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0821A - 전동빨래건조대의 와이어권취가이드 - Google Patents

전동빨래건조대의 와이어권취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0821A
KR20060060821A KR1020040099596A KR20040099596A KR20060060821A KR 20060060821 A KR20060060821 A KR 20060060821A KR 1020040099596 A KR1020040099596 A KR 1020040099596A KR 20040099596 A KR20040099596 A KR 20040099596A KR 20060060821 A KR20060060821 A KR 20060060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obbin
winding guide
wire wind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1020040099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0821A/ko
Publication of KR20060060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8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5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to, or close to,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의 천정에 부착해서 사용하는 전동 빨래건조대의 승강장치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인 승강용 와이어가 사용 도중 엉키지 않고 정상적인 권취상태를 유지할수 있게 해주는 승강용 와이어 권취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는 와이어보빈의 몸체에 일정한 탄성을 유지하고 있는 두개의 스프링을 접촉시켜서 승강용와이어가 처졌을때 보빈의 회전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보빈에 감겨있는 부분의 와이어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해줄 수 있는 전동빨래건조대의 승강용 와이어 권취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빨래건조대

Description

전동빨래건조대의 와이어권취가이드{A winding guide of electric cloth dryhanger}
도 1은 전동빨래건조대의 사시도
도 2는 와이어 권취가이드 평면도
도 3은 와이어 권취가이드 측면도
도 4는 와이어 권취가이드가 설치된 와이어보빈의 평면도
도 5는 와이어 권취가이드가 설치된 와이어보빈의 정면도
도 6은 바닥돌기에 와이어 권취가이드가 끼워진 부분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사용상태에서 와이어가 쳐졌을때 와이어 보빈의 정면도예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동빨래건조대 본체 3: 빨래걸이봉 고정대
4: 빨래걸이봉 5a,5b: 승강용 와이어
6: X자형 링크 지지대 7: 가이드롤러
8: 구동모터 10: X자형 링크
11: 텐션감지쎈서 20: 와이어보빈
21: 중간날개 22,23: 측면날개
30: 와이어 권취가이드 31: 밀착부
32: 힌지부 33: 지지부
34: 고정홀 40: 바닥돌기
50: 장애물
















