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5107A - 전원종료 횟수를 기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전원종료 횟수를 기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5107A
KR20060065107A KR1020040103841A KR20040103841A KR20060065107A KR 20060065107 A KR20060065107 A KR 20060065107A KR 1020040103841 A KR1020040103841 A KR 1020040103841A KR 20040103841 A KR20040103841 A KR 20040103841A KR 20060065107 A KR20060065107 A KR 20060065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rmal
abnormal
pow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5043B1 (ko
Inventor
홍창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3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5043B1/ko
Priority to CNA2005100870941A priority patent/CN1787673A/zh
Publication of KR20060065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상 전원종료 및 비정상 전원종료 등 총 전원종료 횟수를 계산, 저장 및 표시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와 사용이력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전원종료 횟수를 기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원종료 횟수를 기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정상 전원종료 및 비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횟수 데이터가 갱신되도록 하는 프로그램 소오스가 저장되며, 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가 기록되는 정상코드영역과 비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가 기록되는 비정상코드영역을 갖는 저장부, 및 상기 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를 상기 정상코드영역에 기록되도록 하고, 상기 비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는 상기 비정상코드영역에 기록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정상 또는 비정상코드영역에서 상기 정상 또는 비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가 검색될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정상 및 비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를 갱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종료 횟수를 기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 내부 소자의 수명은 단말기의 전체 전원종료 횟수와도 무관하지 않으므로, 정상 전원종료 및 비정상 전원종료의 총 횟수를 저장하고 이를 표시함으로써 단말기의 상태와 사용 이력을 알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 비활성 저장부

Description

전원종료 횟수를 기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RECORD POWER DOWN NUMBER OF TIME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요부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정상 전원종료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비정상 전원종료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이동 통신 단말기 20; 저장부
30; 비활성 저장부영역 32; 부트코드영역
34; 비정상코드영역 40; UI 영역
42; 정상코드영역 50; 제어부
60; 표시부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상 전원종료 및 비정상 전원종료 등 총 전원종료 횟수를 계산, 저장 및 표시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와 사용이력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전원종료 횟수를 기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가정용에서부터 휴대용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가 매우 넓은데, 흔히, 휴대폰, 핸드폰,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폰, 이동전화기(Mobile telephone), 개인 휴대 전화, 무선 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단말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 2000)단말기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상대방과 음성통화를 하거나, 음성 및 화상통화를 동시에 수행하거나, 문자메시지 등의 정보를 주고 받거나, 인터넷을 접속하거나, 이-메일을 주고 받는 등, 일상생활에서 늘 가까이 하게 되는 편리한 통신 도구로서 근자에 매우 널리 보급되고 있고, 그 발전 속도도 매우 빠르며 발전 양태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능이나 디자인 등이 새로운 이동 통신 단말기가 등장하게 되는 반면, 소비자들의 기호는 급변하여 소비자들이 사용하던 이동 통신 단말기를 버리고 새로운 단말기를 구입하게 되어 기존에 사용하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중고 단말 기로 거래되고 있다.
그런데, 중고 단말기의 거래시 겉으로는 멀쩡해보이는 단말기라 하더라도 내부의 상태가 멀쩡한지, 불량한지를 알아 볼 수 있는 마땅한 지표가 없으므로, 중고 단말기의 거래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 내부 소자의 수명은 단말기의 전체 전원종료 횟수와도 무관하지 않으므로, 정상 전원종료 및 비정상 전원종료의 총 횟수를 저장하고 이를 표시함으로써 단말기의 상태와 사용 이력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전원종료 횟수를 기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정상 전원종료 및 비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횟수 데이터가 갱신되도록 하는 프로그램 소오스가 저장되며, 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가 기록되는 정상코드영역과 비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가 기록되는 비정상코드영역을 갖는 저장부, 및 상기 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를 상기 정상코드영역에 기록되도록 하고, 상기 비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는 상기 비정상코드영역에 기록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정상 또는 비정상코드영역에서 상기 정상 또는 비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가 검색될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정상 및 비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를 갱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종료 횟수를 기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는 메모리이며, 상기 비정상코드영역은 상기 저장부의 비활성 영역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 등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와 사용 이력을 쉽게 알 수 있도록, 상기 정상 및 비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출시되는 대부분의 IT제품, 즉 PDA(개인휴대정보단말기), MP3플레이어,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이동 통신 단말기 등에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메모리가 사용되는데, 특히 메모리 중에서도 플래시 메모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플래시 메모리는 크게 낸드(NAND, 데이터저장형)과 노어형(NOR, 코드처리형)으로 구분되는데, 플래시 메모리는 전원을 끊어도 데이터가 없어지지 않는 메모리로, 기존 메모리 반도체인 RAM(정보의 기록과 삭제가 자유롭지만, 전원이 끊기면 저장된 데이터가 없어지는 휘발성 메모리)과 ROM(전원이 끊어져도 저장됐던 데이터가 없어지지 않으나, 일단 데이터를 입력시키면 소거가 불가능하여 정보의 기록과 삭제가 불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의 단점을 보완하여, 정보 입력 중에 전원을 꺼도 입력된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 비활성 메모리 칩일뿐 아니라 데이터를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최근 출시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메모리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도 사용되나, 이 외에도 D-RAM이 원칩화된 MCP(다중칩) 등 여러 종류의 메모리가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메모리는 여러 종류일 수 있으나, 그 종류에 상관없이 기능상으로 필요한 메모리는 시스템 프로그램 메모리 및 일반 데이터 메모리 등이 사용되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 프로그램 메모리 내에는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데이터 메모리 내에는 일반 사용자용의 데이터나 시스템 운용 시에 필요한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요부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사용되는 저장부(20)로서 메모리가 사용된다.
