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4538A - 조명장치와 화상 독취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와 화상 독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4538A
KR20060064538A KR1020050118579A KR20050118579A KR20060064538A KR 20060064538 A KR20060064538 A KR 20060064538A KR 1020050118579 A KR1020050118579 A KR 1020050118579A KR 20050118579 A KR20050118579 A KR 20050118579A KR 20060064538 A KR20060064538 A KR 20060064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light
light emitting
rod
emi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8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이케다
히로유키 네모토
다카시 기시모토
다케시 이시마루
히로히코 이와세
히데미쯔 다케우치
도미히사 사이토
Original Assignee
니혼 이타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이타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이타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64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5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 H04N1/0282Using a single or a few point light sources, e.g. a laser diode
    • H04N1/02835Using a single or a few point light sources, e.g. a laser diode in combination with a light guide, e.g. optical fibre, glass 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Facsimile Head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Light Sources And Details Of Projection-Printing Devices (AREA)

Abstract

용장구역이 짧은 조명장치와 이것을 삽입한 화상 독취장치를 제공한다.
발광 유닛(10)의 발광소자 중 가장 봉형상 도광체(3)의 바닥면(3b)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청색 소자(10a)로부터 방사된 빛 중, 종래와 동일하게 직접 도광체(3)의 단면으로부터 도광체 내에 입사된 빛은,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장구역이 길어진다. 그러나, 청색 소자(10a)로부터 방사된 빛 중, 상기 간극(13)을 통과한 빛은,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폐부(14)의 이면에서 반사되어 절결(12)의 표면으로부터 도광체(3) 내에 입사된다. 이 차폐부(14)로부터의 반사광은 수직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용장구역이 매우 짧아진다.
용장구역, 조명장치, 화상 독취장치, 발광 유닛, 차폐부, 도광체

Description

조명장치와 화상 독취장치{Illumination device and image scann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를 삽입한 화상 독취장치(讀取裝置)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동 조명장치의 요부(要部)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조명장치의 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 조명장치의 청색 발광소자(發光素子)로부터의 광선이 봉형상 도광체로 입사되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조명장치의 각 발광소자의 주주사방향(主走査方向) 변위(變位)와 광강도(光强度)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4와 동일한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4와 동일한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 조명장치의 도광체의 단면(端面)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나타낸 다른 실시예 조명장치의 각 발광소자의 주주사방향 변위와 광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 조명장치의 도광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의 (a)~(c)는 또 다른 실시예 조명장치의 도광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 면이다.
도 12는 종래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종래 조명장치의 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14의 (a)~(c)는 청색 발광소자, 적색 발광소자 및 녹색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선이 봉형상 도광체로 입사되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5는 종래 조명장치의 각 발광소자의 주주사방향 변위와 광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부호의 설명
1…프레임(상자체), 1a, 1b…오목부(凹部), 2…천판(天板), 3…봉형상 도광체(棒狀導光體), 3a…봉형상 도광체의 출사면(出射面), 3b…봉형상 도광체의 바닥면(底面), 4…케이스, 5…라인 조명장치, 6…라인 이미지 센서(광전변환소자(光電變換素子)), 7…구동회로, 8…기판(基板), 9…로드 렌즈 어레이(rod lens array), 10…발광 유닛, 10a…청색 발광소자, 10b…적색 발광소자, 10c…녹색 발광소자, 11…산란(散亂) 패턴, 12…절결(切缺), 13…간극(間隙), 14…차폐부(遮蔽部), 15a, 15b, 15c…반구형상 오목면, 15d, 15e…원통을 반으로 자른 형상 오목면, 15f, 15g, 15h…톱니형상 오목면.