본 발명은 주택의 천정에 부착해서 사용하는 전동승강식 빨래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건조대는 X자형 링크(10)를 보조수단으로 해서 다수의 빨래걸이봉(4)이 끼워진 좌우한쌍의 빨래걸이봉 고정대(3)에 승강용 와이어(5a),(5b)를 연결한 뒤 이 와이어의 반대쪽 끝은 구동모터 축에 끼워진 와이어보빈(20)에 연결하여 이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빨래걸이봉의 높이를 올리거나 내릴수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대는 빨래걸이봉 자체의 무게로 인하여 빨래가 널려있지 않아도 와이어는 항상 일정한 텐션을 가지고있어서 와이어보빈에 가지런히 감길수가 있게 되고 만약 건조대가 하강하는 도중에 장애물에 걸리거나 기타의 이유로 와이어가 도1의 5b'와 같이 처지게 되면 이를 마이크로 스위치등의 텐션감지쎈서(11)가 감지하여 구동모터를 정지시켜 와이어가 더 이상 풀려나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승강용 와이어는 충분한 인장하중과 반복사용에 따른 재질의 마모나 손상을 고려하여 통상 직경 0.2m/m 전후의 강선을 여러가닥 꼬은뒤 표면에 합성수지등을 코팅한 직경 2m/m내외의 상대적으로 뻣뻣한 강선 와이어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를 직경이 30~50m/m, 길이 50m/m 내외정도인 와이어보빈에 감아놓을 경우 와이어가 항상 팽팽하게 당겨져있지 않으면 바로 풀어져서 엉키게 되므로 앞에서 언급한 안전장치 이외에 추가로 와이어보빈의 외경에 와이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캡을 씌우거나 고정식 브라켓등으로 와이어보빈의 일부를 감싸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같은 종래의 방법들은 모두 조립공차를 감안, 와이어가 감겨있는 보빈의 전체외경보다 약간 크게 한 상태에서 붙박이식으로 고정하게 되어있다.
그런데 상기 건조대를 천정에 부착해서 사용하고 있는 도중 와이어가 늘어져있는데도 센서등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해 구동모터가 정지하지 않고 계속 돌게되면 상기 캡이나 고정식 브라켓 내에서 와이어가 서로 올라타서 씹히거나 관련부품의 손상이 초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캡이나 고정식 브라켓등을 우선 제거해야만 후속조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도 손쉽게 조치를 할 수 있고 평상시에도 와이어가 보빈에 일정한 권취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위해서 붙박이 고정식이 아닌 보다 유연한 와이어 권취가이드의 발명이 요구되고 있다.
승강용 와이어가 감겨있는 와이어보빈의 외경에 유격이 없이 밀착될수 있도록 소정의 텐션을 지니고있으며 와이어가 보빈에 꼬여서 감긴 경우에도 본체에 부착된 가이드를 제거하지 않고 손쉽게 조치가 가능한 와이어 권취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관련된 부품의 조립이나 A/S발생시 탈착이 용이하도록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두개의 ㄷ자 형상을 갖는 스프링 강선으로 와이어 권취가이드(30)를 구성하였는데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3에서는 와이어 권취가이드용 스프링강선의 가공형상을 평면도와 측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앞에서 언급한 와이어보빈의 크기에 비추어볼때 스프링강선의 규격은 직경 1.0~1.5m/m정도인 것이 적당하다고 본다.
이정도 규격의 스프링용 강선을 준비하여 와이어보빈(20)의 폭(W₁)보다 조금긴 직선(W₂)의 밀착부(31)를 설정하고 그 양단을 직각으로 절곡한 뒤 바닥면으로부터 와이어보빈(20)중심까지의 거리(H₁)보다 높은 위치(H₂)에서 상기 밀착부(31)가 측면날개(22),(23)에 닿을 수 있는 경사구간(L)을 갖는 지점에 소정의 내경을 갖는 코일형태의 고정홀(34)을 한바퀴이상 형성시키고 다시 직선구간의 지지부(33)을 형성시키되 상기 지지부(33)를 바닥면에 대었을때 경사구간(L)이 바닥면과 소정의 경사각도(A)을 갖도록 한뒤 끝을 절단하면 기본구성이 완성된다.