이러한 저장부(20)는, 부트코드영역(Boot Code, 32)과 비정상코드영역(Abnormal Code 또는 Panic Code, 34), UI(User interface, 40) 영역, 정상코드영역(Normal Code, 42)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저장부(20)에는 상기한 영역들 외에도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른 영역들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대한 설명 을 단순화하기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저장부(20)의 비정상코드영역(34)과 정상코드영역(42), 표시부(60)는 제어부(50)에 연결된다. 이때, 제어부(50)는 저장부(20)의 여러 영역들이 연결되나, 도시된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요부인 비정상코드영역(34)과 정상코드영역(42)를 잘 나타내기 위해 비정상코드영역(34)과 정상코드영역(42)만이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먼저, 비활성 저장부 영역(30)에 위치하는 부트코드영역(32)에는 단말기(10)의 구동에 관한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전원에 공급되면 가장 먼저 실행된다.
다음으로, 비정상코드영역(34)이 부트코드영역(32)과 같이 비활성 저장부영역(30)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비정상적으로 단말기(10)의 전원이 다운(종료)되게 되는 경우 예를 들어, 시스템 오류라던가 외부 충격에 의한 배터리의 이탈 등에 의해 전원이 갑자기 다운되었을 때, 비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를 전원이 다운되어도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 비활성 저장부영역(30)에 기록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다른 저장부 영역(UI 영역 등)에 기록하였을 경우 이를 저장하지 못하여 비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를 체크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상태와 사용이력을 알 수 있도록 총 전원종료 횟수를 갱신하고 저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UI 영역(40)에는 통상적으로 단말기(100의 여러 기능을 위한 다수의 코드영역(미도시)이 마련되며, 정상코드영역(42) 또한 그 중의 하나로서 위치하게 된다.
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가 기록되는 정상코드영역(42)은 비정상코드영역(34)과는 달리 UI 영역(40)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는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경우, 정상적인 전원종료 명령에 따라 단말기(10)의 전원이 오프되는 것을 기록하고 체크하여 저장부(60)에 저장된 전원종료 횟수를 갱신, 저장하는 것은 UI 영역(40)에 정상코드영역(42)이 위치하고 있어도 문제없이 구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표시부(60)는 정상 전원종료 및 비정상 전원종료 등 총 전원종료 횟수를 음성으로 표시하기 위한 스피커(미도시)나 시각으로 표시하기 위한 LCD(미도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쉽게 정상 및 비정상 전원종료 횟수를 알아 볼 수 있도록 LCD를 통해 표시되는 메뉴 중 "단말기 전원종료 횟수"와 같은 메뉴를 환경설정 메뉴 등의 서브메뉴 등에 추가하여 사용자가 쉽게 정상 및 비정상 전원종료 횟수를 알아 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종료 횟수를 기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정상 전원종료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10)의 전원키(미도시)를 눌러 단말기(10)를 구동시키게 되면(S10), 저장부(20)의 부트코드영역(32)에 저장되어 있는 시스템 프로그램에 의해 단말기(10)의 상태를 체크하고 사용 대기하게 된다(S20).
다음, 이동 통신 단말기(10)가 대기 상태이거나 사용 중인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전원이 오프되는,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전원키가 눌러져 전원종료 명령이 내려지거나, 배터리(미도시)가 떨어져 자동으로 전원이 오프(종료)되게 되는 등의 경우(S30)에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정상코드영역(42)에 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가 기록되게 된다(S40).
그리고, 제어부(50)는 정상코드영역(42)에 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게 되면, 이를 체크하여(S50) 저장부(60)에 저장되어 있는 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를 갱신하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S60).
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가 갱신되도록 하는 프로그램 소오스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NORMAL_PWR_DWN = NORMAL_PWR_DOWN+1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전원이 오프되게 된다(S70).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비정상 전원종료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단말기(10)의 전원키를 눌러 단말기(10)를 구동시키게 되면(S100), 시스템 프로그램에 의해 단말기(10)의 상태를 체크하고 사용 대기하게 된다(S110).