본 발명은 원고(原稿)를 조명하는 조명장치 및 그것을 삽입한 화상 독취장치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팩시밀리, 복사기, 스캐너장치 등에는, 원고에 라인형상의 빛을 조사하는 봉형상 도광체를 삽입한 조명장치와,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라인 이미지 센서에 집광(集光)시키는 렌즈 어레이를 구비한 화상 독취장치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조명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는 특허문헌 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斷面) コ자형상을 이루는 케이스(100)에 봉형상 도광체(101)을 끼워넣고, 케이스의 단부(端部)에 설치한 발광 유닛(102)로부터의 빛을 봉형상 도광체(101)의 단면으로부터 봉형상 도광체 내에 도입하여, 봉형상 도광체 내에서 전반사(全反射)시켜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형상 도광체(101)의 바닥면에 백색 페인트 등을 도포해서 되는 산란 패턴(103)을 설치하고, 이 바닥면으로부터의 법선(法線)에 대해 오프셋시켜서 발광 유닛(102)의 3원색의 각 발광소자(102a, 102b, 102c)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로부터 봉형상 도광체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하여, 특허문헌 2의 도 4에는 케이스의 발광 유닛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 걸림부(係止部)를 설치하는 구성이 개시되고, 더욱이 특허문헌 3에는 열의 영향에 의해 케이스의 단부와 발광 유닛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를 길이방향으로 2분할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제(평)6-21708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281913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4-146870호 공보
특허문헌 1과 같이 봉형상 도광체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법선에 대해, 3원색의 발광소자(소자)를 오프셋한 구성으로 하면, 봉형상 도광체의 형상이 편평(扁平)해져, 그 때문에 조명장치의 형상도 제약을 받게 되어 버린다.
한편, 봉형상 도광체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법선에 따라 3원색의 각 발광소자를 배치하면 도 14 및 도 15에서 설명하는 문제가 있다.
도 14(a)~(c)는 청색 발광소자(102a), 적색 발광소자(102b), 녹색 발광소자(102c)로부터의 광선이 봉형상 도광체(101)로 입사되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으로, 각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선은 도광체로의 입사 직전에는 180°의 배광분포(配光分布) 특성을 갖지만, 아크릴제의 도광체에 입사되면, 스넬의 법칙(Snell's law)에 따라 각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의 방사각(放射角)은 약 84°의 넓어짐을 갖는다.
도 15는 상기 각 발광소자의 주주사방향(도광체 길이방향) 변위와 광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의 봉형상 도광체(101) 내로의 방사각은 동일하기 때문에(약 84°), 봉형상 도광체(101)의 바닥면으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청색 발광소자(102a)의 빛의 강도는 봉형상 도광체(101)의 입사 단면으로부터 5 ㎜ 이상 떨어지지 않으면 80%를 초과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1색이라도 광강도가 부족하면 그 부분은 광원으로서 사용할 수 없는 용장구역(redundant area)이 된다.
종래에 있어서는 상기의 용장구역이 길어, 조명장치로서 쓸모 없어지는 부분 의 길이가 길다. 또한,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에 개시되는 구성으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의 조명장치는, 케이스 내에 봉형상 도광체의 출사면이 노출되도록 수납하는 동시에 케이스의 단부에 발광 유닛을 설치하고, 이 발광 유닛으로부터의 빛을 봉형상 도광체의 단면으로부터 봉형상 도광체 내에 도입하여, 봉형상 도광체 내에서 전반사시켜서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도록 한 조명장치로서, 상기 케이스의 발광 유닛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서 봉형상 도광체의 출사면측에는 봉형상 도광체의 단부를 덮는 차폐부가 설치되고, 또한 발광 유닛에 가까운 쪽의 봉형상 도광체의 출사면측 단부에는 절결이 형성되어, 이 절결과 상기 발광 유닛의 간극을 매개로 하여 발광 유닛으로부터의 빛이 상기 차폐부의 이면에서 반사되어 봉형상 도광체 내에 도입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청구항 2의 조명장치는, 케이스 내에 봉형상 도광체의 출사면이 노출되도록 수납하는 동시에 케이스의 단부에 발광 유닛을 설치하고, 이 발광 유닛으로부터의 빛을 봉형상 도광체의 단면으로부터 봉형상 도광체 내에 도입하여, 봉형상 도광체 내에서 전반사시켜서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도록 한 조명장치로서, 상기 봉형상 도광체의 발광 유닛에 마주 향하는 단면에는, 적어도 봉형상 도광체의 바닥면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의 발광소자에 마주 향하는 개소에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이 봉형상 도광체에 입사될 때에 입사각을 넓히는 부분이 형성된 구성으로 하였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특히 발광 유닛에 탑재된 3원색의 각 발광소자가 봉형상 도광체 바닥면의 폭방향 중심선으로부터의 법선방향에 배치되는 경우에 유효하다.