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1462A - 모니터 스탠드 - Google Patents

모니터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1462A
KR20060061462A KR1020040100210A KR20040100210A KR20060061462A KR 20060061462 A KR20060061462 A KR 20060061462A KR 1020040100210 A KR1020040100210 A KR 1020040100210A KR 20040100210 A KR20040100210 A KR 20040100210A KR 20060061462 A KR20060061462 A KR 20060061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stopper
extension
monito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0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2325B1 (ko
Inventor
장병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0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325B1/ko
Publication of KR20060061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205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며, 일측에 연장부가 형성된 하부 스탠드와; 상기 하부 스탠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연장부가 형성된 상부 스탠드와; 상기 하부 스탠드의 연장부에 고정되며 돌출부가 형성된 폴딩 워셔 및, 상기 상부 스탠드의 연장부에 고정되며 상기 돌출부와 작용하는 정지부가 형성된 스토퍼를 가지는 힌지부;를 구비하는 모니터 스탠드가 제공된다.
모니터

Description

모니터 스탠드 {Monitor Stand}
도 1 및,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스탠드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은 힌지부의 일부를 상부 및, 하부 스탠드(13,12)의 내측으로부터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에 도시된 것은 힌지부의 일부를 상부 및, 하부 스탠드(13,12)의 외측으로부터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것은 폴딩 워셔를 상이한 각도에서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에 도시된 것은 위에 설명된 폴딩 워셔와 스토퍼의 상호 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 에 도시된 것은 힌지부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 에 도시된 것은 힌지부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로서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베이스 부재 12 : 하부 스탠드 부재
12a : 하부 스탠드 부재의 연장부 13 : 상부 스탠드 부재
13a : 상부 스탠드 부재의 연장부 14 : 힌지부
15 : 덮개 31 : 폴딩 워셔
31a : 삽입부 31b : 돌출부
31c : 볼트 삽입공 41 : 스토퍼
41a : 삽입부 41b : 정지부
41c : 볼트 삽입공 81 : 볼트
82 : 너트 83 : 워셔
85 : 삽입 워셔 85a: 삽입부
본 발명은 모니터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위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모니터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모니터 스탠드는 LCD 표시 장치와 같은 모니터를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모니터 스탠드는 사용자가 모니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 조건이나 사용 환경에 따라서 모니터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예를 들면 모니터 스탠드는 모니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모니터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LCD 모니터는 사용자와 모니터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시인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모니터 스탠드를 이용하여 모니터의 위치를 사용자의 시야 각도에 적합하게 변화시킬 수 있 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다른 한편으로, 모니터와 모니터 스탠드를 함께 포장하여 적재시켜서 출하할 때나 또는 보관할 경우에는 그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모니터 스탠드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탠드 부재를 구비하며, 모니터는 스탠드 부재의 일측에 장착되었다. 스탠드 부재는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인 후방으로의 회전이 가능한 반면에, 전방으로의 회전이 불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모니터 스탠드가 모니터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전방으로 회전되어 넘어질 경우에 모니터의 전면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도 부상을 입힐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스탠드는 모니터가 전방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베이스 부재상에 회전 제한부를 형성하여 스탠드 부재의 전방 회전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였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모니터 스탠드에서 스탠드 부재의 전방 회전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경우에는 모니터의 시야 각도 조절의 자유도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제품 출하나 보관시에도 제품이 차지하는 공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모니터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야 각도 조절이 자유롭고 제품이 점유하는 공간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는 모니터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방위 회전이 가능한 모니터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며, 일측에 연장부가 형성된 하부 스탠드와;
상기 하부 스탠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연장부가 형성된 상부 스탠드와;
