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2844A -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정보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정보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2844A
KR20060062844A KR1020040101824A KR20040101824A KR20060062844A KR 20060062844 A KR20060062844 A KR 20060062844A KR 1020040101824 A KR1020040101824 A KR 1020040101824A KR 20040101824 A KR20040101824 A KR 20040101824A KR 20060062844 A KR20060062844 A KR 20060062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t call
ptt
call data
service
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4872B1 (ko
Inventor
정원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1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872B1/ko
Priority to EP05026636A priority patent/EP1667413A2/en
Priority to US11/295,059 priority patent/US20060121925A1/en
Publication of KR20060062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61Push-to services, e.g. push-to-talk or push-to-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voice messaging, e.g. dicta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TT통화서비스 가입자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PTT통화서비스 가입자들과 동시에 푸쉬투토크(PTT)서비스를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PTT통화데이터를 저장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PTT통화서비스 실행 중 PTT통화데이터 저장키 입력시, 현재 PTT통화중인 PTT통화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PTT통화데이터 수신시, 상기 등록된 PTT통화서비스 가입자 정보에 해당하는 PTT통화데이터와 상기 PTT휴대용 단말기의 가입자의 PTT통화데이터를 저장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PTT통화서비스, PTT통화데이터, 저장, 메모리 잔량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정보 처리방법{METHOD FOR PROCESSING THE INFORMATION OF CONVERSATION IN WIRELESS TERMINAL}
도 1은 일반적인 초기 PTT콜 처리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PTT휴대용 단말기의 전체 블록도
도 3a-b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PTT통화데이터 저장 동작의 흐름도
도 4a-b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PTT통화데이터 저장 동작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PTT통화데이터 재생 동작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PTT통화데이터 전송 동작의 흐름도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푸쉬투토크(PTT) 서비스 이용시, PTT통화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전송 및 재생 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정보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통신 시스템은 전체 서비스지역을 다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영역으로 분할하여 소규모의 서비스 영역인 셀들(cells)로 구성하고, 기지국들은 이동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으로 집중 제어하여 가입자가 셀간을 이동하면서도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터넷 기반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와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결합하기 위한 여러가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중의 하나로 IP를 이용한 패킷 기반(Packet Base)의 음성 서비스를 VoIP(Voice over IP)라고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패킷 기반의 호 서비스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IP 네트워크를 통해 호를 설정하야여 하기 때문에 호 설정시간이 비교적 길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IP네트워크의 다중전송(Multicast) 기능을 이용하여 그룹호(Group Call) 및 개인호(Private Call)와 같은 인터액티브 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액티브 호 서비스란 사용자들의 상호간 동작에 의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는 호의 한 종류로서 예를 들어 워키토키(Walkie-talkie)에서와 같은 푸쉬투토크(PTT: Pust to talk 이하,"PTT"로 표기함) 기능이 있다. 또한 그룹호란 미리 정해지는 사용자들의 그룹내에서 사용자들간의 다자간 통화를 의미하며 개인호란 미리 정해지는 사용자들의 그룹내에서 사용자들간의 1:1통화를 의미한다.
이러한, PTT서비스는 다수의 사용자 또는 그룹을 대상으로 음성/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가능케 하는 서비스로서, PTT를 위한 버튼을 누름으로써, 사용자는 말하고자함을 표시하고, 사용자 장치 즉, PTT서비스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이하, "PTT휴대용 단말기"로 표기함)는 서비스 요청을 네트워크에 전송한다. 상기 네트워크는 자원의 이용가능성, 요청한 사용자의 우선순위 등과 같은 소정의 판단기준을 기초로 상기 요청을 거절하거나, 또는 요청된 자원을 할당한다. 그와 동시에, 특정 가입자 그룹내의 모든 다른 활성 사용자들과의 접속이 설정된다. 음성 접속이 설정된 후에 요청한 사용자는 말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들은 그 채널에서 들을 수 있다. 사용자가 PTT를 해제하면, 그 PTT를 해제한 해당 휴대용 단말기는 네트워크에 해제(release) 메시지 신호를 전송하고, 자원들은 해제된다. 이러한 PTT통신 시스템은 지점-대-지점간 통신과 지점-대-다지점간 통신서비스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지점-대-다지점간 통신서비스를 PTT서비스에서는 PTT그룹 통화라고 한다.
이러한, PTT 휴대용 단말기간의 PTT 콜은 발신측 PTT 휴대용 단말기가 착신측 PTT 휴대용 단말기로 PTT콜을 상대방에게 요청하면서부터 시작된다. 상기 PTT콜 요청은 PTT버튼을 누름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는 PTT알림음으로PTT콜이 수신되었음을 통보한다. 이에,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PTT콜이 수신을 알리는 PTT알림음이 울림을 인지하고,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의 발신자와 PTT콜을 개시한다.
