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5597A - 침대 - Google Patents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5597A
KR20060065597A KR1020060027356A KR20060027356A KR20060065597A KR 20060065597 A KR20060065597 A KR 20060065597A KR 1020060027356 A KR1020060027356 A KR 1020060027356A KR 20060027356 A KR20060027356 A KR 20060027356A KR 20060065597 A KR20060065597 A KR 20060065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headboard
front plate
width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7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8721B1 (ko
Inventor
한상호
Original Assignee
한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호 filed Critical 한상호
Priority to KR1020060027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8721B1/ko
Publication of KR20060065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매트리스의 크기에 맞추어 침대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시켜 주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임의의 형상 모양을 갖는 헤드보드요소와, 상기 헤드보드요소의 전면 하단 양측에 체결요소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측면판, 상기 측면판의 선단부에 양측면에 체결요소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전면판요소 및 상기 측면판의 내측면에 양측 끝단면이 걸쳐지도록 함과 아울러, 헤드보드와 전면판요소 중앙에 갖추어진 걸침요소에 의해 중앙부분이 걸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매트리스가 얹혀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요소로 이루어지는 침대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헤드보드요소와 전면판요소를 2등분 결합시켜 사이즈가 다른 매트리스를 호환적으로 적용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침대의 폭을 자유롭게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간격조절수단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침대{a bed}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침대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a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침대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절개 평면도로서, 침대의 폭이 조절되기 전의 상태도.
도 2b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침대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절개 평면도로서, 침대의 폭이 조절되어 넓어진 상태도.
도 3a, b 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헤드보드를 보인 부분절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인 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의한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침대 20:헤드보드요소
21,21a:헤드보드 30:측면판
40:전면판요소 41,41a:전면판
22,42:요입홈부 23,43:삽입편
24,44:장공 25,45:조임요소
26,46:체결공 27,47:개방홈부
28,48:받침돌기 50:받침요소
51,51a:받침판 52:삽입편
53:요입편 60,60a:걸침요소
본 발명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매트리스의 크기에 맞추어 침대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시켜 주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각 가정에 설치되어 취침이나 휴식 등을 취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보편적인 침대는 임의의 형상 모양을 갖는 헤드보드, 상기 헤드보드의 전면 하단 양측에 체결요소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측면판, 상기 측면판의 선단부에 양측면에 체결요소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전면판 및 상기 헤드보드와 측면판, 그리고 전면판의 내측면에 갖추어진 걸침요소에 거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매트리스가 얹혀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요소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종래의 침대는 일체로 제작되는 매트리스의 폭에 따라 각기 다른 사이즈의 헤드보드와 전면판을 제작하여 이들의 양측에 측면판의 체결 고정시켜 주도록 하고 있어 사용되는 매트리스의 크기에 따라 각기 다른 사이즈의 침대를 제작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매트리스의 사이즈는 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싱글과, 두 사람이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더블로 구분되는 것이며, 상기 더블 사이즈의 매트 리스에서도 일반적인 더블사이즈와 퀸사이즈로 구분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더블 매트리스에서 더블사이즈는 폭이 약 130 ~ 140Cm 이고, 길이가 약 200Cm인데 반하여, 퀸사이즈는 폭이 약 150Cm 이고, 길이가 약 200Cm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더블사이즈와 퀸사이즈는 폭의 넓이에서 약 10 ~ 20Cm 정도의 차이가 있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폭의 넓이가 다른 차에 맞추어 