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6510B1 - Cdma 시스템에서의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Cdma 시스템에서의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6510B1
KR100546510B1 KR1020020045973A KR20020045973A KR100546510B1 KR 100546510 B1 KR100546510 B1 KR 100546510B1 KR 1020020045973 A KR1020020045973 A KR 1020020045973A KR 20020045973 A KR20020045973 A KR 20020045973A KR 100546510 B1 KR100546510 B1 KR 100546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onitoring
messages
log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2402A (ko
Inventor
연영철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5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6510B1/ko
Publication of KR20040012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6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6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DMA 교환기 및 기지국에서 발생되는 다수의 메시지 중 시스템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는 주요 알람(Alarm) 메시지나, 장애(Fault) 메시지, 상태(Status)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발견될 경우에 해당 운용자 컴퓨터에 자동으로 알려주는 CDMA 시스템에서의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장치는 무선통신 단말기(200), 무선 기지국(210), 이동통신 교환국(MSC: Mobile Switched Center)(220), 공중 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230), 데이터 코어망(DCN: Data Core Network)(240), 게이트웨이(G/W)(242),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G/W(244), 인터넷(246), 감시용 컴퓨터(250), 메시지 감시 서버(260), 메시지 감시 데이터베이스(2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기지국이나 이통통신 교환국의 시스템 이상을 판단할 수 있는 중요 메시지의 감시를 통해 해당 장비 및 해당 부품을 쉽게 확인하여 바로 복구 등의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다.
CDMA 시스템, UDP, 메시지 감시, 장애 메시지, 페이저 메이트, TCP

Description

CDMA 시스템에서의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Important System Messages in CDMA System}
도 1은 종래의 메시지 감시 장치에서 제공되는 장애 메시지를 나타낸 예시 화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DMA 시스템에서의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DMA 시스템에서의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페이저 메이트가 사용하는 메시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유디피 전송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메시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IP 데이터그램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TCP 데이터 전송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메시지 감시 서버가 포착한 중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감시용 컴퓨터가 메시지 감시 서버로부터 수신한 중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무선통신 단말기 210 : 무선 기지국
212 : 기지국 전송기 214 : 기지국 제어기
220 : 이동통신 교환국 230 : PSTN
240 : DCN 242 : 게이트웨이
244 : WAP 게이트웨이 246 : 인터넷
250 : 감시용 컴퓨터 260 : 메시지 감시 서버
270 : 메시지감시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CDMA 시스템에서의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DMA 교환기 및 기지국에서 발생되는 다수의 메시지 중 시스템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는 주요 알람(Alarm) 메시지나, 장애(Fault) 메시지, 상태(Status)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발견될 경우에 해당 운용자 컴퓨터에 자동으로 알려주는 CDMA 시스템에서의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은 크게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 기지국 및 이동국(단말기)으로 대별할 수 있다. 상기 CDMA 시스템의 구성부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교환기(MSC)는 각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와의 연결과 가입자에 대한 정보 및 인증, 관련 부가 장비들로 구성되며, 다른 망과의 접속을 이루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교환기는 각 기지국에서의 발호, 착호를 처리하고, 모든 기지국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중앙 통제 기능과 함께 공중 전화망(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 PSTN)의 교환기와도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며, 제어부, 통화로부 및 주변기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통화가 완료된 호에 대한 과금 자료 수집 기능도 갖는다.
상기 기지국은 기지국 제어기(BSC), 기지국 전송기(BTS) 및 중계기(Cell Enhancer) 등으로 구성되는데, 이동국이 원하는 상대방과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교환기와 연결된다.
상기 이동국은 무선 송수신기, 안테나 및 제어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국, 기지국, 그리고 교환기는 서로 통화 회선과 데이터 링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연결 구조의 CDMA 시스템은 각 이동국이 통화할 때는 한 쌍의 송수신 무선 채널을 사용하지만 채널은 어떤 특정 주파수 채널로 고정되어 있지않고 통화 중에도 단말기의 이동에 따라 다른 채널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그 지역에 할당된 채널이면 어떤 채널로든지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 외에도 상기 CDMA 시스템은 많은 단위들로 구성되는데, 상술한 교환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 기지국 전송기), 이동국 외에도 전송로, 보코더, 채널, 주파수, 서브 셀 및 기타 장비로 이루어진 복잡한 구성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복잡한 구성을 이루는 CDMA 시스템은 다양한 종류의 각종 장비들이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시스템을 운영하는 중에 많은 양의 장애와 시스템 이상이 끊 임없이 장비들에게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CDMA 시스템의 장애 및 이상은 그 원인이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각 장비들에서 발생하는 장애 메시지나 상태 메시지의 양 또한 무수히 많다. 따라서, CDMA 시스템에 설치된 장비들로부터 발생하는 각종 메시지를 감시할 수 있는 메시지 감시 장치가 CDMA 시스템상에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 운용되고 있는 메시지 감시 장치는 무선 기지국이나 교환국 등에 설치된 각종 장비에서 발생하는 모든 메시지를 단순히 무작위로 디스플레이 하거나, 특정한 장애 메시지가 발생했을 때 가청 경보 등을 발생시키는 등의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메시지 감시 장치에서 제공되는 장애 메시지를 나타낸 예시 화면이다.