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조명장치에서 특정한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이 봉형상 도광체에 입사될 때에 입사각을 넓히는 부분으로서는, 반구형상 오목면, 원통을 반으로 자른 형상 오목면, 반구형상 볼록면, 원통을 반으로 자른 형상 볼록면, 톱니형상 오목면, 톱니형상 볼록면 또는 조면(粗面)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독취장치는 상기의 조명장치와, 이 조명장치로부터의 출사광 중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라인 이미지 센서를 향해 집광시키는 정립 등배 결상계(正立等倍結像系)(렌즈 어레이)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정립 등배 결상계는 1 ㎜ 이상의 초점심도(焦点深度)를 갖고, 또한 상기 조명 유닛은 초점심도 범위에서의 조도(照度) 얼룩이 ±2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장치. 다만, 초점심도 범위란 공간 주파수 61 p(line pair)/㎜의 흑백주기(黑白周期) 패턴을 정립 등배 결상으로 했을 때의 변조도(變調度)가 10% 이상으로 되는 광축(光軸) 상의 범위를 가리킨다.
여기에서, 공간 주파수(화상을 구성하는 주기적 구조의 세밀함을 나타내는 양)로서 61 p(line pair)/㎜의 흑백주기 패턴을 선정한 것은, 변조도를 측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척도이기 때문이다.
상기 변조도는, 변조의 깊이를 나타내는 지수로, 변조를 받은 광강도의 최대값을 I max, 최소값을 I min으로 하면, 변조도(m)=(I max-I min)/(I max+I min)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변조도가 10% 이상이 되는 광축 상의 범위를 초점심도 범위로 한 것은, 인간이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한계의 값으로, 변조도가 10% 미만이 되면 명확하게 판단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청구항 6에서는, 정립 등배 결상계는 1 ㎜ 이상의 초점심도를 갖는 것으로 하였다. 원고의 주름이나 접힌 곳이 있어도 화상을 정확하게 독취하기 위해서는 초점심도가 1 ㎜ 이상인 것이 필요하여, 책의 안쪽 가장자리(a back margin of a book)라도 지장 없이 독취하기 위해서는 초점심도는 1.6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초점심도 범위에서는 가능한 한 조도 얼룩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조도 얼룩을 ±20% 이내로 하였다. 이것은 ±20%를 초과하면 전기적인 보정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상기 특성을 용이하게 발휘할 수 있는 상기 정립 등배 결상계로서는, 렌즈 플레이트를 복수매 겹쳐서 구성되고, 각 렌즈 플레이트에는 다수의 미소렌즈(micro lens)가 소정 피치로 규칙적으로 2차원형상으로 배열된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봉형상 도광체를 삽입한 조명장치의 용장구역을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장치의 길이를 짧게 하더라도 종래와 동등한 광강도가 얻어지고, 다른 장치와의 간섭이 작아져, 장치의 설계상 유리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토대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를 삽입한 화상 독취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동 조명장치의 요부의 사시도, 도 3은 동 조명장치의 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화상 독취장치는 프레임(상자체)(1)에 오목부(1a), 오목부(1b)를 형성하고, 오목부(1a)의 윗면은 원고를 올려놓는 투명한 천판(2)로 막아, 오목부(1a) 내에는 봉형상 도광체(3)을 케이스(4)에 수납한 라인 조명장치(5)를 비스듬하게 고정하고, 또한 아래쪽의 오목부(1b)에는 라인 이미지 센서(광전변환소자)(6)과 그 구동회로(7)을 구비한 기판(8)을 설치하고, 추가로 프레임(1) 내에는 등배 결상용 렌즈 어레이(9)를 보유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라인 조명장치(5)의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된 광선으로, 천판(2) 상에 올려놓은 원고를 조사하고, 그 반사광을 렌즈 어레이(9)로 라인형상으로 배열한 이미지 센서(6)에 입사시킨다.