이동 통신 단말기(10)가 대기 상태이거나 사용 중인 상태에서 비정상적으로 전원이 오프(종료)되는(S120), 예를 들어 시스템 오류라던가 외부 충격에 의한 배터리의 이탈 등에 의해 전원이 갑자기 다운되었을 때에는 제어부(50)에서 이를 비활성 저장부영역(30)에 위치하는 비정상코드영역(34)에 기록하도록 제어하게 된다(S130).
그리고 비정상코드영역(34)에 비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가 기록된 후, 단말기(10)는 전원이 오프되게 되는 것이다(S140).
이후, 사용자가 전원키를 눌러 다시 이동 통신 단말기(10)를 구동시키게 되면(S150), 부트코드영역(32)에 저장되어 있는 시스템 프로그램에 의해 단말기(10)가 구동하게 된다.
여기서, 부트코드영역(32)에 저장되어 있는 시스템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비정상코드영역(34)에서 비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가 검색되게 되면(S160), 제어부(50)에서는 저장부(60)에 저장되어 있는 비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를 갱신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S170).
비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가 갱신되도록 하는 프로그램 소오스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BNORMAL_PWR_DWN = ABNORMAL_PWR_DOWN+1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대기 상태로 사용자의 명령을 대기하게 된다(S180).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종료 횟수를 기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 내부 소자의 수명은 단말기의 전체 전원종료 횟수와도 무관하지 않으므로, 정상 전원종료 및 비정상 전원종료 등의 총 전원종료 횟수를 저장하고 이를 표시함으로써 단말기의 상태와 사용 이력을 알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정상 전원종료 및 비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횟수 데이터가 갱신되도록 하는 프로그램 소오스가 저장되며, 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가 기록되는 정상코드영역과 비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가 기록되는 비정상코드영역을 갖는 저장부, 및
    상기 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를 상기 정상코드영역에 기록되도록 하고, 상기 비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는 상기 비정상코드영역에 기록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정상 또는 비정상코드영역에서 상기 정상 또는 비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가 검색될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정상 및 비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를 갱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종료 횟수를 기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메모리이며, 상기 비정상코드영역은 상기 저장부의 비활성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종료 횟수를 기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및 비정상 전원종료 횟수 데이터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종료 횟수를 기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040103841A 2004-12-09 2004-12-09 전원종료 횟수를 기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705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841A KR100705043B1 (ko) 2004-12-09 2004-12-09 전원종료 횟수를 기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CNA2005100870941A CN1787673A (zh) 2004-12-09 2005-07-26 用于记录电源关断次数的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841A KR100705043B1 (ko) 2004-12-09 2004-12-09 전원종료 횟수를 기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107A true KR20060065107A (ko) 2006-06-14
KR100705043B1 KR100705043B1 (ko) 2007-04-10

Family

ID=36784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841A KR100705043B1 (ko) 2004-12-09 2004-12-09 전원종료 횟수를 기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05043B1 (ko)
CN (1) CN17876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326B1 (ko) 2007-04-16 2009-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 이력 기반의 drm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이를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326B1 (ko) 2007-04-16 2009-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 이력 기반의 drm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이를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US8904546B2 (en) 2007-04-16 2014-1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rights management method and digital rights management-enabled port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87673A (zh) 2006-06-14
KR100705043B1 (ko) 2007-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6389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execution state of application program, applica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herein application program has been recorded
US9065902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hanges to a contact database
US7349688B2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pplication program execution state control method, and execution state control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1167342B (zh) 便携式通信终端的软件更新装置及其方法
KR10067941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데이터 복구 방법 및 장치
EP1624649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WO2006058817A1 (fr) Declenchement de session pro-active depuis une applet dans une carte a puce
KR20030054620A (ko) 멀티윈도우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기록매체와 이를구현하는 휴대전화기
EP1762938B1 (en) Linked operatio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100705043B1 (ko) 전원종료 횟수를 기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CN106371896B (zh) 虚拟机内存配置方法及装置、移动终端
JP5605846B2 (ja) 携帯端末及びその動作方法
KR10119674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차원 그래픽을 이용하는 계층적인유저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422797B1 (ko)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작업 중이던 사용자 작업 데이터자동 저장 및 로딩 방법
JP4901098B2 (ja) 端末
KR100661325B1 (ko) 비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문자메세지 전송 방법
KR20050027591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 관리 방법
KR101200236B1 (ko) 무선인터넷 플랫폼의 레이지 로딩 기능이 구비된 단말장비및 그 제어방법
JP2000253593A (ja) 携帯型無線電話装置とその電源制御方法
KR20050066127A (ko) 부가장치에서 커넥터 연결 시스템 및 방법
EP2090980A1 (en) Method circuit and system for interfacing with an electronic device
JP2004297279A (ja) 携帯型情報端末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30034727A (ko)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작업중인 메시지 자동 저장및 복원 방법
KR2005007054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전원 제어 방법
KR20050043851A (ko) 자동저장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