메시지 감시 장치는 CDMA 시스템상에 설치된 각종 장비들로부터 발생하는 장애 메시지를 수집하여 도 1의 예시 화면에서와 같이 일정한 정보, 예컨대, 발생 시간, 장애 코드, 위치, 장애 세부 정보 등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도 1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메시지 감시 장치는 장애 종류별로 특정한 장애 코드(Code)가 할당되어 있으며, 각 코드별로 장애의 중요도를 설정 및 분류하여 관리하고 있다. 예컨대, 무선 기지국의 장비 중 특정 회로 기판(Board)의 불량으로 인한 일부 호처리 불가능과 같은 장애 메시지는 중요도가 낮은 반면, 무선 기지국의 시스템 다운(Down)으로 인한 무선 기지국내의 모든 호처리 불가능과 같은 장애 메시지는 중요도가 매우 높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메시지 감시 장치는 CDMA 시스템에 치명적인 중요 장애 메시지가 발생된 경우에는 관리자의 컴퓨터에서 경보음 등의 송출을 가능하게 하여 관리자가 장애 발생 사실을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은 추가로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메시지 감시 장치에서 제공하는 중요 장애 메시지 발생시 경보음 송출 기능은 단순하게 장애 발생 사실과 장애 발생 장비의 위치만을 알려줄 뿐 언제부터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장애 메시지가 어떤 주기(예컨대 시간당 몇회 발생)로 발생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장애 메시지가 발생했을 때 일시적으로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지속적으로 장애가 발생했는지, 언제부터 장애가 발생했는지, 장애의 발생 빈도는 어떤지 등을 판단하기 위하여 시간을 소비하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중요 장애가 발생하였음에도 신속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아 통신 시스템에 매우 나쁜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메시지 감시 장치는 모든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무작위적으로 제공할 뿐 기타의 다른 기능은 거의 제공하고 있지 않아, 가끔 드물게 발생되는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를 관리자가 곧바로 인지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즉, 도 1의 예시화면에서 'F9201'과 같이 중복되는 메시지 코드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경우도 빠르게 다음 화면으로 바뀌는 관계로 실제 현장에서 관리자가 인지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예컨대, 관리자가 예의 주시한 채로 계속해서 컴퓨터의 모니터 화면을 주시하고 있지 않다면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를 인지하기가 매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시지 감시 장치는 해당 시스템이 설치된 장소에서만 감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지역적인 제한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CDMA 교환기 및 기지국에서 발생되는 다수의 메시지 중 시스템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는 주요 알람(Alarm) 메시지나, 장애(Fault) 메시지, 상태(Status)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발견될 경우에 해당 운용자 컴퓨터에 자동으로 알려주는 CDMA 시스템에서의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장치는, 무선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통화 요청을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전송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와 상대방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선 기지국; 가입자에 대한 정보 및 인증, 부가 장비들로 이루어지며, 다른 망과의 접속을 이루는 역할을 담당하며, 상기 무선 기지국에서의 발호, 착호를 처리하고, 모든 무선 기지국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중앙 통제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교환국; 상기 무선 기지국이나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의 각 장비에서 발생하는 메시지 중, 시스템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는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를 감시하여 디스플레이해주거나 경보음으로 출력하는 감시용 컴퓨터; 다수의 상기 무선 기지국이나 다수의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에 설치된 각종 장비에서 발생하는 장애 메시지를 포함하는 중요도가 높은 알람 메시지, 상태 메시지를 수집하여 상기 감시용 컴퓨터로 전송해 주는 메시지 감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는 메시지 감시 장치의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방법으로서, (a) 상기 감시용 컴퓨터에 상기 감시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상기 메시지 감시 서버에 상기 전송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감시 프로그램과 상기 전송 프로그램의 통신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감시용 컴퓨터에 설치된 상기 감시 프로그램과 상기 메시지 감시 서버에 설치된 상기 전송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 (d) 상기 메시지 감시 서버가 상기 무선 기지국과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에서 발생되는 메시지를 감시하는 단계; (e) 상기 메시지 감시 서버가 감시되는 메시지 중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가 포착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메시지 감시 서버에서 포착된 메시지의 발생 위치, 메시지 코드, 발생 일자 및 시간대가 포함된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g) 상기 메시지 감시 서버가 생성한 상기 전송 메시지를 상기 감시용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h) 상기 감시용 컴퓨터에서 상기 메시지 감시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송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DMA 시스템에서의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장치는 무선통신 단말기(200), 무 선 기지국(210), 이동통신 교환국(MSC: Mobile Switched Center)(220), 공중 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230), 데이터 코어망(DCN: Data Core Network)(240), 게이트웨이(G/W)(242),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G/W(244), 인터넷(246), 감시용 컴퓨터(250), 메시지 감시 서버(260), 메시지 감시 데이터베이스(2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통신 단말기(200), 무선 기지국(210), 그리고 이동통신 교환국(220)은 서로 통화 회선과 데이터 링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연결 구조의 CDMA 시스템은 각 무선통신 단말기(200)가 통화할 때 한 쌍의 송수신 무선 채널을 사용하지만 채널은 어떤 특정 주파수 채널로 고정되지 않고 통화 중에도 단말기의 이동에 따라 다른 채널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그 지역에 할당된 채널이면 어떤 채널로든지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무선 기지국(210)은 DCN(240)을 거쳐 게이트웨이(242), 무선 인터넷을 위한 WAP 게이트웨이(244), 및 인터넷(246)에 접속된다.
무선통신 단말기(200)는 이동하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음성이나 패킷(Packet)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호(Call)시도를 수행하는 단말기로서, 무선 송수신기, 안테나, 제어 장치 등을 포함하고 있다.
무선 기지국(210)은 기지국 전송기(BTS: Base-station Transmission System)(212),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214), 및 중계기(Cell Enhancer: 미도시) 등으로 구성되며,
무선 기지국(210)은 무선통신 단말기(20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무선 통신 단말기(200)에서 발생하는 통화 요청을 이동통신 교환국(220)으로 전송하여 무선통신 단말기(200)와 상대방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DCN(240)과 연결된다.
이동통신 교환국(220)은 각 기지국 제어기(214)와의 연결과 가입자에 대한 정보 및 인증, 관련 부가 장비들로 구성되며, 다른 망과의 접속을 이루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이동 통신 교환국(220)은 각 무선 기지국(210)에서의 발호, 착호를 처리하고, 모든 무선 기지국(210)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중앙 통제 기능과 함께 트렁크 라인(Trunk Line)을 통해 PSTN(230)의 교환기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 통화로부, 및 주변기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지 보수 및 통화가 완료된 호에 대한 과금 자료 수집 기능도 갖는다.
