 빠른 이지 서치 또는 3초만큼 되돌려 재생동작으로 되돌아가는 빨리 되돌림 이지 서치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북마크 점프 버튼(90G, 90H)을 클릭함으로써, 퍼스널컴퓨터(41) 상에서 재생되고 있는 용건 폴더의 재생 위치를 앞 또는 다음의 북 마크 화상이 관련된 타임 코드 위치까지 점프시킬 수 있고, 용건 전환 버튼(90I, 90J)을 클릭함으로써, 재생 대상의 용건 폴더를 IC 레코더 정보표시부(72)의 용건 폴더 표시란(83)에 표시된 이전 또는 다음의 용건 폴더로 바꿀 수 있다.
또한, 메인 윈도우(70)에서는, 섬네일 표시부(74) 내에 표시된 섬네일 화상 P20∼P22 중에서 원하는 섬네일 화상 P20∼P22을 더블클릭함으로써도, 대응하는 용건 폴더를 퍼스널컴퓨터(41) 상에서 그 섬네일 화상 P20∼P22이 관련된 음성위치로부터 재생시킬 수 있다. 이리 하여 사용자는, 섬네일 표시부(74) 내에 표시된 섬네일 화상 P20∼P22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용건 폴더의 원하는 위치에 신속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한편, 기본조작 버튼군(90)의 우측 옆에는 재생 슬라이더 바(91)가 설치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1개의 용건 폴더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그 용건 폴더에 포함되는 음성 파일의 최초, 중앙 및 최후의 타임 코드가 재생 슬라이더 바(91)를 따라 그 하측에 각각 표시된다. 그리고 그 용건 폴더를 퍼스널컴퓨터(41) 상에서 재생하고 있을 때에는, 현재의 재생 위치에 맞춰서 슬라이더(91A)가 우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도록 표시된다.
또한, 재생 슬라이더 바(91)의 상측에는, 그 용건 폴더 내의 각 북 마크 화상이 관련된 타임 코드 위치에 각각 대응시켜서, 책갈피 형상의 마크(이하, 이것을 북 마크라고 부른다)(92)가 표시된다.
그리고 용건 폴더의 재생시, 슬라이더(91)이 어느 한개의 북 마크(92)와 대응된 타임 코드 위치를 경과했을 때(즉 음성 폴더의 재생 위치가 어느 한쪽의 북 마크 화상과 관련된 타임 코드 위치를 경과했을 때)에는, 그 북 마크(92)가 예를 들면 적색으로 강조 표시됨과 동시에, 섬네일 표시부(74)에 표시된 섬네일 화상 P20∼P22 중의 그 북 마크(92)(그 타임 코드에 관련된 북 마크 화상)와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P20∼P22가 적색 테두리로 둘러싸여지도록 강조 표시되고, 해당 섬네일 화상 P20∼P2의 하측에 표시된 타임 코드가 예를 들면 적색으로 강조 표시된다. 이리 하여 사용자는, 이들 강조 표시에 의거하여 전체에서 본 현재의 재생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재생 슬라이더 바(91)의 우측에 설치된 픽처 윈도우(93)에는, 섬네일 표시부(74)에 표시된 섬네일 화상 P20∼P22 중의 이러한 강조 표시된 북 마크(92))와 대응된 섬네일 화상 P20∼P22의 원래의 북 마크 화상(즉 음성 폴더의 그 타 임 코드에 관련된 북 마크 화상)이 표시된다.
이 경우 픽처 윈도우(93)는, 그 오른쪽 위에 표시된 확대 버튼(93A)을 클릭함으로써,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메인 윈도우(70)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로 확대 표시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그 북 마크 화상을 더 상세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확대 표시된 픽처 윈도우(94)는, 그 오른쪽 위에 표시된 폐쇄 버튼(94A)을 클릭함으로써, 도11과 같이 원래의 위치로 축소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플레이어부(75)의 중단에는, 용건 폴더 재생시에 있어서의 음량을 온/오프하기 위한 뮤트 버튼(95)과, 음량설정용의 슬라이더 바(96) 등의 각종 조작 버튼 및 몇개의 슬라이더 바가 설치되어 있고, 이것들을 클릭이나 드롭 앤드 드래그 조작함으로써, 대응하는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플레이어부(75)의 중단의 가장 우측에는 편집 버튼(97)이 설치되어 있고, 이 편집 버튼(97)을 클릭함으로써 편집 윈도우(도15)를 이 메인 윈도우(70)에 겹쳐서 표시시킬 수 있다. 이리 하여 사용자는, 이 편집 윈도우(도15)를 이용하여, 그 때 선택하고 있는 용건 폴더 내의 음성 파일에 근거하는 녹음 음성에 대하여 각 북 마크 화상을 관련된 위치를 변경하는 등의 편집 작업을 행할 수 있다.
한편, 퍼스널컴퓨터 정보표시부(73)는, 폴더 정보 표시란(100) 및 파일 정보 표시란(101)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폴더 정보 표시란(100)에는, 그 퍼스널컴퓨터(41) 내의 각 폴더의 폴더 구조가 계층적으로 표시되고, 해당 폴더 정보 표시란(100)에 표시된 각 폴더 중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지정된 1개의 폴더에 수납되어 있는 각 파일 중에서, 용건 폴더 편집용 애플리케이션을 취급할 수 있는 소정 포맷의 음성 파일의 파일명이나 작성 일시 등의 정보가 파일 정보 표시란(101)에 표시된다.
