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1980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1980A
KR20060061980A KR1020040100617A KR20040100617A KR20060061980A KR 20060061980 A KR20060061980 A KR 20060061980A KR 1020040100617 A KR1020040100617 A KR 1020040100617A KR 20040100617 A KR20040100617 A KR 20040100617A KR 20060061980 A KR20060061980 A KR 20060061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information
mode
display
display apparatus
cloc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0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9875B1 (ko
Inventor
김광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0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875B1/ko
Publication of KR20060061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1/00Details of pulse counters or frequency dividers
    • H03K21/38Starting, stopping or resetting the cou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팩토리모드와 사용자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와; 시간정보를 발생하는 시간정보발생부와; 상기 팩토리모드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시간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시간정보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시간정보를 발생하는 시간정보발생부가 정상 동작하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시간정보발생부 33 : 발진부
35 : 시간정보처리부 50 : 모드선택부
70 : 제어부 90 :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간정보발생부의 검사방법을 개선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는 시간정보가 발생되는 시간정보발생부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TV는 시간정보발생부를 포함하고 있어서, 사용자에게 현재시간에 대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예약녹화, 자동 꺼짐/켜짐 등의 기능에 있어서 시간설 정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시간정보발생부는 주기적으로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크리스탈발진부와 크리스탈발진부에서 출력된 클럭신호를 카운팅하여 소정의 시간정보를 출력하는 시간정보처리부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제조공정에서 기판 위에 크리스탈발진부, 시간정보처리부등 시간정보를 발생하는 자재 중 미삽입 된 것이 있는 경우, 또는 크리스탈 발진부의 양단에 있는 2개의 핀이 단락된 경우 등의 원인에 의해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에 분 단위로 시간정보를 표시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의 검사단계에서 시간정보발생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려면 시간정보를 입력하고 1분 이상 시간이 경과한 후, 시간정보가 갱신되어 디스플레이부에 정상적으로 표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반면, 시간정보발생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주요 기능이 아니기 때문에 검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시간정보발생부의 검사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서,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시간과 비용의 손실을 우려해서 시간정보발생부를 검사항목에서 제외한다면, 시간정보발생부의 불량을 확인하지 못하여 소비자가 불량품을 구입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TV의 현재시간을 설정하여도 시간정보발생부가 동작하지 않아, 올바른 시간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이고, 사용자가 예약녹화 등을 설정한 경우에 녹화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간정보를 발생하는 시간정보발생부가 정상 동작하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팩토리모드와 사용자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와; 시간정보를 발생하는 시간정보발생부와; 상기 팩토리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시간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시간정보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팩토리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시간정보를 초기화하고 상기 시간정보발생부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팩토리모드기 선택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시간정보를 초단위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클럭신호가 발생되는 단계와; 팩토리모드와 사용자모드 중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팩토리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클럭신호를 카운팅하여 시간정보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초기화된 상기 시간정보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팩토리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클럭신호의 카운팅을 정지 시키고 상기 시간정보를 초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90)와, 시간정보를 발생하는 시간정보발생부(30)와, 시간정보발생부(30)에서 시간정보가 출력되면 디스플레이부(90)에 시간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팩토리모드와 사용자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팩토리모드는 주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조공정 중 공장에서 디스플레이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에서 선택된다. 팩토리모드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90)에 OSD 화면이 표시되며 제어부(70) 및 다른 각 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팩토리모드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소비자에게 팔린 후에도 리모콘 등의 키조작 등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장 등이 있는 경우 서비스직원이 팩토리모드에 진입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검사할 수 있다.
사용자모드는 팩토리모드가 아닌 다른 모드를 모두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TV를 시청하거나 현재시각을 설정하는 등 일반적인 TV사용은 모두 사용자모드에서 이루어진다.
시간정보발생부(30)는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발진부(33)와 클럭신호를 카운팅하여 시간정보를 발생하는 시간정보처리부(35)를 포함한다.
발진부(33)는 소정의 주기를 가진 클럭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발진부(33)는 루비듐발진기 또는 오븐제어수정발진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1PPS(1 Pulse Per Second, 1초당 1펄스)의 클럭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발진부(33)는 시간정보처리부(35)의 온/오프상태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온/오프상태 여부 등과 관계없이 항상 동일한 주기의 클럭신호를 발생한다.