그러나, 종래 PTT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PTT서비스는 PTT통화서비스 중 PTT통화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저장된 통화데이터를 재생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저장된 PTT통화데이터를 이메일 또는 MMS메시지로 전송하거나 PTT통화서비스 중에 저장된 PTT통화데이터를 PTT통화 상대방에 전송할 수 없음으로 사용자가 컨퍼런스콜(Conference-Call)같은 중요한 데이터를 다시 문서 또는 전화로 재차 요구해야 하 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푸쉬투토크(PTT) 서비스 이용시, PTT통화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전송 및 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PTT통화서비스 가입자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PTT통화서비스 가입자들과 동시에 푸쉬투토크(PTT)서비스를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PTT통화데이터를 저장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PTT통화서비스 실행 중 PTT통화데이터 저장키 입력시, 현재 PTT통화중인 PTT통화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PTT통화데이터 수신시, 상기 등록된 PTT통화서비스 가입자 정보에 해당하는 PTT통화데이터와 상기 PTT휴대용 단말기의 가입자의 PTT통화데이터를 저장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푸쉬투토크(PTT)서비스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PTT통화데이터를 재생 하는 방법에 있어서, PTT통화데이터 재생키 입력시, 사용가능한 메모리의 잔량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결과, 상기 사용가능한 메모리의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메모리부족 메시지를 표시하고 PTT통화데이터 저장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PTT통화데이터 저장목록 중 재생할 PTT통화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PTT통화데이터 재생하고 상기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재생한 PTT통화데이터를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 함을 특징으로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초기 PTT콜 처리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가 PTT콜 대기모드(dormant)에서 PTT콜요구시, PTT콜 처리과정에 대해서 간략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111단계~145단계까지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와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가 각각 제1, 제2 기지국(400,500)과 서비스 옵션 네고(nego)를 수행하여 트래픽 채널(TCH; Traffic Channel)을 셋업(setup)한후, SIP를 기반으로 PTT 응용프로그램으로 음성통화를 수행한다.
우선, 111단계에서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가 SDB(Short Data Burst)형태로 PTT콜 요구신호(INVITE)를 제1 기지국(400)으로 전송한다. 상기 PTT콜 요구신호(INVITE) 전송직후, 113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는 PTT서비스를 위해 제1 기지국(400)과 서비스 옵션(Service option(SO_PTT)) 네고를 실시하면서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 셋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네고는 PPP 세션(session)을 포함한 물리계층부터 응용계층까지의 상위 네트워크 세션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Origination"으로 표기하였다.
이후, 115~117단계에서 상기 PTT콜 요구신호(INVITE)는 상기 제1 기지국(400)으로 전송된 후 PTT서버(300)와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가 서비스 받고 있는 제2 기지국(500)으로 전송된다. 이때, 119단계와 121단계에서 상기 제2 기지국(500)은 주기적으로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로 페이징 신호(General Page)를 송출하며,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는 상기 페이징 신호에 대한응답신호(Page Response)를 상기 제2 기지국(500)으로 전송하는 중에 있다. 이러한 페이징 수행중, 상기 117단계에서 제2 기지국(500)은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로 쇼트 데이터 버스트(SDB;Short Data Burst) 형태로 상기 PTT콜 요구신호(INVITE)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는 PTT콜이 형성되었음을 표시하여 이를 착신자에게 알리게 된다. 그러나,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은 트래픽 채널이 셋업된 상태가 아니므로 어떠한 음성도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되지 않는다.
다음, 125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은 제2 기지국500으로 PTT콜 요구신호(INVITE)를 정상적으로 수신했음을 알리는 신호로 "MS L2 Ack"를 제2 기지국(50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127단계에서 상기 제2 기지국(500)은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측으로 상기 "MS L2 Ack"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했음을 알리는 "BS L2 Ack"신호를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후, 129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는 SDB형태로 "200 OK" 메시지(Message)를 제2 기지국(50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200 OK" 메시지는 초기 PTT콜을 요구한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에게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 기가 PTT콜 요구신호(INVITE)를 수락했음을 알리는 메시지이다.
이때, 131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도 상기 "200 OK" 메시지를 보낸 직후, 상기 제2 기지국(500)과 연동하여 PTT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옵션(Service option(SO_PTT)) 네고를 실시하면서, 트래픽 채널 셋업을 실시한다.
다음, 133단계부터 137단계동안, 상기 "200 OK" 메시지는 제2 기지국(500)에서 PTT서버(300)와 제1 기지국(400)을 통해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으로 전송되고, 그 "200 OK"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는 트래픽 채널 셋업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는 착신측에서 PTT콜 요구를 수락하여 PTT콜이 형성되었음을 표시한다.
이후, 139단계와 141단계에서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는 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SIP Ack"신호를 통해 PTT서버(300)측으로 발언권을 요청한후 143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PTT서버(300)는 상기 발언권 요청을 제어하여 상기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로 발언권을 준다.