그리고 이 메인 윈도우(70)에서는, IC 레코더 정보표시부(72)의 용건 폴더 정보표시란(83)에 표시된 각 용건 폴더 중에서 1개의 용건 폴더를 선택하는 동시에, 퍼스널컴퓨터 정보표시부(73)의 폴더 정보 표시란(100)에 표시된 각 폴더 중에서 1개의 폴더를 선택하고, 이후 IC 레코더 정보표시부(72) 및 퍼스널컴퓨터 정보표시부(73) 사이에 표시된 보존 버튼(102)을 클릭함으로써,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로부터 그 IC 레코더 정보표시부(72)에서 선택한 용건 폴더의 파일 데이터를 판독시키고, 그것의 카피를 퍼스널컴퓨터 정보표시부(73)에 있어서 선택한 퍼스널컴퓨터(41) 내의 폴더 내에 격납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 윈도우(70)에서는, 이것과 반대로, 퍼스널컴퓨터 정보표시부(73)의 파일 정보 표시란(101)에 표시된 각 음성 파일 중에서 1개의 음성 파일을 선택하는 동시에, IC 레코더 정보표시부(72)의 폴더 정보표시란(82)에 표시된 각 폴더 중에서 1개의 폴더를 선택하고, 이후 IC 레코더 정보표시부(72) 및 퍼스널컴퓨터 정보표시부(73) 사이에 표시된 추가 버튼(103)을 클릭함으로써, 퍼스널컴퓨터 정보표시부(73)에서 선택한 음성 파일의 파일 데이터를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에 전송시키고, 이것을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 내의 플래시 메모리(29)(도 4) 내에 격납시킬 수 있다. 이 때 카메라 부착IC 레코더(1)에서는, 이러한 음성 파일의 파일 데이터가, IC 레코더 정보표시부(72)에 있어서 선택한 폴더 내에 새롭게 작성한 용건 폴더에 수납된 상태로 격납되고, 이것에 따라 관리 파일 MSF(도 7)의 파일 데이터가 갱신된다.
(2-3) 편집 윈도우의 구성
상기 구성에 덧붙여, CPU(50)는,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폴더 정보표시란(83)에 표시된 각 폴더 중에서 원하는 1개의 용건 폴더가 선택된 상태에 있어서, 툴바(71)의 「편집」에 대응하는 툴 메뉴 TMU(도14a)) 또는 우측 클릭에 대응하는 쇼트커트 메뉴 SMU(도14b)으로부터 「북 마크 편집」의 항목이 선택되었을 경우, 또는 편집 버튼(97)(도13)이 클릭되었을 경우, USB 케이블(42)을 통해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와 통신함으로써, 이 때 선택된 용건 폴더에 대응하는 파일 데이터를 해당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로부터 판독하는 동시에, 이후 이 파일 데이터 등에 의거하여 화상처리부(54)를 제어함으로써,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편집 윈도우(110)를 디스플레이(62)에 표시시킨다.
이 편집 윈도우(110)는, 윈도우 상단에 배치된 화상 표시란(111)과, 윈도우 중단에 배치된 편집 위치 조작부(112A) 및 윈도우 하단에 배치된 편집 내용 결정부(112B)로 이루어지는 편집 플레이어(112)로 구성된다.
이 편집 플레이어(112)에 있어서의 편집 위치 조작부(112A)의 상단 및 중단은, 편집 윈도우(110)의 중앙에 위치하고, 해당 위치에는 장방 형상의 프레임(121)이 설치되고, 이 프레임(121) 내부의 하방으로는, 제1 재생 슬라이드 바(122)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 제1 재생 슬라이드 바(122)의 상측에는, 폴더 정보 표시란(83)에서 선택된 용건 폴더 내의 각 북 마크 화상이 관련된 타임 코드 위치에 각각 대응시켜서, 해당 북 마크 화상을 예를 들면 60[pixel]×80[pixel] 사이즈로 변경해서 이루어진 화상(이하, 이것을 북 마크 축소 화상이라고 부른다) R1∼R3가, 프레임(121)의 상단과의 사이에 표시된다.
또한, 편집 위치 조작부(112A)의 하단에는, 제2 재생 슬라이드 바(12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2 재생 슬라이드 바(123)의 상측에는, 폴더 정보표시란(83)에서 선택된 용건 폴더 내의 각 북 마크 화상이 관련된 타임 코드 위치에 각각 대응시켜서, 북 마크 S1∼S3이 표시됨과 동시에, 해당 제2 재생 슬라이드 바(123)의 우측에는, 전체 녹음 시간 중의 현재의 재생 시간이 표시된다.
그리고 제2 재생 슬라이드 바(123)의 좌측에는, 재생 버튼(124A), 재생 정지 버튼(124B), 슬라이드 바 확대 버튼(124C) 및 슬라이드 바 축소 버튼(124D)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버튼군(124)이 설치되어 있고, 이 재생 버튼(124A) 또는 재생 정지 버튼(124B)을 클릭함으로써, 폴더 정보표시란(83)에서 선택된 용건 폴더를 재생 또는 재생 정지시킬 수 있다.