침대 폭의 넓이도 각기 다르게 제작하여야만 하는 것이고, 매트리스의 사이즈에 맞는 침대를 선택하여 판매, 배달하여 설치하여 주게 되는 것으로서, 조립 과정에서 매트리스와 침대의 사이즈가 맞지 않을 경우 매트리스에 맞는 침대를 새로 배달시켜 설치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2종류의 매트리스 사이즈에 맞추어 침대 폭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매트리스의 사이즈에 구애됨이 없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임의의 형상 모양을 갖는 헤드보드요소와, 상기 헤드보드요소의 전면 하단 양측에 체결요소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측면판, 상기 측면판의 선단부에 양측면에 체결요소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전면판요소 및 상기 측면판의 내측면에 양측 끝단면이 걸쳐지도록 함과 아울러, 헤드보드와 전면판요소 중앙에 갖추어진 걸침요소에 의해 중앙부분이 걸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매트리스가 얹혀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요소로 이루어지는 침대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헤드보드요소와 전면판요소를 2등분 결합시켜 사이즈가 다른 매트리스 를 호환적으로 적용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침대의 폭을 자유롭게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간격조절수단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헤드보드 및 전면판을 각각 2등분 되도록 분할시켜 주되, 한쪽의 헤드보드와 전면판의 일측면에 내측으로 요입되는 요입홈부를 갖추고, 다른 한쪽의 헤드보드와 전면판의 일면에는 상기 요입홈부내로 삽입시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삽입편으로 형성시켜 침대의 폭을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요입홈부가 갖추어진 헤드보드의 후면에 수평 방향의 장공을 갖추고, 상기 삽입편의 후면 선단부에는 장공과 동일한 위치에 조임요소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을 갖추어 매트리스의 폭에 맞추어 간격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침대의 폭이 조절된 상태에서 2등분된 헤드보드와 전면판이 견고하게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요입홈부 및 삽입편이 각각 갖추어진 헤드보드와 전면판의 하단 부분에는 개방홈부와 이에 끼워져 받쳐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돌기를 각각 갖추어 간격조절수단에 의해 침대 폭의 조절시 요입홈부내에 삽입된 삽입편이 하부로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요소는 서로 교차되는 상태로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삽입편과 요입편을 갖도록 하는 받침판을 2등분 시켜 주어 간격조절수단이 조절되는 간격에 따라 받침판의 길이를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수단을 측면판에 갖추어 침대의 길이를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인 침대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로서, 침대(10)는 임의의 형상 모양을 갖는 헤드보드요소(20), 상기 헤드보드요소의 전면 하단 양측에 체결요소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측면판(30), 상기 측면판의 선단부에 양측면에 체결요소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전면판요소(40) 및 상기 측면판의 내측면에 양측 끝단면이 걸쳐지도록 함과 아울러, 헤드보드와 전면판요소 중앙에 갖추어진 걸침요소(60)에 의해 중앙부분이 걸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매트리스(70)가 얹혀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요소(5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침대(10)는 종래와 동일한 것이며,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헤드보드요소(20)와 전면판요소(40)를 2등분시켜 침대의 폭을 자유롭게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간격조절수단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헤드보드요소(20)와 전면판요소(40)을 각각 헤드보드(21,21a) 및 전면판(41,41a)이 되도록 2등분 시켜 준다.
이때, 어느 한쪽의 헤드보드(21)와 전면판(41)의 일측면은 내측으로 요입되는 요입홈부(22,42)를 갖추고, 다른 한쪽의 헤드보드(21a)와 전면판(41a)의 일면에는 상기 요입홈부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편(23,43)을 갖추어 상기 요입홈 부(22,42)내에 삽입되는 삽입편(23,43)의 삽입 위치에 따라 침대 폭을 조절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요입홈부(22,42)가 갖추어진 헤드보드의 후면에 수평 방향의 장공(24,44)을 갖추어주고, 상기 삽입편의 후면 선단부에는 장공과 동일한 위치에 조임요소(25,45)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26,46)을 갖추어 매트리스의 크기에 맞추어 침대의 폭이 조절된 상태에서 2등분된 헤드보드(21,21a)와 전면판(41,41a)이 견고하게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를 토대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더블사이즈의 매트리스를 사용할 경우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편(23,43)이 요입홈부(22,42)내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하여 헤드보드(21,21a)와 전면판(41,41a)이 서로 면접지 되도록 한 상태에서 헤드보드(21) 후면에 갖추어진 장공(24,44)을 관통하는 조임요소(25,45)를 삽입편(23,43)에 갖추어져 있는 체결공(26,46)에 나선 체결 시켜 주면 상기 조임요소가 헤드보드와 전면판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상태로 조여지게 되는 것이다.