143단계에서 상기 발언권을 획득한 상기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는 RTP(Real Time Protocol)를 통해 실시간으로 발언데이터(Talk Burst)을 PTT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143단계를 통해 상기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가 발언한 데이터는 PTT서버(300)로 전송되어 1차적으로 버퍼링(Buffering)된다. 이후, 상기 PTT서버(300)에 버퍼링된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의 발언데이터(Talk Burst)은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의 트래픽 채널 셋업의 완료여부에 따라 RTP를 통해 PTT서버(300)에서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 로 전송된다. 즉, 상기 PTT서버(300)는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의 트래픽 채널 셋업이 완료된 이후에 버퍼링하고 있던 발언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후,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과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는 트래픽 채널 셋업이 완료된후에 따라 PTT서버(300)와 네고할 필요 없이 전술한 상기 "SIP Ack"신호와 그 "SIP Ack"신호에 응답신호의 "SIP Respone"만으로 발언권을 부여받아 발언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는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의 PTT콜 요구신호 수신이후, 발신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통화데이터를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PTT통화데이터 저장방법을 기술하는데 있어,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PTT휴대용 단말기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PTT휴대용 단말기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면 RF부(21)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RF부(2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23)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모뎀(23)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거나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처리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상기 모뎀(23)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제어부(10)로부터 수신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제어부(10)로 전송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25)는 제어부(10)로부터 PTT통화 재생모드에 따라 메모리(29)에 저장된 통화데이터 또는 PTT알림음을 스피커SPK로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키패드(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키패드(27)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통화 저장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그 통화 저장모드를 통해 저장된 통화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키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 PTT통화데이터 저장모드를 키입력 한번으로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PTT통화데이터 저장모드키와, PTT통화데이터 저장모드를 통해 저장된 통화데이터를 키입력 한번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데이터 재생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PTT통화데이터 전송키를 구비하여 저장한 PTT통화데이터를 즉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29)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PTT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또한,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PTT콜 수신시 이를 알리는 PTT 알림음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PTT통화데이터 저장모드 설정을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PTT통화데이터 저장모드를 통해 저장된 통화데이터를 재생시키는 통화데이터 재생하고 이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통화저장모드 설정에 따라 수신되는 발신자의 음성이 데이터화되어 통화데이터로 저장된다. 또한, 상기 통화데이터가 저장되면서 아울러 발신자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발신자 정보는 발신자의 전화번호, 발신자의 PTT콜을 수신한 시간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통화데이터와 발신자 정보 등을 갖는 통화데이터 저장목록에 등록 저장된다.
제어부(10)는 PTT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는 모뎀(23)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은 PTT콜 착신시에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25)로 PTT콜 수신시 알림음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한다. 또한, 제어부(10)는 PTT통화데이터 저장모드 설정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PTT통화데이터 저장모드에 따라 메모리(29)에 통화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통화데이터가 저장된 통화데이터 저장 목록 중 선택된 통화데이터를 상기 오디오 처리부(25)로 전송하여 통화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 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PTT통화데이터 전송모드에 따라 저장된 PTT통화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PTT통화데이터 저장, 재생 및 전송시, 메모리(29)를 제어하여 메모리의 잔량을 확인하고 표시부(80)에 표시한다.
표시부(80)는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메시지들을 표시하며 제어부(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배터리의 잔량과 수신감도율 및 모닝콜 설정유무를 나타내는 아이콘들 및 현재시간을 의미한다. 또한, 표시부(80)는 통화저장모드 설정시 통화저장모드의 설정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통화저장모드가 설정되면 "PTT통화저장모드가 설정 되었습니다"라는 안내메시지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통화저장모드의 설정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80)는 상기 통화저장모드를 통해 저장된 통화데이터들의 통화데이터 저장목록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통화데이터 저장목록 중 선택된 통화데이터의 해당 발신자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PTT통화데이터 전송 후 "전송한 PTT통화데이터를 삭제 하시겠습니까?"라는 안네 메시지를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8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80)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27)와 상기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도 1의 PTT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시 사용자가 키패드(27)를 통해 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고 모뎀(23)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알정보를 처리한 후 RF부(21)를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RF부(21) 및 모뎀(23)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시 제어부(10)는 모뎀(23)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는 모뎀(23)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부(35) 상에 표시한다.
이러한 상기 PTT휴대용 단말기의 통화데이터 저장에 따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어부(10)는 PTT통화 중 PTT통화데이터 저장시, 메모리(29) 및 표시부(80)를 제어하여 메모리의 잔량을 확인하고 표시한다. 그리고 PTT통화데이터 저장모드에 적용될 PTT통화대상이 설정되면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설정된 PTT통화 대상과의 PTT통화데이터를 메모리(29)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메모리(29)를 제어하여 메모리 잔량을 확인하여 임계값 미만이면 표시부(80)를 제어하여 메모리 부족 메시지를 표시하고 제어부(10)는 PTT통화데이터 저장 모드를 종료한다. 또한 제어부(10)는 메모리(29) 및 표시부(80)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PTT통화데이터 저장 폴더목록을 표시하고 PTT통화데이터를 저장할 폴더가 선택되면 제어부(10)는 선택된 폴더에 PTT통화데이터를 저장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는 키패드(27)에 구비된 통화데이터 재생키 입력이 발생하면 통화데이터 저장목록을 표시부(80)에 표시하고, 그 통화데이터 저장목록 중 선택된 통화데이터를 메모리(29)로부터 독출한다. 그러면, 오디오 처리부(25)는 상기 제어부(10)로부터 메모리(29)로부터 독출한 통화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처리한 후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통화데이터를 재생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재생한 PTT통화데이터 삭제 안내 메시지를 표시한다. 삭제선택시, 재생한 PTT통화데이터를 삭제한다.
도 3a-b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PTT통화데이터 저장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3a-b는PTT통화데이터를 저장모드에 적용될 대상을 선택하고 PTT통화데이터를 저장할 폴더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대상과 PTT통화한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폴더에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제어부(10)는 301단계에서 키패드(27)에 의해 선택된 PTT그룹통화 하고자 하는 참여자에게 PTT콜을 전송하여 PTT그룹통화를 실시한다. 이때, 상기 PTT그룹통화는 상기 도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139~141단계를 통해 "SIP Ack"신호를 통해 발언권을 요구하면, PTT서버(300)의 제어 하에 발언권이 주어지고, 그 발언권에 의해 그룹통화를 한다.