도 4와 도 5는 이같이 구성된 와이어 권취가이드(30)를 와이어보빈(20)의 좌우 양측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와 정면도로서 우선 도4에서 보면 와이어보빈(20)의 중심(C)을 기준으로 와이어 보빈(20)의 외경 바깥지점 바닥면에 각각 두개씩의 바닥돌기(40)를 서로 마주보게 형성시키되 도6에 나타낸바와 같이 바닥돌기(40)의 폭(a)와 높이(b)는 와이어 권취가이드의 고정홀(34)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하고 길이(ℓ)는 상기 와이어 권취가이드의 한쪽을 먼저 바닥돌기의 절곡된 끝부분까지 삽입해서 밀어놓은 상태에서 반대쪽 홀도 해당되는 바닥돌기(40)에 끼울 수 있는 크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의 밀착부(31)가 와이어보빈의 측면날개(22),(23)에 밀착된 상태에서 보빈의 폭(W₁)을 벗어난 여백이 같아지도록 움직여서 균형을 잡아서 끼워주면 된다.
이렇게 끼워진 가이드는 와이어보빈(20)과 결합되기 전에는 좌우로 움직일수가 있지만 일단 스프링텐션을 가지고 와이어보빈과 결합되고 난 뒤에는 두개의 지지부(33)가 항상 바닥면을 버티고있기 때문에 자체적으로는 움직이지 않는다.
그리고 좌우 바닥돌기의 간격(s)은 도5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가 갖고있는 경사각(A)보다 상기가이드가 조립되어서 밀착부(31)가 보빈의 측면날개(22),(23)의 외경에 기대어 졌을때의 변형된 각도(B)가 커서 소정의 스프링텐션을 가지고 조립될수있도록 설정한다.
이때 보빈에 와이어가 권취 되었을 때의 외경보다 보빈 측면날개(22),(23)의 외경이 조금 크게하여 승강용 와이어에 소정의 텐션이 작용하는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와이어보빈(20)이 회전을 할 때 와이어 권취가이드(30)가 승강용 와이어(5a),(5b)표면에 닿지 않도록 해서 불필요한 간섭을 배재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같이 설치된 와이어 권취가이드(30)는 본체(1)의 바닥면에 접지되어 있는 지지부(33)가 버팀목역할을 하기 때문에 항상 소정의 스프링텐션을 갖는 밀착부(31)가 제공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텐션을 잃고 늘어진 승강용 와이어(5a),(5b)가 와이어보빈(20)밖으로 풀어져 나가는 것을 막아주게 되고,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만약의 경우 와이어가 꼬여서 감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해도 상기 가이드의 밀착부(31)를 살짝들고 와이어를 정렬시킨뒤 다시 놓으면 스프링탄성에 의해 다시 최초의 조립상태로 되기 때문에 종래의 방법에 비해 매우 간편하게 조치할수있게 된다.
한편 도7에서는 구동모터(8)가 작동하는 도중에 승강용 와이어(5a),(5b)가 텐션을 잃고 늘어진 경우 본발명의 와이어 권취가이드(30)가 설치되지 않았을 때 이미 감겨있던 있던 와이어도 와이어보빈 밖으로 모두 풀어져서 나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전동승강식 빨래건조대의 조립공정중에서 가장 중요하고 핵심이 되는 부분이 바로 와이어보빈(20)에 좌우 한쌍의 승강용 와이어(5a),(5b)를 팽팽하고 균형있게 감는 일이기 때문에 이와 같이 뻣뻣한 승강용 와이어가 보빈밖으로 완전히 벗어나 버리면 가장 까다롭고 조치하기 어려운 A/S요인이 발생한 것으로 보면된다.
따라서 이같은 상황이 발생 하였을 때 본 발명과 같은 가이드장치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전동 승강식 빨래건조대에 있어서 승강용 와이어를 권취하는 와이어보빈의 외경에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권취가이드(30)를 밀착시켜서 사용하게 되면 상기 건조대를 사용하는 도중에 승강용 와이어가 텐션을 잃고 처지는 경우가 발생해도 보빈에 감겨져있던 와이어가 풀어져서 이탈되지 않게되고, 또한 승강용 와이어가 보빈에 꼬여서 감기거나 관련된 부품을 수리하고자 할때에, 와이어 권취가이드(30)를 분해하지 않고도 손쉽게 처리할수 있게 해주는 이점이 있으며 볼트나 넛트등이 필요없이 간단하게 고정홀(34)을 바닥돌기(40)에 끼워주는 것으로 조립이 끝나기 때문에 손쉬운 탈착이 가능하다.