감시용 컴퓨터(250)는 이동통신 시스템상의 무선 기지국(210)이나 이동통신 교환국(220) 등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관리자용 컴퓨터로서, 각 장비에서 발생하는 장애를 확인 및 감독하며, 특히 시스템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는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를 메시지 감시 서버(260)를 통해 감시하여 디스플레이해주거나 경보음 등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 감시용 컴퓨터(250)에는 메시지 감시 서버(260)를 통해 메시지의 송수신을 감시하는 프로그램, 예컨대 "페이저 메이트(Pager Mate)"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페이저 메이트" 프로그램은 UDP(User Data Protocol)를 이용하여 메시지 감시 서버(260)로부터 감시된 중요 시스템 메시지를 수신하는 프로그램이다. 즉, 수신한 메시지를 메시지 코드별, 발생 위치별, 발생 시간대별, 발생 일자별 등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는 감시용 컴퓨터(250)의 스피커 등을 통해 경보음을 송출하거나 모니터 화면상에 경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페이저 메이트" 프로그램은 메시지 감시 서버(260)에 대한 클라이언트(Client)용 프로그램으로서, 설치될 운영 체제로는 Windows 98, Windows 2000 Professional 등이다.
상기 "페이저 메이트"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파일 옵션(File Option)으로는 "TCP Port", "메시지 큐", "메시지 선택", "SYS", "BTS", "ELSE", "로그파일 설정", "파일-경보음", "로그-최근로그열기", "로그-백업로그열기", "메시지 클릭" 등이 있다.
상기 파일 옵션에서, "TCP Port"는 메시지 감시 서버(260)에서 메시지를 보낼 때 사용하는 UDP 포트를 일컫는 것이며, "메시지 큐"는 "페이저 메이트" 화면에서 보여주는 메시지의 수를 나타낸다. "메시지 선택"은 "페이저 메이트"가 도 4에 도시된 메시지 구조에서 헤더를 사용하여 메시지 클래스(Class)를 조정하는데, 여기서 선택된 클래스만이 화면에 표시된 것을 말한다. 도 4에 도시된 메시지 구조는 "헤더(Header) + 데이터"로 구성되고, 헤더에는 메시지 클래스가, 데이터에는 메시지 내용이 포함된다. 또한, "SYS"는 교환기 관련 메시지를 나타내고, "BTS"는 기지국 관련 메시지를 나타내며, "ELSE"는 상기 "SYS"와 "BTS" 이외의 모든 메시지를 나타낸다.
"로그파일 설정"은 로그 파일의 용량(Size)을 지정한다. "페이저 메이트" 화면에 표시된 메시지는 로그 파일로 저장된다. 로그 파일은 "페이저 메이트"가 설치된 폴더에 "MsgLog_A.txt" 파일과 "MsgLog_B.txt" 파일 등 2 개를 번갈아 사용한다. 하나의 로그 파일이 지정된 용량이 되면 다른 로그 파일을 내용을 지우고 계속 사용하게 된다.
"파일-경보음"은 메시지 감시 서버(260)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Noti.wav" 파일을 경보음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체크가 되지 않으면 경보음을 출력하지 않는다. "로그-최근로그열기"는 현재 사용중인 로그 파일을 메모장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말하며, "로그-백업로그열기"는 지나간 로그 파일을 메모장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말한다. "메시지 클릭"은 메시지를 클릭할 때마다 배경색이 바뀌는 것으로, 이는 단순히 사용자가 체크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감시용 컴퓨터(250)는 메시지 감시 서버(260)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어 "페이저 메이트" 프로그램을 통해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가 있다. 물론, 감시용 컴퓨터(250)는 메시지 감시 서버(260)에 네트워크를 통해 항상 접속이 가능한 상태이다.
한편, 상기 "페이저 메이트"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CDMA 뿐만 아니라 TDMA, FDMA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2에서, 메시지 감시 서버(260)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수의 무선 기지국(210)이나 이동통신 교환국(220) 등에 설치된 각종 장비에서 발생하는 장애 메시지를 비롯한 알람 메시지, 상태 메시지 등을 수집하여 메시지 감시 데이터 베이스(262)에 저장한다. 즉, 메시지 감시 서버(260)는 수집된 중요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들 중에서 메시지가 발생한 시간(년, 월, 일, 시, 분, 초) 정보, 메시지 코드 정보, 메시지가 발생한 장비의 위치 정보, 메시지의 세부 정보 등을 추출하여 메시지 감시 데이터베이스(262)에 저장한다. 그리고, 메시지 감시 서버(260)는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가 발생된 장비를 관리하는 감시용 컴퓨터(250)로 해당 메시지를 전송해 주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 메시지 감시 서버(260)는 감시용 컴퓨터(250)로 메시지를 전송해 주는 프로그램, 예컨대 "유디피 전송(Udp Send)"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디피 전송" 프로그램은 "Unix"나 "Linux" 등의 서버 운영 체제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설치 패키지를 이용하여 일반 응용 프로그램과 같이 설치된다.
도 5는 "유디피 전송"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메시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디피 전송" 프로그램은 메시지를 전송하라는 명령어(udpsend),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주소(ip_addr),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신 포트(tcp_port), 전송하는 메시지 내용(user_message)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주소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사용하며, 도 5에서는 "150.2.255.255"를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IP는 네트워크 내부 및 네트워크간의 데이터 패킷(IP 데이터그램)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OSI 참조 모델의 네트워크층(제3층)의 커넥션리스(Connectionless)형 프로토콜으로서, IP 어드레스의 설정 및 식별, IP 데이터그램의 처리(패킷의 분해 및 조립), IP 데이터그램이 상대방에게 도달하기까지의 통신 경로의 제어 기능을 한다.
IP 어드레스는 32 비트로 구성되며, 선두의 1-4비트로 어드레스의 종류(클래스)를 식별한다. 각 클래스마다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호스트 어드레스의 필드 길이가 다르다. "클래스A 어드레스"는 대규모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나타내며, 선두 1비트가 0으로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7비트, 호스트 어드레스가 24비트이다. "클래스B 어드레스"는 중규모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나타내며, 선두 2비트가 10으로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14비트, 호스트 어드레스가 16비트이다. "클래스C 어드레스"는 소규모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나타내며, 선두 3비트가 110으로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21비트, 호스트 어드레스가 8비트이다. "클래스D 어드레스"는 멀티캐스트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며, 처음 4비트가 1110이고 그 어드레스가 28비트이다. "클래스E 어드레스"는 장래를 위해 예약(Reserve)되어 있는 어드레스로 선두 4비트가 1111이다.