상기 라인 조명장치(5)의 케이스(4)는 단면 U자형상을 이루고, 케이스(4)의 개구(開口)에 봉형상 도광체(3)의 출사면(3a)가 위치하도록 끼워넣어져 있다. 또한, 케이스(4)의 한쪽 끝에는 발광 유닛(10)이 설치되고, 이 발광 유닛(10)에는 청색 소자(10a), 적색 소자(10b), 녹색 소자(10c)가 봉형상 도광체(3)의 바닥면(3b)의 폭방향 중심선으로부터의 법선 상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봉형상 도광체(3)은 아크릴 등의 투명 수지를 성형해서 되고, 한쪽 단면이 상기 발광 유닛(10)에 마주 향하고, 그 바닥면(3b)에는 상기 단면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난반사(亂反射)시키는 산란 패턴(11)이 백색 도료를 도포하거나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설치되어 있다.
또한, 봉형상 도광체(3)의 발광 유닛(10)에 가까운 쪽의 단부의 출사면(3a) 측은 절결(12)로 되어 있고, 이 절결(12)에 의해 발광 유닛(10)과 봉형상 도광체(3)의 단면 사이에 간극(13)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12)는 간극(13)을 형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광체(3)의 길이를 통상의 도광체 보다도 짧게 하여, 발광 유닛(10)과 도광체 단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도록 해도 된다.
더욱이, 상기의 절결(12)를 덮도록 차폐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차폐부(14)는 케이스(4)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발광 유닛(10)과 일체적으로 또는 이들과는 별체(別體)로 해도 된다. 차폐부(14)는 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차폐부(14) 중, 발광 유닛(10)으로부터 방사된 빛을 반사하는 부분은, 반사율이 높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반사율이 높은 금속이나 백색 수지 등을 차폐부(14)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 발광 유닛(10)의 발광소자 중 가장 봉형상 도광체(3)의 바닥면(3b)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청색 소자(10a)로부터 방사된 빛 중, 종래와 동일하게 직접 도광체(3)의 단면으로부터 도광체 내에 입사된 빛은,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장구역이 길어진다. 그러나, 청색 소자(10a)로부터 방사된 빛 중, 상기 간극(13)을 통과한 빛은,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폐부(14)의 이면에서 반사되어 절결(12)의 표면으로부터 도광체(3) 내에 입사된다. 이 차폐부(14)로부터의 반사광은 수직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용장구역이 매우 짧아진다.
청색 소자(10a)로부터의 빛은 도 4(a)와 (b)의 빛이 합성된 것으로 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용장구역은 짧아진다.
도 5는 본 발명 조명장치의 각 발광소자의 주주사방향 변위와 광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도 15와 비교하면 명확한 바와 같이, 간극(13)에 가까운 개소의 청색 소자(10a)의 광강도가 도광체의 단면 근처에서 급격히 상승되어, 나머지 적색 소자(10b), 녹색 소자(10c)의 광강도와 동등 레벨이 되어 있다. 따라서, 용장구역의 길이도 종래의 절반 정도가 되어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4와 동일한 도면으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절결(12)를 직선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었지만,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절결(12)를 곡선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절결(12)를 직선형상으로 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색의 밸런스를 맞출 수 있지만, 절결(12)를 곡선형상으로 함으로써 각 색의 지향성(指向性)을 조절할 수 있다.
