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5010A - 네트워크 에러에 따른 통신 제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에러에 따른 통신 제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5010A
KR20060065010A KR1020040103713A KR20040103713A KR20060065010A KR 20060065010 A KR20060065010 A KR 20060065010A KR 1020040103713 A KR1020040103713 A KR 1020040103713A KR 20040103713 A KR20040103713 A KR 20040103713A KR 20060065010 A KR20060065010 A KR 20060065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network
received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8666B1 (ko
Inventor
김용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103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666B1/ko
Publication of KR20060065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6Transport layer protocols, e.g. TCP [Transport Control Protocol] over 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TCP/IP를 이용한 서비스시 발생 가능한 네트워크 에러에 따라 대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TCP/IP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통신 서비스시 네트워크 망으로부터 전송되어 수신되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CMP :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메시지들 중 그 메시지 유형이 목적지 도착 불가능(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인지를 인식한다. 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를 인식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네트워크 상에 에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등의 수행을 처리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TCP/IP를 이용한 서비스시 네트워크 망 측으로부터 전송되어 수신되는 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네트워크 통신 자원 낭비의 초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CMP), 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

Description

네트워크 에러에 따른 통신 제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 able to control communication according to network error and method thereof}
도 1은 통상적인 통신 레이어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ICMP의 메시지 타입을 나타낸 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ICMP 메시지 형식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ICMP 메시지 중 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 형식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네트워크 에러에 따른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TCP/IP를 이용한 서비스시 발생 가능한 네트워크 에러에 따라 대처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통신 레이어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는 인터넷상의 컴퓨터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메시지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Internet Protocol)와 함께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IP가 실제로 데이터의 배달처리를 관장하는 동안, TCP는 데이터 패킷을 추적 관리한다. 여기서 메시지는 인터넷 내에서 효율적인 라우팅이 이루어지도록 여러 개의 작은 조각으로 나뉘어지는데, 이것을 패킷이라고 부른다. TCP는 연결지향 프로토콜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메시지들이 각단의 응용 프로그램들에 의해 교환되는 시간동안 연결이 확립되고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TCP는 IP가 처리할 수 있도록 메시지를 여러 개의 패킷들로 확실히 나누고, 반대편에서는 완전한 메시지로 패킷들을 채조립할 책임이 있다.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통신모델에서 TCP는 4계층인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에 속한다.
소켓(socket)은 TCP/IP를 이용하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로서, 어플리케이션에서 TCP/IP를 이용하는 창구 역할을 한다. 소켓은 소프트웨어로 작성된 통신 접속점이라고 할 수 있는데 네트워크 응용프로그램인 도시된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왑 브라우저(WAP Browser)가 될 수 있다)은 소켓을 통하여 통신망으로 IP 패킷을 송수신하게 된다. 참고로 응용 프로그램과 소켓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소켓 인터페이스라고 한다.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CMP :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은 TCP/IP 기반의 인터넷 통신 서비스에서 IP와 조합하여 통신 중에 발생하는 오류의 처리와 전송 경로의 변경 등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취급하는 무연결 전송(connectionless transmission)용의 프로토콜로써, RFC 792에 정의되어 있다. RFC(Request For Comments)란 미국의 인터넷 아키텍처 위원회(IAB)가 인터넷에 관한 조사, 제안, 기술, 소견 등을 공표한 온라인 공개 문서로써, 네트워크 프로토콜 또는 서비스를 구현할 때 필요한 절차와 형식 등 인터넷에 관한 정보를 알리기 위한 주요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RFC 792에 정의된 ICMP는 OSI 통신모델에서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에 속한다. 도 2는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은 ICMP의 메시지 유형을 나타낸 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ICMP는 크게 오류 통지를 위한 오류 메시지와 진단용 문답 메시지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현재 대부분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단말기 전반을 제어하는 퀄컴사의 MSM(Mobile Station Modem) 칩이 탑재되는데, 퀄컴 소스(Qualcomm Source)에서는 TCP/IP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환경 하에서 네트워크 망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ICMP 메시지들 중 Echo request, Timestamp request, Information request 만을 인식한다. 