이후,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사용하여 PTT통화 저장모드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3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5단계로 진행하여 PTT통화저장 모드를 설정 한다. 이때, 상기 통화저장모드 설정은 PTT통화 저장모드키 또는 메뉴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PTT통화 저장모드 해제 또한 상기 PTT통화 저장모드키 또는 메뉴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는 307단계로 진행하고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PTT통화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잔량을 확인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309단계에서 메모리(29)를 제어하여 PTT통화데이터 저장모드에 적용될 대상을 설정한다. 309단계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0)는 표시부(80)를 제어하여 PTT통화데이터 저장모드에 적용될 대상을 설정하기 위한 PTT통화 중인 대상의 목록을 표 1과 같이 표시한다.
PTT통화데이터 저장 대상목록
1 모든 PTT통화데이터 저장
2 찬혁 - 졸려
3 학준 - 겨울
4 지연 - 삐짐
5 나의 목소리 저장
상기 표 1과 같이 표시되는 PTT통화데이터 저장모드 대상 목록 중 사용자가 1번 항목을 선택하면 PTT통화 중인 모든 PTT통화 대상과 주고받은 PTT통화데이터가 저장되고 2번 항목을 선택하면 PTT통화 대상자 중 '찬혁-졸려'와 주고받은 PTT통화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3번 항목을 선택하면 PTT통화 대상자 중 '학준-겨울'과 주고받은 PTT통화데이터가 저장되고 4번 항목을 선택하면 PTT통화 대상자 중 '지연-삐짐'과 주고받은 PTT통화데이터가 저장되고 5번 항목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말한 PTT통화데이터만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PTT통화데이터 저장모드 대상목록 에 체크 박스를 구비하어 사용자가 복수의 대상을 선택하여 선택된 대상들과의 주고받은 PTT통화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은 PTT통화서비스가 IP네트워크의 다중전송(Multicast) 기능을 이용하여 그룹호(Group Call) 및 개인호(Private Call)와 같은 인터액티브 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IP를 이용한 패킷 기반(Packet Base)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 가능하다. 상기 PTT 서비스에는 발신자의 음성이 데이터화되어 패킷 형태로 전송되고 발신자 정보가 전송되어 등록된다. 여기서, 발신자 정보는 발신자의 전화번호, 발신자의 PTT통화를 수신한 시간 및 콜아이디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설정과 아울러 지정시간(1분, 5분, 10분)을 설정하여 PTT통화데이터를 설정시간까지만 저장하거나 저장되는 메모리량(50byte, 100byte, 150byte)을 설정하여 PTT통화데이터를 설정된 메모리량 까지만 저장할 수 있다.
상기 PTT통화데이터 저장모드에 적용될 대상이 설정되면 제어부(10)는 311단계에서 음성신호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음성신호가 감지되면 317단계에서 제어부(10)는 상기 설정된 PTT통화 대상과 주고받은 PTT통화데이터를 임시버퍼에 저장하고 315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311단계에서 음성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0)는 315단계로 진행한다. 315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29)를 제어하여 PTT통화데이터가 저장 가능한 메모리의 잔량을 확인한다. 확인결과 메모리 잔량이 임계값 이상이면 제어부(10)는 3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7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 잔량을 새롭게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확인결과 PTT통화데이터가 저장 가능한 메모리 잔량이 임계값 미만이면 제어부(10)는 3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9단계 로 진행한다. 319단계에서 제어부(10)는 표시부(80)를 제어하여 메모리부족 메시지를 표시한다. 상기 메모리부족 메시지는 '저장할 메모리공간이 부족합니다.'라는 텍스트메시지, 아이콘 또는 음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족 메시지가 표시되면 제어부(10)는 321단계에서 PTT통화데이터 저장모드를 종료하고 323단계로 진행하여 PTT통화데이터 저장폴더 선택모드를 수행한다. 여기서 폴더는 메뉴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폰북 또는 메뉴목록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323단계를 도 3b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PTT통화데이터 저장모드가 종료되면 제어부(10)는 327단계에서 메모리(29)를 제어하여 PTT통화데이터 저장 폴더목록을 표 2와 같이 표시한다.
PTT통화데이터 저장 폴더목록
1 친구
2 회사
3 동호회
4 미지정
5 보안
상기 표 2와 같이 표시되는 PTT통화데이터 저장 폴더목록 중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1번 항목인 '친구'폴더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32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31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1번 항목인'친구'폴더를 PTT통화데이터 저장 폴더로 설정하고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2번 항목인 '회사'폴더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32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31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2번 항목인'회사'폴더를 PTT통화데이터 저장 폴더로 설정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3번 항목인'동호회'폴더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329단계에서 이 를 감지하고 331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3번 항목인'동호회'폴더를 PTT통화데이터 저장 폴더로 설정하고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4번 항목인'미지정'폴더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32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31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4번 항목인'미지정'폴더를 PTT통화데이터 저장 폴더로 설정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5번 항목인'보안'폴더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32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31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5번 항목인'보안'폴더를 PTT통화데이터 저장 폴더로 설정한다. 여기서 보안 폴더는 폴더 접근시, 비밀번호인증과 같은 절차를 거쳐야 하는 폴더를 의미하고 각각의 폴더마다 비밀번호 인증 단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일정시간 상기 PTT통화데이터 저장 폴더목록 중 PTT통화데이터 저장 폴더를 선택하지 않으면 제어부(10)는 333단계에서 4번 항목인'미지정'폴더를 PTT통화데이터 저장 폴더로 설정한다.