이 용건 폴더의 재생시, 그 재생시간에 대응하여, 제1 재생 슬라이드 바(122)의 슬라이더(122A)와, 제2 재생 슬라이드 바(123)의 슬라이더(123A)가 각각 재생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어, 어느 한쪽의 북 마크 S1∼S3와 대응된 타임 코드 위치를 경과했을 때에는, 그 북 마크 S가 예를 들면 적색으로 강조 표시됨과 동시에, 북 마크 축소 화상 R1∼R3 중의 그 북 마크(타임 코드) S와 대응하는 북 마크 축소 화상 R이 적색테두리로 둘러싸여지도록 강조 표시되고, 또한, 해당 북 마크 축소 화상 R보다도 그 화상 사이즈를 예를 들면 150[pixel]×200[pixel] 사이즈로 확대해서 이루어진 화상 IM이, 윈도우 상단의 화상 표시란(111)에 있어서의 중앙에 표시된다.
또한, 이 편집 위치 조작부(112A)에서는, 슬라이드 바 확대 버튼(124C) 및 슬라이드 바 축소 버튼(124D)을 클릭함으로써, 제1 슬라이드 바(122)를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이 제1 재생 슬라이드 바(122)의 확대시,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121)의 하단에 스크롤 바(125)가 표시됨과 동시에, 해당 프레임(121)의 우측 상단 상방에 슬라이드 바 확대율이, 초기값의 「×1」(도15)로부터, 재생 슬라이드 바 확대 버튼(114C)의 클릭 회수에 따라 단계 표시되어, 예를 들면 「×10」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이 편집 위치 조작부(112A)에서는, 북 마크 축소 화상 R1∼R3이 겹친 상태에서 표시되었을 경우(도15)이라도, 슬라이드 바 확대율을 크게 함으로써, 각 북 마크 축소 화상 R1∼R3의 간격을 넓혀(도16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낸다), 해당 북 마크 축소 화상 R 전체를 시인시킬 수 있다.
이렇게 편집 위치 조작부(112A)에서는, 제1 재생 슬라이드 바(122)에 대하여 북 마크 축소 화상 R1∼R3을 상대적으로 표시하고, 용건 폴더 내의 음성 파일에 근거하는 녹음 음성에 대하여 각 북 마크 화상이 관련된 위치를 상세 파악시킬 수 있고, 이것과는 반대로, 제2 슬라이드 바(123)에 대하여 북 마크 S1∼S3을 절대적으로 표시하고, 해당 위치를 전체 파악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편집 위치 조작부(112A)에서는, 이러한 북 마크 축소 화상 R1∼R3을 드래그 앤드 드롭에 의해 해당 북 마크 축소 화상 R를 개별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용건 폴더 내의 음성 파일에 근거하는 녹음 음성에 대하여 각각 관련된 북 마크 화상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실제상, 북 마크 축소 화상 R1∼R3 중의 이동 대상의 예를 들면 북 마크 축소 화상 R3에 마우스 커서를 맞춘 상태에서 마우스 누름이 유지되었을 때, 도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해당 마우스 커서 대시에, 그 북 마크 축소 화상 R3의 중앙에,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삼각형 형상의 포인터(126A, 126B)와, 이동 해제를 나타내는 타원 형상의 포인터(126C)로 이루어지는 조작 지시 포인터(126)가 표시 됨과 동시에, 해당 북 마크 축소 화상 R3가 이동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는, 제1 재생 슬라이드 바(122), 제2 재생 슬라이드 바(123) 및 재생시 사이에 의해 필요에 따라서 확인하면서, 북 마크 축소 화상 R3을 원하는 위치까지 드래그한 후에 드롭함으로써, 해당 북 마크 축소 화상 R3에 대응하는 북 마크 화상의 녹음 음성에 대한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 사용자는, 북 마크 화상의 변경 위치를 사전에 모를 때에는, 녹음 음성을 재생시켜서 그 변경 위치를 확인하고, 해당 확인한 시점에서 그 변경 위치에 북 마크 축소 화상 R3을 드래그 앤드 드롭함으로써, 해당 북 마크 축소 화상 R3에 대응 하는 북 마크 화상의 녹음 음성에 대한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편집 위치 조작부(112A)에서는, 도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작 지시 포인터(126)의 표시와 동시에, 녹음 음성의 재생이 정지됨과 함께, 해당 조작 지시 포인터(126)가 표시된 북 마크 축소 화상 R3에 대응하는 타임 코드 위치에 슬라이더(122A)가 되돌아오고, 또한 그 타임 코드에 재생시간이 변경된다. 그리고 이 후, 북 마크 축소 화상 R3에 대한 드래그에 추종하여 슬라이더(122A)가 이동하고, 해당 북 마크 축소 화상 R3가 드롭되면, 그 드롭 지점으로부터 녹음 음성의 재생이 개시되는 동시에, 슬라이더(122A)가 재생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북 마크 축소 화상 R3를 드롭한 후에 즉시 그 드롭 지점이 원하는 변경 위치인가 아닌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편집 플레이어(112)의 편집 내용 결정부(112B)에는, 녹음 음성에 대하여 각각 관련된 각 북 마크 화상에 덧붙여, 새로운 화상을 북 마크 화상으로서 추가하기 위한 「북 마크의 추가」 버튼(131)이 설치되어 있고, 이 「북 마크의 추가」버튼(131)을 클릭함으로써, 「북 마크에 화상을 추가합니까?」 등이라고 하는 확인 코멘트와, 「예」 및 「아니요」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메시지 윈도우(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가 표시되고, 해당 「예」의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편집 윈도우(110) 위에 도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화상선택 다이알로그 박스(140)가 표시된다.