시간정보처리부(35)는 발진부(33)에서 입력된 클럭신호를 카운팅하여 시간정보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시간정보처리부(35)에 1PPS의 클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1개의 클럭신호가 입력되면, 1초가 카운트되고 60개의 클럭신호가 입력되면 1분이 카운트된다. 시간정보처리부(35)는 RTC(Real Time Colck) 등 발진부(33)의 클럭신호를 카운팅하여 시간정보를 발생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명칭을 불문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모드선택부(5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드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모드선택부(50)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검사단계에서 주로 선택되는 팩토리모드와 팩토리모드 이외의 모드인 사용자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드선택부(50)는 리모콘에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리모콘에서 소정의 키의 조합을 눌러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켜면 사용자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르면 팩토리모드가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반면 모드선택부(50)는 전압을 바꿔주는 일종의 스위치인 점퍼, JIG 또는 핫키로 마련될 수 있으며,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면 그 범위는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70)는 모드선택부(50)를 통해 사용자모드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가 현재시간정보를 입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현재시간정보가 입력되면 시간정보발생부(30)에 입력된 현재시간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면, 시간정보처리부(35)는 구동이 시작되며, 전송된 현재시간정보를 기준으로 클럭신호를 카운팅하여 갱신된 시간정보를 제어부(70)에 출력한다. 제어부(70)에 갱신된 시간정보가 출력되면 제어부(70)는 디스플레이부(90)에 갱신된 시간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시간을 09시로 설정하면 09:00, 09:01 ~ 09:59, 10:00 순으로 시, 분의 시간정보가 출력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TV 전원을 키고 현재시간을 설정하고 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TV 화면에 현재시간 설정메뉴를 띄우고 리모콘의 숫자키를 눌러 현재시간정보를 입력한다. 제어부(70)는 현재시간정보가 입력됐다고 감지되면, 시간정보발생부(30)에 현재시간정보를 전송한다. 현재시간정보가 입력될 때까지 시간정보발생부(30)는 초기화 상태에서 구동되지 않는다. 시간정보발생부(30)가 현재시간정보를 감지하면 시간정보처리부(35)는 구동을 시작하여 발진부(33)에서 출력되는 클럭신호를 카운팅한다. 클럭신호가 소정의 횟수 카운팅 되면 1초가 발생하고, 1초가 60번 카운팅 되면 1분이 발생하는 순으로 초, 분, 시의 시간정보가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기준이 되는 현재시간을 입력하면, 시간정보처리부(35)는 현재시간부터 시간정보를 카운팅하게 된다. 그리고, 시간정보발생부(30)의 구동이 시작되면, 사용자가 TV의 전원을 온/오프와 무관하게 구동이 정지되지 않으며 클럭신호를 계 속 카운팅한다.
한편, 제어부(70)는 모드선택부(50)를 통해 팩토리모드가 선택되었다고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시간정보 입력이 없어도 자동으로 시간정보처리부(35)를 구동시킨다. 제어부(70)는 디스플레이부(90)의 일 영역에 시간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70)는 팩토리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사용자모드가 선택된 경우와 달리 초 단위로 시간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0)는 디스플레이부(90)의 왼쪽 상단에 00:00:00, 00:00:01, 00:00:02 ~ 00:00:59, 00:01:00 순으로 시, 분, 초의 시간정보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그러나, 시간정보발생부(30)가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90)의 왼쪽 상단에 00:00:00이라고 시간정보가 표시된 후 시간정보가 바뀌지 않고 불변일 수 있다.