상기에서는 그룹에 따라 저장 폴더목록을 구성 하였지만, 저장 폴더목록을 PTT통화데이터를 저장한 날짜 ,요일 또는 시간에 따라 구성할 수 있고 저장 폴더 목록을 PTT통화데이터의 저장 사이즈 별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PTT통화데이터 저장 폴더가 설정되면 제어부(10)는 3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임시버퍼에 저장된 PTT통화데이터를 설정된 PTT통화데이터 저장 폴더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PTT통화데이터를 문자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되는 PTT통화데이터의 제목은 상기 PTT통화데이터 저장모드에 설정된 대상의 전화번호, PTT통화를 수신한 시간 및 콜아이디 등이 포함되게 자동으로 입력되거나 PTT통화데이터 중 처음 문장이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 의하여 제 목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1번 항목인'친구'폴더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여 선택된 1번 항목인'친구'폴더를 PTT통화데이터 저장 폴더로 설정하고 상기 임시버퍼에 저장된 PTT통화데이터를'친구'폴더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2번 항목인'회사'폴더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여 선택된 2번 항목인'회사'폴더를 PTT통화데이터 저장 폴더로 설정하고 상기 임시버퍼에 저장된 PTT통화데이터를'회사'폴더에 저장한다.
도 4a-b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PTT통화데이터 저장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4a-b를 참조하여 PTT통화데이터를 저장모드에 적용될 대상을 설정하고 상기 선택된 대상과 PTT통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설정된 대상에게 저장된 PTT통화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제어부(10)는 401단계에서 키패드(27)에 의해 선택된 PTT그룹통화 하고자 하는 참여자에게 PTT콜을 전송하여 PTT그룹통화를 실시한다. 이때, 상기 PTT그룹통화는 상기 도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139~141단계를 통해 "SIP Ack"신호를 통해 발언권을 요구하면, PTT서버(300)의 제어 하에 발언권이 주어지고, 그 발언권에 의해 그룹통화를 한다.
이후,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사용하여 PTT통화 저장모드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4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05단계로 진행하여 PTT통화저장 모드를 설정한다. 이때, 상기 통화저장모드 설정은 PTT통화 저장모드키 또는 메뉴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PTT통화 저장모드 해제 또한 상기 PTT통화 저장모드키 또는 메뉴 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는 407단계로 진행하고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PTT통화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잔량을 확인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409단계에서 메모리(29)를 제어하여 PTT통화데이터 저장모드에 적용될 대상을 설정한다. 상기 PTT통화데이터 저장모드에 적용될 대상 설정단계인 409단계는 상기 도 3a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상기 PTT통화데이터 저장모드에 적용될 대상이 설정되면 제어부(10)는 411단계에서 음성신호가 감지되는지 판단하고 음성신호가 감지되면 413단계에서 제어부(10)는 상기 설정된 PTT통화 대상과 주고받은 PTT통화데이터를 임시버퍼에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PTT통화데이터 저장모드 종료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4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7단계로 진행하여 PTT통화데이터 저장모드를 종료한다.
이후,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PTT통화데이터 전송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4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저장된 PTT통화데이터를 상기 설정된 PTT통화 대상에게 전송한다. 이는 PTT휴대용 단말기의 전송준비가 완료됨에 따라 RTP서버를 통해 PTT서버에 상기 저장된 PTT통화데이터를 업로드하고 상기 PTT서버는 상기 설정된 PTT통화 대상의 정보를 분석하여 업로드된 PTT통화데이터를 상기 설정된 PTT통화 대상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된 PTT통화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대상을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하여 저장된 PTT통화데이터를 전송할 대상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된 PTT통화데이터가 전송되면 제어부(10)는 423단계에서 메모리 (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전송한 PTT통화데이터 삭제 안내메시지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삭제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427단계로 진행하여 전송된 PTT통화데이터를 삭제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저장을 선택하면 제어부(10)는 429단계에서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전송한 PTT통화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429단계인 상기 전송한 PTT통화데이터 저장단계는 상기 도 3a의 323단계~325단계와 도 3b의 327단계~333단계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저장된 PTT통화데이터는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할여 재생키 입력시, PTT통화서비스 중에 재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PTT통화데이터 재생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저장된 PTT통화데이터를 재생하고 삭제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대기상태인 501단계에서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PTT통화데이터 재생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5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05단계로 진행한다. 505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29)를 제어하여 PTT통화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잔량을 확인한다. 확인결과 메모리 잔량이 임계값 이상이면 제어부(10)는 5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여 511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확인결과 PTT통화데이터가 저장 가능한 메모리 잔량이 임계값 미만이면 제어부(10)는 5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09단계로 진행한다. 509단계에서 제어부(10)는 표시부(80)를 제어하여 메모리부족 메시지를 표시하고 51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메모리부족 메시지는 '저장할 메모리공간이 부족합니다.'라는 텍스트메시지, 아이콘 또는 음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511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PTT통화데이터 저장목록을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된 PTT통화데이터 저장목록 중 재생할 PTT통화데이터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5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15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PTT통화데이터 저장목록은 폰북 같은 형태로 표시될 수 있고 상위 폴더 안에 저장된 하위 PTT통화데이터 목록이 설정된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515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29)와 오디오처리부(25)를 제어하여 선택된 PTT통화데이터를 독출하여 스피커SPK로 PTT통화데이터를 재생한다. 또한 상기 PTT통화데이터를 문자데이터로 저장하여 재생시, PTT통화데이터를 문자로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재생된 PTT통화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하여 캐패드(27)를 이용하여 PTT통화데이터 삭제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5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19단계로 진행한다. 519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재생된 PTT통화데이터를 삭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PTT통화데이터 전송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저장된 PTT통화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대기상태인 601단계에서 키패드(27)를 이용하여 PTT통화데이터 전송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6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05단계로 진행한다. 605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29)를 제어하여 PTT통화데이터 전송메뉴목록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PTT통화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표시된 PTT통화데이터 전송메뉴목록 중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MMS메시지 전송을 선택하면 제어부(10)는 607단계에서 이를 감지 하고 609단계로 진행한다. 609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작성한 메시지를 저장하고 615단계로 진행한다. 또한 사용자가 PTT통화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표시된 PTT통화데이터 전송 메뉴목록 중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인터넷 전송을 선택하면 제어부(10)는 6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13단계로 진행한다. 613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작성한 인터넷 메일을 저장하고 615단계로 진행한다.