원래는 인식된 각 요청 메시지마다 요청된 정보가 포함된 Echo reply, Timestamp reply, Information reply를 보내야 하나, 현재 Qualcomm Source에서는 단지 Echo request, Timestamp request, Information request와 같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다는 의미 없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TCP/IP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네트워크 망을 통해 접속하고자 하는 호스트로 패킷을 전송하게 되는데, 네트워크 망 상의 특별한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에 라우터나 호스트 등은 클라이언트인 이동통신 단말기 로 ICMP 메시지들 중 도 2에 도시된 type 3인 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는 네트워크 망 상의 라우터가 해당 경로를 찾지 못한 경우, 목적지 시스템(호스트)의 특정 포트 번호가 현재 응답할 수 없는 경우, 그리고 기타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요청을 처리할 수 없는 경우에 생성된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는 라우터나 호스트 등으로부터 전송된 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를 수신한다 하더라도, 어떤 메시지인지를 인식할 수 없게 되어 그 메시지를 무시한다. 그리고 패킷이 목적지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면, TCP와 같은 Transport layer는 일정 시간, 일정 횟수 반복해서 재전송을 수행할 뿐 네트워크 상의 문제점을 조기에 파악하고 대처할 수 없게 된다. 결국 이동통신 단말기는 불필요한 망 연결 상태를 계속 유지하거나, 계속되는 접속 시도 등으로 인해 자원 낭비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TCP/IP를 이용한 서비스시 네트워크 에러를 인식하여 불필요한 망 연결 상태를 계속 유지하거나, 계속되는 접속 시도 등으로 인해 자원 낭비를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TCP/IP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통신 서비스시 네트워크 망으로부터 전송되어 수신되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CMP :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메시지들 중 그 메시지 유형이 목적지 도착 불가능(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인지를 인식한다. 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를 인식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네트워크 상에 에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등의 수행을 처리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TCP/IP를 이용한 서비스시 네트워크 망 측으로부터 전송되어 수신되는 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네트워크 통신 자원 낭비의 초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키패드(110)와, 메뉴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20)와,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추출하는 무선 통신부(130)와, 이 무선 통신부(130)로부터의 음성 통화 신호를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해 입출력하는 음성 입출력회로(140)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메모리(150) 및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160)와 같 은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포함한다.
우선 키패드(110)와, 통상 액정표시장치인 표시부(120)는 통상적인 주지된 구성이 될 수 있다. 메모리(150)는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데이타가 저장되는 롬 영역과, 단말기 제어동작시 발생하는 데이터들이 일시 저장되는 램 영역으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150)는 바람직하게 TCP/IP를 이용하는 예를 들어 왑 브라우저(WAP Browser)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다.
무선 통신부(130)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 및 알에프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음성 입출력회로(140)는 디지탈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또는 그 역의 변환을 처리하며, 오디오 증폭회로나 필터와 같은 부가회로를 포함하는 주지된 구성이다. 무선 통신부(130)의 기저대역 회로와, 제어부(160)의 대부분의 회로는 단일의 집적회로로 상용화되어 제공되고 있다. 통상 MSM 칩으로 불리는 이 집적회로는 내부에 통신을 처리하는 전용의 하드웨어와, 디지탈 신호처리기 및 범용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어부(160)를 구성하는 각 부분들은 전용의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혹은 이들의 혼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제어부(160)는 네트워크 에러 인식부(163)와, 이벤트 처리부(165)를 더 포함한다. 우선 사용자가 키패드(100)를 조작하여 TCP/IP를 이용하는 예를 들어 왑 브라우저(WAP Browser)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자 하면, 제어부(16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로딩하여 실행한다. 제어부(160)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호스트에 접속하 여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패킷을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30)를 통해 네트워크 망으로 전송함에 의해 호스트와의 접속 및 통신을 시도한다. 그러나 IP 프로토콜은 비연결형으로 패킷이 확실히 전송된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네트워크 상의 라우터나 호스트(노드) 등에서 오류가 생겨 목적지까지 도달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만일 네트워크에서 라우터 등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송된 패킷을 제대로 라우팅하지 못하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클라이언트인 이동통신 단말기로 ICMP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경우 전송되는 ICMP 메시지 타입은 목적지 도착 불가능(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이다. 여기서 ICMP란 인터넷의 라우터가 다른 라우터나 호스트들에게 오류메시지나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하여 전송상의 에러나 예상치 못한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프로토콜이다. ICMP는 호스트 서버(Server)와 인터넷 게이트웨이(Gateway) 사이에서 메시지를 제어하고 에러를 알려주는 프로토콜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RFC 792에 정의되어 있다.