한편, 어느 클래스에 있어서도 호스트 어드레스로서 모두 0 또는 모두 1은 사용할 수 없다. 모두 0 은 호스트 어드레스가 불명인 경우를 위해서 예약되어 있고, 모두 1은 브로드캐스트 어드레스용으로써 예약되어 있다.
IP 데이터그램이 IP층(네트워크층)과 데이터 링크층 사이에서 교환될 때, 데이터링크 프레임의 크기에는 통상 물리층의 제약 등에 의한 상한이 있어, IP 데이터그램의 크기가 최대의 전송 단위(MTU: Maximum Transmission Unit)를 넘을 때는 분해(단편화, Fragmentation) 및 조립(Reassemble)이 필요하다.
도 6은 IP 데이터그램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IP 데이터그램은 IP 프로토콜의 버전(Version) 번호를 가리키는 버전(4), IP 헤더 필드의 크기(32비트)를 나타내는 헤더 길이, 송신한 IP 데이터그램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을 나타내는 서비스 타입(8), IP 데이터그램의 전체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내는 총길이(16), 각 IP 데이터그램을 분별하기 위한 식별 번호로서의 식별자(16), IP 데이터그램의 분할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플래그(3), 각 플래그먼트의 원 데이터에 있어서의 위치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내는 플래그먼트 옵셋(13), 통화 가능한 라우터의 남은 수를 나타내는 생존시간(TTL: Time To Live)(8), IP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는 IP의 상위 프로토콜을 식별하기 위한 프로토콜 종별 코드(번호)를 나타내는 프로토콜 타입(8), IP 헤더 필드의 에러 검출을 위한 체크썸(Check Sum)을 나타내는 헤더 체크썸(16), 송신처의 IP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송신처 어드레스(32), 수신처의 IP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수신처 어드레스(32), IP 데이터그램 전송시에 라우터 등에 의뢰하는 처리를 지시하는 옵션, 옵션 영역을 사용하는 경우에 IP 헤더 필드가 32비트의 정수배가 되도록 삽입되는 잉여부로서의 패딩(Padding) 등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은 감시용 컴퓨터(250)와 메시지 감시 서버(260) 간에 이루어지는 데이터 송수신에 이용되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에 대해 설명한다.
TCP는 IP보다 하나 위층(트랜스포트층)의 프로토콜로, OSI TP4(트랜스포트 프로토콜 클래스 4)의 베이스가 되고 있다. TCP의 특징은 신뢰성이 있는 데이터 전송을 하는 것, 즉, 통신의 개시에서부터 종료까지 통신로의 신뢰성을 보호하고 유지하여 데이터의 정상적인 송신 제어와 더 나아가 에러가 발생했을 때의 에러 검출 및 회복을 시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TCP는 커넥션 오리엔트(Connection Oriented)된 가상 통신로를 설정해 상위층의 사용자에게 전이중/쌍방향의 스트림 서비스(Stream Service)를 제공한다.
도 7은 TCP 데이터 전송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에서, 포트 번호는 송신 포트 번호 16비트와 수신 포트 번호 16비트로 구성된다. 포트 번호는 TCP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그 시스템 내에서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는 서비스 번호로 이것에 의해 송수신 시스템내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할 수 있다. Unix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etc/service"라 하는 파일에 기술되어 있다.
순서(Sequence) 번호는 32비트로서 송신 데이터 스트림내에서의 데이터 세그먼트의 "바이트 위치"를 나타낸다. 확인 응답 번호는 수신한 최상위의 "바이트 위치"를 나타낸다. 윈도우는 세그먼트 전송 중의 송수신 버퍼 사이즈를 지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코드 비트는 세그먼트의 타입, 예컨대 긴급(URG), 전송 강제(PHS), 리세트(RST), 동기(SYN), 전송 종료(FIN) 등이 세트된다. 이 중 URG는 긴급히 보내야 할 세그먼트라는 것을 의미한다.
긴급(Urgent) 포인터는 긴급 데이터의 스트림(Stream)상의 종료 바이트 위치를 나타내며, 체크썸은 16비트의 배타적 논리합에 의한 데이터의 체크 코드이다. 옵션은 최대 세그먼트 길이 등의 옵션을 지정하며, 옵셋(Offset)은 세그먼트내에서의 데이터의 개시 위치를 나타낸다.
한편, UDP(User Datagram Protocol)는 TCP 처럼 흐름 제어나 순서 제어, 커넥션 확립 등을 하지 않는 커넥션리스형으로 불려지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이다. UDP는 TCP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포트(송신처와 수신처), 데이터 길이 및 헤더 체크썸으로 구성되는 UDP 헤더와, 그 뒤에 연속되는 UDP 데이터로 구성되는 단순한 구조의 포맷을 갖는다. UDP에서는 단지 데이터그램을 IP 데이터그램에 실어 전송할 뿐이므로 신뢰성을 위한 확인 응답과 네트워크 내의 서로 다른 경로를 거쳐온 수신 데이터들의 순서 조정 등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데이터 누락과 데이터 분실이 있더라도 관여하지 않는다. 결국 UDP에 의한 통신은 TCP와 같은 포트간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빼면, 본질적으로 IP 데이터그램 통신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메시지 감시 데이터베이스(262)는 메시지 감시 서버(260)가 감시하여 얻은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에 대해, 메시지가 발생한 시간(년, 월, 일, 시, 분, 초) 정보, 메시지 코드 정보, 메시지가 발생한 장비의 위치 정보, 메시지의 세부 정보 등을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다.
이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메시지 감시 장치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DMA 시스템에서의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메시지 감시 서버(260)에는 "유디피 전송(udpsend)"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감시용 컴퓨터(250)에는 "페이저 메이트(Pager Mate)" 프로그램을 설치한다(S310).