이 화상선택 다이알로그 박스(140)는, 풀다운 형식의 화상 파일 장소 선택란 (140A), 아이콘 형식의 화상 파일 장소 선택란(140B), 화상 파일 선택란(140C), 풀다운 형식의 화상 파일명 선택란(140D) 및 풀다운 형식의 화상 파일 형식 선택란(140E)으로 이루어지고, 해당 화상 파일 선택란(140C)에 표시되는 화상 파일 중 어느 한개가 선택된 후에 「OK」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예를 들면 도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해당 선택된 화상 파일에 근거하는 화상이 새로운 북 마크 축소 화상 RN으로서, 이 때 슬라이더(122A)가 존재하는 타임 코드 위치에 대응시켜서, 제1 재생 슬라이드 바(122)의 상측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 이러한 타임 코드 위치에 이미 북 마크 축소 화상 R이 존재할 경우에는, 해당 타임 코드 위치의 근방에 표시된다.
또한, 편집 내용 결정부(112B)에는, 「북 마크의 삭제」 버튼(132) 및 「북 마크와 음성의 삭제」 버튼(133)이 설치되어 있고, 북 마크 축소 화상 R1∼R3 중 어느한개가 삭제 대상으로서 선택된 상태에 있어서, 해당 「북 마크의 삭제」 버튼(132)을 클릭함으로써, 해당 선택된 북 마크 축소 화상 R를 편집 윈도우(110)로부터 삭제시킬 수 있는 동시에, 해당 「북 마크와 음성의 삭제」 버튼(133)을 클릭함으로써, 해당 선택된 북 마크 축소 화상 R과, 그 다음의 북 마크 축소 화상 R까지의 녹음 음성을 편집 윈도우(110)로부터 삭제시킬 수 있다.
또한, 편집 내용 결정부(112B)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해서 편집된 편집 내용을 그것의 1개전의 편집 내용까지 되돌리는 「원래로 되돌리기」 버튼(134)과, 해당 편집 내용을 초기의 상태까지 되돌리는 「초기 상태로 되돌리기」 버튼(135) 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되돌리기」버튼(134) 또는 「초기 상태로 되돌리기」 버튼(135)을 클릭함으로써, 편집 내용을 복원하도록 하여, 해당 편집을 몇번이라도 시행시킬 수 있다.
또, 편집 내용 결정부(112B)에 설치된 「OK」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해당 클릭되었을 때의 편집 상태가 되도록, 대응하는 용건 폴더 내가 갱신된다.
이렇게 하여 이 용건 폴더 편집 시스템(40)에서는, 편집 윈도우(110)(도15) 을 이용하여 각종 편집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2-4) 편집 처리 순서
여기에서 퍼스널컴퓨터(41)의 CPU(50)(도10)는, 상술한 바와 같은 편집 처리를, 도21에 나타내는 편집 처리 순서 RT에 따라서 실행한다.
즉 CPU(50)는, 폴더 정보표시란(83)에 표시된 각 폴더 중에서 원하는 1개의 용건 폴더가 선택된 상태에 있어서, 툴바(71)의 「편집」에 대응하는 툴 메뉴 TMU(도14a) 또는 우측 클릭에 대응하는 쇼트커트 메뉴 SMU(도14b)로부터 「북 마크 편집」의 항목이 선택되었을 경우, 또는 편집 버튼(97)(도13)이 클릭되면, 이 편집 처리 순서 RT를 스텝 SP0에 있어서 시작하고, 계속되는 스텝 SP1에 있어서, 편집 윈도우(110)(도15)를 표시시킨다.
그리고 CPU(50)은, 스텝 SP2로 진행하여, 그 때 UBS 접속되어 있는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에 액세스하여, 대응하는 용건 폴더 내의 모든 화상 파일의 파일 데이터 및 화상 관리 파일 PIN(도 8)의 파일 데이터와, 관리 파일 MSF( 도 7) 내의 그 용건 폴더의 메시지 엔트리(도 7의 「Message Entry」)의 데이터를 판독한다.
계속해서 CPU(50)는, 스텝 SP3로 진행하여, 스텝 SP2에 있어서 취득한 그 용건 폴더 내의 각 화상 파일의 파일 데이터에 의거하여 각 북 마크 화상에 대한 북 마크 축소 화상 R1∼R3의 화상 데이터와, 북 마크 S1∼S3의 화상 데이터를 각각 생성하고, 이것들을 화상처리부(54)에 준다.
