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0251A - 유기 전계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0251A
KR20060060251A KR1020040099185A KR20040099185A KR20060060251A KR 20060060251 A KR20060060251 A KR 20060060251A KR 1020040099185 A KR1020040099185 A KR 1020040099185A KR 20040099185 A KR20040099185 A KR 20040099185A KR 20060060251 A KR20060060251 A KR 20060060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adhesive
pattern
organic electroluminescent
activ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7893B1 (ko
Inventor
유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99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7893B1/ko
Publication of KR20060060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패턴이 형성된 기판과 봉지 캡의 합착 공정 시, 합착 압력에 의해 접착제가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의 활성 영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이는 활성 영역과 주변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기판과, 기판의 활성 영역 위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패턴과, 기판의 주변 영역 위에 배치되고, 주변 영역의 최외각 테두리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접착제 가이드 패턴 및, 복수의 접착제 가이드 패턴과 활성 영역의 최외각 테두리 사이의 기판 위에 배치되고, 활성 영역의 최외각 테두리를 따라 끊어지지 않고 길게 형성되어 있는 제1 차단 패턴을 포함한다.
유기전계발광소자, 기판, 가이드패턴, 차단패턴, 접착제

Description

유기 전계발광 소자{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패턴이 형성된 기판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패턴이 형성된 기판과 봉지 캡이 봉지된 상태의 유기 전계발광 소자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기판 110 :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패턴
120a : 제1 차단 패턴 120b : 제2 차단 패턴
130 : 접착제 가이드 패턴 빗금친 부분 : 접착제
본 발명은 유기 전계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패턴이 형성된 기판과 봉지 캡의 합착 공정 시, 합착 압력에 의해 접 착제가 유기 전계발광 소자가 형성되어 있는 기판의 활성 영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전계발광 소자는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 중 하나로 웨이퍼 상의 양전극층(anode layer)과 음전극층(cathode layer) 사이에 유기 전계 발광층인 유기 박막층을 삽입하여 구성하며, 매우 얇은 두께의 매트릭스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는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박형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좁은 광 시야각, 느린 응답 속도 등 종래에 LCD에서 문제로 지적되어 온 결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다른 형태의 디스플레이와 비교하여, 특히, 중형 이하에서 다른 디스플레이와 동등하거나(예를 들어, "TFT LCD") 그 이상의 화질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이 단순화하다는 점에서,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그런데,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경우에는 특히 발광물질인 유기 박막층이 수분 및 산소에 취약하기 때문에 극히 낮은 투습율 및 투산소율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제조 공정은 유기 전계발광 소자가 형성된 기판에 일정 공간을 유지한 상태에서 봉지 캡을 덮어 씌워 유기 전계발광 소자를 외부의 수분과 산소로부터 격리시키는 봉지 공정을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한편, 이와 같은 봉지 공정은 유기 전계발광 소자가 형성된 기판의 활성 영역이 아닌 주변 영역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기판과 봉지 캡이 서로 대향하도록 정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정렬된 기판과 봉지 캡에 소 정의 합착 압력을 가하여 합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접착제는 통상적으로 수작업이나 접착제 도포 장비에 의해 도포되기 때문에 기판의 주변 영역 중 직선 구간이 아닌 모서리 부분에서는 접착제의 도포량이 불균일하거나 과다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기판의 주변 영역에 도포된 접착제의 도포량이 불균일하거나 과다하게 되면, 봉지 캡과 기판에 이들을 서로 합착하기 위해 합착 압력을 가할 경우, 접착제의 일부분이 인접하는 활성 영역으로 확산되어 활성 영역 위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와 접하게 되기 때문에 유기 전계발광 소자를 부식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패턴이 형성된 기판과 봉지 캡의 합착 공정 시, 합착 압력에 의해 접착제가 유기 전계발광 소자가 형성되어 있는 기판의 활성 영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활성 영역과 주변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활성 영역 위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패턴과, 상기 기판의 주변 영역 위에 배치되고, 주변 영역의 최외각 테두리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접착제 가이드 패턴 및, 상기 복수의 접착제 가이드 패턴과 활성 영역의 최외각 테두리 사이의 기판 위에 배치되고, 상기 활성 영역의 최외각 테두리를 따라 끊어지지 않고 길게 형성되어 있는 제1 차단 패턴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접착제 가이드 패턴과 주변 영역의 최외각 테두리 사이의 기판 위에 배치되고, 상기 주변 영역의 최외각 테두리를 따라 끊어지지 않고 길게 형성되어 있는 제 2 차단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제 가이드 패턴과 상기 제1 및 제2 차단 패턴은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패턴 중 절연층 또는 격벽층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 시, 절연층 또는 격벽층과 함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 소자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패턴이 형성된 기판 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패턴이 형성된 기판과 봉지 캡이 봉지된 상태의 유기 전계발광 소자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패턴(110)이 형성된 기판(100)은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패턴(110)이 형성되어 있는 활성 영역(A)과 그 외의 영역, 즉, 주변 영역(B)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때, 기판(100)의 주변 영역(B) 위에는 주변 영역(B)의 최외각 테두리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접착제 가이드 패턴(130)이 위치한다. 특히, 종래에는 이러한 접착제 가이드 패턴(130)이 끊어지지 않고 일체로 길게 형성되어 있었으나, 본 실시예의 유기 전계발광 소자에서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접착제 가이드 패턴(130)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 소자는 주변 영역에 도포된 접착제가 합착 압력에 의해 활성 영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판(100)의 주변 영역(B),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복수의 접착제 가이드 패턴(130)과 활성 영역(A)의 최외각 테두리 사이의 기판(100) 위에 활성 영역(A)의 최외각 테두리를 따라 끊어지지 않고 길게 형성되어 있는 제1 차단 패턴(120a)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접착제 가이드 패턴(130)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차단 패턴(120a)이 형성되지 않은 일측의 주변 영역(B) 위(즉, 상기 복수의 접착제 가이드 패턴(130)과 주변 영역(B)의 최외각 테두리 사이의 기판 위)에는, 상기 주변 영역(B)의 최외각 테두리를 따라 끊어지지 않고 길게 배치되는 제 2 차단 패턴(120b)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패턴이 형성된 기판에 봉지 캡을 덮어씌우는 봉지 공정 중에, 기판의 주변 영역 중 직선 구간이 아닌 모서리 부분에서 접착제의 도포량이 불균일하거나 과다하게 되더라도,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접착제 가이드 패턴(130)과 활성 영역(A)의 최외각 테두리 사이에 끊어지지 않고 길게 형성되어 있는 제1 차단 패턴(120a)에 의해 접착제(빗금친 부분)가 활성 영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가이드 패턴(130)은 주변 영역(B)의 최외각 테두리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차단 패턴(120a)에 의해 확산이 차단되어 밀린 접착제(빗금친 부분)를 접착제 가이드 패턴(130)의 이격된 틈을 이용하여 다른 영역으로 확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도포 영역에 따른 접착제의 도포량이 불균일하게 되더라도, 봉지 캡과 기판(100)의 합착 공정에서의 합착 압력에 의해 접착제의 도포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부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접착제 가이드 패턴(130)과 주변 영역(B)의 최외각 테두리 사이의 기판 위에 끊어지지 않고 길게 제2 차단 패턴(120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주변 영역(B) 상의 접착제가 제2 차단 패턴(120b) 밖의 기판으로는 확산될 수 없다. 따라서, 접착제가 제1 차단 패턴(120a) 및 제2 차단 패턴(120b) 사이에서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어서, 결국, 봉지 캡이 접착되는 좁은 영역의 기판(100) 상에만 접착제가 균일하게 도포되므로, 봉지 공정에서 사용되어야 할 접착제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접착제가 최외각 영역의 기 판, 즉, 봉지 캡이 접착되는 영역 밖의 기판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제 가이드 패턴(130)과 상기 제1 차단 패턴(120a) 및 제2 차단 패턴(120b)은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패턴(110) 중 절연층 또는 격벽층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 시에, 절연층 또는 격벽층과 함께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위 접착제 가이드 패턴(130)과 제1 및 제2 차단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치 않으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 효과를 모두 거둘 수 있어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신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봉지 공정 시에 사용되는 접착제가 활성 영역으로 확산됨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위 접착제에 의해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패턴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봉지 캡이 부착될 영역의 기판 상에만 접착제가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공정의 경제성 측면에도 큰 도움이 된다.
결국, 본 발명은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신뢰성 및 그 제조 공정의 경제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Claims (3)