메시지 감시 서버(260)에서는 각각의 무선 기지국(210)과 이동통신 교환국(220) 간에 송수신하는 메시지들을 감시하고,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를 포착한 경우 해당 감시용 컴퓨터(250)로 전송해 주기 위해서, 감시용 컴퓨터(250)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유디피 전송" 프로그램을 서버 시스템내에 설치해야 한다.
서버 관리자는 설치 패키지 형태로 되어 있는 "유디피 전송" 프로그램을 메시지 감시 서버(260)에 설치를 실행하게 되고, 설치에 따른 "유디피 전송" 프로그램에 관한 시스템 및 실행 파일들이 서버 시스템내에 설치된다.
상기 "유디피 전송" 프로그램을 메시지 감시 서버(260)에 설치할 때, 해당 서버 시스템의 OS 에서 "C" 언어로 컴파일된 실행 파일만 있으면 되는데, 만약 OS 가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C source" 파일을 컴파일하여 사용하면 된다.
한편, 감시용 컴퓨터(250)에서는 메시지 감시 서버(260)로부터 감시된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페이저 메이트"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 상기 "페이저 메이트" 프로그램은 "유디피 전송"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메시지 감시 서버(26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용 메시지 수신 프로그램이다.
무선 기지국(210)이나 이동통신 교환국(220)의 장비를 감시하는 감시용 컴퓨터(250)의 관리자는 "페이저 메이트" 프로그램을 일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듯이 감시용 컴퓨터(250)내에 설치한다. 감시용 컴퓨터(250)에서는 프로그램 폴더내에 페이저 메이트 폴더를 생성하고, 그 내부에 설치되는 "페이저 메이트" 프로그램에 관련된 시스템 및 실행 파일들을 저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감시용 컴퓨터(250)에 "페이저 메이트"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메시지 감시 서버(260)에 "유디피 전송" 프로그램을 각각 설치한 후, 감시용 컴퓨터(250)와 메시지 감시 서버(260) 모두 서로간에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환경을 설 정한다(S320). 즉, 상호 간에 통신할 때 필요한 모뎀 또는 랜카드 설정, 통신 포트 설정, 상호간의 통신 규약 설정(프로토콜 설정), 게이트웨이 설정 등을 실행한다.
감시용 컴퓨터(250)와 메시지 감시 서버(260)가 각각 통신 환경이 설정되었으면, 감시용 컴퓨터(250)에서는 "페이저 메이트"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메시지 감시 서버(260)에서는 "유디피 전송" 프로그램을 각각 실행한다(S330).
감시용 컴퓨터(250)에서 상기 "페이저 메이트"를 실행하는 중에 런타임 오류가 발생한 경우, [시작메뉴]에서 [실행] 입력란에 "regedit"를 입력하여 레지스트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레지스트리 관련 다수의 폴더가 나타나면 그 중에 "KEY_CURRENT_USER" 폴더의 하위 폴더, "Software" - "VB and VBA Program Settings" 폴더를 찾아 "페이저 메이트" 항목을 삭제한 후 재실행하면 된다.
이어, 메시지 감시 서버(260)는 자신에게 연결되어 있는 무선 기지국(210)과 이동통신 교환국(220)에 대해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를 감시하게 된다(S340). 무선 기지국(210)과 이동통신 교환국(220)을 거쳐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무선 음성 패킷 메시지 뿐만 아니라 알람(Alarm) 메시지나, 장애(Fault) 메시지, 상태(Status) 메시지 등이 있다.
메시지 감시 서버(260)에 있어서, 관리자는 무선 기지국(210)과 이동통신 교환국(220)을 감시하는 감시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감시하고자 하는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를 설정해 놓게 된다. 이러한 기능은 메시지 감시 서버(260)가 감시 대상 메시지를 입력하는 화면을 제공하고, 관리자는 이에 대해 감시를 원하는 대상 메시지를 입력하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때, 관리자는 시스템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는 알 람 메시지나, 장애 메시지, 상태 메시지 등을 설정하게 된다.
메시지 감시 서버(260)는 감시 대상으로 설정된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다가 무선 기지국(210)이나 이동통신 교환국(220)에서 메시지의 송수신이 있을 때마다 그 메시지를 감시 대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메시지와 비교를 하여 일치할 경우에 중요 메시지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감시하기 원하는 중요 메시지를 설정한 이후, 메시지 감시 서버(260)는 무선 기지국(210)과 이동통신 교환국(220)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감시하여 중요 메시지가 포착된 경우(S350), 도 8과 같이 포착한 메시지들에 대해 중요 메시지가 포착된 위치, 메시지 코드, 발생 일자 및 시간대 등을 메시지 감시 데이터베이스(270)에 저장함과 더불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해 준다. 그리고, 이러한 중요 메시지의 위치, 메시지 코드, 발생 일자 및 시간대 등이 포함된 전송 메시지를 생성한다(S360).
메시지 감시 서버(260)는 중요 메시지가 포착된 위치, 즉 중요 메시지가 포착된 무선 기지국(210)이나 이동통신 교환국(220)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에 연결된 해당 감시용 컴퓨터(260)로 생성한 상기 전송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전송해 주게 된다(S370).
메시지 감시 서버(260)로부터 상기 전송 메시지를 수신한 해당 감시용 컴퓨터(250)에서는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를 도 8과 같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경보음을 출력한다. 물론, 메시지 감시 서버(260)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송 메시지에 경보음이 울리지 않도록 체크되어 있다면, 경보음을 울리지 않고 중요 메시지만 디 스플레이하게 된다(S380).
도 8은 메시지 감시 서버(260)가 포착한 중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에서는 주로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 중 장애 메시지를 위주로 설명한다.
도 8을 보면, 메시지 감시 서버(260)는 포착한 장애 메시지를 시간대별로 디스플레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검색 기간은 2002년 4월 29일 하루이며, 검색 시간은 07시부터 23시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장애 메시지의 정렬은 메시지 코드별로 되어 있으며, '코드 검색' 항목을 통해 특정 메시지 코드만을 검색할 수도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중요한 메시지에 설정되어 있는 메시지 코드를 입력하여 자신이 미처 인지하지 못한채로 지나쳐버린 중요 메시지가 있는지 등을 체크할 수 있다.