제어부(70)는 시간정보발생부(3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시간정보발생부(30)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90)의 일 영역에 'GOOD', 'OK', '정상' 등의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시간정보발생부(3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90)의 일 영역에, 'BAD', '비정상' 등의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시간정보발생부(3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사운드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으며,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경보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팩토리모드에의 진입이 종료됐다고 감지되는 경우 시간정보처리부(35)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시간정보처리부(35)가 구동되지 않으면 발진부(33) 가 클럭신호를 출력해도 카운팅이 되지 않기 때문에 시간정보는 갱신되지 않으며, 시간정보발생부에서 시간정보가 출력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시간정보처리부(35)를 초기화시킨다. 시간정보처리부(35)는 사용자가 현재시간정보를 입력하거나 다시 팩토리모드의 진입이 감지될 때까지 구동이 시작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소정의 주기를 가진 클럭신호를 발생시킨다(S1). 사용자가 팩토리모드를 선택하는 경우(S2) 제어부는 시간정보처리부(35)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시간정보처리부(35)는 클럭신호를 카운팅하여 시간정보를 발생 및 출력한다(S3). 제어부(70)는 시간정보처리부(35)에서 시간정보가 출력되면 디스플레이부(90)의 일 영역에 시간정보를 표시한다(S4). 이 때, 제어부(70)는 시간정보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 여부가 디스플레이부(90)에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운드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70)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모드로 전환되거나,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꺼지는 경우와 같이 팩토리모드가 종료된다고 감지되면(S5), 시간정보처리부(35)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시간정보처리부(35)는 클럭신호의 카운팅을 정지한다. 그리고, 시간정보처리부(35)에 저장되어 있는 시간정보가 초기화된다(S6). 이와 같이, 시간정보처리부(35)의 시간정보가 초기화된 상태에서 시간정보처리부(35)가 정지하면, 발진부(33)가 동작해도 클럭신호가 카운팅되지 않기 때문에 시간정보발생부(30)에서 시간정보는 초기화된 상태에서 출력되지 않는다.
시간정보처리부(35)가 초기화된 상태에서 구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에 현재시간정보를 입력하면 시간정보처리부(35)는 그 구동을 시작한다. 따라서, 시간정보처리부(35)는 사용자가 입력한 현재시간정보를 기준으로 시간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시간정보처리부(35)가 구동되면 디스플레이부(90)의 온/오프 여부, 시간정보가 디스플레이부(90)에 표시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항상 시간정보가 발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팩토리모드에의 진입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부(90)에 시간정보를 표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별도의 과정 없이 용이하게 시간정보발생부(3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시간정보를 초단위로 디스플레이부(90)에 표시할 수 있어서, 종전의 디스플레이장치가 1분 동안 기다려서 시간정보발생부(3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였던 것에 비해 간편하고 빠르게 시간정보발생부(3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간정보를 출력하는 시간정보발생부가 정상 동작하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5)

  1.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팩토리모드와 사용자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와;
    시간정보를 발생하는 시간정보발생부와;
    상기 팩토리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시간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시간정보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팩토리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시간정보를 초기화하고 상기 시간정보발생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팩토리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시간정보를 초단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클럭신호가 발생되는 단계와;
    팩토리모드와 사용자모드 중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팩토리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클럭신호를 카운팅하여 시간정보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초기화된 상기 시간정보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팩토리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클럭신호의 카운팅을 정지시키고 상기 시간정보를 초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40100617A 2004-12-02 2004-12-02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09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617A KR100609875B1 (ko) 2004-12-02 2004-12-02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617A KR100609875B1 (ko) 2004-12-02 2004-12-02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980A true KR20060061980A (ko) 2006-06-09
KR100609875B1 KR100609875B1 (ko) 2006-08-08

Family

ID=37158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617A KR100609875B1 (ko) 2004-12-02 2004-12-02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87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9875B1 (ko) 200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0751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RU2163735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тображения времени использования подсветки для жидкокристаллического монитора
US8345170B2 (en) Display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US20070285572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0987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0060711A (ja) 表示装置
US6958955B2 (en) Electronic timepiece
KR100408256B1 (ko) 전자식 타임스위치의 릴레이 테스트 장치 및 방법
GB2345977A (en) Component utilization monitoring arangement
KR100768806B1 (ko) 텔레비전 시스템의 리모컨 선택 설정 제어 방법
KR100793961B1 (ko) 데이터 복원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젼 및 데이터 복원방법
JP2008022293A (ja) 映像表示装置
KR101577457B1 (ko) 알람 설정 정보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JPS6238722B2 (ko)
KR100651928B1 (ko) 영상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06350284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結果の異常な電源オンから回復するための方法
KR100386846B1 (ko) 전자식 타임스위치의 시간 가속 테스트 방법
JP2007228475A (ja) テレビジョン
JP2011129056A (ja) 表示器
KR100512946B1 (ko) 시스템 아이디 표시 가능한 감시용 모니터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162673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랭귀지 세팅 방법
JP2010021680A (ja) 自動クロック切替回路および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KR100687921B1 (ko) 전자 장치
JPH07177585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2196861A (ja) 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