만약 퀸사이즈의 매트리스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2a의 상태로 조립이 이루어진 침대(10)를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측면판의 폭이 매트리스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아 매트리스가 안정되게 안착 되지 못하게 되므로서, 이러한 경우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요소(25,45)를 느슨하게 풀어준 상태에서 매트리스의 폭에 맞도록 헤드보드(21a)와 전면판(41a)을 잡아당겨 요입홈부(22,42)내에 요입 되어 있는 삽입편(23,43)이 빠지도록 한 상태에서 느슨하게 풀어져 있는 조임요소 (25,45)를 조여주면 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편(23,43)이 빠진 간격만큼 침대의 폭이 넓어져 퀸사이즈의 매트리스를 안착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요입홈부(22,42) 및 삽입편(23,43)이 각각 갖추어진 헤드보드(21,21a)와 전면판(41,41a)의 하단부분에는 개방홈부(27,47)와 받침돌기(28,48)를 각각 갖추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보드(21a)와 전면판(41a)이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침대의 폭을 조절시 받침돌기(28,48)가 개방홈부(27,47)의 상면을 받쳐주도록 하여 요입홈부내에 삽입된 삽입편이 하부로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요소(50)는 서로 교차되는 상태로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삽입편(52,52a)과 요입편(53,53a)을 갖도록 하는 받침판(51,51a)을 2등분시켜 주어 간격조절수단이 조절되는 간격에 따라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판(51,51a)의 간격도 조절시켜 상기 받침판의 끝단부가 측면판(30)의 내측면에 갖추어져 있는 걸침요소(60)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각 받침판(51,51a)의 외측 끝단부는 측면판(30)의 내측에 갖추어져 있는 걸침요소에 걸쳐진 상태이고, 삽입편(52,52a)은 항상 헤드보드(21)와 전면판(41)의 내측면 중앙에 갖추어져 있는 걸침요소(60a)에 얹혀져 있는 상태이므로서, 간격조절수단의 간격 조절에 따라 받침판의 간격도 조절시 2등분으로 분할된 받침판이 하부로 떨어지는 일이 없음은 물론, 받침판의 중간지점을 걸침요소(60a)가 받쳐주고 있어 사용도중 매트리스의 중앙부분이 하부로 쳐지는 일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수단을 측면판(30)에 갖추어 침대의 길이를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간격조절수단을 측면판(30)에 적용시켜 줄 경우에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요소(50)에 갖추어지는 삽입편과 요입편의 방향도 전환되어 간격조절수단에 의해 측면판(30)의 늘어나는 길이에 따라 받침요소의 길이도 함께 조절될 수 있도록 함이 타당할 것이며, 상기 받침요소의 중간지점을 받쳐주는 걸침요소(60a)도 측면판(30)에 연결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침대를 이루게 되는 측면판의 양측 끝단에 체결고정되는 헤드보드와 전면판을 2등분시켜 이들을 간격조절수단에 의해 결합시켜 주어 사용하고자 하는 매트리스의 폭에 구애됨이 없이 침대 폭을 자유롭게 조절시켜 주므로서, 사이즈가 각기 다른 매트리스를 호환적으로 적용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임의의 형상 모양을 갖는 헤드보드요소와, 상기 헤드보드요소의 전면 하단 양측에 체결요소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측면판, 상기 측면판의 선단부에 양측면에 체결요소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전면판요소 및 상기 측면판의 내측면에 양측 끝단면이 걸쳐지도록 함과 아울러, 헤드보드와 전면판요소 중앙에 갖추어진 걸침요소에 의해 중앙부분이 걸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매트리스가 얹혀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요소로 이루어지는 침대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헤드보드요소와 전면판요소를 2등분 결합시켜 사이즈가 다른 매트리스를 호환적으로 적용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침대의 폭을 자유롭게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간격조절수단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헤드보드 및 전면판을 각각 2등분 되도록 분할시켜 주되, 한쪽의 헤드보드와 전면판의 일측면에 내측으로 요입되는 요입홈부를 갖추고, 다른 한쪽의 헤드보드와 전면판의 일면에는 상기 요입홈부내로 삽입시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삽입편으로 형성시켜 침대의 폭을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홈부가 갖추어진 헤드보드의 후면에 수평 방향의 장공을 갖추고, 상기 삽입편의 후면 선단부에는 장공과 동일한 위치에 조임요소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을 갖추어 매트리스의 폭에 맞추어 간격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침대의 폭이 조절된 상태에서 2등분된 헤드보드와 전면판이 견고하게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홈부 및 