도 8에서 메시지 코드 'A1680', 'A1781', 'A2900' 등은 화면 중간의 'SUM' 항목을 보면 알 수 있듯0이 1회 내지 10회 정도로 메시지 발생 빈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메시지 코드 'F1110', 'F1111', 'F1112' 등은 대략 1000회 내외로 발생하고 있어 메시지 발생 빈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발생 빈도가 낮은 장애 메시지들 중 미처 인지하지 못한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를 확인하여 바로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발생 빈도가 낮은 중요도가 낮은 장애 메시지는 부품 자체의 불량으로 인한 장애 발생이라기 보다는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중요도가 낮은 장애 메시지라도 장애 발생 빈도가 예시 화면처럼 1,000회를 상회하는 등 매우 높은 경우 통신 품질에 매우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예시 화면을 통해 발생 빈도가 매우 높은 장애 메시지를 통해 장애가 발생한 장비의 위치를 파악하여 즉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예컨대, 메시지 코드가 'F1110'이고 그 발생 횟수가 '1007'회인 장애 메시지의 경우 장애가 발생한 부품의 위치는 'BSC05/BTS09/BSDC00/SHELF00/DCP00'이다.
여기서, 사용자는 '시스템' 항목을 통해 장애 메시지의 발생을 확인하고 싶은 장비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무선 기지국(210)을 구성하는 장비나 이동통신 교환국(220)을 구성하는 장비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예시 화면의 '시스템' 항목이 'BSC43'으로 설정되었으므로 관리자가 담당하는 이동통신 교환국(220)이 관리하는 모든 기지국 제어기가 확인 대상으로 선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 제어기를 구성하는 모든 하부 장비나 부품들에서 발생한 장애 메시지가 감시용 컴퓨터(25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예시 화면의 'Location' 항목을 보면 장애가 발생한 부품의 위치는 순차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즉, BSC05는 관리자가 관리하는 해당 교환국에서의 5번 기지국 제어기, BTS09는 해당 기지국 제어기에서의 9번 기지국 전송기, BSDC(Base Station Digital Cabinet)00은 해당 기지국 전송기에서의 0번 기지국 디지털 캐비넷, SHELF00/DCP00은 해당 기지국 디지털 캐비넷에서 0번 보드의 0번 DCP라는 부품에서 장애가 발생된 것이다.
이와 같이 시간대별 보기를 통해 관리자는 어떠한 장애 코드를 갖는 장애 메시지가 어떤 장비에서 발생하였는지, 얼마나 발생하였는지, 시간별대 장애 메시지 의 발생 추이는 어떠한지, 언제부터 발생하였는지 등의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도 9는 감시용 컴퓨터(250)가 메시지 감시 서버(260)로부터 수신한 중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9에서도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 중 장애 메시지를 위주로 설명한다.
도 9를 보면, 감시용 컴퓨터(250)에서도 수신한 중요 메시지를 일자별로 디스플레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신된 기간은 2002년 4월 25일부터 2002년 4월 29일까지이고, 각 일자별 수신 시간은 07시부터 23시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장애 메시지의 정렬은 SUM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도 8의 예시 화면에서와 마찬가지로 '코드 검색' 항목을 통해 특정 장애 코드만을 검색할 수도 있다.
도 9의 예시 화면은 설정된 검색 기간 동안 발생 발생 횟수가 가장 많은 장애 메시지부터 발생 횟수가 적은 장애 메시지순으로 각각의 검색 일자별 장애 메시지 발생 횟수와 그 총계(SUM)가 표시되어 있다. 예시 화면을 보면 장애 메시지 발생 횟수가 거의 10,000 회에 육박하는 장애 메시지가 다수 있음을 알수 있다. 만약, 관리자가 이러한 장애 메시지를 종래 장애 메시지 감시 장치에서 제공하는 단순 나열형 화면을 통해 확인할려고 한다면 수만 라인(Line)에 이르는 엄청난 장애 메시지를 일일이 체크해야 하는 중노동이 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는 각 장비마다 일자별로 중요 메시지의 발생 추이를 확인할 수 있고, 중요 메시지의 발생 횟수가 매우 많은 불량하거나 고장난 장비 및 해당 부품을 쉽게 확인하여 바로 복구 등의 후속 조치를 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의 예시 화면에서의 '정렬 순위' 항목은 'CODE'나 'SUM' 외에도 장애가 발생한 장비의 위치를 나타내는 'Location'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메시지 감시 서버가 감시용 컴퓨터로 제공하는 중요 메시지 감시 화면을 그 메시지가 발생한 시간대별, 일자별 등으로 분류하여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이동통신 시스템상에서 발생하는 중요 메시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요 메시지를 각 시간대별이나 일자별 내에서도 메시지 코드별, 메시지 발생의 총계별, 메시지가 발생한 장비별로 정렬하거나 특정 메시지 코드를 입력하여 확인하고자 하는 메시지만을 검색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제공하여 보다 더 심층적이고 일목요연하게 발생된 중요 메시지를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시스템에 이상을 판단할 수 있는 중요 메시지를 통해 해당 장비 및 해당 부품을 쉽게 확인하여 바로 복구 등의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다.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무선통신 단말기(20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무선 통신 단말기(200)에서 발생하는 통화 요청을 이동통신 교환국(220)으로 전송하여 무선통신 단말기(200)와 상대방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선 기지국;
    가입자에 대한 정보 및 인증, 부가 장비들로 이루어지며, 다른 망과의 접속을 이루는 역할을 담당하며, 상기 무선 기지국(210)에서의 발호, 착호를 처리하고, 모든 무선 기지국(210)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중앙 통제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교환국;
    상기 무선 기지국(210)이나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220)의 각 장비에서 발생하는 메시지 중, 시스템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는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를 감시하여 디스플레이해주거나 경보음으로 출력하는 감시용 컴퓨터;
    다수의 상기 무선 기지국(210)이나 다수의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220)에 설치된 각종 장비에서 발생하는 장애 메시지를 포함하는 중요도가 높은 알람 메시지, 상태 메시지를 수집하여 상기 감시용 컴퓨터(250)로 전송해 주는 메시지 감시 서버(260); 및
    상기 메시지 감시 서버(260)의 제어를 받아 장애 메시지를 비롯한 중요도가 높은 알람 메시지, 상태 메시지를 데이터로 저장하며, 상기 감시용 컴퓨터(250)로 메시지의 전송은 UDP(User Data Protocol) 또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또는 IP(Internet Protocol) 중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메시지 감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메시지 감시 서버(260)는 수집된 중요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들 중에서 메시지가 발생한 시간(년, 월, 일, 시, 분, 초) 정보, 메시지 코드 정보, 메시지가 발생한 장비의 위치 정보, 메시지의 세부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가 발생된 장비를 관리하는 상기 감시용 컴퓨터(250)로 해당 메시지를 전송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시스템에서의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용 컴퓨터(250)에는 시스템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는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를 감시하기 위해, 상기 메시지 감시 서버(26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감시용 응용 프로그램(페이저 메이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시스템에서의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용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메시지 감시 서버(26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메시지 코드별, 발생 위치별, 발생 시간대별, 발생 일자별을 포함하는 양식 으로 디스플레이하며, 미리 설정된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는 상기 감시용 컴퓨터(250)의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송출하거나 