상기 하부 스탠드의 연장부에 고정되며 돌출부가 형성된 폴딩 워셔 및, 상기 상부 스탠드의 연장부에 고정되며 상기 돌출부와 작용하는 정지부가 형성된 스토퍼를 가지는 힌지부;를 구비하는 모니터 스탠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폴딩 워셔에 형성된 삽입부는 상기 하부 스탠드의 내측면상에서 상기 하부 스탠드의 연장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스토퍼에 형성된 삽입부는 상기 상부 스탠드의 외측면상에서 상기 상부 스탠드의 연장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폴딩 워셔와 상기 스토퍼는 그 사이에 다수의 워셔들이 개재된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의 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의 정지부는 상기 상부 스탠드의 연장부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서 연장되어 상기 폴딩 워셔의 돌출부에 도달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의 정지부는 외력에 의해서 상 기 폴딩 워셔의 돌출부를 지나서 회전하게 되며, 그에 의해서 상기 스토퍼가 고정된 상부 스탠드가 전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스탠드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은 하부 스탠드의 외장을 구성하는 몰딩 부재를 제거하지 않고 도시한 것인데 반해, 도 2 는 하부 스탠드의 외장을 구성하는 몰딩 부재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스탠드는 베이스 부재(11)와, 상기 베이스 부재(11)에 고정된 하부 스탠드 부재(12)와, 상기 하부 스탠드 부재(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부 스탠드 부재(13)와, 상기 하부 스탠드 부재(12)와 상부 스탠드 부재(13)를 연결하기 위한 힌지부(14)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11)는 책상이나 테이블의 표면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다른 몰딩 부재(미도시)를 통하여 지지된다. 모니터(미도시)는 상기 상부 스탠드 부재(13)의 일측에 나사와 같은 체결 부재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힌지부(14)는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구성을 구비한다. 힌지부(14)는 상부 스탠드 부재(13)의 연장부(13a)와 하부 스탠드 부재(12)의 연장부(12a)에 설치된다. 덮개(15)는 하부 스탠드(12)를 덮고 있다.
도 3 은 힌지부의 일부를 상부 및, 하부 스탠드(13,12)의 내측으로부터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하부 스탠드(12)의 연장부(12a)의 내측면에는 폴딩 워셔(folding washer, 31)가 설치되어 있다. 폴딩 워셔(31)는 이후에 설명될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상부 스탠드 연장부(13a)에 결합된 스토퍼(41, 도 4)와 협동하여 하부 스탠드(12)에 대한 상부 스탠드(13)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폴딩 워셔(31)는 하부 스탠드(12)의 연장부(12a)의 내측면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를 가짐으로써 연장부(12a)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폴딩 워셔(31)의 형상등에 관해서는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4 에 도시된 것은 힌지부의 일부를 상부 및, 하부 스탠드(13,12)의 외측으로부터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토퍼(41)는 상부 스탠드(13)의 연장부(13a)에 고정 설치된다. 스토퍼(41)는 이후에 설명될 소정의 형상을 가지며, 하부 스탠드(12)의 연장부(12a)에 설치된 폴딩 워셔(31)에 대응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폴딩 워셔(31)와 협동하여 하부 스탠드(12)에 대한 상부 스탠드(13)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스토퍼(41)의 형상등에 대해서도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것은 폴딩 워셔를 상이한 각도에서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폴딩 워셔(31)는 중앙 부분에 볼트 삽입공(31c)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 부분에는 하나 이상의 삽입부(31a)가 형성된다. 또한 외주의 일측에는 돌출부(31b)가 형성된다. 볼트 삽입공(31c)에는 이후에 설명될 볼트(도 8, 81)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31a)는 폴딩 워셔(31)를 도 3을 참조하여 언급된 바와 같이 하부 스탠드(12)의 연장부(12a)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즉, 삽입부(31a)는 하부 스탠드(12)의 연장부(12a)에 형성된 삽입공의 안으로 삽입됨으로써 정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도 8 에 도시된 볼트(81)와 너트(82) 사이의 조임에 의해서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돌출부(31b)는 상부 스탠드(13)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스토퍼(41)의 정지부(41a, 도 8)에 대하여 맞닿음으로써 상부 스탠드(13)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7 에 도시된 것은 위에 설명된 폴딩 워셔와 스토퍼의 상호 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토퍼(41)는 중앙에 볼트 삽입공(41c)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 부분에는 하나 이상의 삽입부(41a)와 정지부(41b)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41a)는 상부 스탠드(13)의 연장부(13a)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됨으로써 스토퍼(41)의 정위치를 정하는 역할을 한다. 정지부(41b)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41)의 가장자리에서 삽입부(41a)보다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부 스탠드(13)의 연장부(13a)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을 통해서 연장되어 하부 스탠드(12)의 연장부(12a)에 형성된 폴딩 워셔(31)의 돌출부(31b)와 맞닿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폴딩 워셔(31)가 고정된 하부 스탠드(12)에 대하여 스토퍼(41)가 고정된 상부 스탠드(13)가 회전되는 위치에 따라서 폴딩 워셔(31)의 돌출부(31b)에 스토퍼(41)의 정지부(41b)가 맞닿게 되는 것이다.