또한, CPU(50)는, 이 스텝 SP3에 있어서, 스텝 SP1에서 취득한 그 용건 폴더 내의 화상 관리 파일 PIN에 의거하여 화상처리부(54)를 제어하고, 북 마크 화상을 관련된 타임 코드 위치에 각각 대응시켜서, 해당 북 마크 축소 화상 R1∼R3을 제1 재생 슬라이드 바(122)의 상측과 프레임(121)의 상단과의 사이에 표시시킴과 동시에, 해당 북 마크 S1∼S3을 제2 재생 슬라이드 바(123)의 상측에 표시시킨다.
다음에, CPU(50)은, 스텝 SP4에 있어서, 슬라이드 바 확대 버튼(124C) 또는 슬라이드 바 축소 버튼(124D)이 클릭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해당 클릭되었을 경우에는, 계속되는 스텝 SP5로 진행하여, 이 때에 슬라이드 바 확대 버튼(124C)이 클릭된 회수와, 해당 슬라이드 바 축소 버튼(124D)이 클릭된 회수에 의거하여 제1 재생 슬라이드 바(122)에 대한 확대율을 결정하고, 해당 결정한 확대율에, 제1 재생 슬라이드 바(122)을 가변함으로써 북 마크 축소 화상 R1∼R3의 간격을 변경하고, 또한, 프레임(121)의 우측 상단 상방에 슬라이드 바 확대율의 표시를 변경하는 동 시에, 해당 프레임(121)의 하단에 스크롤 바(125)(도16)을 표시시킨다.
또한, CPU(50)은, 계속되는 스텝 SP6에 있어서, 「북 마크의 추가」 버튼(131)이 클릭되었는지, 또는 북 마크 축소 화상 R1∼R3 중 어느 한개가 삭제 대상으로서 선택된 상태에서 「북 마크의 삭제」 버튼(132) 또는 「북 마크와 음성의 삭제」 버튼(133)이 클릭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해당 클릭되었을 경우에는, 계속되는 스텝 SP7로 진행하여, 대응하는 가편집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CPU(50)는, 이 가편집 처리로서, 「북 마크의 추가」 버튼(131)이 클릭되었을 경우에는, 화상선택 다이알로그 박스(140)(도19)를 거쳐서 화상 파일을 선택시키고, 해당 화상 파일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그 화상 파일의 파일 데이터에 근거하는 화상을 북 마크 축소 화상 RN(도20)으로서, 제2 재생 슬라이드 바의 상측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시킨다. 한편, CPU(50)는, 「북 마크의 삭제」 버튼(132) 또는 「북 마크와 음성의 삭제」 버튼(133)이 클릭되었을 경우에는, 이 때 선택되고 있는 북 마크 축소 화상 R만, 혹은 해당 북 마크 축소 화상 R과, 그 다음의 북 마크 축소 화상 R까지의 녹음 음성을 편집 윈도우(110)로부터 삭제한다.
또한, CPU(50)는, 계속되는 스텝 SP8에 있어서, 재생 버튼(124A)이 클릭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해당 클릭되었을 경우에는, 계속되는 스텝 SP9로 진행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해서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로부터 판독한 대응하는 용건 폴더 내에 있어서의 음성 파일의 파일 데이터를 음성처리부(55)(도10)에 줌으로써 재생 처리를 실행시킨다. 이 결과 이 음성 파일의 파일 데이터에 근거하는 음성이 스피커(63)로부터 출력된다.
이 때 CPU(50)는, 그것의 재생시간에 대응시켜서, 슬라이더(122A), 슬라이더(123A)를 각각 재생 방향으로 이동시켜, 어느 한개의 북 마크 S1∼S3과 대응된 타임 코드 위치를 경과했을 때에는, 그것의 북 마크 S와, 해당 북 마크 S에 대응하는 북 마크 축소 화상 R을 강조 표시시킴과 동시에, 해당 북 마크 축소 화상 R의 확대 화상 IM을, 윈도우 상단의 화상 표시란(111)에 표시시킨다.
또한, CPU(50)는, 계속되는 스텝 SP10에 있어서, 북 마크 축소 화상 R에 대한 마우스 누름이 유지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해당 마우스 누름이 유지되었을 경우에는, 계속되는 스텝 S11로 진행하여, 이 때 마우스 누름이 유지되고 있는 북 마크 축소 화상 R의 이동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CPU(50)은, 이것의 이동 처리로서, 상기한 재생 처리를 실행시키고 있을 경우에는, 마우스 누름이 유지되고 있는 북 마크 축소 화상 R에 조작 지시 포인터(126)(도17)를 표시함과 동시에 이 재생 처리를 일시 중단시켜, 해당 북 마크 축소 화상 R의 대응하는 타임 코드 위치에 슬라이더(123A)를 되돌라는 동시에, 그 타임 코드에 재생시간의 표시를 변경한다. 이후, CPU(50)는, 이 북 마크 축소 화상 R에 대한 드래그에 따라 슬라이더(122A)를 이동시키고, 해당 북 마크 축소 화상 R의 드롭 에 따라 일시 중단한 재생 처리를 그것의 드롭 위치에 대응하는 타임 코드로부터 시작한다. 한편, CPU(50)는, 이러한 재생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마우스 누름이 유지되고 있는 북 마크 축소 화상 R에 조작 지시 포인터(126)(도17)를 표시한 후, 해당 북 마크 축소 화상 R에 대한 드래그에 따라 슬라이더(122A)를 이동시킨다.