Claims (2)

  1. 천정에 부착해서 사용하는 전동 승강식 빨래건조대를 구성할 때 다수의 빨래걸이봉이 끼워진 좌우 한쌍의 빨래걸이봉 고정대(3)에 승강용 와이어(5a),(5b)의 한쪽끝을 연결하고 반대쪽끝은 상기 건조대의 본체에 장치된 와이어보빈(20)에 연결한뒤 이에 결합된 구동모터(8)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키면서 승강용와이어(5a),(5b)를 권취하는 경우에 있어서 와이어보빈(20)의 측면날개(22),(23)의 원주상 좌우 양측에 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밀착되어 닿게 되는 한쌍의 스프링강선으로 제작된 와이어 권취 가이드(30)를 제공하되 상기 와이어 권취가이드(30)는 와이어보빈(20)의 폭(W₁)보다 조금긴 직선의 밀착부(31)와 밀착부(31)의 양단을 직각으로 절곡한뒤 소정의 경사구간(L)을 갖는 지점에 고정홀(34)을 코일형태로 한바퀴이상 감아서 형성시키고 다시 코일의 끝부분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지지부(33)를 두고 절단하되 상기 지지부(33)와 경사구간(L)이 소정의 경사각(A)을 이루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빨래건조대의 와이어 권취 가이드
  2. 상기 1항에 있어서 와이어 권취가이드(30)는 본체(1)의 바닥면에 형성된 바닥돌기(40)에 고정홀(34)이 끼워져 고정될수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빨래건조대의 와이어 권취가이드
KR1020040099596A 2004-12-01 2004-12-01 전동빨래건조대의 와이어권취가이드 KR200600608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596A KR20060060821A (ko) 2004-12-01 2004-12-01 전동빨래건조대의 와이어권취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596A KR20060060821A (ko) 2004-12-01 2004-12-01 전동빨래건조대의 와이어권취가이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992U Division KR200376194Y1 (ko) 2004-12-01 2004-12-01 전동빨래건조대의 와이어권취가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821A true KR20060060821A (ko) 2006-06-07

Family

ID=37157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596A KR20060060821A (ko) 2004-12-01 2004-12-01 전동빨래건조대의 와이어권취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082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951B1 (ko) * 2008-12-17 2009-07-30 (주)웰테크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와이어권취장치
KR100929582B1 (ko) * 2008-12-17 2009-12-03 (주)웰테크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천장 롤러장치
KR101244370B1 (ko) * 2011-04-29 2013-03-18 주식회사 일진하이텍 무대장치
CN108529468A (zh) * 2018-05-29 2018-09-14 嘉兴市朗星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卷线机构及晾衣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951B1 (ko) * 2008-12-17 2009-07-30 (주)웰테크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와이어권취장치
KR100929582B1 (ko) * 2008-12-17 2009-12-03 (주)웰테크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천장 롤러장치
KR101244370B1 (ko) * 2011-04-29 2013-03-18 주식회사 일진하이텍 무대장치
CN108529468A (zh) * 2018-05-29 2018-09-14 嘉兴市朗星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卷线机构及晾衣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286380B6 (cs) Ukotvovací zařízení pro zabezpečení koncového kusu kordu navinutého na zásobní cívku
CN209973840U (zh) 一种纺织品加工用卷绕装置
KR20060060821A (ko) 전동빨래건조대의 와이어권취가이드
KR200376194Y1 (ko) 전동빨래건조대의 와이어권취가이드
JP6334848B2 (ja) 横型ブラインド
CN212450068U (zh) 一种玻璃纤维编织带缠线轮绕丝装置
KR100438023B1 (ko)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KR20230059425A (ko) 테이프 권취드럼 및 테이프 권출장치
KR200274950Y1 (ko)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CN113818113A (zh) 一种防断头细纱机牵伸导纱装置
KR200468161Y1 (ko)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와이어 안전장치
CA3102333A1 (en) Spring box for window covering
EP0477978B1 (en) Unwinding tension applying device for package
JP2558056Y2 (ja) スクリーン開閉装置
CN220866817U (zh) 一种针织衫倒毛机
KR200226475Y1 (ko) 담배 건조기용 발 달기 장치
KR100841025B1 (ko) 드럼형 게양장치
KR200320797Y1 (ko) 전기코드 릴의 회전제어장치
JP2561040Y2 (ja) 温室カーテン開閉用の巻取り軸駆動装置
CN220166482U (zh) 晾衣机
KR200350789Y1 (ko) 체인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용 승하강장치
KR940006393Y1 (ko) 천정에 설치되는 세탁물 건조대의 승, 하강 장치
KR102589204B1 (ko) 자동 광케이블 정렬 권취기
KR100484623B1 (ko) 빨래건조대용 견인와이어 권선장치
JP2545701Y2 (ja) 温室カーテンの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