  1. 활성 영역과 주변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활성 영역 위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패턴과,
    상기 기판의 주변 영역 위에 배치되고, 주변 영역의 최외각 테두리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접착제 가이드 패턴 및,
    상기 복수의 접착제 가이드 패턴과 활성 영역의 최외각 테두리 사이의 기판 위에 배치되고, 상기 활성 영역의 최외각 테두리를 따라 끊어지지 않고 길게 형성되어 있는 제 1 차단 패턴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착제 가이드 패턴과 주변 영역의 최외각 테두리 사이의 기판 위에 배치되고, 상기 주변 영역의 최외각 테두리를 따라 끊어지지 않고 길게 형성되어 있는 제 2 차단 패턴을 더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차단 패턴은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패턴 중 절연층 또는 격벽층 형성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1020040099185A 2004-11-30 2004-11-30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100637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185A KR100637893B1 (ko) 2004-11-30 2004-11-30 유기 전계발광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185A KR100637893B1 (ko) 2004-11-30 2004-11-30 유기 전계발광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251A true KR20060060251A (ko) 2006-06-05
KR100637893B1 KR100637893B1 (ko) 2006-10-24

Family

ID=37157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185A KR100637893B1 (ko) 2004-11-30 2004-11-30 유기 전계발광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78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2248A (ko) * 2012-12-24 2014-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2248A (ko) * 2012-12-24 2014-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7893B1 (ko) 200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451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36809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113411B1 (ko) 가요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그 제조 방법
KR101581107B1 (ko) 유기 반도체 소자 및 유기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688972B1 (ko)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JP6185667B2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JP4255724B2 (ja) 有機el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および有機elディスプレイ
JP2007335403A (ja) 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US20190333425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20050178498A1 (en) Method for sealing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s
CN111433915A (zh) 显示屏及其制作方法,以及显示设备
US8379179B2 (en) Flat panel display having particular compensating parts for a thickness difference between sealants
JP2010107935A (ja) 平板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48167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패널
KR100637893B1 (ko) 유기 전계발광 소자
JP2007048474A (ja) 平面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1023132B1 (ko) 평판표시장치
US20090108740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1941455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30225B1 (ko) 평판표시장치
KR100518962B1 (ko) 유기전계발광 소자
KR100627900B1 (ko)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봉지 캡
KR100647005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0208A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3017252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素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