네트워크 에러 인식부(163)는 네트워크 측(라우터, 혹은 호스트)으로부터 전송되어 무선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된 ICMP 메시지가 목적지 도착 불가능(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인지를 인식한다. 바람직한 양상에 따라 네트워크 에러 인식부(163)는 ICMP 메시지가 도 2에 도시된 여러 타입들 중 type 3인지를 판단한다. 이는 수신된 ICMP 메시지에 포함된 타입 정보가 type 3인지를 체크함에 의해 가능하다. 도 4에는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은 ICMP 메시지 형식이 도시되어 있 다. 각각의 ICMP 메시지 타입들은 자신만의 고유한 형식을 가지고 있지만 처음 3 필드(type 필드, code 필드, check 필드)는 모두 동일하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에러 인식부(163)는 첫 필드인 type 필드의 type 3를 나타내는 8비트 값을 통해 ICMP 메시지가 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임을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 네트워크 에러 인식부(163)에 의해 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가 무선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됨이 인식되면, 이벤트 처리부(165)는 해당 이벤트를 처리한다. 여기서 이벤트란 네트워크 에러 상태에서 통신 연결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종료 처리하거나, 아니면 다른 통신 경로를 통해 통신 재연결을 수행하는 처리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벤트 처리부(165)는 다양한 원인에 따른 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에 따라 해당 이벤트 수행을 하기 위해 내용 정보 체크부(165a)와, 이벤트 처리 담당부(16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용 정보 체크부(165a)는 수신된 ICMP 메시지가 네트워크 에러 인식부(163)에 의해 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임을 인식하면,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전송된 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 원인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인지 그 내용 정보를 체크한다. 바람직한 양상에 따라 내용 정보 체크부(165a)는 도 4와 같은 형식을 갖는 수신된 ICMP 메시지(여기서는 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에 포함된 code 필드의 8비트 코드값을 통해 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 내용 정보를 체크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5에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은 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 형식을 도시하였다. 즉, 내용 정보 체크부(165a)는 도 5에 도시된 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 형식의 2번째 필드인 코드값을 체크함에 의해 추가적인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코드값에 따른 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의 추가 정보는 다음과 같으며, 이에 대해 몇가지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code 0(Network unreachable) - 이 에러 메시지는 이 오류를 보고하는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에서 목적지 네트워크를 위한 경로를 찾지 못한 경우에 생성된다.
code 1(Host unreachable) - 이 에러 메시지는 IP 데이터그램이 최종 목적지 시스템에 전달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최종 단계의 라우터가 목적지 시스템에 이르는 방법을 모르는 경우에 생성된다.
code 2(Protocol unreachable) - 이 에러 메시지는 목적지 시스템에서 특정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XTP와 같은 비표준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그 프로그램을 지원하지 않는 다른 호스트와 통신하는 경우에 나타난다.