또한, CPU(50)는, 계속되는 스텝 SP12에 있어서, 「원래 상태로 되돌리기」 버튼(134) 또는 「초기 상태로 되돌리기」 버튼(135)이 클릭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해당 클릭되었을 경우에는, 계속되는 스텝 SP13으로 진행하여, 스텝 SP6에서 가편집 처리한 편집 내용을, 그것의 1개전의 편집 내용까지 되돌리거나, 또는 초기의 상태까지 되돌린다.
최후에 CPU(50)는, 계속되는 스텝 SP14에 있어서, 편집 내용 결정부(112B)의 「OK」 버튼 또는 「캔슬」 버튼이 클릭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CPU(50)는, 이 스텝 SP14에 있어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스텝 SP4로 되돌아가고, 이후 이 스텝 SP14에서 긍정 결과를 얻을 때까지 스텝 SP4∼스텝 SP14-스텝 SP4의 루프를 반복한다.
이에 대하여 CPU(50)는, 스텝 SP8에 있어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스텝 SP15로 진행하여, 상기한 재생 처리를 실행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재생 처리를 정지하는 동시에, 상기한 가편집 처리를 초기의 상태까지 되돌리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가편집 처리의 편집 내용에 따라, 스텝 SP2에 있어서 판독한 화상 파일의 파일 데이터 및 화상 관리 파일 PIN(도 8)의 파일 데이터와, 관리 파일 MSF(도 7) 내의 그 용건 폴더의 메시지 엔트리(도 7의 「message Entry」)의 데이터를 갱신하고, 이후 스텝 SP16으로 진행하여, 이 편집 처리 순서 RT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하여 CPU(50)는,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 내에 보존되어 있는 용건 파일에 대해서, 편집 윈도우(110)(도15)를 거쳐서 사용자 조작에 따른 각종 편집을 행할 수 있다.
(3) 본 실시예의 동작 및 효과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이 용건 폴더 편집 시스템(40)에서는, 디스플레이(62)에, 음성정보의 현재의 재생 위치를 표시하는 제1 재생 슬라이더 바(122)가 표시됨과 동시에, 해당 제1 재생 슬라이더 바(122)에 따라, 해당 북 마크 화상이 관련된 음성위치(타임 코드 위치)에, 북 마크 화상의 화상 사이즈가 소정 사이즈로 축소되어서 이루어진 축소 화상 R이 표시되고, 그것의 축소 화상 R을, 제1 재생 슬라이더 바(122)에 따라 이동시키는 조작에 따라 동작시켜서 축소 화상 R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이 용건 폴더 편집 시스템(40)에서는, 축소 화상 R이 마킹으로서 뿐만 아니라 편집점으로서도 취급할 수 있기 위해서, 아이콘 등을 이동 조작하는 경우에 비해, 사용자가 직감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원하는 음성위치까지 이동 조작할 수 있고, 이 결과, 현재의 음성위치가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위치와 미소한 차이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정확하게 이동 조작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이 용건 폴더 편집 시스템(40)에서는, 이러한 제1 재생 슬라이더 바(122)가 사용자 조작에 따라 표시 배율이 변경이 자유롭게 표시되고, 해당 제1 재생 슬라이더 바(122)와 함께, 표시 배율이 고정인 제2 재생 슬라이더 바(123)가 표시된다.
따라서, 이1 용건 폴더 편집 시스템(40)에서는, 제2 재생 슬라이더 바(123)에 의해 축소 화상 R의 음성위치를 전체 파악시킴과 동시에, 제1 재생 슬라이더 바 (122)에 의해 그것의 음성위치를 상세 파악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직감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원하는 음성위치까지 이동 조작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음성정보의 현재의 재생 위치를 표시하는 제1 재생 슬라이더 바(122)와, 해당 제1 재생 슬라이더 바(122)에 따라, 해당 북 마크 화상이 관련된 음성위치(타임 코드 위치)에, 북 마크 화상의 화상 사이즈가 소정 사이즈로 축소되어서 이루어진 축소 화상 R을 디스플레이(62)에 표시하고, 그 축소 화상 R을, 제1 재생 슬라이더 바(122)에 따라 이동시키는 조작에 따라 동작시켜서 축소 화상 R을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축소 화상 R이 마킹으로서 뿐만 아니라 편집점으로서도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콘 등을 이동 조작하는 경우에 비해, 사용자에 대하여 직감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원하는 음성위치까지 이동 조작시킬 수 있고, 이리 하여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4) 기타 실시예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용건 폴더 편집 시스템(40)을 구성하는 퍼스널컴퓨터(41)에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한개 또는 복수의 음성위치에 화상이 관련된 음성정보와, 해당 화상의 화상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정보를 편집하는 편집 장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퍼스널컴퓨터(41) 및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를 USB 케이블(42)을 통해서 접속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퍼스널컴퓨터 (41) 상에서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 내에 보존된 용건 파일을 편집 등을 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카메라 부착 IC 레코더(1)의 플래시 메모리(29)를 착탈 자재로 해서 이것을 퍼스널컴퓨터(41)에 장착함으로써 해당 플래시 메모리(29)에 격납되어 있는 용건 파일을 편집 등을 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GUI로서의 편집 윈도우(110)를 도15와 같이 구성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밖에 다양한 구성을 널리 적용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북 마크 화상이 관련된 음성위치에 각각 대응시켜서 제2 재생 슬라이더 바(123)의 상측에 표시하는 마크를 책갈피 형상으로 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이밖에 다양한 마크 형태를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용건 폴더의 재생시에, 제2 재생 슬라이더 