삽입편이 각각 갖추어진 헤드보드와 전면판의 하단부분에는 개방홈부와 이에 끼워져 받쳐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돌기를 각각 갖추어 간격조절수단에 의해 침대 폭의 조절시 요입홈부내에 삽입된 삽입편이 하부로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요소는 서로 교차되는 상태로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삽입편과 요입편을 갖도록 하는 받침판을 2등분 시켜 주어 간격조절수단이 조절되는 간격에 따라 받침판(51,51a)의 길이를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을 측면판에 갖추어 침대의 길이를 조절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KR1020060027356A 2006-03-27 2006-03-27 침대 KR100668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356A KR100668721B1 (ko) 2006-03-27 2006-03-27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356A KR100668721B1 (ko) 2006-03-27 2006-03-27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597A true KR20060065597A (ko) 2006-06-14
KR100668721B1 KR100668721B1 (ko) 2007-01-16

Family

ID=37160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356A KR100668721B1 (ko) 2006-03-27 2006-03-27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87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274B1 (ko) * 2014-03-26 2015-03-31 재단법인 노틀담수녀회 장애아용 카시트프레임
KR20190113012A (ko) * 2018-03-27 2019-10-08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파운데이션 삽입형 전동침대
JP2023070435A (ja) * 2021-11-09 2023-05-19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ベッドボードおよびベッ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857B1 (ko) * 2014-10-17 2016-09-22 (주) 이지웰 확장이 용이한 침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171U (ja) 1981-07-17 1983-01-27 ミサワホ−ム株式会社 伸縮ベツド
JPS59162056U (ja) 1983-04-14 1984-10-30 植野 精一 サイズを自在に伸縮可能なベツト
JPH0629457U (ja) * 1992-04-27 1994-04-19 博通 西川 シングル及びダブル両用ベッド
CA2375583A1 (en) 1999-07-07 2001-01-18 Danny Morris Furniture
KR200320309Y1 (ko) * 2003-04-30 2003-07-22 조태곤 침대 받침대
KR200363310Y1 (ko) 2004-07-16 2004-10-01 (주)메리노침대 침대용 바텀플레이트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274B1 (ko) * 2014-03-26 2015-03-31 재단법인 노틀담수녀회 장애아용 카시트프레임
KR20190113012A (ko) * 2018-03-27 2019-10-08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파운데이션 삽입형 전동침대
JP2023070435A (ja) * 2021-11-09 2023-05-19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ベッドボードおよびベ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8721B1 (ko) 200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5603A (en) Gang chair device
US6659560B1 (en) Office chair
US6709060B1 (en) Chair backrest
US20180125259A1 (en) Bed With Magnetic Couplers
US7861339B2 (en) Bed base
US7086100B1 (en) Joining assembly for child's bed
KR100668721B1 (ko) 침대
US20180252249A1 (en) Bi-directional bed rail assembly
JP3197985U (ja) ベビーベッド
KR20160010847A (ko) 확장성을 구비한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
KR101007755B1 (ko) 조립이 용이한 벤치
US6113205A (en) Self-assembled closet
TWI259126B (en) Tool suspension rack
KR200394115Y1 (ko) 의자용 팔걸이부 체결구조
WO2021081460A1 (en) Flexible material tightener with resilient coupler
JP3682184B2 (ja) ベッド装置
KR100828405B1 (ko) 높낮이 조절핀이 내장된 의자
JP3545971B2 (ja) ベッド用収納家具
JP3180565U (ja) 脚長調整装置
JP4094749B2 (ja) 陳列棚の棚板
US6081946A (en) Apparatus for accommodating variously sized headboards and footboards
KR200333717Y1 (ko) 침대 프레임의 고정구조
KR101545246B1 (ko) 침대 헤드보드 결합장치
KR200188145Y1 (ko) 침대용 이불걸이
KR200324836Y1 (ko) 침대용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