도 7도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4와 동일한 도면, 도 8은 도 7에서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도광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절결을 설치하지 않고 봉형상 도광체(3)의 단면을 평탄면으로 하여, 상기 청색 소자(10a)에 마주 향하는 단면의 표면에 봉형상 도광체에 입사되는 광선의 입사각을 넓히는 부분으로서의 반구형상 오목면(15a)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산란 패턴(11)에 대해서는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바닥면(3b)에 원통을 반으로 자른 형상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반구형상 오목면(15a)를 형성함으로써 청색 소자(10a)로부터의 빛의 일부는 반구형상 오목면(15a)를 매개로 하여 도광체(3) 내에 입사될 때, 바깥쪽으로 굴절되어 퍼진다. 또한, 반구형상 오목면(15a)를 매개로 하지 않고 직접 도광체(3)의 단면으로부터 도광체 내에 입사된 빛은 용장구역이 길지만, 상기 반구형상 오목면(15a)를 매개로 하여 입사된 빛은 수직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이들 빛이 합성되어 용장구역이 매우 짧아진다.
도 9는 도 6에 나타낸 다른 실시예 조명장치의 각 발광소자의 주주사방향 전위와 광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로부터, 다른 실시예의 조명장치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용장구역의 길이가 종래의 절반 정도가 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 조명장치의 도광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로, 도 10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청색 소자(10a), 적색 소자(10b), 녹색 소자(10c)에 대응하여, 반구형상 오목면(15a, 15b, 15c)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가장 광량(光量)이 부족하기 쉬운 청색 소자(10a)에 대응하는 반구형상 오목면(15a)의 직경을 크게 하고, 반구형상 오목면(15b)의 직경을 중간으로 하며, 반구형상 오목면(15c)의 직경을 가장 작게 하고 있다.
도 11(a)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봉형상 도광체에 입사되는 광선의 입사각을 넓히는 부분으로서 원통을 반으로 자른 형상 오목면(15d, 15e)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시한 반구형상 오목면 또는 원통을 반으로 자른 형상 오목면이 아니라, 반구형상 볼록면, 원통을 반으로 자른 형상 볼록면 또는 조면을 형성해도 된다.
도 11(b)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봉형상 도광체에 입사되는 광선의 입사각을 넓히는 부분으로서, 톱니형상 오목면(15f, 15g, 15h)를 형성하고, (c)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미세한 톱니형상 오목면이 연속된 오목면(15f, 15g)를 형성하고 있 다. 또한, 톱니형상 오목면 대신에 톱니형상 볼록면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 및 화상 독취장치는, 복사기, 팩시밀리 등에 삽입되어 유효하게 이용된다.

Claims (6)

  1. 케이스 내에 봉형상 도광체의 출사면이 노출되도록 수납하는 동시에 케이스의 단부에 발광 유닛을 설치하고, 이 발광 유닛으로부터의 빛을 봉형상 도광체의 단면으로부터 봉형상 도광체 내에 도입하여, 봉형상 도광체 내에서 전반사시켜서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도록 한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발광 유닛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서 봉형상 도광체의 출사면측에는 봉형상 도광체의 단부를 덮는 차폐부가 설치되고, 또한 발광 유닛에 가까운 쪽의 봉형상 도광체의 출사면측 단부에는 절결이 형성되어, 이 절결과 상기 발광 유닛의 간극을 매개로 하여 발광 유닛으로부터의 빛이 상기 차폐부의 이면에서 반사되어 봉형상 도광체 내에 도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케이스 내에 봉형상 도광체의 출사면이 노출되도록 수납하는 동시에 케이스의 단부에 발광 유닛을 설치하고, 이 발광 유닛으로부터의 빛을 봉형상 도광체의 단면으로부터 봉형상 도광체 내에 도입하여, 봉형상 도광체 내에서 전반사시켜서 상기 출사면으로부터 출사시키도록 한 조명장치로서, 상기 봉형상 도광체의 발광 유닛에 마주 향하는 단면에는, 적어도 봉형상 도광체의 바닥면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의 발광소자에 마주 향하는 개소에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이 봉형상 도광체에 입사될 때에 입사각을 넓히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에는 3원색의 각 발광소자가 봉형상 도광체 바닥면의 폭방향 중심선으로부터의 법선방향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제2항의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이 봉형상 도광체에 입사될 때에 입사각을 넓히는 부분은, 반구형상 오목면, 원통을 반으로 자른 형상 오목면, 반구형상 볼록면, 원통을 반으로 자른 형상 볼록면, 톱니형상 오목면, 톱니형상 볼록면 또는 조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명장치와, 이 조명장치로부터의 출사광 중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라인 이미지 센서를 향해 집광시키는 정립 등배 결상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장치.