615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PTT통화데이터 저장목록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PTT통화데이터 저장목록은 폰북 같은 형태로 표시될 수 있고 상위 폴더 안에 저장된 하위 PTT통화데이터 목록이 설정된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된 PTT통화데이터 저장목록 중 작성된 메시지 또는 메일에 첨부될 PTT통화데이터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상기 작성된 메시지 또는 메일에 선택된 PTT통화데이터를 첨부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전송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617단계에서 RF부(21)를 제어하여 상기 PTT통화데이터가 첨부된 메시지 또는 메일을 전송한다.
PTT통화데이터가 첨부된 메시지 또는 메일이 전송되면, 제어부(10)는 619단계에서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전송한 PTT통화데이터 삭제 안내 메시지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삭제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623단계로 진행하여 전송된 PTT통화데이터를 삭제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저장을 선택하면 제어부(10)는 625단계에서 메모리(29)를 제어하 여 전송한 PTT통화데이터를 저장상태로 유지한다. 상기에서는 MMS메시지와 인터넷 메일을 일실시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블루투스와 적외선 데이터통신(irda)과같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저장된 PTT 통화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PTT통화서비스 중 PTT통화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저장된 통화데이터를 이후에 재생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회성이 높은 PTT통화서비스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장된 PTT통화데이터를 이메일 또는 MMS메시지로 전송하여 백업 시킬 수 있고 PTT통화서비스 중에 저장된 PTT통화데이터를 PTT통화 상대방에 전송함으로써, 컨퍼런스콜(Conference-Call)같은 중요한 데이터를 잃어버려 다시 문서 또는 전화로 재차 요구해야 하는 불편함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PTT통화서비스 가입자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PTT통화서비스 가입자들과 동시에 푸쉬투토크(PTT)서비스를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PTT통화데이터를 저장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PTT통화서비스 실행 중 PTT통화데이터 저장키 입력시, 현재 PTT통화중인 PTT통화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PTT통화데이터 수신시, 상기 등록된 PTT통화서비스 가입자 정보에 해당하는 PTT통화데이터와 상기 PTT휴대용 단말기의 가입자의 PTT통화데이터를 저장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PTT통화데이터 저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T통화서비스 가입자정보는 가입자의 전화번호, 가입자의 PTT통화시간 및 가입자 아이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PTT통화데이터 저장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T통화데이터 수신시,
    PTT통화서비스 가입자목록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표시된 PTT통화서비스 가입자목록 중 상기 PTT통화데이터를 구별하여 저장하기 위한 PTT통화서비스 가입자를 선택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PTT통화데이터 저장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PTT통화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추출된 PTT통화데이터 저장 중 메모리의 잔량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결과, 상기 메모리의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추출된 PTT통화데이터를 모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결과, 상기 메모리의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메모리부족 메시지를 표시하고 PTT통화데이터 저장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PTT통화데이터 저장방법.
  5. PTT통화서비스 가입자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PTT통화서비스 가입자들과 동시에 푸쉬투토크(PTT)서비스를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PTT통화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PTT통화서비스 실행 중 PTT통화데이터 저장키 입력시, 현재 PTT통화중인 PTT통화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PTT통화데이터 수신시, 상기 등록된 PTT통화서비스 가입자 정보에 해당하는 PTT통화데이터와 상기 등록된 PTT통화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저장 하는 과정 과,
    PTT통화데이터 전송키 입력시, 상기 저장된 PTT통화데이터와 상기 PTT통화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PTT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PTT서버로부터 상기 등록된 PTT통화서비스 가입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상기 저장된 PTT통화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PTT통화데이터 저장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TT통화서비스 가입자정보는 가입자의 전화번호, 가입자의 PTT통화시간 및 가입자 아이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PTT통화데이터 저장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TT통화데이터 수신시,
    PTT통화서비스 가입자목록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표시된 PTT통화서비스 가입자목록 중 상기 PTT통화데이터를 구별하여 저장하기 위한 PTT통화서비스 가입자를 선택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PTT통화데이터 저장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PTT통화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추출된 PTT통화데이터 저장 중 메모리의 잔량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결과, 상기 메모리의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추출된 PTT통화데이터를 모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결과, 상기 메모리의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메모리부족 메시지를 표시하고 PTT통화데이터 저장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PTT통화데이터 저장방법.