code 3(Port unreachable) - 이 에러 메시지는 목적지 시스템에서 특정 목적지 포트 번호가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외에도 code 4(Fragmentation needed but DF bit set), code 5(Source router failed), code 6(Destination network unknown), code 7(Destination host unknown), code 8(Source host isolated), code 9(Destination network administratively prohibited), code 10(Destination host administratively prohibited), code 11(Network unreachable for TOS), code 12(Host unreachable for TOS), code 13(Communication administratively prohibited by filtering), code 14(Host precedence violation), code 15(Precedence cutoff in effect)가 있으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벤트 처리 담당부(165b)는 내용 정보 체크부(165a)에 의해 체크된 코드값에 따라 현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거나, 통신 재연결을 하는 등의 해당 이벤트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내용 정보 체크부(165a)에 의해 체크된 코드값이 code3(Port unreachable)인 경우, 이벤트 처리 담당부(165b)는 통신하고자 하는 호스트의 접속 포트를 변경하여 통신 재연결을 수행하는 처리를 할 수 있다. 아니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네트워크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TCP/IP를 이용한 서비스시 네트워크 망 측으로부터 전송되어 수신되는 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를 인식하여 이에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네트워크 통신 자원 낭비 및 단말기의 전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네트워크 에러에 따른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어부(160)는 예를 들어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TCP/IP를 이용하는 왑 브라우저(WAP Browser)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있는지를 판단한다(602단계). 판단 결과 애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있으면, 제어부(160)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로딩하여 실행한다. 제어부(160)는 애플 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패킷을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30)를 통해 통신하고자 하는 해당 호스트로 전송 처리한다(604단계). 무선 통신부(130)를 통해 전송 처리된 패킷은 네트워크 망의 라우터 등을 경유하게 되는데, 이 때 네트워크 망의 다양한 에러로 인해 라우터 혹은 호스트는 ICMP 메시지 중 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를 클라이언트인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무선 통신부(130)를 통해 ICMP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메시지가 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인지를 판단한다(608단계).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양상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ICMP메시지 형식 중 type 필드의 8비트 값이 type 3을 나타내는지를 체크함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수신된 메시지가 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이면, 제어부(160)는 현재 실행되는 TCP/IP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등의 이벤트를 수행한다(612단계).
제어부(160)는 추가적 양상에 따라 608단계 다음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의 코드값을 체크할 수 있다(610단계).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된 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의 다양한 코드값에 따라 612단계에서 수행되는 해당되는 이벤트 처리를 나눈 경우에 유용하다. 예를 들어 코드값이 code3(Port unreachable)인 경우, 제어부(160)는 통신하고자 하는 호스트의 접속 포트를 변경하여 통신 재연결을 수행하는 이벤트 처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608단계에서 아니오이면, 제어부(160)는 수신된 ICMP가 인식 가능한 메시지 인지를 판단한다(620단계). 현재 Qualcomm Source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Echo request(type 8), Timestamp request(type 13), Information request(type 15)와 같은 ICMP 메시지만 인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ICMP 메시지 타입이 수신된 경우에 제어부(16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메시지를 수신하였다는 의미 없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해당 처리를 수행한다(622단계). 그 이외의 ICMP 메시지 타입이 수신된 경우에 제어부(160)는 어떤 메시지인지를 알 수 없으므로 무시한다(624단계). 그리고 612단계에서 제어부(160)가 어플리케이션 종료 이벤트 처리를 수행하였다고 한다면, 614단계의 종료 명령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파워-오프 명령일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해당 종료 명령에 따라 종료 처리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TCP/IP를 이용한 서비스시 네트워크 망 측으로부터 전송되어 수신되는 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를 인식하여 이에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네트워크 통신 자원 낭비 및 단말기의 전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TCP/IP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로딩하여 실행함에 의해 네트워크 망을 통해 특정 호스트와의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네트워크 에러에 따라 통신 수행이 불가능함을 초기에 인식하여 그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에러에 따른 통신 제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
    네트워크 망으로부터 전송되어 수신되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CMP :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메시지가 목적지 도착 불가능(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인지를 인식하는 네트워크 에러 인식부와;
    상기 목적지 도착 불가능 메시지 인식부에 의해 상기 목적지 도착 불가능 메시지가 수신됨을 인식하면, 해당 이벤트를 처리하는 이벤트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에러에 따른 통신 제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에러 판단부가 수신되는 ICMP 메시지가 목적지 도착 불가능 메시지인지를 인식하는 것은 :