  6. 제5항의 화상 독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립 등배 결상계는 1 ㎜ 이상의 초점심도를 갖고, 또한 상기 조명 유닛은 초점심도 범위에서의 조도 얼룩이 ±2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장치.
KR1020050118579A 2004-12-08 2005-12-07 조명장치와 화상 독취장치 KR200600645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54878 2004-12-08
JP2004354878 2004-12-08
JP2005137732A JP2006191521A (ja) 2004-12-08 2005-05-10 照明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JP-P-2005-00137732 2005-05-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538A true KR20060064538A (ko) 2006-06-13

Family

ID=36573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8579A KR20060064538A (ko) 2004-12-08 2005-12-07 조명장치와 화상 독취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55194B2 (ko)
JP (1) JP2006191521A (ko)
KR (1) KR20060064538A (ko)
TW (1) TW20062792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0798A1 (ja) * 2006-01-10 2007-07-19 Nippon Sheet Glass Company, Limited 導光体、照明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WO2008013234A1 (ja) * 2006-07-27 2009-12-17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ライン状照明装置、イメージセンサ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US20100014315A1 (en) * 2007-02-26 2010-01-21 Rohm Co., Ltd Linear light source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US7954988B2 (en) * 2007-07-31 2011-06-07 Samung Electronics Co., Ltd. Scanner module and image scann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8358447B2 (en) 2007-07-31 2013-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anner module and image scann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EP2395738B1 (en) 2007-07-31 2016-03-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functional device having scanner module and image scanning apparatus employing the scanner module
US8379275B2 (en) 2007-07-31 2013-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anner module and image scann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7918528B2 (en) * 2008-05-05 2011-04-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rop detector system and method with light collector
US8529011B2 (en) * 2008-03-25 2013-09-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rop detection mechanism and a method of use thereof
US8177318B2 (en) * 2008-03-25 2012-05-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rifice health detection device
US8449068B2 (en) * 2009-02-19 2013-05-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ight-scattering drop detector
JP2009302646A (ja) * 2008-06-10 2009-12-24 Nippon Sheet Glass Co Ltd 棒状導光体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2009301988A (ja) * 2008-06-17 2009-12-24 Rohm Co Ltd 照明装置
TW201109588A (en) * 2009-09-10 2011-03-16 E Pin Optical Industry Co Ltd Light guide with taped saw tooth for linear light source
US8511786B2 (en) * 2009-10-19 2013-08-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ight scattering drop detect device with volume determination and method
US9631782B2 (en) * 2010-02-04 2017-04-25 Xicato, Inc. LED-based rectangular illumination device
US8355127B2 (en) 2010-07-15 2013-01-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GRIN lens array light projector and method
JP5139507B2 (ja) * 2010-12-10 2013-02-06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画像読取装置
JP5209818B2 (ja) * 2012-11-09 2013-06-12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画像読取装置
TWI513943B (zh) * 2012-11-22 2015-12-21 Lextar Electronics Corp 發光裝置
TW201502435A (zh) * 2013-07-15 2015-01-16 Hon Hai Prec Ind Co Ltd 發光二極體燈具
US9160879B2 (en) * 2013-08-20 2015-10-13 Sharp Kabushiki Kaisha Light guiding body, illuminating device,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DE112016000829B4 (de) * 2015-02-20 2020-09-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Lichtleitkörper, Lichtquellenvorrichtung und Bildlesevorrichtung