모니터 화면상에 경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시스템에서의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용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파일 옵션(File Option)은 "TCP Port", "메시지 큐", "메시지 선택", "SYS", "BTS", "ELSE", "로그파일 설정", "파일-경보음", "로그-최근로그열기", "로그-백업로그열기", "메시지 클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시스템에서의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용 응용 프로그램의 화면에 표시된 메시지는 로그 파일로 저장되고, 상기 로그 파일은 상기 감시용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폴더에 "MsgLog_A.txt" 파일과 "MsgLog_B.txt" 파일 2 개를 번갈아 사용하며, 하나의 로그 파일이 지정된 용량이 되면 다른 로그 파일의 내용을 지우고 계속 사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시스템에서의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TCP Port"는 메시지를 보낼 때 사용하는 UDP 포트를 일컫는 것이며, 상기 "메시지 큐"는 상기 감시용 응용 프로그램의 화면에서 보여주는 메시지의 수를 나타내며, 상기 "메시지 선택"은 상기 감시용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선택 메시지 클래스(Class)를 나타내며, 상기 "SYS"는 교환기 관련 메시지를 나타내고, 상기 "BTS"는 기지국 관련 메시지를 나타내며, 상기 "ELSE"는 상기 "SYS"와 상기 "BTS" 이외의 모든 메시지를 나타내며, 상기 "로그파일 설정"은 로그 파일의 용량(Size)을 지정하며, 상기 "파일-경보음"은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Noti.wav" 파일을 경보음으로 사용하는 것을 말하며, 상기 "로그-최근로그열기"는 현재 사용중인 로그 파일을 메모장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말하며, 상기 "로그-백업로그열기"는 지나간 로그 파일을 메모장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말하고, 상기 "메시지 클릭"은 메시지를 클릭할 때마다 배경색이 바뀌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시스템에서의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장치.
  9. 삭제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감시 서버(260)에는 상기 감시용 컴퓨터(250)로 메시지를 전송해 주는 접속용 응용(유디피 전송)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시스템에서의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용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메시지 구조는 메시지를 전송하라는 명령어(udpsend),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주소(ip_addr),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신 포트(tcp_port), 전송하는 메시지 내용(user_message)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시스템에서의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장치.
  12. 무선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통화 요청을 이동통신 교환국으로 전송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와 상대방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선 기지국; 가입자에 대한 정보 및 인증, 부가 장비들로 이루어지며, 다른 망과의 접속을 이루는 역할을 담당하며, 상기 무선 기지국에서의 발호, 착호를 처리하고, 모든 무선 기지국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중앙 통제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교환국; 상기 무선 기지국이나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의 각 장비에서 발생하는 메시지 중, 시스템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는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를 감시하는 감시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감시용 컴퓨터; 다수의 상기 무선 기지국이나 다수의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에 설치된 각종 장비에서 발생하는 장애 메시지를 비롯한 중요도가 높은 알람 메시지, 상태 메시지를 수집하여 상기 감시용 컴퓨터로 전송해 주는 전송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메시지 감시 서버를 구비하는 메시지 감시 장치의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방법으로서,
    (a) 상기 감시용 컴퓨터에 상기 감시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상기 메시지 감시 서버에 상기 전송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감시 프로그램과 상기 전송 프로그램의 통신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감시용 컴퓨터에 설치된 상기 감시 프로그램과 상기 메시지 감시 서버에 설치된 상기 전송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
    (d) 상기 메시지 감시 서버가 상기 무선 기지국과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에서 발생되는 메시지를 감시하는 단계;
    (e) 상기 메시지 감시 서버가 감시되는 메시지 중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가 포착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메시지 감시 서버에서 포착된 메시지의 발생 위치, 메시지 코드, 발생 일자 및 시간대가 포함된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g) 상기 메시지 감시 서버가 생성한 상기 전송 메시지를 상기 감시용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h) 상기 감시용 컴퓨터에서 상기 메시지 감시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송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g)의 상기 메시지 감시 서버는 수집된 중요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들 중에서 메시지가 발생한 시간(년, 월, 일, 시, 분, 초) 정보, 메시지 코드 정보, 메시지가 발생한 장비의 위치 정보, 메시지의 세부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가 발생된 장비를 관리하는 상기 감시용 컴퓨터로 해당 메시지를 전송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프로그램은 상기 메시지 감시 서버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메시지 코드별, 발생 위치별, 발생 시간대별, 발생 일자별을 포함하는 양식으로 디스플레이하며, 미리 설정된 중요도가 높은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는 상기 감시용 컴퓨터의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송출하거나 모니터 화면상에 경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파일 옵션(File Option)은 "TCP Port", "메시지 큐", "메시지 선택", "SYS", "BTS", "ELSE", "로그파일 설정", "파일-경보음", "로그-최근로그열기", "로그-백업로그열기", "메시지 클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 메시지는 로그 파일로 저장되고, 상기 로그 파일은 상기 감시 프로그램이 설치된 폴더에 "MsgLog_A.txt" 파일과 "MsgLog_B.txt" 파일 2 개를 번갈아 사용하며, 하나의 로그 파일이 지정된 용량이 되면 다른 로그 파일의 내용을 지우고 계속 사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TCP Port"는 메시지를 보낼 때 사용하는 UDP 포트를 일컫는 것이며, 상기 "메시지 큐"는 상기 감시 프로그램의 화면에서 보여주는 메시지의 수를 나타내며, 상기 "메시지 선택"은 상기 감시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선택 메시지 클래스(Class)를 나타내며, 상기 "SYS"는 교환기 관련 메시지를 나타내고, 상기 "BTS"는 기지국 관련 메시지를 나타내며, 상기 "ELSE"는 상기 "SYS"와 상기 "BTS" 이외의 모든 메시지를 나타내며, 상기 "로그파일 설정"은 로그 파일의 용량(Size)을 지정하며, 상기 "파일-경보음"은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Noti.wav" 파일을 경보음으로 사용하는 것을 말하며, 상기 "로그-최근로그열기"는 현재 사용중인 로그 파일을 메모장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말하며, 상기 "로그-백업로그열기"는 지나간 로그 파일을 메모장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말하고, 상기 "메시지 클릭"은 메시지를 클릭할 때마다 배경색이 바뀌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방법.