    ICMP 메시지 형식에 포함된 타입 정보가 type 3인지를 판단함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에러에 따른 통신 제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종료, 통신 재연결 수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에러에 따른 통신 제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처리부가 :
    상기 네트워크 에러 인식부에 의해 상기 목적지 도착 불가능 메시지가 수신됨을 인식하면, 수신된 ICMP 메시지의 내용 정보를 체크하는 내용 정보 체크부와,
    상기 정보 체크부에 의해 체크된 ICMP 메시지의 내용 정보에 따라 해당 이벤트를 처리하는 이벤트 처리 담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에러에 따른 통신 제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 정보 체크부가 수신된 목적지 도착 불가능 메시지의 내용 정보를 체크하는 것은 :
    수신된 ICMP 메시지 형식에서 코드값을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에러에 따른 통신 제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7. TCP/IP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로딩하여 실행함에 의해 네트워크 망을 통해 특정 호스트와의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네트워크 에러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네트워크 망으로부터 전송되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CMP :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수신된 ICMP 메시지가 목적지 도착 불가능(Destination unreachable)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c) 판단 결과 수신된 ICMP 메시지가 목적지 도착 불가능 메시지이면, 해당 이벤트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네트워크 에러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가 목적지 도착 불가능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
    수신된 ICMP 메시지 형식에 포함된 타입 정보가 type 3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네트워크 에러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종료, 통신 재연결 수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네트워크 에러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가 :
    c1) 상기 단계 b)에서의 판단 결과 수신된 ICMP 메시지가 목적지 도착 불가능 메시지이면, 수신된 ICMP 메시지의 내용 정보를 체크하는 단계와,
    c2) 체크된 ICMP 메시지의 내용 정보에 따라 해당 이벤트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네트워크 에러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1)이 수신된 ICMP 메시지의 내용 정보를 체크하는 것은 :
    수신된 ICMP 메시지 형식에서 코드값을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네트워크 에러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
KR1020040103713A 2004-12-09 2004-12-09 네트워크 에러에 따른 통신 제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KR100698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713A KR100698666B1 (ko) 2004-12-09 2004-12-09 네트워크 에러에 따른 통신 제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713A KR100698666B1 (ko) 2004-12-09 2004-12-09 네트워크 에러에 따른 통신 제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010A true KR20060065010A (ko) 2006-06-14
KR100698666B1 KR100698666B1 (ko) 2007-03-23

Family

ID=37160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713A KR100698666B1 (ko) 2004-12-09 2004-12-09 네트워크 에러에 따른 통신 제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666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510B1 (ko) * 2002-08-03 2006-01-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Cdma 시스템에서의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장치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8666B1 (ko) 200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0085B1 (en) Sending keep-alive messages on behalf of another device via keep-alive proxy
JP4589405B2 (ja) クライアント援用ファイヤウオール構造
US20050037751A1 (en) Wireless gateway
US7313134B2 (en) Proxy server for relaying VOIP messages
EP1089495B1 (en)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between two network access technologies without interrupting active network applications
EP1792468B1 (en) Connectivity over stateful firewalls
EP1886455B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web server on a device with a dynamic ip-address residing a firewall
US20030227939A1 (en) Establishing a connection using a hybrid receiver
US200401869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atching incoming data in a multi-application terminal
KR101120856B1 (ko) 무선 장치에 대한 접속 해제 시간 준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7389334B2 (en) Exposing bluetooth compliant wireless device connection as modems or sockets
US20070142076A1 (en) Alarm and messaging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wireless network gateway
US7633931B2 (en) Method for dynamically handling the data path of a wireless IP phone
US20020196797A1 (e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method to preserve communication link bandwidth in a packet communication session
KR100698666B1 (ko) 네트워크 에러에 따른 통신 제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US200600955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services in proximity networks for legacy application
US71167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ed report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5210281A (ja) メッセージ通信方法及びメッセージ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