폴딩 워셔(31)의 돌출부(31b)에 스토퍼(41)의 정지부(41b)가 맞닿았을 경우에, 상부 스탠드(12)의 회전은 정지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외력을 더 가하면 스토퍼(41)의 정지부(41b)는 돌출부(31b)를 타고서 넘어갈 수 있으며, 따라서 화살표(A)로 표시된 방향으로의 회전이 더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8 에 도시된 것은 힌지부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로서, 하부 스탠드의 연장부에 결합된 폴딩 워셔와 상부 스탠드의 연장부에 결합된 스토퍼의 결합 상태를 이해할 수 있다.
도 9 에 도시된 것은 힌지부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로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볼트(81)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부 스탠드(13)의 연장부(13a)의 외측으로부터 결합되고, 너트(82)는 하부 스탠드(12)의 연장부(12a)의 외측으로부터 결합된다. 너트(82)와 폴딩 워셔(31)의 사이에는 다수의 통상적인 워셔(83)들이 배치되고, 스토퍼(41)와 볼트(81)의 헤드 사이에도 통상적인 워셔(86)가 배치된다. 하부 스탠드(12)의 연장부(12a)와 상부 스탠드(13)의 연장부(13a) 사이에는 통상적인 다수의 워셔(84)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 스탠드(12)의 연장부(13a)에 형성된 삽입공(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85)가 형성된 삽입 워셔(85)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원 발명에 따른 모니터 스탠드의 작용을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1)는 지면에 대하여 지지된 상태로 놓이게 되고, 상부 스탠드(13)는 하부 스탠드(12)에 대하여 힌지부(14)를 통해서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힌지부(14)는 사용자가 외력을 가할때 하부 스탠드(12)에 대하여 상부 스탠드(13)를 회전시킴으로써, 상부 스탠드(13)에 고정된 모니터(미도 시)의 회전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힌지부(14)의 회전은 상부 스탠드(13)의 연장부(13a)에 설치된 스토퍼(41)와, 하부 스탠드(12)의 연장부(12a)에 설치된 폴딩 워셔(31)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제한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A 로 표시된 방향으로의 회전(즉, 모니터의 전방으로의 회전)은 스토퍼(41)의 정지부(41b)가 돌출부(31b)에 접촉함으로써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미도시)를 지지하는 상부 스탠드(13)는 필요시에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전방을 향해서 제한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사용자가 외력을 가함으로써 스토퍼(41)의 정지부(41b)는 돌출부(31b)를 타고 넘어서 화살표 A 로 표시된 방향으로 더 회전할 수 있다. 모니터를 보관하거나 또는 적재 운송할 경우에는 모니터(미도시)와 지지용 스탠드의 부피를 가급적 최소화하여야 하므로, 상부 스탠드(13)와 하부 스탠드(12)가 서로 근접하도록 회전시켜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부 스탠드(13)의 회전에 필요한 외력보다 강한 외력을 가함으로써 스토퍼(41)의 정지부(41b)가 돌출부(31b)를 타고 넘을 수 있게 한다. 상부 스탠드(13)와 하부 스탠드(12)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14)는 도 8 에 도시된 다수의 워셔들과 볼트(81) 및, 너트(82)의 결합 유지 작용에 의해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스탠드는 상부 스탠드와 하부 스탠드를 안정적으로 제한 가능하게 회전시킬 뿐만 아니라, 보관이나 적재 운송시와 같은 유사시에 외력 을 가함으로써 상부 스탠드를 하부 스탠드에 대하여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며, 일측에 연장부가 형성된 하부 스탠드와;
    상기 하부 스탠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연장부가 형성된 상부 스탠드와;