  17. 삭제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경우, 상기 메시지 감시 서버에서 상기 감시용 컴퓨터로 메시지의 전송은 UDP(User Data Protocol) 또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또는 IP(Internet Protocol) 중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방법.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메시지 구조는 메시지를 전송하라는 명령어(udpsend),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주소(ip_addr),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신 포트(tcp_port), 전송하는 메시지 내용(user_message)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방법.
KR1020020045973A 2002-08-03 2002-08-03 Cdma 시스템에서의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장치 및방법 KR100546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973A KR100546510B1 (ko) 2002-08-03 2002-08-03 Cdma 시스템에서의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장치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973A KR100546510B1 (ko) 2002-08-03 2002-08-03 Cdma 시스템에서의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402A KR20040012402A (ko) 2004-02-11
KR100546510B1 true KR100546510B1 (ko) 2006-01-25

Family

ID=37320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973A KR100546510B1 (ko) 2002-08-03 2002-08-03 Cdma 시스템에서의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65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211B1 (ko) * 2008-06-09 2010-07-16 주식회사 케이티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별도의 감시자를 통해 서비스상태를 감시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156B1 (ko) * 2002-08-14 2005-07-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망의 전송로 감시 장치 및전송로 감시 방법
CN100359977C (zh) * 2004-08-23 2008-01-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本地环的监控方法和系统
KR100698666B1 (ko) * 2004-12-09 2007-03-2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네트워크 에러에 따른 통신 제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KR100746040B1 (ko) * 2006-03-07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에러 메시지 생성 및 처리 방법, 이를 이용한 에러 메시지생성 및 처리 장치
KR102466085B1 (ko) 2020-11-17 2022-11-14 (주)클로버추얼패션 파일상태에 따른 접근 권한 설정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8426A (ja) * 1996-09-20 1998-04-14 Nippon Denki Ido Tsushin Kk 無線端末基地局
JPH11154902A (ja) * 1997-11-19 1999-06-08 Sangikyou:Kk 移動体通信ネットワークの通話品質監視装置
KR20000051559A (ko) * 1999-01-23 2000-08-16 이상철 중계기의 운용상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57755A (ko) * 2001-12-29 2003-07-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씨.디.엠.에이(CDMA)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밴드(Multi Band) 중계기 감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8426A (ja) * 1996-09-20 1998-04-14 Nippon Denki Ido Tsushin Kk 無線端末基地局
JPH11154902A (ja) * 1997-11-19 1999-06-08 Sangikyou:Kk 移動体通信ネットワークの通話品質監視装置
KR20000051559A (ko) * 1999-01-23 2000-08-16 이상철 중계기의 운용상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57755A (ko) * 2001-12-29 2003-07-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씨.디.엠.에이(CDMA)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밴드(Multi Band) 중계기 감시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211B1 (ko) * 2008-06-09 2010-07-16 주식회사 케이티 인증 서비스 시스템에서 별도의 감시자를 통해 서비스상태를 감시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402A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75042B1 (en) Network management of a performance enhancing proxy architecture
CN101595686B (zh) 触发中间设备处的流分析
US7522531B2 (en) Intrusio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69121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redundancy for multilink point to point protocol
US7062783B1 (en) Comprehensive enterprise network analyzer, scanner and intrusion detection framework
US20030140137A1 (en) Enterprise Network analyzer architecture framework
US20040058652A1 (en) Method and system for quality of service (QoS) monitoring for wireless devices
US20070086336A1 (en) Application layer metrics monitoring
JP2003283565A (ja) 異種ネットワーク内における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状況を監視するエンドユーザのためのシステム
JP2005184810A (ja) パケットデータシステムを介して提供されるサービスの識別
JPH11112575A (ja) データ通信装置
CN106576108B (zh) 通信系统中的通信方法和设备及系统
US8179803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or generating communication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CN1783813B (zh) 用于管理通信网络的通信管理网络系统和方法
KR100546510B1 (ko) Cdma 시스템에서의 중요 시스템 메시지 감시 장치 및방법
EP1758338B1 (fr) Procédé et équipement de communication sécurisé pour le traitement des paquets de données selon le mécanisme SEND
AU2008258126B2 (en) Method, system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or generating communication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CN113364778A (zh) 一种报文处理方法及装置
CN110784375B (zh) 网络数据监控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7483861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 network analyzer business model
CN114826979B (zh) 网络链路质量获取方法、装置、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100428764B1 (ko)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8275869B2 (en) Re-synchronizing data between network elements and network management system using partial node discovery
EP1686756B1 (en)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irroring servic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Cisco Protocol Translator Configuration and Refer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