바(123)의 슬라이더(123A)가 어느 한 개의 북 마크 S1∼S3과 대응된 타임 코드 위치를 경과했을 때에, 그 북 마크 S1∼S3를 적색으로 표시하는 동시에, 북 마크 축소 화상 R1∼R3 중의 그 북 마크S와 대응하는 북 마크 축소 화상 R를 적색 테두리로 둘러싸도록 해서 이것들을 강조 표시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강조 표시방법으로서는, 이밖에 다양한 표시 방법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래의 북 마크 화상의 화상 사이즈를 변경해서 이루어진 북 마크 축소 화상 R와, 화상 IM을 소정의 배치 위치에 표시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것 대신에, 착안 부분인 오브젝트를 확대하거나, 회전해서 이루어진 북 마크 축소 화상 R과, 화상 IM을 소정의 배치 위치에 표시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래 상태로 되돌리기」 버튼(134)을 클릭함으로써, 편집된 편집 내용을 그것의 1개전의 편집 내용까지 되돌리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미리 설정한 회수까지 되돌리거나, 입력된 회수까지 되돌리는 등, 요는, 임의인 편집 회수로 되돌리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성정보에 있어서의 한개 또는 복수의 음성위치에 관련된 화상정보의 음성위치를 관리하는 관리 정보를 편집하는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과 편집 프로그램에 있어서, 음성정보의 현재의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슬라이더 바를 따라, 해당 음성위치에 관련된 화상의 화상 사이즈를 변경한 변경 화상을 표시하고, 그 변경 화상을, 슬라이더 바를 따라 이동시키는 조작에 따라 동작시켜서 변경 화상을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써, 변경 화상이 마킹으로서 뿐만 아니라 편집점으로서도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콘 등을 조작하는 경우에 비해, 사용자가 직감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원하는 음성위치까지 조작할 수 있고, 이리 하여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는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과 편집 프로그램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음성 및 화상을 데이터로서 기록재생할 경우에 이용가능하다.

Claims (12)

  1. 음성정보에 있어서의 한개 또는 복수의 음성위치에 관련된 화상정보의 음성위치를 관리하는 관리 정보를 편집하는 편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을, 소정의 화상 사이즈로 변경해서 이루어진 변경 화상을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음성정보의 현재의 재생 위치를 표시하는 슬라이더 바를 표시하는 동시에, 해당 슬라이더 바를 따라, 상기 음성위치에 상기 변경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된 상기 변경 화상을, 상기 슬라이더 바를 따라 이동시키는 조작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을 거쳐서 입력된 상기 조작에 의해 결정된 후의 설정에 따라, 상기 관리 정보에 있어서의 상기 변경 화상이 관련된 상기 음성정보의 음성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정보의 음성위치를 갱신하는 갱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조작에 따라 동작시켜서 변경 화상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정보를 재생하는 음성재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음성재생 수단은,
    상기 조작에 의해 결정된 상기 변경 화상의 상기 음성위치로부터 상기 음성정보의 재생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바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표시 배율이 변경 자유로운 제1 슬라이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제1 슬라이더 바와, 상기 표시 배율이 고정인 제2 슬라이더 바를 각각 표시하는 동시에, 해당 제1 슬라이더 바를 따라, 상기 변경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조작에 의해 결정된 상기 변경 화상의 상기 음성위치를,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임의의 조작 회수 전의 상태로 되돌리거나 또는 초기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장치.
  5. 음성정보에 있어서의 한개 또는 복수의 음성위치에 관련된 화상정보의 음성위치를 관리하는 관리 정보를 편집하는 편집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을, 소정의 화상 사이즈로 변경해서 이루어진 변경 화상을 생성하는 제1 스텝과,
    상기 음성정보의 현재의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슬라이더 바를 표시하는 동시에, 해당 슬라이더 바를 따라, 상기 음성위치에 상기 변경 화상을 표시하는 제2 스텝과,
    표시된 상기 변경 화상을, 상기 슬라이더 바를 따라 이동시키는 조작을 입력하는 입력 조작에 의해 결정된 후의 설정에 따라, 상기 관리 정보에 있어서의 상기 변경 화상이 관련된 상기 음성정보의 음성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정보의 음성위치를 갱신하는 제3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스텝에서는,
    상기 조작에 따라 동작시켜서 상기 변경 화상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에 의해 결정된 상기 변경 화상의 상기 음성위치로부터 상기 음성정보의 재생을 개시하는 음성 개시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바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표시 배율이 변경 자유로운 제1 슬라이더 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스텝에서는,
    상기 제1 슬라이더 바와, 상기 표시 배율이 고정된 제2 슬라이더 바를 각각 표시하는 동시에, 해당 제1 슬라이더 바를 따라, 상기 변경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텝에서는,
    상기 조작에 의해 결정된 상기 변경 화상의 상기 음성위치를,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임의의 조작 회수 전의 상태로 되돌리거나 또는 초기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방법.