JP1553846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414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847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412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417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413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845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848S (ko) * 2015-06-18 2016-07-11
US20170010404A1 (en) * 2015-07-09 2017-01-12 Pixon Technologies Corp. Linear light source with flexible printed circuit
CN110785988B (zh) * 2017-06-28 2022-02-22 三菱电机株式会社 导光体及图像读取装置
US10536603B2 (en) 2017-06-28 2020-01-1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Light guide and image read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4983A (en) * 1985-06-10 1987-12-22 Motorola, Inc. Uniform emission backlight
JP2538667B2 (ja) * 1989-04-13 1996-09-25 富士通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
JP2693098B2 (ja) 1993-01-19 1997-12-17 キヤノン株式会社 導光体、導光体を有する照明装置、照明装置を有する読取装置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4004178B2 (ja) * 1999-04-16 2007-11-07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ライン照明装置
US6744033B2 (en) * 2000-08-01 2004-06-01 Nippon Sheet Glass Co., Ltd. Bar-shaped light guide, line-illuminating device incorporated with the bar-shaped light guide and contact-type image sensor incorporated with the line-illuminating device
US6648485B1 (en) * 2000-11-13 2003-11-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ly collimating tapered light guide for uniform illumination of flat panel displays
TW567714B (en) * 2001-07-09 2003-12-21 Nippon Sheet Glass Co Ltd Light-emitting unit and illumination device and image reading device using light-emitting unit
JP2003281913A (ja) 2002-03-22 2003-10-03 Nippon Sheet Glass Co Ltd 照明装置および画像読み取り装置
JP2003346530A (ja) * 2002-05-23 2003-12-05 Nippon Sheet Glass Co Ltd 面状光源装置および画像読み取り装置
JP2003348299A (ja) * 2002-05-29 2003-12-05 Nippon Sheet Glass Co Ltd ライン照明装置および読取装置
JP3923867B2 (ja) * 2002-07-26 2007-06-06 株式会社アドバンスト・ディスプレイ 面状光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4146870A (ja) 2002-10-21 2004-05-20 Nippon Sheet Glass Co Ltd ライン照明装置およびこのライン照明装置を組み込んだ画像読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27924A (en) 2006-08-01
JP2006191521A (ja) 2006-07-20
US20060120098A1 (en) 2006-06-08
US7555194B2 (en) 2009-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64538A (ko) 조명장치와 화상 독취장치
JP4093990B2 (ja) 導光体、ライン照明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US7812304B2 (en) Light guide having light scattering patterns with different light reflected directions
US7209268B2 (en) Line illuminating device
US7802899B2 (en) Rod-shaped light guide and image reading device
JP5670014B2 (ja) スキャナモジュールを備えた複合機及びイメージスキャニング装置
JP4004178B2 (ja) ライン照明装置
US6724503B1 (en) Image sensor substrate and image sensor employing it
JP3912945B2 (ja) 棒状導光体およびそれを組込んだ照明装置、原稿読取装置
JP2001242322A (ja) 導光体およびライン照明装置
JP4946603B2 (ja) 導光体および線状光源装置
JP2006148956A (ja) ライン照明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2005229647A (ja) ライン照明装置及び原稿読取装置
JP2007027137A (ja) 棒状導光体、照明ユニットおよび画像読取装置
KR20060016121A (ko) 도광체 및 라인 조명장치
JP2001268320A (ja) ライン照明装置
JP2006148501A (ja) 画像読取装置
US6808280B2 (en) Line-illuminating device
JP2007110752A (ja) 棒状導光体およびそれを組込んだ照明装置、原稿読取装置
JP2007221361A (ja) 線状光源装置
JP2009075253A (ja) ライン照明装置
JP2000101790A (ja) 照明装置
JP5257280B2 (ja)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
JP3655138B2 (ja) ライン照明装置
US20020003580A1 (en) Line image sensor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