  9. PTT통화서비스 가입자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PTT통화서비스 가입자들과 동시에 푸쉬투토크(PTT)서비스를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PTT통화데이터를 저장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PTT통화서비스 실행 중 PTT통화데이터 저장키 입력시, PTT통화서비스 가입자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PTT통화서비스 가입자목록 중 상기 PTT통화데이터를 구별하여 저장하기 위한 PTT통화서비스 가입자 선택시, 선택된 PTT통화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PTT통화데이터 수신시, 상기 등록된 PTT통화서비스 가입자 정보에 해당하는 PTT통화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PTT통화데이터저장 종료키 입력시, 미리 설정된 저장메뉴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저장메뉴목록 중 상기 추출된 PTT통화데이터를 저장할 메뉴 선택시, 선택된 메뉴에 상기 추출된 PTT통화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PTT통화데이터 저장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메뉴목록은 그룹명, PTT통화시간 및 가입자 아이디 항목을 포함하는 구분되는 폴더 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PTT통화데이터 저장방법.
  11. 푸쉬투토크(PTT)서비스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PTT통화데이터를 재생 하는 방법에 있어서,
    PTT통화데이터 재생키 입력시, 사용가능한 메모리의 잔량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결과, 상기 사용가능한 메모리의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메모리부족 메시지를 표시하고 PTT통화데이터 저장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PTT통화데이터 저장목록 중 재생할 PTT통화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PTT통화데이터 재생하고 상기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재생한 PTT통화데이터를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PTT통화데이터 재생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한 PTT통화데이터를 삭제하는 과정이,
    재생한 PTT통화데이터 삭제선택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삭제선택메시지에 따라, 삭제 선택시, 상기 재생한 PTT통화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삭제선택메시지에 따라, 저장 선택시, 상기 재생한 PTT통화데이터를 저장 유지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PTT통화데이터 재생방법.
  13. 푸쉬투토크(PTT)서비스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저장된 PTT통화데이터를 통신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통신서비스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통신서비스메뉴 중 상기 PTT통화데이터를 전송할 통신서비스가 선택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통시서비스 실행에 필요한 착신정보가 등록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착신정보로 전송할 PTT통화데이터가 첨부되는 과정과,
    전송키 입력시, 상기 첨부된 PTT통화데이터를 상기 착신정보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PTT통화데이터 전송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서비스메뉴는 MMS메시지 , 인터넷, 블루투스 및 적외선 데이터통신(Irda)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PTT통화데이터 전송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할 PTT통화데이터를 첨부하는 과정이,
    PTT통화데이터 저장목록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PTT통화데이터 저장목록 중 PTT통화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PTT통화데이터 전송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정보는 상기 선택된 통시서비스에 따라 착신번호와 이메일주소 중 하나가 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PTT통화데이터 전송방법.
KR1020040101824A 2004-12-06 2004-12-06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정보 처리방법 KR100724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824A KR100724872B1 (ko) 2004-12-06 2004-12-06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정보 처리방법
EP05026636A EP1667413A2 (en) 2004-12-06 2005-12-06 Method for processing conversation information in wireless terminal
US11/295,059 US20060121925A1 (en) 2004-12-06 2005-12-06 Method for processing conversation information in wireles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824A KR100724872B1 (ko) 2004-12-06 2004-12-06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정보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844A true KR20060062844A (ko) 2006-06-12
KR100724872B1 KR100724872B1 (ko) 2007-06-04

Family

ID=35976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824A KR100724872B1 (ko) 2004-12-06 2004-12-06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정보 처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121925A1 (ko)
EP (1) EP1667413A2 (ko)
KR (1) KR1007248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328B1 (ko) * 2005-02-04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Ptt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보 자동 갱신 방법 및 그시스템
US7483708B2 (en) * 2005-03-31 2009-01-27 Mark Maggenti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last speaker in a push-to-talk system
US9794307B2 (en) * 2006-02-03 2017-10-17 Blackberry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notifying, delivering, and deleting media bursts communicated in a push-to-talk over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DE102006032088A1 (de) * 2006-07-11 2008-01-17 Infineon Technologies Ag Kommunikationsendgerät, Verfahren zum Versenden von Kommunikationsdaten, Konferenzserv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Weiterleiten von Kommunikationsdaten
US8014760B2 (en) 2006-09-06 2011-09-06 Apple Inc. Missed telephone call management for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US20080055263A1 (en) * 2006-09-06 2008-03-06 Lemay Stephen O Incoming Telephone Call Management for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US8090087B2 (en) * 2006-10-26 2012-01-03 Apple Inc.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king conference calls
US7975242B2 (en) 2007-01-07 2011-07-05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erence calling
US8019383B2 (en) * 2007-01-17 2011-09-13 Nokia Corporation Techniques to increase coverage of push-to-talk wireless networks
US8014733B1 (en) * 2007-01-26 2011-09-06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earable system for enabling mobile communications
KR100850573B1 (ko) 2007-04-04 2008-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방법
US9674675B2 (en) * 2007-06-20 2017-06-06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ing floor control and media sharing in a half-duplex PTT system