  9. 음성정보에 있어서의 한개 또는 복수의 음성위치에 관련된 화상정보의 음성위치를 관리하는 관리 정보를 편집하는 편집 프로그램에 있어서,
    컴퓨터에 대하여,
    상기 화상을, 소정의 화상 사이즈로 변경해서 이루어진 변경 화상을 생성하는 제1 처리와,
    상기 음성정보의 현재의 재생 위치를 표시하는 슬라이더 바를 표시하는 동시에, 해당 슬라이더 바를 따라, 상기 음성위치에 상기 변경 화상을 표시하는 제2 처리와,
    표시된 상기 변경 화상을, 상기 슬라이더 바를 따라 이동시키는 조작을 입력하는 입력 조작에 의해 결정된 후의 설정에 따라, 상기 관리 정보에 있어서의 상기 변경 화상이 관련된 상기 음성정보의 음성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정보의 음성위치를 갱신하는 제3 처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처리에서는,
    상기 조작에 따라 동작시켜서 상기 변경 화상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프로그램.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에 의해 결정된 상기 변경 화상의 상기 음성위치로부터 상기 음성정보의 재생을 시작하는 음성 개시 처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프로그램.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바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표시 배율이 변경 자유로운 제1 슬라이 더 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처리에서는,
    상기 제1 슬라이더 바와, 상기 표시 배율이 고정의 제2 슬라이더 바를 각각 표시하는 동시에, 해당 제1 슬라이더 바를 따라, 상기 변경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프로그램.
  12. 제 9항에 잇어서,
    상기 제2 처리에서는,
    상기 조작에 의해 결정된 상기 변경 화상의 상기 음성위치를,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임의의 조작 회수 전의 상태로 되돌리거나 또는 초기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프로그램.
KR1020050121595A 2004-12-13 2005-12-12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과 편집 프로그램 KR200600666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60457A JP4240314B2 (ja) 2004-12-13 2004-12-13 編集装置及び編集方法並びに編集プログラム
JPJP-P-2004-00360457 2004-12-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647A true KR20060066647A (ko) 2006-06-16

Family

ID=35976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595A KR20060066647A (ko) 2004-12-13 2005-12-12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과 편집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152588A1 (ko)
EP (1) EP1669997A1 (ko)
JP (1) JP4240314B2 (ko)
KR (1) KR20060066647A (ko)
CN (1) CN182266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68426B2 (en) * 2006-08-31 2021-07-20 Red Hat, Inc. Portable storage device capable of transferring data to a portable storage device
JP4735495B2 (ja) * 2006-09-26 2011-07-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音声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TW200826640A (en) * 2006-12-08 2008-06-16 Altek Corp Method of accelerating image capturing process and the related digital image capturing device
JP5264276B2 (ja) * 2007-07-10 2013-08-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14812B2 (ja) * 2009-11-20 2015-05-0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ブックマーク設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223325A (ja) * 2010-04-09 2011-11-04 Sony Corp コンテンツ検索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786736B2 (ja) * 2012-01-31 2015-09-30 Nkワークス株式会社 画像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8004A (ja) * 1982-06-10 1983-12-19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スチルカメラの音声記録方法および装置
JP3284543B2 (ja) * 1999-04-23 2002-05-2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US7228061B2 (en) * 2000-11-17 2007-06-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system, image reproducing apparatus, digital television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based on additional information read from multiple image recording apparatuses
KR20030017997A (ko) * 2001-04-17 2003-03-0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이미지 시퀀스 내의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40314B2 (ja) 2009-03-18
US20060152588A1 (en) 2006-07-13
CN1822665A (zh) 2006-08-23
JP2006173795A (ja) 2006-06-29
EP1669997A1 (en)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5470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060066647A (ko) 편집 장치 및 편집 방법과 편집 프로그램
JP3636830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ビデオカメラ及びインテリジェントスチルカメラ
JP4267007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717299B2 (ja) 画像管理装置、画像管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010979A (ja) カメラ装置
JP6082896B1 (ja) 画像編集装置、及び画像編集方法
JP4939465B2 (ja) コンテンツ編集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コンテンツ編集プログラム
US20060245739A1 (en) Electronic camera device and method of creating history file
JP2004134985A (ja) データ編集装置及びデータ編集プログラム
KR20100065577A (ko) 녹음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이미지 처리 방법
JP4314527B2 (ja) 編集装置及び編集方法並びに編集プログラム
KR20060050927A (ko) 기록 재생 장치 및 방법
JP2009253769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60050888A (ko) 기록재생장치 및 그 방법과 프로그램
JP4666204B2 (ja) 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370520B2 (ja) 編集システム及び編集システムの設定方法
JP2005237039A (ja) 画像記録再生装置及び画像記録再生方法
JP2004304776A (ja) 画像取り込み装置
JP424883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2016871A (ja) 映像編集方法および映像編集装置、並びに映像編集を行なう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296501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JP4166597B2 (ja) 画像再生装置、画像再生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2002125143A (ja) 画像閲覧システム、画像閲覧装置、画像閲覧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6171908A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