    상기 하부 스탠드의 연장부에 고정되며 돌출부가 형성된 폴딩 워셔 및, 상기 상부 스탠드의 연장부에 고정되며 상기 돌출부와 작용하는 정지부가 형성된 스토퍼를 가지는 힌지부;를 구비하는 모니터 스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워셔에 형성된 삽입부는 상기 하부 스탠드의 내측면상에서 상기 하부 스탠드의 연장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스토퍼에 형성된 삽입부는 상기 상부 스탠드의 외측면상에서 상기 상부 스탠드의 연장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폴딩 워셔와 상기 스토퍼는 그 사이에 다수의 워셔들이 개재된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의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스탠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정지부는 상기 상부 스탠드의 연장부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서 연장되어 상기 폴딩 워셔의 돌출부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스탠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정지부는 외력에 의해서 상기 폴딩 워셔의 돌출부를 지나서 회전하게 되며, 그에 의해서 상기 스토퍼가 고정된 상부 스탠드가 전방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스탠드.
KR1020040100210A 2004-12-02 2004-12-02 모니터 스탠드 KR100662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210A KR100662325B1 (ko) 2004-12-02 2004-12-02 모니터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210A KR100662325B1 (ko) 2004-12-02 2004-12-02 모니터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462A true KR20060061462A (ko) 2006-06-08
KR100662325B1 KR100662325B1 (ko) 2007-01-02

Family

ID=37157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210A KR100662325B1 (ko) 2004-12-02 2004-12-02 모니터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23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716B1 (ko) * 2006-08-09 2008-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거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3523A (ja) * 2000-06-30 2002-01-18 Nifco Inc ヒンジユニット及びヒンジ構造
JP2002333912A (ja) * 2001-05-09 2002-11-22 Toshiba Corp Icカード、生産管理システム及び生産管理方法
JP4141249B2 (ja) * 2002-12-25 2008-08-27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一時角度設定機能付ヒンジ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716B1 (ko) * 2006-08-09 2008-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거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2325B1 (ko) 200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1893B1 (en) Stand for an LCD monitor
JP4094937B2 (ja) モニタ装置
KR101239979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813726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US8851564B2 (en) Chair with foldable desk
US20060049327A1 (en) Monitor supporting and rotating structure
US20080210837A1 (en) Display Mounting Apparatus
US7448587B2 (en) Stand for supporting computer
US20090172916A1 (en) Hinge Assembly
US20050002156A1 (en) Display device and stand thereof
KR100662325B1 (ko) 모니터 스탠드
US20070252066A1 (en) Display apparatus
US20060107878A1 (en) Portable desktop for suppoting items
KR20030089810A (ko) 모니터장치
JP7003850B2 (ja) スタンド及び表示装置
KR200407149Y1 (ko) 노트북 컴퓨터 거치 독서대
JP2842182B2 (ja) ストーブ台付折たたみ保護ガード
KR20040068485A (ko) 경사운동장치
JP4335858B2 (ja) ホルダー
JPH11127935A (ja) 精密機器運搬用ケース
JPH0463408B2 (ko)
KR200392503Y1 (ko)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 구조
KR100598127B1 (ko) 엘씨디 모니터의 스탠드 수납구조
KR200330603Y1 (ko) 컴퓨터
JP4670846B2 (ja) 薄型表示装置用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