US9210202B2 (en) 2007-06-20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media in a group communication amo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8180029B2 (en) 2007-06-28 2012-05-15 Voxer Ip Llc Telecommunication and multimedia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US20110019662A1 (en) 2007-06-28 2011-01-27 Rebelvox Llc Method for downloading and using a communication application through a web browser
US11095583B2 (en) 2007-06-28 2021-08-17 Voxer Ip Llc Real-time messaging method and apparatus
US9178916B2 (en) 2007-06-28 2015-11-03 Voxer Ip Llc Real-time messaging method and apparatus
CN101877873A (zh) * 2010-06-23 2010-11-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集群通信系统中授予通话权的方法及装置
KR101943989B1 (ko) 2015-06-05 2019-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서버 및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0149A (en) * 1993-03-12 1999-02-09 Motorola, Inc. Video/integrated land mobile dispatch radio and video unit
FI101923B (fi) * 1995-12-05 1998-09-1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Puheenvuorojen jakaminen suorakanavalla liikennöiville matkaviestimill e
KR19990000736A (ko) * 1997-06-10 1999-01-15 김영환 동시녹음 휴대폰 및 그 제어방법
US6898627B1 (en) * 1997-07-25 2005-05-24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capability of performing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 facsimile medium and an electronic information medium such as an e-mail medium
US7522931B2 (en) * 1998-06-05 2009-04-21 Netnumb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network computer to establish a push-to-talk session
KR20000043364A (ko) * 1998-12-29 2000-07-15 전주범 휴대 전화기의 녹음/재생 장치 및 방법
US6865398B2 (en) * 2002-02-04 2005-03-08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reducing call-setup latency through management of paging frequency and buffering of user speech in a wireless mobile station
US7668306B2 (en) * 2002-03-08 2010-02-2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packet telephony calls between secure and non-secure networks
US6792281B2 (en) * 2002-06-28 2004-09-14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patching dispatch calling parties together
US7292564B2 (en) * 2003-11-24 2007-11-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real-time, interactive radio communications
US20050143056A1 (en) * 2003-12-31 2005-06-30 Iyer Prakash R.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ush-to-talk services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7433680B2 (en) * 2004-01-22 2008-10-07 Clarity Communications Systems Inc. Incoming call management in a push-to-talk communication system
CN1774947B (zh) * 2004-02-05 2010-11-03 西门子公司 管理通信会话的方法
KR20050115686A (ko) * 2004-06-04 2005-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PoC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4053028B2 (ja) * 2004-06-30 2008-02-27 三洋電機株式会社 Pttシステム、携帯電話機、サーバ
US7398079B2 (en) * 2004-06-30 2008-07-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cording push-to-talk (PTT) voice communications for replay
KR100606018B1 (ko) * 2004-07-30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Ptt통화내용 저장 및 재생방법
KR100640439B1 (ko) * 2004-08-10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방법
US7415284B2 (en) * 2004-09-02 2008-08-19 Sonim Technologies, Inc. Methods of transmitting a message to a message server in a push-to-talk network
US7155248B2 (en) * 2004-10-22 2006-12-26 Sonlm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push-to-talk sessions between outside services and user equipment
US20060111135A1 (en) * 2004-11-19 2006-05-25 Gray William M Method to facilitate distribution of group identifications for push-to-talk groups
EP1703712B1 (en) * 2005-03-08 2008-01-23 Alcatel Lucent Method and server for a push-to-talk service
US7577455B2 (en) * 2005-05-25 2009-08-18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Three turn interactive voice messaging system
CN100562041C (zh) * 2006-02-06 2009-11-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在半双工通话中实现语音记录的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67413A2 (en) 2006-06-07
US20060121925A1 (en) 2006-06-08
KR100724872B1 (ko) 2007-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872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정보 처리방법
US7536180B2 (en) Push to talk (PTT) service method
KR101301848B1 (ko) 푸시-투-토크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서버
KR100575978B1 (ko) Ptt휴대용 단말기에서 ptt통신서비스의 발언권자표시방법
US7809388B1 (en) Selectively replaying voice data during a voice communication session
KR101226299B1 (ko) 오디오 및/또는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방법 및 통신 시스템
KR1006403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그룹 통화 방법
US20060121926A1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of talker during PTT call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328918C (zh) 在移动通信系统中使用即按即说方案进行通信的方法
CN101156429A (zh) 在无线一键通业务中实现语音信箱的方法及装置
KR100651431B1 (ko) Ptt휴대용 단말기에서 ptt통신서비스 실행방법
JP4631603B2 (ja) PoCサービスにおける音声データ再生システム、再生方法、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606018B1 (ko) Ptt통화내용 저장 및 재생방법
KR10072492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PTT(Push―To―Talk)방식의 통화 알림 장치및 방법
KR101206956B1 (ko) 푸쉬-투-토크 서비스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의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0630125B1 (ko) Ptt콜 중재방법
KR100605832B1 (ko) Ptt 휴대용 단말기의 수신상태 알림방법
KR100895402B1 (ko) 영상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KR10064032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알림 방법
KR100880978B1 (ko) 단문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100606019B1 (ko) Ptt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방법
JP2009111960A (ja) 通信方法
KR20060016885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